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090B1 - 악음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악음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090B1
KR940001090B1 KR1019880012477A KR880012477A KR940001090B1 KR 940001090 B1 KR940001090 B1 KR 940001090B1 KR 1019880012477 A KR1019880012477 A KR 1019880012477A KR 880012477 A KR880012477 A KR 880012477A KR 940001090 B1 KR940001090 B1 KR 94000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form
waveform information
output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209A (ko
Inventor
히데오 스즈끼
사또시 우사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가와까미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49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81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494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0348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가와까미 히로시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08Means for controlling the transition from one tone waveform to anoth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91Means for obtaining special acoustic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 G10H1/053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in which amplitudes at successive sample points of a tone waveform are stored in one or more memories
    • G10H7/0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in which amplitudes at successive sample points of a tone waveform are stored in one or more memories in which amplitudes are read at varying rates, e.g. according to pit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65Acoustic effect simulation, i.e. volume, spatial, resonance or reverberation effects added to a musical sound, usually by appropriate filtering or delays
    • G10H2210/271Sympathetic resonance, i.e. adding harmonics simulating sympathetic resonance from othe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025Envelope processing of music signals in, e.g. time domain, transform domain or cepstrum domain
    • G10H2250/035Crossfade, i.e. time domain amplitude envelope control of the transition between musical sounds or melodies, obtained for musical purposes, e.g. for ADSR tone generation, articulations, medley, rem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9Filter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악음신호 발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악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피아노음 파형의 일예를 도시한 파형도.
제3도는 엔벨로프 파형발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4도는 크로스페이드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5도는 공명음 발생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의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블럭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악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본 발명은 피아노등의 댐퍼페달 효과를 시뮬레이트하는데 적합한 악음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아노음색의 악음을 발생할 수 있는 전자악기로서는 피아노에서 댐퍼페달(라우드페달)을 OFF한 상태에서의 연주음을 픽업해서 그 음파형을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이 메모리로 부터 기억에 관한 음파형을 리드해서 피아노음색의 악음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전자악기에 있어서는 악기 본체에 부속된 댐퍼페달을 ON하지 않을때는 발음중의 악음이 키 OFF에 따라서 급속히 감쇠하도록 엔벨로프를 제어함과 동시에 이 댐퍼페달을 ON하였을때는 발음중의 악음이 키 OFF후에도 완만하게 감쇠하도록 엔벨로프를 제어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상기한 종래의 전자악기에 의하면, 피아노에 있어서 댐퍼페달을 ON하였을때의 피아노음의 독특한 음의 퍼짐을 시뮬레이트할 수가 없었다. 즉, 피아노에서는 댐퍼페달이 ON인 상태에서 연주하면, 모든 건반에 대해서 댐퍼가 현으로 부터 떨어진 상태로 되므로, 해머로 두드려진 현 이외의 현도 공명등에 의해 진동하여 상당하여 퍼짐이 있는 음향효과가 얻어지는 것이지만, 상기한 전자악기에는 댐퍼페달을 ON하더라도 엔벨로프형상이 변화할 뿐이고, 그와 같은 음의 퍼짐의 음향효과를 얻을 수도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페달이 ON일때와 마찬가지의 퍼짐이 있는 음향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악음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악음신호 발생장치는 기억수단, 리드수단, 공명음발생수단, 조작자 및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기억수단은 바라는 악음파형에 대응하는 파형정보를 기억하는 것이다. 여기서, 파형정보로서는, 예를들면 피아노에서 픽업한 댐퍼페달(라우드페달)이 OFF하였을때의 음파형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수가 있다.
리드수단은 기억수단으로부터 바라는 속도로 파형정보를 리드하는 것으로, 그 리드속도에 따라서 발생악음의 음높이가 결정되는 것이며, 건반, 눌려진건 검출 및 건할당 회로, 어드레스발생회로등을 포함한다.
공명음 발생수단은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에 따라서 공명음 정보를 발생하는 것으로, 디지탈 필터등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자는 일예로서, 전자악기에 부속된 댐퍼페달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매뉴얼 조작자등이어도 좋다.
검지수단은 조작자의 조작의 유무를 검지하고, 그 유무에 대응해서 다른 값을 나타내는 검지출력을 송출하는 것으로, 댐퍼페달, 댐퍼페달신호, 밟는량 검지회로등을 포함한다.
출력수단은 검지수단으로부터의 검지출력이 어떤 값을 나타낼때는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을 제1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함과 동시에 검지수단으로부터의 검지출력이 다른 값을 나타낼때는 공명음 정보를 제2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하는 것으로, 크로스페이드 제어신호 발생회로, 승산기등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검지출력을 나타내는 어떤 값 및 다른 값을 각각 조작없음 및 조작있음에 대응한 값으로 하고, 출력수단에서는 조작자의 조작 개시시부터 공명음 정보의 진폭레벨을 서서히 증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검지수단으로부터는 조작자의 조작량에 따른 검지출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출력수단 대신에 제1 및 제2의 레벨 제어수단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제1의 레벨 제어수단은 검지출력을 나타내는 조작량이 증대함에 따라서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한쪽방향으로 변화(예를들면,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고, 제2의 레벨 제어수단은 검지출력을 나타내는 조작량이 증대함에 따라서 공명음 정보의 진폭 레벨을 한쪽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변화(예를들면, 증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레벨 제어수단의 출력을 각각 제1 및 제2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의 비조작시에는 기억에 관한 파형정보에 따라서 바라는 악음을 발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자의 조작중은 공명음 정보에 따라서 퍼짐이 있는 악음을 발생시킬 수가 있어 피아노등의 댐퍼페달 효과를 충실하게 시뮬레이트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조작자의 조작 개시시부터 공명음 정보의 진폭레벨을 서서히 증대시키도록 하면, 피아노에 있어서 댐퍼페달을 ON하였을 때에 현으로 부터 댐퍼가 떨어져서 공명등에 의해 음의 퍼짐이 서서히 크게 되어 가는 상태를 시뮬레이트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조작자의 조작량의 증대에 따라서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 및 공명음 정보의 진폭레벨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하면, 조작자의 조작기능 범위내에서 임의로 발생 악음의 퍼짐의 필링을 제어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악음신호 발생장치는 바라는 악음의 파형에 대응한 제1의 파형정보 및 그 악음과 그 공명음과의 혼합파형에 대응한 제2의 파형정보를 기억한 기억수단, 조작자, 검지수단, 이 검지수단으로 부터의 검지출력이 어떤 값을 나타낼때는 제1의 파형정보에 따라서 제1의 악음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검지수단으로 부터의 검지출력이 다른 값을 나타낼때는 제2의 파형정보에 따라서 제2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악음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의 파형정보로서는, 예를들면 피아노에서 픽업한 댐퍼페달 OFF시의 음파형 및 댐퍼페달 ON시의 음파형을 각각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악음신호 발생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기억수단으로 부터 제1 및 제2의 파형정보를 바라는 속도로 병행해서 리드하는 리드수단, 조작자의 비조작시는 제1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을 선택해서 제1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하고, 조작자의 조작중은 제2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을 선택해서 제2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이 선택수단에서는 조작자의 조작 개시시부터 제1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서서히 감소시키는 것에 따라서 제2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서서히 증대시키도록 한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은 리드수단을 마련한 경우에 검지수단으로 부터는 조작자의 조작량에 따른 검지출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검지출력을 나타내는 조작량이 증대함에 따라서 제1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한쪽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의 레벨 제어수단, 검지출력을 나타내는 조작량이 증대함에 따라서 제2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상기 항쪽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의 레벨 제어수단을 마련하고, 제1 및 제2의 레벨 제어수단의 출력을 각각 제1 및 제2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의 비조작시에는 제1의 파형정보에 따라서 바라는 악음을 발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자의 조작중은 제2의 파형정보에 따라서 공명음을 포함하는 퍼짐이 있는 악음을 발생시킬 수가 있어 피아노등의 댐퍼페달 효과를 충실하게 시뮬레이트 할수가 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조작자의 조작 개시시부터 제1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서서히 감소시키고, 또한 제2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서서히 증대시키도록 하면, 피아노에 있어서 댐퍼페달을 ON하였을때에 현으로 부터 댐퍼가 떨어져서 공명등에 의해 음의 퍼짐이 서서히 크게 되어 가는 상태를 시뮬레이트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조작자의 조작량의 증대에 따라서 제1 및 제2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하면, 조작자의 조작가능 범위내에서 임의로 발생 악음의 퍼짐의 필링을 제어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자악기는 발생할 악음이 음높이를 지정하는 음높이 지정수단, 상기 음높이 지정수단에서 지정된 음높이에 따라서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악음신호 발생수단, 악음 제어용의 조작자,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악음신호 발생수단에 있어서 발생될 상기 악음신호에 대해서 공명음을 부가하는 공명음 부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자가 조작되었을때, 공명음 부가수단에 의해 악음신호에 대해서 공명음이 부가된다. 이것에 의해 공명음을 포함하는 퍼짐이 있는 악음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전자악기에 있어서, 통상 알려져 있는 바와같이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악음신호 발생수단에 있어서 발생될 상기 악음신호의 진폭 엔벨로프의 감쇠율을 전환하는 엔벨로프 전환수단을 또 구비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기술하고, 도면에 있어서, 예를들면 제1도의 「KC」와 같이 사선을 붙인 신호선은 여러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것 또는 여러 비트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의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악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 전자악기는 여러 채널(예를들면, 8채널)의 시분할 처리에 의해 여러 음을 동시에 발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형 메모리(10)은 리드수단중의 1개인 건반(12)의 다수의 건을, 예를들면 반옥타브(6건)마다 그룹화하는 것에 의해 각 그룹마다 대표적인 1건에 대응한 파형데이타를 건 터치의 여러단계의 강한 레벨(예를들면, 약,중,강의 3레벨)분만큼 각각 기억한 것이다. 이와같이, 건 그룹마다 파형데이타를 기억한 것은 건 그룹이 다름에 따라서 음색등을 달리하도록 키 스케일링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 건 터치가 강한 레벨마다 파형데이타를 기억한 것은 건터치가 강한 레벨이 다름에 따라서 음색, 음량등을 달리하도록 터치 응답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파형메모리(10)에 기억되는 각 파형데이타는 일예로서 피아노(자연악기인 피아노)에서 댐퍼페달(즉, 라우드페달)이 OFF상태에서의 연주음을 픽업하고, 그 음파형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샘플링함과 동시에 각 샘플점마다 진폭값을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것(소위 PCM 녹음)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즉, 실제의 녹음에 있어서는 제1도의 건반(12)의 건 그룹에 대응해서 피아노의 건을 그룹화하고, 각 건 그룹마다 대표적인 1건을 댐퍼페달이 OFF상태에서 약,중,강의 다른 터치레벨로 조작해서 피아노음을 발생시키고, 각 음마다 PCM 녹음에 의해 파형메모리(10)에 파형 데이타를 라이트한다.
제2도는 픽업한 피아노음 파형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파형메모리(10)에는 각 음마다 상승으로 부터 감쇠도중까지의 W1+W2의 구간에 상당하는 파형데이타를 라이트하고, W2보다 후의 감쇠부에 상당하는 파형데이타는 라이트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파형메모리(10)에서의 파형데이타 리드시에는 W1에서 W2까지의 파형데이타를 리드한 후, W2의 파형데이타를 반복 리드하도록 한다.
또, 파형메모리(10)으로의 기억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픽업음 파형의 진폭레벨을, 예를들면 최대레벨등의 일정레벨 L0로 규격화한 것을 기억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저진폭 부분에 대해서 정밀도 좋게 진폭값을 디지탈 표현할 수가 있다. 또, 이와같이 하여도 엔벨로프 부여수단(22) 및 (24')에 의해 진폭 엔벨로프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지장은 없다.
리드수단중의 1개인 눌려진 건 검출 및 건 할당회로(14)는 건반(12)에 있어서 눌려진 건을 검출하는 것으로, 검출한 건의 키코드(음높이)를 나타내는 키코드 데이타 KC 및 눌려진 건 있음을 나타내는 키코드신호 KON을 빈 채널의 하나에 할당하고, 그 할당채널의 타이밍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터치 검출회로(16)은 건반(12)에 있어서 눌려진 건에 대해서 건터치의 강함이, 예를들면 약,중,강의 어느 레벨에 상당하는가를 검출하는 것으로 검출한 터치레벨을 나타내는 터치레벨 데이타 TD를 상기 KC 및 KON의 할당채널의 타이밍에 동기해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회로(14) 및 (16)은 시분할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며 이들의 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후속의 회로도 시분할적으로 동작하는 것이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1채널분의 동작을 기술한다.
파형선택 제어회로(18)은 키코드 데이타 KC 및 터치레벨 데이타 TD에 따라서 파형지정 데이타 WC를 발생하는 것으로, 파형메모리(10)에서는 파형지정 데이타 WS에 따라서 리드할 파형이 지정된다. 예를들면, 키코드 데이타 KC를 나타내는 키코드가 제1의 건그룹에 속하는 것이면, 이 제1의 건그룹에 대응한 파형데이타중, 터치레벨 데이타 TD를 나타내는 터치레벨에 대응한 파형데이타가 리드 지정된다.
리드수단중의 1개인 어드레스 발생회로(20)은 키코드 데이타 KC 및 키 ON신호 KON에 따라서 어드레스 신호AD를 발생하는 것으로, 파형메모리(10)에서는 파형지정 데이타 WS에 의해 리드지정된 파형데이타가 어드레스신호AD에 따라서 리드된다. 이 경우, 어드레스신호AD에 의한 어드레스 지정은 키코드 데이타 KC를 나타내는 키코드(음높이)에 대응한 속도로 실행되고, 이때의 리드속도에 따라서 발생 악음의 음높이가 결정된다. 또한, 동일한 건 그룹에 속하는 여러 건에 대해서는 건 터치레벨을 일정하게 해서 건반이 눌려지는 한 동일한 파형데이타가 건마다 리드속도를 달리해서 리드된다.
파형메모리(10)으로부터 리드된 파형데이타WD는 승산기(22)에 공급되고 엔벨로프 파형데이타ED와 승산된다.
엔벨로프 신호발생회로(24)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 ON신호 KON에 따라서 검지수단중의 1개인 댐퍼페달신호 DP가 “0”인가 “1”인가에 의해 다른 엔벨로프 파형을 나타내도록 엔벨로프 파형데이타ED를 발생하는 것이다. 즉, 댐퍼페달신호 DP는 검지수단중의 1개인 댐퍼페달(26)으로부터 스위치등을 거쳐서 검지되는 것이고, 엔벨로프 파형은 댐퍼페달(26)이 OFF에서 신호 DP=“0”일때는 상승한 후 서서히 감쇠해서 키 OFF시부터는 급속히 감쇠하도록 발생되고, 댐퍼페달(26)이 ON에서 신호 DP=“1”일때는 키 OFF후도 서서히 감쇠하도록 발생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엔벨로프 파형의 어택타임, 어택레벨, 디케이 타임등의 파라미터는 키코드 데이타 KC에 따라서 건 그룹마다 제어됨과 동시에 터치레벨 데이타 TD에 따라서 터치레벨마다 제어된다.
승산기(22)에 있어서의 승산 결과, 고음, 터치레벨 및 댐퍼페달 상태에 따라서 엔벨로프가 부여된 파형데이타 EWD가 얻어지고, 이 파형데이타 EWD는 어큐뮬레이터(28)에 공급된다.
어큐뮬레이터(28)은 여러 채널분의 파형데이타를 혼합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그 출력 파형데이타 SWD는 승산기(30A)에 공급되어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1과 승산되는 한편, 공명음 발생회로(32)에 공급되어 공명음 데이타 RWD로 변환된다. 그리고, 공명음 발생회로(32)로 부터의 공명음 데이타 RWD는 승산기(30B)에 공급되어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2와 승산된다.
공명음 발생회로(32)는 제5도에 일예를 도시한 바와같이 여러개의 디지탈 지연회로(정방형 블럭), 계수승산기(삼각형 블럭), 가산기(+를 기입한 둥근 블럭)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입력신호 IN을 받는 지연회로군 DIL에 있어서의 지연량 D11~D1n및 계수 a11~a1n과 빗형 필터군 CFL에 있어서의 지연량 D21~D2n및 계수 a21~a2n을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에 의해 출력신호 OUT로서 공명, 잔향등을 수반하는 디지탈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신호 IN으로서 파형데이타 SWD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출력신호 OUT로서는 댐퍼페달 ON시의 연주음에 근사한 퍼짐감이 있는 악음파형데이타, 즉 공명음 데이타를 얻을 수가 있다.
출력수단중의 1개인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발생회로(34)는 댐퍼페달신호 DP에 따라서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1 및 CF2를 발생하는 것이다. 여기서, 크로스 페이드 제어파형의 일예를 나타내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1은 댐퍼페달 신호 DP가“0”에서“1”로 이동(댐퍼페달(26)이 OFF에서 ON으로이동)함에 따라서 최대값 1에서 최소값 0으로 약 1초정도의 시간동안 서서히 레벨 저하한후, 신호 DP가“1”레벨을 계속하는한 최소값 0을 유지하고, 신호 DP가 “1”에서 “0”으로 이동(댐퍼페달(26)이 ON에서 OFF로 이동)함에 따라서 최소값 0에서 최대값 1로 약 0.2초정도의 시간동안 레벨 상승하도록 발생된다. 또,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2는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1을 반전한 형으로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댐퍼페달(26)의 ON에서 OFF시에 비해서, 댐퍼페달(26)의 OFF에서 ON시의 쪽이 완만하게 레벨 변화하도록 하면, 피아노에 있어서 모든 현으로부터 댐퍼가 떨어져서 공명등에 의해 음의 퍼짐이 서서히 크게 되어가는 상태를 모방하는데 적합하다.
출력수단중의 1개인 승산기(30A) 및 (30B)에 있어서의 승산 결과 댐퍼페달(26)을 OFF하고 있는 동안은 파형데이타SWD가 가산기(36)에 공급되고, 댑퍼페달(26)을 ON하고 있는 동안은 공명음데이타 RWD가 출력수단중의 1개인 가산기(36)에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 제4도에 도시한 약 1초의 기간 및 약 0.2초의 기간에 대해서는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1 및 CF2의 값에서 결정되는 혼합비로 데이타 SWD 및 RWD가 가산기(36)에서 혼합되어 송출된다.
가산기(36)의 출력으로서의 파형데이타는 D/A 변환기, 앰프, 스피커등으로 이루어지는 사운드 시스템(38)에 공급되어 악음으로서 음이 방출된다.
[제2의 실시예]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로서 제1도의 회로에서 사용되는 공명음 부가부분의 변경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제1도와 마찬가지의 부분에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2의 실시예는 제1도의 것을 약간 변형한 것으로, 제1도의 것과는 다음의 2가지 점에서 다르다. 즉, 첫째로는 어큐뮬레이터(28)로 부터의 파형데이타 SWD를 승산기(30A)를 거치지 않고 가산기(36)에 공급한 것이고, 둘째로는 공명음 발생회로(32)의 전단에 승산기(30B)를 마련한 것이다. 이 경우, 승산기(30B)에는 레벨 제어신호 LC로서 제4도의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2와 마찬가지의 것이 공급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댐퍼페달(26)을 OFF하고 있을 때는 가산기(36)의 출력으로서 파형데이타 SWD가 얻어진다. 또, 댐퍼페달(26)을 ON하고 있을때는 파형데이타 SWD가 승산기(30B)를 거쳐서 공명음 발생회로(32)에 공급되므로, 이 회로(32)로 부터 공명음 데이타 RWD가 송출된다. 이 때문에, 가산기(36)의 출력으로서는 파형데이타 SWD와 공명음 데이타 RWD와의 혼합데이타가 얻어진다. 이 경우, 제4도의 약 1초의 기간 및 약 0.2초의 기간에 대해서는 파형데이타 SWD에 대한 공명음 데이타 RWD의 혼합비가 레벨 제어신호 LC(CF2에 상당하는 것)에 따라서 제어된다.
상기한 제6도의 구성에 의하면, 댐퍼페달(26)을 ON한 상태에서 바라는 건을 누르면, 이 건에 대응한 음높이를 갖는 파형데이타와 이 파형데이타에 따라서 발생된 공명음 데이타와를 혼합한 파형데이타가 얻어지므로,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공명음 데이타 단독의 경우에 비해서 눌려진 건의 음성분의 비율이 커서 눌려진 건의 음을 강조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승산기(30B)는 공명음 발생회로(32)의 후단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3의 실시예]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로서, 제1도의 회로에서 사용되는 혼합비 제어부분의 변경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제1도와 마찬가지의 부분에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댐퍼페달(26)의 밟는 량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중의 1개인 밟는량 검지회로(40)을 마련하고 이 검지회로(40)의 검지출력 A를 승산기(30B)에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2 대신에 신호 A2로서 공급하는 한편, 검지출력 A를 반전회로(42)에서 반전한 신호 A1(즉, “1-A”)를 승산기(30A)에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1 대신에 공급한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댐퍼페달(26)을 밟음에 따라서 검지출력 A의 값이 최소값 0에서 최대값 1을 향해서 증대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트(28)에서의 파형데이타 SWD는 승산기(30A)에 의해 진폭레벨이 감소하도록 제어됨과 동시에 공명음 발생회로(32)로 부터의 공명음 데이타 RWD는 승산기(30B)에 의해 진폭레벨이 증대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가산기(36)으로 부터는 신호 A1 및 A2의 값에서 결정도는 혼합비로 데이타 SWD 및 RWD를 혼합한 것이 송출된다. 또한, 가산기(36)으로 부터는 댐퍼페달(26)을 밟지 않으면 파형데이타 SWD가 송출되고, 댐퍼페달(26)을 가장 깊게 밟으면 공명음 데이타 RWD가 송출된다.
제7도의 구성에 의하면, 연주자는 댐퍼페달(26)의 밟는 량을 적절히 가감하는 것에 의해 파형데이타 SWD에 대한 공명음 데이타 RWD의 혼합비를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고, 제1도의 경우와 같은 댐퍼페달 ON/OFF효과 이외에 혼합비에 따른 음색변화등을 얻을 수가 있다.
[제4의 실시예]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악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 전자악기는 상술한바와 마찬가지로 여러 채널(예를들면, 8채널)의 시분할 처리에 의해 여러 음을 동시에 발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8도에 있어서, 제1도와 마찬가지의 부분에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댐퍼페달 OFF 파형메모리(10A)는 제1도의 파형메모리(10)과 마찬가지의 것으로, 댐퍼페달 OFF의 상태에 있어서의 파형데이타를 여러 단계의 각 터치레벨에 대해서 각 건그룹마다 각각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댐퍼페달 ON 파형메모리(10B)에는 댐퍼페달을 OFF의 상태에서 ON의 상태로 하는 점을 제외하고, 파형메모리(10)에 관해서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해서 자연악기인 피아노에서 샘플링한 파형이 여러 단계의 각 터치레벨에 대해서 각 건그룹마다 각각 기억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파형데이타는 댐퍼페달 ON의 상태에서 건을 눌렀으므로, 눌려진 건에 대응하는 현의 진동음과 공명등에 의해 진동한 다른 현의 음과의 혼합파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파형메모리(10A) 및 (10B)에서는 파형선택 제어회로(18)로 부터의 파형 지정데이타 WS에 따라서 리드할 파형이 지정된다.
또,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파형메모리(10A) 및 (10B)로 부터는 파형지정 데이타 WS에 의해 리드지정된 파형데이타가 어드레스 발생회로(20)으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 AD에 따라서 발행해서 리드된다.
파형메모리(10A)로부터 리드된 파형데이타 WDA는 승산기(21A)에 공급되고,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1과 승산된다. 또, 파형메모리(10B)로부터 리드된 파형데이타 WOB는 승산기(21B)에 공급되고,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CF2와 승산된다.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CF1 및 CF2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발생회로(34)로 부터 발생되는 것으로, 그 크로스 페이드 제어파형의 일예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다.
승산기(21A) 및 (21B)에 있어서의 승산결과, 검지수단중의 1개인 댐퍼페달(26)을 OFF하고 있는 동안은 파형데이타WDA가 가산기(23)에 공급되고, 댐퍼페달(26)을 ON하고 있는 동안은 파형데이타WDB가 가산기(23)에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 제4도에 도시한 약 1초의 기간 및 약 0.2초의 기간에 대해서는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CF1 및 CF2의 값에서 결정되는 혼합비로 파형데이타WDA 및 WDB가 가산기(23)에서 혼합되어 송출된다.
가산기(23)의 출력으로서의 파형데이타는 승산기(25)에 공급되고, 엔벨로프신호 발생회로(24)로부터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발생되는 엔벨로프 파형데이타 ED와 승산된다.
승산기(25)에 있어서의 승산의 결과, 고음, 터치레벨 및 댐퍼페달 상태에 따라서 엔벨로프가 부여된 파형데이타 EWD가 얻어지고, 이 파형데이타 EWD는 사운드 시스템(38)에 공급된다.
제8도의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혼합비 제어부분의 구성은 제7도와 같이 변경할수 있다. 이 경우, 밟는 량 검지회로(40)의 출력 A2를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2 대신에 승산기(21B)에 입력하고, 반전회로(42)의 출력 A1을 크로스 페이드 제어신호 CF1 대신에 승산기(21A)에 입력한다. 이렇게 하면,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연주는 댐퍼페달(26)의 밟는 량을 적절히 가감하는 것에 의해 파형데이타 WDA에 대한 공명음을 포함하는 파형데이타 WDB의 혼합비를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어 제8도의 경우와 같은 댐퍼페달 ON/OFF효과 이외에 혼합비에 따른 음색변화등을 얻을 수가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변경형태로 실시 가능한 것이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변경이 가능하다.
(1) 악음 파형의 기억 리드방식으로서는, 예를들면 USP4,633,749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어택부의 여러 주기파형 및 그것에 이어지는 몇개인가의 세그먼트파형(부분파형)을 파형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어택부의 여러 주기파형을 리드한 후, 순조로운 보간을 실행하면서 세그먼트파형을 리드하는 방식을 채용하여도 좋다.
(2) 악음의 기록 재생방식으로서는 데이타 압축이 가능한 방식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를들면, 차분펄스 부호변조(DPCM)방식,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ADPCM)방식 델타변조(DM)방식, 적응 델타변조(ADM)방식, 선형예측 부호화(LPC)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들면, LPC와 ADPCM의 조합)등을 채용할 수가 있다.
(3) 터치 응답이나 키 스케일링의 제어방식으로서는, 예를들면 USP4,738,179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파형메모리로 부터의 리드데이타를 디지탈 필터에 의해 가공하는 것 또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0-5539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2개의 파형메모리로 부터의 리드데이타의 혼합비를 제어하는 것등을 채용하여도 좋다.
(4) 파형선택 제어회로(18)에서 지정한 파형데이타를 어드레스 발생회로(20)으로 부터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서 리드하도록 하였지만, 어드레스신호 발생회로(20)에 파형선택 제어회로(18)의 기능을 갖게 하도록하여도 좋다.
(5) 본 발명은 단음 전자악기등에도 적용가능하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아노 음색의 경우를 나타냈지만, 다른 음색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7)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여러 채널분의 리드 파형데이타를 어큐뮬레이터(28)에 의해 혼합한 후, 공명음 발생회로(32)에 공급하도록 하였지만, 각 채널마다 독립적으로 공명음 발생회로를 마련하고, 각 공명음 발생회로에 대해서 대응하는 채널의 리드 파형데이타를 공그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공명음 발생회로에서는 내부결선, 계수등을 음높이에 따라서 적절히 제어하도록 하면 한층 바람직하다.
(8) 제1도의 실시에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크로스 페이드 제어를 생략하고, 리드 파형데이타와 공명음 데이타를 단순히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9)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드 파형데이타 및 공명음 데이타로 이루어지는 2계열의 악음신호는 혼합해서 하나의 사운드 시스템에서 발음시키는 것은 아니고 별개의 사운드 시스템에 공급해서 공간적으로 혼합 발음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10) 제8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형메모리(10A) 및 (10B)로 부터 리드지정에 관한 파형데이타를 리드하는 것에 있어서는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병렬적으로 리드하는 것은 아니고 시분할적으로 리드하도록 하여도 좋다.
(11) 제8도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크로스 페이스 제어는 생략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댐퍼페달신호 DP에 따라서 파형메모리(10A) 또는 (10B)를 선택하고, 선택된 파형메모리로 부터 파형데이타를 리드하도록 하면 좋다.
(12) 제8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형메모리(10A) 및 (10B)의 리드에 따르는 2계열의 악음신호는 혼합해서 하나의 사운드 시스템에서 발음시키는 것은 아니고 별개의 사운드 시스템에 공급해서 공간적으로 혼합발음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바라는 악음 또는 이 악음에 대응하는 공명음을 임의로 발생할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피아노등의 댐퍼페달 효과의 충실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1도 또는 제6도, 제8도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자의 조작 개시시부터 공명음 데이타의 진폭레벨을 서서히 증대시키는 크로스 페이드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면, 댐퍼페달 효과의 한층 충실히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도 있다.
또, 제7도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자의 조작량에 따라서 2계열의 악음신호의 혼합비를 제어하도록 하면, 발생 악음의 퍼짐의 필링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7)

  1. 바라는 악음파형에 대응하는 파형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10), 외부에서 공급된 건 선택정보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상기 파형정보를 바라는 리드속도로 리드하는 리드수단(12,14,20), 상기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에 따라서 공명음 정보를 발생하는 공명음 발생수단(32), 건 선택과는 별개로 동작할 수 있는 조작자, 상기 조작자의 조작의 유무를 검지하고, 상기 조작자의 조작의 유무에 따라서 다른 값을 나타내는 검지출력을 송출하는 검지수단(26,DP), 상기 검지출력이 하나의 값을 나타낸때는 상기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을 제1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하고, 상기 검지출력이 다른 값을 나타낼때는 상기 공명음 정보를 제2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하는 출력수단(34,30A,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신호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출력이 나타내는 상기 하나의 값 및 다른 값은 각각 상기 조작자의 조작의 유무에 대응하고, 상기 출력수단(34)는 상기 조작자의 조작 개시시부터 상기 공명음 정보의 진폭레벨을 서서히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신호 발생장치.
  3. 바라는 악음파형에 대응하는 파형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10), 외부에서 공급된 건 선택정보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상기 파형정보를 바라는 리드속도로 리드하는 리드수단(12,14,20), 상기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에 따라서 공명음 정보를 발생하는 공명음 발생수단(32), 건 선택과는 별개로 동작할 수 있는 조작자, 상기 조작자의 조작량을 검지하고, 상기 조작량에 대응하는 검지출력을 송출하는 검지수단(40), 상기 검지출력이 나타내는 조작량이 증대함에 따라서 상기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한쪽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의 레벨 제어수단(A2,30B), 상기 검지출력이 나타내는 조작량이 증대함에 따라서 상기 공명음 정보의 진폭레벨을 상기 한쪽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제어하는 제2의 레벨 제어수단(42,A1,30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레벨 제어수단의 출력은 각각 제1의 악음신호 및 제2의 악음신호로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신호 발생장치.
  4. 바라는 악음의 파형에 대응하는 제1의 파형정보 및 상기 악음과 그의 공명음과의 혼합파형에 대응하는 제2의 파형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10A,10B), 건 선택과는 별개로 동작할수 있는 조작자, 상기 조작자의 조작의 유무를 검지하고, 상기 조작자의 조작의 유무에 따라서 다른 값을 나타내는 검지출력을 송출하는 검지수단(26,DP), 상기 검지출력이 하나의 값을 나타낼때는 상기 제1의 파형정보에 따라서 제1의 악음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검지출력이 다른 값을 나타낼때는 상기 제2의 파형정보에 따라서 제2의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악음신호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신호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상기 제1의 파형정보 및 제2의 파형정보를 바라는 속도로 병행해서 리드하는 리드수단(12,14,20), 상기 검지출력이 상기 조작자의 조작없음에 대응하는 값을 나타낼 때는 상기 제1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을 선택해서 상기 제1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하고, 상기 검지출력이 상기 조작자의 조작있음에 대응하는 값을 나타낼때는 상기 제2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을 선택해서 상기 제2의 악음신호로서 송출하는 선택수단(34,21A,21B)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조작자의 조작 개시시부터 상기 제1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서서히 감소시키고, 상기 제2의 파형정보 리드출력의 레벨을 서서히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신호 발생장치.
  6. 바라는 악음의 파형에 대응하는 제1의 파형정보 및 상기 악음과 그의 공명음과의 혼합파형에 대응하는 제2의 파형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10A,10B), 외부에서 공급된 건 선택정보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상기 제1 및 제2의 파형정보를 바라는 속도로 리드하는 리드수단(12,14,20), 건 선택과는 별개로 동작할 수 있는 조작자, 상기 조작자의 조작량을 검지하고, 상기 조작량에 대응하는 검지출력을 송출하는 검지수단(40), 상기 검지출력이 나타내는 조작량이 증대함에 따라서 상기 제1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제어하여 한쪽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1의 레벨 제어수단(A2,30B), 상기 검지출력이 나타내는 조작량의 증대함에 따라서 상기 제2의 파형정보의 리드출력의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한쪽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2의 레벨 제어수단(42,A1,30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레벨 제어수단의 출력은 각각 제1의 악음신호 및 제2의 악음신호로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신호 발생장치.
  7. 댐퍼페달을 갖는 형식의 피아노의 음색특성을 시뮬레이트하기 위한 악음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피아노형식의 음색특성을 갖는 악음 파형에 대응하는 파형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10),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상기 파형정보를 바라는 리드속도로 리드하는 리드수단(12,14,20), 스위칭기구(26), 상기 스위칭기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리드된 악음 파형정보를 수정하여 피아노의 댐퍼페달의 조작의 공명효과를 시뮬레이트하는 수단(32), 상기 스위칭기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리드된 파형정보 또는 수정된 파형정보를 송출하는 출력수단(34,30A,30B,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신호 발생장치.
KR1019880012477A 1987-10-02 1988-09-27 악음신호 발생장치 KR940001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49399A JP2508138B2 (ja) 1987-10-02 1987-10-02 楽音信号発装置
JP62249400A JP2560348B2 (ja) 1987-10-02 1987-10-02 楽音信号発生装置
JP62-249400 1987-10-02
JP62-249399 1987-10-02
JP63-249400 1988-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209A KR890007209A (ko) 1989-06-19
KR940001090B1 true KR940001090B1 (ko) 1994-02-12

Family

ID=2653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477A KR940001090B1 (ko) 1987-10-02 1988-09-27 악음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4909121A (ko)
EP (2) EP0310133B1 (ko)
KR (1) KR940001090B1 (ko)
DE (2) DE3856103T2 (ko)
HK (1) HK1887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677B2 (ja) * 1986-11-28 1995-08-23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キ−スケ−リング装置
JPH01101590A (ja) * 1987-10-14 1989-04-19 Casio Comput Co Ltd 電子楽器
US5000074A (en) * 1988-06-23 1991-03-19 Yamaha Corporation Effect imparting device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or the like apparatus
JPH0752352B2 (ja) * 1988-06-23 1995-06-05 ヤマハ株式会社 ソフトペダル効果装置
US5094136A (en) * 1989-01-06 1992-03-10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plural different tone generators employing different tone generation techniques
JPH0769701B2 (ja) * 1989-05-09 1995-07-31 ヤマハ株式会社 楽音波形信号形成装置
US5272274A (en) * 1989-08-10 1993-12-21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reverberation effect
US5147970A (en) * 1989-08-11 1992-09-15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generating musical tones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input waveform signal
US5292997A (en) * 1989-08-17 1994-03-08 Yamaha Corporation Touch responsive envelope shape generation device
US5256830A (en) * 1989-09-11 1993-10-26 Yamaha Corporation Musical tone synthesizing apparatus
JP3008419B2 (ja) * 1990-01-19 2000-02-14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H07113830B2 (ja) * 1990-03-19 1995-12-0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H03269584A (ja) * 1990-03-20 1991-12-02 Yamaha Corp 電子楽器
JPH0774958B2 (ja) * 1990-06-01 1995-08-09 ヤマハ株式会社 楽音合成装置
JP2504298B2 (ja) * 1990-06-20 1996-06-05 ヤマハ株式会社 楽音合成装置
US5198604A (en) * 1990-09-12 1993-03-30 Yamaha Corporation Resonant effect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5252774A (en) * 1990-10-31 1993-10-12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resonance tone generation
US5166464A (en) * 1990-11-28 1992-11-24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a reverberation
JP2650489B2 (ja) * 1990-11-30 1997-09-03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2664098B2 (ja) * 1991-04-17 1997-10-15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のペダル装置
JP3243821B2 (ja) * 1992-02-27 2002-01-07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2565073B2 (ja) * 1992-03-10 1996-12-18 ヤマハ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US5374775A (en) * 1992-06-09 1994-12-20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US5468906A (en) * 1993-09-02 1995-11-21 Media Vision, Inc. Sound synthesis model incorporating sympathetic vibrations of strings
US5543578A (en) * 1993-09-02 1996-08-06 Mediavision, Inc. Residual excited wave guide
JPH0784574A (ja) * 1993-09-14 1995-03-3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楽器
IT1281788B1 (it) * 1995-04-28 1998-03-03 Generalmusic Spa Dispositivo di simulazione dell'effetto pedale di risonanza per pianoforti digitali
JPH09127941A (ja) * 1995-10-27 1997-05-16 Yamaha Corp 電子楽器
FR2747496B1 (fr) * 1996-04-16 1998-05-15 France Telecom Procede de simulation de resonances sympathiques sur un instrument de musique electronique
JPH09292880A (ja) * 1996-04-26 1997-11-11 Yamaha Corp 電子鍵盤楽器
US5827987A (en) * 1996-06-25 1998-10-27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a variable coefficients digital filter responsive to key touch
JP3433896B2 (ja) * 1998-01-22 2003-08-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楽音発生装置
JP3633420B2 (ja) 2000-02-22 2005-03-30 ヤマハ株式会社 楽音発生装置
JP2002311957A (ja) * 2001-04-17 2002-10-2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共鳴装置、共鳴方法及び共鳴処理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16422B2 (ja) * 2006-01-19 2011-07-06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共鳴音発生装置
JP4539590B2 (ja) * 2006-03-20 2010-09-08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4905284B2 (ja) * 2007-08-01 2012-03-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楽器の共鳴音付加装置
JP5228667B2 (ja) * 2008-07-24 2013-07-03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
US8067685B2 (en) * 2010-01-07 2011-11-29 Preston Parish Stringed instrument utilizing sympathetic vibrations
US8467551B2 (en) * 2010-07-30 2013-06-18 Gentex Corporation Vehicular directional microphone assembly for preventing airflow encounter
JP2012203347A (ja) * 2011-03-28 2012-10-2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音源付きピアノ
US10939503B2 (en) * 2018-04-13 2021-03-02 Lennard A. Gumaer Programmable signal generator and radio controller
JP7243116B2 (ja) 2018-10-05 2023-03-22 ヤマハ株式会社 共鳴音信号発生装置、共鳴音信号発生方法、共鳴音信号発生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音楽装置
DE102020122697A1 (de) * 2019-09-05 2021-03-11 Yamaha Corporation Verfahren zur resonanzklangsignalerzeugung, vorrichtung zur resonanzklangsignalerzeugung, programm zur resonanzklangsignalerzeugung und elektronische musik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7253A (en) * 1976-04-02 1978-01-10 The Wurlitzer Company Electronic tone-generating system
JPS52121313A (en) * 1976-04-06 1977-10-12 Nippon Gakki Seizo Kk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211141A (en) * 1978-03-17 1980-07-08 Jensen Richard W Pedal 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piano
JPS5639593A (en) * 1979-09-08 1981-04-15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586417A (en) * 1981-07-28 1986-05-06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provided with reverberation tone generating apparatus
JPS5946688A (ja) * 1982-09-09 1984-03-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楽器
JPS5983199A (ja) * 1982-11-02 1984-05-14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S6052895A (ja) * 1983-09-02 1985-03-26 ヤマハ株式会社 楽音信号発生装置
JPS6052896A (ja) * 1983-09-02 1985-03-2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US4779505A (en) * 1983-09-07 1988-10-25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of full-wave readout system
JPS6055398A (ja) * 1983-09-07 1985-03-3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における波形形成方法
JPS6068387A (ja) * 1983-09-26 1985-04-18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H0693189B2 (ja) * 1983-10-26 1994-11-1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H0693190B2 (ja) * 1983-10-26 1994-11-1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S6093492A (ja) * 1983-10-28 1985-05-25 株式会社ダイエー 音源装置
US4633749A (en) * 1984-01-12 1987-01-06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Tone signal generation device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P0167847B1 (en) * 1984-06-12 1989-03-29 Yamaha Corporation Tone signal generation device
US4706537A (en) * 1985-03-07 1987-11-17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Tone signal generation device
JPS61204696A (ja) * 1985-03-07 1986-09-10 ヤマハ株式会社 楽音信号発生装置
US4726276A (en) * 1985-06-28 1988-02-23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Slur effect pitch control i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754428B2 (ja) * 1987-04-24 1995-06-07 ヤマハ株式会社 楽音信号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56103T2 (de) 1998-07-16
EP0521537B1 (en) 1998-01-07
EP0521537A3 (en) 1993-06-16
EP0521537A2 (en) 1993-01-07
USRE35813E (en) 1998-06-02
EP0310133B1 (en) 1994-04-13
DE3889051T2 (de) 1994-08-25
EP0310133A1 (en) 1989-04-05
KR890007209A (ko) 1989-06-19
US4909121A (en) 1990-03-20
DE3856103D1 (de) 1998-02-12
DE3889051D1 (de) 1994-05-19
HK188796A (en) 199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090B1 (ko) 악음신호 발생장치
US7642445B2 (en) Music sound generator
JPH03174590A (ja) 電子楽器
JP3214013B2 (ja) 電子楽器
JPH0423797B2 (ko)
US5157218A (en) Musical tone signal forming apparatus
JP2692672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JP2508138B2 (ja) 楽音信号発装置
JP2605885B2 (ja) 楽音発生装置
US5854438A (en) Process for the simulation of sympathetic resonances o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3279861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JPS61204698A (ja) 楽音信号発生装置
JP3642130B2 (ja) 電子楽器
JP2670306B2 (ja) 楽音合成装置及び楽音合成方法
JP2560348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JPH09330079A (ja) 楽音信号発生装置及び楽音信号発生方法
JP4785052B2 (ja) 楽音発生装置
US5403969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of delayed feedback type
JP2943279B2 (ja) 電子楽器
JPH0850479A (ja) 電子楽器
JP2943278B2 (ja) 電子楽器
JPH0934465A (ja) 楽音信号発生装置及び楽音信号発生方法
JP3532010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及び楽音信号発生方法
JPH05181463A (ja) 楽音信号発生装置
JPH0498291A (ja) 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