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221Y1 - 온수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221Y1
KR930005221Y1 KR2019930003909U KR930003909U KR930005221Y1 KR 930005221 Y1 KR930005221 Y1 KR 930005221Y1 KR 2019930003909 U KR2019930003909 U KR 2019930003909U KR 930003909 U KR930003909 U KR 930003909U KR 930005221 Y1 KR930005221 Y1 KR 930005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ump
heat exchang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나리 모리타
미쓰히로 다께다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700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2811B2/ja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30003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83Filling valves or arrangements for 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난방장치
제1도는 온수가열식 공기조화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온수난방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온수난방장치 12 : 실외 유니트 케이스
14 : 실내열교환기 16 : 제어회로
17 : 연소장치 18 : 온수배관
19 : 온수순환펌프 20 : 압력탱크
36 : 제1주입구 37 : 제2주입구
본 고안은 온수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를 난방하는 온수난방장치는 이미 여러가지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온수난방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로 부터 공급된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 교환기를 구비하고, 연소장치에 포함된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를 펌프가 설치된 온수 순환 배관에 의하여 환상(環狀)으로 접속되어 있다.
연소장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열교환기등으로 구성되어, 버너의 연소에 의하여 공급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와 물을 열교환시켜 물을 가열한다. 실외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온수는 펌프에 의하여 실내 열교환기로 공급되어, 실내 열교환기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후실의 열교환기로 복귀되어 연소기에 의해 제 가열된다.
온수배관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설치됨과 동시에 온수의 온도상승에 따라 상승되는 온수 배관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압력뱅크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온수난방장치에서는 온수 배관내로 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외부의 가압 주입용 펌프가 사용되며, 펌프가 없는 경우에는 연소장치와 더불어 케이싱내에 수용되며 온수배관에 연결된 압력탱크 내로 사용자가 직접 물을 주입하였다.
이와같이, 압력탱크내로 직접 물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케이싱을 개방(예를들면 관리용으로 설치된 뚜껑등을 개방한다)해야만 하여, 가압주입용의 펌프가 없는 경우에 온수배관내로 물의 주입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온수 배관내로 물이 주입됨에 따라, 온수배관내에서 온수의 효율적인 순환을 위하여 압력탱크로 부터 온수배관내의 공기 드레인이 행해지지만, 온수 배관의 굴곡부와 열교환기의 접속부 등에 공기가 잔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 드레인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가압 주입용 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물을 압력탱크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으며, 물 주입시에 온수배관내의 공기 드레인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온수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온수난방장치는 순화로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실내 열교환기 사이를 환상으로 접속한 순환로와, 순황로내의 온수를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온수순환펌프와, 상기 가열수단 및 펌프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외부의 가압 펌프를 사용할 때, 상기 순환로 내로 물을 가압주입하기 위한 제1주입구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부터의 가압없이 상기 순환로에 연결된 압력탱크내로 사용자가 직접 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2주입구와, 상기 제1주입구로 부터 물을 가압 주입하는 경우 상기 온수순환펌프를 일정시간 동안 간헐구동시킨 후 연속구동시키며, 제2주입구로 부터 물을 주입하는 경우 주입종료 때까지 상기 온수순환 펌프를 간헐구동시키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외부펌프에 의한 가압주입용의 제1주입구와는 별도로, 케이싱의 외부로 부터 사용자가 직접 순환로내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제2주입구가 설치된다.
따라서, 가압주입하기 위한 주입용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주전자등을 사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2주입구로 부터 순환로내에 물을 주입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압주입용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케이싱을 개방하지 않고 케이싱의 외부로 부터 용이하게 물을 주입할수 있으며, 또한 주입구들로 부터 물을 주입할때 제어회로를 통하여 온수순환펌프를 간헐구동시켜 순환로내에 주입된 물의 흐름을 불규칙(연속적이지 않음)하게 되어 공기가 온수에 의하여 밀려지게되고 온수에 의해 밀려진 공기는 배출구로 배출된다. 따라서, 순환로내의 특정 장소에 공기가 잔류되지 않아, 공기드레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온수난방장치를 응용한 온수가열식 공기 조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온수가열식 공기조화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온수가열식 공기조화장치(1)는 냉매의 순환에 의하여 실내냉방을 행하는 냉방장치(2)와 온수의 순환에 의하여 실내 난방을 행하는 온수난방장치(3)로 구성된다.
냉방장치(2)는 냉매압축기(4), 냉매응축기(5), 모세관(6), 냉매증발기(7) 및 어큐뮬레이터(8)로 이루어진 공지된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구성되고,상기 각 기능부품이 각각 냉매배관(9)에 의하여 환상으로 접속된다.
냉매압축기(4), 냉매응축기(5), 모세관(6) 및 어큐뮬레이터(8)는 냉매응축기(5)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용 팬(10)과 함께 칸막이 판(11)에 의해 상, 하 2개의 구획으로 구획된 실외 유니트 케이스(12, 본 고안의 케이싱)의 하단측에 수용된다.
또한, 냉매증발기(7)는 공조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실내팬(13) 및 후술되는 난방용 실내 열교환기(14)와 함께 실내 유니트 케이스(15)에 수용된다.
또한, 냉매압축기(14), 송풍용팬(10) 및 실내팬(13)은 실외 유니트 케이스(12)에 설치된 제어회로(16, 제2도 참조)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본 고안의 온수난방장치(3)는 가열수단인 연소장치(17)와, 온수배관(18)을 통하여 연소장치(17)로 부터 공급된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난방용 실내 열교환기(14)와, 연소장치(17)와 난방용 실내 열교환기(14) 사이에서 온수를 순환시키는 온수순환펌프(19)를 포함한다.
온수배관(18)에는 온수배관(18)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 그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압력탱크(20)가 설치되며, 압력탱크(20)는 오버 플로우 파이프(21, over flow pipe)를 통하여 저장탱크(22)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온수순환로는 온수배관(18)과 압력탱크(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소장치(17), 펌프(19), 압력탱크(20) 및 저장탱크(22)들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유니트 케이스(!2)에 수용된다.
연소장치(17)는 연료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23)를 구비한 연소실(24), 버너(23)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25), 버너(23)에서 연료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연소가스)와 물을 열교환시키는 난방용 실외 열교환기(26)를 포함하며, 난방용 실외 열교환기(26)는 온수배관(18)을 통하여 난방용 실내 열교환기(14)와 소통한다.
난방용 실외 열교환기(26)는 온수배관(18)에 접속된 수관(26a)과, 수관(26a)의 외부 주변에 형성된 다수의 열교환용 핀(26b)으로 구성되고 , 사각형상의 통체(27)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통체(27)는 한쪽 단부(제2도의 우측)가 연소실(24)과 연결 소통되도록 설치되고, 통체(27)의 다른족 단부에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통(28a)이 형성된 배기뚜껑(28)이 부착된다.
버너(23)를 구비한 연소실(24)은 연소기케이스(29)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소기케이스(29)의 한쪽단부(제2도의 좌측)는 상기 통체(27)와 접속되며, 연소기케이스(29)의 다른쪽 단부는 송풍기(25)의 토출구(25a)와 접속된다. 또한, 연소기케이스(29)에는 버너(23)의 점화장치인 스파커(30)와 화염검지수단인 프레임 로드(31)가 버너(23)의 화염구 근방에 위치되어 부착된다.
버너(23)에는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관(32)이 접속되어 있으며, 가스관(32)에는 통전시에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원(元)전자밸브(33), 주(主)전자밸브(34), 그리고 공급압력을 제어하여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거버너 비례밸브(35)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25), 스피커(30), 원 전자밸브(33), 주 전자밸브(34) 및 거버너 비례밸브(35)는 각각 제어회로(16)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연소장치(17)는 실외 유니트 케이스(12)의 전체높이를 낮게 하기 위하여 난방용 실외열교환기(26)가 수용되는 통체(27), 연소실 (24)를 형성하는 연소기케이스(29) 및 송풍기(25)들이 순차적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실의 유니트 케이스(12)내에서 횡으로 설치된다. 또한 비교적 큰 외형을 가지는 온수순환펌프(19)가 실외 유니트케이스(12)의 하단측에 설치된다. 또한, 실외 유니트케이스(12)의 길이방향은 냉동장치(2)의 배치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연소장치(17)의 난방용 실외 열교환기(26), 연소실(24) 및 송풍기(25)들을 횡으로 배열하여도 실외 유니트 케이스(12)의 길이가 커지는 일은 없다.
도시되지 않은 외부펌프에 의하여 온수배관(18)내로 물을 가압 주입하기 위한 제1주입구(36)가 온수배관(18)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펌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온수배관(18)내로 물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주입구(36)와는 별도로 물을 온수배관(18)에 연결된 압력탱크(20)내에 직접 주입할 수 있는 제2주입구(37)가 실외 유니트 케이스(12)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온수순환펌프(19)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16)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유니트 케이스(12)의 내부상부면에 설치되며, 또한, 실외 유니트 케이스(12)의 내부에는 급기구(38)와 다른 급기루(39) 사이로 부터 연소기케이스(29)와 제어회로(16) 사이를 통하여 송풍기(25)까지 연장하여 배치된 차폐판(40)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폐판(40)은 송풍기(25)의 작동에 의하여 급기구(38)로 부터 흡입된 연소용공기를 제어회로(16)쪽으로 유도하며, 따라서, 제어회로(16)는 급기구(38)로 부터 차폐판(40)을 따라 흡입된 연소용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송풍기(25)의 작동이 정지된 때에는 차폐판(40)이 연소실(24)측과 제어회로(16)측을 구획하여 설치됨으로써, 고온인 연소실(24)로 부터 연소실(24)측에 비하여 저온인 제어회로(16)로 이동하는 공기흐름이 차단된다. 따라서, 연소실(24)측으로 부터 제어회로(16)측으로의 열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기때문에 연소실(24)측의 남은 열에 의한 제어회로(16)의 영향을 작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해, 제1주입구(36)를 통해 외부펌프를 사용하여 물을 가압주입하는 경우, 물 주입시 온수배관(18)에 설치된 온수순환펌프(19)는 제어회로(16)에 의하여 간헐구동(예를들면 6초 동작 4초 정지를 반복)하고, 일정시간 또는 소정량의 물이 주입된 후 연속 구동한다.
또한, 주전자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제2주입구(37)로 부터 물을 압력탱크 내로 직접 주입하는 경우에는, 물의 주입이 종료할때까지 제어회로(16)에 의해 온수순환펌프(19)는 간헐 구동하면서 주입된 물을 순환시킨다.
이와같이 온수순환펌프(19)를 간헐구동 시키는 것에 의하여, 온수배관(18)내에 주입된 물의 흐름이 불규칙(연속적이지 못함)하게 되기 때문에, 온수가 온수배관(18)내에서 흐를때 온수배관(18)내에 있는 공기의 드레인을 효과적으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수난방장치는 외부의 펌프에 의한 가압주입용의 제1주입구와는 별도로 압력탱크내로 물을 직접 주입할 수 있는 제2주입구가 실외 유니트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물을 가압주입하기 위한 펌프가 없는 경우에도 케이싱의 개폐에 상관없이 주전자등을 사용하여 물을 제2주입구로 부터 압력탱크 내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주입함에 따라 온수순환펌프가 제어회로에 의해 간헐 구동되어 온수배관내에 주입된 물의 흐름이 불규칙(연속적이 아님)적으로 되어, 온수배관내의 특정장소 굴정덕등 또는 접속부와 같은 온수배관내의 특정지점에 잔류하는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물의 주입에 따른 공기드레인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어, 물의 주입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외 유니트 케이스의 전체높이를 낮게하기 위하여 연소장치를 구성하는 난방용 실외 열교환기, 연소실 및 송풍기들을 수평으로 배치하였지만, 일반적인 수직배치 또한 가능한것을 자명한 일이다.

Claims (1)

  1.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으로 부터 가열되어 공급된 온수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실내 열교환기 사이를 환상으로 접속한 순환료와, 상기 순환로내의 온수를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는 순환시키는 온수순환펌프와, 상기 가열수단 및 온수순환펌프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외부의 가압 펌프를 사용할 때, 상기 순환로 내로 물을 가압주입하기 위한 제1주입구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부터의 가압없이 상기 순환로에 연결된 압력탱크내로 사용자가 직접 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2주입구와, 상기 제1주입구로 부터 물을 가압 주입하는 경우 상기 온수순환펌프를 일정시간 동안 간헐구동시킨후 연속구동시키며, 제2주입구로 부터 물을 주입하는 경우 주입종료 때까지 상기 온수순환펌프로 간헐구동시키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수난방장치.
KR2019930003909U 1989-10-17 1993-03-17 온수난방장치 KR930005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909U KR930005221Y1 (ko) 1989-10-17 1993-03-17 온수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0003 1989-10-17
JP1270003A JP2512811B2 (ja) 1989-10-17 1989-10-17 温水暖房装置
KR1019900013257A KR910008341A (ko) 1989-10-17 1990-08-28 온수난방장치
KR2019930003909U KR930005221Y1 (ko) 1989-10-17 1993-03-17 온수난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257A Division KR910008341A (ko) 1989-10-17 1990-08-28 온수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221Y1 true KR930005221Y1 (ko) 1993-08-09

Family

ID=2733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909U KR930005221Y1 (ko) 1989-10-17 1993-03-17 온수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2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1078A (en) Hydronic heating and cooling system
JPS6470636A (en) Air-conditioning machine
KR930005221Y1 (ko) 온수난방장치
CN103062955B (zh) 带除垢功能的热回收空调热水器
US4959971A (en) Refrigerant piping system for refrigeration equipment
CN203163337U (zh) 带除垢功能的热回收空调热水器
KR940004951Y1 (ko) 연소장치
KR950000346Y1 (ko) 연소장치
KR940009692B1 (ko) 온수난방장치
JPS57164243A (en) Engine driven type heat pump
KR950001470B1 (ko) 가정용 냉난방 장치
KR100232103B1 (ko) 쇼케이스
US42010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energy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JP2512811B2 (ja) 温水暖房装置
JPS5575150A (en)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JPS6210530A (ja) 温室空調用ヒ−トポンプ
US4588124A (en) Heat-exchanging system for an enclosed space
JPH03134423A (ja) 燃焼装置
US2626107A (en) Hot water heating system
JPH05141687A (ja) 空気調和装置
KR100255296B1 (ko) 실외기가 필요없는 자체 냉각식 에어콘
KR950000606Y1 (ko) 온수난방장치
JPS57164239A (en) Air conditioner
KR880003580Y1 (ko) 온수기 겸용 공기 조화기
KR0136204Y1 (ko) 흡수식 냉난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