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530B1 - 실내 난방 방열기용의 전기히터 유닛박스 - Google Patents

실내 난방 방열기용의 전기히터 유닛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530B1
KR101233530B1 KR1020107020990A KR20107020990A KR101233530B1 KR 101233530 B1 KR101233530 B1 KR 101233530B1 KR 1020107020990 A KR1020107020990 A KR 1020107020990A KR 20107020990 A KR20107020990 A KR 20107020990A KR 101233530 B1 KR101233530 B1 KR 101233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x
electric heater
heater unit
hot wa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946A (ko
Inventor
다카미쓰 사쿠라바
도모아키 이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스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스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스쿠
Publication of KR2010013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2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04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a closed circuit for a heat transfer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0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expansion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온수 순환 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방열기에 접속하는 순환시스템부를, 컴팩트하게 히터 유닛박스 내에 수납하고, 반송, 가공 용이하게 하여, 온수 순환 난방 시스템의 설계, 배치의 자유도를 높인다. 양단의 뚜껑(1U,1D)으로 자유롭게 개폐 자유롭게 한 각통형상의 히터 유닛박스(1)내에 공기분리 압력탱크(2), 순환펌프(3), 파이프 히터(4)를, 볼밸브(6A,6B,6C), T-조인트(7,7A)를 통하여 파이프로 배치 접속하고, 온수 순환 기능을 수납하고, 상기 히터유닛박스(1)를 온수 순환 방열기(HR)에, 근접하여, 세워 설치, 또는 가로 설치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실내 난방 방열기용의 전기히터 유닛박스{ELECTRIC HEATER UNIT BOX FOR INDOOR HEATING RADIATOR}
본 발명은, 실내 난방용의 온수 순환 방열기에 접속하여 이용하기 위한, 유닛박스에 기기류를 수납한 전기히터 유닛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실내 난방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종래부터, 실내용 온수 난방 시스템으로서는, 각종의 타입이 제안되고 실용화되어 있고, 전형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종래예 1, 및 도 7에 도시하는 종래예 2가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종래예 1은, 비특허문헌 1에 열거한 전형적인 실내 온수 난방 시스템으로서, 도 6(A)는 난방 시스템의 개략 설명도, 도 6(B)는 방열부 정면도, 도 6(C)는 방열부의 측면도이다.
즉, 종래예 1(도 6)은, 압력계(103), 안전방출밸브, 급수구(101), 배수구(102)를 구비한 온수 보일러(100)를, 전기, 가스 등으로 가열하고, 온수 보일러로 가열한 온수를, 배관(P) 및 전진측 헤더(107)를 통하여 각 거실내에 배치한 금속 패널(MP)의 방열기(HR)에 송수(送水)하여 실내 난방하고, 각 방열기(HR)로부터 배관(P) 및 후진측 헤더(108)를 통하여 온수를 보일러(100)에 되돌려 재가열하는 것이고, 1개의 온수 순환 기능부에는, 순환펌프(104), 밀폐팽창탱크(105), 공기배출밸브, 헤더(107,108) 등을 넣고, 각 방열기(HR)에도, 공기배출밸브(Va), 서모 스탯 밸브(Vt), 온수 출입밸브(V)를 배치한 것이고, 중앙에 배치한 1개의 온수순환 시스템으로, 다수의 방열기(HR)에 접속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예 2(도 7)는, 특허문헌 1에서 열거한 전기 온수 난방기(EHR)로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용 동관(201)의 외주면에 다수의 방열핀(202)을 배치하고, 가열용 동관내의 가열실(203)에는, 시즈히터(204)를 가열용 동관의 거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배치하는 동시에, 가열실(203)내에 수용액(205)을 충전하고, 또한 가열실(203)로부터 팽창실용 동관(206)을, 절곡관부(207)를 사이에 두고 연장하고, 선단에 압력 안전밸브(209)를 구비한 팽창실(208)로 하고, 팽창실(208)내에 이너트가스를 주입하고, 난방기 전체를 가열부와 방열부를 일체화한 형태로 소형화하는 동시에, 방열 핀(202)을 단시간 동안에 가열하여, 방열의 초기 상승을 빠르게 한 난방기이다.
한편, 210은 박스이며, 자동 온도조절장치(211), 과열 방지기(212)를 내장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실용공보 평성6-18813호
종래예 1(도 6)의 온수 순환 난방 시스템은, 안전방출밸브, 압력계, 배수용 게이트 밸브, 급수용 게이트 밸브를 구비한 온수 보일러(100)와, 안전방출밸브를 구비한 밀폐 팽창 탱크(105)와, 전진용 및 후진용 헤더와, 온수 순환펌프와, 보일러와 순환펌프 사이에 설치한 공기배출밸브를 구비한 에어 세퍼레이터(110)로 구성하는 하나의 온수순환 시스템으로, 각 실에 배치한 다수의 방열기(HR)군을, 배관 파이프(P)로 접속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 1개소의 보일러실로부터, 복도, 벽, 천정내의 배관으로 각 방열기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의 문제가 있다.
(가). 중앙 집중관리 시스템 방식으로 1개의 온수 순환 난방 시스템부와, 각 분산배치 방열기군을 접속하는 배관(P)은, 건물의 신축시의 벽, 마루밑, 천정내에서의 시공이 되어, 온수순환 시스템으로부터 각 방열기(HR)에의 온수 경로의, 내용(耐用)중의 손상의 복구, 수리는, 마루밑, 벽내, 천정내의 공사가 되기 때문에, 시간으로 경비가 필요하다.
(나). 온수순환 시스템내의 순환펌프 등이 고장나면, 난방 시스템 전체의 난방이 정지한다.
(다). 1개소의 순환 시스템으로부터의 각 실내에 이르기까지의 접속 배관은, 온수 경로중에서 방열하기 때문에, 배관 경로에서의 열손실이 크다.
종래예 2(도 7)의 전기 난방기에 있어서는, 시즈히터(204)내의 수용액을 가열하는 것만으로 온수가 순환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 온도에 부분얼룩이 생겨 방열량이 작다.
그리고, 난방의 방열은 자연 대류(對流)이므로, 방열의 부위에 의한 온도얼룩이 생겨 방열부 전체면으로부터의 고른 난방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방열부와 가열부는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의한 전원의 온, 오프 조작이 빈번하게 되어, 전력 사용량에 대한 발열 효과가 나쁘다.
본원 발명은, 이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한꺼번에 해결, 또는 개선하는 것으로서, 전기 온수순환 시스템을, 방열기와 별개 독립의 전기히터 유닛박스로서, 컴팩트화하고, 반송, 배치 시공을 자유롭게 하여, 건물의 신축시에도, 리폼시에도, 간편하게 대처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히터 유닛박스는, 예를 들면 도 2, 도 3과 같이, 단면 L형의, 길이가 긴 좌측판(1L)과 우측판(1R)을 자유롭게 분리되도록 접합한 길이가 긴 각통부(1K)와, 각통부(1K)의 양단에, 자유롭게 탈착되도록 장착하는 상부 뚜껑(1U) 및 하부 뚜껑(1D)을 포함하고, 단면 L형의 좌측판(1L)이, 일측변(LS1)에는, 상하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전선 삽입용 구멍(H1)을 구비하고, 타측변(LS2)에는, 각 전선 삽입용 구멍(H1)과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유통구멍(H3)을 구비한, 양단의 뚜껑 (1D,1U)으로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한 각통(角筒)형상의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 공기분리 압력탱크(2), 순환펌프(3), 파이프 히터(4)를, 볼밸브(6A,6B,6C), T-조인트 (7,7A)를 통하여, 파이프로 배관 접속하고, 온수 순환 기능을 수납하여, 실내 난방용의 온수 순환 방열기에 접속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경우, 방열기에의 전진관(서플라이관) 및 후진관(리턴관)의 접속구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적소(適所)로부터 돌출시켜 두면 좋다.
또한, 전기히터 유닛박스를 구성하는, 순환펌프(3), 파이프 히터(4), 볼밸브 (6A,6B,6C), T-조인트(T-joints)(7,7A)는, 관용품으로 준비하고,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종래예 1에서의, 팽창 탱크와 에어 세퍼레이터와의 기능을 이루는 신규 탱크를 채용하고, 배관용의 파이프는, 내구성, 내열성, 내용제성이 뛰어난, 관용(慣用)의 에틸렌프로필렌고무제를 이용하면 좋다.
또한, 파이프 히터(4)는, 에너지 절약성이 뛰어난 네츠쇼(熱匠)(주)제의 1kw 발열용의 SC히터(상품명)를 난방능력에 따라서, 복수개 채용하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히터 유닛박스는, 범용 타입의 1kw∼3kw용이면, 소형 (표준: 폭 180mm×깊이 160mm×길이 590mm)의 전기히터 유닛박스(1)가 되기 때문에, 별체의 온수 순환 방열기에, 도 1과 같은 가로타입 또는 세로타입(도시하지 않음)으로 병치(倂置)할 수 있고, 전기히터 유닛박스(1)로부터 방열기에의 배관 접속은, 동일 실내 등, 근접 접속할 수 있어, 접속 배관으로부터의 방열도, 실내 난방에 조력하는 형태로 할 수 있어, 열손실의 실질상 제로(0)의 온수 순환 난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온수 순환 기능부가 컴팩트한 각통형상 박스이기 때문에, 실내에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고, 건물의 신축시인지, 리폼시인지에 관계없이, 전기히터 유닛박스는, 전원단자의 설치 위치이면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종래예 1(도 6)의 온수순환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건물에서도, 본 발명의 전기히터 유닛박스는, 리폼시에, 마루밑, 벽내, 천정내의 구배관은 방치한 채로 하고, 각 방열기에 1:1 대응, 혹은, 근접의 2대의 방열기 사이에 1:2 대응으로 배치하면, 방열부와 온수 가열 순환부가 별개의, 시공성, 및 메인터넌스성이 뛰어난 실내 온수 난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예를 들면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L형의, 길이가 긴 좌측판(1L)과 우측판(1R)을 자유롭게 분리되도록 접합한 길이가 긴 각통부(1K)와, 각통부(1K)의 양단에, 자유롭게 탈착되도록 장착하는 상부 뚜껑(1U) 및 하부 뚜껑(1D)을 포함하고, 단면 L형의 좌측판 (1L)이, 일측변(LS1)에는, 상하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전선 삽입용 구멍(H1)을 구비하고, 타측변(LS2)에는, 각 전선 삽입용 구멍(H1)과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유통구멍(H3)을 구비한 점도 필수요건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좌측판(1L)은, 내면에 기기 등의 지지재를 설치하는 것이고, 우측판(1R)은, 각통부(1K)의 뚜껑의 역할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전선 삽입용 구멍(H1)은, 벽면(WL) 또는 마루면(FL)에 미리 매설한 전기배관 박스(도시하지 않음)와, 전기히터 유닛박스내에 수납하는 온도조정 유닛(도시하지 않음)과의 결선(結線)을 적절한 위치에서 실시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남의 손이 들어가는 크기이며, 전형적으로는, 폭 60mm, 높이 40mm의 타원구멍이며, 100mm간격으로 5개소에 배치한 것이다.
또한, 공기유통구멍(H3)은,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의 열을 외부에 방산하는 것으로서, 전기히터 유닛박스(1)에 공기 관류로를 형성하는 것이고, 전형적으로는, 폭 20mm, 높이 40mm의 타원구멍이다.
한편, 전기히터 유닛박스(1)를, 세워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상부 뚜껑(1U)에 조작 패널(9B)을 배치하고, 횡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각통부(1K)의 뚜껑 기능을 이루는 우측판(1R)에 조작 패널(9B)을 배치하면 좋다.
따라서, 상부 뚜껑(1U) 및 하부 뚜껑(1D)을 떼어 벗기는 것에 의해서, 각통부(1K)는 단면 L형의 좌측판(1L)과 우측판(1R)으로 분해할 수 있고, 좌측판(1L)에만 수납 기기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통부(1K)의 뚜껑 부재로서의 우측판(1R)을 벗기는 것에 의해,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의 메인터넌스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각 실내에의 배치도, 전선 삽입용 구멍(H1)을, 직렬 형태로 다단으로 배치했기 때문에, 외부의 전기배관 박스와의 접속 위치선정이 가능해져,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형태에서의 배치가 가능하다.
게다가,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도, 전선 삽입용 구멍(H1) 및 공기유통구멍(H3)을 통하여, 외부의 실내 공기의 관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서 가열 방산하는 열은 실내 난방에 조력하여, 열손실이 실질상 생기지 않는 실내 난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L형의 좌측판 (1L)이, 양단에 코너변(1A)을 굴곡 연장하는 동시에, 코너변(1A)의 단부를 단면 L형의 앵커편(1C)으로 하고, 단면 L형의 우측판(1R)의 양단에는, 좌측판(1L)의 앵커편(1C)에 접촉시키는 접촉 앵커편(1F)을 배치하고, 단면 L형의, 좌측판(1L) 및 우측판(1R)의 상하단 적소에 나사구멍(H2)을 배치하고, 상부 뚜껑(1U) 및 하부 뚜껑 (1D)의 나사구멍(H2)과, 좌측판(1L) 및 우측판(1R)의 나사구멍(H2)을 나사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측판(1L) 및 우측판(1R)은, 전형적으로는, 1.2mm 두께의 강판이고, 좌측판(1L)의 내면에는, 그 자체 관용의 지지 부재를 사이에 두고, 볼밸브, T-조인트, 공기분리 압력탱크 등의 각 필요 기기를 설치하기 때문에,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판(1L)의 각 변(LS1,LS2), 및 코너변(1A)에는, 보강용의 리브돌기 (1G)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상부 뚜껑(1U) 및 하부 뚜껑(1D)과 좌측판(1L) 및 우측판(1R)과의 끼워맞춤, 나사결합에 의해서, 간편하게 조립 분리가 가능해져, 수납 기기류는 좌측판(1L)에만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점검, 수리, 교체 등의 메인터넌스도 용이하다.
그리고, 앵커편(1C)과 접촉 앵커편(1F)의 존재에 의해, 메인터넌스시에 떼어 벗기는 우측판(1R)의 좌측판(1L)에의 부착 작업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앵커편(1C) 및 접촉 앵커편(1F)은, 박스(1)의 보강리브 기능도 이룬다.
또한,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 배치하는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변(2D), 전변(2F), 후변(2B), 상변(2T) 및 양 측변(2L,2R)을 포함하고, 한편 상변(2T)이, 전측 경사변(Sf)에서 전변(2F)과, 후측 경사변(Sb)에서 후변(2B)과 연속하는 상자 형상으로서, 전변(2F)의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접속구 (J1)를, 후변(2B)의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접속구(J2)를, 상변(2T)의 후부에는 접속구(J3)를 구비하고, 양 측변(2L,2R) 사이에 걸쳐서, 후방으로 경사 상승하는 2매의 날개판(2A,2A')을, 전측 날개판(2A)이, 하방이고, 또한 전변의 접속구(J1)의 후방 대응 위치에, 후측 날개판(2A')이, 상방이고, 또한 상변 접속구(J3)의 하방 대응 위치에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공기분리 압력탱크(2)의 용량은, 순환 난방 시스템내에 밀폐한 수량의 상온(표준: 15℃)시, 및 온수(표준: 80℃)시의 팽창시 수량, 및 팽창시 수량에 수반하는 탱크(2)내의 공기압력으로부터 산출 결정하고, 각 접속구(J1,J2,J3)의 위치는, 상온시라도,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가로 사용시에는, 접속구(J1) 및 접속구 (J2)가 수위면하가 되도록,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세로 사용시에는, 접속구(J3) 및 접속구(J2)가 수위면하가 되도록 결정하면 좋다.
또한, 하방 날개판(2A)과 상방 날개판(2A')은, 모두 공기 분리를 조장하기 위한 제어 난류를 발생하는 것이고, 경사각 30°로 하면, 탱크의 세로 사용에서도 가로 사용에서도, 자연발생 와류를 억제하여, 분류 작용에 의해서 공기 분리를 촉진하는 제어 난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일으킨다.
그리고,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소형화, 플라스틱 수지제이고, 공기배출밸브, 안전방출밸브를 불필요로 하는 명제하에, 순환 시스템내의 고압시의 폭발 발생 강도의 약 3배의 강도(안전률)로 하고, 전형적으로는, 0.6mm 두께의 플라스틱 수지제로서, 방열기 1kw에 관해서는, 세로 사용형태에서는, 상온시에, 수량 0.19L(리터), 시스템내 압력 0.01Mpa, 80℃시에, 수량 0.26L, 시스템내 압력 0.04Mpa가 되고, 가로사용에서는, 상온시에, 수량 0.28L, 시스템내 압력 0.01Mpa, 80℃시에, 수량 0.34L, 시스템내 압력 0.04Mpa가 되는 것이다.
한편,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반투명 플라스틱제로 해두면,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가능해져, 순환 난방 시스템내에의 물의 충전시의 탱크내에의 입수상황을 눈으로 볼 수 있어, 순환 난방 시스템의 준비, 메인터넌스에 형편상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세로 사용시에도, 가로 사용시에도, 2매의 날개판(2A,2A')이 탱크(2)내에의 유입 온수류를, 공기 분리에 유효한 제어 난류로서, 탱크내에의 유속의 급격 저하와 더불어, 수중의 공기거품을 적합하게 상승분리하고, 순환 시스템내에서의 발생 공기를, 공기분리 압력탱크(2)내에 안전하게 확보하기 때문에, 순환 시스템내에 있어서, 종래예 1(도 6)에서의 안전방출밸브, 공기배출밸브의 배치가 불필요한 공기분리 압력탱크를 제공하고, 종래예 1(도 6)의 방열기를 제외한 전순환 시스템의, 1개의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의 수납,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세로 사용 또는 가로사용의 범용화, 및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통형상의 전기히터 유닛박스(1)를 세로 배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전변(2F)을 상측, 후변(2B)을 하측으로 하여 배치하고, 상변(2T)의 접속구(J3)를 파이프 히터(4)와 배관 접속하고, 후변(2B)의 접속구(J2)에 전진관(S)을 접속하고, 전변(2F)의 접속구(J1)를 캡(2C)으로 폐지 (閉止)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순환펌프(3)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의 바닥판이 되는 하부 뚜껑 (1D)상에, 가대(架臺)(11)를 얹어놓고 고정하면 좋다.
또한, 접속구(J3)와 파이프 히터(4) 사이, 접속구(J2)와 전진관(S)간의 경로 접속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파이프로 접속하면 좋다.
따라서,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순환수가, 상온시에는 wL1의 수위에, 80℃에서는 wL2의 수위가 되고, 접속구(J3)로부터의 유입수 Fin이 접속구(J2)로부터의 유출수 Fout이 되어, 탱크(2)내에서는 급속히 유속이 저하하고, 탱크(2)내에서 하방의 날개판(2A)의, 상방으로의 흐름 F1, 하방으로의 흐름 F2, 상방의 날개판(2A)의, 상방으로의 흐름 F3, 하방으로의 흐름 F4가 되고, 수중의 공기거품은, 캡(2C)으로 폐지된 탱크 상부의 공기역 Za으로 분리 상승하고,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전진관(S)으로부터 방열기(8)내에는 공기를 포함하지 않는 온수를 순환 급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도 5(D)와 같이, 세로 배치로 사용해도, 종래예 1(도 6)의, 밀폐 팽창 탱크와 에어 세퍼레이터와의 기능을 발휘하여,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각통형상의 전기히터 유닛박스(1)를 가로 배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공기분리 압력탱크(2)의 상변(2T)을 상측으로 하여 배치하고, 전변(2F)의 접속구(J1)를 파이프 히터(4)와 배관으로 접속하고, 후변(2B)의 접속구(J2)를 전진관(S)과 배관으로 접속하고, 상변(2T)의 접속구(J3)을 캡(2C)으로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순환펌프(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의 바닥판과 좌측판(1L)의 일측변(LS1)상에, 가대(11)를 사이에 두고 얹어놓고 고정하면 좋다.
또한, 접속구(J1)와 파이프 히터(4), 및 접속구(J2)와 전진관(S)과의 접속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관으로 접속하면 좋다.
그리고, 상변(2T)의 접속구(J3)를 캡(2C)으로 공밀(空密) 폐지하기 때문에, 탱크(2)의 접속구(J3)의 하방역은 공기역 Za가 된다.
따라서,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도 5(C)와 같이, 순환수가 상온(15℃)시에는, wL1의 수위에, 80℃에서는 wL2의 수위가 되고, 파이프 히터(4)로부터의 순환 유입수 Fin이 접속구(J1)로부터 탱크(2)내에 유입하여, 유속이 급속히 저하한 유입수는, 전측 날개판(2A)에서 상측 흐름 F1 및 하측 흐름 F2로 분류되어 유수중의 공기거품은 분리 상승하고, 후측 날개판(2A')에서도, 상측 흐름 F3과 하측 흐름 F4에 분류되어, 유수로부터 발생하는 공기거품을 탱크 상부의 공기역 Za로 분리 상승시키면서, 순환 유출수 Fout이 되어 후변의 접속구(J2)로부터 전진관(S)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변(2T)의 접속구(J3)는 캡(2C)으로 폐지하고, 탱크(2)의 상부의 공기역 Za는 순환수의 가열 팽창 최대압력이 폭발 임계치 이하(표준: 1/3 폭발 압력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도 5(C)와 같이, 가로 배치로 사용해도, 종래예 1(도 6)의, 밀폐 팽창 탱크와 에어 세퍼레이터와의 기능을 발휘하여,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판 (1R)의 중앙 코너부를 경사변(1R')에 형성하고, 좌측판(1L)의 일측변(LS1)에서는 전선 삽입용 구멍(H1)열의 양측에 보강리브(1G)를 돌출설치 배치하고,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의 수납 기기류를 좌측판(1L)의 일측변(LS1)의 내면을 사이에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순환펌프(3), 공기분리 압력탱크(2), 파이프 히터(4) 등의 기기는, 관용의 하트형 강을 좌측판의 일측변(LS1)의 적소에 고정하고, 상기 하트형 강으로부터 앵글 강재 등의 지지재를 꺼내어 고정하고, 각종 기기류를 지지재에 설치하면 좋다.
또한, 보강리브(1G)는, 좌측판(1L)을 강판으로 부형(賦型)가공할 때에, 외면에 돌출 형태로 배치하면 좋다.
따라서,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벽면(WL) 또는 마루면(FL)의 전원박스(도시하지 않음)의 존재 부위에, 전선 삽입용 구멍(H1)을 구비한 좌측판의 일측변(LS1)을 접촉 형태로 배치하게 되지만, 보강리브(1G)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와 부착면(벽면(WL) 또는 마루면(FL))과의 평평하지 않은 상태를 흡수하는 동시에, 기기 부착면 (LS1)을 보강한다.
그리고, 각종 기기는, 보강된 좌측판의 일측변(LS1)으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부착면의 전원 박스로부터 전선 삽입용 구멍(H1)을 통한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의 전선의 배선도 혼선을 일으키지 않고 단경로에서의 결선(結線)이 된다.
게다가, 좌측판(1L)의 일측변(LS1)의 대향면은, 개폐 뚜껑으로서만 기능하는 우측판(1R)으로서, 우측판(1R)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의 코너부가 곡면(1R')이기 때문에, 뚜껑으로서의 곡면(1R')에는 조작 패널(9B)의 배치를 할 수 있는 동시에, 의장 효과도 발휘하여,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반송, 부착 시공이 용이하고, 디자인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전기히터 유닛박스는, 온수 순환 난방 시스템의 가열 순환 기능부를 각통형상의 박스내에 컴팩트하게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온수 순환 방열기(HR)의, 1대에 1대 대응, 또는 2대에 1대 대응 등, 방열기(HR)에, 세로 형태 또는 가로 형태로 근접 배치할 수 있어, 건물내의 필요 개소마다에의, 별개 독립의 난방 시스템의 배치가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건물의 신축시인지, 리폼시인지를 불문하고, 온수 난방 시스템의 배치 시공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가열부(파이프 히터)를 내장하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방열기(HR)와 거실내에서 인접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부로부터 방열기에의 온수 순환의 접속경로에서의 열의 방출 손실은 적고, 방열기(HR)에의 접속경로 및 전기히터 유닛박스 (1)내에서 방산되는 열은 실내 난방열이 되기 때문에, 온수 순환 난방 타입이면서, 실질상, 열손실 0(제로)의 실내 난방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히터 유닛박스를 방열기의 하부에 가로 배치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기히터 유닛박스의 케이스 분해 사시도로서, (A)는 좌측판(1L)을, (B)는 우측판(1R)을, (C)는 상부 뚜껑을, (D)는 하부 뚜껑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E)는 (C) 도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전기히터 유닛박스의 설명도로서, (A)는 케이스의 조립 상태 사시도, B는 (A)도면의 B-B선단면도, (C)는 (A)도면의 C부 단면 확대도, (D)는 (B)도면의 D부 확대도, (E)는 (B)도면의 E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전기히터 유닛박스의 설명도로서, (A)는 물의 흐름 계통도, (B)는 횡단 평면도, (c)는 종단 정면도, (D)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5는 공기분리 압력탱크의 설명도로서, (A)는, 전체 사시도, (B)는, (A) 도면의 화살표 B에서 보았을 때의 전면도, (C)는, (A) 도면의 C-C선 종단면도, (D)는 세로형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예 1의 설명도로서, (A)는 시스템 계통도, (B)는 사용하는 방열기의 정면도, (C)는 방열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예 2의 전기 온수 난방기의 종단 정면도이다.
[전기히터 유닛박스 케이스(도 2, 도 3)]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전기 온수 순환 난방 시스템의, 히터, 순환펌프 등을 포함한 온수 난방 기능을 수납한 것으로서, 방열기에 인접하고, 세로 배치, 또는 가로 배치 가능하게 한 것이고, 본체의 케이스(박스)(1)과 수납하는 각종 기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2는, 케이스(1)의 분해 사시도로서, (A)는 좌측판(1L)을, (B)는 우측판 (1R)을, (C)는 상부 뚜껑(1U)을, (D)는 하부 뚜껑(1D)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A)는, 케이스에 조립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단면도이다.
전기히터 유닛박스의 케이스는, 1.2mm 두께의 강판을 압압(押壓) 금형으로 가공한, 좌측판(1L), 우측판(1R)을 각통형태로 조합하여, 상부 뚜껑(1U)과 하부 뚜껑(1D)으로 양단을 끼워맞춤하고 고정 부착하는 것으로서, 도 3(A)의 조립형태에서는, 폭 L1이 180mm, 깊이 W1이 160mm, 높이 h1이 590mm의 각통체이다.
좌측판(1L)은,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L형이고, 내면에 각종 기기를 고정 수납하는 판재이며, 높이 h11이 550mm이고, 케이스의 폭 L1 (180mm)이 되는 일측변(LS1)측에는, 상하에, 등간격(100mm 간격)으로, 길이 60mm, 높이 40mm의 가로로 긴 전선 삽입용 구멍(H1)을 5개소 뚫어 설치하고, 케이스의 깊이 W1이 되는 타측변(LS2)에는, 폭 20mm, 높이 40mm의 세로로 긴 공기유통구멍(H3)을, 전선 삽입용 구멍(H1)의 대응 위치에 5개소 뚫어 설치한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변(LS1) 및 타측변(LS2)의 단부로부터 소폭 W11(표준: 35mm)의 코너변(1A)을 굴곡 연장하고, 코너변(1A)의 단부에는, 또한, 단면 L형의 앵커편(1C)을,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쪽으로 소치수 d12(표준 :7mm) 들어가게 하여 연장한다.
이 경우, 앵커편(1C)의 상하단은 소치수 d11(표준: 10mm) 잘라 떨어뜨려 둔다.
그리고, 각 코너변의 상하단, 및 좌측판(1L)의 코너부의 상하단에는, 나사구멍(H2)을 뚫어 설치해 둔다.
또한, 전선 삽입용 구멍(H1)을 배치한 일측변(LS1)은, 수납 기능을 담지하기 때문에, 적소(표준: 각 코너로부터 L11(40mm) 위치의 2개소)에, 상하에 걸친 보강리브(1G)를, 소치수 d15(표준: 6mm)의 반원 외방 돌기의 형태로 형성해 둔다.
우측판(1R)은, 좌측판(1L)과 정합 일체화하여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이고, 좌측판(1L)의 내면에 배치한 각종 기능 기기의 메인터넌스시에, 떼어 벗기는 뚜껑판이고,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L형의 일측변(RS1)과 타측변(RS2)과의 굴곡 코너부를, 폭 L10(표준: 86mm)의 경사변(1R')으로서, 평활면으로 형성하고, 일측변(RS1)의 단부 및 타측변(RS2)의 단부는, 도 2(B),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쪽으로 굴곡하고, 소치수 d12(표준: 7mm) 돌출한 접촉 앵커편(1F)을 형성하고, 일측변(RS1) 및 타측변(RS2)의 단부의 상하에는 나사구멍(H2)을 뚫어 설치해 둔다.
상부 뚜껑(1U)은, 하부 뚜껑(1D)과 대향 동형상물이며, 좌측판(1L)과 우측판 (1R)으로 형성하는 케이스(1)의 각통부의 상단에 걸어맞춤하여 걸어멈춤하는 것으로서,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판(1T)은, 깊이 W1이 160mm, 폭 L1이 180mm이고, 우측판(1R)의 대향부에서는, 절곡부(EP)로부터 길이 W10(표준: 85mm)의 위치로부터, 우측판(1R)의 경사변(1R')에 대향하는 길이 L10(표준: 86mm)의 경사변 (TS)을 구비한, 직사각형의 한 변을 경사변(TS)으로 한 변형 5각형판으로서, 각변은, 천판(1T)으로부터 하방에 직각 절곡형태의, 높이 h10(20mm)의 상승편(1P)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즉, 상부 뚜껑(1U)은, 천판(1T)과 상승편(1P)과의 상자 뚜껑형태이다.
그리고, 상승편(1P)의 튀어나온 모서리부 이외에는, 상승편(1P)의 내면에, 돌출 길이 d10(10mm)의 접촉 걸어멈춤편(1V)을 접촉 고정하고, 각 접촉 걸어멈춤편 (1V)에는, 좌측판(1L) 및 우측판(1R)의 나사구멍(H2)에 대응하는 나사구멍(H2)을 배치해 둔다.
또한, 하부 뚜껑(1D)은, 상부 뚜껑과 면대칭의 동형상물로서, 천판(1T)과 동형의 바닥판(1B)의 주위에, 높이 h10이 20mm의 상승편(1P)을 배치하고, 상승편(1P)의 튀어나온 모서리부 이외에는, 상승편(1P)의 내면에 접촉 걸어멈춤편(1V)을, 높이 d10(10mm) 돌출 형태로 고정하고, 접촉 걸어멈춤편(1V)의, 좌측판(1L) 및 우측판(1R)의 하단의 나사구멍(H2)의 대응 위치에, 나사구멍(H2)을 배치한 것이다.
즉, 케이스의 조립은, 하부 뚜껑(1D) 및 상부 뚜껑(1U)의 각 상승편(1P)의 단가장자리가, 좌측판(1L) 및 우측판(1R)의 상하 단가장자리와 서로 충돌하는 형태로, 각 접촉 걸어멈춤편(1V)이, 좌측판(1L) 및 우측판(1R)의 내면에 접촉하여 나사 고정하면 좋고, 케이스(1)는, 각 상승편(1P)과, 좌측판(1L) 및 우측판(1R)과의 나사 고정수단으로, 해체, 및 조립이 자유롭고, 외면을 형성하는 각 강판이 면일하게 서로 충돌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공기분리 압력탱크(2)(도 5)]
도 5(A)는, 공기분리 압력탱크(2)의 전체 사시도로서, 도 5(B)는, (A)의 화살표 B에서 보았을 때 전면도, 도 5(C)는, (A)의 C-C선 종단면도, 도 5(D)는, 공기분리 압력탱크(2)의 세로 배치상태 설명도이다.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온수 순환경로내에 배치하고, 종래예 1(도 6)의 팽창 탱크, 에어 세퍼레이터, 물기배출 밸브, 및 안전방출밸브를 불필요로 하는 신규 탱크이며, 1∼3kw 난방용 탱크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일반 두께 0.6mm의 반투명 플라스틱 수지 성형품이며, 구조는,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가, 길이(L2) 140mm, 높이(h3) 55mm, 폭(W2)이 50mm의 상자형 형상이며, 상부는, 상변(2T)의 폭(W3)이 38mm, 길이 (L3)가 70mm, 높이(h4)가 30mm의 머리가 잘린 각뿔 형상이고, 대향하는 전변(2F), 후변(2B)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 30mm(d5)에서, 폭 W2의 중앙 위치에, 상변(2T)에는, 폭 W3의 중앙에서, 후변(2B)보다 55mm(L5)의 위치에, 각각, 바깥지름 13mm이고, 두께 0.5mm의 접속구(J1,J2,J3)를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각 접속구(J1,J2,J3)는, 고무 파이프(5A), 또는 고무 캡(2C)의 부착을 확실히 하기 위해, 폭이 1mm이고, 돌출 높이가 0.5mm의 돌기 2G를, 6mm간격으로, 2개소 배치한다.
또한,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2)내에는, 좌측변(2L)과 우측변 (2R) 사이에, 걸치는 형상으로, 전측 날개판(2A)과 후측 날개판(2A')을 배치한다.
전측의 날개판(2A)은, 폭 W5가 35mm, 두께 6mm이고, 후방으로 30°경사 상승하는 형태로, 또한, 전단이, 전변(2F)으로부터 거리(L6)가 25mm이고, 하변(2D)으로부터 높이(h5)가 20mm에 배치하고, 후측 날개판(2A')은, 폭 W6이 30mm, 두께 6mm이고 후방으로 30° 경사 상승하는 형태로, 전단이, 후변(2B)으로부터 거리(L5)가 55mm이고, 하변(2D)으로부터 높이(h6)가 35mm에 배치하고, 탱크(2)내의 용량을 0.5L로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가로 사용시는, 도 5(C)와 같이, 상온(15℃) 물의 상태의 수위 wL1, 물용량 0.28L, 공기량(공간 용적) 0.22L이고, 전변 접속구(J1)로부터 유입수 Fin이 유속 0.885m/s로 유입하고, 전측 날개판(2A) 하측에서, 유속 0.118m/s가 늦은 흐름 F2가 되고, 날개판(2A)의 상측의 흐름 F1은, 하측 흐름 F2보다 더 낮은 유속이 되어, 물과 공기는 분리하고, 공기는 상부 공기역 Za에 이른다.
또한, 전측 날개판(2A)에서 미분리된 공기는, 후측의 날개판(2A')의 하측의 흐름 F4가 0.06m/s로 저속이며, 순환수는, 2매의 날개판(2A,2A')이 F1,F2,F3,F3의 저속류로 분류 교반함으로써, 순환수중의 공기를 완전하게 분리한다.
한편, 고온(80℃)에서 팽창한 순환수의 수위는 wL2에 이르고, 상변의 접속구 (J3)를 고무캡(2C)으로 폐지하여 운전하기 때문에, 공기역 Za는, 허용 압력하의 압력 공기가 된다.
또한, 탱크(2)는, 세로 사용시는,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변(2F)을 상측으로 하여 배치하고, 상변(2T)의 접속구(J3)로부터 유입수 Fin이 유입하여 후변(2B)의 접속구(J2)로부터 유출수 Fout이 되고, 상온시, 즉 운전 개시시의 수위는 wL1로서, 내용량 0.5L의 탱크(2)는, 물용량 0.19L, 공간 용적(공기량) 0.31L이고, 난방 가열 온도 80℃에 이르면, 수위는 wL2에 이른다.
그리고, 0.885m/s의 유입수 Fin은, 탱크(2)내에서 급격하게 유속 저하를 일으켜 후측 날개판(2A')에 닿고, 날개판(2A')에 상승 안내되는 흐름 F1은, 전측 날개판(2A)의 표류(表流) F3, 이류(裏流) F4가 되어, 하강류 F2와 함께, 저유속에서의 교반 분류로 하는 것에 의해서 공기를 분리하고, 분리 공기는, 공기역 Za의 압력 공기(표준: 0.04Mpa 이하)가 된다.
한편, 난방 능력을 3kw로 하고, 또한 시스템내 압력의 저감을 도모하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서, 탱크(2)를 2개 병용하면 좋다.
[순환펌프(3)(도 4)]
순환펌프(3)는, 관용 펌프이고,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서, 히터유닛 박스의 세로 사용시에는 하부 뚜껑(1D)에, 가로 사용시에는 좌측판(1L)의 일측변(LS1)상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관용의 수지제 전자 펌프를 채용한다.
수지제 전자 펌프는, 염가이고 경량으로, 운반 설치 작업성도 좋고, 소음도 38db로 조용하다, 삼상전기(주)제의, 상품번호 PMD-141B{단상(單相) 100V용}, 또는 상품번호 PMD-142BSG(단상 200V용)를 채용하면 좋다.
[파이프 히터(4)(도 4)]
파이프 히터(4)는, 스테인리스 파이프에 절연층, 도전층, 단열 절연층을 용사(溶射) 형성하고, 30w/cm2의 고전력 밀도로, 열효율 95%의 에너지 절약형인,네츠쇼(熱匠)(주)제의 SC히터(상품명)를 채용하면 좋다.
1개가 1kw의 상기 파이프 히터(4)는, 바깥지름이 15.88mm, 길이가 280mm이고 두께 2mm의 파이프 형상으로, 양단의 외주를 샌드 블러스트 처리로 조면(粗面)으로 한 것이고, 또한, 난방능력 3kw로 하는 경우에는, 3개 채용하면 좋다.
그리고, 두께 20mm의 보온재료를 파이프 외주에 피복하면, 발열 효과가 향상한다.
[배관용 파이프]
배관용 파이프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의 물이 흐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구성, 내열성, 내한성, 내용제성이 뛰어나고, 경량이고 가요성이 있는, 관용의, 두께가 3mm이고, 안지름 14mm의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의 고무 파이프를 채용한다.
[볼밸브(6A,6B,6C)(도 4)]
볼밸브(6A,6B,6C)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 배치하는 물의 경로의 개폐밸브로서, 원통부에 지름 3mm의 개폐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에 육각 렌치를 삽입하여 밸브의 개폐를 행하는 것으로, 길이 29.5mm의 파이프 형상이고, 한쪽의 단부에 지름 12mm의 나사부를 구비하는, 바로픽사(덴마크)의 자루호형 볼밸브를 채용한다.
[T-조인트(도 4)]
T-조인트(7,7A)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서의 물의 경로의 접속에 이용하는 것으로, T자형 형상으로, 3방향으로부터 배관을 접속할 수 있는 이음매 금구(金具)이며, 지름 26mm이고, 길이가 4 6mm의, 원통부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이음구가 직교하여 9mm 돌출한, 관용의 T형의 T-조인트(7)를 채용한다.
[전기히터 유닛박스내에의 기기의 조립(도 4)]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의 기기류의 조립은, 조립공장내에서 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횡형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경우는, 좌측판(1L)과 하부 뚜껑(1D)을 나사 삽입용 구멍(H2)을 통하여 나사 고정하고, 측변(LS1)을 저면으로 하고, 측변(LS2)을 세워 설치하고, 측변(LS1)의 상면에서, 순환펌프(3)의 스탠드 (3S)에 정합하여 가대(11)를 배치하고, 볼트(3B)를 사이에 두고 순환펌프(3)를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공기분리 압력탱크(2)하에 가대(11)를 부설하고,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리브(1G)를 구비한 측변(LS1)상에 고정한다.
또한, 일측변(LS1)로부터 지지재(도시하지 않음)를 세워 설치하고 3개의 파이프 히터(4)를 배치한다.
그리고, 배관용 파이프를 이용하여, 순환펌프(3)의 회전 이음부(3F)와 상측의 파이프 히터(4)를 배관(P2) 접속하고, 각 3단의 파이프 히터(4) 사이를 배관 (P3,P4) 접속하고, 하측의 파이프 히터(4)와 공기분리 압력탱크(2)를 배관(P5) 접속하고, 공기분리 압력탱크(2)로부터 방열부(8)의 온수 공급구(8S)용으로 배관(P7) 접속하고, 크로스 T-조인트(7A)를 사이에 두고 방열부(8)의 배출구(8R)용으로 배관(P1) 접속한다.
이어서, 기기류의 빈틈을 이용하여, 순환펌프(3), 파이프 히터(4), 자동 온도조절장치(도시하지 않음),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의, 제어 유닛의 전기 배선을 실시하여, 전기 제어 유닛의 조작 패널(9B)을 우측판(1R)의 경사변(1R')에 배치하고, 우측판(1R)을 좌측판(1L) 및 뚜껑(1D,1U)과 나사로 고정한다.
한편, 도 4에 있어서, 배관(P8)은, 방습탱크(12)를 채용하는 경우의 예시이며, 통상의 밀폐 순환 시스템으로서 이용할 때에는, 방습탱크(12) 및 배관(P8)은 제거한다.
[기타]
실시예에서는 전기히터 유닛박스(1)의 1대를, 도 1과 같이, 상틀(13), 하틀(14), 측틀(15), 상부 접합구(16), 하부 접합구(17), 및 덮개 뚜껑(18)으로 틀을 조립한 방열기(HR) 1대의 하방에, 가로타입으로 배치했지만,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방열기 (HR)의 측면에 1:1로 배치해도 좋고, 또한, 벽을 개재하는 복수 방열기(HR)에 대해서 1대를, 세로타입 또는 가로타입으로 대응 배치해도 좋다.
또한, 전기히터 유닛박스(1)를 종형(세로타입) 배치하는 경우는, 공기분리 압력탱크(2)를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사용하면 좋고,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의 조작 패널(9B)은 도 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뚜껑(1U)에 배치하면 좋다.
1 : 전기히터 유닛박스(케이스, 박스)
1A : 코너변
1B : 바닥판
1C : 앵커편
1D : 하부 뚜껑(뚜껑)
1F : 접촉 앵커편
1G : 보강리브(돌기)
1K : 각통부
1L : 좌측판
1P : 상승편
1R : 우측판
1R', TS : 경사변
1T : 천판
1U : 상부 뚜껑(뚜껑)
1V : 접촉 걸어멈춤편(고정 부착편)
2 : 공기분리 압력탱크(압력탱크, 탱크)
2A : 전측 날개판(하방 날개판, 날개판)
2A' : 후측 날개판(상방 날개판, 날개판)
2B : 후변
2C : 캡
2D : 하변
2F : 전변
2G : 돌기
2L : 좌측변(측변)
2R : 우측변(측변)
2T : 상변
3 : 순환펌프
3F : 회전 이음부
3J : 이음부
3S : 스탠드
4 : 파이프 히터
6A, 6B, 6C : 볼밸브
7, 7A : T-조인트
8 : 방열부
8A : 가로 파이프(플라스틱 파이프)
8B : 세로 파이프(플라스틱 파이프)
8R : 온수 배출구(배출구)
8S : 온수 공급구(공급구)
9B : 조작 패널
11 : 가대
13 : 상틀
14 : 하틀
15 : 측틀
16 : 상부 접속구
17 : 하부 접속구
18 : 덮개뚜껑
EP : 절곡부
FL : 마루면
H1 : 전선 삽입용 구멍
H2 : 나사구멍
H3 : 공기유통구멍
HR : 방열기
J1, J2, J3 : 접속구
LS1, LS2, RS1, RS2 : 측변
P1∼P8 : 배관
R : 후진관(리턴관)
S : 전진관(서플라이관)
SY : 온수순환 시스템
WL : 벽면
wL1, wL2 : 수위

Claims (7)

  1. 단면 L형의, 길이가 긴 좌측판(1L)과 우측판(1R)을 나사결합 및 나사결합의 해제에 의하여 자유롭게 탈착되도록 접합한 길이가 긴 각통부(1K)와, 각통부(1K)의 양단에, 나사결합 및 나사결합의 해제에 의하여 자유롭게 탈착되도록 장착하는 상부 뚜껑(1U) 및 하부 뚜껑(1D)을 포함하고, 단면 L형의 좌측판(1L)이, 일측변(LS1)에는, 상하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전선 삽입용 구멍(H1)을 구비하고, 타측변(LS2)에는, 각 전선 삽입용 구멍(H1)과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유통구멍(H3)을 구비한, 양단의 뚜껑(1D,1U)으로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한 각통형상의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
    T조인트(7A), 복수의 볼밸브(6A,6B,6C)를 구비한 T조인트(7), 순환펌프(3) , 파이프 히터(4), 공기분리 압력탱크(2)가 차례로 배관 접속되어 설치되고,
    상기 T조인트(7A)가 온수 순환 방열기의 온수 배출구(8R)와, 상기 공기분리 압력탱크(2)가 온수 순환 방열기의 온수 공급구(8S)와 각각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 난방용의 온수 순환 방열기에 접속 가능하게 한 전기히터 유닛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단면 L형의 좌측판(1L)이, 양단에 코너변(1A)을 굴곡 연장하는 동시에, 코너변(1A)의 단부를 단면 L형의 앵커편(1C)으로 하고, 단면 L형의 우측판(1R)의 양단에는, 좌측판(1L)의 앵커편(1C)에 접촉시키는 접촉 앵커편(1F)을 배치하고, 단면 L형의, 좌측판(1L) 및 우측판(1R)의 상하단 적소에 나사구멍(H2)을 배치하고, 상부 뚜껑(1U) 및 하부 뚜껑(1D)의 나사구멍(H2)과, 좌측판(1L) 및 우측판(1R)의 나사구멍(H2)을 나사결합한 전기히터 유닛박스.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하변(2D), 전변(2F), 후변(2B), 상변(2T) 및 양 측변(2L,2R)을 포함하고, 또한, 상변(2T)이, 전측 경사변(Sf)에서 전변(2F)과, 후측 경사변(Sb)에서 후변(2B)과 연속하는 상자 형상으로서, 전변(2F)의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접속구(J1)를, 후변(2B)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접속구(J2)를, 상변(2T)의 후부에는 접속구(J3)를 구비하고, 양 측변(2L,2R) 사이에 걸쳐서, 후방으로 경사 상승하는 2매의 날개판(2A,2A')을, 전측 날개판(2A)이, 하방이고, 또한 전변의 접속구(J1)의 후방 대응 위치에, 후측 날개판(2A')이, 상방이고, 또한 상변 접속구(J3)의 하방 대응 위치에 배치한 전기히터 유닛박스.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통형상의 전기히터 유닛박스(1)를 세로 배치하고, 공기분리 압력탱크(2)는, 전변(2F)을 상측, 후변(2B)을 하측으로 하여 배치하고, 상변(2T)의 접속구(J3)를 파이프 히터(4)와 배관 접속하고, 후변(2B)의 접속구(J2)에 온수 순환 방열기의 온수 공급구(8S)에 연결된 전진관(S)을 접속하고, 전변(2F)의 접속구(J1)를 캡(2C)으로 폐지(閉止)한 전기히터 유닛박스.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통형상의 전기히터 유닛박스(1)를 가로 배치하고, 공기분리 압력탱크(2)의 상변(2T)을 상측으로 하여 배치하고, 전변(2F)의 접속구(J1)를 파이프 히터(4)와 배관으로 접속하고, 후변(2B)의 접속구(J2)를 온수 순환 방열기의 온수 공급구(8S)에 연결된 전진관(S)과 배관으로 접속하고, 상변(2T)의 접속구(J3)를 캡(2C)으로 폐지한 전기히터 유닛박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히터 유닛박스(1)는, 우측판(1R)의 중앙 코너부를 경사변(1R')에 형성하고, 좌측판(1L)의 일측변(LS1)에서는 전선 삽입용 구멍(H1)열의 양측에 보강리브(1G)를 돌출설치 배치하고, 전기히터 유닛박스(1)내에의 수납 기기류를 좌측판(1L)의 일측변(LS1)의 내면을 사이에 두고 부착한 전기히터 유닛박스.
KR1020107020990A 2008-03-17 2009-03-03 실내 난방 방열기용의 전기히터 유닛박스 KR101233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7604A JP4447040B2 (ja) 2008-03-17 2008-03-17 室内暖房用の放熱器に接続するための電気ヒーターユニットボックス
JPJP-P-2008-067604 2008-03-17
PCT/JP2009/053948 WO2009116386A1 (ja) 2008-03-17 2009-03-03 室内暖房放熱器用の電気ヒーターユニットボック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946A KR20100138946A (ko) 2010-12-31
KR101233530B1 true KR101233530B1 (ko) 2013-02-14

Family

ID=4109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990A KR101233530B1 (ko) 2008-03-17 2009-03-03 실내 난방 방열기용의 전기히터 유닛박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47040B2 (ko)
KR (1) KR101233530B1 (ko)
CN (1) CN101978221B (ko)
RU (1) RU2433355C1 (ko)
WO (1) WO2009116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4038B2 (ja) * 2008-04-03 2010-04-21 株式会社テスク 電気温水循環暖房システム
RU191464U1 (ru) * 2019-01-19 2019-08-07 Алексей Петрович Сальников Защитный корпус панельного обогревателя
CN110986154B (zh) * 2019-12-03 2020-10-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暖器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暖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2155U (ko) 1975-08-28 1977-03-07
JPH024136A (ja) * 1988-06-21 1990-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KR940009692B1 (ko) * 1990-09-06 1994-10-15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온수난방장치
KR20100139131A (ko) * 2008-04-03 2010-12-31 가부시키가이샤 데스쿠 전기온수 순환난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726U (zh) * 1989-01-24 1989-08-30 吕宝贞 电热水暖装置
CN2573900Y (zh) * 2002-08-27 2003-09-17 刘淑元 一种新型暖气罩
CN2740934Y (zh) * 2004-06-10 2005-11-16 李静 自动控温的家庭电暖器
YU105504A (sh) * 2004-12-02 2006-08-17 Jovan Adnađ Induktivni grejač za etažno grejanj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2155U (ko) 1975-08-28 1977-03-07
JPH024136A (ja) * 1988-06-21 1990-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KR940009692B1 (ko) * 1990-09-06 1994-10-15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온수난방장치
KR20100139131A (ko) * 2008-04-03 2010-12-31 가부시키가이샤 데스쿠 전기온수 순환난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22303A (ja) 2009-10-01
CN101978221A (zh) 2011-02-16
RU2433355C1 (ru) 2011-11-10
CN101978221B (zh) 2013-09-11
JP4447040B2 (ja) 2010-04-07
WO2009116386A1 (ja) 2009-09-24
KR20100138946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782B1 (ko) 전기온수 순환난방 시스템
JP4587490B2 (ja) 放湿型電気温水循環暖房システム
CN101978220B (zh) 室内供暖用的热水循环散热器
KR101233530B1 (ko) 실내 난방 방열기용의 전기히터 유닛박스
KR101230695B1 (ko) 전기 온수 순환 난방기
JP2009174733A (ja) 電気温水循環暖房システム
CN210957464U (zh) 一种散热效果好的电气配电箱
JP4916034B2 (ja) 電気温水循環暖房システム
CN103697602A (zh) 非承压阳台壁挂太阳能热水器
CN203586351U (zh) 热平衡机组
EP2280229B1 (en) Space Heater
CN206595612U (zh) 一种箱式变压器
JP4762298B2 (ja) 電気温水循環床暖房システム
JP2016102615A (ja) 蓄熱構造体
KR101602230B1 (ko)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CN204268922U (zh) 一种散热器
WO2012101311A1 (es) Elemento prefabricado para la construcción de tabiques, revestimientos y similares,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CN202167767U (zh) 一种低压配电箱的壳体
KR20100010291U (ko) 히트파이프가 구비된 난방용 판넬
CN202692809U (zh) 一种暖风水箱
KR20230064218A (ko) 난방용 온수 패널
CN203821769U (zh) 空气隔热型地暖地板
EP2589918A1 (en) Heat emitting device
JP2020168919A (ja) 浮体構造物
CN109936953A (zh) 一种机电设备散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