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843B1 - 전화기 - Google Patents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843B1
KR940003843B1 KR1019900007057A KR900007057A KR940003843B1 KR 940003843 B1 KR940003843 B1 KR 940003843B1 KR 1019900007057 A KR1019900007057 A KR 1019900007057A KR 900007057 A KR900007057 A KR 900007057A KR 940003843 B1 KR940003843 B1 KR 940003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labels
label
display
di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432A (ko
Inventor
요시하루 타무라
Original Assignee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filed Critical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의 전화기로서 본 발명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전화기의 상이한 구성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단축 다이얼링시 종래 전화기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나타나는 특정 정보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단축 다이얼링시 다른 종래 전화기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특정 정보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전화기의 필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제어 회로의 특정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제7도 내지 제10도는 레이블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특정 포맷을 각각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기 12 : 디스플레이 부분
14 : 키 입력 부분 16 : 다이얼 메모리
18 : 라인 접속 부분 20 : 제어회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부분, 키 입력 부분, 및 개인 또는 회사와 같은 가입자를 각각 나타내는 레이블(Label)에 관련된 다수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다이얼 메모리를 갖고 있고,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가입자를 신속하게 호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전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용 유선 전화기, 차량에 장착된 휴대용 전화기, 및 기타 전화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화기는 소위, 생략 다이얼링(abbreviate dialing) 또는 단축 다이얼링(speed dialing) 기능, 즉, 다이얼 메모리내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가입자에 대한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세히 말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가입자에 할당된 다이얼 메모리의 특정 어드레스를 입력시키기 위해 키 입력 부분을 조작할 때, 가입자를 나타내는 전화 번호 및 레이블이 디스플레이 부분에 나타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부분을 보면서 전화기에 호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디스플레이 부분에 나타난 모든 정보는 호출될 가입자를 나타내는 전화 번호 및 관련된 레이블이다. 더우기,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를 동작시킬 때까지는 나타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키가 눌려진 다이얼 메모리의 특정 어드레스내에 저장된 정보를 단순히 확인하기 위해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했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다이얼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관련된 모든 전화 번호 및 관련 레이블을 기억하거나, 다이얼 메모리의 어드레스 및 이들 내용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전용 단축 다이얼링 테이블을 준비해야만 했다. 단축 다이얼링 기능이 원래는 편리한 호출 개시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이러한 기능은 실제에 있어서 상술한 이유때문에 조작하기 힘들었다. 또한, 디스플레이기능은 단순히 확인을 위해 사용되었고 동작 능력의 향상에 조금도 기여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극히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가입자를 신속하게 호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다이얼 메모리의 어드레스와 가입자를 나타내는 레이블 사이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거나 전용 단축 다이얼링 테이블 리스팅(exclusive speed dialing table listing)을 준비할 필요성이 없도록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능을 사용하는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격 대 성능비가 향상된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수의 전화 번호, 및 이 전화 번호들 중 1개의 전화 번호에 각각 관련된 다수의 레이블을 저장하는 다이얼 메모리, 디스플레이 부분, 및 키 입력 부분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전화기는, 단순한 호출 발생 모드(call originating mode)에 있는 경우에는 다이얼 메모리내에 저장된 다수의 레이블 중 일부를 키 입력 부분상의 키 배열과 관련된 포맷(format)으로 디스플레이 부분상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부분상에 나타나는 레이블들 중 1개의 레이블이 이 레이블과 관련된 1개의 키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레이블과 관련하여 다이얼 메모리내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그외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에 대해서 청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종래의 전화기를 간단히 설명한다. 전형적으로, 종래의 전화기는 제1도 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구성은 여러가지 차량에 장착된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되고, 제2도에 도시한 구성은 가정 및 사무실용의 여러가지 유선 전화기에 적용된다. 이러한 전화기는 차내에서 사용되든지,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든지 간에 전화 번호가 기입될 수 있는 내장 다이얼 메모리를 갖고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 번호는 다음과 같이 단축 다이얼링 모드시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도에 도시한 휴대용 전화기의 다이얼 메모리의 어드레스 #18내에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있는 John White를 사용자가 호출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조작자는 예를 들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RCL","1" 및 "8"을 누른다. 이러한 키 입력에 응답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보가 전화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난다. 정보를 확인하여, 조작자는 호출 발생을 명령하기 위해 호출 발생 키 "SEND" 또는 이와 유사한 키를 누를 수 있다. 제2도의 전화기 셋트의 경우에, 조작자가 예의 방법으로 키 "SPC" 및 "5"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제4도에 (a)로 표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전화기 셋트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난다. 정보(a)는 선정된 타이밍에서 순차적으로 정보(b) 및 정보(c)로 변화하고 최종적으로, 다이얼 메모리의 어드레스 #5내에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원하는 가입자에 대한 호출이 발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에 관계없이 종래의 전화기는 호출될 가입자에 관련된 전화 번호 및 레이블만을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술한 동작이 완료된 후에만 이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전화기에 관련된 문제점은 다이얼 메모리내에 저장된 전화 번호 및 이에 관련된 레이블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기억되거나 다이얼 메모리의 어드레스와 관련하여 테이블내에 리스트되어 있지 않으면 실제로 사용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다이얼 메모리내에 저장된 모든 어드레스 및 레이블을 기억하거나 또는 매번 테이블을 찾는 것은 실용적으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현하는 전화기는 참조 번호(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기(10)은 2개 이상의 레이블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부분(12), 숫자 키 및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 부분(14), 서로에 관련된 다수의 전화 번호 및 다수의 레이블을 저장하는 다이얼 메모리(16), 라인 접속 기능을 관리하는 라인 접속 부분(18), 및 전체 전화기(10)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20)을 갖는다. 전화기(10)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구성들 중 1개의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제어 회로(20)은 통상의 전화 번호를 나타내는 키 입력 부분(14)상의 통상 키 입력에 응답하여, 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라인 접속 부분(18)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어 회로(20)이 지원하는 다른 기능은 단순한 호출 발생 모드가 선택될 때, 레이블과 키 입력 부분(14)의 키 사이의 대응 관계를 명확하게 도시하는 방식으로 다이얼 메모리(16)내에 저장된 소정의 레이블들을 디스플레이 부분(12)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그 다음, 조작자가 키 입력 부분(14)의 키들중 관련된 1개의 키를 눌러서 디스플레이 부분(12)상에 나타나는 다수의 레이블들 중 1개의 레이블을 선택하면, 제어 회로(20)은 다이얼 메모리(16)내에 저장되고 선택된 레이블에 관련된 특정 전화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호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6도를 참조하면, 제어 회로(20)이 단순한 호출 발생 모드시에 실행하는 특정 처리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작을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조작자가 키 "FCN" 및 "#"을 누르므로써 전화기(10)의 단순한 호출 발생 모드를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단순한 호출 발생 모드에서 제어를 개시한다. 첫째로, 제어 회로(20)은 디스플레이 부분상에 나타나는 정보를 삭제하도록 디스플레이 부분(12)를 클리어(clear)한다(단계 S1). 그 다음, 제어 회로(20)은 제어 변수 i를 "1"로 셋트시키고(단계 S2). 다이얼 메모리(16)에서 제어 변수 "1"에 관련된 다수의 레이블을 나타내는 데이타 DM(i)를 판독하며, 레이블과 키 입력 부분(14)의 키 사이의 대응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특정한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부분(12)에 레이블들을 디스플레이 한다(단계 S3). 디스플레이 부분(12)는 9개의 레이블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즉, 키 입력 부분(14)의 숫자 키 "1" 내지 "9"의 배열과 실제로 일치되는 배열로 레이블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이블 "TONY"는 숫자 키 "1"에 해당하고, 레이블 "TED"는 숫자 키 "2"에 해당하며, 레이블 "HOME"는 숫자 키 "9"에 해당한다.
상술한 상태에서, 제어 회로(20)은 숫자 키 "1" 내지 "9"중 요구된 1개의 숫자 키로 입력될 수 있는 명령이 도착하기를 기다리거나(단계 S4), 또는 디스플레이 부분(12)에 나타나는 레이블을 다른 그룹의 레이블로 대체하기 위해 키 입력 부분(14)의 특정 키로 입력될 수 있는 NEXT PAGE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5). 예를 들어, 조작자가 숫자 키 "5", 또는 숫자 키 "5"와 기능 키 "SEND"를 눌렀다고 가정한다. 그다음, 제어 회로(20)은 다이얼 메모리(16)에서 숫자 키 "5"를 통해 지정된 레이블 "NEC"에 관련된 특정전화 번호를 판독하여 가입자 "NEC"에 대한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라인 접속 부분(18)을 제어한다(단계 S7).
조작자가, 제어 회로(20)이 상술한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NEXT PAGE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해 키 입력 부분(14)를 조작했다고 가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재어 회로(20)은 요구된 방향에 따라 제어 변수 i를 갱신하고(단계 S6), 단계(S3)으로 복귀한다. 단계(S3)에서, 제어 회로(20)은 다이얼 메모리(16)에서 새로운 제어 변수 i에 의해 지정된 다른 그룹의 레이블을 나타내는 데이타 DM(i)를 판독하고, 이전의 레이블과 동일한 포맷으로 디스블레이 부분(12)상에 이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므로, 조작자는 원하는 레이블이 나타날 때까지 NEXT PAGE 명령을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부분(12)상에서 레이블의 그룹들을 연속하여 차례로 보기 위하여 키 입력 부분(14)를 반복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원하는 레이블이 디스플레이(12)상에 나타나자 마자, 조작자는 원하는 가입자를 호출하도록 키 입력 부분(14)상에 이 레이블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 변수 i의 상이한 값들과 다이얼 메모리(16)에 저장된 레이블 그룹을 일치(matching)시키기 위한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다른 방법들이 있다.
(1) 다이얼 메모리(16)에 저장된 레이블을 어드레스 순으로 각각 9개의 레이블을 갖고 있는 다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제어 변수들 DM(1), DM(2),‥‥‥, DM(n)을 제1그룹 내지 최종 그룹에 순차적으로 할당한다.
(2) 관련된 레이블이 실제로 사용된 횟수를 보유하기 위해 레이블들 중 1개의 레이블과 각각 관련되는 여분의 영역들을 다이얼 메모리(16)에 제공하고, 개별 영역들내의 이러한 값들을 갱신하여, 상기 레이블들을 사용 빈도에 따라 각각 9개의 레이블을 갖고 있는 그룹으로 분할하고, 제어 변수 DM(1), DM(2),‥‥‥, DM(n)을 제1그룹 내지 최종 그룹에 순차적으로 할당한다.
(3) 알파벳 순서로, 다이얼 메모리(16)에 저장된 모든 레이블들을 배열하고, 상기 레이블을 알파벳 순서로 각각 9개의 레이블을 갖고 있는 그룹으로 분할하며, 제어 변수 DM(1),DM(2),‥‥‥, DM(n)을 제1그룹 내지 최종 그룹에 할당한다.
제7도에서는 상기 방법(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가 알파벳 순서로 다이얼 메모리에 저장된 레이블들을 숫자 키 "1" 내지 "9"의 배열과 일치하는 포맷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레이블의 수는 제8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소될 수도 있다. 이렇게 레이블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자주 호출하는 가입자 수가 많지 않거나, 한번에 다수의 레이블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과도하게 문자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문자의 수를 제한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제8도에서, 4개의 레이블들은 예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부분(12)에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숫자 키 "1", "3", "4" 및 "6"은 레이블 "PHILL", "RICHARD", "STEVE" 및 "ELVIS"의 부분에 각각 해당한다.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은 제5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동작과 동일하다.
제5도,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특정한 배열에 있어서, 다수의 레이블들은 키 입력 부분(14)상의 키의 실제위치에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부분(12)상에 나타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 키상에 프린트되어 있고 특정 레이블에 각각 관련되는 숫자가 레이블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포맷은 상술한 포맷보다 유리하다. 또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22)의 간단한 메시지 및 개별 레이블을 둘러싸는 프레임(24)는 레이블과 함께 디스플레이(12)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므로, 미숙한 사용자라도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 특정한 호출 발생 절차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간단한 절차, 즉, 다수의 레이블 중에서 원하는 가입자를 찾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본 다음 상기 레이블에 관련된 키를 누르므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가입자를 신속하계 호출할 수 있게 하는 전화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이얼 메모리의 모든 어드레스 및 이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가입자 이름을 기억하거나, 가입자의 이름과 이에 관련된 단축 다이얼링 번호를 리스트해 주는 전용 테이블을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것은 편리성의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가격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을 습득한 후에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기는 키 입력 부분(14)상의 특정 키의 동작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20)이 한번에 한 라인의 레이블을 순차적으로 교체하도록 배열되어 디스플레이(12)를 스크롤(scroll)하는 메카니즘을 갖출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전화 번호 및 이 전화 번호들 중 하나의 전화 번호에 각각 관련되는 다수의 레이블들을 저장하는 다이얼 메모리(16), 디스플레이 부분(12), 및 키 입력 부분(14)를 갖고 있는 전화기(10)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단순한 호출 발생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다이얼 메모리(16)에 저장된 다수의 레이블 중 일부를 키입력 부분(14)상의 키의 배열과 관련된 포맷으로 디스플레이 부분(12)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이 디스플레이부분(12)상에 나타나는 레이블들 중 1개의 레이블이 1개의 레이블에 관련된 1개의 키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1개의 레이블과 관련하여 다이얼 메모리(16)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포맷은 레이블들이 실제위치에 관련하여 키 입력 부분의 키들 중 특정한 1개의 키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블들은 상기 레이블에 관련된 키를 나타내는 프레임으로 각각 둘러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포맷은 상기 레이블들이 상기 레이블에 관련된 키들 중 1개의 키에 프린트되어 있는 숫자를 첫머리에 두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구단(20)은 상기 레이블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12)상에 간단한 안내용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2)상에 한번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레이블의 수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KR1019900007057A 1989-05-18 1990-05-17 전화기 KR940003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5414A JP2911913B2 (ja) 1989-05-18 1989-05-18 電話装置
JP1-125414 1989-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432A KR900019432A (ko) 1990-12-24
KR940003843B1 true KR940003843B1 (ko) 1994-05-03

Family

ID=1490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057A KR940003843B1 (ko) 1989-05-18 1990-05-17 전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98711B1 (ko)
JP (1) JP2911913B2 (ko)
KR (1) KR940003843B1 (ko)
CA (1) CA2016859C (ko)
HK (1) HK848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4749B1 (en) 1992-11-09 2006-06-20 Adc Technology Inc. Portable communicator
GB2291761A (en) * 1994-07-23 1996-01-31 Medigen Plc Special purpose telephone
KR0149594B1 (ko) 1995-04-27 1998-11-02 김광호 통신단말장치에서 다이얼정보 등록 및 검색방법
GB2313738B (en) * 1995-04-27 1998-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registered dial information
US5848356A (en) * 1995-10-02 1998-12-08 Motorola, Inc. Method for implementing icons in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5889852A (en) * 1997-02-10 1999-03-3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Photo screen scroll graphic user interface
KR19990083656A (ko) * 1998-10-17 1999-12-06 김현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US6366302B1 (en) 1998-12-22 2002-04-02 Motorola, Inc. Enhanced graphic user interface for mobile radiotelephones
GB2365676B (en) 2000-02-18 2004-06-23 Sensei Ltd Mobile telephone with improved man-machine interface
WO2003107635A1 (en) * 2000-05-12 2003-12-24 Claudio Lucio David Muzel Disposition of applied calendar in telephone receiver
KR100406955B1 (ko) * 2001-09-25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단축전화번호 송출방법
US7103388B2 (en) 2003-12-16 2006-09-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Expedited communic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DE102016213389A1 (de) 2016-07-21 2018-01-25 Telequest & Internet Solution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ffizienten Realisierung anonymisierter IP-Telefoni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4063A1 (fr) * 1980-11-07 1982-05-14 Peritel Composeur automatique de numeros telephoniques a memoire incorporee
DE3139501C1 (de) * 1981-09-29 1983-02-2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Digitales Fernsprechteilnehmergerät mit der Einleitung von Steuerprozeduren dienenden Tastenschaltern
DE3311032C2 (de) * 1983-03-25 1986-04-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nordnung zum selbsttätigen Wählen von Zielnummern
DE3310964A1 (de) * 1983-03-25 1984-10-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nordnung zum selbsttaetigen waehlen von zielnummern
JPS6171753A (ja) * 1984-09-14 1986-04-12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自動ダイヤル機能付電話機
JPS62252252A (ja) * 1986-04-25 1987-11-04 Fujitsu Ltd 自動発信先選択方式
JPS6361538A (ja) * 1986-09-01 1988-03-17 Sony Corp 電話機
JPH01198167A (ja) * 1988-02-03 1989-08-09 Hitachi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98711A2 (en) 1990-11-22
EP0398711A3 (en) 1991-12-04
HK84897A (en) 1997-06-27
KR900019432A (ko) 1990-12-24
CA2016859A1 (en) 1990-11-18
CA2016859C (en) 1994-06-28
EP0398711B1 (en) 1995-03-15
JPH02305049A (ja) 1990-12-18
JP2911913B2 (ja) 199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843B1 (ko) 전화기
JPH0326584B2 (ko)
JPS60254956A (ja) 短縮ダイヤル機能付電子電話機
JPS63104555A (ja) 通信装置
KR20020093466A (ko) 전화기의 발신 호 처리 및 디지트 코드 송출방법
JP3013854B2 (ja) 通信装置
KR2004000830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이얼링 방법
KR0139957B1 (ko)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JPH0282855A (ja) 電子電話帳方式
KR20000024448A (ko) 전화번호 자동다이얼링 방법
JP371130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145478B2 (ja) 通信装置
KR20060026808A (ko) 단축다이얼 전화번호 등록방법
JPH0622024A (ja) カード式電話
JPH02135958A (ja) 発呼者情報表示方式
JPH0586693B2 (ko)
JPH05236080A (ja) 番号検索機能付き電話装置
JPH10257153A (ja) 短縮ダイヤル機能付き電話機
JPH01254046A (ja) 電話機
JPH09238183A (ja) 電話装置
JPH01231494A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S6345947A (ja) 通信装置
JPH1127369A (ja) 電話機におけるリダイヤル機能とメモリダイヤル機能との結合方法
JPH0325575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268356A (ja) 構内自動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