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204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204B1
KR940007204B1 KR1019910019031A KR910019031A KR940007204B1 KR 940007204 B1 KR940007204 B1 KR 940007204B1 KR 1019910019031 A KR1019910019031 A KR 1019910019031A KR 910019031 A KR910019031 A KR 910019031A KR 940007204 B1 KR940007204 B1 KR 94000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 exchanger
plate
fine particles
contac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245A (ko
Inventor
요시유키 쯔다
아끼코 이와모또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0747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784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3878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234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3878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22339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1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pplying coatings, e.g. radiation-absorbing, radiation-reflecting; by surface treatment, e.g. poli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4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tinuous films of condensate on heat-exchange surfaces, e.g. by promoting droplet 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06Preventing deposits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교환기
제1도는 핀튜브형 열교환기의 일부측면도,
제2도는 핀과 물방울과의 접촉각을 표시한 단면도,
제3도는 물방울에 대한 접촉각이 90° 이상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였을 경우의 표면위의 물방울의 모식도,
제4도는 물방울에 대한 접촉각이 90°미만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였을 경우의 표면위의 물방울의 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교환기 2 : 판형상핀
3 : 냉매관 4 : 도막
4a : 도막표면 5 : 물방울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냉동냉장기기등의 냉각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의, 공기 열원히이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이하 히이트펌프라 호칭)의 차지하는 율은 급증해오고 있으며, 가정용 루움에어콘, 업무용루움에어콘등에 대해서는, 반수이상을 점하고 있다. 또, 이들 히이트펌프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대부분은, 알루미늄 핀과, 또 이에 직교하는 냉매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핀튜브형 열교환기이다. 하이트펌프에 있어서, 냉방시에는 실내쪽열교환기의 핀표면에 수분의 응축이 일어나고, 핀사이에 있어서의 응축수의 부리지형상에 의해서, 열교환기통과 풍량의 저하를 초래하고,나아가서는, 냉방능력의 저하의 원인이 된다. 한편, 난방시에는, 실외쪽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한 냉방시,실내쪽열교환기와 마찬가지인 현상이 일어난다.
열교환기에 서리가 부착하였을 경우는, 통풍저항이 증가하여, 난방능력의 저하의 원인이 되고, 더진행하면, 서리부착에 의한 핀의 틈막힘을 일으키며, 그경우 난방운전을 일시정지하고, 서리제거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난방의 쾌적성을 해치는 원인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냉방능력, 난방능력의 저하를 감소시켜, 난방시에 있어서의 실외쪽열교환기의 서리부착을 감소하여, 서리의 제거회수를 줄이고,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열교환기의 핀표면의 응축수를 항상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서 핀표면을 발수(撥水)화해서 응축수를 굴로 떨어뜨리는 방법이 있으며, 일본국 실개소 48-11414호 공보, 동 실개소 5l-15261호 공보에서 제안되어 있는 바와같은 4불화에틸렌수지, 염화 3불화에틸렌수지등의 코우팅이 알려지고 있다.
이 코우팅을 실시한 열교환기에서는, 핀표면과 물방울과의 접촉각도가 약 110。정도이기 때문에, 직경 2mm 이상의 비교적 큰 응축수를 핀표면으로부터 굴러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열교환기는, 고농력화를 목적으로하여 핀총표면적을 증가하기 위하여 핀간격이 좁아지는 경향에 있다. 현재의 열교환기의 핀간격은, 약 2∼3mm가 일반적이며 이제부터 점점 더 좁혀져 갈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상기의 발수성에 뛰어난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에서는, 직경 1mm 정도의 미세한 물방울을 핀표면으로부터 떨어뜨릴 수 없다.
그래서, 핀표면에 잔존한 물방울이, 핀사이에 괴기 때문에, 통풍저항으로 되거나, 그래로 빙결하고 서리가 되는등 그 발수효과는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형상핀에 실리콘계 수지화합물로 이루어진 용액과, 무기미립자를 혼합하는데 있어서, 용액속의 고형분에 대해서 비율을 l0∼40중량%의 무기미립자로 한 것이다.
또, 판형상핀에의 조성물과 부착을 강고하게 하는 것이다.
또, 판형상핀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막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해서, 표면과 물방울과의 접촉면적을 작게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핀튜브형 열교환기를 표시한 것으로서,(1)은 열교환기이고,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판형상핀(2)를 다수 간격을 형성해서 배치하고 있으며, 판형상핀(2)와 직교하는 냉매관(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표의 실시예 l∼3 및, 비교예 3∼10은, 실리콘계수지 코우팅제에 대해서, 각종의 무기계, 유기계 미립자를 실리콘수지코우팅제속의 고형분에 대해서, 소정량 첨가해서, 상온에서 교반분산하여, 코우팅조성물을 작성하고, 두께 0.5mm의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판형상핀(2)에 침지도포하여,100℃의 열풍건조로속에서 60분간 건조경화한 것이다. 또, 비교예 1은 실리콘계 수지코우팅제를 마찬가지로, 두께 0.5mm의 판형상핀(2)에 침지도포하여,100℃의 열풍건조로 속에서 30분간 건조경화한 것이다. 비교예 2는 4불화에틸렌수지를 코우팅한 것이다. 도막의 평가는 도막의 표면상태, 밀착성, 및 발수성효과에 의해 행하였다. 밀착성에 대해서는 JIS:K-5400에 의한 크로스컷 접착시험(Cross-cut adnesion Test), 발수성에 대해서는,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므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물에 대한 접촉각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판형상핀(2)의 도막(4)표면에 형성한 물방울(5)와 도막(4) 표면이 만드는 각도 θ에 의해서 표시되며, 접촉각 θ가 클수록, 발수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물에 대한 접촉각은, 일본국 교와가이멘카가구(協和界面科學)제 콘택트앵글미터 DA-T형으로 측정하였다.
[표1]
제1표에서도 알수 있는 바와같이, 실시예 1∼3은, 물에 대한 접촉각이 비교예 1∼2의 실리콘계수지,4불화에틸렌수지만의 경우나, 비교예 5∼10에서부터, 현저하게 접촉각이 크게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폭적으로 발수성이 향상하고 있는 것을 표시한다. 이는, 발수성수지예, 미립자를 첨가하면, 발수성수지에 의해서, 표면이 발수성으로 되어 있는 것에 추가해서, 미립자를 첨가하므로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다. 따라서 물방울과, 표면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며, 표면위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부착력이 대폭적으로 저하하여, 발수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이를 몰포오논리효과라 호칭함). 물방울과 표면의 접촉면적을 감소하려면, 미립자의 평균입자 직경을 작게하는 일이나 미립자표면의 요철을 예각(銳角)적으로 하는, 즉 미립자의 비표면적을 크게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되며, 본 실시예에 표시한 바와같이 미립자의 평균입자직경은 4μm 이하, 비표면적은 50㎡/g 이상이 필요하다.
또, 무기미립자와 유기계미립자와의 효과의 차이는, 미립자의 형상이 차이로 부정형 요소가 많은 무기미립자 쪽이 표면요철이 예각적인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미립자의 첨가량에 대해서는 비교예 3,4에 표시한 바와같이, 베이스가 되는 용액속의 고형분에 대한 구성비율이 5% 이하에서는 발수성효과가 적기 때문에, 그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으나,50% 이상의 경우 도막의 균열, 밀착성, 첨가미립자의 탈락등에서 문제가 된다. 또한, 무기미립자의 표면이 친수성의 경우, 미립자끼리가 서로 응집하기 쉽고 균일하고도 양호한 성막이 곤란하여 분산성의 면에서 소수성처리를 실시하면, 보다 균일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비표면적이 50㎡/g 이상, 또한 평균입자직경 4μ 이상의 무기계미립자를, 용액속의 고형분에 대한비율이 10∼40중량%가 되도톡 배합하였을 경우, 이몰포오논리효과가 최대한으로 발휘되는 겻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열교환기(1)용의 판형상핀(2)에 도포하므로서, 판형상핀(2)에 부착한 물방울이 굴러떨어지므로서, 표면에 물방울이 잔류하기 어렵고, 히이트펌프에어콘의 열교환기의 서리부착에 의한 핀사이의 틈막힘을 지연시키므로서, 히이트펌프로서, 냉방능력, 난방능력의 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난방식 실외기열교환기의 서리제거간격을 연장할 수 있어,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표에 표시한 바와같이 실시예 11∼16 및, 비교예 11∼19는, 실리콘계 수지코우팅제(일본국 트레실리콘사제 SR 2411)에 각소정의 입자직경을 가진 2산화 규소분말을 실리콘수지코우팅제에 대해서, 각 소정량첨가하여, 상온으로 교반분산하고, 코우팅조성물을 작성한 후, 두께 0.5mm의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판형상핀(2)에 침지 도포하여,100℃의 열풍건조로속에서 60분간 건조경화한 것이다. 비교예 11은, 실리콘계수지코우팅제만을 마찬가지로, 두께 0.5mm의 판형상핀에 침지도포하고,100℃의 열풍건조로속에서 60분간 건조경화한 것이다. 또한 비교예 12∼19는 표면에 화성피막을 실시하지 않는 판형상핀(2)를, 실시예 11∼16은 표면에, 미리 베마이트처리, 인산알코올처리, 크롬산염계 피막처리를 실시한 판형상핀(2)를 사용하였다.
발수성효과에 대해서는,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므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물에 대한 접촉각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판형상핀(2)의 도막(4) 표면에 형성한 물방울(5)와 도막(4) 표면에 만드는 각도 θ로 표시되며; 접촉각 θ가 클수록, 발수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물에 대한 접촉각은, 교와가이멘카가구제 콘택트 앵글리터 DA-T형으로 측정하였다. 또, 도막의 밀착성은 JIS-K 5400에 준한 연필굵기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2]
밀착성 : ◎ … 연필경도 H이상
○ … 〃 F∼HB
△ … 〃 B∼2B
× … 〃 3B 이하 또는 균열발생
제2표에서도 알수 있는 바와같이 실시예 11∼16 및 비교예 13∼16,18,19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비교예l1,12의 실리콘계수지코우팅제뿐의 경우나 2산화규소 분말의 첨가량이 2중량%의 것, 또 비교예 17의 입자직경 8μ의 2산화규소분말을 첨가한 것보다도, 현저하게 접촉각이 크게되어 있다. 즉, 입자직경 4μ 이상의 2산화규소분말을 5중량% 이상 첨가하므로서, 대폭적으로 발수성이 향상하고 있는 것을 표시한다. 이는, 발수성수지에 미세한 분체를 첨가하면, 발수성수지에 의해 표면이 발수성으로 되어 있는 것에 추가해서, 미소한 분체에 의해 표면에 형성되는 미세요철에 의해서 액방울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며, 액방울과 핀표면의 부착력이 대폭적으로 저하하고, 발수성이 높아지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2산화규소분말을 70중량% 이상 첨가하였을 경우는 발수성은 향상하지만 도막자체가 무르게되어, 균열발생에 의해 양호한 도막은 얻을 수 없다. 또, 입자직경이 4μm를 초과하는 경우, 첨가량이 5중량% 미만으로 되면 유효한 미세요철로되지않아, 발수성이 향상효과가 적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첨가하는 분체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무기실리카를 사용하였으나, 표면에 미세요철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분체라면, 모두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도막의 밀착성에 대해서는 비교예 11∼16에서,2산화규소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뒤떨어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는, 판형상핀(2) 표면과의 밀착에 기여하는 실리콘수지속에 함유되는 실란올기등의 반응기의 일부가, 첨가한 무기실리카와의 결합에 소비되기 때문에 판형상핀(2) 표면에서의 결합기회가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대해, 실시예 11∼16과 같이 미리 판형상핀(2)에, 베마이트처리, 인산 알코올처리 크롬산염계 피막처리 등의 화성피막처리를 실시하므로서,2산화규소분말을 첨가하지 않는것과 동등한 밀착성으로 향상한다. 이는, 화성피막처리를 행하므로서, 판형상 핀표면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어,판형상 핀표면에서의 결합기회의 감소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판형상핀의 표면은 대단히 높은 발수성을 표시하므로, 핀간격이 2mm 정도로 좁은 경우라도, 핀표면에 응축한 물방울을, 굴러떨어뜨리기 위하여 유효한 성능을 가진다. 따라서, 히이트 펌프에어콘의 열교환기의 서리부착에 의한 핀사이의 틈막힘을 지연시키므로서, 하이트펌프로서, 냉방능력, 난방능력의 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난방시 실외가 연교환기의 서리제거간격을 연장할 수 었어,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표에 있어서, 실시예 21∼26은, 소정입자직경의 무기미립자를 실리콘수지 코우팅제속의 고형분에 대해서,30%, 각종 수지개질제를 유효성분으로서 10% 첨가해서, 상온에서 교반분산하여, 코우팅조성물을 작성하고, 두께 0.5mm의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판형상핀(2)에 침지도포하여,100℃의 열풍건조로 속에서 60분간 건조경화한 것이마. 또, 비교예 22∼29는 실리콘계 수지 코우팅제에 대해서, 소정 입자직경의 무기미립자를 실리콘수지코우팅 제속의 고형분에 대해서, 소정량 첨가해서, 상온에서 교반분산하여, 코우팅조성물을 작성하고, 실시예 23∼25와 마찬가지로 두께 0.5mm의 판형상핀(2)에 침지도포하여,100℃의 열풍건조로 속에서 60분간 건조경화한 것이다. 비교예(21)은 실리콘계 수지코우팅제만을 마찬가지로, 두께 0.5mm의 알루미늄판에 침지도포하여,100℃의 열풍건조로속에서 30분간 건조경화한 것이다·
도막의 평가는 도막의 밀착성 및 발수성효과에 의해 행하였다. 밀착성에 대해서는 JIS:K-5400에 의한 연필굵기시험, 발수성에 대해서는,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므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물에 대한 접촉각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핀(2)의 도막(4) 표면에 형성한 물방울(5)와 도막(4) 표면이 만드는각도 θ로 표시되며, 접촉각 θ가 클수록, 발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물에 대한 접촉각은, 교와카아멘카가구제 콘택트 앵글미터 DA-T형으로 측정하였다.
[표3]
밀착성 : ◎ … 연필경도 H이상
○ … 〃 F∼HB
△ … 〃 B∼2B
× … 〃 3B 이하 또는 균열발생
제3표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26 및 비교예 23, 24, 25, 26 28, 29, 물에 대한 접촉각이 비교예 21,22의 실리콘계수지뿐의 경우나 2산화규소분말의 첨가량이 2중량%의 것, 또 비교예 27의 입자직경 8μm의 2산화규소 분말을 첨가한 것보다, 현저하게 접촉각이 크게 되어있다. 즉, 입자직경 4μm 이하의 2산화규소분말을 5중량%이상 첨가하므로서, 대폭적으로 발수성이 향상하고 있는 것을 표시한다. 이는, 발수성수지에, 미립자를 첨가하면, 발수성수지에 의해서, 표면이 발수성으로 되어있는 것에 추가해서, 미립자를 첨가하므로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다. 따라서 물방울과, 표면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며, 표면위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부착력이 대폭적으로 저하하여, 발수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몰프오논리효과).
그러나,2산화규소분말을 70중량%이상 첨가하였을 경우는 발수성은 향상하지만 도막 자체가 취약하게 되어, 균열발생에 의해 양호한 도막은 얻을 수 없다. 또, 입자직경이 4μm를 초과하는 경우, 첨가량이 5중량% 미만으로되면 유효한 미세요철로 되지않아, 발수성의 향상효과가 적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첨가하는 미립자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무기실리카를 사용하였으나, 표면에 미세요철을 부여할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도막의 밀착성에 대해서는, 비교예 21∼26 보다, 2산학규소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뒤떨어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는, 기간표면과의 밀착에 기여하는 실리콘수지속에 함유하는 실란올기등의 반응기의 일부가, 첨가한 무기미립자와의 결합에 소비되기 때문에, 기판과 발수성코우팅조성물과의 결합기회가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대해, 실시예 21∼26과 같이 실리콘계수지에, 분자속에 적어도 2종류의 반응기, 즉 메톡시기, 에톡시기, 실란올기등 무기재료와 화학결합하는 반응기와 비닐기, 아미노기등 유기재료와 화학결합하는 반응기를 가진 수지개질제를 첨가하므로서,2산화규소를 첨가하지 않는것과 동등한 밀착성으로 향상한다. 특히, 실시예 21∼24의 분자속에 아민계 관능기를 가진 수지개질제의 효과가 보다 크다.
이는, 실시예 21∼26에서는, 분자속에 무기재료와 화학결합하는 관능기인 메톡시기등과 유기재료와 화학결합하는 관능기인 아민기등을 가진 수지개질제를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실리콘계수지와 무기미립자와의 결합이 강고하게 되어, 도막자체의 강도가 증가하는 동시에 기판과 발수성코우팅조성뭍과의 결합기회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리콘계수지에 무기미립자 및 수지개질제를 첨가하므로서 발수성에 뛰어나고 또한 판형상핀과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발수성코우팅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물이 판형상핀에 사용되므로서 장기간에 결쳐서 발수성에 뛰어난 열교환기가 되므로, 핀간격이 2mm 정도로 좁은 경우라도, 핀표면에 응축한 물방울을, 굴러떨어뜨리기 위하여 유효한 성능을 가진다. 따라서, 히이트펌프에어콘의 열교환기의 서리부착에 의한 핀사이의 통막힘을 지연시키므로서, 히이트펌프로서, 냉방능력, 난방능력의 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난방시 실외기 열교환기의 서리제거간격을 연장할 수 있어,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4표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31∼34 및 비교예 31∼33은, 도료건조경화후의 물에 대한 접촉각이 90°이상을 표시한 실리콘계 수지코우팅제에 대해서, 도표건조경화후 소정의 유철형상이 되도록 각종의 무기계 미립자를 각 코우딩제속의 고형분에 대해서, 소정량첨가해서, 상온에서 교반분사하여, 코우팅조성물을 작성하고, 두께 0.5mm의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판형상핀(2)에 침지도포하여,100℃의 열풍건조로속에서 60분간 건조경화한 것이다. 또, 비교예 34는 동일하게 물에 대한 접촉각이 90°미만의 아크릴계 수지계의 코우팅제를 마찬가지로, 두께 0.5mm의 판형상핀(2)에 침지도포하여,100℃의열풍건조로속에서 30분간 건조경화한 것이다. 도막의 평가는 발수성효과 및 발수성효과지속성에 의해 행하였다.
발수성에 대해서는,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므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물에 대한 접촉각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막(4) 표면에 형성한 물방울(5)와 도막(4) 표면이 만드는 각도 θ로 표시되어, 접촉각θ가 클수록, 발수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물에 대한 접촉각은 일본국 교와카이멘카가구제 콘택트 앵글미터 DA-T형으로 측정하였다. 또 발수성효과 지속성은 도막표면의 결로-건조사이클을 30회 반복한 후의 물에 대한 접촉각의 열화정도에 의해서 평가하고, 이를의 평가결과를 제4표에 표시한다.
[표4]
표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1∼34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비교예 31의 요철의 D/0.5H0.5의 것이나 비고예 34의 물접촉각 90° 미만의 아크릴계 도표에 미립자를 첨가한 것과 비교하여, 물접촉각이 대폭적으로 향상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폭적으로 발수성이 향상하고 있는 것을 표시한다. 이는, 발수성수지에, 미립자를 첨가하면, 발수성수지에 의해서, 표면이 발수성으로 되어 있는 것에 추가해서, 미립자를 첨가하므로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다. 따라서 물방울과, 표면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며, 표면위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부착력이 대폭적으로 저하하여, 발수성이 높게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미세한 요철을 가진 표면위의 물방울의 모식도에서 미설명한다. 제3도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90°이상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경우의 표면위의 물방울의 모식도를 표시하고, 또 제4도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90°미만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경우의 표면위의 물방울의 모식도를 표시한다. 여기서,4a는 도막(4)의 표면,(5)는 물방울을 표시한다. 또한, 시료표면자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θ로 표시하여, 이를 참접촉각이라 호칭한다. 또, 수명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θ'로 표시하고, 이를 겉보기의 접촉각이라 호칭한다. 제3도,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에 대한 접촉각이 90°이상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경우의 표면위의 물방울의 겉보기의 접촉각 θ'는 참접촉각 θ에 비해, 대폭적으로 크게되어 있다. 즉 표면과 물방울과의 접촉면적이 대폭적으로 감소하여, 발수성이 향상한다. 반대로, 물에 대한 접촉각이 90°미만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경우의 표면위의 물방울의 겉보기의 접촉각 θ'는 참접촉각 θ에 비해, 대폭적으로 작게되어 있다. 즉 표면과 물방울과의 접촉면적이 대폭적으로 증가하여, 친수성이 향상한다.
또, 실시예 31∼34는 요철의 간격 L가 0.2μ 미만의 비교예 31∼33에 비해 발수성의 효과지속성이 뛰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물이 도막표면에 결로할때, 미세요철의 오목부에 잠입하여, 요철의 간격이 작은 경우, 일단 잠입한 물방울이 통상적인 건조정도에서는 증발하지 않아, 그 개스의 발수성이 저하하는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도장건조경화후의 도막표면의 물접촉각이 90。이상이 되게하는 수지화합물로 이루어진 용액과,상기 용액속에 분산되여, 도막경화후 묘면에 볼록부 피이크 사이의 간격 L가 0.2μ 이상이고 또한 길이 D와 L의 관계가 D/0.5L⇒0.5인 미세요철을 부여할 수 있는 무기 또는 유기계 미립자로 구성된 발수성코우팅제를 도포한 표면은 종래의 발수성코우팅제에 비해, 대단히 높은 발수성을 표시하는 동시에, 그 발수성효과의 지속성에도 뛰어난 것으로 된다. 그결과, 핀간격이 2mm 정도로 좁은 경우라도, 핀표면에 응축한 물방울을, 굴러떨어뜨리기 위해서 유효한 성능을 장기간 보유한다. 따라서, 히이트펌프에어콘의 열교환기의 서리부착에 의해 핀사이의 틈막힘을 지연시키므로서, 히이트펌프로서, 냉방능력, 난방능력의 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난방시 실외기열교환기의 서리제거간격을 연장할 수 있어,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일정간격으로 다수 평행으로 배열되고, 그 사이를 기류가 유동하는 판형상핀과, 이 판형상핀에 직각으로 삽통된 전열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형상핀에, 실리콘 계수지화합물로 이루어진 용액과, 상기 용액속의 고형분에 대한 비율에 10∼40중량%이며, 비표면적이 크고 또한 평균입자직경이 작은 무기미립자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미립자의 비표면적이 50㎡/g 이상, 또한 평균입자직경 4μm 이하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무기미립자의 표면에 소수(疎水)화 처리를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판형상핀은 표면에 화성피막처리를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에 2종류의 관능기를 가진 수지개질재를 충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일정간격으로 다수평행으로 배열되고, 그 사이를 기류가 유동하는 판형상핀과, 이 간형상핀에 직각으로 삽통된 전열관으로 이루어지고, 또, 도장건조경화후의 도막표면의 물접촉각이 90。이상이 되게한 수지화합물로 이루어진 용액과, 상기 용액속에 분산되고, 도막경화후 표면에 블록부피이크사이의 간격 L이 0.2μ이상이고 또한, 깊이 D와 L의 관계가 D/0.5L0.5인 미세요철을 부여할 수 있는 무기계 미립자로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19910019031A 1990-11-13 1991-10-29 열교환기 KR940007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07471 1990-11-13
JP2307471A JPH04178472A (ja) 1990-11-13 1990-11-13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を塗布した熱交換器
JP91-138784 1991-06-11
JP91-138783 1991-06-11
JP3138783A JPH05223481A (ja) 1991-06-11 1991-06-11 熱交換器用フィン材
JP3138784A JPH05222339A (ja) 1991-06-11 1991-06-11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を塗布した熱交換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245A KR920010245A (ko) 1992-06-26
KR940007204B1 true KR940007204B1 (ko) 1994-08-08

Family

ID=2731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031A KR940007204B1 (ko) 1990-11-13 1991-10-29 열교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81558A (ko)
EP (1) EP0485801B1 (ko)
KR (1) KR940007204B1 (ko)
DE (1) DE69101049T2 (ko)
MY (1) MY1066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72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공조용 핀-튜브형 증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05149D0 (en) * 1993-03-12 1993-04-28 Mars G B Ltd Heating/cooling systems
US5421865A (en) * 1993-10-29 1995-06-0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Water based silicone coating compositions
US5549927A (en) * 1994-03-01 1996-08-27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Modified substrate surface and method
US5649591A (en) * 1995-01-20 1997-07-22 Green; Michael Philip Radiator cap with sacrificial anode
US5674477A (en) * 1995-02-28 1997-10-07 Ahluwalia; Gurpreet S. Reduction of hair growth
DE19621717A1 (de) * 1996-05-30 1997-12-04 Sel Alcatel Ag Verbindungsaufbauverfahren sowie Vermittlungsstellen und Dienststeuereinheit
US6263958B1 (en) 1998-02-23 2001-07-24 William H. Fleishman Heat exchangers that contain and utilize fluidized small solid particles
DE19963670C2 (de) * 1999-12-29 2003-03-06 Rhenotherm Kunststoffbeschich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ntihaftbeschichtung, Antihaftbeschichtung und Verwendung einer Antihaftbeschichtung
DE10129099A1 (de) * 2001-06-16 2002-12-19 Ballard Power Systems Katalytische Beschichtung von strukturierten Wärmetauscherblechen
WO2003073028A1 (en) * 2002-02-28 2003-09-04 Paradis Marc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dehumidifying air
DE10227135A1 (de) * 2002-06-18 2004-01-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dampfer für ein Kältegerät
US20050138959A1 (en) * 2002-06-18 2005-06-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Evaporator for a refrigeration device
CN1228591C (zh) * 2002-07-12 2005-11-23 株式会社电装 用于冷却空气的制冷剂循环系统
US20070251249A1 (en) * 2004-09-30 2007-11-01 Behr Gmbh & Co. Kg Heat exchanger and a charge air cooling method
US7293602B2 (en) 2005-06-22 2007-11-13 Holtec International Inc. Fin tube assembly for heat exchanger and method
US20100018672A1 (en) * 2008-07-22 2010-01-28 Tai-Her Yang Conducting type inter-piping fluid thermal energy transfer device
DE102008041480A1 (de) * 2008-08-22 2010-02-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Verdampfer
DE102009049137A1 (de) 2009-10-12 2011-04-14 Rhenotherm Kunststoffbeschichtungs Gmbh Beschichtungsaufbau
KR20120054321A (ko) * 2010-11-19 2012-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FR2974407B1 (fr) * 2011-04-21 2013-10-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vaporateur de pompe a chaleur
WO2012168598A1 (fr) * 2011-04-21 2012-12-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vaporateur de pompe a chaleur
WO2013105133A1 (ja) * 2012-01-11 2013-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レートフィンチューブ式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空調システム
JP5871053B2 (ja) * 2012-03-14 2016-03-01 富士通株式会社 冷却システム
KR102094529B1 (ko) * 2013-07-23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ITUA20162826A1 (it) 2016-04-22 2017-10-22 Freni Brembo Spa Corpo pinza di una pinza per freno a disco
US20230228503A1 (en) * 2020-07-28 2023-07-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coating composition
CN112113369A (zh) * 2020-09-27 2020-12-22 广州大学 一种可自动除霜或除冰的换热器
US20230121635A1 (en) * 2021-10-14 2023-04-20 Amulaire Thermal Technology, Inc. Immersion heat dissipation structure having macroscopic fin structure and immersion heat dissipation structure having fi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6189A (en) * 1966-09-02 1969-09-09 Us Interior Method for improving heat transfer in condensers
JPS5439159A (en) * 1977-09-02 1979-03-26 Toshiba Corp Liquid level meter
JPS54159759A (en) * 1978-06-07 1979-12-17 Mitsubishi Electric Corp Heat exchanger
JPS55164264A (en) * 1979-06-08 1980-12-20 Hitachi Ltd Aqueous coating composition and heat exchanger coated with it
JPS582596A (ja) * 1981-06-30 1983-01-08 Nippon Parkerizing Co Ltd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の表面処理法
JPS5896996A (ja) * 1981-12-03 1983-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器表面処理材
JPS58136995A (ja) * 1982-02-05 1983-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
JPS61243865A (ja) * 1985-04-19 1986-10-30 Matsushita Refrig Co 熱交換器アルミフイン被覆用組成物
JPS61296083A (ja) * 1985-06-25 1986-12-26 Nippon Foil Mfg Co Ltd フイン材コ−テイング用組成物
JPH02122199A (ja) * 1988-10-31 1990-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器
JPH0345893A (ja) * 1989-07-12 1991-02-27 Matsushita Refrig Co Ltd 熱交換器用フィン材
JP2834228B2 (ja) * 1989-10-24 1998-12-09 松下冷機株式会社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を用いた熱交換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72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공조용 핀-튜브형 증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1049D1 (de) 1994-03-03
MY106658A (en) 1995-07-31
US5181558A (en) 1993-01-26
DE69101049T2 (de) 1994-08-11
KR920010245A (ko) 1992-06-26
EP0485801A1 (en) 1992-05-20
EP0485801B1 (en) 199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204B1 (ko) 열교환기
JPH0493597A (ja)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を塗布した熱交換器
JPH03259975A (ja)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を塗布した熱交換器
JP6887366B2 (ja) プレコートフィン材
JPH07251130A (ja) 撥水性塗膜形成方法
JP6101055B2 (ja)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フィン材の製造方法
JPH08323285A (ja) 撥水性及び着霜防止性が優れた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383914B2 (ja)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フィン材
JP2834228B2 (ja)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を用いた熱交換器
JP2009012238A (ja) 金属塗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17702A (ja)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フィン材、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フィン材の製造方法及び熱交換器
JPH1123174A (ja) 熱交換材
JP2584109B2 (ja)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塗料及びその塗料を塗布した熱交換器
JPH03244680A (ja)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を用いた熱交換器
JPH08285491A (ja) 表面処理アルミニウムフィン材
JP2507119B2 (ja) 撥水性コ―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ティング用組成物を塗布した熱交換器
WO2022130620A1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11201688A (ja) 熱交換器用フィン材
JP3225793B2 (ja) 高親水性塗料
JPH03244996A (ja)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を用いた熱交換器
JP5781726B2 (ja) 熱交換用フィン材
JPH04178472A (ja)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を塗布した熱交換器
JP3403906B2 (ja) 高親水性塗料の製造方法
JPH05223481A (ja) 熱交換器用フィン材
JP2803798B2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