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848B1 - 복합필기구 - Google Patents

복합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848B1
KR890003848B1 KR1019870001344A KR870001344A KR890003848B1 KR 890003848 B1 KR890003848 B1 KR 890003848B1 KR 1019870001344 A KR1019870001344 A KR 1019870001344A KR 870001344 A KR870001344 A KR 870001344A KR 890003848 B1 KR890003848 B1 KR 890003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p
cam barrel
outer cylind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679A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사부로 고바야시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Publication of KR88000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필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캠통부위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중계외통과 캠통의 관련구성도.
제4도는 외통과 중계외통을 분리시켜 동축상으로 배치시켜놓은 외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Ⅷ-Ⅷ선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Ⅸ-Ⅸ선 단면도.
제10도는 펜호울더의 단면도.
제11도는 캠통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Ⅹ-Ⅹ선 단면도.
제13돈느 제12도의 Y-Y선 단면도.
제14도는 캠통의 전개작용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캠통부위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캡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중계외통
2a : 뒷끝면 3 : 샤이프펜슬축(제1필심부재)
4 : 보올펜축 ( 제2필심부재 5,6 : 슬라이더
7 : 캡 : 7a :클립 8 : 끼움부재
9 : 캠통 10 : 뒷끝통부
11 : 회전방지용돌기 20 : 원형부
21 : 걸림흠 22 : 축관통구멍
23,24 : 필심부재이동구멍 25,26 : 안내흠
28 : 반원통부 28a, 28b : 스토퍼면
28c : 걸림계단부 30 : 필심파이프
30a : 계단부 31 : 리이드가이드
32 : 필심송출기구 33,34 : 스프링
40 : 펜부착용축 41 : 펜호울더
42 : 스프링 71a : 볼록부
80 : 지우개수납통부 81 : 원형계단부
81a : 오목부 82 : 중간축부
83 : 끼움축 84 : 축방향걸림돌기
85 : 보울트 86 : 고무지우개
87 : 녹크캡 91,92 : 경사캠면
93 : 앞끝걸림부 94 : 뒷끝걸림부
본 발명은 예컨대 필심직경을 달리하는 2가지 종류의 샤아프펜슬이나 샤아프펜슬과 보올펜을 조합시켜 놓는 등 제1필심부재와 제2필심부재를 갖는 복합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필심부재와 제2필심부재를 번갈아 들고 날수 있게 하는 캠통을 갖춘 복합필기구를 개량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복합필기구는 앞쪽외통의 뒷끝에 연결시켜 놓은 샤아프펜슬축과 보올펜축을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주기 위해 부착시킨 끼움부재와, 이 끼움부재를 매개로 상기 앞쪽외통의 뒷쪽에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뒷쪽외통, 상기 끼움부재에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끼워지지되면서 상기 뒷쪽 외통내에 축회전 방향이 걸려지는 캠통이 조합되어, 상기 뒷쪽외통을 회동시켜주게 되면 이 뒷쪽외통과 일체로 회동하게되는 캠통이 샤아프펜슬축과 보올펜축을 앞쪽외통의 앞끝으로부터 번갈아 들고 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복합 필기구에서는 캠통과 끼움부재가 벌개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조립할때 정밀한 동심위치가 되도록 조립해 주어야만 하고, 또 조립후 사용할때에는 상기 캠통이 회동 및 축방향 이동하게될때 그 캠통이 끼움부재축과의 사이가 흔들려 상기 캠통을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가 없고, 그때문에 샤아프펜슬축과 보올펜축을 번갈아 들고날 수 있도록 할 수가 없어서 복합필기구의 기능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캠통과 끼움부재가 별개로 되어 있기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고, 더구나 상술한 바와같이 정밀한 조립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조립에 손이 많이 들어 가격이 높아지게됨과 더불어 생산성이 크게 낮아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주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캠통과 끼움부재축 또는 캠통과 끼움부재축 및 캡을 일체로 구성시켜 줌으로서 상기 캠통이 회동하거나 축방향이동할때 흔들려지는 일없이 캠통을 원활하게 동작시켜줄 수가 있게된 뿐만 아니라 캠통에 의해 필심부재의 동작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게되고, 또 부품수를 적어지게함으로서 간단하고 쉽게 조립할 수가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추어 줄 수 있는 복합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기구는, 제1 및 제2필심부재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넣어진 외통의 뒷끝에 캡이 회동되고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면서 이 캡과 함께 회동될 수 있오록 넣어진 외통의 뒷끝에 캡이 회동되고 착달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면서 이 캡과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져 상기 제1 및 제2필심부재의 각 뒷끝을 눌러 걸려지게하는 캠통과, 이 캠통내에 방향으로 자유로히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진 안내수단에 상기 끼움부재축을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놓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기구는 캡을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켜주게되면 그와 일체로 회동하는 캠통에서 제1 및 제2슬라이더중 한쪽이 전진하고 다른쪽이 후퇴하게되고, 상기 캡을 다른쪽방향으로 회동시켜주면 그와 일체로 회동하는 상기 캠통에서 제1 및 제2슬라이더중 한쪽이 후퇴하고 다른쪽이 전진하게되어, 상기 캡을 녹크해주면 그와 일체로된 캠통이 전진하여 이 캠통과 일체로 된 끼움부재축이 안내수단으로 되어축방향으로 안내되어 전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서, 도면에서 부호 1은 복합필기구의 외통이고, 이 외통(1)의 뒷끝부위에는 중계외통(2)이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져 있는바, 여기서의 연결수단으로서는 상기 외통(1)의 뒷끝쪽에 형성시킨 큰직경계단형태로 된 작은 뒷끝동부(10)내에다 상기 중계외통(2) 앞끝쪽에 형성된 직경계단형상의 선단원형부(20)를 착탈될 수 있도록 눌려끼워넣어 연결시켜놓을 것으로 되어있다.
이 경우,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뒷끝통부(10) 내주면의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방지용돌기(11)에다 중계외통(2)의 선다원형부(20)외주면의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축방향걸림흠(21)을 끼우거나 나사결착시켜 걸어맞추어 놓아 상기 중계외통(2)이 상기외통(1)에 그 회전방향이 걸려져서 회동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선단원형부(20)는 제3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축중심부에 형성된 축관통구멍(22)과, 이 축관통구멍(2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축방향걸림흠(21)과 90°되는 위치에 필심부재가 관통되어 미끄럼 이동되는 필심부재이동구멍(23, 24)이 형성되어져 있는바(제2도, 제6도, 제7도 참조), 이들 필심부재이동구멍(23, 24)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아프펜슬측(3, 제1필심부재)과 보올펜축(4, 제2필심부재)이 축방향으로 자유로히 미끄럼왕복이동할 구 있게 끼워져 있다.
여기서 필심부재이동구멍(23, 24)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같이 샤아프펜슬축(3) 및 보올펜축(4)이 전진하여 필기위치로 돌출되어지는 때에는 약간 휘어지면서 원활히 미끄럼이동하게 되도록 그 휘어지는 방향으로 길다랗게 된 구멍으로서 그 뒷끝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커지게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부호 23a, 24a는 상기 필심부재이동구멍(23, 24)의 앞끝내주벽에 돌출형성시켜놓은 환상돌기부인데, 이는 스프링(34, 42)의 앞끝이 걸려지게 함과 더불어 필심부재이동구멍(23, 24)으로부터 샤아프펜슬축(3) 및 보올펜축(4)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샤아프펜슬축(3)은 상기 한쪽의 필심부재이동구명(23)에 끼워진 필심파아프(30) 앞끝에 리이드가이드(31)가 착탈된 수 있도록 연결되어져 있기때문에, 외통(1)으로 부터 중계외통(2)을 뽑아낸다음 상기 필심파이프(30)를 리이드가이드(31)로부터 뽑아내게되면 상기 필심파아프(30)에 필심을 보충해줄 수가 있게된다.
이러한 샤아프펜슬축(3)에 있어서 리이드가이드(31)의 앞끝쪽에는 필심송출기구(32)가 배치되어져 있고, 또이 필심송출기구(32)는 리이드척과 척링(도시안됨) 및 제1스프링(33)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보올펜축(4)은 상기 다른쪽 필심부재이동구멍(24)에 자유로히 미끄럼왕복이동되도록 끼워진 펜부착용축(40)의 앞끝에 착탈될수 있도록, 또 상기 보울펜축(4)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펜부착용축(40)의 앞끝작은 직경축부(40a)가 억지끼움이나 접착등으로 끼워연결된 가장작은 직경접속통부(41A)와, 이 가장작은 직경접속통부(41A)의 앞끝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샤아프펜슬축(3)의 필심파이프(30)가 끼워 맞춰 연결될 수 있도록 된 중간계단형상의 중간직경끼움통부(41B)및, 이 중간직경끼움통부(41B)에 일체로 연결되어 보올펜축(4)의 뒷끝쪽부위가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연결괴는 큰 직경계단형사으이 큰직경끼움통부(41C)로 구성되어져 있다.
펜호울더(41)는 이상과 같이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큰직경끼움통부(41C)에 끼워넣어 연결된 보올펜축(4)을 뽑아내고 상기 샤아프펜슬축(3)과 필심직경이 다른 샤아프펜켄슬이나 종류가 다른 펜축을 상기 작은 직경의 끼움통부(41B), 혹은 큰직경의 끼움통부(41C)에 맞게 필심부내의 호환성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샤아프펜슬축(3)과 보올펜축(4)의 각 뒷끝에는 후술하는 캠통(9)의 앞끝캠면에 눌려 걸려지도록 해주기 위한 슬라이더(5, 6)가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져 있는바, 이들 슬라이더(5, 6)는 제5도와 제6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중계외통(2)의 내주면에 형성된 축 방향안내홈(25,26)에 끼워넣어져 축방향으로 원화하게 미끄럼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아프펜슬축(3) 및 보올펜축(4)은 상기 필심부재이동구멍(23, 24)뒷끝개구벽면과 상기 슬라이도(5, 6)사이에 개재시킨 스프링(34, 42)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 부쳐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중계외통(2) 뒷끝쪽에는 제3도, 제4도에서와 같이 반원통부(28)가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 반원통부(28)의 한쪽측면이 후술하는 캠통(9)의 한쪽방향 회동을 규제하게되는 보올펜의 송출되는쪽 스토퍼면(28a)이 되고, 상기 반원통부(28)의 다른쪽면은 상기 캠통(9)의 다른쪽 방향 회동을 규제하게되는 샤아프펜슬의 송출쪽의 스토퍼면(28b)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샤아프펜슬이 송출되는 쪽의 스토퍼면(28b)에는 상기 캠통(9)이 전진이동하는 것을 규제해주게되는 축방향걸림계단부(28c)가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반원통부(28)의 앞끝에서 중계외통(2)의 뒷끝면(2a)과 축방향걸림계단부(28c)사이에는 제1도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거리(a)가 마련되어져 있는데, 이 거리(a)가 상기 샤아프켄슬축(3)의 필심을 송출시켜주는데 필요한 녹크이동거리로 되는 것이다.
또 이상과 같은 중계외통(2)의 뒷끝부위에는 클립(7a)을 갖는 관통원형상으로 된 캡(7)이 자유로히 회동도 되고 축방향으로 자유로히 미끄럼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바깥에 끼워져 있는바, 이 캡(7)내에는 억지끼움이나 끼워맞춤등에 의해 끼움부재(8)가 끼워넣어져 그 축방향으로 회동이 걸려지게 되고, 이 끼움부재(8)의 앞끝에 일체로 형성된 캠통(9)이 상기 중계외통(2)재에 회동됨은 물론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재(8)는 제1도 내지 제3도 및 제11도와 제13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같이, 고무지우개수납통부(80)와, 그 앞끝쪽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큰 직경계단형상의 원형계단부(81)를 갖추고서, 이 원형계단부(81)가 상기 캡(7)내에 걸려 결합되어져 있는바, 그 걸림결합수단으로서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7)의 뒷끝쪽 내주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진 볼록부(71a)를 상기 원형계단부(81)의 위주면에 형성되어진 오목부(81a)에다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독록 끼워넣어 걸려지도록 하고 있다.
그에따라 상기 끼움부재(8)는 상기 캡(7)에 그 측회동방향이 걸려져 상기 캡(7)과 끼움부재(8)가 일체로 회동하고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7)에 오목부(81a)를 원형계단부(81)에는 볼록부(7a)를 각각 형성시켜 그들을 끼워넣어 걸려 결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캡(7)과 끼움부재(8) 및 캠통(9)을 동시에 일체로 성형시켜주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부품수가 감소될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의 간소화가 도모되게 된다.
상기 원형계단부(81)의 앞끝에는 작은직경계단형상을 한 중간측부(82)가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고, 또 이 중간축부(82)의 앞끝에는 동축상으로 큰직경계단형상을 한 캠통(9)이 일체로 연결형성되어져 이 캠통(9) 이 상기 끼움부재(8)와 일체로 회동되고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통(9)의 캠면에 상기 샤아프펜슬축(3)과 보올펜축(4)의 각 슬라이더(5, 6)가 상기 스프링(34, 42)의 탄발력으로 눌려 접해걸려져 있다.
또, 상기 중간축부(82)의 앞끝에는 상기 캠통(9)내의 축중심부를 통해 앞쪽으로 연장되어져나간 끼움축(83)이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는바, 이 끼움축(83)은 중계외통(2)내에 뒷끝쪽에서 부터 끼워넣어져 이 중계외통(2)앞끝쪽 축안내관통구멍(22)내를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부재(8)와 일체로 된 캠통(9)이 상기 중계외통(2)내에 회동될 수 있으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넣어지게 되면서 그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축(83)의 앞끝에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울트(85)가 나사결합되어져 그에따라 끼움축(83) 및 캠통(9)이 중계외통(2)내부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바, 여기서 상기 보울트(85)대신 걸고리형태로 된 압입부재를 써서 끼움춤(83)의 앞끝에다 눌러넣어 끼워맞춰주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중간축부(82)의 외주면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방향걸림돌기(8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져 있는바, 이 축방향걸림돌기(84)는 캠통(9)의 회동 및 축방향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캠통(9)이 한방향으로 회동할때 보올펜이 송출되는쪽 스토퍼면(28a, 28b)에 걸려지게되어, 보올펜축(4)이 외통(1)앞끝으로 부터 돌출되어 나가고 샤아프펜슬축(3)은 외통(1)내에 들어가 넣어진 위치에서 상기 캠통(9)의 한쪽방향 회동을 규제하게 된다.
이와동시에 상기 축방향걸림돌기(84)의 앞끝이 축방향걸림계단부(28c)에 걸려지게됨에 따라 상기 캠통(9)의 전진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또, 상기 축방향걸림돌기(84)는 캠통(9)이 다른방향으로 회동하게될때 샤아프펜슬이 송출되는 쪽 스토퍼면(28b)에 걸려지게됨에 따라 보올펜축(4)이 외통(1)내에 들어가게되고 샤아프펜슬축(3)이 외통(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되어나간 위치에서 상기 캠통(9)의 다른쪽방향회동을 규제하게 된다.
이상태에서는 상기 축방향걸림돌기(84)가 샤아프펜슬이 송출되는쪽 스토퍼면(29b)을 따라 상기 거리(a)만큼 전진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캠통(9)이 노크되어 전진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캠통(9)은 제1도 내지 제3도 또는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앞끝부위 양쪽의 만곡진 경사캠면(91, 92)과 이들 경사캠면(91, 92)의 가장앞끝에 설치된 앞끝걸림부(93) 및, 상기 경사캠면(91, 92)의 뒷끝걸림부(9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한쪽만곡경사캠면(91)에 샤아프펜슬축(3)의 슬라이더(5)가 또다른쪽 경사캠면(92)에는 보올펜축(4)의 슬라이더(6)가 각각 상기 스프링(34, 42)의 탄발력에 의해 눌려져 걸려져 있다.
따라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통(9)이 회동됨에따라 만곡경사캠면(91, 92)의 중간부에 슬라이더(5, 6)가 닿아 걸려제 있게되면 사아프펜슬축(3)과 보올펜축(4)이 외통(1)내에 들어가 넣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 샤아프펜슬축(3)의 슬라이더(5)가 앞 끝걸림부 (93)에 걸려지게되면 샤아프펜슬축(3)이 돌출되어나가게 됨과 동시에 보올펜축(4)의 슬라이더(6)가 뒷끝걸림부(94)에 결합되어진 보올펜축(4)이 후퇴하여 외통(1)내에 넣어지게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게된다.
이와는 달리 샤아프펜슬축(3)쪽 슬라이더(5)가 뒷끝걸림부(94)에 걸려지고 보올펜축(4)쪽 슬라이더(6)가 앞끝걸림부(93)에 걸려지게되면, 샤아프펜슬축(3)이 들어가 넣어진 위치에 보올펜축(4)이 돌출되어나간 위치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같이 캠통(9)이 회동됨에따라 샤아프펜슬축(3)과 보올펜축(4)이 번갈아 전진, 후퇴한다거나 함께 들어간 위치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 및 제2도에서의 부호86은 고무지우개 수납통부(80)내에 넣어진 고무지우개이고, 87은 고무지우개수납통부(80)에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져 상기 고무지우개(86)를 덮어주게되는 녹크캡이다.
다음에는 상기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캡(7)을 한쪽방향으로 회동시켜주게되면 그와 일체로 끼움부재(8)를 매개로 캠통(9)이 같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샤아프펜슬축(3)의 슬라이더(5)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쪽의 만곡경사캠면(91)을 앞끝걸림부(93)쪽을 향해 전진이동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보올펜축(4)의 슬라이더(6)가 다른쪽 경사캠면(92)을 뒷끝걸림부(94)를 향해 이동시켜주게됨으로서 보올펜축(4)이 후퇴이동하게 되는데, 이 후퇴이동은 스프링(52)의 탄발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샤아프펜슬축(3)쪽 스라이더(5)가 상기 앞끝걸림부(93)에 보올펜축(4)쪽 슬라이더(5, 6)가 상기 뒷끝걸림부(94)에 각각 걸려지게 됨과 동시에 축방향걸림돌기(84)가 샤아프펜슬이 송출되는쪽 스토퍼면(28b)에 걸려지게 되고, 그에따랄 상기 캠통(9)의 한쪽방향회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상기 샤아프펜슬축(3)이 외통(1)앞끝에서 돌출되어나간 위치를 유지하게 됨과 더불어 보올펜축(4)이 외통(1)내에 들어가 넣어진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캡(7) 또는 이 캡(7) 뒷끝의 녹크캡(87)을 눌러 녹크조작해주게되면 상기 끼움부재(8)를 매개로 상기 캠통(9)이 거리(a)만큼 전진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캠통(9)에 의해 샤아프펜슬축(3)의 슬라이더(5)가 전진시켜지게되어 필심파이프(30)가 앞쪽으로 밀려나가 필심송출기구(32)를 동작시켜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캡(7)을 다른쪽 방햐응로 회동시켜주게되면 그와 일체로 끼움부재(8)를 매개로 캠통(9)이 다른쪽방향으로 회동하게되어 이캠통(9)의 한쪽만곡경사캠면(91)을 따랄 샤아프펜슬축(3)쪽 슬라이더(5, 6)가 스프링(34)의 탄발력으로 후퇴이동하게됨과 동시에, 상기 캠통(9)의 다른쪽 만곡경사캠면(92)에 의해 보올펜축(4)쪽 슬라이더(6)가 밀어눌려져 전진하게 된다.
그에따라 보올펜축(4)이 전진하여 돌출되어나가 그 위치에서 슬라이더(6)가 앞끝걸림부(93)에 걸려지게됨과 동시에, 상기 축방향걸림돌기(84)가 중계외통(2)의 보올펜 송출쪽 스토퍼면(28a)에 걸려지게됨에 따라 상기캠통(9)의 다른방향 회동이 규제됨과 더불어 상기 축방향걸림돌기(84)가 축방향걸림계단부(28c)에도 걸려지게되어 상기 캠통(9)의 전진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올펜축(4)이 외통(1)으로부터 돌출되어져나가 필기위치를 유지하게됨과 동시에 사아프펜슬축(3)은 외통(1)내로 후퇴하여 들어가 넣어지게 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인데,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중계외통(2)을 없애버리고 외통(1)을 길게 형성시켜, 이 외통(1)에 끼움부재(8)와 일체로 된 캠통(9)을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착시켜놓은 것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서 그 상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인데, 이 실시예에서는 캡(7)과 캠통(9)을 일체로 구성시켜놓고 있는바, 즉 캡(7)의 뒷끝내부에 캠통(9)의 뒷끝부위가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보울트(85)를 사용해서 상기 캠통(9)과 끼움축(83)을 캡(7)에 일체로 성형시켜주는 것도 물론 가능하기만, 상기 끼움부재(8)를 캠통(9)과 결개체로 형성시켜 그 끼움부재(8)의 뒷끝쪽을 상기 캠통(9)의 뒷끝벽부위에 형성된 축끼움구멍(9a)에 앞쪽으로부터 끼워넣고서 상기 끼움축(83)의 뒷끝에 형성된 걸림편(83a)을 상기 축끼움구멍(9a)에 앞쪽으로부터 끼워넣고서 상기 끼움축(83)을 일체로 연결시켜주는 방법도 있어서, 그에따라 캡(7)과 캠통(9)을 일체로 성형시킨다던지 끼움축(83)을 성형시키는 일이 극히 간단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캠통과 끼움축, 또는 캠통과 끼움축 및 캡을 일체로 구성시켜 끼움축을 필심부재의 안내수단으로 자유로히 미끄럼왕복이동할 수있도록 끼워줌으로서, 상기 캠통이 회동하거나 축방향으로 이동할때 흔들림이 없이 캠통을 원활하게 작동시켜줄 수 있게되기때문에 캠통에 의한 필심부재의 들고 나는 동작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술한 바와같이 캠통과 끼움축, 또는 캠통과 끼움축 및 캡이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기때문에 부품수가 감소되어져 구조가 간단해지게되고, 또 부품의 조립이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가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추어줄 수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외통(1)의 뒷끝에 자유로히 회동되고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된 캡(7)을 회동시켜줌으로서 상기 외통(1)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진 제1 및 제2필심부재(3, 4)가 번갈아 들고날 수 있도록 된 복합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외통(1)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필심부재(3, 4)가 축방향으로 자유로히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게 삽입된 필심부재이동구멍(23, 24) 및 축관통구멍(22)이 형성된 앞끝원형부를 갖는 중계외통(2)과, 상기 캡(7)내에 캡(7)과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필심부재(3, 4)의 각 뒷끝이 눌려 걸려지도록 된 캠통(9) 및, 이 캠통(9)에 형성되어져 앞쪽으로 연장되어나가 상기 축관통구멍(22)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된 끼움축(83)을 갖추고 있으면서, 상기 끼움축(83)과 캠통(9)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캡(7)이 회동되게되면 상기 캠통(9)을 매개로 상기 제1 및 제2필심부재(3, 4)가 번갈아 들고 나게하고, 상기 캡(7)을 노크해주게되면 상기캠통(9)과 일체로 상기 끼움축(83)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7)은 캠통(9)과 일체로 구성된 끼움축(83)에 일체로 형성된 특징이 있는 복합필기구.
KR1019870001344A 1986-08-19 1987-02-18 복합필기구 KR890003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161 1986-08-19
JP61-192161 1986-08-19
JP61192161A JPH0811477B2 (ja) 1986-08-19 1986-08-19 複合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79A KR880002679A (ko) 1988-05-10
KR890003848B1 true KR890003848B1 (ko) 1989-10-05

Family

ID=1628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344A KR890003848B1 (ko) 1986-08-19 1987-02-18 복합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11477B2 (ko)
KR (1) KR890003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2100B2 (ja) * 2012-05-15 2016-12-1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レフィル及びそれを収容した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1477B2 (ja) 1996-02-07
JPS6349495A (ja) 1988-03-02
KR880002679A (ko) 198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358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890003848B1 (ko) 복합필기구
KR970003363Y1 (ko) 복합필기구
KR100507891B1 (ko) 이중척식 샤프펜슬
KR900003813Y1 (ko) 샤아프펜슬
JP2013509319A (ja) 汎用ペンシル機構
KR890001182B1 (ko) 복합 필기구
JP2009029028A (ja) ノック式筆記具
KR890002211B1 (ko) 복합필기구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KR890004783Y1 (ko) 필기구
CN211747610U (zh) 一种笔
KR890004782Y1 (ko) 복합 필기구
CN210158200U (zh) 一种可换芯的眉笔容器
KR890002210B1 (ko) 복합필기구
JPH0721388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KR880001861B1 (ko) 필기구
JP2024019933A (ja) 筆記具
US4806038A (en) Knock type mechanical pencil connection
US1801671A (en) Mechanical pencil
US1489590A (en) Magazine pencil
JP3286510B2 (ja) 複合筆記具における筆記機構
JP5356969B2 (ja) 筆記具及び筆記具の中芯保持ユニット
KR900008079B1 (ko) 복합필기구
KR910002112B1 (ko) 자동조출식 샤아프펜슬과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