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866B1 - 유체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866B1
KR940006866B1 KR1019900021889A KR900021889A KR940006866B1 KR 940006866 B1 KR940006866 B1 KR 940006866B1 KR 1019900021889 A KR1019900021889 A KR 1019900021889A KR 900021889 A KR900021889 A KR 900021889A KR 940006866 B1 KR940006866 B1 KR 940006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ylinder
motor
motor stator
bea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675A (ko
Inventor
히사노리 혼마
요시노리 소네
다꾸야 히라야마
다까요시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843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4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9630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4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9843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858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18/1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18/1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 F04C18/1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with helical teeth, e.g. chevron-shaped, screw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도는 단면도.
제 2 도는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3 도는 단면도.
제 4 도는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 5 도 내지 제 7 도는 각각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실린더 5 : 피스톤
8 : 주 베어링(베어링 부재) 10 : 블레이브
11 : 모터 고정 12 : 모터 회전자
16 : 모터 에어갭(airgap) 21,41 : 유체 압축기
22,42 : 제1케이스 26 : 주 베어링 지지부재
49 : 볼트(고정구) 51 : 마스터 로터
51a : 마스터 로터의 바깥 둘레면 54 : 마스터 로터의 오목부
본 발명은, 예를들면 냉동 사이클의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유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회전식등의 압축기에는, 케이스 내의 벽에 프레임을 고정시키고, 또한 프레임에 주 베어링을 붙인 것이 있다.
그리고 케이스 내벽에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것은 수축 끼워 맞춤등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냉동 사이클 등에 이용되는 유체 압축기(이하, 압축기라 한다)로서, 예를들면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고 있다.
즉 각 도면중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러한 종류의 압축기(1)는, 밀폐 케이스(이하, 케이스라고 함)(2)의 내부에 압축기구부(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압축기구부(3)는 축 방향의 양단부를 개구한 원통 모양의 실린더(4)와, 실린더(4)의 내부에 편심되도록 배치된 회전체로서의 피스톤(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1)는 압축기구부(3)에, 실린더(4)의 양단부에 끼워져 실린더(4)를 기밀하게 막는 동시에 피스톤(5)의 주축(6) 및 부축(7)을 각각 끼운 주 베어링(8) 및 부 베어링(9)를 가지고 있다.
또, 압축기(1)는, 피스톤(5)의 바깥 둘레에 나선형의 블레이드(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압축기(1)는 실린더(4)의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10)에 의해 구분되어 실린더(4)의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서서히 그 용적을 작게하는 복수의 작동실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압축기(1)는, 케이스의 내부 둘레면에 고정된 모터 고정자(11)와 모터 고정자(11)의 내측에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실린더(4)에 바깥쪽에서 끼워진 모터 회전자(12)로 된 구동 모터(13)에 의해, 실린더(4)와 피스톤(5)을 상대적으로 또한 같은 주기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압축기(1)는 상기의 압축기구부(3)에 의해 냉매 가스를 실린더(4)의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서서히 이송하면서 압축한다.
그런데, 냉매 가스를 이송하면서 압축하는 형태의 압축기(1)에 있어서, 회전식 압축기와 같이 주 베어링(8)을 프레임에 부착하는 구조를 채용하면, 제 5 도중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임(14)의 외측에 불필요한 공간(15)이 생긴다.
이 때문에, 케이스(2)의 축방향의 치수가 공간 "15"만큼 길게되고, 압축기(1)가 대형으로 된다.
따라서, 접착과 용접을 채용하여,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주 베어링(8)을 케이스(2)의 바닥면에 집적 고정하면, 케이스내에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지 않으며, 압축기(1)를 소형화 할수 있다.
그러나,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주 베어링(8)을 케이스(2)에 직접 고정시킨 형태에 있어서는, 압축기(1)는 소형이 되지만, 조립시에 주 베어링(8)의 축심과 모터 고정자(11)의 축심을 일치시키기가 어렵다.
즉,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 형태는 모터(13)에 대한 주 베어링(8)의 직각도를 내는 것이 곤란하다.
그리고, 양부재(8)(11)의 축심이 어긋나면, 모터 고정자(11)의 내경과 모터 회전자(12)의 외경과의 크기차에 의해 형성된 모터 에어갭(16)이 편심되어 버리기 때문에, 모터 에어갭(16)을 전체 둘레에 걸쳐서 필요한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는 젓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모터 에어갭(16)을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 베어링(8)과 모터 고정자(11)의 각각의 부착 위치, 및 양부재(8),(11)의 위치 관계를 충분히 고정 밀도로 설정해야만 했다.
또한, 종래에는 주 베어링(8)을 케이스(2)에 고정하는 것도 어려웠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소정의 모터 에어갭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또한 높은 정밀도를 확보할수 있는 유체 압축기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와, 케이스중에 배치된 실린더와, 바깥둘레 부에 서서히 작아지는 피치로 형성된 나선형의 홈을 가지고 이 홈에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끼움과 동시에 실린더내에 편심배치된 회천체와, 실린더의 축방향의 끝부분에 끼워진 베어링 부재와, 케이스에 고정된 모터 고정자 및 이 모터 고정자의 내측에 배치되어 실린더에 동심적으로 바깥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모터 고정자와의 사이에 모터 에어갭을 개재시킨 모터 회전자로 되어 실린더와 회전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원형모양의 판으로 되어 케이스의 안쪽 벽면에 고정되어 그 판면을 케이스의 축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뻗게함과 동시에, 베어링 부재를 연결시켜 압축기구부 및 모터 회전자를 지지하고, 압축기구부 및 모터 회전자의 축심을 판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되게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했다.
또, 케이스와 케이스중에 배치된 실린더와, 바깥둘레부에 서서히 작아지는 피치로 형성된 나선형의 홈을 가지고 이 홈에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끼움과 함께 상기의 실린더중에 편심 배치된 회전체와, 케이스에 고정된 원통형의 모터 고정자 및 모터 고정자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실린더에 바깥쪽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모터 고정자와의 사이에 모터 에어갭을 개재시킨 모터 회전자로 되어 실린더와 회전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실린더의 축방향 끝 부분에 끼워짐과 함께, 모터 고정자의 내경 위치 보다도 축심에 배치설치된 고정구를 통하여 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된 베어링 부재를 구비했다.
또, 외부 둘레면이 모터 고정자의 내부 둘레면에 접하도록 외경을 설정함과 함께 내부 둘레면을 베어링부재의 바깥둘레면에 접하도록 설정된 베어링 부재 끼움용의 오목부를 갖는 마스터로터를, 모터 고정자의 내부에 삽입함과 함께 마스터로터를 베어링 부재에 끼우게하여, 베어링 부재의 축심과 모터 고정자의 축심과를 일치시키는 공정과, 마스터로터에 의해 베어링 부재의 자세를 조정한 그대로 베어링 부재를 케이스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정의 모터 에어갭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확보할수 있도록 하고, 유체 압축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제 1 도-제 4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항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에 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의 부호 "21"은 예를들어 냉동 사이클등에 이용되는 압축기를 나타내고 있다.
압축기(21)는, 원통모양의 밀폐 케이스(2)와, 밀폐 케이스(2)의 안에 넣어진 압축기구부(3), 및 압축기구부(3)와 동심적으로 설치된 압축기구부(3)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13)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중 밀폐 케이스(2)는, 축방향의 한쪽 끝부분을 개방한 케이스인 제1케이스(22)와, 똑같이 축방향의 한쪽 끝부분을 개방한 제2케이스(23)로 구성된다.
그리고, 밀폐 케이스(2)는, 제1케이스(22) 및 제2케이스(23)의 양쪽 개방부를 동심적으로 서로 맞닿게하여 기밀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의 압축기구부(3)는, 원통 모양의 실린더(4)와, 실린더(4) 안에 편심배치된 원주 모양의 회전체인 피스톤(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압축기구부(3)는 피스톤(5)에 나선형의 블레이드(10)를 구비하고 있고, 실린더(3)내에 블레이드(10)에 의해 나누어진 복수의 작동실(24)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압축기구부(3)는 작동실(24)을 실린더(4)의 축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함과 함께 작동실(24)의 용적을 실린더(4)의 흡입측인 도면중의 우측에서 토출측인 도면중의 좌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작아지게 한다.
또한, 압축기구부(3)는 실린더(4) 속에, 피스톤(5)의 자전을 규제하면서 실린더(4)의 회전을 피스톤(5)에 전달하는 올드햄(Oldham) 기구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압축기구부(3)는, 실린더(4)의 흡입측의 끝부분에 베어링 부재로서의 주 베어링(8)을 기밀적으로 끼우고 있다.
그리고, 압축기구부(3)는, 실린더(4)의 토출측의 끝부분에 부 베어링(9)을 기밀적으로 끼워 넣고 있다. 그리고, 압축기구부(3)는 피스톤(5)의 주축(6)을 주 베어링(8)에, 또한 부축(7)을 부 베어링(9)에 끼워넣고, 양쪽 베어링(8)(9)에 의해 피스톤(5)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구동 모터(13)는, 제1케이스(22)의 내부 둘레면(22a)에 고정된 고리 모양의 모터 고정자(11)와, 이 모터 고정자(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실린더(4)의 축방향 도중의 부위에 동심적으로 바깥에서 끼워 고정한 같은 고리 모양의 모터 회전자(1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13)는 양쪽 부재(11),(12)의 사이에, 모터 고정자(11)의 내경과 모터 회전자(12)의 외경과의 크기차에 의해 모터 에어갭(16)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 1 도중에 부호 "26"으로 나타낸 것은 주 베어링 지지부재이다.
상기 주 베어링 지지부재(26)는 원형 모양의 판으로 된 것으로, 한쪽의 판면(26a)을 제1케이스(22)의 바닥벽면(22b)에 접속시켜서 밀폐 케이스(2)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주 베어링 지지부재(26)는 그 축심을 밀폐 케이스(2)의 축심에 대략 평행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주 베어링 지지부재(26)는, 구동모터(13) 쪽으로 향한 노출측 판면(26b)이 고정밀도로 평탄하게 가공되어 있고, 상기 노출측판면(26b)은 밀폐 케이스(2)의 내부 둘레면(2a)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향해 있다.
그리고, 주 베어링 지지부(2b)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노출측 판면(26b)이 주 베어링(8)에 접속되어 있고, 주 베어링(8)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프랜지부(27)와 서로 겹쳐져 있다.
그리고, 주 베어링 지지부재(26)는 주 베어링(8)의 프랜지부(27)에 두께 방향으로 끼워진 볼트(28)에 의해 주 베어링(8)이 연결된다,
그리고, 주 베어링 지지부재(26)는 압축기구부(3)를 한쪽만 지지하고 있고, 압축기구부(3)(및 모터 회전자(12))의 축심을 모터 고정자(11)의 축심에 대략 일치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주 베어링 지지부(26)는, 주 베어링 지지부(26)의 두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의 케이스(22)의 저변부에 외측으로 부터 접속된 흡입관(29)과 주 베어링(8)내에 설치된 흡입구멍(30)과를 서로 연결하여 통하게 하는 흡입가스 통로(31)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밀폐 케이스(2)내에 토출된 고압 가스에 대해서 흡입 가스 통로(31)를 막기 위해서는 주 베어링 지지부재(26)의 외부 둘레면에 따라 링 용접에 의해 주 베어링 지지부(26)를 제1케이스(22)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볼트(28)는 모터 에어갭(16)을 주변 전체에 걸쳐 소정치로 유지하면서 조이는 작업을 하여, 부 베어링(8)(및 압축기구부(3))을 주 베어링 지지부재(26)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제 1 도중에 부호 "32"로 나타낸 것은 제1케이스(22)에 외측으로 부터 접속되어, 밀폐 케이스(2)내에 토출된 고압냉매가스를 밀폐 케이스(2)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관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의 압축기(21)로는, 제 5 도를 인용하여 나타낸듯한 프레임(14)을 구비하지 않고 주베어링(8)을 밀폐 케이스에 고정시키므로, 프레임(14) 외측의 불필요한 공간(15)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축방향의 전체 길이가 짧게 되고 압축기(21)가 소형으로 된다.
또한, 주 베어링 지지부재(26)를 통하여 주 베어링(8)(및 압축기구부(3))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주 베어링(8)을 위한 부착면, 즉 주 베어링 지지부재(26)의 노출측 판면(26b)과 밀폐 케이스(2)의 내부 둘레면(2a)과의 직각도가 용이하게 설정되고, 모터 에어갭(16)이 주변 전체에 걸쳐 자연히 소정치로 유지된다.
또한, 볼트(28)에 의해 주 베어링(8)을 주 베어링 지지부재(26)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주 베어링(8)의 주베어링 지지부재(26)로의 고정이 간단하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의 부호 "41"는 예를들어 냉동 사이클 등에 이용되는 압축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압축기(41)는 원통 모양의 밀폐 케이스(2)와, 밀폐 케이스(2)속에 수납된 압축기구(3), 및 압축기구부(3)와 동심적으로 설치된 압축기구부(3)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13)를 포함하고 있다
밀폐 케이스(2)는, 축방향의 한쪽끝을 개방한 케이스로서의 제1케이스(42)와, 같은 축방향의 한쪽끝을 개방한 제2케이스(43)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밀폐 케이스(2)는, 제1케이스(42) 및 제2케이스(43)의 양쪽 개방부를 동심적으로 서로 맞닿도록 하여 기밀적으로 결합함으로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제1케이스(42)의 내측 저변부의 중앙에는 주 베어링 지지부재(44)가 돌출되어 있다.
주 베어링 지지부재(44)는 제1케이스(4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주 베어링 부재(44)는 받는면(45)이 적당한 정도로 평탄하게 가공되어 있어, 받는면(45)을 제1케이스(42)의 축심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있게한 상태로 제1케이스(42)의 개방측 쪽으로 향하여 있다.
압축기구부(3)는, 원통 모양의 실린더(4)와, 실린더(4)내에 편심으로 배치된 원주형의 회전체인 피스톤(5)에 장치된 나선형의 블레이드(10)에 의해, 실린더(3)의 안에 실린더(4)의 흡입측에서 토출쪽으로 서서히 그 용적을 작게하는 복수의 작동실(2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압축기구부(3)는 실린더(4)의 흡입측의 끝 부분에 베어링 부재로서의 주 베어링(8)을 기밀적으로 끼워 넣고 있다.
또, 압축기구부(3)는 실린더(4)의 토출측의 끝부분에 부 베어링(9)을 기밀적으로 끼워 넣는다.
그리고, 압축기구부(3)는, 피스톤(5)의 주축(6)을 주 베어링(8)에 또한 부축(7)을 부 베어링(9)에 끼워넣고, 양쪽 베어링(8),(9)에 의해 피스톤(5)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압축기구부(3)는, 주 베어링(8)의 외측 끝면을 주 베어링 지지부재(44)의 받는면(45)에 접속시키고 있고, 주 베어링(8)의 지름 방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7)는 주 베어링 지지부재(44)에 겹쳐져 있다.
그리고, 압축기구부(3)는, 플랜지부(27)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46)을 주 베어링 지지부재(4)에 설치된 탭 구멍(47)에 대향시켜 연통되도록 한다.
관통구멍(46)과 탭구멍(47)과는 플랜지부(27)와 주 베어링 지지부재(44)에 걸쳐 연장된 볼트 구멍(48)(두개만 도시)을 구성하고 있고, 서로 대응하는 위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탭구멍(47)은 주 베어링 지지부재(44)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받는면(45)을 막음과 동시에 제1케이스(42)의 저변부의 두께 방향 도중의 위치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관통구멍(46)은 탭구멍(47)보다도 어느 정도 큰 지름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의 구동 모터(13)는, 제1케이스(42)의 내부 둘레면(42a) 고정된 고리 모양의 모터 고정자(11)와, 모터 고정자(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린더(4)의 축 방향도중의 위치에 동심적으로 바깥쪽에서 끼워 고정된 같은 고리 모양의 모터 회전자(12)로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 모터(13)는 양쪽 부재(11),(12) 사이에 모터 고정자(11)의 내경과 모터 회전자(12)의 외경과의 크기차에 의해 모터 에어갭(16)을 형성하고 있다.
모터 고정자(11)는, 서로 동심적으로 형성된 내부 둘레면(11a) 및 외부 둘레면(11b)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터 고정자(11)는 그 축심을 밀폐 케이스(2)의 축심에 대략 일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모터 고정자(11)는 실린더(4)의 외부 둘레면에 바깥에서 끼워 고정된 모터 회전자(12)를 그 내부에 위치시키고, 내부 둘레면(11a)과 모터 회전자(12)의 외부 둘레면(12a)과의 사이에 모터 에어갭(16)을 개재시키고 있다.
또한, 제3도중에 부호 "49"로 나타낸 것은 고정구로서의 볼트이다.
볼트(49)는 볼트 구멍(48)에 각각 조여져 있고, 주 베어링(8)(및 압축기구부(3))을 제1케이스(42)에 연결하고 고정시킨다.
그리고, 볼트(49)는 관통구멍(47)의 내부 둘레면과의 사이에 틈새(50)를 개재시키고 있다. 또, 볼트(49)는 주 베어링(8)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볼트(49)는 모터 고정자(11)의 내부 둘레면(11a)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을 따라서 나란히 있으며, 모터고정자(11)의 내부 둘레면(11a)보다도 내측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압축기(41)는 제 4 도중에 부호 "51"로 나타낸 듯한 마스터로터를 이용하여 조립된다. 즉, 마스터로터(51)는 원주형으로, 축부(52)의 선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마스터로터(51)는 외경이 모터 고정자(11)의 내경과 대략 같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로터(51)는 직선형상으로 연장된 양쪽끝단을 개구되는 동시에 볼트구멍(48)에 대응하도록 예를들어 동심원 형태로 설치된 작업용 구멍(53)을 포함하고 있다.
또, 마스터로터(51)는 선단중앙부에 원형으로 개구되고 그 내경을 주 베어링(8)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된 주 베어링(베어링 부재)을 끼우도록 된 오목부(54)를 포함한다.
또한, 압축기(41)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다.
우선, 미리 모터 고정자(11)를 부착한 제1케이스(22)의 주 베어링 지지부재(44)에 주 베어링(8)을 볼트(49)에 의해 임시 고정한다.
다음으로, 마스터로터(51)를 제1케이스(22)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마스터로터(51)를 모터 고정자(11)의 내측에 삽입하고, 마스터로터(51)의 외부 둘레면(51a)을 모터 고정자(11)의 내부 둘레면(11a)에 접촉시킨다.
또한, 마스터로터(51)의 선단부를 주 베어링(8)에 끼워 맞추어 주 베어링(8)을 오목부(54)내로 진입시켜, 오목부(54)의 내부 둘레면(54a)을 주 베어링(8)의 외부 둘레면(8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주 베어링(8)의 자세를 모터 고정자(11)에 맞추어 조정하고 주 베어링(8)의 축심을 모터 고정자(11)의 축심에 대해 일치시킨다.
그리고, 주 베어링(8)의 자세를 지지한 채, 마스터로터(51)의 작업용 구멍(53)에 공구등을 꽂고, 볼트(49)를 충분한 힘으로 조여, 주 베어링(8)을 제1케이스(42)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마스터로터(51)를 제1케이스(42)에서 빼낸후, 실린더(4) 및 피스톤(5)등을 주 베어링(8)에 붙여 압축기구부(3)를 형성한다.
여기서, 관통구멍(47) 내측의 빈틈(50)의 존재에 의해 주 베어링(8)은 마스터로터(51)와의 끼워 맞춤과 동시에, 또한 자동적으로 축심에 대해 수직 평면내의 위치 결정 조정을 행한다.
그리고, 주 베어링(8)은, 실린더(4) 및 모터 회전자(12)등을, 각각 축심을 모터 고정자(11)의 축심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한다.
즉, 상기의 압축기(41) 및 압축기(41)의 조립 방법으로는 모터 고정자(11)의 축심과 주 베어링(8)(및 실린더(4)와 모터 회전자(12)등)의 축심을 고정밀도로 일치시킬수 있다.
따라서, 모터 에어갭(16)을 편심시키지 않고 주위 전체에 따라 소정치로 유지할수 있다.
또한, 마스터로터(51)를 이용하여 주 베어링(8)의 자세 조정을 행하고 있으므로, 주 베어링(8)의 축심과 모터 고정자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볼트(49)를 모터 고정자(11)의 내부 둘레면(11a)보다도 내측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마스터로터(51)에 의해 주 베어링(8)의 자세조정을 한 채로 주 베어링(8)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에어갭(16)을 확보할수 있기 때문에 모터로의 입력이 안정되고,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모터 에어갭(16)의 편심을 방지할수 있으므로, 피스톤(5)에 회전 불규칙이 발생하기 어렵고, 압축기(41)의 진동이 작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 압축기는 그 용도를 냉동 사이클로 한정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원형 모양의 판으로 된 케이스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어 그 판면을 케이스의 축심에 대해 수직 방향을 따라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에 실린더의 축방향 끝부분에 끼워 맞추어진 베어링 부재를 연결하며, 지지부재에 의해 압축기구부, 및 모터 고정자와의 사이에 모터 에어갭을 개재시키는 모터 회전자를 지지하여, 압축기구부 및 모터 회전자의 축심을 판면에 수직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실린더의 축방향의 끝부분에 끼워 맞춘 베어링 부재를 모터 고정자의 내경 위치보다도 축심을 따라 설치된 고정구를 통하여 케이스내의 벽면에 고정했다.
또, 외부 둘레면이 모터 고정자의 내부 둘레면에 접하도록 그 외경을 설정함과 함께, 내부 둘레면을 베어링 부재의 외부 둘레면에 접하도록 설정된 베어링 부재를 끼워 맞추도록된 오목부를 갖는 마스터로터를 모터 고정자의 내부에 삽입함과 동시에 마스터로터를 베어링 부재에 끼워 맞춰 베어링 부재의 자세를 모터 고정자에 대해 조정하여 베어링 부재의 축심과 모터 고정자의 축심을 일치시키는 공정과, 마스터로터에 의해 베어링 부재의 자세를 조정한 채로 베어링 부재를 케이스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정의 모터 에어갭을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가 높게 확보할수 있고, 유체 압축기를 조립할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케이스와 이 케이스안에 배치된 실린더와, 외부둘레부로 서서히 작아진 피치로 형성된 나선형의 홈을 가지며, 이 홈에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상기의 실린더 안에 편심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의 끝부분에 끼워 맞춘 베어링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모터 고정자 및 이 모터 고정자의 안쪽에 배치되어 실린더에 동심적으로 바깥쪽에서 끼워짐과 함께 모터 고정자와의 사이에 모터 에어갭을 개재시킨 모터 회전자로 된 실린더와 회전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원형 모양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 끝단면에 그 판면을 케이스의 축심에 대해서 수직 방향을 따라서 고정시킴과 동시에 베어링 부재가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
  2. 케이스와, 케이스 안에 배치된 실린더와, 외부 둘레부에 서서히 작아진 피치로 형성된 나선형의 홈을 가지고 이 홈에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끼움과 동시에 실린더 안에 편심 설치된 회전체와, 케이스에 고정된 원통 모양의 모터 고정자 및 모터 고정자의 내측에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실린더에 바깥쪽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모터고정자와의 사이에 모터 에어갭을 개재시킨 모터 회전자로 되어 상기의 실린더와 회전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실린더의 축방향 끝부분에 끼워 맞춰짐과 함께 모터 고정자의 내경위치 보다도 축심을 따라 설치된 고정구를 통하여 케이스내의 벽면에 고정된 베어링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체 압축기.
  3. 외부 둘레면이 모터 고정자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외경을 설정함과 동시에, 내부 둘레면을 베어링 부재의 외부 둘레면에 접하도록 설정된 베어링 부재가 끼워 맞추어지도록된 오목부를 갖는 마스터로터를, 상기의 로터 고정자의 내부로 삽입함과 동시에 베어링 부재에 끼워 맞추어 베어링 부재의 자세를 모터 고정자에 대해 조정하여 베어링 부재의 축심과 모터 고정자의 축심과를 일치시키는 공정과, 마스터로터에 의해 베어링 부재의 자세를 조정한채로 베어링 부재를 케이스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축기의 조립방법.
KR1019900021889A 1989-12-26 1990-12-26 유체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KR940006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337524? 1989-12-26
JP33752489 1989-12-26
JP9843790A JPH041494A (ja) 1990-04-13 1990-04-13 流体圧縮機および流体圧縮機の組立方法
JP9630490A JPH041488A (ja) 1990-04-13 1990-04-13 流体圧縮機
JP9843290A JP2928582B2 (ja) 1989-12-26 1990-04-13 流体圧縮機
JP??02-096304? 1990-04-13
JP??02-098432? 1990-04-13
JP??02-098437? 1990-04-13
JP??02-098437 1990-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675A KR910018675A (ko) 1991-11-30
KR940006866B1 true KR940006866B1 (ko) 1994-07-28

Family

ID=2746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889A KR940006866B1 (ko) 1989-12-26 1990-12-26 유체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435193B1 (ko)
KR (1) KR940006866B1 (ko)
DE (1) DE690174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2048A (en) * 1991-06-25 1993-10-12 Kabushiki Kaisha Toshiba Fluid compressor having improved Oldham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1273B1 (en) * 1987-07-31 1993-02-03 Kabushiki Kaisha Toshiba Fluid compressor
DE3830746A1 (de) * 1987-09-10 1989-03-23 Toshiba Kawasaki Kk Stroemungsmittelverdichter
JPH02176189A (ja) * 1988-12-28 1990-07-09 Toshiba Corp 流体圧縮機
JPH02176185A (ja) * 1988-12-28 1990-07-09 Toshiba Corp 流体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35193A3 (en) 1992-02-19
DE69017403D1 (de) 1995-04-06
DE69017403T2 (de) 1995-08-10
EP0435193B1 (en) 1995-03-01
KR910018675A (ko) 1991-11-30
EP0435193A2 (en) 199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016B1 (ko) 스크롤압축기
US7455508B2 (en) Scroll type fluid machine having counter weight provided on driving bush and sub weight radially protruding from rotary shaft
KR102027695B1 (ko) 스크롤 압축기
US4826408A (en) Two-cylinder rotary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926171B1 (en) Scroll compressor, vehicle air conditioner and vehicle
KR0151746B1 (ko) 스크로울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US4548556A (en) Interfitting mechanism of spiral elements for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EP0475545B1 (en) Scroll type fluid machinery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JP2001082334A (ja) 電動圧縮機
KR940006866B1 (ko) 유체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EP0601958B1 (en) Sound abatement in rotary compressors
JPH0942170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5310324A (en) Scroll-type fluid machine with attaching means for the balance weight
JP2021513625A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20060153705A1 (en) Drive shaft for compressor
US20060013708A1 (en) Drive shaft for compressor
JPH0914137A (ja) 流体圧縮機
JPH041494A (ja) 流体圧縮機および流体圧縮機の組立方法
JPS61108887A (ja) ロ−タリ圧縮機
JP3670307B2 (ja) 流体圧縮機
JPH11294361A (ja) 密閉型圧縮機及び密閉型圧縮機のステータ固定方法
JPS63235683A (ja) スクロ−ル型流体装置
KR100339583B1 (ko) 압축기의 갭 게이지 취부구조
JPH04116283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9173658A (ja) 電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