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257B1 -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257B1
KR940006257B1 KR1019890001953A KR890001953A KR940006257B1 KR 940006257 B1 KR940006257 B1 KR 940006257B1 KR 1019890001953 A KR1019890001953 A KR 1019890001953A KR 890001953 A KR890001953 A KR 890001953A KR 940006257 B1 KR940006257 B1 KR 94000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synthetic fiber
hbcd
melting poin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272A (ko
Inventor
에쯔오 이또
마사나리 마쯔무라
가즈히꼬 이시하라
도시아끼 도우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미우라 다까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미우라 다까히꼬 filed Critical 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3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5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halogenated hydrocarb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
본 발명은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폴리에스테르, 카티온염색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등 합성섬유 및 필름등 혹은 이들의 혼합소재 또는 셀룰로스계의 섬유등 합성섬유 이외의 섬유와의 복합소재등에 방염가공을 할때 특히 염색동욕법(염색과 동시에 방염가공을 하는 방법)에 사용하는 경우에 적절한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사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섬유재료등을 침염할때 및 서모졸염색을 할때 1, 2, 5, 6, 9, 10-헥사브로모사이클로데칸(이하 HBCD라 한다)을 물로 분산하고 동욕계로 방염가공을 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HBCD의 합성섬유재료등에로의 흡착성이 낮은데 따른 문제가 있었다.
특히 염색동옥계에서는 염색중에 HBCD의 미흡착분이 다량잔류함에 따라 염색기계등(이하 염색조)에서 괴상물질 또는 타르모양의 물질이 발생하고 이것이 염색조를 오염시키거나 또는 피염색물에 부착되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HBCD에는 그 제조방법이나 조건이 다름에 따라 여러가지의 입체이성체가 존재하는 것이 일본특공소 49-24474호, 일본 특공소 49-24475호, 및 일본 특공소 50-51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 이성체는 제조방법이나 제조조건의 차이에 의해 그 존재비율 및 결정성이 다르지만 대별하면 195℃ 이상의 융점을 갖는 화합물과 160℃ 미만의 융점을 갖는 화합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은 전술한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각각 제조할 수도 있지만 이미 알려진 종래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따르면 혼재된 상태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각양각색의 입체이성체의 분별은 RPC(역상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또는 HBCD에 대해 선택적인 용해성을 나타내는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탄올, 메탄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등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등의 케톤, 혹은 이러한 혼합용제를 분리용제로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에틸셀로솔브와 메탄올과의 혼합용제(중량비 1 : 1)가 분리용제로 적절하다.
이와같이 분별된 HBCD화합물은 그 정제도에도 의존하지만 보통 단일한 입체이성체는 아니고 모두 여러종의 입체이성체의 혼합물로서 얻어지며 그 혼합물(혼합체)이 하나의 융점을 갖는 화합물로써 식별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융점이라는 것은 이 복합체의 융점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융점이 다른 HBCD 화합물이 염색과 동시에 방염가공을 하는 가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세히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했다.
① 195℃ 이상의 융점을 갖는 HBCD 화합물은 합성섬유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흡착력이 160℃ 미만의 융점을 갖는 화합물의 30-50%에 불과하다.
② 한편 융점이 160℃ 미만인 화합물은 합성섬유에 대한 흡착력이 195℃이상의 융점을 갖는 화합물의 2-3배이다.
그러나 예를들면 염색과 동시에 방염가공을 하는 방법에 사용한 경우, 미흡착의 저융점화합물이 염욕에 잔존하거나 또는 저융점화합물이 염료를 일부지님에 의해 이들이 타르형태의 침전물로 되어 염색조 또는 피염색물에 부착되는 오염을 일으키기 쉽다.
③ 염색동욕법에서 195℃이상의 융점을 갖는 HBCD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염색욕액중에 미흡착된 HBCD가 잔존해도 응결이나 응집되는 일은 없고 물세척등의 간단한 방법으로 피염색물 및 염색조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④ 또 HBCD의 저융점화합물(특히 130℃이하의 융점을 갖는 HBCD화합물)은 합성섬유에로의 흡착력이 낮은 융점 195℃이상의 HBCD 화합물이 합성섬유에 흡착될때 그 흡착력을 증진하는 효과(운반체로서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위의 사실에 의거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뛰어난 난연성을 가지며 특히 염색 동욕계에서 염색조 및 피염색물의 오염성이 적은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트랜스-트랜스-시스-사이클로도데카트리엔을 브롬화해서 얻어지는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으로서 융점이 195℃이상의 화합물 75-95중량부와 융점 160℃ 미만의 화합물 25-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이다.
전술한 대로 본 발명은 HBCD의 여러 입체이성체중 융점이 195℃ 이상인 화합물과 160℃미만인 화합물이 합성섬유 재료에 대한 흡착성 및 염색동욕법에 있어서의 염색조 및 피염색물의 오염성이라는 면에서 각각 다른 기능을 갖는다고 하는 사실에 기초해 이융점 195℃이상인 화합물과 160℃ 미만인 화합물을 특정비율로 조정혼합시켜 합성섬유에 대한 흡착성 및 염색동욕법에 있어서의 염색조 및 피염색물의 오염성이 개량된 합성 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HBCD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방염가공제의 성능은 전술한 대로 저흡착성 및 저염색조오염성을 갖는 195℃이상의 융점의 HBCD 화합물과 고흡착성 및 고염색조 오염성을 갖는 160℃ 미만의 융점의 HBCD 화합물과의 조정혼합비율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는 195℃이상의 융점을 갖는 HBCD 화합물 75-95중량부에 대해 160℃ 미만의 융점을 갖는 HBCD 화합물 25-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95℃ 이상의 융점을 갖는 HBCD 화합물 80-90중량부에 대한 160℃ 미만의 융점을 갖는 HBCD 화합물 20-10 중량부로 조정해서 혼재시킨 것이다.
195℃이상의 융점을 갖는 HBCD 화합물이 전술한 비율보다 많은 경우에는 피염색물의 오염성 및 염색조의 오염성이라는 점에서는 문제가 되지않아도 피염색물에 방염성능이 충분히 부여되지 않는다.
또 역으로 160℃ 미만의 융점을 갖는 HBCD 화합물이 전술한 비율보다 많은 경우에는 피염색물의 방염성능은 문제가 되지않아도 피염색물 및 염색조의 오염제거력이 떨어진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염색동욕계에 적용될때 동일 염색조에서의 계속성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염색후에 오염물제거공정을 복잡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염색 공정전체의 저효율화를 초래하며 나아가서는 염색공정의 경제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또 저융점의 HBCD 화합물은 열로 착색이 용이하므로 이것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피염색물의 색변화의 원인이 되므로 그 조정혼합비율이 제한되는 것이다.
전술한 고융점의 HBCD화합물(융점 195℃이상의 화합물)과 저융점의 HBCD화합물(융점 160℃미만의 화합물)을 목적하는 비율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공보에 기재된 제조법으로 고융점화합물과 저융점화합물을 별도로 합성하고 이들을 목적하는 비율로 혼합해도 좋고 또는 트랜스-트랜스-시스-사이클로도데카트리엔을 브롬화하는 이미 알려져 있던 HBCD의 제조방법중에서 목적으로 하는 비율로 되도록한 제조방법을 선택해서 실시해도 좋다.
그리고 트랜스-트랜스-사스-사이클로도데카르리엔을 브롬화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HBCD화합물을 저급 알코올, 케톤 등 선택적 용해성을 나타내는 용매를 사용해서 고융점화합물(융점 195℃이상인 화합물)과 저융점화합물(융점 160℃미만의 화합물)로 분리한후 양자를 목적으로 하는 비율로 조정혼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를 미립화해서 분산하기 위해서는 조정혼합물을 건식분쇄기를 사용해서 미립화 한뒤 소망하는 분산제 혹은 보호콜로이드제와 혼합해도 좋다.
그러나 건식분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염가공제가 미립화시에 생기는 절단열에 의해 기계내부에서 서로 응착 또는 응결하므로 효과적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를 미립화해서 분산하기 위해서는 습식미립화분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미립화분산기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를 미립화해서 분산할때에 사용하는 미립화분산조제에 대하여 예를들면 일본 특공소 53-8840호 공보 및 일본 특공소 59-3603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섬유공업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분산제 혹은 보호콜로이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분산제로는 리그닌술폰산염, 방향족 술폰산, 긴체인의 알킬기로 치환된 포화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술폰산과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 생성물, 알킬페놀-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산-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족아민-에틸렌 옥사이드부가물, 지방족알콜-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치환된 벤즈이미다졸, 술폰화된 지방산아미드등이 있다.
또 보호콜로이드제로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아크릴산계 또는 메타크릴산계의 폴리머와 코플리머,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젤라틴, 카제인산, 전분, 천연고무(로커스트 빈검, 구어검, 잔산검등)등이다.
특히 수계처리액에 있어서의 HBCD화합물의 미립화분산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미립화분산액의 저장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분산제 및/또는 보호콜로이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를 수계분산방염가공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산제 및/또는 보호콜로이드제의 종류 및 이들의 사용량을 선정할 필요가 있고 이들이 수계방염가공제의 저장안전성 및 희석안정성과 함께 습식미립화분산기에서의 분쇄효율을 좌우한다.
HBCD화합물, 분산제 및/또는 보호콜로이드제 및 물로 이루어지는 수계분산방염가공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각 성분의 사용량은 HBCD화합물이 100-800g/kg, 적절하게는 300-700g/kg이며 분산제 및/또는 보호콜로이드제가 0-100g/kg 적당하게는 1-80g/kg이며 나머지는 물이면 바람직하다.
수계분산방염가공제는 전술한 HBCD화합물, 분산제 및/또는 보호콜로이드제, 그리고 물을 프리믹스용 교반기가 부착된 혼합기에 넣어 조분산액을 조제하고 이어서 이것을 습식미립화분산기에 넣어 미립화하고 분산시켜 얻는다.
이러한 미립화와 분산에서 분산제 및 보호콜로이드제는 어느것이든 하나를 첨가해도 좋고 둘다 첨가해도 좋다.
또 분산제의 단독첨가하에서 미립화해서 분산한 경우에는 중점안정성을 부여하기위해 분쇄종료후 미립화 분산액에 보호콜로이드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해도 좋다.
역으로 보호콜로이드제의 단독첨가하에서 미립화해서 분산한 경우에는 유동성을 양호하게 하기위해 분쇄 종료후 미립화해서 만든 분산액에 분산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해도 좋다.
분산제와 보호콜로이드제 모두를 첨가해서 미립화해 분산하는 경우에는 미립화해서 만든 분산액의 안정성 및 유동성을 고려해서 각각의 첨가량을 설정하면 좋다.
또 미립화해서 만든 분산액의 취급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제 및/또는 보호콜로이드제를 분할첨가해도 좋다. 어쨋든, 첨가한 분산제 혹은 보호콜로이드제에 의해 미립화해서 분산할때 점도가 떨어지거나 증가하는 현상이 생기고 이때문에 미립화의 효율이 떨어지므로 미립화에 의한 분산효율이 좋고 그리고 저장안정성, 희석안정성, 및 유동성이 좋도록 미립화분산조제의 첨가방법을 감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과 같이해서 얻어지는 미립화된 분산액중의 HBCD의 입자의 크기가 방염가공처리에 주는 실제적인 영향은 불명확하지만 피처리합성섬유표면에로의 배향성(配向性) 배향밀도(이것이 높으면 보다 섬유에 흡착되기 쉽다고 생각되어진다), 미립화된 분산액의 저장안정성, 및 사용시 균일분산성에 주는 영향등을 고려하면 입자의 크기는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평균입자지름은 10μ 이하가 적절하고 보다 적절한 것은 5μ이하, 최적은 1-2μ이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는 다른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으며 예를들면 3산화 안티몬등의 무기화합물계의 난연조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등을 배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는 합성섬유재료의 소재 및 제품에 적용된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카티온가염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등의 솜모양의 섬유, 실, 직물, 편물, 필름, 펠트등을 방염가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방염가공법으로는 전부터 알려진 염색동욕법, 서머졸법, 고팅방법등이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염색동욕법에서는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의 특징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같은 실시예에만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하 부는 중량부, %는 중량%이다.
HBCD화합물의 제조 및 분석
트랜스-트랜스-시스-사이클로도데카트리엔을 브롬화시켜 제조한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다이이찌 코교 세이야꾸사가 제조한 피로가드 SR-103) 100부, 에틸셀로솔브 100부, 및 메탄올 100부를 혼합교반기에 넣고 70-80℃의 온도하에서 1시간동안 교반혼합했다.
1시간 경과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여과해 여과 잔류물인 습상백색분체와 여과액(a)으로 분리했다.
이 습상백색분체(여과잔류물)와 메탄올(100부)을 혼합 교반기에 넣고 재차 70-80℃의 온도하에서 1시간동안 교반혼합했다.
1시간 경과후 실온까지 냉각해서 여과해 여과잔류물과 여과액(b)을 얻었다.
여과잔류물로 회수된 습상백색분체를 650℃로 감압건조 했더니, 70.1부 였다(이것을 본 드라이 제품(a)이라 한다).
전술한 여과액(a)(b)을 500ml 용량의 플라스크에 넣고 로타리증발기로 실온에서 60-80℃까지 점진적으로 올리면서 감압해 에틸셀로솔브와 메탄올을 증류해 제거한뒤 얻어진 갈색수지형상의 물질을 분쇄했다.
이 갈색분쇄물을 다시 50℃로 감압건조 했더니 29.2부였다. (이것을 본드라이제품(b)이라 한다).
이같이 해서 얻은 본 드라이제품(a)(b)을 R.P.C.(역상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고 융점을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R.P.C. 분석 및 융점측정의 조건은 아래와 같다.
(1) R.P.C. 분석
사용기기 : 시마즈 LC∼4A
사용칼럼 : ODS-120A(토요 소다 제품)
길이×직경 300mm×4mm
시료용해용제 : 아세토니트릴
분해(전개)용매 및 분배조건 : 유량 1ml/분
아세토니트릴과 증류수의 혼합용매(용량비 85/15)를 5분간 흐르도록 한뒤 최종적으로 아세토니트릴 단독용매로 되도록 아세토니트릴의 비율을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15분간 계속해서 흐르도록 했다.
(2) 융점측정
사용기기 : 메틀러 FP-61
온도상승 비율 : 3℃/분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선택된 용해능을 나타내는 저급알콜계 용제를 사용해서 분별된 HBCD 화합물은 각각 단일의 융점을 나타낸다.
그러나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이들의 HBCD화합물은 각각 단일 결정구조물은 아니고 수종의 결정 구조물의 복합체이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전술한 HBCD 화합물의 제조 및 분석에서 얻어진 융점이 다른 2종류의 화합물을 사용하고 각각의 화합물의 혼합비율을 표 3에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미립화 분산액을 얻었다.
미립화 분산액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하여 얻었다.
즉 표 3에 나타내는 (A) HBCD의 고융점 화합물 및 저융점 화합물의 혼합비율을 변화시킨 것 (C) 보호콜로이드제 및 (D)물의 각 소정량을 10-15분간 미리 섞고, 이것을 2ℓ 용량의 비스코밀(이가라시 기계 공업(주) 제조)에 1ℓ/min의 비율로 보내 넣으면서 연속적으로 혼합 분쇄해서 수계분산액을 얻었다.
분산물의 입도인자를 검토요소에서 분리하기 위해 평균 입도를 1-2μ으로 조성했다.
[표 3]
Figure kpo00003
*1 카르보닐메틸셀룰로오스
*2 (주)시마즈 제작소 제조 원심식 입도 분표측정기 SA-CP-II형을 사용해서 측정.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서 얻어진 미립화 분산액을 방염가공제로서 이용해서 염색동욕처리를 행하여 가공포의 방염성과 색변화 또한 가공포 및 염색조에의 오염물의 부착에 대해서 검토했다.
염색동욕처리는 표리양면에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중앙부에 카티온(cation) 가염폴리에스테르를 배합한 폴리에스테르계 직포(26g/m2)에 대하여 표 4의 기재와 같은 조건으로 행했다.
염료로서는 Kayacry Billiant Yellow 5GL-ED(닛뽄가야꾸 (주)제조)를 2% owf 및 Kayalon Polyester Blue T-S를 0.3% owf 이용했다.
분산제로서는 칼라졸 ACE-81(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 (주)제조)를 0.5g/ℓ 이용했다.
또한 초산으로 염색욕을 pH5로 조정했다.
염색기로서는 60ℓ용 미니써큘러 시험기(니치한 세이사꾸쇼(주) 제조 모델 Cut-T-S)를 이용하여 60℃에서 매분 3℃의 승온 속도에서 130℃로 승온하고 동온도를 1시간 유지한후 다시 80℃로 온도를 내리는 처방으로 염색을 실시했다.
또한 가공포 및 염색조에의 방염가공제의 오염을 검출하기 위해 동일 배합조성의 염색욕을 이용해서 염색-폐액-수세-염색을 반복해서 실시했다.
가공포 및 염색조에 오염이 관찰된 시점에서 그 염색욕에서의 염색 검토를 중지했다.
그래서 염색후의 방염가공제의 수착량은 전술한 소정의 염색을 행한후 수착한 Br을 X선 형광 분석법으로 분석해서 정량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표 4]
Figure kpo00004
*1 HBCD화합물의 함유율은 45%이다.
*2 가공처리포에 있어서 5개소의 HBCD 수착량의 평균값이다.
*3 JISL-1091A법 45°착염 3초법으로 측정
*4, *5 동일 배합조성의 염색욕으로 염색 폐액 수세 염색을 반복해서 실시하고 가공포 및 염색조에 색변화 또는 오염이 관찰된 시점에서의 염색 회수이다.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HBCD의 융점 160℃ 미만의 화합물이 많아짐에 따라 HBCD 화합물의 폴리에스테르계 직포에의 수착성이 좋아지고 그에따라 가공포의 난연성능도 좋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동일 배합조성의 염색욕에서의 염색회수를 보면 HBCD의 융점 195℃이상의 화합물이 많아지면 급격히 그 염색조 오염성이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염색공정의 경제성을 크게 좌우한다.
이상에서 밝혀진것처럼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에 있어서는 HBCD이 융점 195℃이상의 화합물과 160℃미만의 화합물과의 비율은 전자 75-95중량부에 대해서 후자 28-5 중량부로 상당히 좁은 범위로 규제하고 있으므로 난연성능이 충분하고 특히 염색 공정의 경제성이 좋다.
[실시예 6-10 및 비교예 6-8]
HBCD에는 그 원료로서 트랜스-트랜스-트랜스-사이클로도데카트리엔 및 트랜스-트랜스-비스-사이클로도데카트리엔의 어느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혹은 브롬화 할때의 반응온도, 반응용제, 촉매의 종류등의 제조조건을 변경함에 따라 여러가지 입체이성체가 존재한다.
따라서 HBCD화합물은 통상 2개 이상의 융점을 갖는 혼합물로서 합성된다.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는 융점이 다른 HBCD화합물이 각각 어떤 기능을 갖는가에 착안하여 그 기능을 밝힘에 따라 달성된 것이다.
여기서 트랜스-트랜스-시스-사이클로도데카트리엔을 브롬화해서 제조된 여러가지의 HBCD 화합물에 대해서, 전술의 HBCD화합물의 제조 및 분석에 기재한 선택적 용해능을 나타낸 저급 알콜계 용제를 사용해서 융점 195℃ 이상의 것과 융점160℃ 미만의 것과의 존재비율(혼재비율)을 정량하고, 그들의 HBCD화합물이 어떤 성능을 나타내는가에 대하여 검토했다.
또 미립화 분산의 처방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행했다.
결과를 제5도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실시예 6-10 및 비교예 6-8의 미립화 분산액의 성능을 보기위해 사용예 1에서 기재한 평가방법에 준해서 검토했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표 5]
Figure kpo00005
*1 비교예 6에서 이용한(A)는 실시예 6에서 이용한(A)를 메타놀세정을 반복한 후에 감압건조(80℃)해서 얻은 것이다.
*2, 각각 표 3의 1, 2와 같다.
[표 6]
Figure kpo00006
*1, *2, *3, *4, *5는 표 4와 동일
표 5 및 표 6의 결과에서 밝힌것처럼 HBCD화합물의 합성방법의 여하에 불구하고 HBCD의 융점 195℃ 이상의 화합물과 160℃ 미만의 화합물과의 비율이 전자 75-95중량부에 대해서 후자 25-5중량부로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전자 80-90중량부에 대해서 후자 20-10중량부로 되도록 HBCD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면 본 발명의 목적에 합치하는 방염가공제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1-20 및 비교예 9-17]
전술의 HBCD화합물의 제조 및 분석에 얻어진 융점이 다른 2종류의 HBCD화합물을 사용해서 그들을 특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미립화 분산조제로서 사용하는 분산제 및 보호콜로이드재의 종류 및 첨가량이 다르게 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방염가공제의 성능이 다른가 어떤가에 대하여 검토했다.
또 미립화 분산의 처방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 기재한 방법에 준해서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표 7-1 및 표 7-2에 나타낸 (A) HBCD의 고융점 화합물 및 저융점 화합물의 혼합비율을 변화시킨것, (B) 분산제 또는 (C) 보호콜로이드제 및 (D) 물의 각 소정량을 10-15분간 미리섞어서 이들을 2ℓ용 비스코밀(이바라시 기계공업(주)제조)에 1ℓ/min의 비율로 보내 넣어서 연속적으로 혼합분쇄하고 분산체의 평균입도를 1-2ℓ으로 조정했다.
경우에 따라 점도조정을 위해 혹은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E) 보호 콜로이드제 혹은 (F)분산제를 첨가해서 5-10분간 아프터 믹싱했다.
[표 7-1]
Figure kpo00007
라베린 FH-L : 사이이찌고교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나프탈린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Na염)
노이겐 ET-149 : 다이이찌고교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비이온계면활성제)
셀로겐 BS : 다이이찌고교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Na염)
*1은 표 3의 *2와 같음
[표 7-2]
Figure kpo00008
*1은 표 7-1과 같음
[실시예 3]
실시예 11-20 및 비교예 9-17에서 얻어진 미립화 분산액(방염가공제)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예 1에 기재한 방법에 준해서 검토했다.
그 결과를 표 8-1 및 표 8-2에 나타냈다.
[표 8-1]
Figure kpo00009
*1, *2, *3, *4, *5는 표 4와 동일
[표 8-2]
Figure kpo00010
*1, *2, *3, *4, *5는 표 4와 동일

Claims (5)

  1. 트랜스-트랜스-시스-사이클로도데카트리엔을 브롬화해서 얻어진 헥사 브로모 사이클로도데칸으로서 융점 195℃이상의 화합물 75-95중량부와, 융점 160℃미만의 화합물 25-5중량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2. 제1항에 있어서, 미립화 분산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미립화 분산조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4. 합성섬유재료를 침염할때 제1항의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염료로 구성되는 염색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전술한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를 미립화 분산상태로 하기 위하여 미리 습식미립화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 방법.
KR1019890001953A 1988-02-19 1989-02-18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 KR940006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37738A JPH01213474A (ja) 1988-02-19 1988-02-19 合成繊維材料用防炎加工剤、および防炎加工方法
JP??63-37738 1988-02-19
JP?63-37738 1988-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272A KR890013272A (ko) 1989-09-22
KR940006257B1 true KR940006257B1 (ko) 1994-07-13

Family

ID=1250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953A KR940006257B1 (ko) 1988-02-19 1989-02-18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33412A (ko)
JP (1) JPH01213474A (ko)
KR (1) KR940006257B1 (ko)
DE (1) DE390492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4848A (en) * 1990-02-05 1991-04-02 Ethyl Corporation Method of elevating the melting point of a hexabromocyclododecane product
IL97107A0 (en) * 1990-03-05 1992-03-29 Ethyl Corp Production of hexabromocyclododecane
US6303664B1 (en) 1999-10-29 2001-10-16 Styrochem Delaware, Inc. Treatment for reducing residual carbon in the lost foam process
US6710094B2 (en) 1999-12-29 2004-03-23 Styrochem Delaware, Inc. Processes for preparing patterns for use in metal castings
US6759127B1 (en) * 2001-09-27 2004-07-06 Precision Fabrics Group, Inc. Treated inherently flame resistant polyester fabric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18149C2 (de) * 1959-08-22 1974-12-19 Basf Ag Flammschutzmittel fuer kunststoffe
NL293800A (ko) * 1962-06-08
US3432461A (en) * 1966-07-08 1969-03-11 Phillips Petroleum Co Flame-proofing additives and resins containing the same
DE1290543B (de) * 1967-05-12 1969-03-13 Kalk Chemische Fabr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exabromcyclododecan
US3544641A (en) * 1967-12-28 1970-12-01 Cities Service Co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olid multibromoalkane or cycloa cts
US3833675A (en) * 1970-12-18 1974-09-03 Cities Service Co Bromina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in mixed solvents
US3849371A (en) * 1972-01-31 1974-11-19 Cities Service Co Thermally stable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compositions
JPS4924475A (ko) * 1972-06-30 1974-03-04
AU6218573A (en) * 1972-11-22 1975-05-08 Preston H R 5 gallon drum cold vacuum closer
JPS5418996A (en) * 1977-07-13 1979-02-13 Ciba Geigy Ag Stabilized aqueous suspension of bromine containing organic compound containing water insoluble inorganic thickener and application of said suspension to fiber substance to impart fireproofness
JPS62238868A (ja) * 1986-04-11 1987-10-19 大和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繊維の難燃加工剤
JPS62257464A (ja) * 1986-04-30 1987-11-10 セ−レン株式会社 合成繊維もしくは合成樹脂材料の難燃化処理方法
JPS63188634A (ja) * 1987-01-29 1988-08-04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ヘキサブロモシクロドデカン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33412A (en) 1990-06-12
JPH0335430B2 (ko) 1991-05-28
DE3904925C2 (de) 1995-04-13
JPH01213474A (ja) 1989-08-28
KR890013272A (ko) 1989-09-22
DE3904925A1 (de) 198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7586A1 (en) Flame-retardant polyester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940006257B1 (ko) 합성섬유재료용 방염가공제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섬유재료의 방염가공방법
EP0280654A1 (d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fotochemischen Stabilität von Färbungen auf Polyesterfasermaterialien
DE2856222B2 (de) Wäßrige Farbstoffpräparate von in Wasser schwerlöslichen Farbstoffe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EP0544676B1 (de) Staubarme oder staubfreie farbstoffpräparationen
EP0044996B1 (de) Mischungen von optischen Aufhellern
JPH0116868B2 (ko)
CN111117290B (zh) 一种分散红染料组合物及染料制品
DE60028788T2 (de) Optische aufhellergemische
JPH0153303B2 (ko)
WO2005088004A2 (de) Verfahren zum optischen aufhellen von synthetischen fasern oder von synthetischen fasern in mischung mit natürlichen fasern
DE2810139A1 (de) 1,4-bis-(2'-methyl-6'-ethylanilino)- anthrachinon sowie hiermit gefaerbte metallhaltige polypropylenfasern
EP0675174A1 (en) Dye composition and method of dyeing hydrophobic fiber therewith
Leube Quality Dyes: Quality Dyeing.
EP0336163A1 (de) Mischungen von Monoazofarbstoffen
JPH0770924A (ja) ポリエステル系繊維製品の防炎加工剤および防炎加工方法
JPH01168970A (ja) ポリエステル系繊維材料の難燃加工方法
CN109880401A (zh) 一种分散蓝染料及其制备工艺
JP2002327370A (ja) ポリエステル系繊維材料用防炎加工剤、及び防炎加工法
JPH07258571A (ja) 赤色分散染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疎水性繊維材料の染色法
JPH03113072A (ja) 合成繊維材料用防炎加工剤
CN109181362B (zh) 一种高水洗牢度的橙色分散染料混合物
US4211814A (en) Method for the fireproofing of synthetic fiber material
CN117820874A (zh) 分散染料组合物、分散染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0647686A1 (en) Disperse dye composition and method for dyeing hydrophobic fibers with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