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667Y1 - Tab번인 시험용 소켓 - Google Patents

Tab번인 시험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67Y1
KR940002667Y1 KR2019900006601U KR900006601U KR940002667Y1 KR 940002667 Y1 KR940002667 Y1 KR 940002667Y1 KR 2019900006601 U KR2019900006601 U KR 2019900006601U KR 900006601 U KR900006601 U KR 900006601U KR 940002667 Y1 KR940002667 Y1 KR 940002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member
socket
support
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1177U (ko
Inventor
헬로프 피터슨 커트
파블로 리오스 주안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9000211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11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5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 H05K7/1061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 H05K7/1069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with spring contact pie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75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for TAB 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TAB번인 시험용 소켓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의 평면도.
제 2 도는 코움 및 접촉부재가 제거되고 내부에 캐리어 장치를 구비한 소켓의 정면도.
제 3 도는 베이스 덮개판이 제거된 상태에서 4개의 코움 및 접촉 부재중 3개를 도시하는 소켓 베이스의 프레임에 대한 평면도.
제 4 도는 베이스 프레임 덮개판에 대한 평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라인 5-5를 따라서 절취된 소켓의 단면도.
제 6 도는 코움 및 접촉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코움 및 접촉 부재에 대한 횡단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와 제 7 도의 코움에 대한 부분수직 단면 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켓 11 : 베이스
12 : 커버 13, 14, 18 : 이어
17 : 피벗폴 20 : 캐리어
25 : 프레임 30 : 중앙 정방형 개구
31, 32, 33, 34 : 개구 35 : 빔
40 : 코움 및 접촉부재 42 : 슬롯
50 : 덮개판 53, 104 : 중앙 개구
55 : 코움 56, 57, 58 : 접촉부재
60, 61, 62 : 핀 64 : 상부벽
72 : 탭 80 : 접촉단부
81 : 중간 본체 부분 86, 87 : 외팔보 빔
90 : 장방형 프레임 95 : 원형판
100 : 작동부재 110 : 상부판
본 고안은 촘촘히 박힌 패드를 가진 하이 리드 카운트(high lead count;칩(패드)의 표면상에 리드의 수가 매우 많은 것)의 테이프 자동 결합형(tape automated bonded;TAB) 초대규모 집적 회로(이하, TAB IC 소자라 칭함)의 번인(burn-in) 및 시험(test)을 위해 구조적 강도를 개선한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접촉부재 및 이와 관련된 테이프 패드 사이의 정렬을 개선하고 그 정렬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개선된 접촉부재 장착용 코움(comb) 및 접촉 부재(contact member)에 관한 것이다.
TAB IC 소자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된 리드리스 칩캐리어(leadless chip carrier)의 하이 리드 카운터는 소켓설계에 있어서 그 특유한 문제점을 갖는데, 이는 각 접촉부재가 신뢰성 있는 전기 접촉을 보장하도록 TAB-시험 패드에 대해 충분한 힘으로 눌러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모든 접촉부재에 가해지는 힘은 부가적인 것이며 소켓의 강도에 의해 견뎌낼 수 있어야 한다. 소켓은 TAB IC 소자를 외부에 전자 부품에 접속시키기에 충분한 접촉부재를 가져야 한다. 또한 소켓은 TAB IC 소자와 캐리어를 정확히 위치시키고 시험 지점을 접촉시키기 위해 접촉부재의 베치 및 편향을 조절하며, 접촉 손실이 없이 열팽창 변화를 수용하고, 열순환을 통하여 신뢰성 있는 전기 접속을 보장하도록 충분한 고레벨의 힘을 제공하는 수단을 제공하여야 한다.
집적 회로(IC) 소자의 번인(burn-in) 및 시험을 위한 종래의 장치는 정렬, 패드와의 접촉압력 및 콰드 팩 설계(quad park design)에 있어서 많은 한계점을 갖는다. 그러한 소켓 구성의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 4, 378, 139 호와 제 4, 553, 805 호에 개시되어 있다. IC 소자용의 이러한 소켓들은 캐리어의 시험 패드 상에서 와이핑 작용을 하는 접촉부재와 함께 형성되고, 캐리어를 접촉부재에 대해 억압하기 위해 캐리어가 수직이동하는 동안 접촉부재가 선회하여 상기 패드와 접촉부재의 단부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변화된다. 또한 소켓은 접촉부재와 패드의 크기를 제외하고 TAB 소자, 소켓 및 접촉부재의 서로다른 열팽창을 발생하는 온도 순환중에 접촉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제공되어 있지 않다.
본 고안은 현재의 소켓을 개선한 것으로, 접촉부재는 패드 접촉 단부의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그러한 접촉부재는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과 아울러 양호한 전기 접촉을 유지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재를 지지하는 코움은 상기 접촉부재와 패드 사이에서 밀도를 증가시키며, 이러한 코움은 소켓의 측면상에서 개별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소켓은 코움에 대한 강한 지지부를 가지며, 코움의 팽창 및 상기 접촉부재의 이동은 코움의 중심부에서 단부까지의 이동으로 제한되고, 상기 캐리어는 수직 이동되고, 접촉부재의 이동이나 클램핑 또는 래칭 장치의 선회 이동으로 인한 TAB 캐리어의 굽힘(buckling)을 야기시키는 수평 이동 성분을 갖지 않으며, 힘 전달 기구는 간단한 구조이며 여러 접촉부재들과 신뢰성 있는 접촉이 가능하도록 캐리어에 대해 충분한 힘을 인가하는데 있어 간단히 작동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복수의 촘촘히 박힌 패드를 구비한 집적 회로 소자의 시험 및 번인을 위한 개량된 소켓을 제공한다. 소켓은 복수의 접촉부재에 대한 지지부를 갖는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재를 서로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각 접촉부재는 캐리어내의 TAB 패드와 압력 접촉하는 접촉단부와, 상기 접촉 단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본체 부분과, 전자 설비 부품과 접속을 이루는 접속 단부로 구성된다. 상기 접촉단부는 중간 본체 부분과 관련하여 그 접촉 단부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굴곡 영역에 접속된 직선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굴곡 영역은 상기 지지부와 관련하여 그 제 1 굴곡 영역 및 상기 접촉 단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아치형의 제 2 굴곡 영역에 결합된다. 상기 중간 본체 부분은 상기 접촉부재를 지지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접촉부재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접촉 단부를 접속 단부에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접촉부재를 서로 근접하게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코움 형태로서, 접촉 단부 및 서로 이격된 접속 단부의 행(row)을 제공한다. 상기 코움은 개선된 지지를 위해 소켓의 빔 상에 장착되며, 부품들사이의 열 팽창자의 해로운 효과를 줄이도록 형성된다.
소켓은 접촉부재의 위치를 결정하고 코움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빔과, 상기 빔과 관련하여 캐리어를 정확히 위치시키는 정렬 수단을 형성하는 수단을 갖는 프레임과; 복수의 접촉부재 지지 코움을 구비하는데, 각각의 지지코움은 복수의 접촉부재를 각각 지지한 상태로 각각의 빔상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재를 서로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소켓은 접촉부재의 접촉 단부에 대해 TAB 소자의 패드를 가압하는 힘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캐리어 및 프레임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구비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도시가 용이하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했다.
본 고안의 소켓(10)은 베이스(11)와 커버(12)를 구비하는데, 상기 커버(12)는 이어(13, 14)와, 힌지핀(15)에 의해 베이스(11)에 힌지결합된다. 스프링(16)(제 5 도)은 커버(12)를 상승 위치로 부세시킨다. 커버는 피벗 폴(pawl;17)에 의해 밀폐 및 래치되는 위치로 유지되며, 폴(17)은 핀(19)에 의해 베이스의 대향측면상에서 이어(18)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비틀림 스프링은 제 1, 제 2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12)의 좌측 연부상의 립(lip)을 래칭하는 위치로 폴을 부세한다.
베이스(11)는 금속 또는 절연 물질, 예를들면 유리 강화 폴리술폰으로 가공 또는 성형된 프레임(25)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은 그위에 이어(14, 18)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26) 및 하부면(27)을 구비한다. 프레임(25)은 수직으로 배치된 빔(35)을 지지하기 위한 좁고 두터운 장착부를 형성하는 서로 대칭이격된 개구(31, 32, 33, 34)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장방형 개구(30)를 구비한다. 각각의 빔(35)은 중앙에 배치된 위치 설정 수단인 돌출부(36)를 구비한다. 빔(35)의 상부면과 상기 개구(31, 32, 33, 34)의 단부 영역은 코움 및 접촉부재(40)를 수용하기 위해 약간 리세스되어 있다. 프레임(25)은 개구(30)의 코너에 배치된 직립 선형 타워(standing alignment tower)(41)를 구비한다. 각각의 타워(41)는 베이스 덮개판(50)의 개구에 배치된 6각 베이스와, 내부에 대각선으로 형성된 슬롯(42)을 갖고 있는 소형 정사각형 상부 부분 및 타워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개구(44)를 구비한다. 슬롯(42)은 캐리어(20)내에 도시하지 않은 핀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프레임(25)에 상기 캐리어를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배치되며, 또는 캐리어는 상기 개구(44)가 위치 설정핀의 설치를 제공하도록 그 위치 설정핀을 수용하는 홀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정렬핀(45)은 캐리어를 적당한 방위로 위치시키도록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의 인접 연부의 리세스내에 수용되도록 베이스 프레임(25)에 장착된다. 프레임(25)내에 다른 개구는 상기 코움 및 접촉 부재(40)를 통해 프레임(25)상에 상기 베이스 덮개판(50)을 고착시키는데 사용되는 PC 보드 장착 스크류를 수용한다.
덮개판(50)은 상부면(26)상에 위치하며, 코움 및 접촉부재(40)의 상부가 연장하는 개구(51)를 갖는다. 덮개판(50)은 코움 및 접촉부재(40)가 빔(3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코움 및 접촉 부재(40)의 단부상의 탭(72)과 결합된다. 상기 덮개판(50)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렬핀(45)을 수용하는 3개의 홀(52)과, 하나의 중앙 개구(53)와, 타워 및 어셈블리 패스너를 수용하는 홀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코움 및 접촉(40)는 제 6, 7, 8 도에 상세히 도시된다. 코움 및 접촉 부재(40)는 코움(55)과 복수의 접촉 부재를 구비한다. 3개의 상이한 형상으로 예시된 접촉부재는 제 7 도에 56, 57, 58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접촉부재(56, 57, 58)는 각각의 핀(60, 61, 62)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면 그 구성은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코움(55)은 양호하게 강한 중합 전기 절연 물질로 가공 또는 성형되어 있고, 대향 단부를 갖는 중앙에 배치된 상부벽(64)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벽은 상기 대향 단부 사이에서 상기 코움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벽(64)은 상부의 대향면 및 서로 이격된 레그(65, 66)로 형성된 베이스를 구비한다. 레그(65, 66)는 서로 대향하게 외부로 돌출하여 셸프(67, 68)를 형성하는 다리들을 가지며, 그 상부 및 하부면은 접촉부재에 대한 고정 수단을 형성한다. 상부벽은 서로 이격된 얇은 분할부 또는 거싯(gusset)(69)에 의해 베이스로부터 대향측면 상에 지지되며, 상기 셸프(67, 68)는 그 상부 및 하부면상에 각각 유사하게 정렬된 분할부(70, 71)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 접촉부재(56, 57, 58)가 배치된다. 탭(72)은 상부벽(64)의 각 단부에 배치되며, 상술한 바와같이, 베이스 덮개판과 접촉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연장한다. 레그(65, 66)는 서로로 부터 분기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 빔(35)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홈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있다. 원통형 볼록 돌출부(75)는 상기 레그의 양측면을 따라서 이격지게 형성되며, 빔상의 지지 코움을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빔(35)의 대향하는 양측면과 라인 접촉을 형성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다. 코움의 베이스는 코움(55)을 빔상에 세로 방향으로 위치 설정하는 라인 돌출부(36)를 수용하기 위해 그 중심부에 형성된 리세스(76)를 구비한다.
각 접촉부재(56, 57, 58)는 TAB 소자나 캐리어상에서 접촉 패드와 압력 접촉되는 접촉단부(80)와, 상기 접촉단부(8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본체 부분(81)과, 전자 설비 부품과 접속하는 접속단부를 형성하는 핀(60, 61, 62)을 구비한다. 접촉단부(80)는 코움(55)의 상부벽(64)과 관련하여 접촉 단부(80)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본체 부분(81)의 아치형 제 1 굴곡 영역(83)에 접속되는 직선 부분(82)을 구비한다. 제 1 굴곡 영역(83)은 코움(55)의 상부벽(64)과 관련하여 접촉단부(8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반대로 굽은 아치형 제 2 굴곡 영역(84)에 결합된다. 접촉 단부(80)와 상부벽(64)의 기하학적 관계는 접촉 단부가 제 7 도의 비굴곡 위치로 부터 제 5 도에 도시된 굴곡 위치까지 완전히 변이될 때에 대략 0. 002인치(0. 05mm)의 수평 이동을 하여 TAB 소자 또는 캐리어의 시험 패드상에서 적당한 와이핑 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패드상에서 생길 수도 있는 임의의 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중간 본체 부분(81)은 코움에 대해 접촉부재를 고정하는 접촉부재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중간 본체 부분(81)의 고정 수단은 서로 이격된 한쌍의 외팔 보빔(86, 87)을 구비하는데, 그들중 하나의 빔(86)은 셸프(shelf)(67, 68)의 상부면과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빔(87)은 셸프의 하부면과 결합된다. 빔(86)은 두개의 이격된 분할부(69, 70, 71) 사이에 코움상에 접촉부재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셸프의 상부면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바브(barb)(88)를 구비한다. 핀(60, 61, 62)은 PC 보드, 소켓 또는 다른 접촉부재와 같은 전자 설비 부품에 상기 접촉부재를 접속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커버(12)는 상기 접촉부재와 양호한 전기 접촉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촉 단부(80)를 향하여 수직 또는 직선방향으로 TAB 소자나 캐리어의 패드를 강하게 누르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12)는 중앙 장방형 개구(91) 및 상기 개부(91)를 둘러싸는 상부면내의 원형 리세스(92)를 갖는 장방형 프레임(90)을 구비한다. 상기 원형 리세스(92)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보어는 스프링(94)을 수용한다. 장방형 프레임(90)에는 이어(13)가 형성되고 또한 폴(17)가 결합되는 립(lip)이 형성된다. 원형 리세스(92)내에는 리브(96)를 구비한 원형판(95)이 배치되는데, 상기 리브(96)는 상기 장방형 개구(91)를 통해서 연장되고 패드와 대향한 TAB 소자 또는 캐리어의 표면과 접촉하는 평면내의 평탄 표면에서 종료된다. 원형판(95)의 대향 측면에는 복수의 아치형 경사부 또는 캠표면(98)이 형성된다. 원형판(95)의 경사면 상에는 한 연부로 부터 방사상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버(101)와, 이 레버에 고정된 노브(102)를 가지고 있는 평판 디스크 형태의 작동부재(100)가 위치된다. 작동부재 즉, 디스크(100)는 중앙 개부(104)를 가지며, 또한 캠 표면(98)의 상부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슬롯(105)을 구비한다. 슬롯(105)은 각각 한쌍의 원통형 롤러(109)를 수용하는데, 상기 원통형 롤러는 캠표면(98)과 결합하여, 작동부재(100)의 회전시에 원형판(95)의 수직 이동을 제공한다. 상부판(110)은 작동부재(100)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장방형 프레임(90)상부에 고정되며, 이로써 작동부재(100)의 회전 운동을 캠표면을 통한, 그리고 스프링(94)의 부세력에 대항하는 원형판(95)의 수직 운동으로 변환한다. 상부판(110)은 장방형 프레임(90)과 함께 서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PC 보드 패스닝 스크류에 의해 장방형 프레임(90)에 고정된다.
원형판(95)의 수직 이동은 빔(35)상의 코움내에 지지된 접촉부재의 접촉 단부쪽으로 TAB 소자나 캐리어를 구동시킨다. 코움의 중앙 장착에 의해서 빔의 중앙 돌출부(36)로 부터 세로 방향으로의 코움의 팽창은 제한되며, 빔의 어떠한 이동도 동일한 중심 위치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행해진다. 접촉부재의 접촉 단부의 이동은 상술한 바와같이 수직으로 행하여지며, 이로써 접촉부재에 의해 TAB 소자의 굽힘 또는 다른 변형이 억제된다. 접촉부재는 두개의 서로 엇갈리는 행(staggered row)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분할부를 상부벽(64)과 관련하여 서로 대향하게 배치하여 접촉 단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접촉부는 코움의 한 측면상에서 하나의 행으로만 배치될 수도 있다.
빔(35)의 폭은 굴곡된 접촉부재에서 발생된 힘이 흡수되고, 패드의 행의 중심이나 단부에서 캐리어의 시험패드에 대한 접촉부재의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는 코움의 왜곡을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로 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서술하였지만 이는 제한 사항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기재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통로를 통해 집적 회로 소자의 리드에 접속되는 복수의 패드를 가진 테이프상에 장착된 집적 회로 소장의 시험 및 번인용 소켓으로서, 복수의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를 서로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수단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움 및 접촉 부재를 구비한 소켓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부재는 상기 테이프상의 패드와 압력접촉되는 접촉 단부와, 상기 접촉 단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본체 부분과, 전자 설비 부품에 접속되는 접속 단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접촉 단부는 상기 중간 본체 부분에 대하여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상기 중간 본체 부분의 제 1 굴곡 영역에 접속된 직선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굴곡 영역은 상기 지지부와 관련하여 상기 접촉 단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곡면을 이룬 아치형 제 2 굴곡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 본체 부분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접촉부재 고정 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접촉 단부를 상기 접속 단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소자의 시험 및 번인용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움 및 접촉 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재의 접촉 단부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단부 및 베이스를 갖는 상부벽을 구비하며, 상기 한 측면은 상기 접촉부재를 서로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수단을 가지며,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접촉부재를 한쌍의 분할부사이에 수용하는 폭이 좁은 분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움 및 접촉 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한 측면에서 상기 상부벽의 베이스로부터 외향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접촉부재의 고정 수단을 수용하는 셸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움 및 접촉 부재의 지지부는 대향 단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벽은 상기 대향 단부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부 및 대향 측면과 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재를 이격하는 수단과, 상기 대향측면으로 부터 연장하는 분할부 및 셸프를 구비하는데, 상기 셸프는 상기 각 접촉 부재의 고정 수단을 수용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셸프 사이에서 리브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셸프에 결합되며, 프레임상에서 상기 지지부를 장착하는 상기 상부벽 아래로 이격된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재의 상기 접촉 단부는 상기 상부벽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를 넘어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이격진 측면은 상기 벽의 베이스로 부터 분리되며, 각 측면은 프레임과 미끄럼 접촉하는 평행 이격진 원통형 표면에서 종료하는 대향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개구를 형성하는 복수의 빔과 복수의 코움 및 접촉부재를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각각의 코움은 각각의 빔 상에서 하나씩 배치되며, 각각의 빔은 그 빔상에 지지 코움을 정렬시키기 위해 그 중앙부에 형성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테이프, 집적 회로 소자 및 테이프 패드를 상기 접촉 단부에 대해 센터링 및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프레임쪽으로 및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커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접촉 단부의 직선 이동을 유발하는 충분한 힘으로 상기 테이프와 패드를 상기 접촉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와 패드를 구동시키는 수단은 상기 접촉부재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위치되고, 대향하는 양측을 가지며, 그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여 상기 접촉부와 정렬되는 리브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캠표면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판과, 상기 원형판의 캠표면과 결합하여 상기 리브를 상기 접촉부쪽으로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KR2019900006601U 1989-05-19 1990-05-17 Tab번인 시험용 소켓 KR9400026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54,903 US4986760A (en) 1989-05-19 1989-05-19 Socket for tab burn-in and test
US354903 1989-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1177U KR900021177U (ko) 1990-12-14
KR940002667Y1 true KR940002667Y1 (ko) 1994-04-22

Family

ID=2339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601U KR940002667Y1 (ko) 1989-05-19 1990-05-17 Tab번인 시험용 소켓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86760A (ko)
JP (1) JPH0717024Y2 (ko)
KR (1) KR940002667Y1 (ko)
DE (1) DE9004918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4267A (en) * 1991-06-04 1997-06-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known good semiconductor die
JPH0715826B2 (ja) * 1989-12-28 1995-02-22 山一電機工業株式会社 Icソケット
JP3022593B2 (ja) * 1990-10-31 2000-03-21 株式会社秩父富士 Icソケット
JPH0736343B2 (ja) * 1991-05-02 1995-04-19 山一電機株式会社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5177436A (en) * 1991-05-21 1993-01-05 Aseco Corporation Contactor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 chips mounted in molded carrier rings
US5247250A (en) * 1992-03-27 1993-09-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tegrated circuit test socket
US5440231A (en) * 1993-04-19 1995-08-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a tester
JP3054003B2 (ja) * 1993-09-01 2000-06-19 株式会社東芝 Icコンタクタ
JPH07211416A (ja) * 1994-01-10 1995-08-11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US5376010A (en) * 1994-02-08 1994-1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urn-in socket
US5427536A (en) * 1994-03-29 1995-06-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ocket for tab testing
JP3840667B2 (ja) * 1995-01-13 2006-11-01 株式会社エンプラス Icソケット
US5498970A (en) * 1995-02-06 1996-03-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Top load socket for ball grid array devices
US5562470A (en) * 1995-06-27 1996-10-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m actuated socket for gull wing device
US5791914A (en) * 1995-11-21 1998-08-11 Loranger International Corporation Electrical socket with floating guide plate
US5788524A (en) * 1996-07-22 1998-08-0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Test clip with standard interface
JP2008041322A (ja) * 2006-08-02 2008-02-21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Icソケット
EP2337816B1 (en) 2008-10-14 2013-09-18 Solvay Sa Composition based on a vinyl halide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6895A (en) * 1978-09-27 1979-12-04 Burroughs Corporation High density double contacting connector assembly for leadless integrated circuit packages
US4341433A (en) * 1979-05-14 1982-07-27 Amp Incorporated Active device substrate connector
US4376560A (en) * 1980-12-15 1983-03-15 Amp Incorporated Socket for a ceramic chip carrier
US4378139A (en) * 1981-07-14 1983-03-29 Wells Electronics, Inc. Integrated circuit carrier connector
US4553805A (en) * 1984-01-23 1985-11-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hip carrier connector
US4630875A (en) * 1984-07-02 1986-12-23 Amp Incorporated Chip carrier socket which requires low insertion force for the chip carrier
JPS61219874A (ja) * 1985-03-27 1986-09-30 Hitachi Micro Comput Eng Ltd ソケツト
US4799897A (en) * 1985-12-30 1989-01-24 Dai-Ichi Seiko Kabushiki Kaisha IC tester socket
JPS62165161A (ja) * 1986-01-17 1987-07-21 Nippon Texas Instr Kk ソケツト
JPH0518708Y2 (ko) * 1986-04-14 1993-05-18
JPS6317550A (ja) * 1986-07-10 1988-01-25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Ic載接形ソケツト
JPH01119043A (ja) * 1987-10-31 1989-05-11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Ic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7024Y2 (ja) 1995-04-19
JPH02148483U (ko) 1990-12-17
KR900021177U (ko) 1990-12-14
US4986760A (en) 1991-01-22
DE9004918U1 (ko) 199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667Y1 (ko) Tab번인 시험용 소켓
JP2834893B2 (ja) 集積回路デバイスと共に用いるソケット組立体
US4220383A (en) Surface to surface connector
US4278311A (en) Surface to surface connector
US6776624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782614B2 (en) Contact pin assembly, contact pi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contact pin assembling structure, contact pin assembling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4789345A (en) Socket device for fine pitch lead and leadless integrated circuit package
US4427249A (en) Low height ADS connector
US3763459A (en) Plug-in type sockets for testing semiconductors
US6449157B1 (en) IC package assembly with retention mechanism
US7121858B2 (en) Socket for ball grid array devices
JP3270716B2 (ja) ソケット及び半導体装置の取付方法
CA2122508C (e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tacts
US4018494A (en) Interconne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vertically stacked electronic packages
US69579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ifferent pitch terminals
USRE32370E (en) Low height ADS connector
US6022236A (en) Electrical terminal
US5427536A (en) Socket for tab testing
US20030148650A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280218B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JP3755715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5547389A (en) Integrated circuit chip socket
JPH0922760A (ja) 携帯電話におけるfpcと基板の接続構造
US6181568B1 (en) Electrical apparatus
US6814602B1 (en) Test connector with leaf sp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