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357Y1 -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357Y1
KR940003357Y1 KR2019910001735U KR910001735U KR940003357Y1 KR 940003357 Y1 KR940003357 Y1 KR 940003357Y1 KR 2019910001735 U KR2019910001735 U KR 2019910001735U KR 910001735 U KR910001735 U KR 910001735U KR 940003357 Y1 KR940003357 Y1 KR 940003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rame
knob
resistor
conductiv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328U (ko
Inventor
나오기 가토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뎅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다오카 마사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뎅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다오카 마사다카 filed Critical 알프스 뎅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7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3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0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mechanical pressure or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
제1도-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설명도로서, 제1도는 시-소 조작형 가변저항기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정단면도.
제3도는 제1 도의 손잡이를 제거, 프레임을 A-A선에서 본 평면도.
제4도는 도전접점의 사시도.
제5a,b,c도는 동작설명도.
제6도는 저항치 변화특성도.
제7-10도는 종래예의 설명도로서 제7도는 시-소 조작형 가변저항기의 분해사시도.
제8도 및 제9도는 동작설명도.
제10도는 회동자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손잡이 11e : 노브
13 : 프레임 14 : 도전접점
14a : 지지체 14b : 완부
14c : 부착대 15 : 절연기판(저항기판)
17 : 패턴(저항체)
본 고안은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의 일예로 해서, 예를 들면 실개평 1-13570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제7도-제10도는 이 공보에 개시된 시-소 조작형의 가변저항기의 설명도로서, 제7도는 분해사시도, 제8도 및 제9도는 동작설명도, 제10도는 회동부재의 사시도이다.
이것등의 시-소 조작형 가변저항기는 손잡이(1)와 판스프링(2)과, 프레임(3)과, 스프링편(4)과 회동부재(5)와 접동자(6)와 저항기판(7)들로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1)은 수지로울드 제품으로서 상벽(1a)와 측벽(1b) 의 중앙하단에는 구멍(1c)가 형성되어 있고, 구멍(1c)의 하반분은 원환부(1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벽(1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벽(1a)의 내지면에는 한쌍의 노브(1e)가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2)은 인청동(隣靑銅)등의 금속박판으로된 부착부의 각부(角部)에서 4개의 완부(腕部) (2a)가 상방으로 향해서 뻗쳐있고, 누름조작후의 손잡이(1)를 초기의 위치까지 복원스프링으로 해서 기능한다.
프레임(3)은 수직 모울트 제품으로서, 양측면에 돌출설치된 지지핀(3a)와, 각 지지핀(3a)에 인접해서 상면에 돌출 설치된 수부(受部)(3b)들이 손잡이(1)를 요동이 자유자재로 지탱하고 있다.
상기 판스프링(2)은 부착부의 중앙에 설치된 각구멍(2b)을 프레임(3)의 상면에 돌출설치된 각상돌출부(30)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프레임(3)상에서 위치 결정되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3)의 하면내부에는 한쌍의 회동부재(5)를 축지탱하는 한쌍의 축(3d)이 늘어져 있고, 또한 저항기판(7)의 구멍(7g)에 걸어 맞추어 저항기판(7)을 고정하는 복수의 돌출부(3e)가 늘어져 있고, 또한 스프링편(4)의 고정단(4a)을 끼워 맞추어 걸어 잠그게 하는 흠(3 f) (제8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의 상면의, 상기 손잡이(1)의 노브(1e)가 대면하는 부위에는 구멍(3g)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노브(1e)가 프레임(3)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더.
회동부재(5)는 수지 모-울드 제품으로서, 구멍(5a)을 형성하는 축부(5b)의 한쪽에는 접동자(6)를 부착한 비교적 긴 접동자 부착부(5c)가, 또한 그 부착부(5c)의 반대측에는 축부(5b)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경사면(5d)이 형성되어져 있다. 이 회동부재(5)는 프레임(3)의 한쌍의 축(3d) 에 각각 1개, 계 2개가 구멍(5a)을 통해서 장착되어 있고, 축(3d)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로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면(4)은 자유단을 회동부재(5)의 접동자 부착부(5c)의 일측면, 노브(1e)에 의해 회동부재(5)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서 반대의 측에서 회동부재(5)를 힘을 가하기 가능하게 일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접동자(6)는, 공지의 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5)에 부착되어져 있다.
저항기판(7)의 표면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부재(5)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한쌍의 반달모양의 저항체(7a)와 접전체(7b)들이 2조 인쇄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저항체(7a)의 양단 및 접전체(7b) 는 리이드(7c)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저항기판(7)은 프레임(3)의 돌출부(3e)를 구멍(7g)에 삽입한 후 돌출부(3e)의 선단을 확개(擴開)하는 등으로 해서 프레임(3)에 고정된다.
또한 (7f)는 저항기판(7)에 설치된 상기 축(3d)가 삽입된 구멍이다.
다음에 상기의 시-소 조작형 가변저항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손잡이(1)의 좌측의 조작부(1f)를 누르면, 손잡이(1)의 노브(1e)가 좌측의 회동부재(5)의 경사면(5d)을 누르고, 회동부재(5)는 축(3d)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해, 접동자(6)가 저항기판(7)상의 좌측의 저항체( 7a)와 접전체(7b)상을 접동해 저항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또한, 손잡이(1)의 누름조작을 중지하면 손잡이(1)는 판스프링(2)의 스프링력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한편 회동부재(5)는 스프링편(4)의 반발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손잡이(1)의 우측의 조작부(1f) 를 조작한 경우는 손잡이(1)의 좌측의 조작부(1f)를 조작한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동작한다.
또한, 이 가변저항기는 비디오케메라의 줌-인, 아우트(Zoom-in, out)의 동작수단으로 해서 사용된다.
그런, 상기의 가변저ㅎ아기는 손잡이(1)의 노브(1e)의 상하움직임을 회동부재(5)의 경사면(5d)으로서 회전운동에 변화해서 저항치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노브(1e)의 약간의 소토로크(stroke)로서 저항치를 크게 변하기 위해서 손잡이(1)의 요동지점에서 노브(1e)까지의 거리를 대단히 크게 해놓지 않으면 안되고, 따라서 손잡이(1)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나아가서는 가변저항기 전체가 대형화된다 하는 과제가 생긴다. 또한, 회동부재(5), 접동자(6), 스프링편(4)이 필요로서 부품가지수가 많아, 조립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코스트가 높게 된다는 과제가 생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의 소형화가 가능, 또한 종래에 비교해서 부품가지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일체화된 표면에 패턴을 형성한 절연기판과, 상기 프레임에 시-소 조작가능을 지탱하는 손잡이와, 상기 절연기판의 방향에 凸 모양으로 만곡된 도전접점들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의 내저면에서 돌출하여 설치되는 노브를 상기 도전접점의 양단부에 접촉가능하게 배치하여, 상기 손자비을 누르면, 상기 노브가 상기 도전접점을 양단부를 눌러서, 그 도전접점을 상기 패턴으로 눌러서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의 수단에 의하면, 종래 필요로 한 스프링편, 회동부재, 접동자 대신에 절연기판측에 凸 모양으로 만곡된 도전접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부품가지수의 생략을 초래, 조립작업성도 양호해 지므로서, 종래의 비해 코스트다운(cost down)을 가져온다.
또한, 도전접점의 만곡도를 적게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의 내저면에 연장된 노브의 약간의 스트로크로서 저항치를 변할 수 있고, 손잡이의 동요지점에서 노브까지의 거리를 적게할 수 있으므로서, 손잡이의 소형화를 가져와 나아가서는 전기부품전체가 종래와 비교해서 소형화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1도-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명도에서, 제1도는 시-소 조작형 가변저항기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정면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손잡이를 제거해, 프레임을 A-A선에서 본 평면도, 제4도는 도전접점의 사시도, 제5a,b,c도는 동작설명도, 제6도는 저항치 변화 특성도이다.
본 고안의 시-소 조작형 가변저항기는 손잡이(11)와 판스프링(12)와 프레임(13)과 도전접점(14)과 저항기판(절연기판) (15)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11)는 수지 모-울드 제품으로서, 상벽(11a)과 축벽(11b)들을 비치하고, 양측벽(11b)의 중앙 하단에는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11c)의 하반분은 원환부(11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벽(11a)의 내저면에는 한쌍의 노브(11e)가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12)는, 인청동등의 금속박판으로된 접합부(12c)의 중앙부에서 2개의 완부(腕部)(12a)가 위쪽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누름조작부의 손잡이(11)을 초기 위치까지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으로 해서 기능한다.
프레임(13)은 수지 모울드 제품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으로 돌출해서 설치된 지지핀(3a)과 각 지지핀(13a)에 인접해서 상면으로 돌출해서 설치된 수부(受部) (13b) 들이 손잡이(11)를 요동이 자유자재하게 지탱하고 있다. 상기 판스프링(12)은, 부착부(12c)의 네귀에 굴곡해 형성된 다리(12b)를 프레임(13)의 측면에 설치된 돌출부(13b)에 끼워 맞추워서 프레임(13)의 상벽(13d)상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10의 노브(11e)가 대면하는 프레임(13)의 상벽(13d)에는 구멍(13e)이 뚫어져 설치되어 있고, 노브(11e)가 구멍(13e)에서 프레임(13)의 내부에 삽입되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13)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측면에는 프린트기판(21)에 스넵(snap) 정지하는 발톱편(13f), (13g)이 설치되어 이 측면의 안쪽에서는 상기 저항기판(15)을 싣고 있는 발톱편(13h) (제2도 참조)이 설치되어 저항기판(15)은 이 발톱편(13h)상에 위치한다.
상기 도전접점(14)는 나중에 기술하는 저항체에 비해서 비저항(比抵抗)이 매우 적은 도전고무에 의해 이루어지고, 저항기판(15)의 방향으로 凸 상태로 만곡해 있고, 그 도전접점(14)은 실리콘 고무등의 탄성체에 의해 이루어진 한쌍의 지지체(14a)와, 지지체(14a)에서 안쪽으로 연장한 완부(14b)로서 양측면을 지지된 부착대(14c)로 되는 지지부재의 부착대(14c)의 하면에 2색 형성에 의해 일체화 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는 제1,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지지체(14a)가 프레임(13)의 지지벽(13i)으로 가이드되어서 저항기판(15)과 프레임(13)의 상벽(13d)의 하면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손잡이(11)의 노브(11e)는 제2도에 나타나 바와같이 부착대 (14c)의 단부에 거의 접촉하고 있다.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 저항기판(15)의 표면의 좌우양측에는 중앙부에 스리트(16)를 형성한 한쌍의 저항체(패턴)(17)가 인쇄 형성되어, 좌측의 저항쳬(17)의 양단의 은전극(18)은 리이드패턴(19a),(19b)를 통해서 단자패턴(20a),(20b)에 접속되어 우측의 저항체(17)의 양단의 은전극(18)은 리이드패턴(19c),(19d)을 통해서 단자패턴(20b),(20c)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시-소 조작형 가변저항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손잡이(11)의 미조작 상태에서는 제5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노브(11e)는 만곡되는 부착부(14c)를 통해서 도전접점(14)의 양단부의 거의 접촉하고, 도전접전(14)은 저항체(17)에는 아직 접촉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예를들면 제1도에 있어서 손잡이(11)의 왼쪽의 조작부(11f)를 누르면, 제5b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노브(11e)가 부착대(14c)를 통해서 도전접전(14)의 양단부를 눌러서, 도전접점(14)은 저항체(17)의 스리트(16)을 단락한다.
다음에 제5c도의 상태에서 제1도에 있어서 손잡이(11)의 좌측의 조작부(11f)를 손잡이(11)의 하면이 프레임(13)의 상면에 네귀에 설치된 스토퍼(13j)에 접촉할 때 가지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제5c도에 나타나 바와 같이 도전접점(14)은 차차로 편평(偏平)에 가깝게 되고, 도전접점(14)과 저항체(17)들의 접촉면적은 차차로 증대한다.
상기의 제5a,b,c도의 상태에 있어서 저항치의 변화는 제6도의 특성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되고, 제5a도의 상태에서 (b)상태로 이전시에 단자 패턴(20a)와 (20b) 사이의 저항치는 급격하게 변화하나, (b)에서 (c)에 이르는 사이에는 저항치는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다음에, 손잡이(11)의 누름조작을 경지하면, 손잡이(11)는 판스프링(12)의 스프링력에 의해 초기의 미조작 상태로 복귀하고, 한편, 도전접전(14)은 자신의 스프링력 및 지지부재의 완부(14b)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제1도에 있어서 손잡이(11)의 우측의 조작부(11f)를 조작한 경우도, 상기와 같은 모양의 동작없이, 단자패턴(20b) (20c)사이의 저항치는 제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변화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예에서 필요로 한 스프링편, 회동부재, 접동자 대신에 지지부재로서 지지된 도전접점(14)를 사용하고 있으므로서, 부품가지수의 생략을 초래, 조립작성도 좋다. 따라서 종래의 비교해서 코스트다운 된다.
또한, 도전결점(14)의 만곡도를 적게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11)의 넘젼에서 연장된 노브(11e)의 약간의 스트로크로서 저항치는 변할 수 있고, 손잡이(11)의 요동지점에서 노브(11e)까지의 거리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서 손잡이(11)의 소형화를 가져와, 나아가서는 전기부품 전체가 종래에 비교해서 소형화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전접점(14)의 양단을 한쌍의 노브(11e)로써 누르고 있으나, 이 2개의 노브(11e)를 일체화 해도 좋다.
또한, 저항체(17)의 스리트(16)는 없어도 좋고, 이 경우는 손잡이(11)의 미조작 상태에서 단자패턴(20a), (20b)사이, 혹은(20b), (20c) 사이에서 소정의 저항치를 갖고, 손잡이(11)의 조작부(11f)를 누르게 하면 차차로 저항치가 적게 변화해 가도록 한 특성곡선으로 된다.
또한, 도전접점(14)만으로서 충분한 탄성이 확보되면 판스프링(12)은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에는 시-소 조작형 가변저항기나, 저항체(17)를 도전패턴으로 바꿔놓고,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스리트(16)의 양측의 도전패턴(17)을 도전접점(14)으로서 단락하도록 하면, 소형으로 해서도 이점이 있고 싼가격인 시-소 조작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을 이상과 같이 구성하므로서, 손잡이를 소형으로 할 수 있고, 그것에 따라서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실행할 수 있고, 또한 부품가지수를 적게할 수 있어, 그러므로, 종래에 비교해서 조립성의 향상과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일체화된 포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절연기판과, 상기 프레임에 시-소 조작가능하게 지탱된 손잡이와 상기 절연기판의 방향에 凸 모양으로 만곡된 도전접점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의 내저면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노브를 상기 도전접점의 양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노브가 상기 도전접점의 양단부를 누르고, 그 도전접점을 상기 패턴으로 눌러서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
KR2019910001735U 1990-03-07 1991-02-04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 KR94000335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22990 1990-03-07
JP???2-22229 1990-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28U KR910017328U (ko) 1991-10-28
KR940003357Y1 true KR940003357Y1 (ko) 1994-05-23

Family

ID=1207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735U KR940003357Y1 (ko) 1990-03-07 1991-02-04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3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28U (ko) 199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2662A (en) Toggle switch with shaped wire spring contact
US6198054B1 (en) Multiple electric switch with single actuating lever
KR100281727B1 (ko) 멈춤부를 갖는 패들 브레이드 스위치 어샘블리
US5647479A (en) Electrical rocker switch
US5836443A (en) Electrical rocker switch
US5089677A (en) Switching dial and finger rest
US6613989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940003357Y1 (ko) 시-소 조작형 전기부품
CN216719789U (zh) 微动开关及鼠标
JP2501221Y2 (ja) シ―ソ操作型電気部品
JP3039139B2 (ja) シーソー操作型可変抵抗器
JP3031085B2 (ja) シーソー操作型電子部品
JP3954784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220332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H0717123Y2 (ja) 押圧操作型電気部品
JPH1124777A (ja) 多方向スイッチ
JP2500437Y2 (ja) シ―ソ操作型電気部品
JPH054246Y2 (ko)
JPS6010035Y2 (ja) 操作釦ユニット
JPH054245Y2 (ko)
KR920001072Y1 (ko) 훅스위치
JPH0440243Y2 (ko)
JPH1186683A (ja) 揺動操作形スイッチ装置
JPH1021794A (ja) スイッチ装置
JPH01209620A (ja) 切換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