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610Y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610Y1
KR0118610Y1 KR2019950022686U KR19950022686U KR0118610Y1 KR 0118610 Y1 KR0118610 Y1 KR 0118610Y1 KR 2019950022686 U KR2019950022686 U KR 2019950022686U KR 19950022686 U KR19950022686 U KR 19950022686U KR 0118610 Y1 KR0118610 Y1 KR 0118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rear end
pen
cylindrical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646U (ko
Inventor
슈헤이 가게야마
오사무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수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수한양행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ublication of KR9600366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6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Abstract

본 고안은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조립도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외통(1)과 이 외통(1)내에 수납되어 필심을 전진시키는 필심등의 송출기구(5) 및 이 송출기구(5)와 축방향으로 연동해서 이동 할 수 있도록 된 후단녹크부재(13)를 갖추어 구성되고서, 후단녹크부재(13)가, 필심등의 송출기구(5)의 뒷끝부위가 삽입되는 중심구멍을 가짐과 더불어 외통(1)의 뒷끝으로부터 그 뒷부위가 돌출하도록 된 원통형상부(14), 외통(1)의 외부에서 외통(1)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은 클립부(15)및, 외통(1)의 뒷부위측면에 형성된 축방향구멍(1c)을 통해 상기 원통형상부(14)와 클립부(15)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6)가 일체로 이루어진 1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필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이 샤아프펜슬에 적용된 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후단녹크부재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외통후단부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보올펜에 적용된 예의 종단면도로서, 일부 내부구조는 정면도로 도시된 것,
제5도는 제4도의 분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1c : 축방향구멍
5 : 필심송출기구 6 : 필심케이스
13 : 후단녹크부재 14 : 원통형상부
14a : 잘록부 14b : 받침면
15 : 클립부 15a : 돌출부
16 : 연결부 31 : 외통
35 : 필기부재송출기구 37 : 캠바아
43 : 후단녹크부재 45 : 클립부
46 : 연결부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기구로서 샤아프펜슬을 예로 들면, 일반적으로 외통내에 필심 송출기구가 수납되고서,이 필심 송출기구의 필심케이스가 외통내의 뒷쪽까지 연장되고, 이 필심케이스의 뒷끝에는 지우개고무받침이 끼워지면서 이 지우개고무받침내에 지우개고무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클립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클립을 외통의 바깥쪽에서 압입하거나, 또는 클립을 지지하는 고정부품을 구비시키고서 외통과 이 고정부품사이에 클립의 한쪽끝에 형성된 고리형상부분을 끼워지게 해서 외통에다 이 고정부품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클립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보올펜의 경우에도 외통내에 필기부재와 스프링 및 필심부재송출기구가 수납되고서, 필기부재송출기구를 구성하는 캠바아의 뒷끝에 캡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클립에 관해서는 샤아프펜슬에서와 마찬가지로 외통에 고정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에서는, 클립이나 후단녹크를 하기 위한 부품이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고, 또 클립을 고정시키는 부품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는 것이 문제로 되고 있다. 그리고 클립을 고정시키는데 품이 많이 들게 되고, 그 결과 제조비용이 비싸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값싸게 제조할 수가 있고, 조립도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통과 이 외통내에 수납되어 필기매체를 전진시키는 송출기구 및 이 송출기구와 축방향으로 연동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후단녹크부재가 설치되고서, 이 후단녹크부재가, 송출기구의 뒷끝이 삽입되는 중심구멍을 갖춤과 더불어 외통의 뒷끝으로부터 그 뒷부위로 돌출하는 원통형상부와, 외통의 외부에서 외통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은 클립부 및, 외통의 뒷부위 측면에 형성된 축방향구멍을 통해 상기 원통형상부와 클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되어 1개의 부품을 이루도록 된 특징을 갖는다.
또 본 고안이 샤아프펜슬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필심송출기구의 필심케이스를 원통형상부의 중심구멍에도 삽입하게 되는 바, 이 경우 상기 원통형상부의 내부에는 잘록부가 형성되고서, 이 잘록부의 전면이 필심케이스의 뒷끝을 받쳐주는 받침면을 이루고, 잘록부의 후면은 필심을 삽입하기 쉽도록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원통형상부의 뒷부위는 지우개고무가 삽입되는 지우개고무받침부가 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후단녹크부재가 원통형상부와 클립부 및 연결부가 일체로 된 부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적어도 되고, 또 조립할 때 연결부를 외통의 뒷부위 측면에 형성된 축방향구멍을 통해 삽입함과 더불어 원통형상부의 중심구멍에다 필심송출기구의 뒷끝을 삽입하는 것으로 간단히 조립이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이 샤아프펜슬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필심송출기구의 필심 케이스를 원통형상부의 중심구멍에다 삽입하여도 좋은데, 이 경우 원통형상부에는 잘록부가 형성되면서 이 잘록부의 전면이 필심케이스의 뒷끝을 받쳐주는 받침면으로 되어 있으면, 후단녹크부재를 앞쪽으로 녹크했을 때 확실하게 받침면이 필심케이스를 전진시키게 된다. 또 필심을 보충할 때에는 후단녹크부재의 뒷쪽으로부터 필심을 삽입하게 되는데, 그때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필심이 원통형상부를 지나기 쉽고 또 부러지지도 않게 됨으로써 확실하게 삽입될 수가 있게 된다.
또 원통형상부의 뒷부위가 지우개고무받침부를 겸하게 되도록 하면 부품 수가 더욱 더 적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이 적용될 필기구가 보올펜이나 싸인펜 또는 마아킹펜인 경우에는 송출기구의 캠바아가 원통형상부의 중심구멍에 삽입되도록 하면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샤아프펜슬에 적용된 예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면중 참조부호1은 외통이고, 이 외통(1)내에는 그 앞끝에 앞쪽슬라이더(4)가 출몰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필심송출기구(5)가 수납되어 있다. 이 필심송출기구(5)는 공지의 것이 사용되고 있는 바, 즉 필심케이스(6)와 이 필심케이스(6)의 앞쪽에 고정된 척(8), 이 척(8)의 바깥쪽에 끼워진 척링(9), 이 척링(9)의 뒷끝에 닿게 되는 척링받침슬리이브(10) 및 이 척링받침슬리이브(10)와 필심케이스(6)사이에 설치된 척스프링(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척링받침슬리이브(10)의 앞끝이 외통(1)의 앞쪽계단부(1a)에 닿도록 되어 있는 한편, 척링받침슬리이브(10)의 뒷끝에는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단면 3각형상의 돌출부(10a,10a)가 180˚의 간격으로 2개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들 돌출부(10a, 10a)는 외통(1)에 대응해서 형성된 슬롯(1b, 1b)내로 들어가 척링받침슬리이브(10)가 외통(1)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척링받침슬리이브(10)의 돌출부(10a, 10a)가 슬롯(1b, 1b)에 쉽게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외통(1)의 내면에는 뒷쪽으로부터 슬롯(1b, 1b)에 걸쳐 앞쪽으로 감에 따라 폭이 좁혀지도록 된 안내홈이 형성되어도 좋다.
외통(1)의 뒷부위에는 후단녹크부재(13)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후단녹크부재(13)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부(14)와 클립부(15)및 이들 원통형상부(14)와 클립부(15)를 연결하는 연결부(16)가 일체로 구성된 1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상기 관형상부(14)의 중심구멍에는 필심케이스(6)의 뒷끝에 압입되게 되는 바, 그 때문에 압입이 쉬워지도록 원통형상부(14)의 앞끝에 슬릿(14e)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관형상부(14)의 내부에는 잘록부(14a)가 형성되고서 이 잘록부(14a)이 앞쪽면이 압입된 필심케이스(6)의 뒷끝에 닿을 수 있는 받침면(14b)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상부(14)의 잘록부(14a)의 뒷면은 테이퍼형상면(14c)을 이루고 있어서 필심을 필심케이스(6) 로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깔대기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상부(14)의 뒷부위는 외통(1)의 뒷끝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우개 고무받침부(14d)로 되고서, 이 지우개고무받침부(14d)의 중심구멍에 쟈켓이 부착된 지우개고무(18)가 탈착될 수 있도륵 삽입됨과 더불어, 잘록부(14a) 를 통해 원통형상부(14)가 앞쪽부위 중심구멍과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지우개고무받침부(144)에는 다시 캡(19)이 장착되게 되나 이 캡(19)을 생략될 수도 있다.
클립부(15)는 외통(1) 바깥에 외통(1)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어있는데, 연결부(16)가 외통(1)의 뒷부위측면에 형성된 축방향구멍(1c)을 통해 외통(1) 외부의 클립부(15)와 외통(1) 내부의 원통형상부(14)를 일체로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클립부(15)의 앞끝에는 돌출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 돌출부(15a)와 대응하는 외통(1)의 외 측면 위치에 축방향으로 뻗은 길이방향홈이 형성되어, 이 길이방향홈 속에 돌출부(15a)가 들어가 돌출부(15a)의 이동방향이 축방향이 되게 안내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3도는 외통(1)의 축방향구멍(1c)에 대한 확대도면으로서, 축방향구멍(1c)이 외통(1)의 뒷끝까지 뻗고서 그 뒷끝이 뒷쪽을 향해 폭이 넓혀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20은 고무제의 그립으로서, 이는 필기자가 필기구를 잡는 촉감을 높히기 위한 것으로, 외통(1)의 앞쪽에 형성된 바깥쪽홈(14)내에 끼워져 들어가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그립(20)은 슬롯(1b, 1b)을 덮어씌우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샤아프펜슬의 조립은, 먼저 필심슬라이더(4)를 외통(1)의 뒷쪽으로부터 외통(1)내로 끼워놓고 나서 필심송출기구(5)를 역시 외통(1)의 뒷쪽에서 삽입하여 척링받침슬리이브(10)의 돌출부(10a, 10a)가 슬롯(1b, 1b)내로 끼워져 들어가도록 한다.
이어 후단녹크부재(13)를 외통(1)의 뒷쪽으로부터, 즉 연결부(16)를 축 방향구멍(1c)의 뒷끝으로부터 삽입하여, 원통형상부(14)의 앞부위내에 필심송출기구(5)의 필심케이스(6)가 압입되어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축방향구멍(1c)이 뒷끝이 벌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16) 가 클립부(15)에 가려져 직접 눈에 띄지는 않더라도 확실하게 축방향구멍(1c)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필심송출기구가 후단녹크부재(13)와 연통해서 외통(1)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고, 또 후단녹크부재(13)도 필심송출기구(5)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통(1)의 뒷쪽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지우개고무(18)를 지우개고무받침부(14d)에다 끼워넣고, 캡(19)을 지우개고무받침부(14d)에다 장착시키고, 그립(20)을 외통(1)의 외부 홈(14)에다 밀어넣으면 조립이 끝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조립된 샤아프펜슬의 후단녹크부재(13)를 뒷쪽에서 녹크조작하면, 후단녹크부재(13)의 원통형상부(14)에 압입된 필심송출기구(5)가 전진해서, 척(8)이 척스프링(11)에 대항해서 전진하여 척(8)이 벌어지게 하여, 공지의 필심송출기구와 마찬가지로 척(8)으로부터 필심(L)을 소정을 길이 만큼씩 조출시켜 앞쪽슬라이더(4)로부터 필심(L)을 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단녹크부재(13)의 녹크조작은 클립부(15)를 녹크하여도 좋음은 물론, 지우개고무받침부(14d)를 캡(19)채로 녹크하여도 된다.
녹크조작을 한 다음에는 척스프링(11)에 의해 필심케이스(6)와 함께 후단녹크부재(13)와 윗쪽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필심을 수납시킬 때에는, 후단녹크부재(13)의 지우개고무받침부(146)를 캡(19)과 함께 또는 클립부(15)를 녹크해서 필심케이스(6)를 전진시켜, 척(8)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서 필기부를 외통(1)내로 밀어넣게 되면 필심(L)이 외통(1)내로 끌어들여지게 된다.
필심(L)을 보충할때에는, 캡(19)과 지우개고무(18)를 지우개고무받침부(14d)로부터 벗겨내고 지우개고무받침부(144)의 뒷쪽으로 그 중심구멍에다 필심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필심은 지우개고무받침부(144)와 원통형상부(14)사이에 형성된 테이퍼형상면(14c)에 유도되어 원활하게 잘록부(14a)를 통과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후단녹크부재(13)가 원통형상부(14)와 클립부(15)및 연결부(16)가 일체로 이루어진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의 부품수가 줄어들어 값싸게 제조할 수 있고, 또 조립도 간단해질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을 보올펜에다 적용한 예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5도는 제4도의 분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1은 외통으로서, 이 외통(31)은 앞쪽외통(31a)과 뒷쪽외통(31b)로 이루어지고서, 앞쪽외통(31a)의 뒷끝과 뒷끝외통(31b)의 앞끝이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져 있다. 그리고 앞쪽외통(31a)내에는, 필기매체인 잉크를 수용하는 필기부재(32)와, 이 필기부재(32)를 뒷쪽으로 밀어 주는 스프링(33)및, 회전캠(36)과 캠바아(37)로 이루어진 공지의 필기부재 송출기구(35)가 수납되어 있다. 또 뒷쪽외통(31b)의 내면에는 캠본체(3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캠본체(38)는 깊이가 얕은홈(38a)과 깊은홈(38b)이 원주방향으로 3개씩 돌조(38c)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데, 얕은홈(38a)과 돌조(38c)의 앞끝은 톱날형상의 캠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캠바아(37)의 돌기(37a)가 상기 각 홈(38a,38b)내에 끼어들어가서 캠바아(37)의 돌기(37a)보다 더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캠(36)의 돌기(36a)가 깊은홈(38b)의 내부 또는 낮은홈(38a)의 캠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캠(36)은 필기부재(32)의 뒷끝을 받치는 받침면을 내부에 갖고 있어서, 회전캠(36)의 위치에 대응해서 필기부재(32)의 앞끝을 돌출시킨 상태와 퇴각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캠바아(37)의 내부에 형성된 환형상홈(37c)과 회전캠(36)의 뒷부위에 형성된 돌기(36b)는 회전캠(36)이 캠바아(37)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뒷쪽외통(31b)의 뒷부위에는 후단녹크부재(43)가 위치해 있는데, 이 후단녹크부재(43)는 원통형상부(44)와 클립부(45)및 이들 원통형상부(44)와 클립부(45)를 연결하는 연결부(46)가 일체로 이루어진 1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상부(44)의 중심구멍에는 캠바아(37)의 뒷끝부분이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상부(44)와 캠바아(37)의 결합이 확실해지도록 하기 위해 캠바아(37)의 뒷부위에는 환형상돌기(37b)가 형성되고 이 환형상돌기(37b)에 대응해서는 원통형상부(44)에 환형상홈(4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원통형상부(44)의 중심구멍에는 계단부 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계단부는 압입되는 캠바아(37)의 뒷끝에 닿게 되는 받침면 (44b)으로 되어 있다.
클립부(45)는 외통(31)의 외부에서 외통(31)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고서 연결부(46)가 외통(31)의 뒷부위 측면에 형성된 축방향구멍(31c)을 통해 외통(31)외부의 클립부(45)와 외통(31)내부의 원통형상부(44)를 일체로 연결시키고 있다. 클립부(45)의 앞끝에는 돌출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돌출부(45a)와 대응하는 외통(31)의 외측면에다 축방향으로 뻗은 길이방향홈을 형성시켜, 이 길이방향홈내의 돌출부(45a)가 끼어들어가 돌출부(45a)의 이동방향이 축방향이 되도록 안내할 수 있게 하면 좋다.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뒷쪽외통(31b)의 뒷부위에는 축방향구멍(31c)이 그 뒷끝까지 뻗고서 이 축방향구멍(31c)의 뒷끝이 뒷쪽을 향해 폭이 넓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적용된 보올펜을 조립할려면, 먼저 스프링(3)을 장착시킨 필기부재(32)를 앞쪽외통(31a)의 뒷쪽으로부터 삽입하고, 캠바아(37)와 그 중심구멍에 그 뒷부위가 삽입된 회전캠(36)을 뒷쪽외통(31b)의 앞끝으로부터 삽입하고서, 캠본체(38)의 각홈(38a,38b)에 캠바아(37)를 삽입한 후, 앞쪽외통(31a)과 뒷쪽외통(31b)을 나사결합으로 결합하고, 후단녹크부재(43)를 뒷쪽외통(31b)의 뒷쪽으로부터 즉 연결부(46)를 축방향구멍(31c)의 뒷끝으로부터 삽입하고 난 다음 원통형상부(44)의 앞부위내에 캠바아(37)를 압입시킨다. 이렇게 해서 필기부재송출기구(35)가 후단녹크부재(43)와 연통해서 외통(31)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게 되고, 또 후단녹크부재(43)도 필기부재송출기구(35)와 일체로 되기 때문에 외통(31)의 뒷쪽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보올펜의 후단녹크부재(43)를 뒷쪽에서 녹크하면, 후단녹크부재(4원통형상부(44)에 압입된 캠바아(37)가 전진해서 캠바아(37)및 필기부재(32)를 스프링(33)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밀어 회전캠(36)을 소정각도만큼 회전시켜, 회전캠(36)의 돌기(36a)가 낮은 홈(38a)의 캠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필기부재(32)의 앞끝이 앞쪽외통(31a)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단녹크부재(43)의 녹크조작을 클립부(45)로 녹크하여도 좋음은 물론 원통형상부(44)를 녹크하여도 좋다.
필기부재(32)를 수납시킬려면, 후단녹크부재(43)의 원통형상부(44) 또는 클립부(45)를 녹크해서 캠바아(37)를 전진시켜 회전캠(36) 및 필기부재(32)를 스프링(33)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밀면, 회전캠(36)이 소정각도로 회전해서 이 회전캠(36)의 돌기(36a)가 깊은홈(38b)내로 끼어들게 되면 필기부재(32)가 외통(31)내로 끌어들여지게 된다.
한편 필기부재(32)를 교체할려면, 앞쪽외통(31a)과 뒷쪽외통(31b)의 결합을 풀고서 교환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보올펜에서도 마찬가지로 후단녹크부재(43)가 원통형상부(44)와 클립부(45)및 연결부(46)가 일체로 이루어진 1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의 부품수가 줄어들어 값싸게 제조할 수가 있고 조립도 간단해질 수 있게 된다. 또 필기부재의 앞끝에 수납된 보올대신 섬유집속심이나 펠트를 사용하게 되면 보올펜 뿐만 아니라 싸인펜이나 마아킹펜에도 적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후단녹크부재가 원통형상부와 클립부 및 연결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1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적어도 되고, 또 조립에 있어 연결부를 외통의 뒷부위 측면에 형성시킨 축방향구멍을 통해 삽입하고 원통형상부의 중심구멍에다 필기부재송출기구의 뒷끝을 삽입하기만 하면 간단히 조립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을 샤아프펜슬에다 적용하는 경우, 원통형상부의 내부에 잘록부를 형성시키고 이 잘록부의 전면을 필심케이스의 뒷끝이 받쳐지는 받침면이 되도록 해놓으면, 후단녹크부재를 앞쪽으로 녹크할 때 이 받침면에 의해 필심케이스가 확실하게 전진할 수가 있게 된다. 또 필심의 보충은, 후단 녹크부재의 뒷끝으로부터 필심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테이퍼형상면이 형성되어 있게 되면 필심이 원통형상부를 거쳐 쉽게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필심이 부러지지도 않고 확실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통형상부의 뒷부위가 지우개고무받침부를 겸하도록 하면 부품수가 더욱더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샤아프펜슬 뿐만 아니라 보올펜이나 싸인펜, 마아킹펜 등에서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5)

  1. 외통(1,31)과 이 외통(1,31)내에 수납되어 필기매체를 전진시키는 필심등의 송출기구(5,35)및 이 송출기구(5,35)와 축방향으로 연동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후단녹크부재(13,43)를 갖추어 구성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후단녹크부재(13,43)가, 상기 송출기구(5,35)의 뒷끝부위가 삽입되는 중심구멍을 가짐과 더불어 외통(1,31)의 뒷끝으로부터 그 뒷부위가 돌출하도록 된 원통형상부(14,44)와, 외통(1)의 외부에서 외통(1)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은 클립부(15,45)및, 외통(1,31)의 뒷부위측면에 형성된 축방향구멍(1c,31c)을 통해 상기 원통형상부(14,44)와 상기 클립부(15,45)를 연결하는 연결부(16,46)가 일체로 이루어져 1개의 부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부(14)의 중심구멍에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기구(5)의 필심케이스(6)가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부(14)의 내부에 잘록부(14a)가 형성되고서, 이 잘록부(14a)의 전면이 필심케이스(6)의 뒷끝을 받치는 받침면(14b)으로 되는 한편, 잘록부(14a)의 후면은 필심이 쉽게 삽입되도록 테이퍼형상면(14c)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부(14)의 뒷부위가 지우개고무가 삽입되는 지우개고무받침부(14d)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부(44)의 중심구멍에 보올펜이나 싸인펜 또는 마아킹펜의 필기부재송출기구(35)의 캠바아(37)가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19950022686U 1995-05-11 1995-08-29 필기구 KR011861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12935 1995-05-11
JP11293595A JP3407472B2 (ja) 1995-05-11 1995-05-11 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646U KR960036646U (ko) 1996-12-16
KR0118610Y1 true KR0118610Y1 (ko) 1998-07-15

Family

ID=1459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686U KR0118610Y1 (ko) 1995-05-11 1995-08-29 필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07472B2 (ko)
KR (1) KR0118610Y1 (ko)
CN (1) CN2261936Y (ko)
TW (1) TW30984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8456B2 (en) * 2010-02-03 2015-08-18 The Pilot Ink Co., Ltd. Writing instrument
JP5933960B2 (ja) * 2011-11-21 2016-06-15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JP6364277B2 (ja) * 2014-08-20 2018-07-25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07472B2 (ja) 2003-05-19
KR960036646U (ko) 1996-12-16
TW309847U (en) 1997-07-01
CN2261936Y (zh) 1997-09-10
JPH08300877A (ja)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75077A (ja) 筆記具のグリップ
KR0118610Y1 (ko) 필기구
US6309129B1 (en) Writing utensils
US6682245B2 (en) Cap positioning construction
KR900009507Y1 (ko) 샤아프펜슬
JPH10217673A (ja) 筆記具のグリップ
KR950010819A (ko) 화장재료용 용기
EP0538503B1 (en) A rotary-cam ball-point pen
KR20020014642A (ko) 필기구의 캡고정구조
JP3729618B2 (ja) 筆記具の尾冠及び筆記具
JP2549135Y2 (ja) ノック式筆記具
JP3183485B2 (ja) 複式筆記具
JP2555470Y2 (ja) ボールペン
JPH0443352Y2 (ko)
JP2607096Y2 (ja) 印鑑付筆記具
KR920002311Y1 (ko) 필기구
KR920004690Y1 (ko) 복합필기구의 지우개 송출장치
KR960001385Y1 (ko) 인감 부착 필기구
KR200215741Y1 (ko) 필기구의 뒷마개 부착구조
JPH0247033Y2 (ko)
JP3638966B2 (ja) レフィール装置及びその筆記具
JPH1178376A (ja) 棒状物繰り出し装置
JP2513979Y2 (ja) 回転繰出式筆記具
JP2023070970A (ja) 筆記具
GB2322598A (en) A writing instrument with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