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754B1 -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754B1
KR940004754B1 KR1019910007950A KR910007950A KR940004754B1 KR 940004754 B1 KR940004754 B1 KR 940004754B1 KR 1019910007950 A KR1019910007950 A KR 1019910007950A KR 910007950 A KR910007950 A KR 910007950A KR 940004754 B1 KR940004754 B1 KR 94000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arriage
impact
pivot shaft
form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280A (ko
Inventor
김기웅
Original Assignee
김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웅 filed Critical 김기웅
Priority to KR101991000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754B1/ko
Publication of KR92002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2Moulds built-up from several parts; Multiple moulds; Moulds with adjust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부분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임팩트렌치 2 : 작업대
8 : 위치조절대 9 : 복귀용실린더
11 : 왕복대 12 : 작업실린더
14 : 견인간 17 : 회동축
18 : 지지판 19 : 임팩트실린더
22 : 소켓트아암 22' : 소켓트
M : 성형틀 B : 보울트
N : 너트 N' : 너트 집
본 발명은 콘크리트제의 파일(Pile)이나 포올(Pole)을 성형시키기 위한 성형틀(mould)을 기계적장치에 의하여 성형틀이 진행중에 자동적으로 분해, 조립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제의 파일이나 포올을 성형시킴에 있어서는 반원형으로 분리되는 상측틀과 하측틀을 서로 대향접합시키고, 상, 하틀에 부착된 보울트와 너트로서 체결조립한 후, 원형관 상태로 조립된 성형틀내에 충전된 콘크리트가 양생고화된 후에는 다시 상, 하틀을 체결한 보울트와 너트를 분해하여 상측틀과 하측틀을 분리시켜 성형된 파일이나 포올을 인출하게 되는 것인바, 종래에는 상측틀에 착설된 보울트와 하측틀에 착설된 너트를 체결하거나, 일단 체결된 보울트와 너트를 분해시킴에 있어서는 성형틀을 정지상태로 놓고, 작업자가 일일히 수작업에 의하여 보울트를 체결하거나 분해하는 것이었으므로 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체결상태가 균일하지 못하여 충전된 콘크리트의 누설등으로 불량제품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아이보울트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성형틀에 있어서, 아이보울트를 자동적으로 조립, 분해시키는 장치가 알려진바 있으나(일본국 특허 출원공개소 59-59409호), 이는 랜치가 이동하면서 아이보울트에 체결된 너트만을 회동시키는 것이어서, 본원 발명에서와 같은 보울트와 너트가 각각 분리되어 상, 하틀에 분리착설된 성형틀에 적용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실정에 감안하여 성형틀이 콘베어에 실려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측틀과 하측틀을 자동적으로 체결하거나 분해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립분해장치는 성형틀(M)을 이송하는 이송콘베어(C)의 양측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보울트(B)를 협지회전시키는 임팩트렌치(impact Wrench)(1)가 전후진 할 수 있는 수개의 작업대(2)에 2개를 1조로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작업대(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체인(3)구동에 따라 서로 연동하는 나사재크(Screwjack)(4)(4')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도록 받혀진 플레임(5)과 플레임(5)에 설치된 제1레일(R1)을 따라 피니온(6)과 래크(7)의 구동으로 전후진하도록 설치된 위치조절대(8) 및 위치조절대(8)에 설치된 제2레일(R2)를 따라 복귀용실린더(9)의 피스턴로드(10)와의 연동으로 좌우이동하는 왕복대(11)로 구성되는 베이스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각 작업대(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업실린더(12)의 피스턴로드(13)와 연결되어 왕복대(11)에 설치된 제3레일(R3)을 따라 전후진하도록 구성하고, 왕복대(11)의 적당한 위치에는 진행하는 성형틀(M)측으로 돌출되었다가 다시 원상으로 복귀하는 센서스위치(S)가 부착된 견인간(14)을 설치하였으며, 이 견인간(14)은 타이머와 연결된 작동간(15)와 연동하여 기립 또는 전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우터(16)에 의하여 구동되는 임팩트렌치(1)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업대(2)상에 입설한 회동축(17)에 끼워진 지지판(18)에 착설되어 있으며, 지지판(18)은 회동축(17)의 회동에 따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임팩트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20)와 연결되어 회동축(17)의 벽면과 접동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승강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동축(17)의 하단부에는 양측면이 스프링(21)(21')에 의하여 탄지되고 전단부는 확개된 상태로 갈라진 소켓트(22')가 형성된 소켓트아암(Socketarm)(22)을 회동축(17)과 고정되게 착설하여, 진행하는 성형틀(M)의 하측틀(M2)에 고정된 너트집(N2)에 부동상태로 수동된 너트(N)가 소켓트아암(22)의 전진에 따라 소켓트(22')내로 진입되어 너트집(N')이 소켓트(22')에 의하여 협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M1은 상측틀이고, T는 성형틀(M)의 외경부에 형성된 타이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측틀(M2)위에 상측틀(M1)을 덮어놓은 상태로된 성형틀(M)이 콘베어(C)에 실려 본 발명의 장치를 통과하기전에, 우선 소켓트아암(22)의 높이가 성형틀(M)의 대소규격에 따라 너트(N)을 협지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절되어야하고, 소켓트아암(22)의 진퇴간격도 조절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나사재크(4)(4')를 작동시켜 작업대(2)가 설치된 왕복대(11), 위치조절대(8), 플래임(5) 등의 베이스전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니온(6)을 회동하여 랙크(7)가 착설된 위치조절대(8)를 수평방향으로 진퇴시킴으로서, 소켓트아암(22)이 성형틀(M)의 너트(N)를 협지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위치조절대(8)가 고정되게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위치결정이 끝나면, 위치조절대(8)는 부동상태로 고정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콘베어(C)에 실린 성형틀(M)을 진행시키게 되는 것인바, 성형틀(M)을 체결하는 보울트(B)와 너트(N)는 표준화된 규격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임팩트렌치(1) 역시 규격화된 보울트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이며,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하여 견인간(14)을 기립전도시키는 작동간(15)과 작업실린더(12) 또는 임팩트실린더(19) 및 복귀용실린더(9) 등의 작동시기가 미리 조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진행하는 성형틀(M)이 각 임팩트렌치(1)를 통과하여 체결보울트(B)의 수와 임팩트렌치(1)의 수가 일치하는 상태로 성형틀(M)이 진입하는 순간에 작동간(15)을 작동시키면, 견인간(14)이 성형틀(M)측으로 전도하여 돌출되면서 성형틀(M)의 외경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타이어(T)가 견인간(14)에 걸리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견인간(14)은 성형틀(M)의 타이어(T)에 밀리면서 왕복대(11)전체가 성형틀(M)을 따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왕복대(11)가 성형틀(M)과 함께 진행을 시작하는 시기에는 각 임팩트렌치(1)와 보울트(B)가 작업실린더(12)의 작동방향선과 동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성형틀(M)의 타이어(T)가 견인간(14)과 접촉하는 순간, 센서스위치(S)가 작용하게 되고 제어시스템을 통하여 작업실린더(12)가 작동하면서 작업대(2)를 성형틀(M)쪽으로 전진시키게되면, 작업대(2)에 입설한 회동축(17)과 고정된 소켓트아암(22)이 전진하면서 소켓트(22')내로 하측틀(M2)이 너트집(N')이 삽입되어 소켓트(22')가 너트집(N')을 협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기계적오차등으로 인하여 소켓트(22')의 중앙선과 너트집(N')의 중앙선이 일치하지 않고 약간의 어긋남이 있을 때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켓트(22')의 선단확개부 내벽이 너트집(N')과 접촉하게 되는 것인바, 소켓트아암(22)은 양측면이 스프링(21)(21')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고, 후단부는 회동축(17)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어서, 소켓트아암(22)은 너트집(N')과의 접촉압력에 의하여 회동축(17)을 중심으로하여 좌, 우로 약간식 회동되면서 소켓트(22')의 중심부가 정확히 너트집(N')을 협지하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며, 임팩트렌치(1)역시 소켓트아암(22)을 따라 회동하는 회동축(17)에 고정되어 있고, 소켓트(22')의 센터와 임팩트렌치(1)의 센터는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어서, 회동축(17)이 회동하면 소켓트암(22)과 임팩트렌티(1)의 지지판(18)은 동일방향 및 동일거리를 동시에 이동하여 항상 양자의 센터는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있게 되는 것이다.
일단 소켓트(2')가 너트집(N')을 협지하게 되면 작업실린더(12)의 작동은 중단되고, 다음순간 임팩트실린더(19)가 작동하여 지지판(18)을 하강시키면서 임팩트렌치(1) 역시 작동하여 하강하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측틀(M1)에 착설된 보울트(B)의 헤드를 삽착한 상태에서 보울트(B)를 풀거나 조이는 방향으로 임팩트렌치(1)가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모우터(16)는 가역회전모우터이고,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성형틀(M)을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경우에 따라 회전방향이 설정되는 것이다.
일단 보울트(B)를 풀거나 조이는 작업이 끝나는 시점에 이르게되면 임팩트실린더(19)의 작용으로 피스턴로드(20)가 상승하면서 지지판(18)의 상승에 따라 임팩트렌치(1) 역시 상승하여 작동을 멈춤과 동시에 작업실린더(12)가 작동하여 작업대(2)를 후퇴시키게 되므로서 소켓트(2')도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작업대(2)가 후퇴를 완료한 시점에 이르면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견인간(14)을 작동간(15)이 잡아당겨 기립시킴으로서 성형틀(M)의 타이어(T)에서 견인간(14)이 이탈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복귀용실린더(9)가 작동하여 왕복대(11)에 연결된 피스턴로드(10)에 의하여 왕복대(11)를 원위치까지 후퇴시킴으로써 1싸이클의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틀(M)의 길이가 10미터이고, 보울트의 체결수가 양측에 각각 30개이며, 콘베어(C)의 진행속도가 매분 10미터인 경우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베어(C)의 양측에 각각 10대의 임팩트렌치(1)를 설치하면, 길이 10미터의 성형틀(M)을 1분간 분해조립할 수 있는 것이고, 이 경우 본 발명장치에서 임팩트렌치(1)가 보울트(B)를 분해, 조립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작용의 1싸이클은 10초정도이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므로 양측 각각 10대의 자동렌치(1)가 3싸이클의 작용으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며, 임팩트렌치(1)의 설치대수 또는 작동싸이클의 소요시간과 성형틀(M)의 진행속도등은 설계상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성형틀(M)의 조립, 분해작업을 기계적장치에 의하여 성형틀(M)이 이송되는 도중에 자동적으로 단시간내에 행하게 되므로서, 콘크리트파일의 대량생산과 품질향상 및 작업의 안전성유지 등에 유용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성형틀(M)을 이송하는 콘베어의 양측부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위치조절대(8)상에 임팩트렌치(1)를 장치한 것에 있어서, 임팩트렌치(1)가 설치된 왕복대(11)가 위치조절대(8)상의 레일(R2)을 따라 왕복운동 되도록 구성하고, 왕복대(11)에는 성형틀의 타이어(T)와 접리하는 견인간(14)을 설치하여 왕복대(11)가 성형틀과 접속되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왕복대(11)위에서 진퇴하도록 설치된 작업대(2)에는 하측틀의 너트집(N')을 협지하는 소켓트아암(22)을 설치하여 임팩트렌치(1)와 소켓트아암(22)의 소켓트(22')의 중심선이 항상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2. 임팩트렌치(1)는 작업대(2)에 입설한 회동축(17)에 끼워진 지지판(8)에 착설하고, 임팩트실린더(19)의 피스턴로드(20)를 지지판(18)과 연결하여 지지판(18)이 회동축(17)과 접동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회동축(17)의 하단부에는 양측면이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소켓트아암(22)을 지지판(18)과 평행상태로 착설하여, 회동축(17)의 회동에 따라 지지판(18)과 소켓트아암(22)이 평행상태를 유지한채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하여서된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KR1019910007950A 1991-05-16 1991-05-16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KR94000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950A KR940004754B1 (ko) 1991-05-16 1991-05-16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950A KR940004754B1 (ko) 1991-05-16 1991-05-16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280A KR920021280A (ko) 1992-12-18
KR940004754B1 true KR940004754B1 (ko) 1994-05-28

Family

ID=1931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950A KR940004754B1 (ko) 1991-05-16 1991-05-16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7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280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0437A (en) Injection molding presses
CN108189217B (zh) 自动管桩成型张拉一体机
US20070218159A1 (en) mold clamping apparatus of a die casting machine and so on, a method of changing a mold in the die casting machine and so on provided with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nd a changing system of a moving die plate
KR940004754B1 (ko)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US20040112111A1 (en) Adjustable knockout assembly for a press system
CN109366628B (zh) 一种实木扶手柱自动钻孔插杆机
CN209954546U (zh) 一种座椅装配自动定位装置
CN214868598U (zh) 一种汽车前桥横拉杆总成的装配装置
CN209954137U (zh) 一种导轨自动定位及上料装置
CN210795748U (zh) 汽车门锁拉索的注油卡壳机
CN212400233U (zh) 一种用于注塑模具的顶料机构
CN201165045Y (zh) 塑料中空容器拉吹机
JP2738094B2 (ja) 成形機の型締装置
CN113290219A (zh) 一种炼钢连铸自动切割装置
JPH079451A (ja) 金型組立装置及び金型製作方法
CN114633103B (zh) 异型螺母拆卸机械手
CN220362892U (zh) 一种蜗轮注塑模具的维修拆卸装置
JP2968615B2 (ja) ボルトの自動締緩方法
CN114537780B (zh) 一种型材自动套袋机与方法
CN213497587U (zh) 一种螺栓配套旋压系统
CN110899486A (zh) 一种稳定杆加工生产线的杆体折弯设备
JPH05333Y2 (ko)
JPH05334Y2 (ko)
CN113696135B (zh) 一种钢平台螺栓紧固专用治具及其使用方法
KR940004058Y1 (ko) 콘크리트파일 성형모울드의 조립분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