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483B1 - 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483B1
KR940002483B1 KR1019890008777A KR890008777A KR940002483B1 KR 940002483 B1 KR940002483 B1 KR 940002483B1 KR 1019890008777 A KR1019890008777 A KR 1019890008777A KR 890008777 A KR890008777 A KR 890008777A KR 940002483 B1 KR940002483 B1 KR 94000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update
record
wo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176A (ko
Inventor
도시오 가시오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54118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06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75414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47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754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4740A/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제1a 및 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
제2도는 유닛(12)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3a 내지 c도는 테이블 A의 데이터 설정형식 및 데이터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4a 내지 d도는 테이블 C의 데이터 설정형식 및 데이터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유닛(2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6도는 유닛(21)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7도는 유닛(23)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8a 내지 c도는 각 화일에 있는 레코드의 워드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제5도를 세부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10도는 디스플레이 형식을 예시하는 도면.
제11도는 워크메모리(26)에서의 레코드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제6도를 세부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13도는 단일 입력레코드와 두개의 갱신레코드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유닛(28)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과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15도는 화일갱신상황을 예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제5도를 세부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17도는 중간 레코드의 화일갱신상황을 예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키이보드 13 : PS 화일
14 : 입력워드메모리 16 : 화일워드메모리
17 : 디스플레이워드메모리 18 : 프린트워드메모리
20 : 입력처리유닛 21 : 갱신레코드 발생유닛
22 : 디스플레이처리유닛 23 : 프린트처리유닛
24 : 인덱스테이블메모리 26 : 워크메모리
27 : 갱신레코드메모리 28 : 화일갱신유닛
본 발명은 입력데이타나 임의의 화일(file)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서 상이한 형태의 데이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사들은 종종 다양한 업무라인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회사의 산업분야가 동일할지라도 서로다른 회사는 상이한 업무라인을 가진다.
또한 어떤 회사는 사무실에 따라 각 사무실에서는 상이한 업무라인을 가질수도 있다.
따라서 각 사무실에서는 상이한 형태의 데이터가 취급되어야 한다. 그렇게 다양한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각 회사는 업무에 사용하기 위한 사무자동화기기 및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었다.
통상, 컴퓨터는 회사가 요구하는대로 작동하도록 특정시스템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
시스템 디자인은 컴퓨터를 바람직하게 작동하도록 기계어와 같은 프로그래밍 어로된 프로그램을 코딩함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컴퓨터를 바람직하게 작동하기위해 시스템 기술자는 업무상 필요사항과 업무라인을 분석하여야 하고 프로그래머는 그러한 분석결과에 따라서 프로그램을 코드해야 한다.
각 컴퓨터는 예를 들어, 주문접수전표, 판매전표, 구매전표, 교통비계산서 계정의 수송전표, 신용전표 등과 같은 상당히 많은 형태의 업무전표를 사용한다.
하기 설명에서 그러한 전표, 서식, 레코드 등은 단지 설명을 위해 간단히 "전표"라고 한다.
회사에서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 디자인은 각각의 업무 즉, 각각의 처리형태에 대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시스템 디자인은 번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당한 지식을 요구하는 프로그래밍에 수반되는 시스템 디자인분석을 행할 필요가 없이 워드테이블이 상응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상응하는 시스템디자인을 간략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화일갱신장치로, 입력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다수의 워드데이터로 구성되는 레코드를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수단(11,20,26)과 ; 화일에 해당하는 화일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를 입력레코드로부터 추출하고, 화일에 해당하는 화일갱신형태 코드와 추출된 워드데이터로 구성되는 갱신레코드를 준비하기 위한 준비수단(21)과 ; 입력레코드에 상응하는 준비된 갱신레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27)과 ;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각각의 갱신레코드를 독취하고, 독출된 갱신레코드에 포함된 화일갱신형태 코드에 상응하는 갱신형태에 응하여 독출된 갱신레코드에 따라서 화일의 레코드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수단(2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부수도면을 참고로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완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a 및 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의 블록다이아그램이다.
제1a 및 b도에서 키이보드(11)는 각종 입력키이, 전표처리업무 및 총합처리업무등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키이, 모드지정키이등을 구비하고 있다.
키이코 보드(11)에서 입력된 입력데이터와 지정데이터는 편집처리유닛(12)으로 공급된다.
편집처리유닛(12)은 PS 화일(13)과 디스플레이유닛(14)에 연결되어 있다.
PS 화일(13)은, 각종 처리업무에 따라서, 입력워드를 규정하는 워드테이블(이하 테이블 A라 함), 갱신레코드발생유닛(21)에 관한 처리기능을 규정하기 위한 워드테이블(이하 테이블 C라 함), 디스플레이와 워드에 디스플레이 형식을 규정하기 위한 규정데이터(이하 테이블 D라 함), 그리고 프린트워드와 프린트형식을 규정하기 위한 워드테이블(이하 테이블 E라 함)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디스프레이 형식은 프린트형식과 동일하여도 좋다.
PS 화일(13)은 임의의 PS 번호에 일치하여 처리업무에 따른 PS를 기억한다.
키이보드(11)에서의 지정에 따라 편집처리유닛(12)은 PS 화일(13)에서의 한처리업무에 상응하는 각각의 처리업무 판독테이블 A, C, D 및 E에 의해 테이블 A, C, D 및 E을 설정하고, 테이블 A, C, D 및 E를 각각 입력워드메모리(14), 화일워드메모리(16), 디스플레이워드메모리(17), 그리고 프린트워드메모리(18)에 적재한다.
그런 다음 유닛(12)은 입력처리유닛(20)에 개시명령을 내린다.
입력워드메모리(14)에 적재된 테이블 A, 화일워드메모리(16)에 적재된 테이블 C, 디스플레이워드메모리(17)에 적재된 테이블 D, 그리고 프린트워드메모리(18)에 적재된 테이블 E 등은 각각 입력처리유닛(20), 갱신레코드발생유닛(21), 디스플레이처리유닛(22), 그리고 프린트처리유닛(23) 등과 짝을 이룬다.
입력처리유닛(20)은 키이보드(11), 마스터화일(29), 인덱스테이블메모리(24), 그리고 워크메모리(26)에 연결되어 있다.
인덱스테이블메모리(24)는 현재의 날짜데이터, 전표의 발행에 따라 자동으로 갱신되는 전표번호데이터 그리고 각각 항목 코드에 상응하는 항목명 데이터 및 단가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테이블 A에 기억된 것에 따라 입력처리유닛(20)은 키이보드(11)에서의 데이터 또는 마스터화일(2)에서의 데이터에 관한 처리 작동을 수행한다.
유닛(20)은 워크메모리(26)에서의 상기 작동에 의해 얻어진 워드데이터를 기억하고, 갱신레코드발생유닛(21)과 프린트처리유닛(23)에 개시명령을 내린다.
갱신레코드발생유닛(21)은 갱신레코드메모리(28)에 연결되어 있다. 갱신레코드발생유닛(21)은 입력처리유닛(20)에서의 개시명령에 따라 처리작동을 개시하며, 화일워드메모리(16)에 기억된 화일워드테이블에 따라서 워크메모리(26)에서의 워드데이터를 판독하고 워드데이터로 구성된 갱신레코드를 발생하며, 이를 갱신레코드메모리(28)에 기억시킨다.
갱신레코드는 갱신될 화일의 화일명 코드와, 화일갱신형태 코드 그리고 각각 화일의 레코드의 것과 동일한 워드배열을 갖는 키이워드데이터와 갱신워드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갱신레코드메모리(27)는 다수의 갱신레코드를 기억한다. 메모리(27)에 있는 각각의 갱신레코드는 키이보드(11)에서의 명령에 따라 화일갱신유닛(28)에 공급된다.
화일갱신유닛(28)은 갱신레코드에 상응하는 마스터화일(28)중의 화일을 갱신한다.
디스플레이처리유닛(22)은 디스플레이워드메모리(17)에 기억된 디스플레이워드테이블에 따라서 워크메모리(26)에서의 워드데이터를 판독하고, 워드데이터를 디스플레이유닛(30)에 디스플레이한다. 프린트처리유닛(23)은 입력처리유닛(20)에서의 개시명령에 따라서 프린트작동을 개시하며, 프린트워드메모리(18)에 기억된 프린트워드테이블에 따라서 워크메모리(26)에서의 워드데이터를 판독하며, 프린터(31)를 구동하여 워드데이터를 프린트해낸다.
편집처리유닛(12), 입력처리유닛(20), 갱신레코드발생유닛(21), 그리고 프린트처리유닛(23)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과정을 도면을 참고로 서술하고자 한다.
소망하는 처리업무에 상응하는 PS 화일(13)에 설정되면 키이보드(11)를 통해 편집모드가 지정된다. 그런 다음 키이보드(11)를 통해 임의의 PS 번호가 지정된다. 편집모드와 PS 번호의 지정 데이터는 키이보드(11)에서 유닛(12)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편집처리유닛(12)은 제1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작동을 수행한다.
편집처리유닛(12)은 스텝 A1에서 키이보드(11)로부터의 PS 번호지정의 존재여부를 체크한다.
PS 번호가 지정되면 유닛(13)은 스텝 A2에서 편집모드가 지정되었는가 안되었는가를 결정한다.
편집모드가 지정되었으면 유닛(12)은 스텝 A3에서 작동자가 테이블형태를 지정하도록 기다린다.
스텝 A3에서, 작동자가 테이블 A의 형태를 지정하면 유닛(12)은 스텝 A4에서 디스플레이유닛(15)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제3a도에 도시된 테이블 A 형식을 디스플레이하며, 스텝 A5에서 유닛(12)은 화일명, 총합조건 및 워드테이블의 데이터로 된 테이블 A 형식에 따라서 작동자로부터 입력작동을 기다린다.
각각의 입력데이터는 편집메모리(121)에 기억된다.
제3b 및 c도는 테이블 A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3b도에 도시된 예에서 화일명과 총합조건을 입력되지 않았지만, "날짜", "전표번호", "고객코드", "항목코드", "수량", "단가" 그리고 "금액"이 워드테이블로 입력되어 있다.
테이블 1A는 이와 같이 전표처리업무를 위해 사용된다.
제3c도에 도시된 예에서, 화일명으로서 "판매화일"이 입력되어 있고, 총합조건으로서 "키이워드의 상부 7숫자"가 입력되어 있으며, 워드테이블로서 "날짜" 및 "금액"이 입력되어 있다.
제3c도에 도시된 테이블 A는 총합처리업무를 위해 사용된다.
스텝 A3에서 테이블 C의 형태가 지정되었을 때 유닛(12)은 스텝 A6에서 제4a도에 도시된 테이블 C 형식을 디스플레이하여 스텝 A7에서 테이블 C 형식에 따라서 화일명 코드, 화일, 갱신형태코드, 키이워드테이블(K) 및 갱신워드테이블(D)을 입력하며, 각각의 입력데이터는 편집 메모리(121)에 기억된다.
제4b도는 테이블 C의 일체를 도시한다.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일명 코드로서 "판매 화일"이 세트되었으며, 화일갱신형태 코드로서 "추가"가 세트되었다.
또한 키이워드테이블로서 "항목코드"와 "날짜"가 세트되었고 갱신워드테이블로서 "수량"과 "금액"이 세트되어 있다.
제4c 및 d도는 또 다른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스텝 A3에서 테이블 D 또는 테이블 E의 형태가 지정되었을 때 상술한 것과 유사한 작동이 스텝 A8 및 A9 또는 A10 및 A11에서 수행된다.
테이블 D 형식이나 테이블 E 형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세트하고 있는 테이블 D 또는 테이블 E는 편집메모리(121)에 기억된다.
테이블 A 내지 E의 세팅이 완료되고 작동자가 완료 키이를 누르면 편집처리유닛(12)은 스텝 A12에서 지정된 PS 번호에 상응하는 PS로서 편집메모리(121)에 기억된 각각의 테이블을 PS 화일(13)에 적재한다.
그런 다음 유닛(12)은 스텝 A1으로 돌아간다.
소망하는 PS 번호가 작동모드상에 지정되었을 때 유닛(12)은 스텝 A13에서 PS 화일로부터 지정된 PS 번호에 상응하는 PS를 판독하고, 스텝 A14에서 테이블 A 내지 E를 각각 입력워드메모리(14), 화일워드메모리(16), 디스플레이워드메모리(17) 그리고 프린트워드메모리(18)에 적재시킨다.
그런 다음 유닛(12)은 스텝 A15에서 입력처리유닛(20)에 개시명령을 내린다.
이리하여 입력처리유닛(20)은 제5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처리를 개시 및 수행한다.
스텝 B1에서 유닛(12)은 편집처리유닛(12)에서의 개시명령 존재여부를 체크한다.
개시명령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면 유닛(12)은 스텝 B2로 진행하여 입력워드메모리(14)에 화일명이 세트되었는가를 결정한다.
화일명 코드가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되면 유닛(20)은 화일명 코드에 상응하는 특정 화일로부터 레코드를 판독하여 이 레코드에 관한 입력처리를 수행한다.
좀더 상세히 말해 유닛(20)은 스텝 B3에서 마스터화일(29)의 특정화일로부터 하나의 레코드를 판독하며, 스텝 B4에서 총합 조건에 따라서 레코드에 관한 총합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유닛(20)은 스텝 B5에서 총합 레코드를 워크메모리(26)에 기억시킨다.
스텝 B3 내지 B5는 스텝 B6에서 어떠한 레코드를 특정화일에 남아있지 않다는 것이 결정될 때까지 반복된다.
따라서, 스텝 B3 내지 B6에서 유닛(20)은 총합조건에 따라서 특정화일에 있는 각 레코드를 통합하며, 총합된 결과를 워크메모리(26)에 기억시킨다.
스텝 B6에서 NO가 결정되면 유닛(20)은 스텝 B7에서 갱신레코드발생유닛(21)돠 프린트처리유닛(23)에 개시명령을 공급하고, 스텝 B1으로 되돌아간다.
만약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무런 화일명 코드가 세트되지 않았다면 유닛(20)은 스텝 B8에서 디스플레이처리유닛(22)에 개시명령을 공급한다.
입력처리유닛(20)에서 개시명령을 받은 즉시 디스플레이처리유닛(22)은 작동자가 데이터를 입력시키도록 디스플레이유닛(30)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형식과 커솔(cursor)을 디스플레이한다.
작동자는 스크린상의 입력지정에 따라서 스텝 B9에서 키이보드(11)로부터 워드데이터를 입력한다.
입력처리유닛(20)은 스텝 B10에서 키이보드(11)로부터 입력된 워드데이터를 워크메모리(26)에 기억시킨다.
그런 다음 유닛(20)은 스텝 B11에서 한 레코드에 관한 데이터입력이 완료되었는가 안되었는가를 결정한다.
데이터입력이 완료되었으면 유닛(20)은 유사한 처리과정을 반복하기 위해 스텝 B9로 되돌아간다.
데이터입력이 완료되었으면 유닛(20)은 스텝 B7으로 진행한다.
갱신레코드발생유닛(21)은 제6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작동을 수행한다.
입력처리유닛(20)으로부터 개시명령을 받은 즉시 갱신레코드발생유닛(21)은 스탭 C2에서 테이블 C가 화일워드메모리(16)에 적재되었는가를 체크한다.
테이블 C가 적재되지 않았다면 유닛(21)은 스텝 C1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반대로 테이블 C가 화일워드메모리(16)에서 발견되었다면 유닛(21)은 스텝 C3에서 워크메모리(26)에 기억된 레코드를 판독하고, 스텝 C4에서 갱신레코드를 발생한다.
갱신레코드의 발생이 완료되면 유닛(21)은 스텝 C5에서 또 다른 테이블 C가 화일워드메모리(16)에 적재되었는가를 결정한다.
또 다른 테이블 C가 화일워드메모리(16)에 적재되었을 경우 유닛(21)은 또 다른 갱신레코드를 발생하기 위해 스텝 C4에 되돌아간다.
스텝 C5에서 또 다른 테이블 C가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 유닛(21)은 스텝 C6에서 워크메모리(26)에 있는 모든 레코드가 판독되었는가를 결정한다.
결정이 되었으면 유닛(21)의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프린트처리유닛(23)은 제7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처리를 수행한다.
프린트 처리유닛(23)은 스텝 D1에서 입력처리유닛(2)으로부터 개시명령이었는가를 체크한다. 개시명령이었을 경우 유닛(23)은 스텝 D2로 진행하여 테이블 E가 프린트워드메모리(18)에 적재 되었는가를 체크한다. 테이블 E가 메모리(18)에 적재되지 않았으면 유닛(23)은 스텝 D1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테이블 E가 메모리(18)에 적재되었을 경우 유닛(23)은 스텝 D3에서 테이블 E에 설정된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를 워크메모리(26)로부터 판독하며, 스텝 D4에서 워드데이터를 프린트한다.
그런다음 스텝 D5에서 유닛(23)은 또 다른 테이블 E가 프린트 워드메모리(18)에 적재되었는가를 결정한다. 또 다른 테이블 E가 발견되면 유닛(23)은 스텝 D3으로 되돌아간다.
유사한 작동이 반복되며, 따라서 테이블 E에 규정된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 데이터가 프린트된다. 다른 테이블 E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유닛(23)의 처리는 종료한다.
데이터처리 유닛이 전표처리 업무를 수행하는 특정실시예가 하기에 서술될 것이다.
전표처리 업무란 미리 결정된 전표형식에 따라서 작동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소망하는 전표를 발행하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서 마스터화일(29)에서 설정된 화일을 갱신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한다. 전표처리업무의 일실시예로서 판매전표 변동이 하기에 서술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가 판매전표에 상응하는 변동을 처리할 수 있게 세트되어야 한다. 다시말해 판매전표처리업무를 지적하는 PS가 세트되어야 한다.
또한, 테이블 A 내지 E가 판매전표를 변동시키도록 세트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b도의 테이블 1A, 제4b 및 c도의 테이블 C, 그리고 판매전표의 출력형식을 규정하기 위한 테이블 D 및 E가 필요하다.
두개의 테이블 C가 필요한 이유는 두개의 화일, 즉 판매화일과 고객화일이 판매전표변동에 관해 갱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4b 및 c도에 도시된 두개의 테이블 C는 제8a 및 b도에 도시된 각 화일에 있는 레코드의 워드배열에 따라서 세트된다.
테이블 C는 제2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세트된다. 세부적으로 테이블 C는 예를 들어 PS 번호 1에 상응하도록 세트된다.
작동하는 키이보드(11)로 테이블 A 내지 E를 세트하며, 편집모드를 방출하고, PS 번호 1을 지정한다. 다음 편집처리유닛(12)은 PS 화일(13)로부터 지정된 PS 번호 1에 상응하는 테이블 A 내지 E를 판독하고, 테이블 A, C, D 및 E를 각각 입력워드 메모리(14), 화일워드메모리(16), 디스플레이워드메모리(17), 그리고 프린트워드 메모리(18)에 적재하여, 적재한 후 입력처리유닛(20)에 개시명령을 공급한다.
다음 입력처리유닛(20)은 키이보드(11)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단일전표용 데이터입력은 입력처리유닛(20)의 제어하에 제9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제9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는 제5도에 있는 스텝 B8 내지 B11 그리고 B7의 처리과정을 상세히 도시한다. 입력처리유닛(20)은 스텝 B 101에서 디스플레이 워드메모리(17)예의 테이블 D에 따라서 제10도에 도시된 전표형식을 발생하고, 발생된 전표형식을 디스플레이유닛(30)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처리유닛(22)를 작동개시한다.
입력처리유닛(20)은 스텝 B102에서 입력워드메모리에 기억된 테이블 A의 워드테이블을 판독하며, 스텝 B103에서 워드테이블이 입력워드테이블, 작동 워드테이블, 혹은 인덱스 워드테이블로 세트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워드테이블이 입력워드테이블, 작동워드테이블, 그리고 인덱스워드테이블로 세트되었다면 유닛(20)은 키이보드(11)에 의해 스텝 B104의 키이-입력 처리로, 스텝 B105의 작동처리로, 그리고 스텝 B106의 인덱스 테이터 판독처리로 각각 진행한다. 상술한 테이블 A의 첫번째 워드테이블은 "날짜"를 나타내며 인덱스워드테이블로 세트되어있다.
따라서 유닛(20)은 인덱스 테이블메모리(24)를 다시찾기 위해 스텝 B106으로 진행하며, 예를 들어 "870907"과 같이 미리 설정된 현재 날짜에 대한 데이터를 판독하며, 이를 스텝 B107에서 "날짜"와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로서 워크메모리(26)에 기억시키며, 디스플레이 처리유닛(22)를 작동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처리유닛(22)은 디스플레이 워드메모리(17)에서 테이블 D의 워드테이블에 의해 지정된 워드데이터를 워크 메모리(26)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워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30)에 출력하고, 이를 스크린의 "날짜"컬럼에 디스플레이한다.
다음 입력처리유닛(20)은 스텝 B109에서 단일 레코드의 입력을 완료시키기 위한 완료키이를 누름으로서 모든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완료키이가 눌러지지 않으면 유닛(20)은 스텝 B110에서 입력워드 메모리(14)로부터 다음 워드테이블의 "전표번호"를 판독하고 워드테이블을 판별하기 위해 스텝 B103으로 되돌아간다. 인덱스워드 테이블로서 역시 "전표번호"가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유닛(20)은 인덱스 데이터판독 처리를 수행한다.
세부적으로 유닛(20)은 인덱스 데이블 메모리(24)에서 예를 들어"011"과 같은 전표번호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전표번호"의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로서 워크메모리(26)에 기억시키며, 다시 이를 디스플레이 처리유닛(2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30)상의 "전표번호"컬럼에 표시한다. 그런다음 유닛(30)은 입력워드 메모리(14)로부터 다음 워드테이블인 "고객코드"를 판독하고, 워드테이블을 분석한다. 입력워드테이블로서 "고객워드"가 세트되어있기 때문에 유닛(20)은 스텝 B104에 있는 키이 입력처리로 진행한다. 상기 키이입력 처리에서 유닛(20)은 디스플레이 유닛(30)에 의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형식으로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항목의 커솔을 표시한다.
다시말해 유닛(20)은 작동자로 하여금 "고객코드"의 워드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한다.
작동자가 고객 코드로 예를 들어 "50"을 입력시켰다면 유닛(20)은 "고객코드"의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로서 워드데이터 "50"을 워크메모리(26)에 기억시키며,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30)상의 "고객코드"컬럼에 표시한다.
유사한 키이 입력처리가 입력워드메모리(14)에서 독출된 "항목코드""수량""단가"등에 대해서도 수행된다. "금액"의 워드테이블이 입력워드메모리(14)에서 독출되었다면 스텝 B105에서 산술동작이 수행된다.
이 작동에서 "수량"의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와 "단가"의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테이블을 기초로 "수량 X단가"의 산술작동이 수행된다.
작동결과는 "금액"의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로서 워크메모리(26)에 기억되며,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30)상의 "금액"컬럼에 표시된다.
제11도는 하나의 레코드에 대한 데이터금액이 입력된 후 워크메모리(26)의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워크메모리(26)는 각각 워드테이블과 이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로 구성되는 다수의 쌍을 기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레코드에 관한 워드처리가 완료된 후 유닛(20)은 스텝 B109에서 스텝 B111로 진행하여 갱신레코드 발생유닛(21)과 프린트처리유닛(23)의 작동을 개시한다.
입력처리유닛(20)에서의 개시명령에 따라 갱신레코드 발생유닛(21)은 제6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따라 처리작업을 수행한다.
스텝 C2에서 유닛(21)은 테이블 C가 화일 워드메모리(16)에 세트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제4b도에 도시된 테이블 C는 메모리(16)에 세트된다.
따라서 유닛(21)은 워크메모리(26)에 기억된 레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스텝 C3로 진행하며, 스텝 C4에서 제4b도에 도시된 테이블 C에 따라 갱신레코드를 발생한다. 스텝 C4의 상세한 것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유닛(21)은 스텝 C41에서 워크메모리(26)에서 독출된 레코드를 구성하는 워드로부터 "항목코드", "날짜", "수량,""금액"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를 추출하며, 테이블 C에 세트된 워드테이블의 순서에 따라 워드데이터를 배열한다.
다음유닛(21)은 스텝 C 42에서 테이블 C에 세트된 "화일명 코드"및 "화일 갱신형태 코드"를 배열한다.
스텝 C43에서 유닛(21)은 이렇게하여 갱신레코드 메모리(27)에 배열된 데이터를 하나의 갱신레코드로서 기억시킨다.
스텝 C4에서 갱신레코드를 발생시킨후, 유닛(21)은 스텝 C5에서 다른 테이블 C가 화일 워드메모리(16)에 기억되어 있는가를 결정한다.
이 경우 메모리(16)는 제1b도에 도시된 테이블 C 이외에 제4c도에 도시된 테이블 C를 기억한다. 따라서 유닛(21)은 제4c도에 도시된 테이블 C에 따라서 또 다른 갱신레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텝 C4로 되돌아가며, 이를 갱신레코드 메모리(27)에 기억시킨다.
제13도는 제4b 및 c도에 도시된 두개의 테이블 C에 따라 두개의 갱신레코드를 어떻게 발생시키는가를 설명하는 다이아그램이다.
세부적으로 제13도는 워크메모리(26)에 기억된 레코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워드와 갱신레코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워드사이의 대응관계를 도시한다.
화일워드메모리(16)에 기억된 모든 테이블 C를 완성한 후 유닛(21)은 스텝 C5에서 스텝 C6로 진행하여 워크메모리(26)에 기억된 모든 레코드가 처리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워크메모리(26)가 단일 레코드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YES가 결정되며 이리하여 유닛(21)은 갱신레코드 발생처리를 완료한다.
유닛(21)이 스텝 C5에서 또 다른 레코드가 워크메모리(26)에 기억되고 있다고 결정하면 스텝 C7에서 또 다른 레코드를 판독하며, 독출된 레코드에 관해 스텝 C4 및 C5에 도시된 처리작업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워크메모리(26)에 기억되어야 할 레코드는 갱신레코드 발생 유닛(21)을 통해 갱신레코드로 변환된 다음 순차적으로 갱신레코드 메모리(27)에 기억된다. 갱신레코드 메모리(27)에 기억된 갱신레코드는 키이보드(11)에서의 갱신명령에 따라 화일 갱신유닛(28)에 순차로 독입된다. 다음 갱신유닛(28)은 마스터화일(29)에 기억된 화일을 갱신한다.
세부적으로 화일갱신 유닛(28)은 갱신명령에 따라서 제14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따라 처리작업을 수행하며, 스텝 E1에서 갱신레코드 메모리(27)에 기억된 갱신레코드를 판독하며, 스텝 E2에서 갱신레코드에 포함된 "화일명 코드"와 "화일갱신 형태코드"에 따라서 마스터화일(26)에서의 상응하는 화일과 갱신형태를 선택한다.
또한 유닛(28)은 스텝 E3에서 갱신레코드에 포함된 갱신워드(D)와 키이워드 S(K)로 구성되는 레코드를 사용하여 선택된 갱신혀태를 기초로 선택된 화일을 갱신한다. 스텝 E1 내지 E41의 처리작업은 갱신레코드 메모리(27)에 기억된 각 갱신레코드에 적용된다.
제15도는 전이 다이아그램이며, 여기서 갱신레코드에 의해 지정된 화일 즉, 판매화일 및 고객화일이 갱신레코드 메모리(27)에 기억된 두개의 갱신레코드에 따라서 갱신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총합처리업무의 특정 실시예를 서술하고자 한다. 총합처리업무는 매일 전표변동업무에 의해 갱신되어지는 판매화일과 같은 화일의 각 레코드에 따라서 또 다른 총합화일을 갱신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제 총합변동의 일실시예로서 판매 총합변동을 서술하고자 한다.
먼저 본발명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는 판매총합을 할수 있도록 세트되어야 한다. 세부적으로, 판매총합처리업무를 지적하는 PS가 세트되어야 하고, 상응하는 테이블 A 및 C가 세트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c도에 도시된 테이블 A와 제4d도에 도시된 테이블 C가 필요하다.
제4d도에 도시된 테이블 C는 총합 화일에 있는 레코드의 워드배열에 따라서 세트된다.
제8c도는 총합 화일에 있는 레코드의 워드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 A 및 C는 제2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세트되며, 예를 들어 PS 번호 2에 상응하도록 세트된다.
작동자는 키이보드(11)로 테이블 A 및 C를 PS 화일(13)에 세트하고 편집모드를 방출하며, SP 번호 2를 지정한다. 다음 편집처리유닛(12)은 지정된 PS 번호에 따라서 PS 화일(13)로부터 PS 번호 2에 상응하는 테이블 A 및 C를 판독하며, 테이블 A a및 C를 각각 입력워드메모리(14)와 화일워드메모리(16)에 적재하며, 입력처리유닛(20)에 개시명령을 공급한다.
개시명령에 따라서 입력처리유닛(20)은 입력워드메모리(14)에 기억된 테이블 A에 따라서 처리작업을 시작한다.
제16도는 제5도에서의 스텝 B3 내지 B6를 상세히 도시한다. 입력처리유닛(20)은 스텝 B 201에서 총합조건이 테이블 A에 세트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총합조건이 세트되지 않았으면 유닛(20)은 스텝 B 202로 진행하며 예를 들면 테이블 A에 세트된 "판매화일"과 같은 화일명 코드에 상응하는 화일에 기억된 레코드를 판독한다. 유닛(20)은 스텝 B 203에서 테이블 A에 세트된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워드데이터를 레코드로부터 판독하고, 워드데이터가 테이블 A에 세트된 워드테이블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중간 레코드를 발생한다.
다음 유닛(20)은 스텝 B 204에서 중간레코드를 워크메모리(26)에 기억시킨다. 스텝 B 205에서 유닛(20)은 모든 레코드가 "판매화일"로부터 독출되었는가를 결정한다.
독출되지 않은 레코드가 화일에 남아있다면 유닛(20)은 스텝 B 206에서 화일로부터 레코드를 판독하며, 중간 레코드를 발생하기 위해 스텝 B 203으로 되돌려보낸다. 스텝 B 203 내지 B 206에서의 처리작업은 모든 레코드가 화일로부터 독출될 때까지 반복된다.
유닛(20)이 화일로부터의 모든 레코드에 대한 판독작업을 완료하면 제5도의 스텝 B7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총합조건은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워드메모리(14)에 기억된 테이블 A에 세트되어있다.
따라서 유닛(20)은 스텝 B 201에서 B 207로 진행한다. 총합조건으로서 키이워드의 상부 7 숫자가 테이블 A에 세트되어 있다.
따라서 유닛(20)은 스텝 B 207에서 테이블 A에 세트된 화일명, 즉 "판매화일"에 상응하는 화일에 기억된 레코드의 키이워드에서 상부 7 숫자를 추출하여, 이를 새로운 키이보드 데이터로 세트한다.
스텝 B 208에서 유닛(20)은 키이워드의 상부 7 숫자가 새로운 키이워드데이터의 것과 일치하는 모든 레코드를 화일로부터 선택하며, 스텝 B 209에서 각 선택된 레코드의 갱신워드 데이터를 총합한다.
유닛(20)은 스텝 B 210엣 새로운 키이워드데이터와 총합된 갱신워드데이터를 갖는 총합 레코드를 발생한다.
따라서 유닛(20)은 스텝 B 211에서 총합 레코드를 워크메모리(26)에 기억시킨다.
스텝 B 212에서 유닛(20)은 아직도 선택되어지지 않은 레코드가 화일이 남아 있는가를 결정한다.
선택되지 않은 레코드가 화일에 남아 있다면 유닛(20)은 스텝 B 213에서 레코드의 키이워드에서 상부 7 숫자를 추출하고, 새로운 키이워드 데이터로서 상부 7 숫자를 세트한다.
다음 유닛(20)은 도일한 상부 7 숫자를 갖는 각각의 선택된 레코드에서 각 워드가 총합되어진 총합 레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텝 B 208 내지 B 211은 반복하며, 이를 워크 메모리(26)에 기억시킨다.
다시유닛(20)은 유사한 작동으로 테이블 A에 세트된 총합 조건으로서 역할을 하는 키이워드로 레코드를 총합한다. 유닛(20)이 모든 총합조건에 따라서 모든 레코드의 총합을 완료하면 유닛(20)은 제5도의 스텝 B7으로 진행한다.
제17도는 전이 다이아그램이며, 여기서 키이워드의 동일한 상부 7 숫자를 갖고 판매화일에 기억된 레코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처리유닛(20)의 작동에 의해 총합되어 워크메모리(26)에 기억된다.
입력처리유닛(20)으로부터 공급된 개시 명령에 따라서 갱신레코드발생 유닛(21)은 제6도에 도시된 프로우챠트와 같이 테이블 C에 따라서 작동한다.
다시말해 제4d도 도시된 테이블 C는 화일워드메모리(16)에 기억된다. 따라서 워크메모리(26)에 기억된 각각의 레코드는 각각의 갱신 레코드로 변환된 다음 갱신레코드메모리(17)에 기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갱신레코드가 갱신 레코드메모리(27)에 기억된다. 키이보드(11)에서의 화일갱신 명령에 따라서 이들 갱신레코드는 제14도의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화일갱신 유닛(28)에 독입된다. 이리하여 갱신레코드메모리에 기억된 화일명코드에 상응하는 화일(이 경우는 총합화일)이 갱신되는 것이다.

Claims (11)

  1. 화일을 갱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a) 입력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다수의 워드테이터로 구성되는 레코드를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수단(11,20,26)과, (b) 화일에 해당되는 화일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를 입력레코드로부터 추출하고, 화일에 해당되는 화일 갱신형태코드와 추출된 워드데이터로 구성되는 갱신 레코드를 준비하기 위한 준비수단(21)과, (c) 입력레코드에 상응하는 준비된 갱신레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27)과 ; (d)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각각의 갱신 레코드를 독출하고, 독출된 갱신레코드에 포함된 화일갱신 형태코드에 상응하는 갱신형태에 응하여 독출된 갱신레코드에 따라서 화일의 레코드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수단(2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준비수단은 화일에 상응하는 갱신레코드를 준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준비수단은 각각의 갱신레코드에 화일명 코드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갱신수단은 독출된 갱신레코드에 추가된 화일명 코드에 상응하는 화일의 레코드를 갱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화일에 상응하는 화일워드테이블과 화일갱신형태코드를 규정하기 위한 규정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화일에 상응하는 화일워드테이블과 화일갱신형태코드를 규정하기 위한 규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장치.
  6. 화일갱신 방법에 있어서, (a) 입력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다수의 워드데이터로 구성되는 입력레코드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 (b) 화일에 해당되는 화일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를 입력레코드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 (c) 화일에 상응하는 화일갱신형태코드와 추출된 워드데이터로 구성되는 갱신레코드를 준비하는 단계와, (d) 준비된 갱신레코드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단계와 ; (e) 다수의 갱신레코드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킨후 지시에 따라서 기억수단으로부터 각각의 갱신레코드를 독출하는 단계와 ; (f) 화일갱신코드와 워드데이터는 독출된 갱신레코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화일갱신 형태코드에 상응하는 갱신형태와 워드데이터에 따라서 화일의 레코드를 갱신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준비단계는 화일에 상응하는 갱신레코드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준비단계는 각각의 갱신레코드에 화일명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갱신단계는 독출된 갱신레코드에 추가된 화일명 코드에 상응하는 화일의 레코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화일에 상응하는 화일명 코드화일갱신 형태코드 그리고 화일 워드테이블을 규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화일에 상응하는 화일갱신형태 코드와 화일 워드테이블을 규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화일에 상응하는 화일갱신형태 코드와 화일워드테이블을 규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갱신방법.
KR1019890008777A 1988-07-14 1989-06-24 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KR940002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541188A JP3280664B2 (ja) 1988-07-14 1988-07-14 データ処理装置
JP63-175411 1988-07-14
JP63175414A JP3044711B2 (ja) 1988-07-14 1988-07-14 ファイル処理装置
JP63175413A JPH0224740A (ja) 1988-07-14 1988-07-14 データ処理装置
JP63-175413 1988-07-14
JP63-175414 1988-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176A KR900002176A (ko) 1990-02-28
KR940002483B1 true KR940002483B1 (ko) 1994-03-24

Family

ID=2732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777A KR940002483B1 (ko) 1988-07-14 1989-06-24 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58860B1 (ko)
KR (1) KR940002483B1 (ko)
CA (1) CA1321034C (ko)
DE (1) DE68928255T2 (ko)
HK (1) HK1002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533B1 (ko) * 2001-10-13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 가능한 기록매체의 파일정보 변경에 따른 리스트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52903A (en) * 1985-06-11 1989-04-18 Frank D. Bartocci Dynamic update of database directories using directed or undirected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8860B1 (en) 1997-08-13
DE68928255T2 (de) 1997-12-04
EP0358860A2 (en) 1990-03-21
KR900002176A (ko) 1990-02-28
EP0358860A3 (en) 1990-12-12
HK1002837A1 (en) 1998-09-18
DE68928255D1 (de) 1997-09-18
CA1321034C (en) 199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046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ilable application programs
US77395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forms
KR940002483B1 (ko) 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US52838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corresponding to word labels
WO1989002116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edi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50010548A1 (en) Automatic file generating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record medium
US5623658A (en) Data totalizing method in data processing apparatus
JPH04290126A (ja) 入出力様式カストマイズ方法
JP4399060B2 (ja) 電子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取引システムのための注文元サーバ
US5500932A (en) Slip output apparatus
JPH02133822A (ja) データ処理装置
JP3663633B2 (ja) 伝票処理装置
JPH0281267A (ja) 画面作成方法
JP2606566B2 (ja) デモ用画面作成・表示方式
JP3280664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454635A (ja) 事務処理方法
JPH1121269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3047400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67399Y2 (ja) エディットデータ出力装置
JPH05127847A (ja) 帳票作成装置
JPH0619692A (ja)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
JPH02136933A (ja) テストデータ編集方式
JPH07282162A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224764A (ja) ファイル処理装置
JPH0296228A (ja) プログラムおよび仕様書の生成修正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