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385Y1 - 인감 부착 필기구 - Google Patents

인감 부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385Y1
KR960001385Y1 KR2019940003766U KR19940003766U KR960001385Y1 KR 960001385 Y1 KR960001385 Y1 KR 960001385Y1 KR 2019940003766 U KR2019940003766 U KR 2019940003766U KR 19940003766 U KR19940003766 U KR 19940003766U KR 960001385 Y1 KR960001385 Y1 KR 960001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lid
cylinder
striking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331U (ko
Inventor
나오끼 세끼구찌
다다시 고리끼
다까시 이소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엔삐쓰 가부시끼가이샤
가즈하라 에이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3013934U external-priority patent/JP259946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3031863U external-priority patent/JP2607084Y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엔삐쓰 가부시끼가이샤, 가즈하라 에이이찌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엔삐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22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3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13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st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00Fixing seals on documen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감 부착 필기구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감부착 필기구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부품들의 전개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감 부착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부품들의 전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 2 : 전방 관부
3 : 후방 관부 4 : 타격봉
5 : 캠부 6 : 관축
7 : 회전 캠부재 8 : 관형축
9 : 캠부 10 : 코일 스프링
11 : 홀더 12 : 슬라이더 파이프
13 : 중간 통체 14 : 전방 통체
15 : 타격 덮개 16 : 관체
17 : 소켓 18 : 스티커
19 : 왕관부 20 : 인감장치
21 : 장착 부재 22 : 인감본체
23 : 케이싱 24 : 필기요소
25 : 관 27 : 복원 스프링
28 : 간극 30 : 고정 파이프
31 : 후단부 32 : 계단부
33 : 끼움 파이프 34 : 부채꼴 플랜지
35 : 창부 36 : 슬릿
37 : 계단부 38 : 장식고리
41 : 후방 파이프부 42 : 전방 파이프부
43 : 창 44 : 창
45 : 계단부 46 : 결합부
본 고안은 전방부에는 필기구를 구비하고 후방부에는 인감을 구비하는 인감 부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격식 볼 포인트 펜은 캠 홈으로 이루어진 타격 기구, 타격 봉 그리고 회전 캠 부재를 포함하며, 기구부 내에서, 상기 회전 캠 부재는, 필기체의 선단이 전방 축통의 작은 선단 개구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신축 자재한 방식으로 상기 타격봉이 길이 방향에서 이동하면서 돌출 또는 신축된 위치에서 링크 내에 유지된다. 다른 종래의 필기구는 직접 또는 홀더를 사용하여 타격기구에 착탈자재하게 부착된 인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감은 상기 통체의 후단부로 돌출한다.
종래의 인감 부착 필기구는, 그러나, 몇가지 단점이 있었다. 특히, 사용사가 손으로 상기 필기구의 통체 후단부를 잡고 인감을 날인할때, 상기 타격기구 또한 뜻하지 않게 움직이므로써, 필기구의 설정이 변화되거나 또는 필기 선단부가 전방 통체의 선단 개구부에서 돌출하거나 또는 그 안으로 신축된다. 그외에도, 다른 단점은 날인을 행할때 인감이 축방향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날인을 시행하기가 난이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였으며, 본 고안의 일 개념은 다음을 포함하는 인감 부착 필기구에 존재한다.
통체 뚜껑부 및 전방 통체부로 이루어진 실린더형 중공 통체 ; 상기 통체 뚜껑부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 타격기구부 : 전방 통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타격 기구부에 연결된 필기요소 ; 인감면이 상기 통체 뚜껑부의 후단부 수준에서 적당히 돌출된 위치에서 상기 통체의 통체 뚜껑부에 고정된 인감수단 ; 그리고 타격 덮개의 타격 행위가, 필기요소의 필기 선단부가 전방 통체의 전단부에 배치된 기구로 돌출되거나 신축되는 위치에 상기 필기요소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필기 선단부로 부터 심이 해방되게 하도록, 상기 인간면을 덮기 위한 타격 덮개는 링크 내에서 인감기구에 접촉함 없이 타격기구에 부착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의 개념은 상기 통체 뚜껑의 내측 중공부에 고정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되며 ; 상기 고정파이프의 후단부에 인감수단이 부착되며 ; 타격 기구부에 계합되도록 슬라이더 파이프가 상기 고정 파이프 외측에 느슨하게 꺼워지며 ; 상기 타격 덮개가 상기 슬라이더 파이프의 후단에 착탈자재하게 부착되는 전술한 제1의 배치를 갖는 인감 부착 필기구로서 특징지워진다.
본 고안의 제3의 개념은 다음을 포함하는 인감 부착 필기구에 존재한다.
통체 뚜껑부와 통체 뚜껑의 전방부에 계합된 전방 통체부로 이루어진 실린더형 중공통체 ; 상기 통체 뚜껑부의 중공부 내의 전방부에 배치된 타격 기구부 ; 전방 통체내에 배치되며 타격 기구부의 전방부에 계합된 필기요소(볼포인트 펜 등과 같은) ; 상기 통체 뚜껑부의 내측 중공부 후방에 고정된 홀더 ; 인감면이 상기 통체 뚜껑부의 후단 수준에서 적절하게 돌출된 위치에서 홀더의 후단부에 고정된 인감수단 ; 축방향에서만 이동하도록 상기 타격기구에 연결되고 계합된 상기 홀더의 외측에 장착된 슬라이더 ; 그리고 상기 타격덮개의 축 방향 운동이 필기요소의 필기 선단부가 전방 통체의 선단부에 배치된 개구내로 돌출되거나 신축되는 위치에 필기요소가 고정되게 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부착된 인감면을 덮기 위한 타격 덮개.
본 고안에 따른 인감 부착 필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상기 인감은 상기 뚜껑의 후단부로 부터적절하게 돌출된 인감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타격덮개가 제거되었을 때, 날인시 인감면이 가압된다고해도 타격운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상기 타격덮개가 슬라이더 파이프에 부착되고, 상기 타격덮개의 후단부가, 슬라이더 파이프가 볼 포인트 펜이나 다른 필기요소의 선단부가 상기 전방 통체의 전방부에서 개구로 돌출하고 신축하도록 하는 것과 연계하여 상기 타격기구릍 타격한다.
상기 타격덮개는 상기 인감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슬라이더 파이프에 부착되므로써 상기 타격덮개를 제거할 때 부주의로 상기 인감이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착조로 하여 설명된다. 먼저, 제 1 도 및 2 도는 각각 본 고안의 인감 부착 멸기구의 단면도 및 부품의 전개 사시도이다.
먼저, 인감 부착 필기구의 타격기구에 대하여 논한다. 도면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의 통체는 뚜껑(1), 장식용고리(38) 그리고 전방 통체(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1)은 내측 중공부 내의 계단부(1c)로 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내측관을 갖는 후방 관부(3)와 계단부(1c)에 대하여 전방부에 나사산부(2b)를 구비한 전방 관부를 일체로포함하는 관체이다. 이러한 내측관은 후단부(31), 구멍 내측의 계단부(32) 그리고 캠 홈(2a)으로 형성된다. 상기뚜껑(1)은 그 측면상의 후방부에 클립(3c)을 구비하며, 그에 부착된 장식고리는 전방관부(2)의 후단부에서 상기계단부(1c)에 접촉한다. 홈(1a)은 상기 뚜껑(1)의 중간부에서 내측 주연부상에 형성된다.
타격봉(4)은 길이방향에서 후방 관부에 대하여 가동될 수 있도록 끼워지며, 상기 타격봉(4)의 전방부에 형성된 캠부(5)는 전술한 캠 홈(2a)에 의해 수납된다. 상기 캠부(5)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캠부(9)를 구비하는 회전 캠부재(7)는 상기 캠부(9) 또한 상기 캠 홈(2a)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타격기구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타격기구들 중의 하나와 유사하다. 상기 회전식 캠부재(7)에는 그 후방부에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에 폐쇄저부를 갖는 관형축(8)이 제공된다. 상기 관형 축(8)은 상기 타격봉(4) 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관형축(6)의 중앙 개공부 내에 끼워진다. 상기 회전 캠 부재(7)는 상기 타격봉(4)에 대하여 회전 자재하며, 적절한 범위내에서 축방향에시 타격봉(4)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계합에 있어서, 상기 관형 축(8) 및 타격봉(4)에는 외측 주연부 및 중앙 개공의 내측면상에서 상호 접촉하는 돌기가, 상기 두 요소가 돌기 대 돌기 계합(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호로 부터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일부를 이루는 상기 뚜껑(1)의 내측 중공부는 고정파이프(30)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격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 파이프(30)의 근접부의 특유한 구조의 실시예는 제 2 도의 분리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고정 파이프(30)는 두개의 절재 창부(35)를 한정하는 두개의 부채꼴 플랜지(34)와 상기 플랜지(34)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끼움 파이프 부(33)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 파이프부(33)는 후술하는 바대로 인감체에 부착될 때 인각체를 고정 계합하도록 방사상 내측 방향에서 적절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측면상의 적절한 위치에 슬릿(36)을 구비한다.
슬라이더파이프(12)는 그 중간부에 격벽(12b)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 전방에 격벽에서 절제된 두개의 창(44)이 제공된 전방 파이프부(42)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12b)의 후방에는, 어느정도 큰 직경의 후방 파이프부(41)가 계단부(45)에 의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후방 파이프부(41) 또한 두개의 창문(43) 절제부를 구비한다. 후술할 타격덮개(15)의 다른 계합부(12c)를 착탈자재하게 계합하기 위한 결합부(46)가 후방 파이프부(41)의 후단부에서 주연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창(43)은 상기 고정 파이프(30)의 플랜지(34)를 미끄러짐 안내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부품들과 함께, 상기 슬라이더 파이프(12)는 상기 계단부(45)와 상기 뚜껑(1) 내측의 계단부(lb) 사이에 배치 및 수축된 코일스프링(10)과 함께 상기 뚜껑(1)의 내측 중공부내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파이프(30)는 슬라이더 파이프(12)의 후방 파이프부(4l)의 내측 중공부내로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34)는 상기 창(43)의 주연벽을 따라서 안내된다.
상기 끼움 파이프(33)의 전단부가 상기 격벽(12b)에 접촉할 때, 상기 플랜지(카)의 모서리는 내측 개공 주연벽상에 배치된 홈(1a) 내부에 끼워지므로써 고정 파이프(30)는 상기 뚜껑(1)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타격봉(4)의 관축(6) 후방부는 상기 관축(6)의 후단부가 실체적으로 상기 격벽(12b)의 전방측면에 접촉할 때까지 전방 파이프부(42)의 개공내에 끼워진다. 다른방식으로, 상기 플랜지(34)의 모서리를 상기 뚜껑의 내측 중공 주연벽에 연결하므로써 뚜껑(1)을 고정 파이프(30)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뚜껑(1)은 전방 및 후방 관부(2,3)에 대응하는 별개의 부품들이 슬라이더 파이프(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강하게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형성된다.
계속해서, 볼 포인트 펜 또는 그와 같은 것 등의 필기요소(24)의 후방부는 회전 캠 부재(7)의 관축(8)의 개공내에 끼워진다. 복윈 스프링(27)은 상기 필기요소(24)의 관(25)에 끼워져서 상기 스프링의 후단부가 상기 관(25)의 측면에 형성된 주름부(25a)에 접촉된다. 내측 개공부에 나사산부(14a)를 구비하는 전방 통체(14)는 뚜껑의 나사산부(2b)를 나사산부(14a)에 결합시키므로써 뚜껑(1)의 전방 관부(2)에 결합된다. (대체방식으로, 양 요소가 탄성적으로 결합하므로써 상기 전방 통체(14)가 상기 전방 관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복원 스프링(27)의 선단부는 전방통체(14)의 개공부내의 전방부에 배치된 뼈대형 계단부(37)에 접촉되므로써 볼 포인트 펜등의 필기요소(24)는 어느 경우에서든 후방으로 밀려진다.
인감장치(20)는 장착부재(21), 상기 장착부재(21)의 후방 관부(21c) 후측면상에 장착된 인감본체(22) 그리고 상기 인감체를 덮으며 상기 후방 관부(21c)에 고정된 케이싱(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재(21)의 전방관부(21a)는 개공부를 사용하여 적절한 마찰 결함으로 고정 파이프의 끼움파이프부(33)를 수납한다. 상기 인감 본체(22)는 잉크를 함유할 수 있도록 침투공을 갖는 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름 또는 다른 도장이 새겨진 인감면(22a)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인감 본체(22)는 인감면(22a)이 상기 뚜껑(1)의 후단부에 적절하게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잉크대 및 쿠션이 필요에 따라 상기 인감 본체(22) 및 장착부재(21)의 후단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파이프(12)의 후방 파이프부(4)에 배치된 다른 계합부(4b)를 착탈자재하게 결합하는 결합부(12e)를 구비하는 타격덮개(15)는 상기 인감면(22a)을 덮도록 상기 뚜껑(1)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계합부 또한 돌기 대 돌기 결합으로 형성된다. 대체방식으로, 상기 결합부는 결합부의 쌍 관계가 변환될 수있는 돌기 대 홈 결합으로 형성될수도 있다. 투명 왕관부(19)가 타격 덮개(15)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추가로, 인감의 이름 또는 다른 표식이 표시되는 표시판 또는 그와 같은 것(도시되지 않음)이 그 내측에 형성된 간극(28)내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제 3 도 및 4 도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와 부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러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제 3 도 및 4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인감 부착 필기구는 전술한 제 1 도 및 2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타격기구를 구비한다. 특히, 뚜껑(1)은 전방 관부(2) 및 후방관부(3)로 이루어진 중공 실린더체이다. 상기 전방 관부(2)는 그 전방부에 형성된 나사산부(2b)와 후단부의 외측 주연부에 형성된 돌출 걸림부재(2c)를 구비한다.
상기 후방 관부(3)의 전방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재(2c)에 면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후방 관부(3)의 내측중공부까지 관통하는 창(3d)이 제공된다. 캠 홈(2a)이 전방 관부(2)의 후방부내 내측벽상에 형성되며, 상기 캠 홈(2a)의 후단부에는 계단부(3d)가 형성된다. 클립(3c)이 후방 관부(3) 측면 상의 후방부에 제공된다. 뼈대형 계단부(3a)가 상기 후방 관부(3)의 내측 중공부 전방부의 주연부 벽에 형성된다. 타격봉(4)은 전방 관부(2)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끼워지며, 상기 타격봉(4)의 전방부에 형성된 캠부(5)는 전술한 캠 홈(2a)에 수행된다. 상기 캠부의 전단부에 접촉하는 캠부(9)를 구비하는 회전 캠 부재(7)는 상기 캠부(9) 또한 캠 홈(2a)에 수납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타격기구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같은 통상의 일반적인 타격기구와 유사하다. 상기 회전 캠 부재(7)는 관축(8)이 후방으로 연장된체로 그 후방부에 제공된다. 상기 관축(8)은 관축(6)의 중앙 개공내로 끼워지므로써 타격봉(4) 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 캠 부재(7)는 상기 타격봉(4)에 대하여 회전자재하며, 타격봉(4)에 대하여 적당한 범위내에서 축방향으로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끼움에 있어서, 상기 관축(8)과 타격봉(4)에는 중앙개공의 외측 주연부와 내측면 상에서 상호 접촉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두 요소는 돌기 대 돌기 결합(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미끄러져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돌기가 제공된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상기 뚜껑(1)으로 부터 전방 통체(14)가 분리된 후에 필기요소가 꺼내질때 상기 회전 캠 부재(7)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것이다.
다음으로, 제 3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타격 기구는 뚜껑(1)의 내측 중공부 전방부에 배치되며, 홀더(11)가 내측 중공부의 후방부에 고정된다. 상기 홀더(11) 인접부의 특유의 구조예는 제 4 도의 분리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홀더(11)는 전방으로 연장되며 그 사이에 두개의 안내홈(11b)을 한정하는 두개의 안내편(11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편(11a)의 각 전방부에는 창문형 잡음부(11d)를 갖는 잡음편(11c)이 제공된다. 상기 홀더(11)의 후방부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당한 슬릿을 갖는 끼움 파이프부(11e)가 제공된다. 상기 홀더(11)는 탄성도가 좋은 수지를 일체화 성형하여 만든다.
슬라이더(12)는 전방 중앙부에 관형 소켓(12a)을 구비하며 상기 소켓의 주연부에 슬릿(l2c)을 갖는 격벽(12b)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12)는 후방부에 끼움 파이프부(12d)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끼움 파이프부(12d)에는 홈,돌기 등과 같은 것으로 형성된 결합부(12e)가 주연부 측면에 제공된다.
전술한 부품들과, 상기 홀더(11)의 안내편(11a)은 슬라이더(12)의 슬릿(12c)에 끼워지므로서 슬라이더(12)가 축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홀더(11)와 슬라이더(12)는, 코일 스프링(10)의 후단부가 격벽(12b)의 전방 측면에 접촉되는 동시에, 뚜껑(1)의 후방 관부(3)의 내측 중공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10)의 전단부는 후방 관부(3) 내측면의 계단부(3b)에 접촉되도록 만들어지며, 상기 홀터(11)의 잡음편(11c)은 대응창(3d)을 통과하도록 만들어지므로써 창문형 잡음부재(11d)가 전방 관부(2)의 대응 돌출된 걸림부재(2c)내로 끼워진다.
이러한 단계에서, 상기 홀더(11)는 후방 관부(3) 내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2)는 상기 홀더(11)에 대하여 축방향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다음 단계에서, 중간 통체(3)가 전방 관부(2)릍 덮도록 끼워진다. 중간 통체의 이러한 끼워맞춤은 후방 관부(3) 및 홀더(11) 사이에 걸림 및 잡음 결합의 고정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결합부를 단속한다.
조립공정의 현단계에서 타격봉(4)과 회전 캠 부재(7)가 상기 전방 관부(2) 내에 끼워진다. 그후, 상기 타격부재(4)는 슬라이더(12)와 연결되도록 끼워진다. 특히, 상기타격봉(4)의 축(6)의 후방 돌출부에 제공된 결합부(6a)는 슬라이더(l2)가 타격봉(4)과 연결되도록 (즉, 타격기구와 연결되도록) 슬라이더(12)의 소켓(12a) 개공부내에 배치된 결합부 (도시되지 않음)에 적절하게 결합된다. 상기 타걱봉(4)과 회전 캠 부재(7)는 돌기 대 돌기결합에 의해 상호로 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방지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필기요소가 빠져나올때 회전 캠 부재(7)가 떨어지지 않는다.
계속적으로, 볼 포인트 펜등의 필기요소(24)의 후방부가 회진 캠 부재(7)의 관축(8)의 개공부내에 끼워진다. 복원스프링(27)이 스프링의 후단부가 관(25)에 형성된 주름(25a)에 접촉하도록 상기 요소(24)의 관(25)에 끼워진다. 개공부 내축에 나사산부(14a)를 구비한 전방 통체(14)는 상기 나사산부(2b)를 나사산부(14a)에 결합하므로써 뚜껑(11)의 전방 관부(2)에 연결된다. (대체방식으로, 상기 결합은 양 요소 모두가 연결될 수 있도록 탄성결합일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복원 스프링(27)의 전단부는, 볼 포인트 펜등의 필기요소(24)가 언제든지 후방으로 밀려있도록 전방통체(14)의 내측 중공부내의 전방부에 배치된 뼈대(14b)의 뼈대형 계단부(14c)에 접촉한다. 이러한 기구는 제 1 도 및 2도에서 설명한 경우와 유사하다.
인감장치(20)의 부착수단과 절차 등도 제 1 도 및 2 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특히, 인감장치(20)는 장착부재(21), 상기 장착부재(21)의 후방관부(21c) 측면에 장착된 인감본체(22) 그리고 상기 인감 본체를 덮으며 후방 관부(21c)에 고정된 케이싱(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재(21)의 전방관부(21a)는 그 개공부로 상기 홀더(11)의 끼움 파이프부(11e)릍 적절하게 마찰 결합한다. 상기 인감 본체(22)는 잉크를 함유할 수 있도록 침투성 구멍을 갖는 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름이나 다른 인장이 조각되는 인감면(22a)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인감 본체(22)는 인간면(22a)이 뚜껑(1)의 후단부에서 적절하게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필요에 따라, 인감본체(22) 및 장착부재(21)의 후단부 사이에 잉크대와 쿠션이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슬라이더(12)의 끼움 파이프부(12d) 내에 배치된 다른 결합부(12e)를 착탈자재하게 결합하는 결합부 (도시되지않음)를 구비하는 타격덮개(15)는 인감장치(20)를 덮도록 뚜껑(1)의 후단부에 부착된다. 이 경우에도 결합부는 돌기 대 돌기 결합으로 형성된다. 대체방식으로, 결합부는 돌기 대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의 쌍 관계가 변환된다. 그외에도,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격덮개(15)를 구성하기 위하여, 관체(16)는 그 후방 모서리에 절재부(16b)를 가지므로써, 창(16a)이 상기 절제부(16b)의 도움으로 방사상 수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왕관 소켓(17)이 구멍 벽에 상기 절제부(16b) 내에 끼워지는 빼대(17a)와 상기 창(16a)에 결합되는 돌기(17b)를 가지므로써, 상기 관체(16)는 왕관 소켓(17)에 고정된다. 이후, 투명 왕관(19)이, 이름이나 다른 날인이 기입될 수 있는 스티커(18)가 그사이에 개재된 체로 상기 왕관 소켓(17)이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감 부착 필기구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제 1 도 및 2 도 또는 제 3 도 및 4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인감면(22a)이 뚜껑(1) 단부의 수준에서 돌출된 위치에 고정되므로, 날인시 인감면이 눌려지면 필기구는 타격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타격덮개(15)가 슬라이더(12)에 부착되면, 타격덮개(15)의 후단부가 눌려지면 슬라이더(12)가 이동하므로써, 상기슬라이더(12)는, 필기요소(24)의 필기선단(26)이 전방통체(14)의 선단개구로 부터 돌출되거나 수축되게 하도록 타격기구와 같이 만들어진다. 상기 타격덮개(15)가 인감장치(20)를 건드리지 않으면서 슬라이더(12)에 대해 부착 및 접촉되기 때문에, 타격덮개(15)가 벗켜졌을 때 인감장치가 실수로 떨어져 나오는 불편함이 제거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타격기구는, 볼 포인트 펜 등의 필기요소(24)의 필기선단(26)이 전방통체(14)의 선단개구(14d)로 부터 돌출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필기요소가 자동연필일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심 공급기구의 후단부에 타격 작동부로서 제공된 심 케이스에 연결된 슬라이더 파이프(12)를 구비하는 것이가능하다.
본 고안의 인간 부착 필기구의 구성 및 작동이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날인시에 타격에 의해 필기 선단이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돌출되거나 수축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인감이 날인 압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으므로 날인이 용이해진다. 다른 장점은 타격덮개가 벗겨졌을 때 실수로 인감이 빠져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Claims (3)

  1. 인감 부착 필기구에 있어서, 통체 뚜껑부와 전방 통체부로 이루어진 실린더형 중공 통체 ; 상기 통체 뚜껑부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 타격 기구부 ; 상기 전방 통체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타격 기구부에 연결된 필기요소 ; 인감면이 상기 통체 뚜껑부의 후단 수준으로 부터 적절하게 돌출된 위치에서 상기 총체의 통체 뚜껑부에 고정된 인간수단 ; 그리고 상기 타격 덮개의 타격작용이, 상기 필기요소의 필기선단을 상기 전방 통체의 전단부에 배치된 개구에서 돌출되거나 그 안으로 후퇴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거나, 또는 심을 필기선단으로 부터 방출되도록 하는, 상기 인감장치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타격기구에 연결 부착된 인감면을 덮기 위한 타격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부착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파이프가 상기 통체 뚜껑의 내측 중공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 상기 인감수단이 상기 고정파이프의 후단부에 부착되며 ; 슬라이더 파이프가 상기 타격 기구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파이프의 외측에 유동적으로 끼워지며 ; 그리고, 상기 타격덮개가 슬라이더 파이프의 후단부에 착탈자재하게 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부착 필기구.
  3. 인감 부착 필기구에 있어서, 통체 뚜껑부와 상기 통체 뚜껑의 전방부에 연결된 전방 통체부로 이루어진 실린더형 중공 통체 ; 상기 통체 뚜껑부의 중공부내의 전방부에 배치된 타격 기구부 ; 상기 전반 통체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타격 기구부의 전방부에 연결된 필기요소 ; 상기 통제 뚜껑부의 내측 중공부의 후방에 고정된 홀더 ; 인감면이 상기 통체 뚜껑부의 후단 수준으로 부터 적절하게 돌출된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후단부에 고정된 인감수단, 축 방향에서만 이동하도록 상기 홀더의 외측에 장착되며 상기 타격기구에 연결 및 계합된 슬라이더 ; 그리고 상기 타격 덮개의 축방향 이동이, 상기 필기요소의 필기선단이 전방통체의 전단부에 배치된 개구로 부터 돌출되거나 후퇴된 위치에 상기 필기선단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부속된 상기 인감면을 덮기위한 타격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부착 필기구.
KR2019940003766U 1993-03-03 1994-02-28 인감 부착 필기구 KR96000138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013934U JP2599467Y2 (ja) 1993-03-03 1993-03-03 印鑑付筆記具
JP93-13934 1993-03-03
JP1993031863U JP2607084Y2 (ja) 1993-05-24 1993-05-24 印鑑付筆記具
JP93-31863 1993-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331U KR940022331U (ko) 1994-10-20
KR960001385Y1 true KR960001385Y1 (ko) 1996-02-15

Family

ID=2634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3766U KR960001385Y1 (ko) 1993-03-03 1994-02-28 인감 부착 필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960001385Y1 (ko)
CN (1) CN1051962C (ko)
GB (1) GB2275657B (ko)
HK (1) HK213696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7650U (zh) * 1990-05-09 1990-12-19 罗建明 笔式活动图章
CN2086209U (zh) * 1991-01-19 1991-10-09 杨明 一种可以同时使用印章的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403919D0 (en) 1994-04-20
GB2275657B (en) 1996-04-24
CN1097691A (zh) 1995-01-25
CN1051962C (zh) 2000-05-03
KR940022331U (ko) 1994-10-20
HK213696A (en) 1996-12-13
GB2275657A (en) 1994-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271A (en) Writing instrument with movable closure and second sealing means
AU2005251963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retractable tip
CA1215343A (en) Writing instrument with movable closure
JPS62502882A (ja) 筆記具
KR960001385Y1 (ko) 인감 부착 필기구
US2734484A (en) Ball point pen
JP3668512B2 (ja) キャップレス式の液体筆記具
US6095706A (en) Writing instrument operated by a finger at a holding position
JP3793968B2 (ja) 筆記具
EP0121113B1 (en) Writing instrument
JP2578084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H018395Y2 (ko)
JP2566095Y2 (ja) 複式筆記具
JPS6144875Y2 (ko)
JPH0742793Y2 (ja) 筆記具のキャップ装着構造
JP3935351B2 (ja) 筆記具の尾冠取付構造
KR0118610Y1 (ko) 필기구
JPH0615732Y2 (ja) 軸体先端部の出没機構
JPS6111020Y2 (ko)
JPS6331988Y2 (ko)
JP2559766Y2 (ja) 複式筆記具
EP0546217B1 (en) Writing instrument operated by a finger at a holding position
JPH0532312Y2 (ko)
JPS6347511Y2 (ko)
JPH01238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