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842B1 - 전자사진 감광체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842B1
KR940002842B1 KR1019910015278A KR910015278A KR940002842B1 KR 940002842 B1 KR940002842 B1 KR 940002842B1 KR 1019910015278 A KR1019910015278 A KR 1019910015278A KR 910015278 A KR910015278 A KR 910015278A KR 940002842 B1 KR940002842 B1 KR 940002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member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following structural
weight
char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503A (ko
Inventor
이두희
이현우
김영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91001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842B1/ko
Publication of KR93000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 감광체
제1도는 종래의 무정형 실리콘과 PVK를 이용한 감광체의 확대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TNF와 PVK 착체를 이용한 단층형 감광체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적층형 감광체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적층형 감광체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리콘층 2 : PVK층
3 : VPK와 TNF의 층 4 : 전하 수송층
5 : 전하발생층 6 : 1차산화방지제
7 : 2차산화방지제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도전성지지체와 유기물을 함유하는 적층형 감광층을 갖는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을 조사할때 전하담체를 발생하는 유기물질(CGM ; Charage Generating Matter)을 함유하는 전하발생층(CGL ; Charge Generating Layer)과, 1차산화방지제와 2차산화방지제 즉, 2종의 산화방지제의 전하발생층에서 발생된 전하담체를 받아들이고 이를 운송하는 물질(CTM ; Charge Transporing Matter)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전하수송층(CTL ; Charge Transporing Layer)으로 구성된 적층형 감광층을 갖는 전자사진 감광체(Electro photographic photoconductor)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의 설명]
종래의 전자사진용 감광체로서는 다음의 것이 있다.
첫째, 세레늄(Se), 황화카드뮴(CdS), 산화아연(ZnO) 및 무정형 실리콘(Si)과 같은 무기물질을 감광물로 이용한 것이 있으나, 이들은 일반적으로 감도가 좋은반면 세레늄등은 인체 독성이 강하여 이의 폐기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등이 발생되고, 일반적으로 제조단가가 높고, 제조조건이 까다로우며, 대전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둘째, 유기물체의 것으로 2,4,7-트리니트로-9-후루오레논(TNF)과 폴리-N-비닐-카바졸(PVK)와 전하이동착체를 이용한 감광체가 있으나, 이는 감도가 낮고 가소성 및 점착성이 좋지않아 기질로부터 막이 분리되는 등, 고속복사기용 감광체로 사용하기에는 부적당하다.
셋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전성이 좋고 유독성이 없으며 저가비용으로 생산 가능한 유기감광체(OPC ; Organic Photo Conductor)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은 구조상 도전성 지지체위에, 감광층으로 이루어진것으로서, 초기에는 단층구조의 감광체가 개발되었으나(예, PVK TNF 유기감광체), 한층에 전하발생과 전하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서 구성층이 불투명하고, 감도가 매우 낮으며, 내구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크므로 실용화(상품화)에는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서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91-6788호(미타고오교)에는, 전하발생재료로서 주로 폐릴렌계 유기화합물과, 전하수송재료로서 m-페닐렌디아민계 화합물, 결합제 수지 그리고 페놀류 산화방지제로 구성된 단층형의 감광체가 소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THF량을 조절하면서 산화방지제로 2,6-디-t-부틸-p-크레졸 화합물을 사용하여 단층형감광체가 산화 및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감광체가 실시예를 통하여 언급되어 있으나, 단층구조의 감광체 특성상의 결점을 극복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상품화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와 같은 단층구조의 감광체가 갖고 있는 구조적인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감광체의 층구조를 기능별로 구분하여 전하발생물질과 결합제로 이루어진 전하발생층(CGL)과 전하수송물질과 결합제로 이루어진 전하수송층(CTL)으로 분리형성하므로서, 각층의 특성을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각층의 구성재료에 따라 고감도화가 가능케 되었으며, 내구력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유기감광체의 적층구조에 관한 실용화와 기능향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같은 적층형의 감광층을 갖는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1) 미국특허 제3871882호에는, 페릴렌 유도체를 함유하는 전하발생층과, 옥사디아졸 유도체를 함유하는 전하수송층으로 구성된 감광체가 소개되어 있고, (2) 미국특허 제4390698호 및 4618672호(리코)에는, 후루오레논계 비스아조안료를 함유하는 전하발생층과, 안트라센 유도체 또는 디스트릴벤젠 유도체 및 결합체를 함유하는 전하수송층으로 구성된 감광체가 소개되어 있으며, (3) 미국특허 제4396696호(미쯔비시)에는, 옥사디아졸계 비스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전하발생층과, 피라졸린 유도체 또는 히드라존 유도체 및 결합체를 함유하는 전하수송층으로 구성된 감광체가 소개되어 있으며, (4) 미국특허 제4150987호(아이비엠)에는 크로로디안블루 등 디스아조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하발생층과, 히드라존 유도체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전하수송층으로 구성된 감광체가 소개되어 있으며,
(5) 미국특허 제4367273(미쯔비시)에는, 무기계 화합물로는 세레늄등을, 또는 유기계화합물로는 푸탈로시아닌계, 페릴린계, 비스아조계화합물 등을 함유하는 전하발생층과, 히드라존 화합물과 결합제를 함유하는 전하수송층으로 구성된 감광체가 소개되어 있으며, (6) 미국특허 제4839252호(신덴젠 등)에는, (5)와 같은 통상의 전하를 발생하는 물질과 부타디엔 화합물과 히드라존 화합물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전하수송층으로 구성된 감광체가 소개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적층형의 전자사진용 감광체로서, 일반적인 정전잠상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감광체를 코로나 방전등에 의하여 대전시킨 후 원고로부터 반사되는 광조사 즉, 노광을 하면, 조사된 광은 투명한 전하수송층을 통과하여 전하발생층중의 전하발생물질에 흡수되며, 광을 흡수한 전하발생물질은 전하담체를 발생하고, 이 전하담체는 전하수송층에 주입되며 주입된 전하담체는 대전에 의하여 생성된 전계(electric field)에 따라 전하수송층을 통과하여 감광체의 표면으로 이동하고, 감광체표면의 전하를 중화하는 것에 의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기 위한 적층형 감광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등의 도전성 지지체 위에 적층형의 유기감광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들의 결착 및 액의 분산성, 전기적인 특성등을 위하여 전하발생층(CGL)과 전하수송층(CTL)내에 결합제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결합제로 수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수지는 열이나 광에 의해 파괴되기 쉽고, 특히, 전자복사 과정에서 코로나 방전시 발생되는 오존(O3)에 의해 발생되어 전하수송층 표면에서 산화가 일어나고, 노광시 광원중의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광피로현상이 크게 나타나서, 산화유발은 더욱 가속화되어, 결국 반복사용시 가소성이 낮아지고 노화가 일어나 대전성이 떨어지고, 감도가 낮아지며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들 산화과정은 수지 분자내의 2중 결합이 오존과 반응에 의하여 오조나이드(Ozonide)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시작되며 다음과 같은 자동산화 스킴을 갖는다.
따라서, 반복사용에 따른 감광체의 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적층형 감광층의 제조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체 및 전하발생물질의 산화를 방지하고 광피로를 줄일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고자 1종의 산화방지제 또는 1종의 광안정제를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하수송층에 포함시킨 일련의 발명을 특허출원(출원번호 제91-12510호등 참조) 한바 있으며, 이들 선행 출원된 발명은 감광체별 정전특성 변화에 있어서 산화방지제나 광안정제를 포함하지 않은 감광체보다 표면전위, 잔류전위 및 광감도등이 많이 개선되었으나, 이들 첨가제 역시 불순물이라는 측면에서 가능한 적은 량을 사용하면서 기능상 변화없이 보다 안정한 화상을 얻고 내구성이 향상된 감광체의 개발은 계속 요구되었다.
[발명의 목적과 개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에 있어서, 도전성 지지체, 상기 도전성 지지체위에 형성된 전하발생층, 상기 전하발생층위에 형성되며 1차산화방지제 및 2차산화방지제 즉, 2종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전하수송층으로 구성된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전성 지지체 위애 후루오레논비스 아조화합물계 안료와 결합제를 함유하는 전하발생층과, 1차산화방지제 및 2차산화방지제 즉, 2종의 산화방지제, 히드라존계 화합물과 결합제를 함유하는 전하 수송층으로 구성된 적층형 감광층을 갖는 고감도의 내구성이 좋은 적층형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암소에서 충분한 대전전위를 부여하며, 노광시 표면전하가 빠르게 산일하도록하여 대전, 노광, 현상, 잠상제거를 반복하는 복사과정에 있어서 이들의 과정을 반복하여도 특성이 변화하여도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감광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적태양의 상세한 설명]
즉, 본 발명은 도전성지지체 위에 전하발생층(CGL ; Charge Generating Layer)과 전하발생층위에 형성되며 1차산화방지제와 2차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전하수송층(CTL ; Charge Transporting Layer)으로 이루어진 감광층을 갖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하수송층에 1차산화방지제로 포함될 수 있는 화합물로는 하기 구조식(Ⅰ-1) 내지 (Ⅰ-2)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1차산화방지제가 포함되며, 2차산화방지제로는 하기 구조식(Ⅰ-3) 내지 (Ⅰ-7)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2차산화방지제가 포함된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다음과 같고,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은 다음과 같으며,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이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다음과 같고,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은 C12-C14알킬이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다음과 같고,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은 다음과 같고, C12-C18의 알킬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하발생층은 전하발생물질과 결합체로 구성되는데, 전하발생물질로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페릴렌계, 다환퀴논계, 푸탈로시아닌계, 비스아조계, 트리아조계 안료와 스크아릴리움계, 아즈레니움계, 티아피릴리움계 색소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안료 또는 색소화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하수송층은 상기한 바 있는 1차산화방지제와 2차산화방지제를 포함하거나 1차산화방지제와 광안정제를 포함하고 전하수송물질 및 결합제로 구성되는데, 전하수송물질로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하발생 및 수송물질로서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비스아조계 안료중 하기 구조식(Ⅱ-6-1)을 갖는 후루오레논 디아조 화합물계 안료(이하 디아조안료라 한다)를 전하발생물질로 함유하고, 히드라존 염료중 하기 구조식(Ⅲ-14-1)를 갖는 전하수송물질(이하 히드라존 염료라 한다)을 함유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전성 지지체로서는, 동, 알루미늄, 은, 철, 닉켈 등의 박 내지는 판을 쉬트(sheet)상 또는 드럼(drum)상으로 한것이 사용되며 또는 이들 금속을 푸라스틱 필름등에 진공증착, 무전해도금한 것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결합제로는 전기절연성 재료를 사용하며, 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지 및 이들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전하발생층용의 결합제로서는 폴리에스텔수지, 부티랄수지, 에틸셀룰로오스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틸렌수지, 폴리부타딘엔수지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전하수송층용의 결합제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텔수지, 폴리스틸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실리콘수지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결합제는 전하발생층에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사용하며, 전하수송층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과 같은 에텔류 ;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산과 같은 케톤류 ; 톨루엔, 키시렌과 같은 방향성탄화수소류 ;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극성 용매, 에틸아세테이트, 메틸포메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또는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텔류,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등과 같은 염소화탄화수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중 전하발생층의 형성시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하수송층의 형성시에는 디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하발생층은 전하발생물질(CGM) 2.5중량부, 수지 0.1∼2.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며, 이때 수지의 비율은 2.0중량부에 가까울수록 감도가 떨어지고 0.1중량부에 가까울수록 감도가 좋아지는 특성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0.5∼1.0중량부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전하발생층 형성시 용매는 120∼20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여, 바람직하기로는 160∼180중량부를 사용한다.
전하발생물질은 디아조 안료등 대부분이 불용성이므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전하수송층은 전하수송물질(CTM) 0.5∼2.0중량부, 수지 1중량부, 산화방지제 0.1중량부 이하 2차산화방지제 0.1중량부 이하이되 1차산화방지제와 2차산화방지제의 합이 0.01∼0.1중량부 이하, 용매 7∼1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전하발생층의 두께는 0.05∼1.0㎛, 전하수송층은 10∼30㎛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더불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디아조 안료 2.5중량부, 테트라히드로 푸란 170중량부, 폴리비닐 부티랄수지 1중량부를 볼밀에서 분쇄, 혼합한후 상기 혼합액을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텔 필름상에 스핀코터로 도포시킨후 8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0.3㎛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시킨다.
앞에서 제작한 전하발생층 위에 히드라존 염료 1.3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중량부, 디클로로에탄 8중량부의 용액을 스핀코터로 도포한후 80℃에서 3시간 건조하여 두께 20㎛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시켜 감광체 1을 제조한다.
이와같이 제조된 감광체를 정전특성 측정기(가와구찌덴끼제, SP-428)를 이용하여 정전특성을 측정하였다. 즉, 감광체에 -5.6KV의 코로나 방전을 20초간 행하여 부대전시켜 최대 표면전위를 측정하여 Vmax(-Volt)로 하고, 그 상태에서 그대로 2-초간 암소에 방치(암감쇄)시키고 그때의 표면전위를 측정하여 Vo(-Volt)로 하였으며, 계속해서 텅스텐 램프로 표면이 조도 20Lux가 되도록 광조사를 하여 그 표면전위(Vo)를1/2로 감쇄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sec)을 구하여 노광량 E1/2(Luxㆍsec)으로 하였다. 또한 조도 20Lux에서 20초간 노광후의 표면 잔류전위를 측정하여 VR(-Volt)로 하였다.
이어 감광체를 -5.6KV로 대전시키고 20Lux에서 노광시키는 것을 1싸이클로하여 1회, 1000회, 3000회, 5000회, 10000회 반복하여 상기 정전특성을 측정하였는바 1회, 5000회, 10000회 반복실험 측정치만을 표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하고, 단 전하수송층 형성시 산화방지제로서 표 1실시예 2-6에 기재된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을 0.05중량부 첨가하여 감광체 2-6를 만든다.
정전특성 역시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7-11]
제조방법 및 정전측정방법은 실시예 1에 따르되 7-11별로 표 1에 기재된 1차산화방지제 0.01중량부와 2차산화방지제 0.025중량부를 첨가하여 감광체 7-11을 제조 및 측정하였다.
즉, 표 1에는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의 제조시 사용한 1차산화방지제와 2차산화방지제를, 표 2에는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의 Vmax(-Volt), VO(-Volt), VR(-Volt) 및 감광체의 감도(E1/2Luxㆍsec)측정치를 각각 기재하였다.
[표 1]
[표 2]
감광체 정전 특성변화
표 2에 기재된 측정치를 갖고 비교예라 할수 있는 실시예 1-6과 더불어 본원발명의 실시예 7-11이 우월함을 간단히 설명하면, 실시예 1에서는 표면전위(VO)가 1회시보다 10000회 반복시 약 140(-Volt)의 큰 폭의 차이가 있으며, 잔류전위 및 광감도 역시 244(-Volt), 0.24(LuxㆍSec)의 큰 폭으로 변하고 있어 화상이 안정하지 못하고 내구성도 좋지 못하였으며, 산화방지제 1종이 함유된 실시예 2-6에 따라 제조된 감광체의 정전특성은 1회시부터 10000회 반복실험에 있어서도 표면전위(VO)의 차도 평균 100(-Volt)정도이며, 잔류전위의 차도 평균 40(-Volt) 정도이었으며, 광감도의 차도 평균 0.06(Luxㆍsec)정도로 실시예 1보다 정전특성실험치면에서 많은 개선되었음을 알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최량의 태양인 실시예 7 내지 11의 특성 실험치를 보면, 표면전위의 차가 최대 60(-Volt)이하로 변동폭이 월등히 감소되었고, 잔류전위의 차는 모두 0으로서 그 변동폭이 전무하였으며, 광감도의 폭 역시 0.014 내지 0.018(LuxㆍSec)으로 그 변동폭이 매우적고, 내구성 역시 우수함을 알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감광체는, 감도가 매우 높고, 가소성이 좋으며, 대전노광에 의한 특성이 변화되지 아니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특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량을 성능에는 변화를 주지않도록 가능한 한 소량이 첨가되도록 하여 경시변화에 따른 전하수송물질 또는 첨가제의 석출을 최대한 억제하므로서 감도의 저하 또는 화상농도의 저하를 방지할수 있는 우수한 감광체를 제조할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Claims (27)

  1.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에 있어서, 도전성지지체, 상기 도전성지지체위에 형성된 전하발생층, 상기 전하발생층위에 형성되며 하기 구조식(Ⅰ-1) 내지 (Ⅰ-2)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1산화방지제와 하기구조식(Ⅰ-3) 내지 (Ⅰ-7)을 갖는 화합물로 부터 선택된 1종의 2차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전하수송층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다음과 같고,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은 다음과 같으며,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다음과 같고,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다음과 같고,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는 다음과 같고, C12-C18의 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전하발생층은 전하발생물질과 결합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하발생물질로는 하기 구조식(Ⅱ-1) 내지 (Ⅱ-13)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3. 제1항에 있어서, 전하수송층은 상기 산화방지제와 전하수송물질 및 결합제로 형성되며, 상기 전송물질은 하기 구조식(Ⅲ-1) 내지 (Ⅲ-14)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4. 제1항에 있어서, 전하발생층은 하기 구조식(Ⅱ-6-1)을 갖는 디아조안료 2.5중량부와 수지 0.5∼1.0중량부, 용매 160∼180중량부로 구성되며, 전하수송층은 하기 구조식(Ⅲ-14-1)을 갖는 히드라존 염료 0.5∼2.0중량부, 수지 1중량부, 용매 7∼10중량부, 1차산화방지제 0.1중량부이하, 2차산화방지제 0.1중량부 이하이되 1차 산화방지제와 2차산화방지제의 양의 합이 0.01∼0.1중량부 이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5. 제4항에 있어서, 전하발생층의 수지는 폴리비닐 부티랄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6. 제4항에 있어서, 전하수송층의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7. 제4항에 있어서, 전하발생층의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8. 제4항에 있어서, 전하수송층의 용매는 디클로로에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1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Ⅰ-1)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여기에서, t-bu는 3급 부틸이다.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1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Ⅰ-2-1)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여기에서, t-bu는 3급 부틸이다.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2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Ⅰ-3)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여기에서, R1이고, t-bu는 3급 부틸이다.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2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Ⅰ-6-1)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여기에서, t-bu는 3급 부틸이다.
  1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2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Ⅰ-7-1)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14.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전하 발생층의 두께는 0.05∼1.0㎛이고, 전하수송층의 두께는 10∼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
  15.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전성 지지체위에 전하발생물질 2.5중량부, 결합제 0.5∼1.0중량부 및 용매 160∼180중량부를 넣어 분쇄, 혼합시킨액을 도포하여 전하발생층을 형성한후, 상기 전하발생층위에 전하수송물질 0.5∼2.0중량부, 결합제 1중량부, 하기 구조식(Ⅰ-1) 내지 (Ⅰ-2)을 갖는 1차산화방지제 0.1중량부이하 및 하기 구조식(Ⅰ-3) 내지 (Ⅰ-7)를 갖는 2차산화방지제 0.1중량부 이하이되 1차산화방지제와 2차산화방지제의 합이 0.01∼0.1중량부이하를 용매 7∼10중량부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을 도포하여 전하수송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다음과 같고,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은 다음과 같으며,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은 R1이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다음과 같고, t-bu는 3급 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다음과 같고, t-bu는 3급부틸이다)
    (상기식에서, R1는 다음과 같고, C12-C18의 알킬이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발생 물질은 하기 구조식(Ⅱ-1) 내지 (Ⅱ-13)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수송물질은 하기 구조식(Ⅲ-1) 내지 (Ⅲ-14)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전하발생물질은 하기 구조식(Ⅱ-6-1)을 갖는 디아조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전하수송물질은 하기구조식(Ⅲ-14-1)을 갖는 히드라존 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1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Ⅰ-1-1)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여기에서, t-bu는 3급 부틸이다.
  21. 제15항에 있어서, 1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여기에서, t-bu는 3급 부틸이다.
  22. 제15항에 있어서, 2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Ⅰ-3)
    여기에서, R1이고, t-bu는 3급 부틸이다.
  23. 제15항에 있어서, 2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Ⅰ-6-1)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여기에서, t-bu는 3급 부틸이다.
  24. 제15항에 있어서, 2차산화방지제는 하기 구조식(Ⅰ-7-1)을 갖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전하 발생층의 두께는 0.05∼1.0㎛이고, 전하수송층의 두께는 10∼3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전하발생층의 결합제는 폴리비닐부틸랄수지이고, 전하수송층의 결합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27. 제15항에 있어서, 전하발생층의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이고, 전하수송층의 용매는 디클로로에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방법.
KR1019910015278A 1991-09-02 1991-09-02 전자사진 감광체 KR940002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278A KR940002842B1 (ko) 1991-09-02 1991-09-02 전자사진 감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278A KR940002842B1 (ko) 1991-09-02 1991-09-02 전자사진 감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503A KR930006503A (ko) 1993-04-21
KR940002842B1 true KR940002842B1 (ko) 1994-04-04

Family

ID=1931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278A KR940002842B1 (ko) 1991-09-02 1991-09-02 전자사진 감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8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503A (ko)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842B1 (ko) 전자사진 감광체
KR940002844B1 (ko) 전자사진 감광체
KR940002117B1 (ko) 전자사진 감광체
KR940002843B1 (ko) 전자사진 감광체
KR940002118B1 (ko) 전자사진 감광체
JPH05204175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446350A (ja) 感光体
KR940002116B1 (ko) 전자사진 감광체
US5055615A (en) Novel Squarium compounds,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s containing them
JP2833222B2 (ja) 電子写真感光体
KR940002115B1 (ko) 전자사진 감광체
JP2643216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446348A (ja) 感光体
JPH0255362A (ja) 電子写真感光体
EP0161005B1 (en) Novel squarium compound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s containing the same
US5210301A (en) Squarium compound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s containing the same
JPH02180884A (ja) 新規な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顔料並びに電子写真感光体
JPH0254942B2 (ko)
JPH0118415B2 (ko)
JPH0120421B2 (ko)
JPH05181293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S59100449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118421B2 (ko)
JPS6134546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4353861A (ja) 電子写真感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