KR940009692B1 - 온수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692B1
KR940009692B1 KR1019910013187A KR910013187A KR940009692B1 KR 940009692 B1 KR940009692 B1 KR 940009692B1 KR 1019910013187 A KR1019910013187 A KR 1019910013187A KR 910013187 A KR910013187 A KR 910013187A KR 940009692 B1 KR940009692 B1 KR 94000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ressure tank
air
wat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694A (ko
Inventor
히로시 마사노
미쓰히로 다케다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난방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온수난방장치의 공기 조화장치의 개략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온수난방장치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온수난방장치의 배기밸브의 단면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배기밸브를 부착한 압력탱크의 측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온수난방장치 14 : 실내열교환기
17 : 연소장치(가열수단) 18 : 온수배관
19 : 펌프 20 : 압력탱크
38 : 제2주수구(주수구) 42 : 배기밸브(배기수단)
본 발명은 온수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것으로 실내난방을 행하는 온수난방장치가 있다.
이 온수난방방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장치와, 이 연소장치로 부터 공급된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이 실내열교환기와 연소장치의 실외열교환기가 펌프를 개재시킨 온수배관에 의해 환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온수배관에는 가정용의 주수펌프등을 사용하여 가압주수를 행하기 위한 주수구가 설치됨과 동시에 온수의 온도상승에 따라 상승하는 배관내의 압력을 줄이기 위한 압력탱크가 개재되어 있다.
그런데, 가정용의 주수펌프에서는 펌프성능의 낮고, 토출유량이 자기때문에 주수에 요하는 시간이 길게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주수펌프가 없는 경우에는 압력탱크의 캡을 떼어내 압력탱크로 부터 직접 주수하는 방법이 채용되지만, 이 경우 주수구가 되는 압력탱크의 개구부로 부터 배관내의 공기가 방출되기 때문에 배기하는데 시간이 걸리며, 그결과 주수시간도 길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시간에 주수할 수 있는 온수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이 가열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환상으로 접속하는 온수배관과, 이 온수배관내의 온수를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펌프와, 이 펌프의 상류에 설치되어 온수의 순환경로내에서의 압력이 상승했을때, 그 압력을 줄여 상기 순환경로내의 압력을 소정치이하로 유지하는 압력탱크와, 상기 펌프와 상기 압력탱크와의 사이에서 상기 온수 배관내에 주수를 행하기 위해 설치된 주수구와, 상기 주수구로 부터의 주수시에 상기 순환경로내의 공기를 뽑기 위해 상기 압력탱크를 대기로 연통시키는 배기수단을 구비한 것을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는 주수구로 부터의 주수에 의하여 순환경로내의 공기가 물의 흐름과 함께 압력탱크로 유도된다. 그리고, 배기수단에 의해 대기로 연통된 압력탱크로 부터 배기된다.
이와같이, 압력탱크가 공기 대기소로서 작용하며 이 압력탱크로 유도된 공기가 그대로 대기로 방출되기때문에 순환경로내에 공기가 막히는 일없이 단시간에 주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온수난방장치를 적용한 공기 조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공기조화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1)은 냉매의 순환에 의해 실내냉방을 행하여 냉장장치(2)와, 온수(부동액)의 순환에 의해 실내난방을 행하는 온수난방장치(3)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방장치(2)는 냉매압축기(4), 냉매응축기(5), 모세관(6), 냉매증발기(7), 및 어큐뮬레이터(8)로 이루어진 공지의 냉동사이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각 기능부품이 각각 냉매배관(9)에 의해 환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냉매압축기(4), 냉매응축기(5), 모세관(6) 및 어큐뮬레이터(8)은 냉매응축기(5)에 송풍하는 응축기팬(10)과 함께, 다이어프램(11)으로 상, 하 2단으로 구회된 실외유니트 케이스(12)의 하단측에 수용되어 있다.
냉매증발기(7)은 공조공기를 실내로 취출하기 위한 실내팬(13), 및 후술하는 난방용 실내열교환기(14)와 함께 실내유니트케이스(15)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냉매압축기(4) 및 응축기팬(10)은 실외유니트케이스(12)의 상단측 조립된 제어회로(16)(제 2 도 참조)를 통하여 통전제어된다.
온수난방장치(3)은 본 발명의 가열수단인 연소장치(17), 온수배관(18)을 통하여 연소장치(17)로 부터 공급된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난방용실내 열교환기(14), 연소장치(17)과 난방용실내열교환기(14)와의 사이에서 온도를 순환시키는 펌프(19), 이 펌프(19)의 하류에 설치된 압력탱크(2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장치(17)은 연료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21)을 구비한 연소실(22), 버너(21)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23), 버너(21)에서의 연소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연소가스)와 물을 열교환시키는 난방용실외열교환기(24)등으로 구성되며, 그 난방용 실외열교환기(24)가 온수배관(18)을 통하여 난방용실외열교환기(14)와 환산으로 접속되어 있다.
난방용 실외열교환기(24)는 온수배관(18)에 접속된 수배관(24a)의 외주에 다수의 전열용핀(24b)를 부착하여 구성되며, 사각형 단면을 갖는 통상 케이스(25)(제 2 도 참조)에 수용되어 있다.
이 통상 케이스(25)는 통상케이스(25)의 타단측(제 2 도 우단측)에서 연소실(22)와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통상케이스(25)의 일단측에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통(26a)를 형성한 배기뚜껑(26)이 붙어있다.
연소실(22)는 버너(21)을 수용하는 연소기케이스(27)내에 형성되며, 이 연소기케이스(27)의 일단측(제 2 도 좌단측)이 상기 통상 케이스(25)의 타단측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 케이스(27)의 타단측에는 송풍기(23)의 취출구가 접속되어 있다. 게다가, 이 연소기 케이스(27)에는 버너(21)로의 점화장치인 스파커(28)과, 화염검지수단인 프레임로드(29)가 버너(21)의 화염구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버너(21)에는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관(30)이 접속되어 있다. 이 가스관(30)에는 상류층으로 부터 통전시에는 연료가스를 통과시키는 원(元)잔자밸브(31)과 주(主)전자밸브(32), 공급압력을 제어함에 의하여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거버너 비례밸브(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23), 스파커(30), 원전자밸브(31), 주전자밸브(32), 및 거버너비례밸브(33)은 각각 제어회로(16)을 통하여 통전한다.
이 연소장치(17)은 실외유니트케이스(12)의 높이를 낮게하기 위하여 실외유니트 케이스(12)내에서 난방용실외열교환기(24), 연소실(22), 및 송풍기(23)이 순서대로 횡방향(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실외유니트케이스(12)의 횡폭(긴방향)은 냉동사이클의 배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연소장치(17)의 난방용실외열교환기(24), 연소실(22) 및 송풍기(23)을 횡방향으로 배열하여도 실외유니트 케이스(12)의 횡폭이 크게되는 일은 없다.
연소장치(17)의 작동에 따라, 통상케이스(25)와 온수배관(18)의 외표면에 부착한 물방울(배출수)을 받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어프램(11)이 배출수의 물받이 용기로서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다이어프램(11)에는 떨어진 배출수를 모으기 위하여 주위에 8mm정도의 단차(주위쪽이 높음)가 형성되며, 그 단차의 내측에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아진 배출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3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탱크(20)은 온수의 순환경로내의 압력이 상승했을때, 그 압력을 줄여 순환경로내의 압력을 소정치(예를들어 0.9kg/㎠)이하로 유지하므로 그 압력탱크(20)에는 호스(35)를 통하여 저장탱크(36)이 접속되어 있다.
압력탱크(20)내의 압력이 상승했을때에는 압력탱크(20)의 캡(20a)가 호스(35)로의 통로를 개구하여 압력탱크(20)내에 유입한다.
실내유니트케이스(15)는 벽걸이형으로서 실내유니트 케이스(15)상부에 실내공기의 취입구(15a)가 형성됨과 동시에 실내유니케이스(15)의 전면하부에 공조공기의 취출구(15b)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15b)의 횡단에는 제어회로(16)을 통하여 공기조화장치(1)을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판넬(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콘트롤 판넬외에 리모콘트롤을 행하기 위한 리모콘 유니트(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콘트롤 판넬 및 리모콘 유니트에는 공기조화장치(11)의 기동 및 정지를 행하는 운전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실내온도의 설정을 행하는 온도 설정볼륨(도시하지 않음)등이 설치되어 있다.
실외유니트케이스(12)에는 다이어프램(11)보다 하단측의 측면 및 후면에 응축기팬(10)의 작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기(12a)가 형성되며, 하단측의 전면에 공기흡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외유니트케이스(12)의 측면상부에는 후술하는 제1주수구(27) 및 제2주수구(38)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39) 및 압력탱크(20)의 캡(20a)를 개폐하기 위한 개구부(40)(제 2 도 참조)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개구부(39), (40)이 송풍기(23)의 작동에 따른 연소용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흡기구로서 작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실외유니트케이스(12)의 상부전면에는 배기통(26a)로부터의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2b)(제 2 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9), (40)이 형성된 실외유니트케이스(12)의 측면에는 수지제의 보호커버(41)이 부착되어 있다.
이 보호커버(41)은 개구부(39), (40)로 부터의 빗물이 침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실외유니트케이스(12)의 외부에 노출하는 온수배관(18)을 덮는 것으로써 외관상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연소용 공기는 보호커버(41)의 하단부로 부터 도입되며, 개구부(39), (40)을 통하여 제어회로(16)의 기판을 냉각하면서 송풍기(23)에 흡입된다.
온수배관(18)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펌프에 의하여 온수배관(18)내에 가압주수하기 위한 제1주수구(37), 및 펌프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비가압상태에서의 주수를 행하기 위한 제2주수구(38)이 설치되어 있다.
제1주수구(37)은 압력탱크(20)보다 상류에 설치되며, 제2주수구(38)은 펌프(19)와 압력탱크(20)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각 실외유니트케이스(12)의 측면상부에 설치된 개구부(39)로 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주수구(38)로 부터의 주수를 단시간에 행하기 위해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력탱크(20)의 정상면에 배기밸브(본 발명의 배기수단)(42)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배기밸브(42)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비틀어 박기식의 개폐밸브(42a)에 의해 개폐되는 통로(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통로(42b)의 일단이 압력탱크(20)내에 개방되며, 타단이 배기호스(43)을 통하여 저장탱크(36)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밸부(42a)는 후퇴(제 3 도 우측으로의 이동)및 전진하는 것으로 통로(42b)를 개폐할 수 있으며, 제2주수구(38)로 부터의 주수시에는 후퇴하여 통로(42b)를 개방하며, 주수가 완료된 시점에서 전진하여 통로(42b)를 닫도록 조작된다.
또한, 이 개폐밸브(42a)는 실외유니트케이스(12)의 개구부(40)을 통하여 외부로 부터 조작할 있다.
개폐밸브(42a)가 통로(42b)를 개방한 상태에서 비가압주수를 행한 경우, 온수배관(18)내의 공기는 펌프(19)에 의해 압송되는 부동액의 흐름에 따라 압력탱크(20)에 유도된 후, 배기호스(43)을 통하여 저장탱크(36)에 유입한다.
이때, 저장탱크(36)으로 부터 넘쳐흐른 부동액을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받아서 소정시간의 경과에 의해 주수의 완료를 판단한다. 용기에 받아진 부동액을 재이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필요도 없다.
이와같이, 배기밸브(42)를 설치함에 의해 제2주수구(38)로 부터의 비가압주수를 행한 경우에, 펌프(19)의 작용에 의해 압력탱크(20)에 압송된 공기가 그대로 대기에 방출되기 때문에 온수의 순환경로내에 공기가 막히는 일이 없고, 그 결과 단시간에 주수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기수단으로서 배기밸브(42)를 설치하였지만, 압력탱크(20)의 캡(20a)를 떼어내 호스(35)를 개구하고 그 호스(35)를 통하여 배기하도록하여도 좋다. 또한, 이경우 캡(20a)를 떼어낸 압력탱크(20)의 개구부를 호스(35)를 개구한 상태로 막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온수난방장치(3)을 냉방장치(2)와 조합시켜 공기조화장치(1)에 적용하였지만 온수난방장치(3)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할것도 없다.
또한, 실외유니케이스(12)의 높이를 낮게하기 위하여 연소장치(17)을 구성하는 난방용실외열교환기(24), 연소실(22), 및 송풍기(23)을 횡방향으로 배열하였지만 일반적인 종방향(수직방향)으로 배열하여도 좋다.

Claims (1)

  1. (a)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b)상기 가열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c)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환상으로 접속하는 온수배관과, (d)상기 온수 배관내의 온수를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실내열교환기와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펌프와, (e)상기 펌프의 상류에 설치되어 온수의 순환경로 내에서의 압력이 상승한때, 그 압력을 줄여 상기 순환경로내의 압력을 소정치이하로 유지하는 압력탱크와, (f)상기 펌프와 상기 압력탱크의 사이에서 상기 수배관내에 주수를 행하기 위해 설치된 주수구와, (g)상기 압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수구로 부터의 주수기에 상기 순환경로내의 공기를 뽑기 위하여 상기 압력탱크를 대기로 연통시킨 대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장치.
KR1019910013187A 1990-09-06 1991-07-31 온수난방장치 KR940009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7827 1990-09-06
JP2237827A JPH04116321A (ja) 1990-09-06 1990-09-06 温水暖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694A KR920006694A (ko) 1992-04-28
KR940009692B1 true KR940009692B1 (ko) 1994-10-15

Family

ID=1702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187A KR940009692B1 (ko) 1990-09-06 1991-07-31 온수난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16321A (ko)
KR (1) KR940009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530B1 (ko) * 2008-03-17 2013-02-14 가부시키가이샤 데스쿠 실내 난방 방열기용의 전기히터 유닛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3017B2 (ja) * 1992-04-23 1998-06-11 東京瓦斯株式会社 温水循環式暖房システムにおける注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106Y2 (ko) * 1978-08-21 1982-01-3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530B1 (ko) * 2008-03-17 2013-02-14 가부시키가이샤 데스쿠 실내 난방 방열기용의 전기히터 유닛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694A (ko) 1992-04-28
JPH04116321A (ja) 199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0216A (en) Combination air conditioner and pool heater
JPH0271051A (ja) 温水製造用の一貫装置
KR940009692B1 (ko) 온수난방장치
KR101818743B1 (ko) 에너지 절약형 온수생산 시스템이 구비된 항온항습기
US4067383A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a multiple coil installation
KR950000606Y1 (ko) 온수난방장치
KR940004951Y1 (ko) 연소장치
KR950000346Y1 (ko) 연소장치
JPH05141687A (ja) 空気調和装置
KR930005221Y1 (ko) 온수난방장치
KR20100034112A (ko) 온실용 냉난방기
KR950010369Y1 (ko) 냉난방장치
JP3963734B2 (ja) 空気調和装置
JPH03134414A (ja) 温水暖房装置
JPH03134423A (ja) 燃焼装置
JPS5855643A (ja) 給湯装置
KR880003580Y1 (ko) 온수기 겸용 공기 조화기
JPS643965Y2 (ko)
KR960012374B1 (ko) 스터어링 엔진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JPS624840Y2 (ko)
KR100270199B1 (ko) 온수보일러의 온수압 자동조절장치
JPS6337599Y2 (ko)
SU1751371A1 (ru)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JP2589101B2 (ja) 燃焼機
JPS5919258Y2 (ja) 冷房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