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463Y1 -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463Y1
KR940003463Y1 KR2019910025200U KR910025200U KR940003463Y1 KR 940003463 Y1 KR940003463 Y1 KR 940003463Y1 KR 2019910025200 U KR2019910025200 U KR 2019910025200U KR 910025200 U KR910025200 U KR 910025200U KR 940003463 Y1 KR940003463 Y1 KR 940003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s
holes
tape cassette
window
window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915U (ko
Inventor
전명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최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최준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Priority to KR2019910025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463Y1/ko
Publication of KR930015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9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11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magazines or cassettes, e.g. initial loading into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5Covers

Landscapes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척킹장치를 발췌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a)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척킹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분리사시도, (b)는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플레이트(Plate) 22 : 제1로드
22' : 제2로드 21a, 21a' : 관통구멍
22a, 22a' : 받침턱 23, 23' : 흡착패드(Pad)
24, 24' : 부시(Bush) 25, 25' : 완충스프링
26, 26' : 고정블럭(Block) 26a, 26a' : 제1결합구멍
26b, 26b' : 제2결합구멍 26c, 26c' : 절결부
27, 27' : 안내핀 28, 28', 29, 29' : 베어링
본 고안은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위도우(Window)를 척킹(Chucking)하여 하프 업(Half up)에 공급하는 척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주기적으로 회전되는 원형 턴테이블(1)상에 다수의 윈도우(7)가 장착된 카트리지(5)가 등간격으로 다수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테이프 카세트의 하프 업(8)을 주기적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2)가 설치되며, 이 컨베이어(2)와 상기 턴테이블(1)의 중간에는 윈도우(7)가 정확히 장착되도록 그 위치를 결정하는 윈도우 장착위치 결정수단(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에 근접하여 상하 좌우 이동가능한 아암(6)을 가지는 매니플레이트(3;Manipulator)가 설치되고 상기 아암(6)의 자유단에는 그 선단에 흡착패드(13)(13')를 각각 가지는 제1, 2로드(12)(12')가 소정간격 이격설치된 척킹장치(10)가 고정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a는 하프 업의 관통구멍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는, 상기 컨베이어(2)를 타고 주기적으로 이송되는 하프 업(8)이 윈도우(7) 공급 위치에 오면, 센서(미도시)에 의해 상기 매니풀레이터(3)가 작동하여 하프 업(8)에 윈ㄷ우(7)를 공급한다. 즉, 상기 매니플레이터(3)의 아암(6)에 고정설치된 척킹장치(10)가 이에 의해 하강하여 그 제1, 2로드(12)(12')에 설치된 각 흡착패드(13)(13')가 상기 윈도우 장착위치결정 수단(4) 및 턴테이블(1)상의 카트리지(5)로부터 윈도우(7)을 흡착한 후 상승한다. 이어서 컨베이어(2)측으로 소정거리 수평이동한 후 하강하여 하프 업(8)에 윈도우(7)를 공그바는 것인데, 이때 제1로드(12)에 흡착된 윈도우(7)가 하프 업(8)의 관통구멍(8a)에 장착되고 제2로드(12')에 흡착된 윈도우(7)은 윈도우 장착장치 결정수단(4)상에 놓이게 되며, 상기 턴테이블(1)은 소정각도 회전되어 윈도우(7)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연속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컨베이어(2)를 타고 이송되는 하프 업(8)에 연속적으로 윈도우(7)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척킹장치(10)는, 실질적으로 윈도우(7)를 흡착하여 하프 업(8)에 장착하는 것이므로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제2도에는 이러한 종래의 척킹장치(10)가 도시되어 있는 바,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가)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이는 플레이트(11)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2개의 사각형 관통구멍(11a)(11a')이 형성되고, 이 각 관통구멍(11a)(11a')에는 받침턱(12a)(12a')을 가지는 사각형의 제1, 2로드(12)(12')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1)의 상하면에는 제1, 2로드(12)(12')를 각각 감싸는 부시(14)(14')가 각 로드(12)(12')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로드(12)(12')의 하단에는 흡착패드(13)(13')가 각각 고정설치되고, 그 각 받침턱(12a)(12a')과 플레이트(11)하면 부시(14)(14') 사이의 제1, 2로드(12)(12')에는 각각 완충스프링(15)(15')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2로드(12)(12')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이유는 윈도우(7)의 형상이 진원이 아니므로 윈도우(7)를 흡착 후 각 로드(12)(1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척킹장치(10)중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는 상기 플레이트(11)의 일측이 상기 매니풀레이터(3)의 아암(6)에 고정설치되어 그의 작동에 의해 턴테이블(1)상의 윈도우(7)를 흡착 이동하여 하프 업(8)의 관통구멍(8a)에 장착하게 되는데, 척킹장치(10)가 하강하여 제1, 2로드(12)(12')에 설치된 각 흡착패드(13)(13')가 윈도우(7)를 흡착할 때, 매니풀레이터(3)에 발생되는 로드(Load)는 상기 제1, 2로드(12)(12')에 설치된 스프링(15)(15')이 압축되면서 흡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척킹장치는, 로드와 이에 미끄럼 접촉되는 부시의 내측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른 제작공차 및 흡착패드가 윈도우 흡착시 로드와 부시의 미끄럼 마찰에 의한 마모 등으로 인하여 로드와 부시 사이에 틈새가 생겨 윈도우 흡착 후 로드가 소정각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하프 업의 관통구멍과 윈도우가 불일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러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로드와 부시 사이의 틈새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윈도우 흡착 후 로드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하프업의 관통구멍과 윈도우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몸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프 업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하프 업의 관통구멍에 장착되는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윈도우를 흡착 이동하여 하프 업의 관통구멍에 장착시키는 척킹장치 및 이를 작동시키는 매니풀레이터를 구비하여 된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척킹장치가, 그 몸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적어도 2개의 원형관통공을 가지는 플레이트와, 받침턱을 각각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의 각 관통공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단에 흡착패드를 가지는 원통형의 제1, 2로드와, 상기 제1, 2로드에 대해 이동가능토록 플레이트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부시와, 상기 각 부시와 받침턱 사이의 제1, 2로드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제1, 2로드의 회전을 각각 방지하는 잠금수단으로 구성되어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척킹장치의 제1, 2로드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 및 부시와의 마찰에 의한 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제1, 2로드가 잠금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윈도우 흡착 후 회전이 방지되어, 하프 업의 관통구멍과 윈도우가 정확히 일치되게 되며, 이를 통해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척킹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결합단면도이다.
이는 플레이트(21)에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2개의 원형 관통구멍(21a)(21a')이 형성되고 이 각 관통구멍(21a)(21a')에는 그 하단 가까이에 받침턱(22a)(22a')을 각각 가지는 원통형의 제1, 2로드(22)(2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제1, 2로드(22)(22')의 각 하단에는 흡착패드(23)(23')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로드(22)(22')를 각각 소정길이 감싸도록 상기 플레이트(21)의 하면에 부시(24)(24')가 설치되고, 이 각 부시(24)(24')와 상기 받침턱(22a)(22a') 사이의 제1, 2로드(22)(22')에는 완충스프링(25)(25')이 설치되며, 상기 제1, 2로드(22)(22')의 상부에는 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플레이트(21)에 제1, 2로드(22)(22')와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안내핀(27)(27')이 상방으로 설치되고, 그 하면이 플레이트(21)의 상면에 접하도록 제1, 2로드(22)(22')가 결합되는 제1결합구멍(26a)(26a')과 각 안내핀(27)(27')이 결합되는 제2결합구멍(26b)(26b')을 각각 가지는 고정블럭(26)(26')이 설치되되, 각 고정블럭(26)(26')의 일측 선단으로 부터 그 제1결합구멍(26a)(26a') 사이에는 소정폭의 절결부(26c)(26c')가 각각 형성되고, 이 각 절결부(26c)(26c')에는 그 직각방향으로 각각 볼트(30)(20')가 나사결합되어 각 고정블럭(26)(26')이 제1, 2로드(22)(22')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 2로드(22)(22')와 결합되는 각 부시(24)(24') 및 상기 각 안내핀(27)(27')과 결합되는 각 부시(24)(24') 및 상기 각 안내핀(27)(27')과 결합되는 각 고정블럭(26)(26')의 제2결합구멍(26b)(26b')의 내측면에는 각가 베어링(28)(28')(29)(29')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척킹장치(20)중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는 상기 플레이트(21)의 일측이 매니풀레이터(3)의 아암(6)에 고정설치되어 그 작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턴테이블(1)상의 윈도우(7)를 흡착 이동하여 컨베이어(2)를 타고 순차이송되는 하프업(8)의 관통구멍(8a)에 장착하게 되는 바, 상기 척킥장치(20)가 매니풀레이터(3)에 의해 하강하여 그 제1, 2로드(22)(22')의 하단에 설치된 각 흡착패드(23)(23')가 윈도우(7)를 흡착할 때 발생되는 로드(Load)는 상기 플레이트(21)가 제1, 2로드(22)(22')에 대하여 직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각 완충스프링(5)(25')이 압축되면서 흡수된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21)는 각 부시(24)(24') 및 각 고정블럭(26)(26')의 제2결합구멍(26b)(26b')에 설치된 베어링(28)(28')(29)(29')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로드(22)(22')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21) 및 각 부시(24)(24')의 이동에 따른 마찰에 의한 마모가 거의 발생치 않으며 특히, 각 부시(24)(24')에 설치된 베어링(28)(28')에 의 그 정밀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 즉, 절결부(26c)(26c')와 볼트(30)(30')에 의해 제1, 2로드(22)(22')에 고정된 각 고정블럭(26)(26') 및 플레이트(21)에 의해 설치된 각 안내핀(27)(27')에 의해 제1, 2로드(22)(22')의 회전이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윈도우(7)를 척킹한 후 하프 업(8)의 관통구멍(8a)에 정확히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제1, 1로드와 플레이트 및 각 부시 사이에 마찰로 인한 마모가 거의 발생치 않으므로 틈새 발생이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글 정밀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잠금수단에 의해 제1, 2로드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윈도우와 하프 업의 관통구멍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장착 가능하여 공급 미스(Miss)에 따른 불량율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은 물론 신뢰성이 한층 향상된 제품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그 몸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프 업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하프 업의 관통구멍에 장착되는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윈도우를 흡착 이동하여 하프 업의 관통 구멍에 장착시키는 척킹장치 및 이를 작동시키는 매니풀레이터를 구비하여 된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척킹장치(20)가, 그 몸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적어도 2개의 원형관통구멍(21a)(21a')울 가지는 플레이트(21)와, 받침턱(22a)(22a')을 각각 가지고 상기풀레이트(21)의 각 관통공(21a)(2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각 일단에 흡착패드(23)(23')를 가지는 원통형의 제1, 2로드(22)(22')와, 상기 제1, 2로드(22)(22')에 대해 이동가능토록 플레이트(21)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부시(24)(24')와, 상기 각 부시(24)(24')와 받침턱(22a)(22a') 사이의 제1, 2로드(22)(22')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25)(25')과, 상기 제1, 2로드(22)(22')의 회전을 각각 방지하는 잠금수단으로 구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이, 상기 제1, 2로드(22)(22')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플레이트(21)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핀(27)(27')과, 상기 제1, 2로드(22)(22')가 가 결합되는 제1결합구멍(26a)(26a')과 상기 각 안내핀(27)(27')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구멍(26b)(26b')을 각각 가지되, 그 일측 선단으로 부터 상기 각 제1결합구멍(26a)(26a') 사이에는 소정폭의 절결부(26c)(26c')가 각각 형성된 고정블럭(26)(26')과 상기 각 고정블럭(26)(26')에 그 절결부(26c)(26c')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들 제1, 2로드(22)(22')에 각각 고정시키는 볼트(30)(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로드(22)(22')와 각각 결합되는 부시(24)(24')의 내측면에 베어링(28)(28')이 설치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핀(27)(27')과 결합되는 각 고정블럭(26)(26')의 제2결합구멍(26b)(26b') 내측면에 베어링(29)(29')이 설치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KR2019910025200U 1991-12-30 1991-12-30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KR940003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200U KR940003463Y1 (ko) 1991-12-30 1991-12-30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200U KR940003463Y1 (ko) 1991-12-30 1991-12-30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915U KR930015915U (ko) 1993-07-28
KR940003463Y1 true KR940003463Y1 (ko) 1994-05-25

Family

ID=1932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200U KR940003463Y1 (ko) 1991-12-30 1991-12-30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4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79B1 (ko) * 2006-03-10 2007-01-19 신원기전(주) 직접유압식 엘리베이터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915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9693B2 (ja) ワーク移載装置
US3638933A (en) Precision x-y positioning table
KR101128910B1 (ko) 이재장치
KR940003463Y1 (ko) 테이프 카세트의 윈도우 조립장치
KR100296759B1 (ko) 번인 테스터용 소팅 핸들러의 포킹 및 언포킹 픽커
JPH05136011A (ja) デイツプ装置
CN1108090C (zh) 电子部件安装装置
KR100363713B1 (ko) 회로기판용 지그
KR100716257B1 (ko) 기판 이재용 픽업장치
CN215588483U (zh) 一种定位机构
KR920022461A (ko) To-220 반도체 제조기의 리드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KR930000617Y1 (ko) 부품 방향전환 공급장치
JP2797894B2 (ja) ピストンリングの組付け装置
JP3288555B2 (ja) トランスファ装置
KR0155794B1 (ko) 부품장착장치
JPS6397513A (ja) ロ−ラコンベヤ
JP4053275B2 (ja) 無人搬送車
CN217555095U (zh) 自适应移载装置及测试设备
CN220534050U (zh) 组装装置
JPS6119521A (ja) 治具角度変更装置
JPH0372698A (ja) 部品供給装置
JPH0144495Y2 (ko)
KR200319203Y1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피더
JPH027004Y2 (ko)
KR200319204Y1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피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