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072Y1 - 훅스위치 - Google Patents

훅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072Y1
KR920001072Y1 KR2019880011895U KR880011895U KR920001072Y1 KR 920001072 Y1 KR920001072 Y1 KR 920001072Y1 KR 2019880011895 U KR2019880011895 U KR 2019880011895U KR 880011895 U KR880011895 U KR 880011895U KR 920001072 Y1 KR920001072 Y1 KR 920001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lider
operator
piece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774U (ko
Inventor
도시오 가꾸다
히로유끼 나가노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04M1/08Hooks; Cradles associated with switche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receiver or hand-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훅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훅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상기 훅스위치의 단면도.
제3도는 상기 훅스위치의 측면도.
제4도는 가동접편이 옮겨타는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훅스위치의 단면도.
제6도는 다극화된 종래이 훅스위치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 2 : 아암
3 : 고정접편 4 : 슬라이드
5 : 가동접편 6 : 스프링
7 : 커버 8 : 작동자
12 : 보디의 측벽 14 : 보디의 밑벽
43 : 돌출부 44 : 돌출부의 선단
72 : 관통구멍 86 : 돌기
81 : 작동자의 윗벽
본 고안은, 전화기의 수신회로나 통회회로등의 절환에 사용되는 훅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제5도에 종래의 스위치를 예시하고 있다. 이 훅스위치는, 보디(100)와 작동자 (200)을 구비하고 있다. 보디(100)에는 복수개의 접편, 예를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접편(110)을 사이에 두고 상하양쪽에 간격을 두어서 제2접편(120)과 제3접편 (130)의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접편(110), (120), (130)으로부터 도출 형성된 단자(111), (121), (131)는 보디(100)의 저벽 전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제1접편 (110)의 선단부가 보디(100)의 후단부에 형성한 결합부(101)의 하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작동자(200)는 전후방향의 중간부분이 상기 보디에 형성된 돌기(102)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그 후단부에 형성된 제1접촉부(201)가 제2접편 (120)에 대응하고 제2접촉부(202)가 제3접편(130)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작동자 (200)는 스프링(300)에 의해서 그 후단부가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밀려져 있다.
이 훅스위치에 있어서, 예를들면 전환기의 수화기를 전화기본체로부터 집어들면, 작동자(200)가 스프링(300)에 의해 힘을 받아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접촉부(201)에 의해 제2접편(120)이 밀려들어와서 제1접편(110)에 접촉하고, 제2접촉부(202)에 의해 제3접편(130)이 밀려들어 와서 제1접편(110)으로부터 떨어져 나간다. 또, 예를들면 수화기가 전화기에 놓여서 작동자(200)의 앞단부가 돌기(102)에 의한 지지점(P)을 중심으로 해서 아래쪽으로 회전되면, 작동자(200)의 후단부가 위쪽으로 회전하는데 따라서 제1접촉부(201)가 위로 움직이게 되어 제2접편 (120)이 가상선과 같이 위쪽으로 변위하여 제1접편(110)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동시에 제2접촉부(202)가 위로 움직이게 되어 제3접편(130)이 가상선과 같이 위쪽으로 변위해서 제1접편(110)에 접촉한다.
이와 같은 훅스위치에 있어서, 예를들면 제1접편(110)에 대해서 제2접편 (120)이 접촉하거나 떨어져 나가거나 할때의 접촉분리 타이밍이나 양자의 접촉압은, 상기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1접촉부(201)의 상하방향의 움직임 폭(A1)에 관계되며, 그 움직임 폭(A1)은 제1접촉부(201)와 상기 지지점(P)과의 상호간격(L1)이나 제1접촉부(201)의 높이(작동자(200)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폭)등에 관계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접편(110)에 대한 제3접편(130)의 접촉분리 타이밍이나 양자의 접촉압은 상기 지지점(P)와 제2접촉부(202)와의 상호간격(L2)이나 제2접촉부 (202)의 높이에 관계된다.
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접편(110)...의 각각에 복수개의 제2접편(120)....이 각각 대응하고 있는 형식의 훅스위치에서는, 종래, 제1접편(110)...의 각각에 대한 제2접편(120)의 접촉분리 타이밍을 미묘하게 어긋나게 할 필요가 있을때에는, 제1접촉부(201)의 제2접편(120)...에 대한 대응개소(가), (나), (다)의 상호간에 단차(段差)를 가지게 하고, 또한 그 단차를 상기 접촉분리 타이밍에 균형이 맞도록 설정하고 있다. 복수개의 제1접편(110)...의 각각에 복수개의 제3접편(130)... 이 각각 대응하고 있는 형식의 훅스위치에 있어서는, 제2접촉부(202)의 제3접편(130)...에 대한 대응개소의 상호간에 단차를 가지게 하고, 또한 그 단차를 상기 접촉분리 타이밍에 균형이 맞도록 고정밀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훅스위치로 적절한 접촉분리 타이밍을 얻으려면, 상기 상호간격 (-L1), (L2)나 제1접촉부(201) 및 제2접촉부(202)의 높이를 제1접편(110)의 움직임폭(A1)이나 제3접편(130)의 움직임폭(A2)과의 관계에 의해서 고정밀도로 설정하거나, 제1접촉부(201) 및 제2접촉부(202)에 형성되는 단차를 고정밀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어, 실질상 그것들을 고정밀도로 설정하는데는 설계 기술상의 많은 곤란이 수반되고, 그 만큼 훅스위치 자체가 고가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여러가지로 디자인화된 전화기에 있어서도 작동자(200)의 형상에도 다양성이 요구되나, 작동자(200) 자체에 상기 접촉분리 타이밍을 지배하는 제1접촉부(201)이나 제2접촉부(202)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훅스위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설계 기술상의 관란때문에 그 다양성의 요구에 충분한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훅스위치에 있어서는 접편의 수가 증가하면, 그들 접편의 탄성이 작동자(200)의 조작력에 영향을 미치게 하고, 필요한 조작력이 증대한다.
그때문에, 접편의 수를 증가시켜서 다극화를 도모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이것이 많은 제어회로를 가진 전화기등의 기기류에의 적용을 방해하고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접편의 접촉분리 타이밍에 관계되는 부재를 작동자로부터 분리하므로서, 작동자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해서, 그 형상을 다양화 하는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함과 동시에, 다극화를 용이하게 도모하는 일이 가능한 훅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훅스위치는, 일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상자형상이 보디에, 그 접촉면이 상기 보디의 내면과 같은 높이의 평면으로 배치된 고정접편을 설치하고, 상기 보디에 내당한 슬라이더에, 이 슬라이더가 보디의 내부에서 미끄럼운동을 하였을때의 상기 보디의 내면과 상기 고정접편의 접촉면과의 사이를 그것들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면서 옮겨 타는 가동접편을 설치하고, 슬라이더를 스프링에 의해서 보디의 개구로부터 항상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해두는 동시에, 보디의 개구부에 슬라이더가 빠져자가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장착하고, 이 커버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선단이 구면(舊面)의 돌출부를 돌출시키는 한편, 보디에 돌출설치된 아암의 선단부에 작동자의 선단부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시키는 동시에, 작동자의 윗벽을 상기 돌기에 맞닿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훅스위치에 의하면, 작동자를 누르므로써 슬라이더를 스플링의 힘에 대항해서 미끄럼운동시키면, 가동접편이 보디에 내면과 고정편의 접촉면과의 사이를 그것들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면서 옮겨타서, 접점이 절환되고, 동시에 보디 및 아암이 작동자에 수용된다. 이 경우에 필요한 작동자의 조작력은, 스프링의 밀어내는 힘과 가동접편의 탄성적인 접촉에 수반되는 마찰저항을 이겨내는 힘이며, 상기 마찰저항은 가동접편의 수를 증가시켜도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그때문에, 접편의 수가 많은 다극의 훅스위치에 있어서도 상기 조작력에 큰 힘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 가동접편이 고정접편의 접촉면에 옮겨타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접편은 그 탄성에 의해서 고정접편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양접편이 항상 균일한 접촉압으로 접촉하여, 안정된 접점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가동접편이 고정접편에 올라탈때에 고정접편이 가동접편에 의해 문질러지게 되기 때문에 자체클리이닝 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훅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훅스위치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은 일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상자형이 보디, (2)는 보디(1)의 측벽에 일체적으로 돌출설치된 아암이다. 보디(1)의 서로 대향하는 전후의 측벽(11), (12)의 복수개소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고정접편(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접편(3)...은 모두 그 접촉면이 보디(1)의 내면과 같은 높이의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 각각에 도출형성된 단자(31)가 보디(1)의 밑벽(14)을 관통해서 그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아암(2)은 선단부에 결합구멍(21)을 구비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장착기판(예를들면 프린트배선기판)의 장착구멍에 결합되는 클릭편(22)를 가진다.
(4)는 슬라이더로서, 보디(1)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그 양단부에 구비된 돌출부 (41), (41)가 상기 보디(1)의 4개의 코오너부에 형성된 돌조(突條)(13)...의 사이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4)에는 가동(5)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접편(5)은 그 근원이 연결된 복수의 빗살형상부(51)의 선단부를 각각 만곡형상으로 구부려서 아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근원이 상기 슬라이더(4)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가동접편(5)의 빗살형상부(51)의 각각이 상기 고정접편(3)..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6)은 스프링으로서, 이것을 보디(1)의 밑벽(14)과 슬라이더(4)와의 사이에 개재되어서 슬라이더(4)를 보디(1)의 개구부로부터 항상 압출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다.
또한, (15)는 보디(1)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 (42)는 슬라이더(4)에 형성된 위치 결정구멍으로서, 상기 스프링(6)은 이들 위치결정구멍(15), (42)에 끼워넣어져 있다. (7)은 커버이며, 이 커버(7)는 그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역 T자형의 다리부(71), (71)를 보디(1)의 바깥쪽에 끼워넣고, 그 다리부(71), (71)의 걸림부(72), (72)를 보디(1)의 측벽에 형성된 결합부(16), (16)에 결리므로써 보디(1)에 장착되어 있다. 보디(1)에 장착된 커버(7)는 보디(1)의 개구부를 막고, 또한, 스프링(6)의 부세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4)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또, 커버(7)에는 관통구멍(73)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더(4)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43)가 상기 관통구멍(73)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 돌출부(43)의 선단(44)은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보디(1), 아암(2), 고정접편(3), 슬라이더(4), 가동접편(5), 스프링(6), 커버(7)는 훅스위치의 본체부분에 불가결한 구성부재이며, 이들 구성부재를 제2도와 같이 짜맞춤으로서 구성된 스위치본체(A)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형상의 작동자(8)를 장착하는 일이 가능하나, 작동자(8)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전에 상기 스위치본체(A)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본체(A)는, 아암(2)의 클릭편 (22)을 장착기판(C)의 장착구멍에 걸어맞추고, 동시에 단자(31)를 장착기판 (C)의 단자구멍에 삽입하므로서 원터치식으로 장착기판(C)에 장착된다.
슬라이더(4)의 돌출부(43)를 눌러서, 이 슬라이더(4)를 보디(1)의 내부에서 스프링(6)의 힘에 대항해서 미끄럼운동 시키면, 그에 따라서 가동전편(5)이 보디(1)의 측벽(12)의 내면 또는 고정접편(3)의 접촉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져 움직인다. 또, 돌출부(43)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슬라이더(4)가 스프링(6)의 힘에 의해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4)가 보디(1)의 내부에서 미끄럼운동할때에, 가동접편(5)이 고정접편(3)외 접촉면과 미끄럼운동하면, 양자가 서로 맞문질러져서 자체클리이닝이 되기 때문에, 그 접편끼리의 접촉안정성이 향상된다.
또, 예를들면 제4도의 화살표시(X)와 같이 가동접편(5)이 상기 측벽(12)의 내면을 미끄럼운동한후, 고정접편(3)의 접촉면으로 옮겨탈때에는, 그 옮겨타기가 순간적으로 행하여지고, 옮겨탄후의 접촉압은 균일하게 유지된다. 그 반대로 제4도의 화살표시(Y)와 같이 가동접편(5)이 고정접편(3)의 접촉면을 미끄럼운동한후, 상기 측벽(12)의 내면으로 옮겨탈때에도, 그 옮겨타기가 순간적으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예를들면 제5도에서 설명한 종래예와 같이 작동자(200)의 회전에 따라서 접편끼리의 접촉압이 서서히 증대하거나 서서히 감소하거나하는 일이 없어지고, 접점절환 특성이나 접촉안정성이 종래에 비해서 뛰어난 것으로 된다.
또, 접편끼리나 접촉분리 타이밍은, 보디(1)에 설치된 고정접편(3)의 패턴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 때문에, 상기 접촉분리 타아밍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슬라이더(4)의 제작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별로 없다.
또, 고정접편(3) 및 가동접편(5)의 수를 증가시켜서 다극화를 도모하였을 경우, 보디(1)의 측벽(12)의 내면이나 고정접편(3)의 접촉면에 대한 가동접편(5)의 탄성 접촉력이 중대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서 슬리어더(4)를 누를때의 조작력이나 스프링(6)의 스프링힘을 증대시켜 놓일 필요가 있으나, 상기 탄성접촉력의 증가분을 다극화에 따라서는 그다지 크게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조작력이나 스프링힘을 종래의 경우만큼 증대시킬 필요가 없으며, 그만큼 다극화가 용이하다.
다음에 작동자(8)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작동자 (8)는, 윗벽(81)과, 좌우의 측벽(82), (82)과, 팽출부(83)와, 늘어진 부분(84)을 가진 상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벽(82), (82)으로부터 연달아 설치된 아암부(85), (85)에는 서로 대향하는 핀모양의 돌기(86), (86)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86), (86)에 스토퍼편(87), (87)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자(8)에 있어서는, 선단부의 돌기(86), (86)가 상기 아암(2)의 결합구멍(21)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결합되고,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윗벽(81)의 상기 슬라이더(4)의 돌기(43)와 맞닿고 있다.
따라서, 작동자(8)의 팽출부(83)를 눌러내리면, 그 윗벽(81)에 의해서 상기 돌기(43)가 눌러내려져,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가 스프링(6)의 힘에 대항해서 미끄럼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자(8)의 팽출부(83)가 눌러내려지면, 제3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작동자(8)가 상기 스위치본체(A)에 덮어 씌워져서 스위치 본체(A)의 전체가 작동자(8)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와같이 작동자(8)는 상기 슬라이더 (4)를 눌러내리기 위한 역할만을 가진데 불과하기 때문에, 이 작동자(8)의 제작정밀도를 높이는 일은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 또, 작동자(8)는, 선단부의 돌기(86)와 윗벽 (81)을 가진 것이라면 도시한 것이외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기 때문에, 이 일이 제작정밀도를 높이는 일의 필요성이 적은것과 더불어 용이하게 그 형상을 다양화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아암(2)에 결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작동자(8)에 눌어진 부분(8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자(8)의 회전범위가 상기 스토퍼편(87)이 상기 결합부(23)에 닿는 위치와 늘어진 부분(84)이 장착기판(C)에 닿는 위치와의 사이의 범위내로 규제된다.
본 고안은 훅스위치는, 아암이 돌출 설치된 보디와, 커버와, 슬라이더와, 작동자를 구비하고, 아암과 보디와 커버와 슬라이더에 의해서 스위치의 본체부분이 구성되고, 또한 접편기리의 접촉분리 타이밍은 이 본체부분의 구성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동자는 그 제작에 고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게 되고, 그 만큼 염가로 되는 동시에, 형상의 다양화의 요구에도 대처하기 쉽게된다.
작동자의 선단부를 아암의 선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시키는 것만으로 작동자를 보디에 장착할 수 있는것도, 작동자를 다양화 하는 일에 도움이 된다. 또, 상기 접촉분리 타이밍은 보디에 설치되는 고정접편의 패턴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접촉분리 타이밍을 고정밀도로 설정하는 일때문에 고도의 설계기술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 작동자는 보디 및 아암을 수용할 수 있는 상자형상으로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훅스위치를 용이하게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고정접편의 접촉면이 보디의 내면과 같은 높이의 평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가동접편이 보디의 내면과 고정접편의 접촉면과의 사이를 그들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면서 옮겨타는 구성이므로, 다극화하여도 작동자의 조작력이 그다지 증가하지 않고, 따라서 훅스위치의 다극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외에, 접편의 자체클이닝 작용, 접촉안정성 및 접점절환 특성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1)

  1. 일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상자형상의 보디(1)에, 접촉면이 상기 보디의 내면과 같은 높이의 평면으로 연속해서 배치된 고정접편(3)이 설치되고, 상기 보디(1)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도록 내장된 슬라이더(4)에, 이 슬라이더(4)가 보디(1)의 내부에서 미끄럼운동을할때에 상기 보디(1)의 내면과 상기 고정접편(3)의 접촉면과의 사이를 그것들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면서 옮겨타는 가동접편(5)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4)와 상기 보디(1)의 밑벽(14)과의 사이에 슬라이더(4)를 보디(1)의 개구부로부터 항상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6)이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보디(1)의 개구부에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슬라이더(4)가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커버(7)가 장착되고, 이 커버(7)에 형성된 관통구멍(73)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4)에 형성된 선단(44)의 구면의 돌출부(43)로 돌출되어 있는 한편, 보디(1)의 측벽(11)에 돌출설치된 아암(2)의 선단부에 작동자(18)의 선단부에 형성된 핀형의 돌기(86)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작동자의 윗벽(81)이 상기 돌출부(43)에 맞닿고, 또한 이 작동자(8)는 상기 돌기(86)를 중심으로 해서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었을때, 그 내부에 상기 보디(1) 및 아암(2)을 수용하는 상자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스위치.
KR2019880011895U 1986-07-28 1988-07-28 훅스위치 KR9200010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15403U JPS6323010U (ko) 1986-07-28 1986-07-28
JP62-115403 1987-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774U KR890003774U (ko) 1989-04-13
KR920001072Y1 true KR920001072Y1 (ko) 1992-02-10

Family

ID=3099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895U KR920001072Y1 (ko) 1986-07-28 1988-07-28 훅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3010U (ko)
KR (1) KR9200010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823Y2 (ja) * 1989-02-13 1994-03-16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パージング材料排出装置
JP2507097Y2 (ja) * 1990-01-25 1996-08-14 東芝機械株式会社 ノズルタ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774U (ko) 1989-04-13
JPS6323010U (ko) 198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99366A (ja) プッシュプルスイッチ
US4871885A (en) Combined push and slide switch assembly
US5234349A (en) Socket for the use of electric part
KR199800239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US5803240A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JPH0345402Y2 (ko)
US3342967A (en) Pushbutton switch
JPH11144562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4429202A (en) Switch actuator mechanism
KR920001072Y1 (ko) 훅스위치
KR890006356Y1 (ko) 스위치 장치
US4588877A (en) Push-button switch
CN216719789U (zh) 微动开关及鼠标
US3027432A (en) Switching device
US5349323A (en) Seesaw manipulation-type variable resistor
US4393281A (en) Dip switch
US4426559A (en) Push button switch having two resilient contacts operated at different times
KR100444097B1 (ko) 스위치
US4121062A (en) Change-over slide switch with grounding spring member
US2853573A (en) Snap-action switch
JPH0239311Y2 (ko)
JP2729914B2 (ja) 押釦スイッチ
US4398070A (en) Two-motion push-button switch
JPH0336016Y2 (ko)
JPH02210728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