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096Y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096Y1
KR940003096Y1 KR2019910025027U KR910025027U KR940003096Y1 KR 940003096 Y1 KR940003096 Y1 KR 940003096Y1 KR 2019910025027 U KR2019910025027 U KR 2019910025027U KR 910025027 U KR910025027 U KR 910025027U KR 940003096 Y1 KR940003096 Y1 KR 940003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outer cylinder
writing
bar
cam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450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930002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4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구
제1도는 본 고안 필기구의 제1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2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캠본체
3 : 캠바아 4 : 회전캠
5 : 스프링 6 : (보울펜용)필기부재
6A : 펜끝 7 : 선단캡
8 : 앞쪽외향플랜지 9 : 뒷쪽내향플랜지
10 : 받침부 11 : (측방향)슬라이드용구멍
12 : 조작부 13 : 링부재
14 : 걸림부 15 : 조작편
16 : 원형로드 17 : 절결부
18 : 관통구멍
본 고안은 회전캠기구를 외통의 앞쪽부위내에 수납시킨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울펜은 예컨대, 외통내에 보울펜용 필기부재가 끼워지면서, 이 필기부재의 받침부와 외통의 선단캡에 형성된 계단부 사이에 끌어들임용 스프링이 설치되고, 외통의 뒷쪽부위내에 회전캠과 캠바아 및 캠본체로 이루어진 회전캠기구가 설치되어, 외통의 뒷끝으로 부터 돌출되는 캠바아를 녹크함으로써 보울펜용 필기부재의 펜끝이 출몰시켜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보울펜은 캠바아를 끌어들임용 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녹크하면, 이 캠바아에 맞물리는 회전캠이 소정각도로 회전해서 캠본체에 걸어맞춰져, 외통의 선단캡으로부터 보올펜용 필기부재의 펜끝이 돌출시켜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필기를 할 수 있게 되고, 이어 캠바아를 다시 녹크하면, 회전캠과 캠본체의 걸림이 해제되어, 회전캠과 캠바아 및 보울펜용 필기부재가 끌어들임용 스프링의 틴발력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해서 선단캡으로부터 펜끝이 끌어들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예애 있어서는, 축방향길이가 길어 짧고 콤팩트한 소형의 필기구가 만들어질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기색이 다른 필기구를 외통의 양끝부위에 조립해서 이루어지는 필기구를 만들수가 없게 되는 것이 문제로 되고, 또 조립과 분해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도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 필기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통의 앞쪽부위에 캠본체(2)와, 이 캠본체(2)에 끼워지는 캠바아(3), 이 캠바아(3)에 맞물려지는 회전캠(4)이 수납되면서, 스프링(5)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지는 필기부재(6)가 상기 회전캠(4) 및 캠바아(3)에 관통되어 끼워지고 외통에는 선단캡이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은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필기구의 제1실시예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면중 참조부호 1은 외통이고, 2는 이 외통(1)의 앞쪽부위내에 수납된 캠본체, 3은 이 캠본체 (2)에 끼워진 캠바아, 4는 이 캠바아(3)에 맞물려지는 회전캠바아, 여기서 상기 캠본체( 2)와 캠바아(3) 및 회전캠(4)은 공지의 회전캠기구를 이루게 된다.
또 외통(1)에는 선단캡(7)이 나사결합이나 억지끼움 등으로 부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으로 쉽게 착탈될수 있도록 부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캠본체(2)에는 앞쪽에 외향플랜지(8)가 갖춰져 이 앞쪽외향플랜지(8)가 외통(1)과 선단캡(7)사이에 끼워물려지는 한편, 캠본체(2)의 뒷쪽에는 내향플렌지(9)가 갖춰져 이 뒷쪽내향플랜지(9)에 캠바아(3)가 뒷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보울펜용 필기부재(6)가 회전캠(4) 및 캠바아(3)의 관통구멍(18)에 끼워지고, 선단캡(7)과 필기부재(6)의 받침부(10) 또는 회전캠(4)사이에 스프링(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1)의 뒷부위로부터 돌출하는 캠바아(3)에는 조작부(12)가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서, 캠바아(3)를 직접 또는 조작부(12)를 매개로 스프링(5)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녹크하면, 이 캠바아(3)에 맞물려지는 회전캠(4)이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캠본체(2)에 걸어맞취져, 선단캡(7)으로부터 보울펜용 필기부재(6)의 펜끝(6A)이 돌출시켜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필기를 할수 있게 된다.
이어 캠바아(3)를 다시 녹크하면, 회전캠(4)과 캠본체(2)의 걸림이 해제되어, 회전캠(4)과 캠바아(3) 및 보울펜용 필기부재(6)가 스프링(5)의 탄발력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해서, 선단캡(7)으로부터 펜끝(6A)이 끌어들여지게 된다.
또 회전캠(4)과 캠바아(3)가 수용된 캠본체(2)에 스프링(5)이 개재되어 선단캡(7)이 외통(1)에 부착시켜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축방향길이가 짧아져 콤팩트한 소형의 필기구가 구성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통(1)에서 선단캡(7)을 떼어내기만 하면 캠본체(2)와 캠바아(3), 회전캠(4), 스프링(5) 및 보울펜용 필기부재(6)을 쉽게 분해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쉽게 조립할 수도 있게 된다.
제2도는 본 고안 필기구의 제2실시예 구성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외통(1)에 축방향슬라이드용 구멍(11)이 형성되고, 조작부(12)의 조작편(15)이 미끄럼왕복이동하는 외통(1)부분에는 절결부(17)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조작편 (15)에 원형로드(16)에 의해 슬라이드용구멍(11)을 통해 연결시켜진 링부재(13)가 캠바아(3)의 걸림부(14)에 끼워져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제2실시예에서 조작편(15)을 앞쪽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밀면, 이 조작편(15)에 원형로드(16)에 의해 축방향슬라이드용 구멍(11)을 통해 연결시켜진 링부재(13)가 스프링(5)에 대항해서 캠바아(3)의 걸림부(14)를 밀게 되어, 캠바아(3)에 맞물려지는 회전캠(4)이 소정각도로 회전해서 캠본체(2)에 걸어맞춰져, 선단캡(7)으로부터 보울펜용 필기부재(6)의 펜끝(6A)이 돌출시켜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필기를 할수 있게 된다.
이어 조작편(15)를 다시 앞쪽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밀면, 이 조작편(15)에 원형로드(16)에 의해 축방향슬라이드용 구멍(11)을 통해 연결시켜진 링부재(13)가 스프링(15)에 대항해서 캠바아(3)의 걸림부(14)를 밀게되고, 그에따라 회전캠(4)과 캠본체(2)의 걸림이 해제되어, 회전캠(4)과 캠바아(3) 및 보울펜용 필기부재(6)가 스프링(5)의 탄발력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해서, 선단캡(7)으로부터 펜끝(6A)이 끌어들여지게 된다. 또 필기색이 다른 보울펜용 필기부재, 또는 샤아프펜슬용과 보울펜용 필기부재를 각각 외통(1)의 양끝에다 조립한 필기구도 극히 용이하게 제공될수 있게 된다.
또 회전캠(4)과 캠바아(3)가 수납된 캠본체(2)에 스프링(5)이 개재되어 선단캡이 외통(1)에 부착시켜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축방향길이가 짧아져 콤팩트하고 소형인 필기구를 만들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제2실시예에서, 외통(1)의 앞쪽부위내에 보울펜용 필기부재(6)와 스프링(5) 및 회전 캠기구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통(1)의 앞쪽부위내에다 캠본체(2)를 끼우고 나서 조작부(12)의 링부재(13)를 축방향슬라이드용 구멍(1 1)으로 끼워넣어 조작편(15)을 대략 90°만큼 회전시키면, 조작편(15)이 절결부(17)내에 끼워짐과 더불어 링부재(13)가 횡단면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캠바아(3)를 앞쪽에서부터 넣어 캠바아(3)의 뒷부위가 링부재(13)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회전캠(4)을 넣고나서 보울펜용 필기부재(6)를 회전캠(4) 및 캠바아(3)의 관통구멍(18)에다 끼우고, 이어 이 필기부재(6)의 펜끝(6A)으로부터 스프링( 5)을 끼우고나서 선단캡(7)을 외통(1)에다 나사결합으로 장착시키게 되면 조립이 끝나게 된다. 한편 또 조립되어 있는 부품을 외통(1)의 앞쪽부위로부터 분해해서 뽑아낼려면 상기와는 반대의 순서를 거쳐 분해해서 뽑아낼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편 (15) 이 절결부(17)내에 끼워넣어져 있기 때문에, 조작시에 조작편(15)이 흔들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필기색이 다른 보울펜용 필기부재, 또는 샤아프펜슬용과 보울펜용 필기부재가 각각 외통(1)의 양끝부 위에 조립된 필기구가 쉽게 구성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통(1)의 앞쪽부위내에 캠본체(2)와 이 캠본체(2)에 끼워지는 캠바아(3) 및 이 캠바아(3)에 맞물려지는 회전캠(4)이 수납되면서, 스프링(5)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붙어지는 필기부재(6)가 상기 회전캠(4) 및 캠바아(3)에 관통해서 끼워지고, 외통(1)에는 선단캡(7)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축방향길이가 짧아져 콤팩트하고 소형인 필기구가 구성될수 있게 된다.
또 필기색이 다른 보울펜용 필기부재, 또는 샤아프펜슬용과 보울펜용 필기부재가 외통(1)의 양끝부위에 각각 조립한 필기구가 극히 용이하게 만들어질수가 있을뿐만 아니라, 외통(1)에서 선단캡(7)을 떼어내기만 하면 캠본체(2)와 캠바아(3), 회전캠(4 ), 스프링(5) 및 필기부재(6)가 쉽게 분해하거나 조립될수 있는 필기구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캠본체(2)와 이 캠본체(2)에 끼워지고 캠바아(3) 및 이 캠바아(3)애 맞물려지는 회전캠(4)으로 이루어진 회전캠기구가 앞쪽 끝에 선단캡(7)이 부착되는 외통(1)의 앞쪽부위내에 수납설치되고서, 필기부재(6)가 스프링(5)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지는 상태로 되어 상기 회전캠기구의 회전캡(4) 및 캠바아(3)내를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외통(1)의 앞쪽부위에는 슬라이드용 구멍(11)이 형성되어, 이 슬라이드용 구멍(11)을 통해, 조작편(15)이 상기 캠바아(3)의 걸림부(14)에 끼워지는 캠부재(13)를 매개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조작부(12)가 왕복미끄럼이동 할수 있도록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본체(2)가 그 앞쪽끝과 뒷쪽끝에 각각 외향플렌지(8) 및 내향플렌지(9)가 형성되고서, 그중 앞쪽외향플렌지(8)가 외통(1)과 선단캡(7) 사이에 끼워물려지는 한편, 뒷쪽내향플렌지(9)에 의해 캠바아(3)가 뒷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저지시켜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2)의 조작편(15)과 상기 링부재(13)를 연결하는 부분이 원형로드(16)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2)의 조작편(15)이 미끄럼왕복이동하게 되는 외통부분이 절결부(17)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19910025027U 1991-07-03 1991-07-03 필기구 KR9400030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51240U JP2605612Y2 (ja) 1991-07-03 1991-07-03 筆記具
JP91-51240 1991-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450U KR930002450U (ko) 1993-02-25
KR940003096Y1 true KR940003096Y1 (ko) 1994-05-12

Family

ID=1288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027U KR940003096Y1 (ko) 1991-07-03 1991-07-03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05612Y2 (ko)
KR (1) KR9400030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8286B2 (ja) * 2001-08-28 2003-09-22 ゼブラ株式会社 出没式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6800A (ja) * 1984-02-22 1985-09-10 株式会社 寿 筆記具
JPH0632394U (ja) * 1992-10-06 1994-04-26 オカモト株式会社 コンテ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450U (ko) 1993-02-25
JPH055494U (ja) 1993-01-26
JP2605612Y2 (ja) 200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445B2 (en) Writing instrument
KR940003096Y1 (ko) 필기구
US20210094339A1 (en) Multi Pen Dry Erase Marker
KR920002311Y1 (ko) 필기구
KR0118610Y1 (ko) 필기구
US1508171A (en) Pencil
KR910004178Y1 (ko) 다용도 필기구
JP7479802B2 (ja) 筆記具
JPS6337271Y2 (ko)
JPH053351Y2 (ko)
JP2607818Y2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04230698A (ja) 出没式筆記具
KR890003848B1 (ko) 복합필기구
JP2558792Y2 (ja) 複式筆記具
JPH0247033Y2 (ko)
KR890001182B1 (ko) 복합 필기구
KR960001385Y1 (ko) 인감 부착 필기구
KR950001406Y1 (ko) 복합필기구
JPH0563888U (ja) ボールペン
KR890004782Y1 (ko) 복합 필기구
JP2558791Y2 (ja) 複式筆記具
JPH072232Y2 (ja) ノック式筆記具
KR930001520Y1 (ko) 필기구
KR930008092Y1 (ko) 필기구
JPH0476488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