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427B1 -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427B1
KR940003427B1 KR1019900007427A KR900007427A KR940003427B1 KR 940003427 B1 KR940003427 B1 KR 940003427B1 KR 1019900007427 A KR1019900007427 A KR 1019900007427A KR 900007427 A KR900007427 A KR 900007427A KR 940003427 B1 KR940003427 B1 KR 940003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ntrol means
display panel
display control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912A (ko
Inventor
히로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주장비 및 롬바이오스(ROMBIOS)를 포함하는 전체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FLC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조건중 하나로서 프레임 주파수의 온도 의존을 도시하는 그래프.
제3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유효 디스플레이 에어리어와 외부 프레임 부분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구동데이터와 비디오데이타가 주장치 측의 그래픽 콘트롤러로부터 디스플레이로 이동되는 경우에서 통신 작동들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5도는 주장치 측의 그래픽 콘트롤러가 디스플레이의 구동데이타를 읽어내는 경우에 통신 동작들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6도는 주장치 측의 그래픽 콘트롤러가 그 디스플레이의 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스위치하는 경우에서 통신 동작들을 도시하는 한 타이밍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강 유전 액정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에어리어에서 물리적 픽셀과 놀리픽셀들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음극선관들간에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모드 스위칭 기능을 갖는 NEC사의 멀티싱크 4D와 5D(Multisync 4D & 5D) 상품명의 개략 기능들을 도시하는 테이블 1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라 FLC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드들간에 IBM사 기준의 각종 음극선관 그래픽 모드 서포트시의 기능개요와 FLC 디스플레이의 구동 조건들의 일부를 도시하는 테이블 2도.
스캔신호 라인들과 정보신호 라인들을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액정이 스캔신호 라인과 정보신호 라인들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퍼스널 컴퓨터, 워크 스테인션 등에 요구되고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유사한 것들과 같은 디스플레이들에서, 스크린 크기와 해상도는 매년 점점 증가되어 왔지만 종래 디스플레이들과의 호환성이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IBM사에 의해 제작된 PC/AT퍼스널 컴퓨터를 예를들어 언급한다면 디스플레이에의 표시 모드로서는 이미지용 어뎁터의 사양으로서 CGA(칼라 그래픽 어뎁터), EGA(증가 그래픽 어뎁터), VGA(비디오 그래픽 어뎁터), 8514/A 등에 의한 십수 종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이 있다.
그들의 해상도, 표시가능한 칼라수등이 다르다.
NEC 회사가 제작한 멀티싱크 II, 멀티싱크 3D, 4D 또는 5D 등과 같은 CRT는 많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단일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제품으로서 알려져 왔다.
예를들어, 제8도의 테이블 1은 멀티싱크 4D와 5D에 의해 서포트되는 비디오 모드(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한다.
한편,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그와 유사한 거와 같은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의 기본동작 원리는 CRT, STN-LCD(슈퍼 트위스트된 액정 디스플레이), 및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같은 종래 디스플레이들에서 사용된 여러가지 기본동작 원리와 다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655,561에서 칸베(Kanbe) 등이 제안했던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는 부분 기입 스캐닝 방법은 본 발명의 발명가들이 제안해온 JP-A-63-65494, 일본국 특허출원 공보 제63-285141에서 메모리 기능을 가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고해상도로 디스플레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저 프레임 주파수 구동 플러스 부분 기입 스캐링”을 실현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 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선형 구동방법은 강유전 액정 디스플레이(FLC 디스플레이)와 같은 메모리기능을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앞에서 서술된 여러가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뒷받침해 줄 요구를 충족시킬 필요가 충분히 있다.
그러므로 그런 요구는 종래 방법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또한 컴퓨터가 접속된 강유전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전원 인가로부터 여러가지 디스플레이 모드들중 하나를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환시키는데 불가피한 전제적인 제어방법이 제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이 특히 IBM사에서 제작한 PC/AT 머신을 사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뒷받침하기 위해 또한 일예로서 강유전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1280(도트)×1024(도트)를 가지는 해상도의 고정밀 모드를 서포트하기 위한 제어방법과 전체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아래에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메모리 기능을 하는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서 강유전 액정 디스플레이는 제2도에서 표시된 구동조건들의 온도의 의존도를 가진다. 그 예로서 제2도는 프레임 주파수가 10℃에서 7HZ, 25℃에서 10HZ 및 40℃에서 20HZ로 세트된다(스캔라인수 : 1024, 구동전압 : 24V, 니뽄 니트로겐사제 KMT-408 사용한 경우).
그러므로, 전원 턴온시 10℃인 경우에, 이미 제안된 저프레임 주파수 구동에서 8개의 스캔 라인들의 비월 처리에 의해 플리커는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동작이 시작되면서 일어나게 되는 디스플레이의 주변온도가, 상승한 경우 예를들어, 후광의 조명 또는 외부 히터같은 것들의 사용으로 인한 열로 인해 주변온도가 상승한 경우 25℃로 온도가 상승되었다고 가정할 때, 플리커는 4개의 스캔라인의 비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충분히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활동영화의 디스플레이, 예를들어 8개의 스캔라인들의 비월주사 처리에서 단 하나의 단점인 스크롤 디스플레이시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분할현상이 또한 줄여질 수 있다.
더욱이, 심지어 똑같은 온도에서 조차, 구동방법이 비디오 모드에 따라 또한 변한다.
예를들어, 제8도의 테이블 1에서 앞에서 서술한 1024 스캔 라인들의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10HZ일 때의 FLC 디스플레이인 경우, 스캔라인들의 수가 VGA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480으로 세트되며 프레임 주파수가 20HZ 이상으로 세트된다.
플리커는 일반(두개의 스캔라인들) 비월 처리에 의해 충분히 방지될 수 있으며 활동 디스플레이에서 스크린의 분할도 한층 더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짓는 방법이 존재한다해도, 디스플레이 주변온도와 더불어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주파수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FLC 디스플레이가 상기 언급된 것처럼 X-Y메트릭스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드에 의존하는 픽셀수의 변화가 디스플레이빔 주파수가 변화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X-Y메트릭스 디스플레이에서 픽셀의 물리적인 수는 제작할 때에 무조건으로 결정되어 변환될 수 없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요구되는 픽셀들의 논리수를 픽셀들의 물리적수로 변환시킬 필요성이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칼라와 그래디언트레벨(grandinet level)들의 수가 입력 데이타의 것들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측면이 단색광의 디스플레이 기능과 8개의 그래디언트 레벨들을 가진다는 사실에도 R, G 및 B의 각각에 대한 256 그래디언트 레벨을 요구하는 입력 데이타측, 칼라들 사이의 관계들 및 입력데이타 및 출력데이타의 그래디언트레벨들의 수들이 각 디스플레이 모드와 일치하여 미리 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유효 디스플레이 에어리어와 유효 디스플레이 에어리어의 외부 프레임 부분이 그 디스플레이 위에서 디스플레이 에어리어 내에 존재한다.
그 디스플레이 위에서 물리적 좌표 원점(x0, y0)로부터 떨어져 있는 한점(x1, y1)과 한점(x2, y2)에 의해 둘러 싸여진 부분이 유효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모드가 요구하는 논리 스크린 에어리어가 유효디스플레이 에어리어에 세트된다.
1280(x방향)×1024(y방향)의 물리적 스크린디스플레이에서 640(x방향)×480(y방향에서)의 VGA 디스플레이 모드에어리어를 보장할 경우에, 다음과 같은 두 경우가 고려되며 외부 프레임 크기들이 다르다.
경우 1 :
논리적 한 픽셀=물리적 한 픽셀
(x1, y1)=(319, 271)
(x2, y2)=(959, 751)
경우 2 :
논리적 한 픽셀=물리적 두 픽셀
(x1, y1)=(0, 31)
(x2, y2)=(1279, 991)
이미지 데이타가 존재하지 않을 지라도 FLC 디스플레이와 같은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의 유효 디스플레이 부분의 외부프레임 부분이 앞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데이타에 의해 구동되어야 하며 그러한 점이 종래 디스플레이와는 다르다.
구동데이타가 프레임 부분에 일단 전송되지 않는다면, 그 프렘임 부분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예를들어, 메모리 기능 때문에 백색 또는 흑색 둘중 하나로 한줄로 정렬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모드가 결정될 때, 프레임 부분의 크기, 칼라 및 그래디언트 레벨이 결정되어야 하며, 이미지 데이타 이외에도 프레임 부분 구동 데이타가 디스플레이를 위해 발생되어야 한다.
한편,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일반 CRT 또는 그와 유사한 것 및 FLC 디스플레이를 위한 두 기능들을 가질때, 스페이스 효율이 침해 받는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칼라로 디스플레이 하고저 한다면, 그 시스템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교체하기 위한 연결을 변경시켰을때, 데이타 전송방법과 그래픽 어뎁터의 데이타 전송 포맷이 변경될 수 있다는 방식으로 조립되어야 한다.
본질적으로 앞에 서술한 특허에서의 FLC 디스플레이의 데이타 전송 포맷과 데이타 전송방법이 종래 CRT 또는 유사한 것의 것과는 다르다.
한편, FLC 디스플레이의 구동조건들이 완전히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동작 온도 영역에서 주변 온도가 한값에 도달하지 않을 때, 이미지 데이타의 발생이 디스플레이 측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타 생성측까지 웨이트(Wait) 요청을 보내므로 해서 또한 기다려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사용자가 리세팅이 끝난후에 디스플레이 모드를 리세팅 전의 모드로 곧 되돌리기 원한다면, 리세팅 전의 여러가지 제어 및 구동 파라메터를 필요하다면 이미지 데이타 또한 해독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거와 같이 필요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을 개별적으로 준비한다 할지라도, 사용자 전원의 턴온일때 뿐만 아니라 동작때에도 사전 결정된 절차에 입각하여 실지로 쉽게 변환시킬 수 있다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지 않다면, 매번 디스플레이 모드가 변화되어 사용되지 않는다면, 전원은 차단되고 다시 턴온되어야 하거나 또는 리세트 되어야 한다.
특히, 일단 세트가 된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환시켰을 때, 심지어 디스플레이 모드가 주로 새로운 디스플레이 모드를 리세트될 때까지도 디스플레이 모드가 불충분할 경우가 생긴다.
예를들어, 어떤 적용 소프트웨어가 EGA 디스플레이 모드를 요구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드가 VGA 모드에 세트되었고 EGA 디스플레이 모드에 리세트 된다고 가정된다.
사용자가 응용 소프트웨어를 완료한 후에 디스플레이 모드를 고유의 VGA 모드로 리세트하려고 할 때,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화시키 전에 앞에서의 여러가지 FLC 디스플레이 제어 파라메터들이 약간의 메모리 에어리어에 축적되지 않는다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VGA 모드로 복구될 수 없다.
이전 이미지 데이타가 다시 현상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FLS 디스플레이의 제어 또는 구동 파라메타들과 FLC 디스플레이에서의 이미지 데이타로 변환되기 전의 이미지 데이타는 사전 결정된 프로그래밍과 일치하여 해독될 필요가 있다.
FLC 디스플레이 메모리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전원의 턴온, 리세팅 및 턴오프할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예를들어, FLC 디스플레이 방위제어에 대해, 직류 전압 공급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방위 설정이 어려우며 장시간동안 소위 “스티칭(sticking)” 현상이라 불리는 에프터-이미지(after-image)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전원의 턴온과 턴오프때 그런 직류 전압 공급을 피하기 위해 구동제어 회로가 설계 되어야 한다.
그러나, 구동제어 회로가 컴퓨터에 집적될때, 일반적으로 여러 경우에서, 전원은 주 몸체측으로부터 공급되며, 또한 전원은 사용자에 의해 주몸체측으로부터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측으로부터의 전력 온/오프가 FLC 디스플레이의 구동 제어회로에 알려져 FLC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소정의 온/오프 제어가 실행되는 것이 필요하므로, 일반 전력 온/오프 제어가 수행된다.
앞의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FLC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컴퓨터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필요조건들이 그 제품과 일치하여 미리 프로그램되는 하나의 ROM(소위 ROM BIOS)를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실지로 롬 바이오스(ROM BIOS)는 컴퓨터 주몸체와 FLC 디스플레이의 제어와 디스플레이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실지로 실행한다. 사용자가 특히, FLC 디스플레이를 제어 및 구동하기 위한 상세한 지식을 갖지 않아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드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여러가지 디스플레이 모드와 일치하여 전체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이 발명의 첫번째 목적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 조건들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또는 리세팅 하는 것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이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다.
세번재 목적은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조건들이 주변온도와 대응하여 적절히 결정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은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메모리 수단에서 디스플레이 모드들로서 미리 기억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이 디스플레이 모드와 일치하여 구동되며 제어되는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번째의 본 발명 목적은 사용자가 주 컴퓨터 제어하에서 여러가지 디스플레이 모드들과 일치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판넬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디스플레이 판넬 2(1280×1024 픽셀들), 디스플레이 구동기를 (3 및 4), 디스플레이장치 콘트롤러(8)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강유전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미지 데이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미지 데이타 기억 메모리로서 VRAM(10)를 구비하는 그래픽 콘트롤러(9)의 각 하드웨어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1도는 또한 IBM 기업에 의해 제작된 PC/AT를 도시하는 주 CPU(11)와 주 버스(12)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다. 또한 제1도는 본 발명으로서 전체 제어모니터 프로그램을 가지는 ROM BIOS(13)를 도시한다.
(1) 신호라인의기능
제1도에서 주 CPU(11)와 그래픽 콘트롤러(9) 사이에 제공된 신호 라인들의 기능들은 아래에서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주버스 : IBM 기업에 의해 만들어져 명명된 PC/AT기의 AT 버스라 불리는 표준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버스, 제도에서, FLC 디스플레이 장치 콘트롤러(8)와 그래픽 콘트롤러(9) 사이에 제공된 신호라인들의 기능들은 지금부터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1) PD0내지 PD7
데이타 버스.
8개 비트들의 쌍방향 버스.
데이타 전송률은 10MHZ/8비트이다.
2) CLK :
전송 클럭 20MHZ.
3) AH/DL :
구동데이타와 비디오 데이타 사이의 ID 신호.
구동데이타 경우에서의 고 레벨.
비디오데이타 경우에서의 저 레벨.
4) IH/OL :
데이타 버스의 입력/출력 ID 신호
데이타 버스 PD0내지 PD7가 그래픽
콘트롤러로부터 보여질때 이 데이타버 버스들이 입력모드에서 세트될 때 고 레벨이다.
이 데이타 버스들이 출력모드에서 세트될때 저 레벨이다.
5) INT :
디스플레이 측으로부터 그래픽 콘트롤러까지의 차단신호.
6) FLG :
디스플레이 측으로부터 그래픽 콘트롤러까지의 데이타 출력 허용 신호.
출력이 허용될 때 고 레벨이다.
7) Hsync :
수평동기(sync) 신호.
디스플레이 측으로부터 그래픽 콘트롤러까지 데이타 수용 허용 신호.
8) Vsync :
수직 동기 신호.
각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위한 동기 신호.
(2) 기본동작
ROM BIOS(13)에서 한정되었던 기능은 비디오 데이타 발생측으로부터 즉 다시말해 소정의 호출방식과 일치하여 주 CPU(11)로부터 요청된다. 필요하다면, 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메타들이 그래픽 콘트롤러(9)로 전달된다.
그 기능이 정상절차에 의해 요청된다면, 그 요청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번역이 GCPU(그래픽 제어 중앙처리장치)(14)에 의해 이뤄지거나 또는 그래픽 콘트롤러(9)가 직접 액세스 된다. 번역 또는 직접 액세스 작용 경우에 동작들의 내용 및 요점들이 실지로 다음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래픽 콘트럴러(9)는 쌍방향 데이타 버스(PD0내지 PD7)를 이용해 구동데이타와 비디오데이타를 FLC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나, 동일 전송로로 통로로 구동데이타 및 비디오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 이 두 종류의 데이타는 구별되야 한다.
AH/DL 신호는 시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AH/DL 신호는 고 레벨로 세트될때 PD0내지 PD7에서의 데이타는 “구동데이타”를 나타낸다.
AH/DL 신호가 저 레벨에있다면, 그 데이타는 “비디오데이타”를 나타낸다.
FLC 디스플레이 장치 콘트롤러(8)는 PD0내지 PD7에서의 데이타로서 전송된 구동데이타를 가지고 비디오 신호로부터 구동데이타를 추출하며 구동데이타를 기초로한 프로세서를 실행한다.
한편, 비디오데이타는 전송 클록을 기초로 하여 정보전극 구동회로 즉 위에서 시프트 레지스터(6)로 보내진다.
한편, 실시예에서, 그래픽 콘트롤러(9)에서 FLC 디스플레이의 구동과 디스플레이 그리고 비디오데이타와 구동데이타의 생성은 비동기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데이타 전송에서 이 장치들을 동기시킬 필요가 있다.
Hsync(수평동기)와 Vsync(수직동기) 신호들은 그런 동기화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Hsync 신호는 FLC 디스플레이 장치 콘트롤러(8)에서 매 수평스캔 주기마다 생성되며, 반면에 Vsync 신호는 이 콘트롤러(8)에서 메모리를 재생할 때 매 수직 스캔주기 마다 발생된다.
Hsync와 Vsync 신호들은 그래픽 콘트롤러(9)로 보내진다. 그래픽 콘트롤러(9)는 항상 Hsync와 Vsync 신호들을 통제한다. Vsync 신호가 고레벨에 있고 Hsync 신호가 저레벨에 있을때, 디스플레이 데이타(구동데이타+비디오데이타)가 전송된다. 다른 경우일 때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데이타의 전송이 끝난뒤 그래픽 콘트롤러(9)는 다음 전송 허용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기다린다.
제4도는 디스플레이 데이타가 그래픽 콘트롤러(9) 측으로부터 FLC 디스플레이 장치(1)의 FLC 디스플레이 장치 콘트롤러(8) 축을 보내진다. 이 동작은 지금 설명될 것이다.
그래픽 콘트롤러(9)가 Hsync 신호가 저레벨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때 동시에 다음 조건들이 만족되어야 한다 :
즉, INT=고, Vsync=고 및 IH/OL=저, AH/DL 신호는 즉각적으로 고레벨에 세트되며 이렇게 해서 디스플레이 데이타 전송을 시작한다.
FLC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콘트롤러(8)는 ‘디스플레이’데이타 전송 주기 동안에 Hsync을 고레벨로 세트시킨다. 전송된 구동데이타에 입각된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끝난뒤, FLC 디스플레이의 콘트롤러(8)는 다시 Hsync를 고레벨로 세트시키며 다음 디스플레이 데이타를 받아들이기 위해 스탠바이(Standby) 모드로 들어간다.
제5도는 그래픽 콘트롤러(9) 측이 FLC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 측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타를 판독할 때 커뮤니케이숀을 위한 시간도이다. 이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첫째로, 그래픽 콘트롤러(9)는 제5도에서 A0내지 A15의 타이밍에서 FLC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와 콘트롤러(9) 사이에서 FLC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로 들어가는 구동 데이타로써 미리 결정된 “정보 판독 요구 데이타”를 보낸다.
그래픽 콘트롤러(9)는 IH/OH 신호를 고레벨로 세트시키며, 이렇게 해서 데이타 입력 모드를 세트시킨다.
이때에, 데이타 버스(PD0내지 PD7)가 그래픽 콘트롤러(9)의 측면으로부터 보여질때 이 데이타 버스들은 고 임피던스 상태(2)로 세트된다.
FLC 디스플ㄹ이 장치(1)의 콘트롤러(8)가 “정보 판독 요구 데이타”를 인식할때, IH/OL 선이 고레벨에 있다는 것을 확증하고 그런뒤에 콘트롤러(8)는 데이타 버스(PD0내지 PD7) 위에서 고 데이타를 보내고, 더욱이, FLG 신호를 고레벨로 세트시킨다.
그래픽 콘트롤러(9)가 FLG 라인이 고레벨로 세트된다는 것을 검출할때, 그 데이타버스(PD0내지 PD7) 위에서 그 데이타가 어떻게 존재하는가를 판독하여 GCPU(14)에 기억시킨다.
(3)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교신 동작 디스플레이에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드일때, 그 디스플레이 데이타는 제4도에서의 교신과 유사한 방식에서 그래픽 콘트롤러(9) 측으로 디스플레이 측으로 보내진다.
이때, 스캔라인 어드레스 데이타는 구동데이타로 사용되며 제4도에서 A0내지 A15의 위치들로 보내지며 디스플레이 콘트롤러(8)로 전송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그 스캔라인 어드레스 데이타는 FLC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에 의해 추출되어 그 명시된 스캔라인을 위한 타이밍과 일치하여 스캔라인 전극 구동회로 위에서 디코더(7) 입력되므로 그 디스플레이에서 그 명시된 스캔라인 선정된다.
한편, 비디오 데이타는 정보 전극 구동회로측 위에서 시프트 레지스터(6)로 전송되어 8-픽셀 단위 기준으로 전송 클록(CLK)으로 시프트한다.
시프트 레지스터(6)로 수평 방향에서의 한 스캔라인에 의한 시프트 프로세서를 마친 뒤에 1280 픽셀들의 비디오 데이타가 시프트 레지스터(6)에 대해 제공된 라인 메모리(5)로 전송되어 일수평 스캔 주기동안 기억된다.
소정의 일수평 수캔 주기동안 디스플레이 판넬에 비디오 데이타를 기입하는 것이 끝났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트롤러(8)가 다시 Hsync를 저레벨러 세트시켜 다음 스캔라인의 디스플레이 데이타를 받아들인다.
위의 일련의 교신 동작들을 반복함으로서, 디스플레이 판넬 스크린으로의 기입동작 및 부분 기입 동작들이 실행된다.
(4) 디스플레이 모드 세팅에서의 동작
-호스트 측으로부터 세트될때-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는 기본적으로 세트되어 호스트측으로부터 요청을 기초로 하며 또 제6도에 보여진 타이밍도와 일치하여 기본적으로 변하게 된다.
설명이 다음 아래에서 주어지게 될 것이다.
① 디스플레이 모드 변화요청이 주 CPU(11) 측으로부터 발생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데이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로 전송된다면(AH/DL 라인이 고레벨에 있다면, 즉, 제6도에서 A0내지 A15의 타이밍에서) 그래픽 콘트롤러(9)는 “디스플레이 모드변화 요구데이타”를 구동데이타부로 보낸다.
②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가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드변화 요구”를 인식했다면 이 콘트롤러 Hsync 라인을 저레벨로 세트시킨다.
③ 이때, 그래픽 콘트롤러(9)는 제6도에서 A0내지 A15의 콘트롤러(8)로 구동 데이타인 “디스플레이 모드수”를 보내 IH/OL 신호를 고레벨로 세트시킨다. 이렇게 해서 입력모드로 데이타 버스(PD0내지 PD7)을 스위칭 시킨다.
④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는 “디스플레이 모드수”를 받아 들이며 디스플레이 모드와 일치하여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 조건들을 결정한다.
콘트롤러(8)는 물리적 픽셀수와 논리적 픽셀수 사이의 관계 및 칼라들중 하나와 그래디언트 레벨수 사이의 관계 또는 칼라들 모두와 그래디언트 레벨수 사이의 관계를 결정한다. 콘트롤러(8)는 유효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크기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디스플레이 에어리어의 외부 프레임부의 크기를 결정한다. 콘트롤러(8)은 외부 프레임부의 칼라둘중 하나와 그래디언트 레벨수의 관계 또는 외부프레임부의 칼라 둘다와 그래디언트레벨수 사이의 관계를 결정한다. 콘트롤러(8)는 이미지 데이타 메모리로부터 디스플레이까지의 데이타 이동 포맷과 타이밍을 또는 그런 데이타의 이동포맷과 타이밍 둘다를 결정한다.
교신이 올바르게 실행되었는지 또는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콘트롤러(8)는 IH/OL 라인이 고레벨에 있다는 것을 체크한 뒤, 그 수신된 “디스플레이 모드수”를 데이타 버스(PD0내지 PD7)로 보내서 FLG 신호를 고레벨로 세트시킨다.
⑤ 그래픽 콘트롤러(9)가 FLG 라인이 고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데이타 버스(PD0내지 PD7)로 출력되었던 “디스플레이 모드수” 데이타를 GCPU(14) 속으로 기억시킨다.
⑥ GCPU(4)는 이미 앞서 전달되었던 “디스플레이 모드수”로 그 수신될 데이타를 비교해 확인이 끝난후 IH/OL 신호를 저레벨로 세트시킨다.
⑦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가 IH/OL 라인이 저레벨로 세트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후, Hsync 라인을 저레벨로 세트시켜 다음 디스플레이 데이타 동안 기다린다.
⑧ 그래픽 콘트롤러(9)가 디스플레이 모드의 체크결과에 따라 Hsync 라인이 저레벨로 세트되었다는 확인한 후, 디스플레이 모드가 정상이라면, 그래픽 콘트롤러(9)는 일반 스캔라인 어드레스+비디오 데이타를 보내며, 비정상이라면, 그래픽 콘트롤러(9)가 재차 “디스플레이 모드 변화 요구 데이타”를 보내며 다시 ① 단계부터 처리가 실행된다.
위의 절차로 인해, 각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제어와 디스플레이 모드변화가 실행될 수 있다.
(5) 디스플레이모드를 세트시키는 동작
-디스플레이 측으로부터 세트시킬때-
예를들어, 그래픽 콘트롤러(9)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가 여러 전원들로 각기 제작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의 측의 전원은 그래픽 콘트롤러(9)(호스트 측에서)가 상승할때 들어가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측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그패릭 콘트롤러(9)가 이미 동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없다. 그런 경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가 INT 신호가 그래픽 콘트롤러(9)로 보내고 디스플레이 모들 세트하도록 요구한다. 그래픽 콘트롤러(9)가 디스플레이 장치 콘트롤러(8)로부터 INT 신호를 받아들일 때 FLG 라인을 체크한다.
FLG 라인이 저레벨에 있다면, 그래픽 콘트롤러(9)는 디스플레이 모드의 세팅이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차후로, 디스플레이 모드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세팅시키는 동작-호스트측으로부터 세팅할 때의 동작을 위한 단계의 경우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 세트된다.
(6) 온도 데이타 판독 요구 동작
호스트측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온도 데이타를 알기 위해, 제5도의 그래픽 콘트롤러(9)측이 FLC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측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타의 부분으로서 온도 데이타를 판독하는 방법이 기본적으로 사용된다.
동작이 아래에서 실지로 계속해 설명될 것이다.
① 디스플레이 데이타가 디스플레이로 전송되어 IH/OL 신호를 고레벨로 세트시킬때 그래픽 콘트롤러(9)는 “온도 데이타 판독 요구데이타”를 구동데이타로 부가 시킨다.
② 디스플레이 장치(1)의 콘트롤러(8)가 그 선결된 “온도 데이타 판독 요구 데이타”를 인식한 뒤에 IH/OL 라인이 고레벨에 있다는 것을 콘트롤러가 확인한다. 그런뒤, 콘트롤러(8)는 “온도데이타”를 데이타 버스(PD0내지 PD7)으로 보낸 FLG 신호를 고레벨로 세트시킨다.
③ 그래픽 콘트롤러(9)가 FLG 라인이 고레벨에 세트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뒤에, 데이타 버스(PD0내지 PD7)으로 출력된 “온도데이타”를 GCPU(14)에 기억한다.
한편, 판독요구가 필요시 디스플레이 측으로부터 주장치로 또한 보내질 수 있다. 그런 경우에, 디스플레이 모들 세트시키는 경우와 비슷한 방식에서, 디스플레이는 먼저 INT 신호를 그래픽 콘트롤러로 보낸다. 그래픽 콘트롤러(9)가 디스플레이 측으로부터 INT 신호를 받을때, 그래픽 콘트롤러는 FLG 라인을 체크한다. FLG 라인이 고레벨에 있다면, 그래픽 콘트롤러(9)가 온도데이타의 판독이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런뒤, 온도데이타의 판독 프로세서가 주장치측으로부터 그 요구가 만들어졌던 경우와, 비슷한 방식에서 실행된다.
IBM 모드의 1. 문자 및 수자 처리모드와 2. 그래픽모드에서 뒷받침 해주는 어뎁터 명칭들과 해상도들, 칼라들, 그래디언트레벨수 및 FLC에서 도시한다. 테이블 2에서, “b/p” 표시는 입력 데이타에 의해 출력 데이타에서의 칼라 및 그래디언트레벨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도에서 비디오 데이타 기억메모리 VRAM(10)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타 포맷에서, “b/p” 표시는 그래디언트 데이타양의 2진수를 표시하는 비트수와 한픽셀(한 논리픽셀)에 대한 칼라를 표시한다. 데이블 2에서 “비” 표시는 물리적인 픽셀수와 논리적인 픽셀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그 관계는 제7도에서 도시한다.
제7도의 실시예에서의 FLC 디스플레이에 따라, 여러 에어리어비들을 가지는 두개의 물리적 픽셀들을 한 픽셀 단위로 세트된다.
그러므로, 비가 1일대, 이것은 최소한 논리적 픽셀구성에 상응하여 표시할 수 있는 그래디언트레벨들의 수가 4로 세트된다.
(FLC 디스플레이는 기본적으로 2진표시 디스플레이이며 여러 에어리어비들을 가지는 두 물리적 픽셀들이 위에서 언급했던거와 같이 한픽셀 단위로 세트되는 방법이 FLC 디스플레이로 다중치 표시, 즉, 등급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중 하나로써 이미 제안되어 왔다).
비가 2일때, 일 논리적 픽셀이 4개의 물리적 픽셀로된 2개의 최소픽셀 단위들로 구성되어 그래디언트 레벨수가 8로 세트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가 4일때, 한 논리 픽셀이 8개의 물리적 픽셀로 된 4개의 최소 픽셀 단위들로 구성되어 그래디언트 레벨수가 16으로 세트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거와 같이 여러 디스플레이 모드들중 하나가 전원의 턴온 시간으로부터 사용되어 필요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환시키는데 필수적인 전체 제어방법이 ROM에서 세트된다. 디스플레이 모드가 필요시 선결된 절차에 따라 호스트 측으로부터 계속 더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것은 종래 기술로 실현될 수 없는 구동데이타의 제어를 또한 필요로 하는 강유전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앞에서 언급한 다중 동기장치에서와 같이 여러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뒷받침해줄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강유전 액정 디스플레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구동조건들이 온도 의존성을 포함하고 메모리 기능을 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분명히 응용될 수 있다.

Claims (35)

  1. 스캔신호전극과 정보신호전극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액정이 이 전극들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들을 구동하기 위해 스캔 신호와 정보 신호들이 각각 스캔신호전극과 정보신호전극들에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판넬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 디스플레이 판넬의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 ; 디스플레이 판넬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 디스플레이 판넬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데이타에 대한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드를 기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수단 ; 및 메모리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데이타를 판독하고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수단에서 기억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구동제어수단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판넬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판넬의 유효 디스플레이 에어리어의 외부 프레임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프레임부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또는 리세트할때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또는 리세트할때 구동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판넬의 논리 픽셀수와 물리 픽셀수 사이의 일의적(一義的)인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및 리세트시킬때 구동조건으로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타의 칼라중 하나와 디스플레이 판넬을 위한 그래디언트 레벨수의 관계 또는 상기 그래디언트 레벨수와 상기 칼라 둘다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또는 리세트시킬 때 구동 조건으로서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판넬로의 이미지 데이타의 전송 포맷 또는 전송타이밍 또는 상기 전송 포맷과 전송타이밍 둘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에 대한 바라는 구동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전원의 턴온, 리세트, 또는 턴오프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에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판넬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적어도 해상도, 칼라, 및 문자크기가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수단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판넬에 샌드위치된 액정이 주변온도에 따라 특성이 변하는 온도 의존성이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은 주변온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조건들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컴퓨터 장치의 호스트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수단에 기억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호스트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되어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스캔 신호전극과 정보신호 전극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액정이 상기 양 전극들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판넬 ;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을 변경하고 디스플레이 판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 ; 디스플레이 판넬에 디스플레이 될 이미지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수단 ; 디스플레이 판넬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데이타에 대한 디스플레이 판넬이 구동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드를 기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 수단 ; 및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구동제어수단을 제어하는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타를 디스플레이 판넬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판넬의 유효 디스플레이 에어리어의 외부 프레임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프레임부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또는 리세트시킬때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조건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또는 리세트시킬때 구동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판넬의 논리적 픽셀수와 물리적 픽셀수 사이의 일의적인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과 리세트시킬 때 구동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판넬에 대해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타의 그래디언트 레벨수와 칼라 둘중 하나의 관계 또는 칼라 둘다와 그래디언트 레벨수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또는 리세트시킬때 구동조건으로서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판넬로의 이미지 데이타의 전송포맷 또는 전송타이밍, 또는 상기 전송포맷과 상기 전송타이밍 둘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에 대한 바람직한 구동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전원의 턴온, 리세트 또는 턴오프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으로 통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판넬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적어도 해상도 칼라 및 문자크기들이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수단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판넬에 샌드위치된 액정은 주변 온도에 따라 특성이 변하는 온도 의존성이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은 주변온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12항에 있어서, 컴퓨터장치의 호스트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디스플레이 모드는 호스트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되어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1 또는 12항에 있어서, 메모리 기능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판넬을 구성하는 액정은 각 유전성 액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스캔신호와 정보신호가 디스플레이 판넬의 스캔신호전극과 정보신호 전극들에 각각 공급되어 상기 두 전극들을 구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판넬이 스캔신호전극과 정보 신호 전극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양전극들 사이에, 메모리기능과 주변온도에 따라 특성이 변하는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액정을 샌드위치시켜서 구성되는 주 컴퓨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주변온도에 따라 구동조건들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조건제어 수단 ; 디스플레이 판넬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수단 ; 디스플레이 판넬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데이타에 대한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드를 기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 수단 ; 및 메모리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데이타를 판독하고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구동제어수단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판넬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판넬의 유효 디스플레이 에어리어의 외부 프레임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프레임부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은 턴온 또는 리세트시킬때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조건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또는 리세트시킬 때 구동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판넬의 논리적 픽셀수와 물리적 픽셀수 사이의 일의적인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제2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및 리세트시킬 때 구동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판넬에 대해 입력이 되는 이미지 데이타의 그래디언트 레벨수와 칼라 하나와의 관계 및 그래디언트 레벨수와 두칼라 모두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제2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을 턴온 또는 리세트시킬때 구동조건으로서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판넬로의 이미지 데이타의 전송 포맷 또는 전송 타이밍을 또는 상기 포맷과 상기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0. 제24항에 있어서, 전원의 턴온, 리세트, 또는 턴오프를 검출해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에 통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제2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판넬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적어도 해상도, 칼라 및 문자크기들이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제2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판넬의 샌드위치된 액정이 주변온도에 따라 특성이 변하는 온도 의존성이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은 주변온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동조건들을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3. 제24항에 있어서, 컴퓨터장치의 호스트 수단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에 연결되어서 디스플레이 모드 메모리수단에 기억된 디스플레이 모드는 호스트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되어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4. 제2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판넬을 구성하는 메모리 기능을 갖는 액정이 강유전성 액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5. 제24항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전원 턴온 또는 턴오프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이 구동제어수단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판넬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온 또는 오프상태로 세트시키며, 그런뒤에, 디스플레이 시스템 메인 몸체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19900007427A 1989-09-01 1990-05-23 디스플레이 시스템 KR940003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226632A JP3126360B2 (ja) 1989-09-01 1989-09-01 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1-226632 1989-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912A KR910006912A (ko) 1991-04-30
KR940003427B1 true KR940003427B1 (ko) 1994-04-22

Family

ID=1684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427A KR940003427B1 (ko) 1989-09-01 1990-05-23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84037A (ko)
EP (1) EP0414988B1 (ko)
JP (1) JP3126360B2 (ko)
KR (1) KR940003427B1 (ko)
AT (1) ATE154454T1 (ko)
AU (1) AU617037B2 (ko)
DE (1) DE690309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138B1 (en) * 1990-04-06 1994-05-13 Canon Kk Display apparatus
JP2902290B2 (ja) * 1994-01-11 1999-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
JP3713084B2 (ja) * 1995-11-30 2005-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制御装置
US6088014A (en) 1996-05-11 2000-07-11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190841B1 (ko) * 1996-07-08 1999-06-01 윤종용 화면정보전송기능을 갖는 모니터화면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0105107A (ja) * 1996-09-30 1998-04-24 Toshiba Corp フラットパネル表示装置
KR100251499B1 (ko) * 1997-11-25 2000-04-15 윤종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핫플러깅 구현방법
KR100490391B1 (ko) * 1998-06-11 2005-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를 구비한 컴퓨터의 비디오 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EP0967588A1 (fr) * 1998-06-23 1999-12-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eur d'ecran avec circuit d'animation
US6240468B1 (en) * 1998-12-18 2001-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posed graphics device driver module processing function requests within module in standard mode, and passing function requests to specialized mode device driver in specialized mode
KR100320439B1 (ko) * 1999-12-30 2002-01-12 박종섭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7171648B1 (en) * 2000-10-30 2007-01-3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bject property grouping
JP2003029957A (ja) * 2001-07-16 2003-01-31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
KR100480150B1 (ko) * 2001-11-28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제어방법 및 장치
AU2003224084A1 (en) * 2002-04-22 2003-1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splay device with plurality of display models
EP1357534A1 (en) * 2002-04-22 2003-10-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splay device with plurality of display modes
JP2004252017A (ja) * 2003-02-19 2004-09-09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パネル駆動装置
US7164416B1 (en) 2003-09-15 2007-01-16 Pixel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ilsafe display of full screen high frequency images on a flat panel without a frame buffer
KR100604338B1 (ko) * 2005-11-22 2006-07-25 홍원기 기포 제거장치
KR101246785B1 (ko) * 2005-12-28 2013-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캐너 일체형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스캐너 모드 구동방법
KR102491608B1 (ko) * 2017-10-17 2023-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8600A (en) * 1980-07-14 1982-07-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having temperature compensation
US4536856A (en) * 1982-06-07 1985-08-20 Sord Computer System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video signal information
NO157596C (no) * 1983-12-16 1988-09-27 Alf Lange Innretning for presentasjon av informasjon.
US4684936A (en) * 1984-04-20 1987-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s having different resolutions for alphanumeric and graphics data
JPS6125184A (ja) * 1984-07-13 1986-02-04 株式会社 アスキ− 表示制御装置
FR2581209B1 (fr) * 1985-04-26 1993-11-05 Canon Kk Dispositif optique a cristal liquide
JPS6249399A (ja) * 1985-08-29 1987-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S6255625A (ja) * 1985-09-05 1987-03-11 Canon Inc 液晶装置
US4830467A (en) * 1986-02-12 1989-05-16 Canon Kabushiki Kaisha A driving signal generating unit having first and second voltage generators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first voltage signal and a second voltage signal
EP0237809B1 (en) * 1986-02-17 1993-10-06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apparatus
US4972496A (en) * 1986-07-25 1990-11-20 Grid Systems Corporation Handwritten keyboardless entry computer system
DE3786614T2 (de) * 1986-08-18 1993-12-02 Canon Kk Anzeigevorrichtung.
US4763356A (en) * 1986-12-11 1988-08-09 AT&T Information Systems, Inc.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Touch screen form entry system
US4922241A (en) * 1987-03-31 1990-05-01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for forming a frame on a display when the device operates in a block or line access mode
EP0295690B1 (en) * 1987-06-19 1994-11-30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area control system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DE3852149T2 (de) * 1987-06-19 1995-04-06 Toshiba Kawasaki Kk Kathodenstrahlröhre-/Plasmaanzeigesteuergerät.
DE3853447T2 (de) * 1987-06-19 1995-08-31 Toshiba Kawasaki Kk Anzeigesteuergerät für eine Kathodenstrahlröhre-/Plasmaanzeigeeinheit.
DE3852148T2 (de) * 1987-06-19 1995-04-06 Toshiba Kawasaki Kk Anzeigemodusumschaltsystem für ein Plasmaanzeigegerät.
KR890012184A (ko) * 1988-01-19 1989-08-24 시키 모리야 액정표시장치
JP2877381B2 (ja) * 1989-10-06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941987B2 (ja) * 1990-04-09 1999-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89389A (ja) 1991-04-15
KR910006912A (ko) 1991-04-30
DE69030903T2 (de) 1998-01-08
US5784037A (en) 1998-07-21
ATE154454T1 (de) 1997-06-15
EP0414988B1 (en) 1997-06-11
EP0414988A2 (en) 1991-03-06
EP0414988A3 (en) 1992-09-09
AU4983190A (en) 1991-03-07
DE69030903D1 (de) 1997-07-17
JP3126360B2 (ja) 2001-01-22
AU617037B2 (en) 199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427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EP0450640B1 (en) Display apparatus
US5710570A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having display functions
US6198469B1 (en) “Frame-rate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generate flexible grayscale shading for super twisted nematic displays using stored brightness-level waveforms”
JPH06214550A (ja) コンピュータの出力表示のためのフレームバッファメモリ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H0469794B2 (ko)
US5508714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converting CRT resolution into PDP resolution by hardware
KR940006350B1 (ko) 화상데이타 제어장치 및 표시시스템
EP0421772B1 (en) Display apparatus
EP043354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5146558A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apparatus
US6157359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JPH0635411A (ja) 表示制御装置
JP2840374B2 (ja) 表示制御装置
JPS6329291B2 (ko)
US6124842A (en) Display apparatus
JP3245230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EP0462541B1 (en) Image information control device and display system
JPS6327727B2 (ko)
JPH0854601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728966B2 (ja) 表示装置
JP3227200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JPH04275592A (ja) 液晶表示装置
JPH05323930A (ja) 表示制御装置
JPH05241548A (ja) 表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