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782Y1 - 복합 필기구 - Google Patents

복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782Y1
KR890004782Y1 KR2019860018453U KR860018453U KR890004782Y1 KR 890004782 Y1 KR890004782 Y1 KR 890004782Y1 KR 2019860018453 U KR2019860018453 U KR 2019860018453U KR 860018453 U KR860018453 U KR 860018453U KR 890004782 Y1 KR890004782 Y1 KR 890004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shaft
pencil
rear end
ball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688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사부로 고바야시
요시히데 미쯔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Priority to KR2019860018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782Y1/ko
Publication of KR880009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6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2Combinations of pens and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16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one push-button for each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06Pen or pencil barrel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 필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서 따른 복합 필기구의 그 앞쪽외통을 단면으로 하고 뒷쪽 외통은 윗뚜껑을 벗어놓은 상태로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본 고안 복합 필기구의 부분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 필기구의 뒷쪽외통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필기구의 뒷쪽외통의 길이방향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뒷쪽 외통 분해도.
제6도는 본 고안 필기구의 뒷쪽 외통의 왼쪽 끝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 필기구의 뒷쪽외통의 단면도.
제8도와 제9도는 본 고안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앞쪽외통과 뒷쪽 외통이 연결되어 걸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앞쪽외통 2 : 뒷쪽외통
3 : 샤아프 펜슬축 4 : 볼펜축
5,6 : 조작레바 10 : 녹크부재
본 고안은 필심직경을 달리하는 2가지의 샤아프 펜슬이나 샤아프 펜슬과 볼펜이 조합되는 2개의 필심부재를 갖는 복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복합 필기구는 샤아프 펜슬축과 볼펜축이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을 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지는 외통과, 이 외통의 뒷쪽끝부분에 끼움부재를 매개로 해서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캡이 서로 동축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에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지되면서 상기 외통내에 축회전 방향으로 걸어 맞추어진 캠통을 구비하여, 상기 외통을 회동시켜줌에 따라 상기 샤아프펜슬축과 볼펜축을 외통의 앞끝에서 교대로 드나들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필기구에서는 외통 및 캡이 모두 원통형태로 형성되어져 있기때문에 휴대할때와 책상위에 놓아두게될때 안정성이 없고, 또 샤아프 펜슬축과 볼펜축을 교대로 드나들도록 해주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외통을 회전시켜주는 등 번거로운 조작을 해주어야만 하게 되므로서 이 조작이 귀찮을 뿐만아니라 끼움부재와 캠통등 부품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해져 조립에 정밀성이 요구되고 있었다.
따라서 부품을 조립하는데 많은 작업공수가 필요하게되어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됨과 더불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아니라 필기구가 커지게 되는 등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시켜주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기구 전체모양을 납작하게 형성시켜주므로서 휴대할때나 책상위에다 놓아둘때 안정성이 있기때문에 주머니에 꽂아도 불록하게 튀어나오지 않게되고, 외통표면에다 기념품등과 같은 문자를 기재하기가 쉬워 선전수단으로서 이용하기도 좋으며, 캠통과 끼움부재축등과 같은 복잡한 부품들을 전혀 이용하지 않게되므로서 부품의 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간단히 조립할 수가 있기때문에 생산성 향상과 제조비용을 낮출 수가 있을 뿐만아니라, 간단한 레바조작으로 필심부재를 쉽게 드나들게 할 수 있도록한 간단한 복합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 필기구는, 그 외통 단면이 납작한 가운데가 빈 통모양으로 형성시키고, 이 외통 내부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진 제1 및 제2 필심부재의 각 뒷쪽끝에 상기 외통의 바깥쪽방향으로 돌출시켜놓은 조작레바를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심부재중 한쪽을 돌출시켜놓은 위치에서 그 필심을 녹크조작으로 돌출시켜주기 위한 녹크조작부재를 상기 외통의 후단부에다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해 놓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복합 필기구는, 외통내에 제1 및 제2 필심부재를 모두 들어가 넣어져 있는 상태에서 한쪽의 조작레바를 전진이동시켜주게 되면 그와 일체로된 한쪽 필심부재가 전진하여 삐져나오게 되면 그와 일체로 된 한쪽 필심부재가 전진하여 삐져 나오게되고, 이어 상기 한쪽조작레바를 후퇴이동시켜주면 돌출되어져 있던 필심부재가 상기 외통속으로 들어가 넣어지게 되며, 다음에는 다른쪽 조작레바를 전진이동시켜줌에 따라 그와 일체로된 다른쪽 필심부재가 전진해서 삐져나오게 되며, 이어 상기 다른쪽 조작레바를 후퇴 이동시킴에 따라 돌출되어 있던 필심부재가 상기 외통내로 들어가 넣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레바 조작에 따라 제1 및 제2 필심부재가 교대로 드나들게 되는데, 그중 필심부재가 나와있을때에 녹크부재를 녹크조작해줌으로서 돌출위치에 있는 필심부재의 필심이 송출되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복합필기구의 앞쪽외통으로서, 이 앞쪽외통(1)은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납작한 가운데가 빈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뒷쪽끝부분에는 뒷쪽외통(2)이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뒷쪽외통(2)은, 제1도, 제2도 및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윗면이 개방되고 그 단면이 홈형상으로 된 밑마개(20)와, 이 밑마개(20)의 윗면개방 끝부위에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진 뒷뚜껑(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뒷쪽외통(2)은 밑마개(20)에다 윗뚜껑(21)을 끼워줌으로서 상기 앞쪽외통(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직사각형이 되어 납작하고 가운데가 빈 형태가 되도록 조합시켜 합체시켜지게 된다. 이때 조립하여 합체시켜주기에 앞서 상기 밑마개(20)의 앞쪽끝부위가 상기 앞쪽외통(1)의 뒷쪽끝부위에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 맞추어주게되는데, 여기서의 끼워맞춤수단으로서는 상기 앞쪽외통(1)의 뒷쪽끝부위에 일체로 형성된 직경이 작아지게 계단차를 이루고 있는 끼움통부(1a)에다 상기 밑마개(20)의 선단개구부를 끼워맞추어줌에 따라 상기 끼움통부(1a)의 양쪽외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걸림볼록부(16)가 상기 밑마개(20)의 양쪽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는 걸림오목부(20a)에 끼워들어가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함으로서 앞쪽외통(1)으로부터 밑마개(20)가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된다. 그런데 상기 앞쪽외통(1)내에는 샤아프 펜슬축(3, 제1필심부재)과 볼펜축(4, 제2필심부재)이 상기 밑마개(20)내를 거쳐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져 있는데, 이경우 제1도와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같이 상기 밑마개(20)내의 간막이벽(22)에 형성된 끼움구멍(23,24)에 상기 샤아프 펜슬축(3)과 볼펜축(4)이 자유로이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진다.
여기서 상기 샤아프 펜슬축(3)과 한쪽 끼움구멍(23)에 끼워진 필심파이프(30)의 앞끝에 리이드 가이드를 매개로 배치된 필심송출기구(31)를 갖추고 있는데, 이 필심송출기구(3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지의 리이드척과 척링 및 제1 스프링(32)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아프 펜슬축(3)과 볼펜축(4)의 각 뒷쪽끝에는 각각 조작레바(5,6)가 일체로 연결되어져 있는데, 이들 조작레(5,6)는 상기 샤아프 펜슬축(3)과 볼펜축(4)의 각 뒷끝에 일체로 연결된 슬라이더부(50,60)와 이들과의 반대쪽 벽면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밀가마개(20)의 양쪽벽에 형성된 왕복이동안내구멍(25,26)을 거쳐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되어져 있는 축(51,61)및 이들 축(51,61)의 앞쪽끝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재(52,6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50,60)와 상기 간막이벽(22)사이에는 스프링(7,8)들이 끼워져서 이들 스프링(7,8)에 의해 상기 샤아프 펜슬축(3)과 볼펜축(4)이 후퇴방향으로 떠밀려져 있다.
또 상기 왕복이동안내구멍(25,26)들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같이, 그 각 윗쪽끝이 개방되어져 있으면서 그 개방부위끝에는 상기 윗뚜껑(21)을 끼워 합체시켜줌으로서 막혀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왕복이동안내구멍(25,26)들의 앞끝에는 상기 샤아프 펜슬축(3)과 볼펜축(4)이 각각 돌출되어있는 위치에서 각 계통의 조작레바(5,6)가 걸려지도록 하기위한 걸림구멍(27,28)들이 계단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여기서 샤아프 펜슬축(3)의 걸림구멍(27)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볼펜축(4)쪽 걸림구멍보다 거리(a)만큼 앞쪽으로 길게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밑마개(20)의 뒷끝쪽 내부에는 클립(9)과 일체로 되어있는 녹크부재(10)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 녹크부재(10)는, 제1도, 제2도,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밑마개(20)의 바닥면에 스쳐지는 평판형상의 미끄럼이동판(11)과, 이 미끄럼이동판(11)의 윗면 중심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안내판(12)을 갖고 있다.
상기 미끄럼이동판(11)은 그 윗면에서 상기 조작레바(5,6)의 슬라이더부(50,60)가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그들의 슬라이더부(50,60)와 상기 밑마개(20)바닥면사이에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이동판(11)의 앞끝에는 샤아프 펜슬축(3)이 돌출되어 있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구멍(27)의 후단에 걸려져 있는 샤아프 펜슬축(3)쪽의 조작레바(5)의 뒷끝이 걸어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샤아프 펜슬축(3)이 돌출되어있는 위치에서 샤아프펜슬 계통의 조작레바(5)가 상기 미끄럼이동판(11)의 앞끝에 걸어맞추어져 있기때문에 미끄럼이동판(11)과 일체로 되어 있는 녹크부재(10)를 녹크해줌에 따라 상기 거리(a)만큼 샤아프펜슬축(3)을 전진시켜 필심송출을 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밑마개(20)내에 샤아프 펜슬축(3)과 볼펜축(4)의 뒤끝쪽 및 상기 녹크부재(10)가 조립되어넣어져 세트화된후, 상기 윗뚜껑(21)을 씌워 접착시켜 합체시켜주므로서 뒷쪽외통(2)이 일체적으로 조립되어지면서 이 뒷쪽외통(2)에 샤아프펜슬축(3)과 볼펜축(4)및 스프링(7,8)과 녹크부재(10)가 각각 설치됨으로서 1개의 필기구의 작동기구가 이루어지게 된다.
끝으로 상기 뒷쪽외통(2)의 앞끝 개구부를 상기 앞쪽외통(1)의 뒷쪽끝 끼움통부(1a)에다 끼워넣어줌으로서 그들이 걸림볼록부(1b)와 걸림오목부(20a)가 걸어맞추어져서 복합필기구가 완성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샤아프펜슬축(3)과 볼펜축(4)의 앞쪽외통(1)내에 모두 들어가 넣어져 있는 상태에서 한쪽 조작레바(5)를 앞으로 밀어주게 되면 이것과 일체로 되어 있는 샤아프펜슬축(3)이 앞으로 이동하여 앞쪽외통(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되어나간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바(5)의 축(51)을 왕복이동 안내구멍(25)의 앞끝부위에서 걸림구멍(27)의 뒷쪽끝에 걸려지게하므로 상기 샤아프펜슬축(3)이 돌출되어져 나간 위치로 유지되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레바(5)의 슬라이더부(50)의 뒷쪽끝이 녹크부재(10)의 미끄럼이동판(11)의 앞끝에 걸어맞추어지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이 녹크부재(10)를 녹크해주면 상기 미끄럼이동판(11)이 앞으로 나아가 이 미끄럼이동판(11)의 앞끝에서 상기 슬라이더부(50)가 거리(a)만큼 밀려나가게 됨으로서 샤아프펜슬축(3)이 앞으로 이동하여 필심이 송출되어지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바(5)의 축(51)이 상기 걸림구멍(27)의 뒷쪽끝에 걸려져 있는 상태로부터 해제시켜주게되면, 샤아프펜슬축(3)이 그 축과 관련된 계통의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후퇴이동하여 앞쪽외통(1)속으로 들어가 넣어지게 된다.
이어 볼펜축(4)쪽의 조작레바(6)를 앞으로 밀어주게되면 그와 일체로 되어 볼펜축(4)이 앞으로 나아가 상기 앞쪽외통(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되어나가서 상기 조작레바(6)의 축(61)을 걸림구멍(28)에 걸어 맞추어줌에 따라 상기 볼펜축(4)이 돌출되어져 있는 위치를 유지하고 있게된다.
한편 상기 걸림구멍(28)에 조작레바(6)의 축(61)이 걸려져 있는 상태를 해제시켜주면, 그와 과련된 계통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볼펜축(4)이 후퇴 이동하여 앞쪽외통(1)속으로 들어가 넣어지게 된다.
제8도에는 앞쪽외통(1)과 뒷쪽외통(2)을 걸어맞추어 주기 위한 수단에 관한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져 있는바, 이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한번 쓰고 버리는 1회용 상품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납작한 복합필기구를 만드는 경우에 채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경우에는 끼움통부(1a)에다 그 앞끝쪽의 직경이 점차 커져 넓어지게되는 걸림부(1c)를 일체로 형성시켜 이 걸림부(1c)를 뒷쪽외통(2)의 앞끝에 형성시켜놓은 환상형 내향돌출부(2b)에 걸려지도록하므로서, 상기 끼움통부(1a)에 상기 뒷쪽외통(2)을 일단 꽂아넣으면 뽑혀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9도에는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관한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져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실시예의 걸림부(1c)의 앞끝과 뒷쪽외통(2)의 걸림구멍(2c)을 원호형상으로 형성시켜줌으로서 필심부재를 교환할때 앞쪽외통(1)의 끼움통부(1a)에 끼워넣어진 뒷쪽외통(2)을 뽑아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외통이 납작하고, 가운데가 빈 통모양으로 되어있기때문에 필기구 전체가 납작해져서 휴대할때나 책상에다 놓아둘때 안정성이 있고, 그 때문에 휴대할때 주머니가 불쑥튀어나오지 않게 되며, 또 납작하게 형성된 외통에는 기념을 위해 써넣는 문자등을 쉽게 써넣을 수가 있기 때문에 선전수단으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또 캠통과 끼움축등과 같은 복잡한 부품등이 일체 필요하지 않게되므로 부품수가 대폭으로 감소됨으로서 구조가 간소화되어 간단히 조립할 수가 있기때문에 생산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 절감을 기할 수가 있음은 물론, 간단한 레바조작으로 필심부재들을 원활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된 간단한 복합 필기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단면이 납작한 가운데가 빈 통모양으로 형성된 외통과, 이 외통내부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진 제1 및 제2 필심부재인 샤아프펜슬축(3)과 볼펜축(4), 이들 필심부재의 뒷끝쪽에 연결되면서 상기 외통 바깥쪽방향으로 돌출되어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필심부재들을 드나들게 조작시켜 주기위한 조작레바(5,6), 상기 외통의 뒷끝부위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 맞추어져서 상기 필심부재중 어느한쪽이 나온 위치에서 녹크조작해줌으로서 필심송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녹크부재(10)로 이루어진 복합 필기구.
KR2019860018453U 1986-11-26 1986-11-26 복합 필기구 KR890004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453U KR890004782Y1 (ko) 1986-11-26 1986-11-26 복합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453U KR890004782Y1 (ko) 1986-11-26 1986-11-26 복합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688U KR880009688U (ko) 1988-07-23
KR890004782Y1 true KR890004782Y1 (ko) 1989-07-20

Family

ID=1925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453U KR890004782Y1 (ko) 1986-11-26 1986-11-26 복합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7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688U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2621A (en) Ball point writing instrument
KR101951039B1 (ko) 다심 필기구
US3989389A (en) Multi-color mechanical writing instrument
US5642953A (en) Multiplex writing implement
US2624315A (en) Fountain pen
KR890004782Y1 (ko) 복합 필기구
US6095706A (en) Writing instrument operated by a finger at a holding position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S6331988Y2 (ko)
JPS6127199B2 (ko)
KR890001182B1 (ko) 복합 필기구
JPS6222396Y2 (ko)
KR890003848B1 (ko) 복합필기구
JPH10329484A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H03126598A (ja) 複合筆記具
JPH023911Y2 (ko)
KR820002568Y1 (ko) 필 기 구
EP0546217B1 (en) Writing instrument operated by a finger at a holding position
JP3090550U (ja) 複合筆記具
JPS6217265Y2 (ko)
JPS6334949Y2 (ko)
JPH0721388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H01281999A (ja) 乾燥防止機構を有するキャップレス筆記具のリフィール機構
JPS6226229Y2 (ko)
JPS631918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