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041B1 - 필름 일체형 캠코더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름 일체형 캠코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041B1
KR940008041B1 KR1019910017025A KR910017025A KR940008041B1 KR 940008041 B1 KR940008041 B1 KR 940008041B1 KR 1019910017025 A KR1019910017025 A KR 1019910017025A KR 910017025 A KR910017025 A KR 910017025A KR 940008041 B1 KR940008041 B1 KR 94000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mcorder
flash
check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227A (ko
Inventor
김진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1001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041B1/ko
Publication of KR93000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름 일체형 캠코더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캠코더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필름장착 케이스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블럭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동작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캠코더 12 : 렌즈
16,18,20 : 스위치 22 : 광센서
24 : 플래쉬 30 : 필름장착 케이스
32 : 필름 41 : 하프미러
44 : 조리개 50 : 필름카메라 콘트롤러
55 : EVF 56 : 에러표시 램프
본 발명은 일반 필름을 캠코더에 일체화한 필름 일체형 캠코더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 필름형 일반렌즈 카메라와 VCR 기능을 갖는 캠코더(CAMCORDER)가 각각 분리되어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카메라와 비디오 레코더를 합친 캠코더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캠코더에는일반 필름을 사용치 않고 있으며, 상기 캠코더를 단소경박화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최대로 삭제해가는 실정이었으므로 일반 필름으로 영상을 촬상할 필요는 그다지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캠코더의자기기록 테이프는 일반 필름으로 촬상한 것보다 해상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캠코더 촬영시 해상력이 좋은 일반필름으로 촬영하고 싶으면 별도의 일반필름형 카메라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캠코더에서 일반 필름을 사용하여 해상력이 뛰어난 고해상도 사진을 동시에 촬영가능토록 함으로써 자기테이프로 영상을 보관하는데 따른 단점을 보강시킨 필름 일체형 캠코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은 캠코더의 렌즈와 EVF(Electronic View Finder; 이하 EVF라고 한다.) 사이에 필름장착 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필름장착 케이스 하부에 광량 감지센서와, 플래쉬 및 필름잔량 표시부를 설치하며, 상기 필름장착 케이스 측면에 줌렌즈 제어스위치부와 셔터스위치 및 필름 온/오프선택스위치를 설치하여 렌즈를 혼용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캠코더의 영상을 필름으로도 촬영 가능토록한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캠코더(10)의 카메라 렌즈부(12)는 혼용하여 사용하고, 하프미러를 통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필름부의 포커스 렌즈를 통한후 조리개의 조절로 필름에 영상을 촬영한다.
필름을 넣을 수 있는 케이스로서 필름 카메라 어셈블리(14)가 있고, 필름으로 촬영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해주는 필름 온/오프 선택스위치(16)가 있다.
상기 선택스위치(16)는 스위치가 온이면 일반 필름으로 촬영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고, 오프이면 필름 카메라는 사용하지 못하며 비디오만 촬영하게 해주는 상태 스위치이다.
줌 스위치부(20)는 원거리 망원렌즈 촬영이나 근거리 광각 촬영을 선택해주며, 필름 카메라 조리개 스위치(18)는 셔텨스위치로서 이 스위치(18)를 누르면 필름에 화상이 찍힌다.
포토센서인 광량센서(22)는 피사체의 광량을 감지하며, 그 상부에 카메라 후래쉬(24)가 있고, 후래쉬(24)상부에 필름장착케이스(3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장착케이스(30)는 제2도에 좀더 상세히 도시하였다.
상기 제2도에서, 필름(32)을 넣을 수 있는 필름케이스(35)와 필름케이스커버(37)가 구성되고, 필름(32)의 남은 잔량을 카운트하여 표시해주는 LED표시부(38)와, 필름(32)을 감아주는 테이크업릴(39)이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캠코더 시스템의 내부기능 블럭도로서, 렌즈(12)를 통해 피사체가 하프미러(41)에서 분기되어 피사체 화상은 CCD촬상소자(42)로 가게된다.
상기 CCD 촬상소자(42)에 들어온 화상은 일반 캠코더 비디오신호단(43)으로 가게되어 비디오를 찍는다.
이부분에서 캠코더가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하프 미러(41)에 의해 또하나의 화상이 포커스렌즈(45)를 통해 필름(32)에 영상을 맺히게 한다. 그러나, 조리개(44)가 닫혀있으면 화상이 필름(32)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차단된다.
만약에 셔텨스위치(18)의 신호가 필름카메라 콘트롤러(50)에 인가되면, 상기 콘트롤러(50)에 의해 조리개(44)가 열렸다가 닫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화상이 피름(32)에 도달되어 찍히게 된다. 이렇게 찍힌 필름(32)는 필름 릴 구동모터(46)에 의해 테이크업립(39)에 일정부분 이동된다. 이러한 동작 콘트롤은 상기 필름 카메라 콘트롤러(50)에 의해 모두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 콘트롤은 상기 필름 카메라 콘트롤러(50)에 의해 모두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의 부가적 장치로서 플래쉬(24)가 있는데 상기 플래쉬(24)의 역할은 야간이나 또는 어두운 곳에서 플래쉬 구동부(52)에 의해 플래쉬(24)를 터트려 필름촬영을 하도록 한다. 이때, 광량감지는 광센서(22)가 하여 광량세기 계산기(51)를 통해 상기 콘트롤러(50)로 보내준다.
상기 필름 잔량 표시부(38)는 상기 콘트롤러(50)에서 데이타를 받아 LED액정 표시부에 현재 필름의 잔량을 표시한다. 이때, 광량감지는 광센서(22)가 하여 광량세기 계산기(51)를 통해 상기 콘트롤러(50)로 보내준다.
상기 필름 잔량 표시부(38)는 상기 콘트롤러(50)에서 데이타를 받아 LED액정 표시부에 현재 필름의 잔량을 표시한다. 동시에 이 잔량표시부 데이타는 EVF 구동회로(53)를 통해 EVF(55)에도 표시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동작에 에러가 발생되면 이 에러발생표시를 에러표시램프(56)에 표시한다. 즉, 모든 동작조건이 만족되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면 에러 표시램프(56)는 오프되고, 동작조건이 맞지않으면(예를들어 필름이 없다는 등)상기 필름 카메라 콘트롤러(50)에서 에러표시램프(56)를 2~3회 점멸시켜 사용자가 이를인식하도록 한다. 즉, 동작조건이 구비되지 않은상태에서 셔텨스위치(18)를 누르게 되면 필름(320으로 화상을 찍을 수 없으며, 이 찍을 수 없다는 표시를 상기 에러표시램프(56)의 점멸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제반동작제어는 상기 필름 카메라 콘트롤러(50)가 하므로 제어동작을 제4도의 동작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작이 시작(101)되면 필름선택 스위치(16)가 온되었는지 체크(102)하여 오프되었으면 동작을 대기(103)시키고, 온되었으면 초기조건을 세팅(104)한다.
이 초기조건은 필름(32)을 필름케이스(35)에 장착시키면 상기 콘트롤러(50)는 필름 잔량 표시부(38)에 "1"을 표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EVF(55)에도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선택 스위치(16)가 온되고 셔터스위치가 온되었는지 체크(105)하여 온되었으면 풀래쉬 입력여부를 체크(106)한다. 즉, 상기 콘트롤러(50)는 광센서(22)의 데이타가 광세기 계산기(51)를 통해 들어오는 정보로 플래쉬 구동부(52)를 구동시킬것인가 말것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광세기가 약하면 상기 플래쉬 구동부(52)를 구동(107)시키고, 플래쉬충전여부를 체크(108)하여 충전이 안되었으면 상기 EVF에러 표시램프(56)를 2∼3회 점멸(109)시키고 상기단계(104)로 점프한다.
상기 플래쉬 구동부(52)가 구동되면 조리개(44)가 순간적으로 열렸다 닫힘으로써 화상이 필름(32)에 촬상된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106)에서 플래쉬 입력이 없이 정상적인 광량의 상태일때 필름 카메라 조리개 구동모터(47)에 의해 구동(110)되고, 테이크업릴 모터(46)를 구동(111)시켜 필름 카운터를 구동(112)함으로써 잔량표시부(38)에 필름의 잔량이 표시된다.
다음은, 필름(32)이 끝났는지를 체크(113)하여 끝났으면 상기 단계를 거쳐 상기 단계(104)로 점프하고, 아직 끝나지 않았으면 필름선택 스위치(116) 온 여부를 체크(114)하여 오프이면 동작을 대기(115)시키고 온되었으면 상기 단계(104)로 점프하여 다음 동작을 계속 진행한다. 한편, 만약에 필름 케이스(35)에 필름(32)이 없거나, 광센서(22)에서 광정보가 들어오지 않거나, 필름선택 스위치(16)가 오프위치에 놓여있을때셔터스위치(18)를 누르게되면 상기 필름 카메라 큰트롤러(50)는 상기 에러표시 램프(56)만을 2∼3회 점멸시키게 된다. 즉, 제반동작 조건들이 만족하지 못하므로 필름 촬상이 어렵게 되어, 이때 에러표시를 사용자가인식할 수 있도록 EVF바로 밑에 표시램프를 설치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캠코더가 두가지 기능을 행하므로 필름 카메라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고, 기존 캠코더의 렌즈를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되었으므로 원가상승이 그다지 높지 않으며, 일반 필름역시 시중에서 판매중인 필름을 사용하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캠코더(10)의 렌즈(12)와 EVF(55)사이에 필름장착 케이스(30)를 설치하고, 상기 필름장착 케이스 하부에 광량 감지센서(22)와, 플래쉬(24) 및 필름 잔량 표시부(38)를 설치하며, 상기 필름장착 케이스 측면에줌렌즈 제어스위칭부(20)와 셔터 스위치(18) 및 필름 온/오프 선택스위치(16)를 설치하여 렌즈를 혼용하여사용함으로써 캠코더의 영상을 필름으로도 촬영 가능토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일체형 캠코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코더의 렌즈(12)를 통해 들어온 화상을 캠코더의 비디오 신호단 및 필름 카메라단으로 각각 분기시키는 하프미러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필름 일체형 캠코더 시스템.
  3. 셔터 스위치(18)신호와 필름 온/오프 선택스위치(16) 신호를 받아 시스템의 필름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필름 카메라 콘트롤러(50)와, 광센서(22)의 신호를 광세기 계산기(51)로 계산하여 플래쉬(24)를 구동할 것인지 판단하는 광감지 플래쉬 수단과, 필름(32)의 잔량을 체크하여 필름잔량 표시부(38)와 EVF(55)에 동시에 잔량을 표시해주는 필름잔량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일체형 캠코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필름동작의 초기조건을 검지하여 초기조건이 만족되지 못하면 점멸되는 에러표시 램프(56)를 상기 EVF(55) 하부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일체형 캠코더 장치.
  5. 필름카메라 제어동작이 시작(101)되면 필름선택 스위치 온여부를 체크(102)하여 초기조건을 세팅(104)하는 단계와, 셔터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체크(105)하고 플래쉬 입력을 체크(106)하여 이에 따라 플래쉬구동부를 구동시키거나(107) 필름카메라 조리개를 구동(110)시켜 필름에 화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110)후 테이프업 릴 모터를 구동하고 필름 카운터를 구동(112)하여 필름 끝 여부를 체크(113)하는 단계와, 상기 플래쉬 구동 후 플래쉬 충전을 체크(108)하거나 상기 단계(113)에서 필름이 끝났으면 표시램프를점멸시키고 초기조건 세팅(104)으로 점프하는 단계와, 필름이 아직도 남아있으면 필름선택 스위치 온여부를 체크(114)하여 이에 따라 상기 초기조건 세팅(104)으로 점프하거나 대기상태(115)로 하는 단계로 제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일체형 캠코더 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10017025A 1991-09-30 1991-09-30 필름 일체형 캠코더 시스템 KR94000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025A KR940008041B1 (ko) 1991-09-30 1991-09-30 필름 일체형 캠코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025A KR940008041B1 (ko) 1991-09-30 1991-09-30 필름 일체형 캠코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227A KR930007227A (ko) 1993-04-22
KR940008041B1 true KR940008041B1 (ko) 1994-09-01

Family

ID=1932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025A KR940008041B1 (ko) 1991-09-30 1991-09-30 필름 일체형 캠코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0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227A (ko) 199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5535B2 (en) Imaging apparatus, continuous shoo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H08271976A (ja) カメラ
GB2263838A (en) Mode changing device for a still video camera
JP2005181356A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アクセサリ及び撮影レンズ
JP2005181356A5 (ko)
JP4743868B2 (ja) 画像記録装置
KR960039860A (ko)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디오카메라
JPH08242398A (ja) 撮像装置
KR940008041B1 (ko) 필름 일체형 캠코더 시스템
JPH08321982A (ja) 複合カメラ
JP2004186721A (ja) カメラ
US6075951A (en) Silver salt film/electronic still camera
US6819357B1 (en) Camera having a zoom lens
KR100209902B1 (ko) 스틸카메라일체형비데오카메라
JPH09127603A (ja) ビデオカメラ用スチルカメラ
JPH1138471A (ja) カメラ
JP3382937B2 (ja) 電子カメラ
JP2852224B2 (ja) スチルカメラ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2852223B2 (ja) スチルカメラ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H10319488A (ja) 液晶ファインダー付きカメラ
JP200733595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10181B2 (ja) 電子機器
JP2004085935A (ja) カメラ
JPH05113599A (ja) 銀塩写真および電子スチル写真両用カメラ
JP2005348377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