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439B1 - 씨모스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씨모스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439B1
KR100320439B1 KR1019990065537A KR19990065537A KR100320439B1 KR 100320439 B1 KR100320439 B1 KR 100320439B1 KR 1019990065537 A KR1019990065537 A KR 1019990065537A KR 19990065537 A KR19990065537 A KR 19990065537A KR 100320439 B1 KR100320439 B1 KR 10032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cmos image
memory
chip memory
cm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621A (ko
Inventor
이서규
김항규
신정순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6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4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윈도우 정보를 저장하는 온-칩 메모리를 구성하여 별도의 디지탈 신호 처리부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다 빠른 영상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화면중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하는 윈도윙을 수행할 수 있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빈번한 윈도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온-칩 메모리를 내장하고, 입력된 윈도우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감지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와,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씨모스 이미지 센서 또는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온-칩 메모리에 저장된 윈도우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로 입력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씨모스 이미지 센서{CMOS IMAGE SENSOR}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서 임의의 픽셀을 선택하여 선택된 픽셀의 이미지를 영상처리함에 있어서, 보다 빠른 영상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처리 시스템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모스 이미지 센서(11)와,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11)에서 감지된 영상을 처리해주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2)와,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11)에서 감지된 영상을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13)와, 상기 메모리(13) 또는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부(12)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5)와, 상기 이미지 처리 과정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화면의 특정부위만을 선택하여 선택된 부분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이른바, 윈도윙(Windowing)이라고 하며, 종래에는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부(12)에서 윈도윙을 위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윈도윙을 수행하였다.
이에, 윈도윙을 이한 알고리즘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윈도윙을 위한 알고리즘을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을 감지하는 스텝(S201)과, 감지된 영상을 일시 저장하는 스텝(S202)과, 디지탈 신호 처리부에서 윈도윙을 위한 영상으로 처리하는 스텝(S203)과, 처리된 영상을임시 저장하는 스텝(S204)와, 저장된 영상을 화면으로 전송하는 스텝(S20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 윈도윙 알고리즘에 따르면, 윈도윙을 위해 여러 스텝을 거치게 되는데, 일단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디지탈 신호 처리부에서 윈도윙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고, 영상 처리된 영상을 다시 임지 저장한 후, 컨트롤부의 제어하에 이를 화면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윈도윙을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따라서 실제 영상과 윈도윙 처리된 화면 영상이 시간적으로 차이가 나는 현상(lagging)이 발생한다.
또한, 영상 처리시 원치 않는 픽셀의 영상까지도 처리되기 때문에 영상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욱 많이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전력 소모도 많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윈도우 정보를 저장하는 온-칩 메모리를 구성하여 별도의 디지탈 신호 처리부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다 빠른 영상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구성블록도
도 2는 종래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따른 윈도윙 알고리즘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구성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따른 윈도윙 알고리즘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씨모스 이미지 센서 21a : 온-칩 메모리
22 : 메모리 23 : 디스플레이부
24 : 컨트롤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화면중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하는 윈도윙을 수행할 수 있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빈번한 윈도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온-칩 메모리를 내장하고, 입력된 윈도우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감지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와,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씨모스 이미지 센서 또는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온-칩 메모리에 저장된 윈도우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로 입력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윈도윙을 위한 별도의 디지탈 신호 처리부가 필요치 않으며, 온-칩 메모리를 이용하여 윈도윙에 따른 영상을 처리하므로써, 영상 처리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따른 이미지 처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윈도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원-칩 메모리(21a)를 내장하고 있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21)와,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21)에서 감지된 이미지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22)와,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21) 또는 메모리(22)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23)와,상기 원-칩 메모리(21a)에 저장된 윈도우의 위치정보를 씨모스 이미지 센서(21)로 입력하고, 이미지 처리 과정을 제어하는 컨트롤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22)로써는 디램(DRA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이피롬(EPROM) 등 모든 종류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보다 빠른 처리를 위해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보가 손실되지 않는 이피롬 및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한다.
통상, 이미지 센서들중에서 내부에 메모리를 온-칩(On-chip)화 할 수 있는 것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라는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디지탈 신호 처리부가 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온-칩 메모리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윈도윙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따른 윈도윙 알고리즘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윙 알고리즘은 크게, 이미지 감지 및 윈도윙을 수행하는 스텝(S401)과, 처리된 이미지를 일시 저장하는 스텝(S402)와, 저장된 이미지를 화면으로 전송하는 스텝(S403)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21)와 온-칩 메모리(21a)에 저장되어 있는 윈도윙 정보를 통해 이미지 감지 및 윈도윙이 동시에 수행된다.
즉, 이미지 감지시 원하는 부분만 선택하여 그 부분의 정보만을 감지하도록한 것으로서, 상기 온-칩 메모리(21a)에는 원하는 부분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원하는 정보란, 선택하고자 하는 윈도우(Window)의 좌상 꼭지점 정보와, 우하 꼭지점 정보를 말한다. 이는 윈도우의 사이즈와 위치를 결정해주는데, 통상 일정한 크기의 화면의 모든 가능한 윈도우는 무수히 많다.
따라서, 씨모스 이미지 센서(21)와 온-칩 메모리(21a)에는 상기 무수히 많은 윈도우들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선택되는 윈도우 정보만을 저장시켜 놓았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가장 근접한 윈도우를 선택하여 그 정보만을 씨모스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므로써,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해당 부분의 이미지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온-칩 메모리(21a)에 저장된 윈도우 정보중 사용자가 원하는 윈도우 정보를 선택하여 씨모스 이미지 센서(21)로 입력시켜 주어야만 씨모스 이미지 센서가 입력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온-칩 메모리에 저장된 윈도우 정보를 씨모스 이미지 센서(21)로 입력시키는 것은 컨트롤부(24)가 담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를 구성하지 않고도 온-칩 메모리를 이용하여 윈도윙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씨모스 이미지 센서 자체에 윈도우 정보를 가지고 있는 온-칩 메모리를 구성하여 종래 디지탈 신호 처리부를 이용한 윈도윙 방식의 단점인 속도와 전력 소모 문제를 해결하고, 윈도윙을 이용한 다른 영상 처리시에도 빠른 처리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물체 추적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윈도윙을 보다 빠르게 수행하여 많은 영상 처리를 목적으로하는 시스템들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많은 칩으로 이루어진 이미지 처리 시스템에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켜 저전력이 필요한 IMT2000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화면중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하는 윈도윙을 수행할 수 있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다수의 윈도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온-칩 메모리를 내장하고, 입력된 윈도우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감지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와,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씨모스 이미지 센서 또는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온-칩 메모리에 저장된 윈도우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로 입력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칩 메모리는 가장 빈번하게 선택되는 윈도우 정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온-칩 메모리에 저장된 윈도우정보중 사용자가 선택한 윈도우와 가장 근접한 윈도우 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상기 씨모스 이미지 센서로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19990065537A 1999-12-30 1999-12-30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0320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537A KR100320439B1 (ko) 1999-12-30 1999-12-30 씨모스 이미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537A KR100320439B1 (ko) 1999-12-30 1999-12-30 씨모스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621A KR20010065621A (ko) 2001-07-11
KR100320439B1 true KR100320439B1 (ko) 2002-01-12

Family

ID=1963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537A KR100320439B1 (ko) 1999-12-30 1999-12-30 씨모스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2504B2 (ja) * 2002-02-04 2007-10-17 富士通株式会社 Cmosイメージセン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827A (ko) * 1989-09-29 1991-04-27 임종염 자기공명 단층촬영기의 화상배치방법
KR910006912A (ko) * 1989-09-01 1991-04-30 야마지 게이조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647046A (ja) * 1992-06-25 1994-02-22 Elscint Ltd グレースケールウインドウ化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38630U (ko) * 1996-12-19 1998-09-15 김광호 영상기기의 osd장치
JPH10271519A (ja) * 1997-03-26 1998-10-09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912A (ko) * 1989-09-01 1991-04-30 야마지 게이조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910005827A (ko) * 1989-09-29 1991-04-27 임종염 자기공명 단층촬영기의 화상배치방법
JPH0647046A (ja) * 1992-06-25 1994-02-22 Elscint Ltd グレースケールウインドウ化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38630U (ko) * 1996-12-19 1998-09-15 김광호 영상기기의 osd장치
JPH10271519A (ja) * 1997-03-26 1998-10-09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621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31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display updates on an interactive display device
US9383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ffering sensor input in a low power system state
EP3301663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77700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co-processor by switching to low power dedicated memory in which image data is periodically updated
US7885431B2 (en) Controlling oper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ing movement data
US75122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image rotation
US1080378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timing of signal corresponding to state in which content can be received based on display location of content displayed on display
US20030234799A1 (en) Method of adjusting an image size of a display apparatus in a computer system, system for the same, and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therefor
US20010010525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JP2008047125A (ja) ハイブリッド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コントローラを含むタッ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及びそれの駆動方法
CN112229507B (zh) 环境光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SE538451C2 (sv) Förbättrad spårning av ett objekt för styrning av ett beröringsfritt användargränssnitt
KR20190101659A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트의 저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3115516A1 (ko)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KR100320439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20170004789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CN103885697A (zh) 页面操作系统及方法
KR102592124B1 (ko) 수평 동기화 신호에 기반하여 업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시간 구간을 확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60363963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JPWO2022013952A5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396997A2 (en) Image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US11221761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by using display comprising restriction area,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JP6972428B2 (ja) 滞在判定装置、滞在判定方法及び滞在判定プログラム
KR20120001565A (ko)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097672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