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097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097B1
KR100444097B1 KR1019960029734A KR19960029734A KR100444097B1 KR 100444097 B1 KR100444097 B1 KR 100444097B1 KR 1019960029734 A KR1019960029734 A KR 1019960029734A KR 19960029734 A KR19960029734 A KR 19960029734A KR 100444097 B1 KR100444097 B1 KR 10044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switch
terminal
arm portion
comm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844A (ko
Inventor
카추이지 미나미
타쿠오 타케노카
야스우치카 쿠도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1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2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part protruding from different sides of switch casing for alternate actuation from opposite ends

Abstract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신호 회로 또는 전원의 전환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된 접촉 성능을 갖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동 접점판(6)에 만곡된 탄성 암부(6A1, 6A2), 탄성 암부(6B1, 6B2), 탄성 암부(6E)를 일체로 마련하고, 공통 단자(3)를 개별 단자(2)와 마찬가지의 간단한 구성으로 하여, 개별 단자(2)와 공통 단자(3)를 미리 스위치 케이스(1)에 삽입·성형하는 것에 의해, 조립 부품 개수,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서, 주로 신호 회로의 전환 및 전원의 전환에 이용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를,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를 예로써, 도 6의 단면도에 의해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21은 상면이 개구부로 되어있는 절연 재료제의 박스형 스위치 케이스이고, 그 저면부에는 고정 접점부(22A)와 단자부(22B)로 이루어진 도전 재료제의 개별 단자(22) 및 지지부 (23A)와 탄성 암부(23B)와단자부(23C)로 이루어진 도전·탄성 재료제의 공통 단자(23)가 각각의 단자부(22B) 및 단자부(23C)를 홈(21A) 및 홈(21B)에 눌러 넣어 조이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 케이스(21)의 개구부는 중앙에 직선 형상의 안내 구멍(24A)을 갖는 커버(24)로 덮여지고, 그 커버의 하면에는 구동용 돌출부(25A)와 조작 레버부(25B)로 이루어진 조작체(25)가 배치되며, 조작 레버부(25B)는 상기 안내 구멍(24A)을 삽입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조작체(25)의 하면에는 가늘고 긴 도전 재료제인 가동 접점판(26)이 상기 안내 구멍(24A)을 따라 배치되고, 가동 접점판(26)은 시소(seesaw) 운동 가능하도록, 그 중간 유지부(26A)가 상기 공통 단자(23)의 지지부(23A)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가동 접점판(26)은 탄성 암부(23B)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조작체(25)의 돌출부(25A)에 탄성 접촉되며, 가동 접점판의 좌단은 상기 고정 접점부(22A)에 대응한 가동 접점(26B)을 형성하고, 가동 접점판의 우단은 스위치 오프(OFF) 상태 일 때의 스토퍼(26C)로서, 스위치 케이스(21) 내의 돌기부(21C)에 접촉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 즉, 조작 레버부(25B)가 안내 구멍(24A)의 우단에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체(25) 하면의 돌출부(25A)가 가동 접점판(26)의 중간 유지부(26A)보다도 우측에 있게 되고, 공통 단자(23)의 탄성 암부(23B)에 의한 탄성력으로 중간 유지부(26A)가 밀어 올려져, 화살표 D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되고, 가동 접점판(26) 우단의 스토퍼(26C)는 스위치 케이스(21) 내의 돌기부(21C)에 접촉되어 정지되며, 가동 접점판(26) 좌단의 가동 접점(26B)은 고정 접점부(22A)에서 떨어지게 된다.
다음, 조작 레버부(25B)를, 도 6의 화살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조작체(25)의 돌출부(25A)도 가동 접점판(26)의 상면에 탄성 접촉하면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중간 유지부(26A)를 통과하면, 공통 단자(23)의 탄성 암부(23B)의 탄성력에 의한 회전력은 화살표 F방향으로 바뀐다.
이에 따라서, 가동 접점판(26)은 공통 단자(23)의 지지부(23A)를 지점으로하여 화살표 F방향으로 시소(seesaw) 운동을 하고, 도 6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그 좌단의 가동 접점(26B)이 개별 단자(22)의 고정 접점부(22A)에 접촉되게 되어, 스위치 단자부(22B)와 단자부(23C) 사이가 도통(導通)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의 스위치는 스위치(21)의 저면부에 대해 평행한 탄성 암부(23B)가 공통 단자(23)와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공통 단자(23)를 케이스(21)에 미리 삽입·성형하는 것이 곤란하고, 케이스(21)의 홈(21B)에 눌러 넣거나 조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립 부품 개수, 조립 공정수가 많아지게 된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조립 부품 개수가 적고,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된 접촉 성능을 갖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치는 오목 형상의 유지부를 갖는 공통 단자 및 이것과 전기적으로 독립된 개별 단자를 저면부에 구비하며, 상면에 개구를 갖는 절연 재료제의 케이스와, 중앙에 직선 형상의 안내 구멍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덮는 커버와, 일단에 상기 개별 단자와 접속 및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마련한 직선 형상의 암부를 상면에 가짐과 동시에, 중앙 아래쪽에 상기 공통 단자의 오목 형상의 유지부에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도통 상태로 지지되는 지지부를 갖고서 상기 커버의 안내 구멍의 아래쪽에 배치된 탄성 재료제의 가동 접점판과, 이 가동 접점판의 암부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돌출부를 하면에 갖고서 상기 커버의 안내 구멍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이동체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공통 단자와 개별 단자를 케이스에 삽입·성형할 수 있게 되고, 스위치의 조립 부품 개수,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인 슬라이드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의 온(ON)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케이스의 저부(底部) 및 조작체의 중간부에서 절단한 주요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인 슬라이드 스위치의 케이스의 저부 및 조작체의 중간부에서 절단한 주요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인 푸시 스위치의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개별 단자
2A : 고정 접점부 2B : 단자부
3 : 공통 단자 3A : 평판부
3A1, 3A2 : 오목 형상의 유지부
3B : 단자부 4 : 커버
4A : 안내 구멍 5 : 조작체
5A1, 5A2 : 돌출부 5B : 조작 레버부
6 : 가동 접점판 6A1, 6A2 : 탄성 암부
6B1, 6B2 : 탄성 암부 6C1, 6C2 : 지지부
6D : 가동 접점 6E : 탄성 암부
6F : 선단부 7 : 가동 접점판
7A, 7C : 가동 접점 7B : 탄성 암부
8 : 케이스 8A, 8B : 고정 접점부
9 : 조작체 9A, 9B : 구동용 돌출부
10 : 코일 스프링 11A, 11B : 탄성 암부
12A, 12B : 공통 단자 13A, 13B : 개별 단자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동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동 스위치의 온(ON)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케이스(1)의 저부 및 조작체의 중간부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상면이 개구부로 된 절연 재료제의 박스형의 스위치 케이스다. 그 저면부에는, 고정 접점부(2A)와 단자부(2B)로 이루어진 개별 단자(2) 및 2개소의 U자형의 오목 형상 유지부(3A1, 3A2)를 갖는 평판부(3A)와 단자부(3B)로 이루어진 공통 단자(3)가 삽입·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케이스(1)의 개구부는 중앙에 직선 형상의 안내 구멍(4A)을 갖는 커버(4)로 덮여지고, 그 하면에는 두 개의 구동용 돌출부(5A1, 5A2)와 조작 레버부(5B)로 이루어진 조작체(5)가 배치되며, 조작 레버부(5B)가 안내 구멍(4A)을 삽입 통과하여 위쪽으로 돌출되고 있다.
또한, 조작체(5)의 아래쪽에는 도전·탄성 재료제의 가동 접점판(6)이 배치되고, 조작체(5) 하면의 두 개의 구동용 돌출부(5A1, 5A2) 하단에는, 상기 안내 구멍(4A)을 따라서 가동 접점판(6)의 두 개의 탄성 암부(6A1, 6A2)가 탄성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두 개의 탄성 암부(6A1, 6A2)의 우단부는 각각 그 외측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탄성 암부(6B1, 6B2)에 연결되고, 두 개의 탄성 암부(6B1, 6B2)의 타단부는 상기 안내 구멍(4A)의 중간 위치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꺾여진 지지부(6C1, 6C2)를 가지며, 이들 지지부는 상기 공통 단자(3)의 2개소의 오목 형상 유지부(3A1, 3A2)에 각각 끼워지되 시소 운동이 가능하게 유지된다.
한편, 두 개의 탄성 암부(6A1, 6A2)의 좌단부 및 이들 사이의 연결부는 반원 형상으로 포밍(forming) 가공되어 넓은 폭을 가진 가동 접점(6D)을 형성하고, 가동 접점(6D)의 중심으로부터는 두 개의 탄성 암부(6A1, 6A2)와 평행하게 탄성 암부(6E)가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 종류의 탄성 암부(6A1, 6A2), 탄성 암부(6B1, 6B2), 탄성암부(6E)는 각각 위쪽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고, 조작 레버부(5B)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체(5)의 구동용 돌출부(5A1, 5A2)를 밀어 올리듯이 작용하는 구성을 가진다.
다음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 즉 조작 레버부(5B)가 안내 구멍(4A)의 우단에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판(6)의 2개소의 지지부(6C1, 6C2) 및 탄성 암부(6E)의 선단부(6F)가 스위치 케이스(1)의 저면에 접촉하고, 두 개의 탄성 암부(6A1, 6A2) 및 중앙의 탄성 암부(6E)는 오른쪽이 내려가 있기 때문에, 조작체(5) 하면의 두 개의 구동용 돌출부(5A1, 5A2)는 가동 접점판(6)의 세 종류의 탄성 암부(6A1, 6A2), 탄성 암부(6B1, 6B2), 탄성 암부(6E)의 탄성력에 의해 오른쪽 위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고, 조작체(5)는 우단 위치에 안정하게 정지되며, 가동 접점(6D)은 고정 접점부(2A)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리고, 상술한 도 1의 상태에서 조작 레버부(5B)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조작체(5)의 두 개의 구동용 돌출부(5A1, 5A2)는 가동 접점판(6)의 두 개의 탄성 암부(6A1, 6A2)에 탄성 접촉되면서 왼쪽으로 움직이고, 중간의 지지부(6C1, 6C2)의 위치를 통과할 때 가동 접점판(6) 전체가 지지부(6C1, 6C2)를 지지점으로서 시소운동을 하여 왼쪽으로 회전하며, 탄성 암부(6E)의 선단부(6F)가 스위치 케이스(1)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좌단의 가동 접점(6D)이 고정 접점부(2A)에 접촉됨으로써, 단자부(2B)와 단자부(3B)의 사이가 도통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부(5B)가, 안내 구멍(4A)의 좌단에 도달한 도 2의 스위치가 온(ON) 상태일 때에는, 가동 접점판(6)의 2개소의 지지부(6C1, 6C2) 및 가동 접점(6D)이 스위치 케이스(1)의 저면에 접촉되고, 두 개의 탄성 암부(6A1, 6A2)는 왼쪽이 내려가 있기 때문에, 조작체(5) 하면의 두 개의 구동용 돌출부(5A1, 5A2)는 가동 접점판(6)의 두 종류의 탄성 암부(6A1, 6A2), 탄성 암부(6B1, 6B2)의 탄성력에 의해 왼쪽 위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므로, 조작체(5)는 좌단 위치에 안정하게 정지되고, 가동 접점(6D)은 안정하게 고정 접점부(2A)와 접촉된다.
또한, 조작체(5)의 구동용 돌출부(5A1, 5A2)가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 접점판(6)의 중간 지지부(6C1, 6C2) 위치를 통과하여, 가동 접점(6D)이 고정 접점부(2A)에 접촉한 위치로부터 좌단의 위치까지 움직이는 동안, 구동용 돌출부(5A1, 5A2)는 탄성 암부(6A1, 6A2)를 밀어 내리면서 움직이는 것에 의해, 가동 접점(6D)과 고정 접점부(2A)의 접촉부가 미소하게 움직이는 와이핑(wipping) 작용을 일으켜, 접촉부의 클리닝(cleaning)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작용은 도 2의 스위치 온(ON)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부(5B)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려는 경우에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움직여, 접촉부의 용착을 분리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의 실시예 2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실시예 1과 거의 같은 형상의 가동 접점판(7)의 가동 접점(7A)으로부터 연장된 탄성 암부(7B)의 우단부를 반원 형상으로 포밍 가공하여 가동 접점(7C)으로 하고, 스위치 케이스(8) 저면에는 가동 접점(7C)에 대응한 고정 접점부(8B)를 마련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조작 레버를 왼쪽으로 움직일 때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동 접점(7A)과 고정 접점부(8A)가 접촉되고, 오른쪽으로 움직일 때에는 가동 접점(7C)과 고정 접점부(8B)가 접촉되는 것에 의해, 1회로(回路) 2접점의 회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의 실시예 3으로서, 푸시 스위치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조작체(9)의 대향하는 두 면의 외측에 각각 구동용 돌출부(9A, 9B)를 마련해서, 코일 스프링(10)의 스프링 압력에 저항하여 조작체(9)를 누르는 것에 의해, 구동용 돌출부(9A, 9B)가 각각 별개의 가동 접점판의 탄성 암부(11A, 11B)에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각각의 공통 단자(12A, 12B)와 개별 단자(13A, 13B) 사이에서 스위치 전환을 행하는 것이고, 2회로의 스위치를 구성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에서는 2회로의 푸시 스위치일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은 슬라이드 스위치로도 좋은 것은 말 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예는, 어느 것도 조작체의 각 측면에 1조의 스위치 회로를 마련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어느 경우에도 2조 이상의 스위치 회로를 나란히 마련함으로써 다(多) 회로의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스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명백하듯이, 가동 접점판에 탄성부를 마련한 공통 단자를 개별 단자와 마찬가지의 간단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개별 단자와 공통 단자를 사전에 스위치 케이스에 삽입·성형할 수 있고, 조립 부품 개수 및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동 조립화도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는 조작체와 탄성 암부의 탄성 접촉부 등을 두 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 전체로서의 폭은 넓게 되지만, 종래 구성의 공통 단자의 탄성 암부가 직선 형상의 탄성부이고, 탄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던 것을, 본 발명의 가동 접점판의 탄성부는 스프링의 길이를 확보하는 일이 가능하도록 만곡 구성됨으로써, 스위치 전체의 길이가 짧아져, 결과적으로 스위치의 크기는 거의 종래와 같은 정도의 면적으로 구성 가능하며, 더욱이, 접점부의 와이핑(wipping) 기능이 종래보다 크게 작용함으로써 접촉 안정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7)

  1. 오목 형상의 유지부를 마련한 공통 단자 및 상기 공통 단자와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는 개별 단자를 저면에 갖고 있으며, 개구를 상면에 갖는 절연 재료제의 케이스와,
    직선 형상의 안내 구멍을 가지며, 상기 개구를 덮는 커버와,
    상기 개별 단자에 접촉 가능한 가동 접점을 일단(一端)에 갖는 직선 형상의 제 1 암부, 상기 제 1 암부의 타단(他端) 쪽으로부터 연재(延在)하여, 이 연재한 선단(先端)을 지지부로 하고, 또한 상기 제 1 암부가 시소 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1 암부의 중앙 아래쪽에서 상기 오목 형상의 유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공통 단자와 도통하는 제 2 암부 및 상기 제 1 암부의 가동 접점으로부터 상기 제 1 암부의 타단 쪽 방향을 향하여 연재한 제 3 암부로 이루어진 탄성 재료제의 가동 접점판과,
    상기 제 1 암부의 표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 구멍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조작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단자 및 상기 개별 단자가 상기 케이스에 삽입·성형에 의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판은 일단이 상기 가동 접점이며, 타단이 상기 지지부인 V자 형상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판의 양단에 각각 가동 접점을 마련하고, 이들 가동 접점에 각각 대응하는 상호 전기적으로 독립된 개별 단자를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서로 대향하는 두 면의 각 면에 적어도 1개의 돌출부를 마련하고, 이들 돌출부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가동 접점판과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개별 단자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서로 대향하는 두 면의 각 면에 적어도 1개의 돌출부를 마련하고, 이들 돌출부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가동 접점판과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개별 단자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서로 대향하는 두 면의 각 면에 적어도 1개의 돌출부를 마련하고, 이들 돌출부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가동 접점판과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개별 단자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19960029734A 1995-08-03 1996-07-23 스위치 KR100444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98524 1995-08-03
JP19852495A JP3399170B2 (ja) 1995-08-03 1995-08-03 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844A KR970012844A (ko) 1997-03-29
KR100444097B1 true KR100444097B1 (ko) 2004-11-09

Family

ID=1639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734A KR100444097B1 (ko) 1995-08-03 1996-07-23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99170B2 (ko)
KR (1) KR100444097B1 (ko)
CN (1) CN1085882C (ko)
TW (1) TW4346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81B1 (ko) * 2002-10-30 2011-07-04 빅토리녹스 악티엔게젤샤푸트 포켓 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86B1 (ko) * 2006-11-28 2007-12-11 덕일산업 주식회사 스위치
CN104425167B (zh) * 2013-08-19 2016-07-06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一种开关装置和一种不间断电源
JP7327033B2 (ja) 2019-09-19 2023-08-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操作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0225A (ja) * 1986-08-05 1988-0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ツ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0225A (ja) * 1986-08-05 1988-0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ツ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81B1 (ko) * 2002-10-30 2011-07-04 빅토리녹스 악티엔게젤샤푸트 포켓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613A (zh) 1997-04-02
CN1085882C (zh) 2002-05-29
TW434613B (en) 2001-05-16
JP3399170B2 (ja) 2003-04-21
KR970012844A (ko) 1997-03-29
JPH0945185A (ja) 199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2608A (en) Miniature switch with substantial wiping action
KR100212107B1 (ko) 다양한 전기장치 제어용 레버 스위치
US4467160A (en) Low profile switch
KR890004818Y1 (ko) 개폐기의 가동 접촉자 유지구조
CA1184225A (en) Side actuated miniature dip switch
US4740661A (en) Seesaw switch
KR100444097B1 (ko) 스위치
US4789764A (en) Pushbutton switch with resilient extensible pivotable contact element
US4924047A (en) Seesaw switch
US5566819A (en) Push button switch with over center bridge
KR890006356Y1 (ko) 스위치 장치
US4874911A (en) Electrical reversing switch
KR900000762Y1 (ko) 스위치 장치
JPH11126542A (ja) 電子機器のシーソーボタン装置
EP0081929B1 (en) Sealed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 made therefrom
US4412108A (en) Electrical switch and actuating mechanism therefor
US4398069A (en) Sealed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actuating mechanism therefor
KR920003203B1 (ko) 푸시버튼스위치
US3200227A (en) Carrier frame for movable contact and combination thereof with snap acting switch
US4151383A (en) Leaf-spring switch
JP3802298B2 (ja) スイッチ装置
JPH1136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5099095A (en) Lever switch device
KR0152293B1 (ko) 푸시버튼 스위치
US4426559A (en) Push button switch having two resilient contacts operated at different ti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