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332B1 - 시스템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버스 리퀘스터 - Google Patents

시스템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버스 리퀘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332B1
KR940003332B1 KR1019880006412A KR880006412A KR940003332B1 KR 940003332 B1 KR940003332 B1 KR 940003332B1 KR 1019880006412 A KR1019880006412 A KR 1019880006412A KR 880006412 A KR880006412 A KR 880006412A KR 940003332 B1 KR940003332 B1 KR 940003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ignal
requester
stat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618A (ko
Inventor
인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8000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332B1/ko
Publication of KR89001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스템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버스 리퀘스터
제1도는 종래 버스리퀘스터의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리퀘스터의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리퀘스터를 이용한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스매스터 I1: 인버터
20 : 버스리퀘스터 30 : 카운터
40 : 버스
본 발명은 시스템 버스의 사용조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버스의 사용을 원하는 버스매스터(Bus Mester : cpu or DMA controller)에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버스리퀘스터(Bus Requester)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제1도의 버스리퀘스터의 버스 인터페이스 부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버스리퀘스터는 일반적으로 기능상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중 하나는 ROR(Release On Request)방식으로 이 방식의 버스리퀘스터는 자신이 버스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BBSY”(Bus Busy)를 드라이브하고, 버스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다른 버스매스터가 버스를 원하지 않으면 "BBSY"를 계속적으로 드라이브하여 다음에 자신이 버스를 원하면 곧바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방식은 RWD(Releose When Done)방식으로 이 방식의 버스리퀘스터는 자신이 버스를 사용할 때 "BBSY"를 드라이브하고, 버스 사용이 끝나면 무조건 "BBSY"를 인액티브(Inactive)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기존의 기술에 있어서, ROR방식의 경우 다른 매스터가 버스를 요구하기만 하면 버스를 내어 주므로써 버스 중재시간(Bus Arbitration Time)이 많이 소요되게 되었으며, RWD방식의 경우에는 버스의 사용량이 한정될 뿐만 아니라 사용 한정시간이 되면 무조건 버스를 양도하여 주므로써 곧바로 자신이 버스를 원하는 경우 버스 중재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스템의 사용을 원하는 매스터에 버스 사용량을 조절하도록 하여 최소의 버스 중재시간이 소요되도록 한 것으로, 이하 그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리퀘스터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리퀘스터를 이용한 버스 인터페이스 부분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의 구성을 살펴보면, 버스매스터(10)의 일단은 어드레스/데이타/콘트롤 신호 라인에 의해 버스(40)와 연결되며 그의 타일단은 버스 원하는 신호(WB*)라인에 의해 카운터(30)의 클럭펄스단
Figure kpo00001
과 버스리퀘스터(20)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버스리퀘스터(20)는 일측으로 타이머 출력선택 스위치(S1, S2)에 의해 카운터(30)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타일측으로는 그의 출력신호인 BR*(버스요구신호), BGOUT*(데이지체인 신호), BBSY*(버스사용중 신호)를 버스(40)에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한편 버스(40)에서는 BG*(버스양도신호), BBSY*(버스사용중 신호), BRx *(다른 버스매스터의 버스요구신호)를 버스리퀘스터(20)에 인가하도록 하며 상기 신호중 BBSY*신호는 인버터(I1)를 거쳐 카운터 (30)의 단자(MR)에 인가하도록 한 구성으로, 상기 회로 구성의 동작상태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의 버스리퀘스터 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Sψ 상태에서 WB*신호가 있으면 S1상태로 이동하여 BR*신호를 드라이브하고, 중재자(Arbiter)로 부터 BG*신호가 있으면 S2상태로 이동하여 BBSY*신호를 드라이브하고 버스매스터가 버스를 사용한다. 상기 버스매스터에 설정된 최소 전달시간(TIMEOUT1)이 되면 S3상태로 이동하여 계속적으로 BBSY*신호를 드라이브한다. 이 S3상태에서 최대 전달시간(TIMEOUT2)이 되지 않고 다른 매스터가 BRx *신호를 드라이브하지 않았다면 BBSY*신호를 계속적으로드라이브하고, 최대 전달시간(TIMEOUT2)에 도달하고 WB*신호가 인액티브하거나 BRx*신호가 있고 WB*신호가 인액티브되었으면 Sψ 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 Sψ 상태에서 WB*신호가 없을때 BC*신호가 들어오면 이 BG*신호는 자기가 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BGOUT*신호를 드라이브하여 다음에 있는 다른 매스터에 BC*신호로 들어가도록 통과시켜 준다. 여기에서 S2의 상태에서 최소 전달시간(TIMEOUT1)을 보장하여 2시간 동안 버스를 빼앗기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이 지나면 버스를 포기하되(RWD), S3의 상태에서 다른 매스터의 BRx *신호가 있으면 버스를 포기하고(ROR), 또는 최대 전달시간(TIMEOUT2)에 도달하면 버스를 포기하도록 되어 있다.
(RWD)제3도의 회로에서 WB*신호는 버스매스터(10)의 하나의 버스 사이클로 버스 전달 사이클수를 카운트하는데 사용하며, 또한 BBSY*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터 (30)의 시작점을 제공한다.
상기 최소 전달시간(TIMEOUT1)과 최대 전달시간(TIMEOUT2)은 매스터(10)가 전달한 버스 사이클수 혹은 데이타 사이즈를 설정하는 값으로 이것들은 버스매스터(10)의 특성에 따라 설계자가 결정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리퀘스터는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최소한의 전달 블록 사이즈가 결정되어있고 이것을 기본 단위로 하여 더욱 큰 블록을 전달할때 버스 중재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어 시스템의 효율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버스매스터(10)와 버스리퀘스터(20) 및 버스(4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Sψ 상태에서 WB*신호가 있으면 S1상태로 이동하며 BR*신호를 드라이브하고 중재자로 부터 BG*신호가 있으면 S2상태로 이동한 후 BBSY*신호를 드라이브하여 버스매스터가 버스를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버스매스터에 설정된 최소 전달시간(TIMEOUT1)이 되면 S3의 상태로 이동하여 계속적으로 BBSY*신호를 드라이브하고, 이 S3 상태에서 최대 전달시간(TIMEOUT2)이 되지 않고 다른 매스터가 BRx *신호를 드라이브하지 않았으면 BBSY*신호를 계속 드라이브하고 최대 전달시간에 도달하고 WB*신호가 인액티브되었거나 BRx *신호가 있고 WB*신호나 인액티브되었으면 Sψ 상태로 되돌아가고, 이 Sψ 상태에서 WB*신호가 없을때 BG*신호가 들어오면 이 BG*신호는 BGOUT*신호를 드라이브한 후, 다음의 다른 매스터에 BG*신호로 들어가게 동작하여 최소 전달시간과 최대 전달시간을 설정하여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버스리퀘스터.
KR1019880006412A 1988-05-31 1988-05-31 시스템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버스 리퀘스터 KR940003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412A KR940003332B1 (ko) 1988-05-31 1988-05-31 시스템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버스 리퀘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412A KR940003332B1 (ko) 1988-05-31 1988-05-31 시스템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버스 리퀘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618A KR890017618A (ko) 1989-12-16
KR940003332B1 true KR940003332B1 (ko) 1994-04-20

Family

ID=1927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412A KR940003332B1 (ko) 1988-05-31 1988-05-31 시스템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버스 리퀘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3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618A (ko) 198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3998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55510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rupt/SMI# ordering
JPH0810445B2 (ja) 動的バス調停方法及び装置
RU2067314C1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запросов на доступ к шине
US5937167A (en) Communication controller for generating four timing signals each of selectable frequency for transferring data across a network
KR940003332B1 (ko) 시스템 버스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버스 리퀘스터
WO2019048816A1 (en) ISOLATION BRIDGE OF RESET
JPH04369066A (ja) データの時分割転送装置
JPS6339072A (ja) デ−タ処理システム
JP3568592B2 (ja) 周辺バスクロック信号を制御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H0823859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S6146552A (ja) 情報処理装置
JPS60160461A (ja) デ−タ転送制御回路
JPH0616304B2 (ja) 低消費電力時におけるcpuの機能代替方法
KR940008479B1 (ko) Bus 중재방법
KR960008562Y1 (ko) 공유 데이타 액세스 중재장치
JPS6054065A (ja) 同期制御装置
JPS6267653A (ja) バス制御方式
JPS60201463A (ja) Dmaデ−タ転送方式
JPH02141858A (ja) Dmaコントローラ
JPS62120664A (ja) デイスク装置制御装置
JPS62120561A (ja) データ転送装置
JPS63296155A (ja) 周辺制御装置
JPH05113947A (ja) Dma制御方式
JP2001297053A (ja) Dmaリクエスト発行回路およびdmaリクエスト発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