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116B1 -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116B1
KR940006116B1 KR1019910006183A KR910006183A KR940006116B1 KR 940006116 B1 KR940006116 B1 KR 940006116B1 KR 1019910006183 A KR1019910006183 A KR 1019910006183A KR 910006183 A KR910006183 A KR 910006183A KR 940006116 B1 KR940006116 B1 KR 940006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rol
torque converter
hydraulic pressure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703A (ko
Inventor
타꾸지 후지하라
타쯔토시 미조데
히로미쯔 이시이
카즈오 타께모또
후미아끼 바바
시게루 나가야마
오사무 와따나베
코오이찌로 타께우찌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03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49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421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83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139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40569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3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three chamber system, i.e. comprising a separated, closed chamber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ng a lock-up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94Single disk type lock-up clutch, i.e. using a single disc engaged between fric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5Solenoid valve using PWM or duty-cycl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3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16H2061/145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slip, e.g. approaching target slip va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개략도.
제2도는 록업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1도의 자동변속기내에 내장된 유압제어회로의 회로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유압회로의 동작시의 다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2개의 실사이의 유압차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7도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와 제2파일럿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8도는 해제압과 체결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9도는 충격비와 압력차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2도와 유사한 유압제어회로를 도시한 개략도.
제11도는 충격비와 압력차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의 유압제어회로를 도시한 개략도.
제13도는 제12도의 유압제어회로의 압력제어의 순서도.
제14도는 솔레노이드밸브에 대한 신호와 체결력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15도는 제14도와 유사한 종래의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오크 콘버어터 2 : 엔진출력축
3 : 케이스 4 : 펌프
5 : 터어빈 6 : 고정자
7 : 원웨이 클러치 8 : 터어빈축
9 : 축 10 : 변속기어기구
12 : 유성기어기구 13, 14, 15, 16, 18 : 기어
17 : 캐리어 21, 22, 24, 26, 27 : 클러치
23, 25 : 브레이크 30 : 록업클러치
31 : 토오션댐퍼 32 : 댐퍼피스톤
33 : R실 34 : F실
36 : 콘버어터커버 40 : 유압제어회로
50 : 록업시프트밸브 54, 55, 63 : 스푸울
56, 63 : 스프링 60 : 조절밸브
71 : 온-오프솔레노이드밸브 72 : 충격솔레노이드밸브
75 : 오일냉각기 76 : 체크밸브
90 : 오일펌프
본 발명은 록업클러치를 구비한 토오크 콘버어터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에는 엔진토오크를 확대시키기 위한 토오크 콘버어터가 장착되어 있다. 이 토오크 콘버어터는 엔진토오크를 유압식으로 확대시킬 뿐만아니라 그것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차량의 자동변속기에 설치된 토오크 콘버어터의 분야에 있어서는, 차량의 소정의 차량동작상태에 있을때 자동변속기의 입력부재와 엔진출력부재를 직접 연결하는 록업클러치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1987년 12월 24일에 공개된 일본국 특개소 62-297567호 공보에는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된 콘버어터커버와 터어빈축에 연결된 댐퍼피스톤을 가지고 댐퍼피스톤의 앞뒤쪽에 형성된 유압실로 도입되는 유압에 따라 댐퍼피스톤을 콘버어터커버에 마찰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록업클러치를 갖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토오크 콘버어터를 토오크 콘버어터를 통해서만 엔진토오크를 유압식으로 전달하는 토오크 콘버어터상태와, 록업클러치에 의해서만 엔진토오크를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록업상태와, 그리고 록업클러치와 토오크 콘버어터 양쪽에 의해서 엔진토오크를 전달하는 슬립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슬립상태에서는, 콘버어터커버와 댐퍼피스톤사이의 목표슬립률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압실의 유압이 제어된다.
이 장치는 압력조정기, 제어밸브, 게이트밸브, 공기빼기밸브 및 체크밸브등의 다양한 장치를 필요로 하여 그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에 비추어, 미합중국 특허 제4,989,702호에는, 콘버어터상태, 록업상태 및 슬립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다른 위치를 취하는 한쌍의 병렬스푸울이 설치된 시프트밸브를 포함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간단하고, 콤팩트한 유압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 제4,989,702호에 개시된 유압제어장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유압실내의 유압이 갑자기 변화하여 슬립상태, 콘버어터상태 및 록업상태간의 원활한 전이를 성취하는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버어터상태, 록업상태 및 슬립상태간에 원활하게 변화할 수 있는 록업클러치를 구비한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록업클러치를 구비한 유압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콘버어터상태, 록업상태 및 슬립상태간의 원활한 전이를 성취할 수 있는 단일구조의 유압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토오크 콘버어터의 입력부재와 출력부재를 직결하기 위하여 상기 토오크 콘버어터내에 설치된 록업클러치수단과,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의 위치에 따라서 록업클러치수단상에 작용하는 체결압과 해제압의 도입을 시프트하기 위하여 슬리이브내에 직렬로 배치된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을 가지는 시프트밸브수단과, 상기 제1스푸울은 그것에 일단부에서 제1유압을 받게 되고, 상기 제2스푸울은 제1스푸울의 상기 일단부에 대향한 그것의 일단부에 제2유압을 받게 되고, 상기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은 그 사이에 제3유압을 받게 되고, 상기 제1유압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과, 상기 록업클러치수단의 상기 해제압을 제어하는 조절밸브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프트밸브수단은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에 콘버어터상태, 록업상태 그리고 슬립상태에 대응하는 제1위치, 제2위치 그리고 제3위치를 각각 제공하고, 상기 시프트밸브수단은 해제압이 비교적 낮은 경우 제2위치와 제3위치사이에서 시프트되어 해제압이 시프트밸브수단상의 상기 제1위치, 제2위치 그리고 제3위치 사이의 시프팅과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프트밸브수단은, 제1유압이 높고 제2유압이 높은 경우 슬리이브의 일단부에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 모두가 치우치게 되는 제1위치와, 제1유압이 낮고 제2유압이 높은 경우 슬리이브의 타단부에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 모두가 치우치게 되는 제2위치와, 그리고 제1유압이 낮고 제2유압이 중간인 제3위치를 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또한, 상기 제2유압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제3유압은 시프트밸브수단의 위치의 시프팅(shifting)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상기 제1제어수단은 제1유압을 높은 값과 낮은 값의 사이에서 절환하는 온-오프솔레노이드밸브이다.
온-오프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프상태인 경우 제1유압은 높다. 제2제어수단은 제2유압을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이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감소함에 따라 제2유압이 증가한다.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약 20% 미만이고 온-오프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프상태인 경우, 시프트밸브수단의 제1위치가 설정된다.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약 20% 미만이고 온-오프솔레노이드밸브가 온상태이면, 시프트밸브수단의 제2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약 20% 이상이고 온-오프솔레노이드밸브가 온상태인 경우 시프트밸브수단의 제3위치가 설정된다.
조절밸브수단은, 전형적으로, 해제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제어압과 이 제1제어압과 반대인 제2제어압의 변화에 따라서 슬리이브에 대향단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슬리이브내의 스푸울로 구성된다. 이 구조에 있어서, 조절밸브수단의 스푸울은 제1제어압으로서 제2유압을, 제2제어압으로서 제1유압을 받게 된다. 이 조절밸브수단은 시프트밸브수단에 도입되는 해제압이 관통되는 입력포오트와 출력포오트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입력포오트와 출력포오트간의 연통이 스푸울의 이동에 따라서 변화하므로서 해제압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제1제어압이 감소됨에 따라 조절밸브수단에 의해 발생된 해제압은 증가된다. 제1제어압이 작을때 해제압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압력포오트와 출력포오트 사이의 안전한 연통이 설정된다. 온-오프솔레노이드가 온인 경우에 있어서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감소됨에 따라 해제압은 감소된다. 이 구조에 있어서, 해제압이 비교적 낮고, 제2유압이 비교적 높고,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비교적 낮을때 제2위치와 제3위치 사이에서 시프트작동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있어서, 제3유압은 제2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이 구조에 있어서, 제2유압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된다. 제1제어압은 충격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해제압이 비교적 낮고, 제3유압이 비교적 낮고,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비교적 높은 경우 제2위치와 제3위치 사이에서 시프트작동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있어서, 록업상태가 필요한 경우 콘버어터상태를 제공하는 극한 값에서 충격비를 설정하고, 이 극한값이 설정된 후 소정의 시간주기가 경과한 경우 충격비는 점차 감소되고 온-오프솔레노이드밸브는 절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프트밸브수단은, 시프트밸브수단의 제1단부에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의 양자가 위치되는 제1위치와, 시프트밸브수단의 제2단부에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의 양자가 위치되는 제2위치와, 그리고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이 서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게 되는 제3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한다. 스푸울의 제1, 제2 및 제3위치는 시프트밸브수단에 도입된 제1, 제2 및 제3압력에 따라 각각 콘버어터상태, 록업상태 및 슬립상태를 설정한다. 슬립상태에 있어서는, 조절밸브수단에 도입된 제어유압이 변화됨에 따라 해제압이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록업클러치의 체결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푸울위치의 절환동작에 관계없이 구동유압의 급변은 억제된다. 따라서, 록업클러치의 체결력은 원활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는 자동변속기의 구조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자동변속기는 토오크 콘버어터(1)와, 복수단계의 상이한 속도비 사이에서 변속기어단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다단식의 변속기어기구(10)를 포함한다.
토오크 콘버어터(1)는, 엔진출력축(2)에 연결된 케이스(3)내에 설치된 펌프(4)와, 이 펌프(4)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펌프(4)에 의해 유압액을 개재하여 구동되는 터어빈(5)과, 그리고 상기 펌프(4)와 터어빈(5) 사이에 배치되고, 변속기 케이스(11)에 의해 원웨이클러치(7)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토오크확대작용을 행하는 고정자(6)를 구비하고 있다. 터어빈(5)의 회전은 터어빈축(8)을 개재하여 변속기어기구(10)에 전달된다. 또한, 토오크 콘버어터(1)에는 그의 입력부재와 출력부재를 직결하는 록업클러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출력축(2)에는 터어빈축(8)을 관통하는 축(9)이 연결되어 있다. 이 축(9)은 변속기의 후단부에 배치된 오일펌프(90)을 구동한다.
변속기어기구(10)는, 상기 터어빈축(8)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작은 직경의 태양기어(13)와, 터어빈축(8)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작은 태양기어(13)의 뒤쪽에 배치된 큰 직경의 태양기어(14)와, 작은 직경의 태양기어(13)에 맞물린 복수개의 짧은 피니언기어(15)와, 짧은 피니언기어(15)에 전반부가 큰 직경의 태양기어(14)에 후반부가 맞물려 있는 긴 피니언기어(16)와, 짧은 피니언기어(15) 및 긴 피니언기어(1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17)와, 그리고 긴 피니언기어(16)에 맞물려 있는 링기어(18)을 가지는 라비뉴(Ravigneaux)형의 유성기어기구(12)를 포함한다.
터어빈축(8)과 상기 작은 직경의 태양기어(13)의 사이에는, 제1원웨이클러치(one-way clutch)(22)를 통해서 작은 직경의 태양기어(13)에 토오크전달을 제어하는 전방클러치(20)와 터어빈축(8)과의 작은 직경의 태양기어(13)와의 사이에서 토오크전달을 제어하는 코우스트클러치(coast clutch)(21)가 병렬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코우스트클러치(21)의 반경방향 바깥쪽에는, 큰 직경의 태양기어(14)에 연결된 브레이크드럼(23a)과 이 브레이크드럼(23a)에 맞물린 브레이크밴드(23b)를 가진 2-4브레이크(23)가 배치되어 있다. 이 2-4브레이크(23)가 체결되면, 큰 직경의 태양기어(23)가 고정된다. 이 2-4브레이크의 인접한 쪽에는, 브레이크드럼(23a)을 개재해서 큰 직경의 태양기어(14)와 터어빈축(8)의 사이의 토오크전달을 제어하는 후진주행을 행하는 리버어스클러치(24)가 배치되어 있다. 캐리어(17)와 변속기케이스(11)의 사이에는 캐리어(17)와 변속기케이스(11)를 체결하고 해제하는 로우리버어스 브레이크(25)와 제2원웨이클러치(26)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17)와 터어빈축(8)의 사이에는 캐리어(17)와 터어빈축(8)사이의 토오크전달을 제어하는 3-4클러치(27)가 배치되어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변속기어기구(10)는 전진방향의 4개의 변속기어수단과 후진방향의 1개의 변속기어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클러치(20), (21), (24), (27)와 브레이크(23), (25)의 작동에 의해 변속기어단들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각각의 기어단과 마찰요소(20)-(27)의 작동간의 관계를 제1표에 나타낸다. 제1표에 있어서, (0)은 대응요소가 구동요소로서 사용되는 경우 그것이 토오크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표]
제2도를 참조하여 록업클러치용 유압회로를 설명한다. 동도에 있어서, 토오크 콘버어터(1)에 설치된 록업클러치(30)는, 터어빈(5)과 엔진출력축(2)에 연결된 콘버어터커버(3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터어빈축(8)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토오션댐퍼(31) 및 댐퍼피스톤(32)과, 이 댐퍼피스톤(32)에 대향하는 콘버어터커버(36)상에 설치된 마찰판(도시안됨)을 구비한다. 댐퍼피스톤(32)은, 콘버어터커버(36)내에 형성된 공간을, 터어빈(5)에 인접한 R실(33)과 콘버어터커버(36)에 인접한 F실(34)로 분할하고 있다. 상기 R실(33)내로 도입된 유압(Pr)은 체결압(engaging pressure)으로서, 댐퍼피스톤(32)을 콘버어터커버(36)의 마찰판을 향해서 가압하여 록업클러치(30)를 체결하고, 상기 F실(34)내로 도입된 유압(Pf)은 해제압(releasing pressure)으로서, 댐퍼피스톤(32)을 콘버어터커버(36)의 마찰판으로 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여 록업클러치(30)을 해제한다. 따라서, 상기 R실과 F실간의 유압의 압력차에 따라서 록업클러치(30)의 체결력이 결정된다. 토오크 콘버어터(1)는 엔진토오크를 토오크 콘버어터(1)만을 개재하여 변속기어기구(10)에 유압식으로 전달하는 콘버어터상태와, 엔진토오크를 록업클러치(30)만을 개재하여 변속기어기구(10)에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록업상태와, 그리고 엔진토오크를 토오크 콘버어터(1)와 록업클러치(30) 양쪽을 개재하여 유압식 및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슬립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한다.
상기 록업클러치(30)에 대한 유압제어회로(40)는, 콘버어터상태, 록업상태 및 슬립상태에 대응하는 3개의 다른 위치를 취하는 록업시프트밸브(50)와, 시프트밸브(50)를 개재해서 상기 F실내에 도입된 유압(Pf)을 제어하는 조절밸브(60)와, 시프트밸브(50)용의 제1파일럿압(Ps)의 도입을 온-오프작동하는 온-오프솔레노이드밸브(71)와, 그리고 시프트밸브(50)와 조절밸브(60)용의 제2파일럿압(Pd)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충격제어(duty control)를 행하는 충격솔레노이드밸브(7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유압제어회로(40)는, 오일펌프(90)내에 발생된 유압을 압력조정기(도시안됨)에 의해 조정한 후 라인압으로서 도입하는 토오크 콘버어터라인(L1)과, 제1파일럿압(Ps)을 공급하는 제1파일럿라인(L2)과, 제2파일럿압(Pd)을 공급하는 제2파일럿라인(L3)과, 소정의 유압(Pc)(예를들면 4kg/㎠)을 공급하는 라인(L4)과,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1R)와 상기 R실(33)을 연통하는 라인(LR)과,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1F)와 상기 F실(34)을 연통시키는 라인(LF)을 가지고 있다. 라인(L1)은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2R)와 연통하는 라인(L11)과 조절밸브(60)의 포오트(62F)와 연통하는 라인(L12)으로 분기되어 있다. 조절밸브(60)의 포오트(61F)는 라인(L13)을 개재하여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2F)와 연통하고 있고, 라인(L5)은 오일냉각기(75)와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3)를 연통하고 있다.
제1파일럿라인(L2)은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7)와 연통하는 라인(L21)과 조절밸브(60)의 포오트(68)와 연통하는 라인(L22)으로 분기되어 있다. 온-오프솔레노이드밸브(71)는 드레인라인(L23)이 솔레노이드밸브(71)의 오프상태에서 폐쇄되도록 라인(L2)의 드레인라인(L23)상에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온으로 절환되면, 라인(L23)은 개방되어 라인(L2)내의 유압액을 드레인시킨다. 제2파일럿라인(L3)은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8)와 연통하는 라인(L31)과 조절밸브(60)의 포오트(65)와 연통하는 라인(L32)으로 분기되어 있다. 충격솔레노이드밸브(72)는 제2파일럿라인(L3)의 드레인라인(L33)상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솔레노이드가 오프상태로 되거나 그의 충격비가 0으로 되면, 드레인라인(L33)은 폐쇄된다. 솔레노이드밸브(72)가 온으로 되거나 그의 충격비(duty ratio)가 0이외의 디른 값이며, 라인(L3)내의 유압액은 드레인된다. 충격비가 증가됨에 따라 제2파일럿압(Pd)은 감소된다.
라인(LC)은, 유압이 소정값이상으로 증가하면 개방되는 체크밸브(76)를 개재하여 오일냉각기(75)로 유압액(hydraulic fluid)을 도입시킨다.
이하 시프트밸브와 조절밸브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시프트밸브(50)는, 그것의 슬리이브내에 직렬로 배치된 제1스푸울(spool)(54)(오른쪽)과 제2스푸울(55)(왼쪽)을 구비한다. 제2스푸울(55)의 왼쪽에는 스프링(56)이, 제1스푸울(54)과 제2스푸울(55)의 사이에는 다른 스프링(56a)이 배치되어 있다. 제1스푸울(54)의 우측단부상에는 제1파일럿라인(L2), 라인(L21) 및 포오트(57)를 경유해서 제1파일럿압(Ps)이 작용하고, 제2스푸울(55)의 좌측단부상에는 제2파일럿라인(L3), 라인(L31) 및 포오트(58)를 경유해서 제2파일럿압(Pd)이 작용한다. 제1스푸울(54)의 우측단부는 제2스푸울의 좌측단부보다 더큰 압력면적을 제공하도록 확대된다.
제1 및 제2스푸울(54)와 (55) 사이에는 포오트(59)와 라인(L4)을 통해서 소정의 압력(Pc)이 도입된다.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오프로된 경우에는, 제1파일럿압(Ps)이 높게 되므로서 시프트밸브(50)는 그의 제1스푸울(54)과 제2스푸울(55)이 모두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프트밸브(50)의 슬리이브의 좌측으로 향하여 함께 치우치게 되는 제1위치를 취한다. 시프트밸브(50)의 제1위치에서는, 포오트(51R)가 포오트(53)에 연통되고, 포오트(51F)는 포오트(52F)에 연통된다. 한편,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온되고 솔레노이드밸브(72)에 대한 충격비가 0%와 같이 작으면, 제1파일럿압(Ps)이 낮아지는 반면, 제2파일럿압(Pd)은 비교적 높은 값을 취하므로 시프트밸브(50)는 제1스푸울(54) 및 제2스푸울(55)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프트밸브(50)의 슬리이브의 우측단부에 치우치게 되는 제2위치를 취한다. 이 제2위치에서는, 포오트(51R)가 포오트(52R)에 연통되고 포오트(51F)가 드레인포오트에 연통된다. 솔레노이드밸브(71)에 온상태이고, 솔레노이드밸브(72)의 충격비가 20% 이상인 경우, 제2파일럿압(Pd)이 비교적 작아져서, 제1스푸울(54)과 제2스푸울(55)는 서로 떨어져 포오트(59)에 도입된 유압(Pc)에 의해 시프트밸브(50)의 슬리이브의 반대쪽 단부를 향하여 치우치게 된다. 즉, 제1스푸울(54)은 우측단부에 위치되고, 제2스푸울(55)은 좌측단부에 위치되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3위치를 설정한다. 이 제3위치에서는, 포오트(51R)가 포오트(52R)에 연통되고, 포오트(51F)가 포오트(52F)에 연통된다.
조절밸브(60)는 그의 슬리이브에 스푸울(6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푸울(63)은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스프링(64)에 의해서 우측방향으로 가압된다. 유압(Pd)은 제2파일럿라인(L3), 라인(L32) 그리고 포오트(65)를 경유하여 파일럿압으로서 스푸울(63a)의 우측단부상에 작용한다. 스푸울(63)에는 우측계단계단부(63b)가 오리피스와 포오트(66)를 가지는 라인(L15)을 경유하여 라인(L13)내의 유압을 받게 되는 중간랜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스푸울(63)에는 좌측계단부(63c)가 오리피스와 포오트(67)를 가지는 라일(L16)을 경유하여 라인(L12)의 토오크 콘버어터압을 받게 되는 좌측랜드부가 형성된다.
스푸울(63)의 좌측단부면은 라인(L22)및 포오트(68)를 경유하여 제1파일럿라인(L2)내의 제1파일럿압(Ps)을 받게 된다.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스푸울(63)의 좌측단부면상에 작용하는 제1파일럿압(Ps)에 의해, 스푸울(63)이 조정밸브(60)의 슬리이브의 우측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포오트(61F)가 포오트(62F)와 연통하게 된다.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온상태, 즉 제1파일럿압(Ps)이 0이면, 스푸울(63)은 우측단부면에 작용하는 제2파일럿압(Pd) 및 왼쪽으로 계단부(63b)에 작용하는 유압이 계단부(63c)에 작용하는 유압 및 스프링(64)의 탄성력과 우측으로 균형을 이루게 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제2파일럿압(Pd)이 증가하면, 스푸울(63)이 왼쪽으로 이동하여 라인(L13)에 연결된 포오트(61F)와 드레인포오트간의 연통을 증가시킨다. 한편, 제2파일럿압(Pd)이 감소하면, 스푸울(63)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포오트(61F)와 포오트(62F)간의 연통을 증가시키므로서 해제압(Pf)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제2파일럿압(Pd)이 증가됨에 따라 해제압(Pf)이 감소하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이하, 록업클러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콘버어터상태, 록업상태 및 슬립상태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유닛에 의해서, 맵(도시안됨)에 의거하여 드로틀개도, 차속등의 구동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설정된 상태가 결정된 후, 제어유닛은 솔레노이드밸브(71)에 온-오프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72)에는 충격비신호를 발생시켜서 시프트밸브(50) 및 조절밸브(60)를 작동시켜, 토오크 콘버어터(1)의 바람직한 상태를 설정한다.
콘버어터상태가 설정되면,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오프로 되고 솔레노이드밸브(72)의 충격비가 일정하게, 예를들면 0%로 된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프트밸브(50)가 제1위치를 취하고, 포오트(51R)가 포오트(53)와 연통하여 R실(33)내의 유압액이 라인(LR) 및 라인(L5)을 개재하여 오일냉각기(75)로 도입된다. 이와 동시에, 포오트(51F)가 포오트(52F)와 연통하여, 유압액이 콘버어터라인(L1)과 조절밸브(60)를 거쳐서 F실(34)과 라인(L13)으로 도입된다. 따라서, 록업클러치(30)는 R실(33)내의 체결압(Pr)이 해제압(Pf)보다 훨씬더 작기 때문에 해방되어 콘버어터상태가 설정된다.
솔레노이드(71)가 오프되는 경우에 제1파일럿압(Ps)이 조절밸브(60)의 좌측포오트(68)속으로 도입될때, 포오트(61F)는 조절밸브(60)의 포오트(62F)와 자유로이 연통되어 조절밸브(60)는 일정치, 예를들면 6.5kg/㎠의 라인압에 상당하는 유압이 F실(34)에 도입되게 한다. 이 경우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Pr)과 압력(Pf) 사이의 체결압으로서의 압력차(dP)가 일정한 음의 값으로 유지되어, 콘버어터상태가 설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71)와 솔레노이드밸브(72)가 단선이 되어도, 콘버어터상태가 설정되어, 보다 큰 토오크가 요구되는 기동상태와 같은 특정상태에 있어서 페일세이프(fail-safe)기능을 제공한다.
록업상태가 요구되면,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온으로 절환되는 반면, 솔레노이드밸브(72)의 충격비는 일정치(0%)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밸브(50)는 제2위치를 취하게 되어, 포오트(51R)가 포오트(52R)와 연통한다. 이 결과 유압액은 라인(L1)으로부터 라인(L11) 및 라인(LR)을 개재해서 R실(33)로 도입된다. 이와 동시에, 포오트(51F)가 드레인포오트와 연통하여 F실(34)내의 유압액이 드레인된다. 따라서, R실과 F실간의 압력차(dP)가 라인압에 상당하는 소정치로 되어 록업클러치(30)가 완전히 체결되어 록업상태를 설정한다.
록업상태가 슬립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온으로 유지되면서 솔레노이드밸브(72)의 충격비가 20%이상의 값으로 증가된다. 그 결과,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밸브(50)가 제3위치를 취하여, 포오트(51R)가 포오트(52R)와 연통해서 유압(Pr)이 R실(33)내로 도입되게 하고, 포오트(51F)가 포오트(52f)와 연통해서 유압(Pf)이 F실(34)내로 도입되게 한다. 이 경우, 유압(Pf)의 값은 솔레노이드밸브(72)의 충격비에 따라서 제어되는 조절밸브(60)에 의해 제어된다. 시프트밸브(50)내의 제1스푸울(54)과 제2스푸울(55)의 시프트동작이 제2위치로부터 제3위치로 변화할 때, 해제압(Pf)은 비교적 낮다. 그후, 충격비가 증가함에 따라 유압(Pf)이 점차로 증가한다. 솔레노이드밸브(72)에 대한 충격제어에 의해 상기 R실(33)과 F실(34)간의 압력차(dP)가 제어되며, 록업클러치(30)의 체결력을 예시한 슬립제어로 변화시킨다.
종래에는, 제8도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해제압(Pf')이 증가한다. 이와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8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제2파일럿압(Pd)이 증가됨에 따라 라인(L13)내의 유압(Pf)은 감소된다. 따라서, 종래의 제어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밸브(72)의 충격비가 20%~80%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충격비가 감소함에 따라 해제압(Pf')이 증가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충격비 20% 이하로 감소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파일럿압(Pd)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2스푸울(55)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밸브(50)는 시프트되어 제2위치를 취한다. 따라서, F실내의 유압은 충격비 20% 근방에서 급변한다. 이것은 록업클러치(30)의 체결력의 급변을 일으킨다.
반대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파일럿압(Pd)이 증가할 때 라인(L13)내의 유압(Pf)이 감소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므로, F실(34)내의 유압(Pf)은 제8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비에 따라 변경된다. 해제압(Pf)은 시프트밸브(50)의 제3위치로부터 제2위치로의 절환동작에 관계없이 충격비 20% 부근에서도 급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압력차(dP)는, 록업클로치(30)의 체결력에 있어서 슬립상태와 록업상태의 모우드변경이 원활하게 변화하도록 하는 충격비의 변화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은 모우드변경시 엔진속도의 급상승을 방지한다.
콘버어터상태와 록업상태간의 모우드변화는, 제8도 및 제9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제어를 이용한 토오크쇼크를 제거하기 위하여 록업클러치(30)의 체결력의 급변을 억제하도록 슬립상태를 경유해서 이루어져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0도에는, 상기 실시예에 대한 유압제어회로(40)가 도시되어 있다. 앞에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오일펌프(90)속에서 발생된 유압은, 압력조정기(R)에 의해 조정된 후 라인압으로 라인(L1)을 경유하여 시프트밸브의 포오트(52R)로, 라인(L17) 및 라인(L18)을 경유하여 조절밸브(60)의 포오트(69) 및 포오트(62F)로 도입된다. 또한, 오일펌프(90)속에서 발생된 유압은, 조정기(C)에 의해 사실상 일정압으로 조정된 후 제어압으로서 라인(L6) 및 포오트(58a), 라인(L2), (L3) 및 포오트(59), 라인(L2), (L21) 및 포오트(57)를 각각 경유하여 시프트밸브(50)로, 라인(L2), (L3), (32) 및 포오트(65)를 경유하여 조절밸브(60)로 도입된다. 따라서, 시프트밸브(50)의 제1스푸울(54)의 우측단부면상에 작용하는 제1파일럿압(Ps)은, 라인(L21)을 통해서 포오트(57)로 도입되며, 솔레노이드밸브(7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파일럿압(Pd)은 조정기(C)의 바로 하류의 라인(L2)으로부터 분리된 라인(L6)을 개재하여 직접 포오트(58a)로 도입되고, 시프트밸브(50)의 제2스푸울(55)의 좌측단부면상에 작용한다. 제1스푸울(54)와 제2스푸울(55)간에 작용하는 제3파일럿압(Pc)은, 라인(L2)으로부터 분리된 라인(L3)를 개재하여 포오트(59)로 도입되며, 충격솔레노이드밸브(7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조절밸브(60)의 포오트(65)가 라인(L32)을 개재하여 라인(L3)과 연통하여 제3파일럿압(Pc)은 또한 조절밸브(60)의 스푸울(63)의 우측단부면(63a)상에 작용한다. 라인(L17)을 통해 포오트(69)로 도입된 라인압은 제3파일럿압(Pc)에 대항하여 스푸울(63)의 계단부(63d)상에 작용한다.
조정기밸브(R)로부터의 라인압은, 해제압(Pf)으로서 라인(L1), 라인(L18), 포오트(62F), 포오트(66), 라인(L13), 포오트(52F), 포오트(51F) 및 라인(LF)을 통해 F실(34)로 도입되며, 조절밸브(60)의 포오트(62F)와 포오트(66)간의 연통을 제어하므로서 변경될 수 있다. 라인압은 체결압(Pr)으로서 라인(L1), 포오트(52R), 포오트(51R)및 라인(LR)을 개재하여 R실(33)내로 도입된다.
작동시, 콘버어터상태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밸브(71)는 오프상태로 되어 폐쇄되고 솔레노이드밸브(72)는 20%미만의 충격비를 수용하므로서 거의 폐쇄되어, 조정기(C)에 의해 조정된 제어압이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진 제1파일럿압(Ps)으로서 라인(L21)을 개재해서 포오트(57)로 도입된다. 동시에, 이 제어압은 제3파일럿압(Pc)으로서 라인(L3)을 개재해서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9)로 도입되며 조절밸브(60)의 포오트(65)로 도입된다. 또한, 이 제어압은 정상적으로 제2파일럿압(Pd)으로서 라인(L6)을 개재해서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8a)로 도입된다. 제1파일럿압(Ps)이 포오트(57)를 개재해서 작용하는 제1스푸울(54)의 우측단부면의 압력면적은 제2파일럿압(Pd)이 포오트(58a)를 개재해서 작용하는 제2스푸울(55)의 좌측단부면의 것보다 더 크므로, 스푸울(54), (55)은 스프링(5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시프트밸브(50)의 슬리이브 좌측단부에 위치하며 제10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유압에 의해 스푸울(54), (55)상에 작용하는 우측방향힘에 반작용하여 시프트밸브(50)의 제1위치를 설정한다. 시프트밸브(50)의 제1위치에서는 포오트(52F)가 포오트(51F)와 연통하여 라인압이 해제압(Pf)으로서 F실내로 도입된다. 한편, 포오트(53)가 포오트(51R)와 연통하여 R실내의 유압이 라인(L5)을 경유해서 감소된다. 조절밸브(60)에 있어서, 포오트(65)에 도입되어 스푸울(63)의 우측단부면(63a)상에 작용하는 제어압에 의해 스푸울(63)이 스프링(64)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슬리이브의 좌측단부에 치우치게 되어, 라인압은 제10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계단부(63d)상에 작용한다. 그 결과, 포오트(62F)가 포오트(66)와 완전히 연통되어 라인압은 충분한 압력을 떨어뜨리지 않고도 F실(34)로 도입된다. 따라서, F실(Pf)과 R실(Pr)간의 압력차(dP)는 증가하여 콘버어터상태를 설정한다.
슬립상태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온상태로 되어 개방되고, 충격솔레노이드밸브(72)가 약 20%~80%범위의 충격신호를 수신하여 스푸울(54)의 우측단부면상에 작용하는 제1파일럿압(Ps)이 포오트(57)를 개재하여 감소되고,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9) 및 조절밸브(60)의 포오트(65)로 도입된 유압도 또한 충격비의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된다. 이 경우, 제2스푸울은 콘버어터상태와 같은 위치에서 유지되는 반면, 제1스푸울(54)은 제2스푸울(55)로부터 멀리 떨어져 제10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밸브(50)의 슬리이브의 우측단부로 이동하여 제1파일럿압(Ps)의 심한 감소때문에 시프트밸브(50)의 제3위치를 설정한다. 그 결과, 포오트(52F)가 포오트(51F)와 연통한 채로 유지되어도, 포오트(51R)는 절환되어 포오트(53)와의 연통으로부터 포오트(52R)와 연통하게 된다. 조절밸브(60)에 있어서, 스푸울(63)은, 스프링(64)의 탄성력 및 포오트(69)를 개재해서 계단부상에 작용하는 유압의 합에 의해 오른쪽으로 향하는 힘과 포오트(62F)와 포오트(66)간의 연통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포오트(65)를 개재해서 스푸울(63)의 우측단부면상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왼쪽으로 향하는 힘의 균형에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밸브(72)에 대한 충격비가 증가할 때 F실(34)내의 해제압(Pf)은 감소하는 반면, 체결압(Pr)은 포오트(53)로부터 포오트(52R)로의 포오트(51R)의 연통의 절환동작때문에 증가된다. 그 결과, 록업클러치(30)의 체결력은 해제압(Pf)과 체결압(Pr)간의 압력차(dP)에 따라서 변경된다. 그러므로, 록업클러치(30)는, 입력부재와 출력부재간의 슬립률이나 속도차가 솔레노이드밸브(72)에 대한 충격비에 따라 목표값으로 제어되는 슬립상태를 설정한다.
록업상태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밸브(71)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솔레노이드밸브(72)는 약 80%이상의 충격비를 수용하여 거의 개방되어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7)내로 도입된 유압(Ps)은 낮아지고 또한 시프트밸브(50)의 포오트(59)로 그리고 조절밸브(60)의 포오트(65)로 도입된 유압(Pc)도 낮아진다. 따라서, 제1스푸울(54) 및 제2스푸울(55)은, 라인(L6)과 포오트(58a)를 개재한 제2파일럿압(Pd) 및 스프링(56)의 탄성력때문에 제10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시프트밸브(50)의 슬리이브의 우측단부로 치우치게 된다. 그 결과, 포오트(52R)가 포오트(51R)와 연통한 상태로 남아 있는 반면 포오트(52F)와 포오트(51F)간의 연통은 불통된다. 조절밸브(60)에 있어서, 스푸울(63)은, 스프링(64)의 탄성력때문에 제10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밸브(60)의 슬리이브의 우측단부에 위치되도록 우측으로 이동되어 포오트(62F)와 포오트(66)간의 연통은 완전히 불통된다. 이 위치에서, 조정기(C)에 의해 조정된 라인압은 실제의 압력은 떨어뜨리지 않고 라인(L1), 포오트(52R), 포오트(51R) 및 라인(LR)을 개재해서 R실(33)내로 도입된다. 반면, 포오트(51F)는 절환되어서 포오트(52F)와의 연통으로부터 드레인포오트와 연통되어 F실(34)내의 유압액은 드레인된다. 따라서, R실내의 체결압(Pr)은 록업상태를 설정하기에 충분한 F실(34)내의 해제압(Pf)보다 훨씬 더 크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72)에 대한 충격비가 증가함에 따라 압력차(dP)는 증가한다. 충격비가 d2(예를들면 80%)이상이면, 록업상태가 설정된다. 충격비가 d1(예를들면 20%)미만이면, 콘버어터상태가 설정된다. 충격비가 d1과 d2사이의 값이면, 슬립상태가 설정되어 슬립율은 충격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면, F실에서의 유압액의 절환동작은 시프트밸브(50)에 의해 실행되어, 해제압(Pf)이 조절밸브(60)의 포오트(62F)와 포오트(66)간의 제한된 연통때문에 낮은 경우 록업상태와 슬립상태 사이에 모우드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모우드변화는 F실내의 해제압(Pf)의 급변을 억제하도록 원활하게 이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록업클러치(30)의 체결력의 급변도 방지된다.
이하, 제12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변속기 및 유압제어회로의 예시한 구조는 상기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고 동일번호를 부기한다.
시프트밸브(50) 및 조절밸브(60)는 사실상 솔레노이드밸브(71), (72)를 개재해서 전기제어유닛(도시안됨)에 의해 제어된다.
제13도를 참조하면, 모우드가 콘버어터상태로부터 슬립상태를 개재해서 록업상태로 변화되는 제어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유닛은 타이머를 개시하여(스텝 S1), 충격솔레노이드밸브(72)에 100%의 충격비 신호(D)를 세트하고(스텝 S2), 스텝(S1)과 스텝(S2)을 반복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충격솔레노이드밸브(72)는 제2파일럿라인(L3)을 완전히 드레인한다. 그후, 제어유닛은 타이머의 계수치(T)가 소정치(To)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계수치(T)가 소정치(To)에 도달하면, 스텝(S4)에서 솔레노이드밸브(71)를 온상태로 절환한다. 제어유닛은 충격비 D가 0%에 이를때까지 소정값(dD)을 감산하여 충격비 D를 변경시킨다(스텝 S5, S6). 따라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치(To)를 통과한 경우 솔레노이드밸브(71)가 온으로 절환된 후 충격비는 100%에서부터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시프트밸브(50)는 슬립상태가 설정되는 제3위치를 취한다.
상기 제어에 의하면, 솔레노이드밸브(71)의 작동은 100%의 충격비가 솔레노이드밸브(72)에 제공된 후 소정치(To)만큼 지연된다. 파일럿라인(L3)은 시간지연(To)때문에 라인(L2)을 드레인하기 전에 완전히 드레인된다. 따라서,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버어터상태로부터 슬립상태로 모우드가 변경되는 경우 록업상태는 파일럿라인(L3)내의 잔류압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는 상태로 설정되어 체결력의 일시적폭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충격비가 100%에서부터 감소됨에 따라, 록업클러치(30)의 체결력은 점차 증가하고, 충격비가 0으로 되면 결국에는 록업상태가 달성된다.

Claims (30)

  1. 토오크 콘버어터의 입력부재와 출력부재를 직결하기 위하여 상기 토오크 콘버어터내에 설치된 록업클러치수단과, 제1스푸울과 제1스푸울의 위치에 따라서 록업클러치수단상에 작용하는 체결압과 해제압의 도입을 시프트하기 위하여 슬리이브내에 직렬로 배치된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을 가지는 시프트밸브수단과, 상기 제1스푸울은 그것의 일단부에는 제1유압을 받게 되고, 상기 제2스푸울은 제1스푸울의 상기 일단부에 대향한 그것의 일단부에 제2유압을 받게 되고, 상기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은 그 사이에 제3유압을 받게되고, 상기 제1유압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과, 록업클러치수단의 상기 해제압을 제어하는 조절밸브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프트밸브수단은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에 콘버어터상태, 록업상태 그리고 슬립상태에 대응하는 제1위치, 제2위치 그리고 제3위치를 각각 제공하고, 상기 시프트밸브수단은 해제압이 비교적 낮은 경우 제2위치와 제3위치 사이에서 시프트되어 해제압이 시프트밸브수단상의 상기 제1위치, 제2위치 그리고 제3위치 사이의 시프팅과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프트밸브수단은 제1유압이 높고 제2유압이 높은 경우 슬리이브의 일단부에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의 양쪽이 치우치게 되는 제1위치와, 제1유압이 낮고 제2유압이 높은 경우 슬리이브의 타단부에 제1스푸울과 제2스푸울의 양쪽이 치우치게 되는 제2위치와, 그리고 제1유압이 낮고, 제2유압이 중간인 제3위치를 취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압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3유압은 시프트밸브수단의 위치의 시프팅에 관계없이 일정한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제1제어수단은, 제1유압을 높은 값과 낮은 값 사이에서 절환하는 온-오프 솔레노이드밸브인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유압은, 온-오프 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프상태인 경우 높은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제2제어수단은 제2유압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인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충격솔레노이드의 충격비가 감소됨에 따라 제2유압은 증가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약 20%보다 더 작고 온-오프 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프상태인 경우 시프트밸브수단의 제1위치가 설정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약 20%보다 더 작고 온-오프 솔레노이드밸브가 온상태인 경우 시프트밸브수단의 제2위치가 설정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약 20%이상이고 온-오프 솔레노이드밸브가 온상태인 경우 시프트밸브수단의 제3위치가 설정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수단은, 해제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제압과 제1제어압과 반대인 제2제어압의 변화에 따라서 슬리이브의 대항단부 사이에서 이동되는 슬리이브내의 스푸울로 구성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조절밸브수단의 스푸울은 제1제어압으로서 제2유압을, 제2제어압으로서 제1유압을 받게 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조절밸브수단은 시프트밸브수단에 도입되는 해제압이 관통하는 입력포오트와 출력포오트로 구성되고, 입력포오트와 출력포오트간의 연통이 스푸울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므로서 해제압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제어압이 증가됨에 따라 조절밸브수단에 의해 발생된 해제압이 감소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제1제어압이 작을 경우 해제압을 최대화하도록 입력포오트와 출력포오트 사이에 완전 연통이 설정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온-오프 솔레노이드밸브가 온상태인 경우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감소됨에 따라 해제압이 감소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압이 비교적 낮고, 제2유압이 비교적 높으며,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비교적 낮은 경우, 제2위치와 제3위치간에 시프트작동이 일어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제3유압은 제2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제어수단은 제1유압을 높은 값과 낮은 값 사이에 절환하기 위한 온-오프 솔레노이드밸브인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온-오프 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프상태인 경우 제1유압은 높은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제2제어수단은 제2유압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인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가 감소됨에 따라 제2유압이 증가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제2유압은 일정한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수단은, 해제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제어압과, 제1제어압과 반대인 제2제어압의 변화에 따라서 슬리이브에 대향단부 사이에서 이동되는 슬리이브내의 스푸울로 구성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제어압은 충격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조절밸브수단은 시프트밸브수단에 도입되는 해제압이 관통하는 입력포오트와 출력포오트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포오트와 출력포오트간의 연통이 스푸울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므로서 해제압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충격비가 증가함에 따라 제1제어압이 감소되므로서, 입력포오트와 출력포오트간의 연통이 감소되어 해제압을 감소시키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29. 제19항에 있어서, 해제압이 비교적 낮고, 제3유압이 비교적 낮으면, 충격솔레노이드밸브의 충격비 비교적 높은 경우, 제2위치와 제3위치간에 시프트작동이 일어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30. 제8항에 있어서, 록업상태가 필요한 경우 콘버어터상태를 제공하는 극한값에서 충격비를 설정하고, 극한 값이 설정된 후 소정의 시간주기가 경과한 경우 충격비는 점차 감소되며 온-오프 솔레노이드밸브가 절환되는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KR1019910006183A 1990-04-18 1991-04-18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KR940006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03995A JP2874952B2 (ja) 1990-04-18 1990-04-18 流体継手の締結力制御装置
JP2-103995 1990-04-18
JP10421690A JP2878384B2 (ja) 1990-04-19 1990-04-19 流体継手の締結力制御装置
JP2-104216 1990-04-19
JP26139690A JPH04140569A (ja) 1990-09-28 1990-09-28 流体継手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2-261396 1990-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703A KR910018703A (ko) 1991-11-30
KR940006116B1 true KR940006116B1 (ko) 1994-07-06

Family

ID=2731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183A KR940006116B1 (ko) 1990-04-18 1991-04-18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39935A (ko)
EP (1) EP0452887B1 (ko)
KR (1) KR940006116B1 (ko)
DE (1) DE6911210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8091A (en) * 1992-12-03 1996-05-21 Volkswagen Ag Slide valve for controlling a bridging clutch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JP3218839B2 (ja) * 1994-03-03 2001-10-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作動流体冷却装置
US5701982A (en) * 1994-07-11 1997-12-30 Nippondenso Co., Ltd. Lockup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5722519A (en) * 1994-10-14 1998-03-0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ple ratio automatic transmission and torque converter
US5553694A (en) * 1994-10-14 1996-09-10 Ford Motor Company Multiple ratio automatic transmission and torque converter
US5612874A (en) * 1994-10-14 1997-03-18 Ford Motor Company Multiple ratio automatic transmission with solenoid operated valves for effecting pressure buildup
JP3239694B2 (ja) * 1995-07-17 2001-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H09133158A (ja) * 1995-11-10 1997-05-20 Toyota Motor Corp 湿式摩擦係合装置
US5802490A (en) * 1996-02-20 1998-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Torque converter regulator and clutch lockout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JP3791716B2 (ja) * 1996-06-06 2006-06-28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変速機用油圧制御装置
JP3787921B2 (ja) * 1996-10-24 2006-06-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油圧制御装置
JP3496410B2 (ja) * 1996-10-30 2004-0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時ライン圧制御装置
JP3635190B2 (ja) * 1997-07-09 2005-04-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6990996B2 (en) * 2002-04-29 2006-01-31 Sonnax Industries, Inc. Torque converter clutch regulator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7104273B1 (en) 2003-04-28 2006-09-12 Sonnax Industries, Inc. Torque converter clutch regulator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WO2006017902A1 (en) * 2004-08-20 2006-02-23 Nautitech Pty Ltd Torque converter
US8061463B2 (en) * 2004-11-25 2011-11-22 Honda Motor Co., Ltd.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JP4238916B2 (ja) * 2007-01-12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油圧供給装置
US9234583B2 (en) * 2007-07-17 2016-0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draulic supply system for torque converter impeller clutch
JP5177026B2 (ja) * 2009-03-12 2013-04-0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011021696A (ja) * 2009-07-16 2011-02-03 Aisin Seiki Co Ltd 流体伝動装置の油圧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8427A (en) * 1951-11-28 1955-12-27 Studebaker Packard Corp Transmissions
JPS6084464A (ja) * 1983-10-14 1985-05-13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S62297567A (ja) * 1986-06-16 1987-12-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変速機における流体トルクコンバ−タ用クラツチの作動制御方法
US4880090A (en) * 1987-06-11 1989-11-14 Aisin-Warner Kabushiki Kaisha Hydraulic controlling system for lockup clutches
JPH0745906B2 (ja) * 1988-10-31 1995-05-17 マツダ株式会社 流体継手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H02225875A (ja) * 1988-11-04 1990-09-07 Mazda Motor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12109T2 (de) 1996-04-18
EP0452887A3 (en) 1992-01-29
EP0452887A2 (en) 1991-10-23
KR910018703A (ko) 1991-11-30
EP0452887B1 (en) 1995-08-16
US5339935A (en) 1994-08-23
DE69112109D1 (de) 199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116B1 (ko) 토오크 콘버어터의 제어장치
US4989702A (en) Control system for torque converter of automatic transmission
US5060769A (en) Slip control device of a fluid coupling
GB2076483A (en) Control system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s
US4709596A (en) Control of a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US5109733A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4817474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utomatic transmission
JP3402080B2 (ja) 車両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スリップ制御装置
KR10022282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
EP0725239B1 (en) Control apparatus for hydraulically operated vehicular transmission
US5109734A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H08326902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5435211A (en) Control system for torque converter
US4987798A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with high accuracy reverse inhibition system
US5095775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3342167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S6148026B2 (ko)
JP2874952B2 (ja) 流体継手の締結力制御装置
JP2878476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342168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876223B2 (ja) ロックアップトルコン付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0213184B2 (ko)
JPH0626568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回路
JP2840348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6221423A (ja) 流体継手の締結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