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691Y1 -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691Y1
KR940005691Y1 KR92016839U KR920016839U KR940005691Y1 KR 940005691 Y1 KR940005691 Y1 KR 940005691Y1 KR 92016839 U KR92016839 U KR 92016839U KR 920016839 U KR920016839 U KR 920016839U KR 940005691 Y1 KR940005691 Y1 KR 940005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output
atb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304U (ko
Inventor
양태현
Original Assignee
이희종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금성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92016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691Y1/ko
Publication of KR940008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6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4Automated test systems [ATE];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6Testing of analo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제1도는 종래 에이티비(ATB)의 측정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소자측정시 신호흐름도.
제3도는 본 고안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의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릴레이보드의 상세 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소자 자동 측정시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컴퓨터 3, 20 : 아날로그테스트보드(ATB)
3, 3' : 인터페이스 30 : 릴레이보드
31 : 어드레스디코더 32 : 버퍼
33 : 래치디코더 34 : 데이타선택출력부
35, 36A, 36B : 릴레이구동부 37A-37C : 릴레이부
40 : 타겟보드 1-1~k-n, S1-Sk, G1-Gk: 릴레이
본 고안은 에이티비(ATB; Analog Test Board)의 소자 측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이씨티(ICT) 및 에프씨티(FCT)의 대량 생산시 에이티비(ATB)로 소자를 측정하고 그 측정데이타를 분석하여 보정을 신속정확하게 하는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에이티비(ATB)의 측정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로우브(S, R, G)가 측정용 소자에 접속된 아날로그 테스트보드(2)를 인터페이스(3)를 이용 컴퓨터(1)에 접속시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인터페이스(3)로 에이티비제어신호(Ct1) 및 데이타(Data)가 입력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장치의 동작과정을 제2도 소자 측정시 신호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1)로 측정소자의 용량값에 따른 범위(Range) 및 경로(Path)를 설정하여 인터페이스(3)를 통해 에이티비(ATB)(2)에 로직을 구성하고 상기 에이티비(2)의 각 프로우브(S, R, G)를 측정소자에 접속한다.
이때, 모드별에 따라 에이티비(2)는 소자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데이타를 인터페이스(3)를 통해 컴퓨터(1)에 입력시키고 상기 컴퓨터(1)는 입력된 측정데이타를 기록한 후 이 데이타를 자료분석 프로그램에 입력시킴으로써 보정인자 산출식에 따라 보정인자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보정인자를 측정데이타에 따른 소자용량값 환산식에 대입하여 보정하고 참값과 비교하여 정밀도를 판별하며 정밀도가 만족치 못한 경우 만족한 정밀도를 얻을때까지 소자측정 및 보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장치는 측정하려는 모든 소자의 종류 및 용량에 대한 전범위에 대해 각각의 모든 소자에 일일이 프로우브를 접속하고 측정데이타의 기록 및 자료분석 프로그램에 기록데이타 입력을 수동으로 수행하여 작업이 불편함과 아울러 많은 시간을 소비함으로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에이티비(ATB)의 각 측정모드의 측정검사용 소자를 대신할 보정용 동등소자를 각 범위별로 여러 단계에 구비하고 릴레이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자동측정하는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를 안출한 것을,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컴퓨터(10)를 인터페이스(3)를 통해 에이티비(20)에 접속하고, 상기 컴퓨터(10)가 인터페이스(3')를 통해 접속된 릴레이보드(30)를 타겟보드(40)에 접속하며 상기 에이티비(20)의 프로우브(S, G)(R)를 상기 릴레이보드(30)의 타겟보드 (40)에 각기 접속하여구성한다.
제4도는 릴레이보드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컴퓨터(10)에서 인터페이스(3')를 통해 어드레스(Add)와 제어신호(IWR, IRD, RST)를 입력받아 제어신호(CK1, CK2, SEL, CP)를 출력하는 어드레스디코더(31)와, 이 어드레스디코더 (31)의 클럭펄스(CP)에 의해 상기컴퓨터(10)의 데이타(DATA)를 완충증폭하여 출력하는 K비트의 버퍼(32)와, 상기 어드레스디코더(31)의 출력(CK1)(CK2)에 따라 인에이블되어 상기 버퍼(32)의 출력(ID0-IDK-1)을 입력받아 각기 출력하는 k x n비트의 래치디코더(33), 데이타선택출력부(34)와, 상기 래치디코더(33)의 출력(L1-Ln)에 따라 릴레이부(37A)의 릴레이(1-1~k-n)를 구동시키는 n비트의 릴레이구동부(35)와, 상기 어드레스디코더(31)의 선택신호(SEL)에 따른 데이타선택출력부(34)의 출력 (SD0-SDk-1)(GDo-GDk-1)에 따라 릴레이부(37B)(37c)의 릴레이(S1-Sk)(G1-Gk)를 각기 구동하는 k비트의 릴레이 구동부(36A)(36B)로 구성한다.
상기 릴레이부(37A)의 릴레이(1-1~k-n)는 상기 타겟보드(40)의 보정용동등소자(D1-1~Dk-n)에 각기접속하고 상기 타겟보드(40)의 보정용동등소자(D1-1~Dk-n)의 일측은 공통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에이티비(20)의 프로우브(R)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제5도 소자 자동 측정시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어드레스 및 데이타를 8비트로 가정하고 어드레스디코더(31)에 어드레스(Add)가 30H 또는 31H일때 클럭펄스(CP)를 인에이블시킴과 아울러 30H에서 클럭(CK1)을 인에이블시키고 32H에서 클럭(CK2)을 인에이블시키며 32H일때 선택신호(SEL)을 인에이블시킨다고 가정한다.
먼저, 컴퓨터(10)에 에이티비(ATB) 자동 보정용 프로그램에 따라 측정용 소자의 용량값에 맞는 측정범위 및 단계를 설정하고 인터페이스(3)(3')를 통해 각 범위 및 단계를 설정하고 인터페이스(3)(3')를 통해 각 범위 및 단계를 순차적으로 낮은 범위 및 단계에서 높은 범위 및 단계로 에이티비(ATB)(20)와 릴레이보드(30)에 선택출력하여 그에따른 측정값을 읽고 계산함에 따라 보상인자(factor)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한다.
이때, 컴퓨터(10)에서 리세트신호(RST)를 인에이블시킨 후 설정범위 및 단계에 따라 인터페이스(3')를 통해 30H의 어드레스(Add)와 04H의 데이타(DATA)를 릴레이보드(30)에 입력시키면 상기 30H의 어ㄷ,레스(Add)가 입력된 어드레스디코더 (31)가 클럭(CK1)과 클럭펄스(CP)를 인에이블시켜 출력함에 따라 상기 04H의 데이타(DATA)가 입력된 버퍼(32)는 완충증폭된 04H의 데이타(ID0-ID7)를 래치디코더 (33)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클럭(CK1)이 입력되고 04H의 데이타(ID0-ID7)가 입력된 래치디코더 (33)가 4번선 신호(L4)만을 인에이블시킴으로써 릴레이구동부(35)는 릴레이부(37A)의 릴레이(1-4, 2-4, …, 8-4)를 모두 온시켜 타겟보드(40)의 보정용 동등소자(D1-4, D2-4…, D8-4)에 각기 접속시킨다.
이때, 설정된 타겟보드(40)의 보정용 동등소자에 가딩(Guarding)이 필요없으면 컴퓨터(10)는 인터페이스(3')를 통해 32H의 어드레스(Add)와 임의의 데이타(Dont Care Data)를 릴레이보드(30)에 입력시킴으로서 어드레스디코더(31)에서 선택신호(SEL)가 인에이블되어 데이타선택출력부(34)는 데이타(SD0-SD7)를 출력하는 준비상태가 된다.
따라서, 컴퓨터(10)에서 31H의 어드레스(Add)와 01H의 데이타(DATA)를 릴레이보드(30)에 입력시키면 어드레스디코더(31)가 클럭(CK2)과 클럭펄스(CP)를 인에이블시켜 버퍼(32)의 01H데이타(ID0-ID7)를 입력받은 데이타선택출력부(34)가 데이타(SD0)만을 인에이블시킴으로 릴레이구동부(36A)는 릴레이부(37B)의 릴레이 (S1)만을 온시킨다.
이에따라, 에이티비(20)의 프로우브(S)(R)사이에는 릴레이부(37B)(37A)의 릴레이(S1)(1-4)와 타겟보드(40)의 보정용측정소자(D1-4)가 접속되어 상기 프로우브(S)에서 전압 또는 전류를 출력하면 프로우브(R)로 감지함으로써 상기 보정용 측정소자(D1-4)를 측정하여 인터페이스(3)를 통해 측정데이타를 컴퓨터(10)에 입력시킨다.
또한, 컴퓨터(10)에서 30H의 어드레스(Add)와 04H의 데이타(DATA)를 릴레이보드(30)에 입력시켜 릴레이부(37A)의 릴레이(1-4~1-8)을 온시켰을때 가딩(Guarding)이 필요한 경우 상기 컴퓨터(10)는 인터페이스(3')를 통해 31H의 어드레스(Add)와 가딩데이타(Guarding DATA)를 출력하여 어드레스디코더(31)가 클럭(CK2)을 인에이블시킴에 따라 데이타선택출력부(34)는 버퍼(32)의 출력(ID0-ID7)을 입력받아 데이타(GD0-GD7)를 릴레이구동부(36B)에 출력시킨다.
이때, 타켓보드(40)의 보정용측정소자 및 가딩소자(DUT)가 D1-4, D2-4라면 컴퓨터(10)는 31H의 어드레스(Add)와 02H의 데이타(DATA)를 출력하여 릴레이부(37c)의 릴레이(G2)를 온시킨 후 32H의 어드레스(Add)를 어드레스디코더(31)에 출력하여 인에이블된 클럭(CK2)으로 데이타선택출력부(34)가 데이타(SD0-SD7)를 출력하는 준비상태로 절환시킨다.
그리고, 컴퓨터(10)가 인터페이스(3')로 31H의 어드레스(Add)와 01H의 데이타(DATA)를 출력하면 어드레스디코더(31)는 클럭(CK2)과 클럭펄스(CP)를 인에이블시키고 버퍼(32)의 출력데이타(ID0-ID7)는 데이타선택출력부(34)에 입력되어 릴레이구동부(36A)는 릴레이부(37B)의 릴레이(S1)만을 온시킨다.
따라서, 에이티비(ATB)의 프로우브(S, R) 사이에는 릴레이부(37B)(37A)의 릴레이(S1)(1-4)와 타겟보드(40)의 보정용측정소자(D1-4)가 접속되고 프로우브 (G, R)사이에는 릴레이부(37C)(37A)의 릴레이(G2)(2-4)와 타겟보드(40)의 보정용측정소자(D2-4)가 접속된다. 이에따라 에이티비(ATB)(20)의 프로우브 (S)로 전압 또는 전류를 출력하여 프로우브(R)로 감지함으로써 측정데이타를 인터페이스(3)을 통해 컴퓨터(10)에 입력시킨다.
즉, 타겟보드(40)의 보정용측정소자를 각 범위(Range)별로 여러단계에 따라 각 모드의 범위별로 측정하고 이 측정데이타를 컴퓨터(10)에 기록한 후 측정데이타를 분석하여 참값과 비교함에 따라 보정인자를 구한다.
그리고, 구한 보정인자를 소자용량값 환산식에 적용시켜 보정한 후 정밀도를 판별하고 판별한 정밀도를 만족하면 측정과정을 완료하며 만족하지 못하면 다시 측정범위와 단계를 설정하여 측정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는 매트릭스로 배열된 릴레이를 이용하여 에이티비의 프로우브를 측정소자에 자동으로 접속함으로써 신속하게 측정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아이씨티(ICT), 에프씨티 (FCT)의 대량 생산 공장에서 시스템 보드의 성능시험 및 그 보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컴퓨터(10)의 어드레스(Add)에 따라 클럭(CK1)(CK2), 클럭펄스(CP) 및 선택신호(SEL)를 인에이블시키는 어드레스디코더(31)와, 이 어드레스디코더(31)의 출력(CP)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컴퓨터(10)의 데이타(DATA)를 완충증폭하는 버퍼(32)와, 상기 어드레스디코더(31)의 출력(CK1)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버퍼(32)의 출력(ID0-IDk-1)을 디코딩하는 래치디코더(33)와, 상기 어드레스디코더(31)의 선택신호(SEL)에 출력(SD0-SDk-1)(GD0-GDk-1)을 선택하고 클럭(CK2)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버퍼(32)의 출력(ID0-IDk-1)를 래치시키는 데이타선택 출력부(34)와, 상기 래치디코더(33)의 출력(L1-Ln)에 따라 릴레이부(37A)를 구동시키는 릴레이구동부(35)와, 상기 데이타선택출력부(34)의 출력(SD0-SDk-1)(GD0-GDk-1)에 따라 릴레이부(37B)37C)를 각기 구동시키는 릴레이구동부(36A)(37C)와 상기 릴레이부(37A)(37B)(37C)의 동작에 따라 에이티비(ATB)(20)의 프로우브신호(S)를 프로우브(R)로 궤환시키는 타겟보드(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릴레이부(37A)는 릴레이(1-1~1-n), …, (k-1~k-n)의 일측을 공통접속하여 각기 릴레이부(37B)(37C)에 접속하고 릴레이(1-1, 2-1, …, k-1), …(1-n, 2-n, …, k-n)는 릴레이구동부(35)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릴레이(1-1, 2-1, …, k-n)는 각기 타겟보드(40)의 보정용측정소자(D1-1, D1-2, …, Dk-n)에 접속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릴레이부(37B)는 릴레이구동부(36A)의 출력에 각기 제어를 받는 릴레이(S1-Sk)의 일측을 공통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에이티비(20)의 프로우브(S)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릴레이부(37C)는 릴레이구동부(36B)의 출력에 각기 제어되는 릴레이(G1-Gk)의 일측을 공통접속항 그 접속점을 에이티비(20)의 프로우브(G)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타겟보드(40)는 보정용측정소자(D1-1, D1-2, …, Dk-n)의 일측을 공통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에이티비(ATB)의 프로우브(R)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선택출력부(34)는 어드레스디코더(31)의 선택신호(SEL)이 인에이블되면 출력(SD0-SDk-1)을 인에이블시켜 버퍼(32)의 출력(ID0-IDk-1)에 따라 릴레이구동부(30A)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신호(SEL)가 디스에이블되면 출력(GD0-GDk-1)을 인에이블시켜 상기 버퍼(32)의 출력(ID0-ID|k-1)에 따라 릴레이구동부(36B)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KR92016839U 1992-09-04 1992-09-04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KR940005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839U KR940005691Y1 (ko) 1992-09-04 1992-09-04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839U KR940005691Y1 (ko) 1992-09-04 1992-09-04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304U KR940008304U (ko) 1994-04-18
KR940005691Y1 true KR940005691Y1 (ko) 1994-08-22

Family

ID=1933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839U KR940005691Y1 (ko) 1992-09-04 1992-09-04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6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304U (ko) 199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5643A (en) Multi-speed logic analyzer
US4958294A (en) Swept microwave power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11119120B2 (en) Power probe including sensor for detecting current and voltage signals
KR940005691Y1 (ko) 에이티비(atb)의 자동 측정장치
JP2691397B2 (ja) ユーザに対し測定データ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ポータブルテスト計器
TWI408375B (zh) 電流測量裝置以及電腦系統
Heuermann et al. Results of network analyzer measurements with leakage errors-corrected with direct calibration techniques
JPH04274100A (ja) テスト回路内蔵のメモリーlsi
JP3161311B2 (ja) 測温抵抗体回路
JP2776321B2 (ja) ロジックアナライザ
SU75223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ценки результатов допускового контрол
JP3003056B2 (ja) 自己診断回路
JPS6382340A (ja) 材料試験機
JPH0673227B2 (ja) 磁気デイスク特性測定装置
US7062168B1 (en) Bifurcated range stages to increase speed or dynamic range of measuring instrument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0249507A (ja) ひずみ測定システム
JPH0736300Y2 (ja) タイミング校正装置
JP3163568B2 (ja) Ic試験装置
JP4214361B2 (ja) Ic試験装置及びその出力信号のタイミング調整方法
SU10498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етрологической поверки цифровых вольтметров
JP2513888B2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
JPS5883433A (ja) 論理レベル検出器
SU87546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запоминающих матриц
JPH09101330A (ja) プルアップ抵抗及びプルダウン抵抗の自動試験器
CZ284557B6 (cs) Měřič částečných výboj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