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597B1 -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597B1
KR940000597B1 KR1019860006656A KR860006656A KR940000597B1 KR 940000597 B1 KR940000597 B1 KR 940000597B1 KR 1019860006656 A KR1019860006656 A KR 1019860006656A KR 860006656 A KR860006656 A KR 860006656A KR 940000597 B1 KR940000597 B1 KR 940000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isplay
area
windows
over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724A (ko
Inventor
히데후미 이와미
도미히꼬 고지마
쇼지 나까무라
후미야 무라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77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178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156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787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1791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7758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2Storage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표시화면 위에 설정된 윈도우와, 그 윈도우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위의 부분 영역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다른 윈도우에 덮인 1개의 윈도우 내의 가시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a도와 제4b도는, 상기 가시영역을 산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표시영역의 차례차례로 분할하는 방법의 설명도.
제5a도는 윈도우 관리 테이블의 구성도.
제5b도는 가시영역 관리 테이블의 구성도.
제5c도는 가시영역 관리 테이블의 1개의 테이블 블럭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제6도는 표시 영역의 차례차례로 분할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플로우챠트.
제7도는 상기 제6도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서브 루틴의 1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8a도와 제8b도는 표시화면에서 1개의 윈도우를 삭제하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설명도.
제9도는 제2도의 실시예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플로우챠트.
제10a도와 제10b도는 윈도우의 표시 순위를 변경하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설명도.
제11도는 제3의 실시예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2a도와 제12b도는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설명도.
제13도는 제4의 실시예의 프로그램 플로우챠트.
제14도는 윈도우의 위치를 쉬프트 하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설명도.
제15도는 제5의 실시예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6도는 화면 스크롤을 행하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설명도.
제17도는 상기 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상화면의 설명도.
제18도는 상기 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데이터의 재차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설명도.
제19도는 상기 제6실시예를 위한 프로그램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정보처리 (情報處理)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端末)장치의 표시화면 (表視畵面)제어 방식에 관하여, 특히 1개의 표시화면상의 윈도우(window)로 불리우는 구형상(矩形狀)의 표시영역을 다수개 설정하고, 각 윈도우마다 독립하여 데이터(date)표시를 행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molti window system)을 위한 표시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를 갖춘 정보처리 단말장치에서는, 표시화면위에 윈도우라고 칭하는 구형 영역을 설정하고, 이 윈도우 내에 데이터 화일(date file)장치에서 호출한, 예를 들면 문서(文書)등의 데이터를 표시하여, 이것을 참조하면서 키(key) 입력 조작을 행하여 표시화면상의 다른 영역에 별도의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개의 표시화면상에 상술한 윈도우를 다수개 설정하는 소위 멀티 윈도우 방식에서는, 각 윈도우가 임의의 위치 관계로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진 형태로 설정되어, 윈도우의 표시위치를 쉬프트(shift)하든지, 표시 순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이제까지 1부(部)가 다른 윈도우에 숨겨져 있던 임의의 윈도우의 전체가 보이도록 되어 있다.
멀티 윈도우의 시스템에서는, 표시화면상에 설정된 각부 윈도우는 각각 데이터 처리장치가 참조하는 메모리(memory)상에 설정된 논리적 (論理的) 혹은 가상적 (假想的)인 표시화면과 대응하고 있으며, 이 가상화면 상의 1부의 영역의 데이터가 추출(抽出)되어, 실제의 표시화면과 대응하는 프레임 메모리(frame memory)상의 소정의 영역에 비트 맵(bit map)전개되어 윈도우의 내용으로서 출력이 표시된다.
실화면상의 윈도우의 위치와 크기 및 이 윈도우와 가상화면상의 추출영역과의 대응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윈도우 관리 테이블(table)에 각 윈도우마다 등록되어 오퍼데이터(operator)가 화면 조작 코맨드(command)를 입력하면 데이터 처리장치가 상기 윈도우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표시화면상의 특정한 윈도우의 표시내용을 변경 제어한다.
예를 들면, 오퍼데이터가 커서(cursor)로 지시하여 처리대상으로 되는 윈도우를 지정하고, 이 윈도우를 커서로 지정한 화면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령을 부여하며, 상기 윈도우 관리 테이블위에서 해당 윈도우의 위치 데이터가 다시 기억되어, 프레임 메모리의 내용이 변경되어서, 표시화면상에서 윈도우 위치가 쉬프트 상태로 된다. 윈도우를 지정하여 그 사이즈(size)를 변경하는 지령이 부여되었을 경우, 윈도우 관리 테이프위에서 윈도우 사이즈의 데이터가 다시 기억되고, 프레임 메모리 내용이 변경되어서, 표시화면성에 사이즈가 변경된 윈도우가 나타난다. 윈도우 내의 표시내용을 스크롤(scroll)하는 지령이 부여되면, 가상화면으로 부터의 부분영역의 추출 위치가 변경되어, 윈도우내의 시야(視野)를 비껴놓은 화상(畵像)이 출력된다.
종래의 멀티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윈도우 위치의 변경을 행하는 경우, 화면상에서 원래의 윈도우를 일단 소거(消去)한 후, 가상 메모리에서 재차 해당 윈도우에 대응하는 부분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것을 프레임 메모리의 이동후의 윈도우 위치로 비트 맵 전개를 하고 있었다. 윈도우 사이즈를 변경하는 경우도, 가상화면에서 변경후의 윈도우 사이즈에 대응하는 부분 영역의 데이터를 재차 추출하여, 이것을 프레임 메모리 위에 비트 맵 전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스크롤의 경우도 스크롤 후의 표시 데이터의 모든것을 가상화면에서 추출하고, 이것을 프레임 메모리상에 비트 맵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표시 데이터의 비트 맵 전개, 예를 들면 가상화면상에서 문자 코오드(code)로서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문자 폰트(font)로 변환하는 처리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종래와 같이 변경후의 윈도우 표시 내용의 모든것을 재차 비트 맵 전개하는 방법을 채용하면, 표시화면의 갱신을 재빨리 할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멀티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표시화면상에서 다수개의 윈도우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위치관계로 설정되었을 경우, 표시 순위가 낮은 윈도우에 대해서는 다른 윈도우가 겹쳐져서 볼 수 업섹 되는 부분을 제외한 형태로, 상술한 가상화면에서 프레임 메모리로 데이터 출력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각 윈도우내에서 국부적인 표시 또는 비(非) 표시를 행하기 위하여, 종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소화 59-102284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 윈도우를 그것과 겹치는 다른 윈도우의 각 변(邊)을 분할선으로하여 구형상의 다수개의 서브(sub)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서브 영역의 위치와 크기를 표시가(可), 불가(不可)의 식별 정보와 함께, 가시영역 관리 테이블 위에 기억하여 두고, 표시가의 서브 영역(visual sub region)에만 표시 데이터의 출력을 허가하도록한 제어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표시화면상에 설정한 모든 윈도우에 대해서, 상술한 가시 서브영역과 비가시 서브 영역의 데이터를 가시영역 관리 테이블위에 항상 등록하여 두고, 화면위로 새로운 윈도우의 추가나 윈도우의 표시 순위 또는 위치관계에 변경이 생겼을 때는, 표시화면에 맞추어 가시영역 관리테이블의 데이터를 갱신하여, 어떤 윈도우가 선택되어도, 상기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즉시 표시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표시화면상에서 윈도우의 중첩관계가 복잡함에 따라서, 각 윈도우는 잘게분할 되어서 서브 영역의 수가 증가하므로, 모든 윈도우에 대해서 가시 서브 영역을 항상 기억하여 두는 종래 방식에서는 가시영역 관리 테이블을 위하여 큰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또, 이 테이블의 데이터 갱신을 위한 처리시간이 중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화면상에 설정된 각 윈도우내에서, 가시영역과 불가시 영역을 식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데이터의 메모리 용량을 감소할 수 있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화면의 변경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을 위한 표시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표시 내용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제어 대상 윈도우의 가시영역을 그 시점에서의 표시화면 상의 각 윈도우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산출하고 얻어진 가시영역에 대해서 표시 출력을 행한다.
가시영역의 산출은, 대상 윈도우를 차례로 다른 윈도우(참조 윈도우)와 조합(組合)하여 서로 교차(交差)하는 위치 관계에 있을 때, 대상 윈도우를 구형상의 다수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여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Overlap)하지 않는 서브 영역을 각각 새로운 분할대상 구형으로 하고, 또한 다른 참조 윈도우와의 조합을 반복하는 구형 영역의 차례차례로 분할에 의해 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한하는 구형상의 다수개의 윈도우가 설정되는 표시화면과, 상기 표시화면상의 위치를 대응시켜서 표시정보를 기억하는 제 1메모리 수단과, 상기 각 윈도우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가상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메모리 수단, 각 윈도우에는 그것과 대응하는 가상화면의 부분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각 윈도우마다의 표시화면상의 위치 데이터 및, 가상화면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의(定義)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3메모리 수단과, 상기 제1메모리 수단에 기억되는 표시정보를 부분적으로 재 기억하는 제어수단을 가진 멀티 윈도우 시스템을 위한 표시 제어방법을 다음사항을 포함한다.
표시 제어의 대상으로서, 지정되는 1개의 윈도우와 참조 윈도우로서 차례차례로 선택된 상기 표시화면 상의 다른 윈도우를 상기 제3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임의의 데이터에 따라서 조합하고, 서로 교차하는 위치관계에 있을때, 상기 대상 윈도우를, 상기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는 서브 영역과 해당 오버랩 서브 영역의 경계를 분할선으로 하는 구형상의 적어도 1개의 비 오버랩 서브영역으로 분할하는 제1스텝과, 상기 비 오버랩 서브 영역을 분할의 대상구형으로하여, 이것과 참조 윈도우로서 차례차례로 선택된 상기 표시화면상의 또다른 윈도우를 조합하여, 서로 교차하는 위치관계에 있을때, 해당 대상 구형을 상기 참조 윈도우에 오버랩하는 서브 영역과, 구형상의 적어도 1개의 비 오버랩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여, 참조하여야할 윈도우가 없어질때까지, 얻어진 비 오버랩 서브영역을 새로운 분할의 대상 구형영역으로서, 상기 조합과 분할을 반복하는 제2스텝과, 대상 구형 영역의 상기 분할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메모리 수단중의 표시정보를 부분적으로 재기억하는 제3스텝등으로 된다.
이로 인해서, 표시화면상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가 점유하고 있는 가시영역의 표시내용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윈도우 내의 가시영역을, 필요에 따라서 산출하는 본 발명의 표시 제어 방식에 의하면, 종래의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고 있든 가시영역의 관리 테이블을 위한 메모리 에리어를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표시 화면상의 1개의 윈도우를 지정하여, 이 윈도우를 이용해서 오퍼레이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이 행하여지는 경우, 구형영역의 차례차례로 분할에 의해, 일단 구하여진 가시영역의 정의 데이터는 가시 영역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고, 그 후의 표시제어에 이용된다. 제어 대상이 다른 윈도우로 대치되었을때, 만약 가시영역 관리 테이블의 기억용랸에 여유가 있으면, 상기 정의 데이터는 보존 된다. 그러나, 다른 윈도우로 구해진 새로운 가시영역의 정의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서 에리어가 필요하면. 오래된 정의 데이터는 소거되어 다음 기회에 재차 산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정의 데이터는, 관리 테이블에 항상 기억된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윈도우의 표시순위의 변경, 삭제등의 경우에 정의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상술의 다른 목적과, 잇점들의 동작의 방법의 신규한 것은 다음의 도면 및 상세한 설며으로 부터 이해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멀티 윈도우 방식의 단말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 (block)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1은 단말장치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프로세서 (processor)(CPU), 12는 상기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program)을 격납하는 메모리, 13은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서 일어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워크 메모리(work memory), 14는 윈도우 관리용의 테이블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메모리, 15는 윈도우 내의 가시 서브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블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 16은 문서 데이터등의 화일 데이터가 격납되는 보조 메모리, 17은 각 윈도우에 대응하는 가상화면의 데이터가 격납되는 메모리이며, 이들의 가상화면의 데이터는 보조 메모리 16에서 호출된 것이다. 18은, 문자 코오드(code)에 대응하는 문자 폰트(font)를 발생하기 위한 카렉터 제네레이터 (character generator), 19는 데이터 및 각종의 코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 보드(key board), 20은 표시 데이터를 비트 맵 메모리(프레임 메모리) 22위에 비트맵으로 전개하기 위한 비트 맵 프로세스(BMP), 21은 BMP 20을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의 명령이 격납되는 메모리, 23은 프레임 메모리 22의 내용을 차례로 호출하여 CRT 30에 출력하는 CRT 콘트롤러 (controller) 이다.
제2도는, 메모리 17에 준비되는 가상화면 60과 cRT의 표시화면(실화면) 30상에 설정된 윈도우 31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윈도우의 위치와 크기는 윈도우 구형의 시점(始点) (왼쪽위 코너)의 X, Y좌표(X1,Y1)과 종점(終点)(오른쪽 아래 코너)의 X, Y 좌표(X'1,Y'1)로 표시된다. 가상화면 60은, 실화면 30과 같은 크기를 가지며, 그 일부의 영역 S에 위치하는 데이터가 윈도우 31에 표시된다. 부분 영역 S의 위치와 크기는 윈도우 31과 마찬가지로, 그 시점과 종점의 X, Y 좌표(X1,Y1), (X'1,Y'1)로 표시된다. 윈도우 31과 부분영역 S와의 대응관계는 제5a도에서 다음에 기술하는 윈도우 관리 테이블 140에 기억된다.
제3도는, 표시화면 30위에 다수개의 윈도우 Wl, W2, W3, W4가 서로 겹쳐져서 표시된 멀티 윈도우의 표시화면을 도시한다. 이제 윈도우의 표시순위가 변경되어, 윈도우 W3이 도시한 것과 같이 윈도우 Wl,W2의 아랬쪽으로 되며, 그 일부인 서브 영역 W3l, W32, W33만이 가시영역으로 되었을 경우를 가상한다.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 W3 내의 이둘의 가시 서브영역 W3l∼W33을 다음과 같이해서 구하여, 표시제어를 행한다.
우선, 분할 대상으로 되는 윈도우 W3과 표시순위가 제1 위(位)의 윈도우(참조 윈도우) Wl을 조합하여, 교차관계에 있는가, 아닌가를 첵크(check)한다. 분할대상 윈도우 W3의 시점, 종점의 좌표를(X3,Y3),(X'3,Y'3)로 하고, 참조 윈도우 Wl의 시점, 종점의 좌표를(X1, Y1), (X'1,Y'1)로 하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할때, 2개의 윈도우 Wl과 W3이 교차하여 중첩부분이 존재한다.
(X3<X'1)와 (Y3<Y'1)와
(X1<X'3)와 (Y1<Y'3)
중첩부분이 존재할때, 윈도우 W3 내지 위치하는 윈도우 Wl의 상, 하, 좌, 우의 어떤 변을 분할선으로 하여, 윈도우 W3을 다수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 예에서는, 제4a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윈도우 Wl의 아랫변(좌표 Y'1)으로 윈도우 W3을 2분할하고, 윗쪽의 서브 영역을 또 윈도우 Wl의 오른쪽변(좌표 X'1)으로 2분할하여, 결과적으로 3개의 서브 영역 ″a″, ″b″, ″c″를 얻는다. 그 중, 서브 영역 ″a″는 윈도우 Wl에 완전히 덮혀져서 불가시(不可視)의 영역으로 된다. 따라서, 서브 영역 ″b″, ″c″가 가시 영역으로서 남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것들의 가시영역 (비 오버랩 영역)으로서 남은 서브 영역 ″b″ 및 ″c″를 분할대상으로 하고, 윈도우 W3 보다 표시 순위가 높은 표시순위가 제2위의 윈도우 W2를 참조 윈도우로 설정하여, 상술한 순서와 마찬가지의 영역분할 처리를 반복한다. 그 결과, 제4b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브 영역 ″b″는, 또 ″b1″, ″b2″로 분할되고, 서브 영역 ″c″ 는 ″cl″, ″c2″, ″c3″으로 분할되어, 윈도우 W2에 완전히 덮혀지는 ″b2″, ″c2″를 제외한 3개의 서브 영역 ″b1″, ″c1″, ″c3″이 가시영역으로서 남게된다. 만약, 윈도우 W3보다 상위에 또다른 윈도우가 있으면, 그것을 참조 윈도우로하여, 상기 서브영역 ″b1″, ″c1″, ″c3″이 또 다시 가늘게 분할되는 것으로 된다. 이 예에서는, 서브영역 ″b1″, ″c1″, ″c3″이 각각 제3도의 가시 서브 영역 W3l, W32, W33에 대응하는 최종적인 가시영역으로 된다.
제5a도는 메모리 14에 형성되는 윈도우 관리 테이블 140의 구조를 도시한다. 윈도우 관리 테이블 140은 표시화면에 설정된 윈도우 Wl∼W4의 각각에 대응하여 작성된다. 1개의 테이블은 윈도우의 표시순위 141, 이 윈도우에 대응하는 논리화면의 식별번호 142, 다음에 기술하는 가시영역 테이블의 포인터(pointer)143, 가시 서브 영역의 개수 144, 윈도우의 시점의 X, Y 좌표 145, 윈도우 종점의 X, Y 좌표 146, 논리 화면에서 추출되는 부분영역의 시점 X, Y 좌표 147, 이 부분영역의 종점 X, Y 좌표 148로 된다.
제5b도는, 메모리 15에 형성되는 가시영역 테이블 150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테이블은, N개의 블럭 152-1∼152-N와 테이블 중의 사용블럭을 나타내는 에리어 151로 되며, 상술한 포인터 143은, 개수 144가 나타나는 연속하는 m개의 블럭의 선두 위치 P를 지시한다. 각 볼럭은, 제5c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화면상의 1개의 가시 서브영역의 시점 X, Y 좌표 153과, 그 종점의 X, Y 좌표 154, 이 가시 서브 영역과 대응하는 논리화면상의 서브 영역의 시점 및 종점의 X, Y 좌표 155, 156으로 된다.
종래의 멀티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표시화면상에 허용 최대 개수의 윈도우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도 각 윈도우의 가시 서브 영역의 정의 데이터의 모든 것을 기억할 수가 있는 만큼의 블럭수를 상기 가시영역 테이블 150에 준비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가시영역 테이블 150의 블럭수 N을 크게 감속한다.
표시제어를 위하여, 제4a도, 제4b도에서 설명한 순서로 일단 가시 서브 영역이 구해지면, 이들의 가시 서브 영역의 정의 데이터는 테이블 150에 등록된다. 테이블 150에 이미 정의 데이터의 등록이 끝났고, 세로이 산출한 가시 서브 영역의 정의 데이터의 모든것을 등록하는데 충분한 나머지 불럭 없는 경우, 이미 등록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거되어 여기에 새로운 가시 서브 영역의 정의 데이터가 등록된다. 테이블 150에서 소거된 가시 서브 영역과 대응하는 윈도우의 관리 테이블 140에서는 포인터 143과 개수 144가 크리어 (clear)된다. 포인터 143이 크리어 되어 있는 윈도우에 대해서는, 그것이 표시 제어 대상으로된 시점에서, 다른 윈도우와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상술한 차례 차례로 영역분할에 의해, 가시 서브 영역을 구하고, 이들을 테이블 150에 등록하여, 이 테이블 150을 참조한 프레임 메모리 22의 갱신을 행한다. 현재, 제어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는 윈도우에 대해서는, 프레임 메모리 위의 이것과 대응하는 영역의 내용은 불변(不變)이므로, 가시 서브 영역의 정의 데이터가 테이블 150에 없어도 문제는 없다.
표시화면상의 1개의 윈도우 WO이 제어대상 윈도우에 지정되고, 이 윈도우에 대해서 표시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윈도우 관리 테이블 140상에 포인터 143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포인터에 따라서 가시 영역 테이블 150이 참조되고, 거기에 등록되어 있는 가시 서브 영역의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프렌임 메모리 22의 부분적인 재기억이 행하여 진다.
만약, 포인터 143이 테이블 150을 지시하고 있지 않는 경우, 제6도의 플로우 차트(flow chart기)로 도시는 프로그램(program)이 실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스텝 201에서 참조윈도우를 지정하는 제1파라메타 (parameter)에 초기치(初期値)「0」을 셋트(set)하고, 스텝 202에서 제어대상 윈도우 WO의 표시순위를 제 2파라메타에 셋트하여, 스텝 203에서 분할대상 구형을 정의하는 제3파라메타로 하여, 윈도우 WO의 X,Y좌표치 145,146의 수치를 설정하고, 이들의 파라메타를 독립변수(argument)로 하여, 스텝 204에서 가시영역 산출을 위한 서브 루틴(SUBI)을 콜(call)한다.
SUB 1에서는, 제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우선 스텝 210에서 제1파라메타의 수치를 파라메타 RW,제2파라메타의 수치를 파라메타 OW, 제3파라메타의 수치를 대상구형의 좌표데이터에 각각 셋트하고, 스텝 212에서 RW의 수치를 1만큼 증가하여, 스텝 214에서 RW와 OW의 수치를 비교한다. 만약, RW가 OW보다 적으면, 즉 참조 윈도우의 표시순위가 분할대상 윈도우의 표시순위보다도 높으면, 스텝 218로 진행하여, 이참조 윈도우와 분할대상구형이 교차하는가, 아닌가를 형성한다. 분할 대상 구형의 시점, 종점을 각각(XO1,YO1), (XO2,YO2), 참조 윈도우의 시점, 종점을 각각 (XR1,YR1), (XR2,YR2)로 하였을때,만약 (XO1<XR2)와 (YO1<YR2)와 (XR1<XO2)와 (YR1 <YO2)가 성립하면, 분할대상구형은 참조 윈도우와 교차하고 있다. 이 경우은, 스텝 220으로 진행하여, 이미 제4a도, 제4b도에 도시한것과 같이 대상구형을 다수개의 서브영역을 분할한다. 만일 교차관계가 없으며, 스텝 212로 되돌아가서, 참조 윈도우를 다음 차례의 것과 바꾸어서, 분할대상 구형과의 교차관계가 첵크된다. 스텝 214에서 RW=OW로 되었을 경우, 분할대상 구형으로 겹치는 다른 왼도우가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판단하여, 이 구형의 전체가 표시영역으로 되도록 스텝 216에서 해당 구형의 정의 데이터를 가시영역 테이볼 150에 등록하여, 원래의 프로그램으로 되돌린다.
스텝 220에서 서브 영역으로의 분할이 끝나면, 스텝 222에서, 이들 중에 가시 서브 영역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첵크한다. 만약 가시 서브영역이 있으면, 스텝 224에서 참조 윈도우가 분할 대상 구형의 바로위의 윈도우가 아닌가를 첵크한다 만약, 그러면 이번에 구한 가시 서브 영역은 진짜의 가시영역으로 판단하고,스텝 226에서 이들의 가시영역을 가시영역 테이블 150에 등록한다.
참조 윈도우가 분할 대상 구형의 바로 위의 것이 아닐경우, 이번에 구한 가시 서브 영역은, 또 다른 상위의 윈도우와 교차 관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들의 미확정의 가시 서브 영역을 스텝 230에서 일단 메모리 13위에 준비한 워크 테이블 위에 기억하고, 다음과 같이 1개씩 차례로 분할대상 구형으로 선정하여, 너머지의 참조 윈도우와 조합한다. 우선, 스텝 232로 워크 테이블에서 서브 영역을 끄집어내기 위한 파라메타 k에 초기치「1」을 설정하고, 서브 영역의 개수를 파라메타 n으로 설정한다.
스텝 234에서 참조 윈도우를 지정하는 제 1파라메타에 현재 1의 표시 순위의 수치 RW를 셋트하고, 스텝 236에서 위크 테이블 위의 K번째의 서브 영역의 정의 테이터를 제3파라메타에 셋트한다. 제2파라메타는 스텝 202에서 셋트한 수치를 그대로 사용하고, 이들의 제1-제3파라메타의 수치를 독립변수로 하여, 서브 루틴 SUBI은 콜한다. 이로 인해서, 위크 테이블위의 K번째의 서브 영역이 RW+l번째 이후의 윈도우와 조합되어, 스텝 238이 끝나면, 스텝 240에서 파라메타 K의 수치를 1만큼 증가시켜, K의 수치가 n보다 커질때까지 스텝 236∼240은 반복한다. 이와 같이, 서브루틴 SUBI의 실행을 반복하면, 최상위의 참조 윈도우와의 위치관계에서 표시영역으로 간주된 서브 영역이, 제어대상의 윈도우 보다도 표시순위가 높은 다른 참조 윈도우와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차례로 가늘게 분할되어, 최종적으로 남은 가시서브 영역의 정의 데이터가, 가시영역 테이블 150에 등록되는 것으로 된다.
제8a도∼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표시화면 30위에, 예를 들면 제8a도와 같이, Wl,W2,W3,W4의 순으로 4개의 윈도우가 서로 겹쳐져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2번째의 윈도우 W2를 화면에서 삭제한 경우, 지금까지 W2에 덮혀져서 불가시 영역으로 되어 있든 부분의 표시를 회복하는 표시제어의 예이다. 이와같은 경우, 본 발명에서는 삭제 대상으로 된 윈도우 W2를 대상 구형으로 하고, 이것을 다른 윈도우(참조 윈도우)와 차례로 조합하여, 서브 영역으로 차례로 분할하여 간다. 참조 윈도우가 대상 윈도우(대상구형)보다도 높은 표시 순위를 갖는 경우, 분할된 서브영역 중,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지 않은것이 워크 테이블에 기억되고, 이것이 다음의 대상구형으로 선택되어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례로 분할된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대상 윈도우 보다 표시 순위가 낮은 윈도우로 전부 참조 윈도우로 된다. 그리고, 이들 표시 순위가 낮은 참조 윈도우와 완전히 오버랩하면, 판정된 서브 영역에 있어서, 차례로 표시가 회복한다. 표시 순위가 낮은 참조 윈도우와 최후까지 오버랩하지 않은 서브 영역은, 화면에서 소거되어, 거기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이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8a도의 제2윈도우 W2는, 제8b도와 같이, a,b1,b2,c1,c2,c3-1,c3-2로 분할되며, 서브 영역 b2,c2에는 윈도우 W3의 내용이 표시되며, 서브 영역 c1,c3-1에는 윈도우 W4의 내용이 표시된다. 다른 어떤 윈도우도 오버랩하지 않은 서브 영역 bl과 c3-2는 크리어 영역으로 된다.
제9도는, 상기 제2실시예를 실현하는 서브 루틴 SUB2의 플로우 차트를 표시한다. 이 서브 루틴은, 상술의 제1∼제3파라메타 이외에 표시화면상의 윈도우의 수를 제4파라메타로서 설정하고, 이들의 파라메타를 독립변수로 하여 콜한다. 최초의 스텝 310에서는, 상기 각 독립변수를 서브루틴 내의 파라메타에 설정하고, 스텝 312에서 참조 윈도우의 표시 순위 RW의 수치를+1한 후, 스텝 314에서 RW의 수치를 윈도우 수 MaX와 비교한다. 만약, MaX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스텝 318에서 대상구형이 RW번째의 참조윈도우와 교차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교차하지 않았으면, 스텝 312로 되돌아간다. 교차관계의 판정은, SUBI의 스텝 218과 마찬가지로 행한다. 스텝 314에서 RW>MAX이면, 대상 구형은 어떠한 윈도우와도 교차하고 있지 않으므로, 스텝 316에서 표시화면상의 상기 대상 영역의 표시내용을 크리어하여, 이 서브 루틴을 끝낸다.
스텝 318에서, 대상 구형과 참조구형이 교차하고 있는것이 판평된 경우, 스텝 320에서 대상 구형을 다수개의 서브영역과 분리한다. 스텝 322에서 참조 윈도우의 표시 순위 RW와 대상 윈도우의 표시 순위 OW를 비교하여, RW의 쪽이 순위가 낮으면, 이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는 서브 영역에 해당 참조 윈도우의 내용을 표시한다(스텝 324). RW의 쪽히 높으면, 표시할 필요는 없다. 지금, 분할된 서브 영역중에, 참조 윈도 우와 오버랩하지 않은 서브 영역이 있으면, 스텝 328로 진행하여 없으면, 이 서브 루틴을 종료한다.
스텝 328에서 참조 윈도우의 표시 순위 RW를 비교하고, 만약 같으면, 스텝 329에서 표시화면상의 이들의 비 오버랩 서브 영역을 크리어하여, 이 서브 루틴을 종료한다. RW와 MAX가 같지 않을 경우는, 이들 비 오버랩 서브 영역을 다른 윈도우와 조합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스텝 330에서 이들 서브 영역을 워크테이블에 일단 기억하여, 스텝 332∼342를 실행한다. 스텝 332∼342는, 스텝 338에서 콜된 서브 루틴이 SUB2인 점을 제외하고, 제7도의 스텝 232∼242와 동일하다.
제10a도∼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지금 표시화면상에 3개의 윈도우 Wl,W2,W3이 제10a도와 같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윈도우 Wl의 표시 순위를 제10b도와 같이 변경한 경우, 이제까지 윈도우 W2,W3에 숨겨져 있든 서브 영역 Wll과 Wl2에 윈도우 Wl의 데이터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윈도우의 표시 순위의 변경이 있었을 때에도, 본 발명에서는 W1을 대상구형, W2,W3을 참조 윈도우로하여, 차례로 조합 분할처리를 행하여, 서브 영역 W11,Wl2의 산출과, 이들의 서브 영역에서의 표시 변경을 행한다.
제11도는, 상기 표시 변경을 행하기 위한 서브 루틴 SUB3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어 서브 루틴은 대상 윈도우의 새로운 표시순위를 제1파라메타, 대상 윈도우의 원래의 표시 순위를 제2파라메타, 대상 구형의 좌표 데이터를 제3파라메타로 하여 이들의 파라메타를 독립변수로서 콜된다.
서부루틴 SUB3의 처음의 스텝 410에서는, 제1파라메타의 수치가 참조 윈도우의 표시 순위 RW, 제2파라메타가 참조 종료 수치 MAX에 셋트되고, 스텝 412에서 RW의 수치를 1개만 증가시켜, RW가 MAX를 초과할때까지, 스텝 418에서, RW번째의 윈도우(참조 윈도우)와 대상 구형과의 교차 관계가 첵크된다.
RW의 수치가 MAX를 초과하면, 이 서브 루틴을 종료한다. 대상구형과 참조 윈도우가 교차하는 경우는 스텝 420에서 대상 구형이 다수개의 서브영역으로 분할되고, 그 중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는 서브 영역이 스텝 424에서 대상 윈도우의 내용으로 변경된다.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지 않은 서브 영역은, 스텝 430에서 워크 테이블에 일단 기억되고, 스텝 432-442에서 제1, 제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들의 서브영역 을 다른 윈도우와의 관계로 재차 분할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11도는 대상 윈도우의 표시순위를 아래에서 위로, 변경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것과 역인 경우에는, 스텝 424에서 오버랩 서브 영역에 참조 윈도우의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면 좋다.
제12a-제13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제12a도와 같이, 서로 겹쳐서 표시되어 있는 3개의 윈도우 Wl,W2,W3 중, 제2번째의 윈도우 W2를 대상 윈도우로 하여, 아래 변쪽의 일부의 영역 a를 삭제하고, 오른쪽 변쪽을 영역 b만을 확장한다. 이와 같은 화면변경을 행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제1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대상 윈도우의 변경 전후의 사이즈 데이터를 비교하여, 삭제 되는 부분영역 a와, 확장되는 부분 영역 b를 산출한다(스텝 510). 다음에, 확장되는 부분 영역 b에 대해서는, 이것들 1개의 대상 구형으로 하여, 제1실시예에서 제시한 서브 영역으로의 차례 차례로 분할 처리를 행하여, 가시 서브 영역에만 비트 맵 전개(展開)에 의한, 표시변경을 행한다(스텝 520). 또, 삭제영역 a에 대해서는, 이것을 1개의 대상구형으로 하여, 제2실시예에서 제시한 차례 차례로 분할 처리를 행하여, 이것보다 하위의 윈도우에 대한 부분적인 화상의 회복을 행한다(스텝 530). 이로 인해서, 제12b도에 도시한것과 같이, 가시 서브영역 W12에는, 윈도우 W2의 내용이, 또 가시서브영역 W13에는 윈도우 W3의 내용이 각각 추가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4도는, 표시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3개의 윈도우 Wl,W2,W3중, 이제까지 윈도우 Wl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든 윈도우 W3을 1점쇄선으로 표시한 W3'의 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동후의 윈도우 W3'에 있어서, W33'는 윈도우 W2에 숨겨진 부분, W3l'는 이제까지 윈도우 Wl에 숨겨져 있든 부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윈도우의 쉬프트에 따른 표시 제어는, 제15도의 순서에 의해 행하여 진다.
우선, 스텝 610에서 위치 쉬프트한 후의 윈도우 W3'를 대상 구형으로 하여 이것과 겹치는 윈도우와의 교차관계를 첵크하고, 가시 서브 영역 R'(=서브 영역 a1+서브 영역 b1)를 구한 후, 스텝 620에서 상기 가시서브 영역 R'에 대응하는 이동전의 윈도우(W3)내의 서브영역 R(=서브 영역 a+서브 영역 b)를 구한다.
다음에, 스텝 630에서 서브 영역 R를 대상 구형으로 하여, 이것과 겹쳐는 윈도우와의 교차관계를 첵크하여, 오버랩 영역 W3l과, 재차 표시 영역 r(사선을 붙인 영역)을 구하여, 스텝 640에서 상기 재차 표시영역 r에 대응하는 이동후의 영역 r'를 구한다. 스텝 650에서는, 프레임 메모리 위에서 영역 r의 화상 데이터를 영역 r'로 이동한다. 또, 스텝 660에서 오버랩 영억 W31에 대응하는 윈도우 W3'내의 서브영역 W31'를 구하여, 논리화면으로부터의 비트 맵 전개에 의해, 해당 서브 영역 W3l'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스텝 670에서 오버랩 영역 W31에, 윈도우 Wl의 표시를 논리화면으로부터의 비트 맵 전개에 의해 행한다.
이상과 같이, 이동후의 윈도우의 가시영역의 표시를 프레임 메모리위의 구(구) 윈도우로부터의 데이터 이동과, 논리화면상의 데이터의 비트 맵 전개와의 조합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비트 맵 전개하는 데이터량을 억제할 수가 있어, 표시의 변경은 고속화된다.
제16도∼제19도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내에서의 시야를 쉬프트 하는 소위 스크롤 동작에 있어서, 가상 표면상에 스크롤 전후의 가시 영역의 교차 관계에서, 스크롤 전의 표시 영역중, 스크롤 후의 화면으로 재 표시 영역으로 되는 서브 영역을 구하여, 이들의 재표시 서브영역에 대해서는, 프레임 메모리 위의 데이터 이동에 의해 표시를 행하고, 새로이 시야에 들어오는 영역에 대해서만 가상화면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비트 맵 전개하는 것에 의해, 비트 맵 전개하여야할 데이터량을 적게하고 있다.
이제 제16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화면 30위에서, 윈도우 Wl과 겹치는 윈도우 W2의 표시내용을 스크롤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윈도우 W2는 3개의 서브 영역 W21,W22,W23으로 분할되고, 그 중 W22와 W23이 가시영역으로 된다.
제17도는, 윈도우 W2에 대응하는 가상 화면 60을 도시하고 있으며, 70은 스크를 전, 80은 스크를 후위 윈도우와 대응한다. 이 예에서, 서브 영역 W22에 대응하는 가상화면 영역 71내의 일부영역 S1과 S2는 스크롤 후의 서브 영역 W22의 왼쪽끝과 서브 영역 W23의 왼쪽위에 남는다. 마찬가지로, 서브 영역 W23에 대응하는 가상 화면 영역 72의 일부 S3은, 스크롤후의 서브 영역 W23의 오른쪽 아래에 남는 형태로 된다.
따라서, 이것들의 재표시 영역 S1,S2,S3을 특정할 수 있으면, 예를들면 제18도에 도시한것과 같이, 프레임 메모리 위에서, 재표시 영역 S1',S2',S3'의 내용을 S1″,S2″,S3″의 위치로 이동하고, 이 이외의 가시영역에 대해서만 가상화면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비트 맵 전개하는 것에 의해 스크롤 화면을 얻을 수가 있다.
제19도는, 상술한 스크롤 동작을 행하기 위한 표시제어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스테 710에서, 스크롤이 행하여지는 윈도우(W2)를 대상 윈도우로 하여, 제1실시예에서 도시한 시브 루틴 SUBI에 의해, 가시 서브 영역 W22,W23를 구한다. 다음에, 스텝 720에서, 상기 가시 서브 영역과 대응하는 스크롤 전의 가상화면위의 가시 서브 영역 71과 72를 구하고, 스텝 730에서 스크롤 후의 가상 화면위의 가시 서브 영역 81과 82를 구한다.
스텝 740에서는, 이것들의 스크롤 전후의 가시 서브 영역의 교사관계를 첵크하고, 오버랩 영역 S1,S2,S3을 구한다. 만약, 오버랩 영역이 없으면, 스텝 780으로 진행하여, 스크롤후의 모든 가시 서브 영역 W22,W23을 가상화면상의 대응 영역 81,82로부터의 데이터의 비트 맵 전개에 의해 구한다. 만약, 오버랩 영역이 있으면, 스텝 750에서 이것들의 오버랩 영역 S1,S2,S3과 대웅하는 스크롤 전의 표시화면 상의 재표시 서브 영역 S1',S2',S3'를 구하고, 이어서 스텝 760에서 상기 오버랩 영역과 대응하는 스크롤후의 표시화된 상의 서브 영역 S1″,S2″,S3″를 구한다. 스텝 770에서는, 프레임 메모리 위에서 스크롤전의 재표시 서브 영역의 내용을 스크롤후의 대응하는 서브 영역으로 전기(轉記)한다. 그리고, 화상의 전송을 오버랩 영역마다 실행하는 경우에는, 파선(波線)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스텝 740∼770의 동작을 모든 오버랩영역에 대해서 반복한다. 이것들 처리가 완료하면, 스텝 780으로 진행하여, 재료시 영역을 제외한 가시 영역에 가상화면으로부터의 데이터의 비트 맵 전개를 행한다.

Claims (23)

  1. 구형상의 여러개의 윈도우가 설정된 표시화면, 상기 표시 화면상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의 메모리 수단, 그에 대응하는 가상 화면상의 부분적인 영역에 포함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기 각 윈도우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가상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의 메모리 수단, 각 윈도우 마다의 표시 화면상의 위치 데이터와 가상 화면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3의 메모리 수단, 상기 제1의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는 표시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재기억하는 제어 수단을 가진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상 윈도우로서 표시 화면에 그 표시 상태가 변화될 윈도우중의 하나를 지정하는 제1의 스텝, 상기 대상 윈도우를 제외한 표시 화면의 상기 윈도우의 나머지 중에서 참조 윈도우로서 다른 윈도우를 차례로 선택하고, 상기 대상 윈도우가 상기 참조 윈도우와 교차 하는지 아닌지를 첵크하기 위해 상기 대상 윈도우를 상기 제3의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정의 데이터에 따라 화면상의 참조 윈도우로서 선택된 상기 다른 윈도우와 비교하는 제2의 스텝, 상기 대상 윈도우와 상기 참조 윈도우가 서로 교차하면, 상기 대상 윈도우를 상기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는 서브 영역과 상기 오버랩 서브 영역의 경계를 분할선으로 하는 구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비 오버랩 서브영역으로 분할하는 제3의 스텝, 대상 구형으로서 선택된 상기 비 오버랩 서브영역을, 화면상의 상기 윈도우의 나머지 중에서 참조 윈도우로서 차례대로 선택한 또 다른 윈도우와 비교하고, 상기 대상구형으로서 선택된 상기 비 오버랩 서브 영역과 상기 참조 윈도우가 서로 교차하면, 대상 구형으로서 선택된 상기 비오버랩 서브 영역을, 상기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는 새로운 서브 영역과 상기 새로운 오버랩 서브 영역의 경계를 분할선으로 하는 구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비오버랩 서브 영역으로 세분화하며, 상기 참조 윈도우로서 선택될 윈도우가 없어질 때까지 상기 얻어진 비오버랩 서브 영역을 새로운 대상 구형 영역으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비교 및 세분화가 반복되는 제4의 스텝, 최종적인 오버랩 또는 비오버랩 서브 영역에 따라 제2의 메모리 수단에서 분할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인 에리어 (area)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메모리 수단의 대응하는 부분적인 에리어에 부분적으로 마련하는 제5의 스텝을 포함하여, 표시 화면상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가 점유하고 있는 가시 영역의 표시 내용이 변화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윈도우는 상기 대상 윈도우보다 높은 표시 순위를 가진 윈도우 중에서만 선택되고, 상기 윈도우는 표시 순위가 높은 것으로 부터 차례로 참조 윈도우로서 선택되며, 상기 표시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남은 비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의 메모리 수단의 부분 영역에 대해서 제5의 스텝에서 재기억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
  3.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사이즈를 확장해야 할 윈도우는 상기 제1의 스텝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로서 지정되어, 상기 제2의 스텝의 대상 윈도우 대신에, 확장 부분에 상당하는 구형 영역이 상기 참조 윈도우와 비교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표시 화면에서 소거되어야 할 윈도우는 상기 제1의 스텝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로서 지정되고, 상기 참조 윈도우는 표시 화면상에서 표시 순위가 높은 윈도우로 부터 차례로 선택되며, 상기 제5의 스텝은 오버랩 서브 영역이 얻어질 때마다 상기 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의 부분에, 상기 참조 윈도우에 대응하는 가상화면의 내용을 표시하도록 실행되어 최종적으로 남은 비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의 일부분이 크리어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5.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사이즈를 축소해야 할 윈도우는 상기 제1의 스텝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로서 지정되고, 사이드 축소에 의해 없어진 상기 대상 윈도우의 부분적인 구형 영역의 상기 제2의 스텝에서 대상 윈도우 대신에 참조 윈도우와 비교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6.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제어를 위한 상기 대상 윈도우는 표시 화면상에서 표시 순위를 앞당기는 것이 명령된 윈도우이고, 상기 대상 윈도우의 본래 표시 순위 보다 높은 표시 순위를 갖는 윈도우는 표시 순위가 높은 것으로 부터 차례로 참조 윈도우로서 선택되며, 상기 대상 윈도우에 대응하는 가상화면의 내용이 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의 일부분에 차례로 표시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표시 화면상에서의 표시 위치가 제1의 위치에서 제2의 위치로 시프트되어야 하는 윈도우는 상기 제1의 스텝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로서 지정되고, 상기 제2 내지 제4의 스텝은 상기 제2의 위치의 대상 윈도우에 대해 실행되며, 상기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은, 또, 상기 제2의 위치에 있는 대상 윈도우에 대해서 얻어진 적어도 1개의 비오버랩 서브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제1의 위치의 상기 대상 윈도우 내의 구형 영역을 결정하는 제6의 스텝과, 상기 제6의 스텝에서 얻은 구형 영역과 표시 화면상의 윈도우의 나머지 중에서 참조 윈도우로서 선택한 다른 윈도우를 비교하고, 상기 구형 영역이 상기 참조 윈도우와 교차할때, 상기 구형 영역을 상기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는 서브 영역과 상기 오버랩 서브 영역의 경계를 분할선으로 하는 구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비오버랩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며, 다른 참조 윈도우와 비교하는 상기 비교는 비오버랩 서브영역을 새로운 대상 구명으로서 반복하는 제 7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5의 스텝은 또, 상기 제7의 스텝에서 얻어진 최종적인 비오버랩 서브영역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메모리 수단에서 제1의 위치로부터 제2의 위치로 이동하는 제8의 스텝, 상기 제7의 스텝에서 얻어진 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윈도우의 가상 화면의 내용을, 상기 제2의 위치의 윈도우내의 미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제9의 스텝과 상기 제7의 스텝에서 얻은 오버랩 서브 영역을 제외한 제1의 위치의 대상 윈도우 내의 표시 데이터를 크리어하는 제10의 스텝을 포함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8.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표시 내용을 스크롤 해야할 윈도우는 상기 제1의 스텝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로서 지정되고, 상기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은 또, 상기 제2의 스텝 내지 제4의 스텝에서 얻은 비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윈도우와 대응한 가상 화면상의 스크롤 전에 제1의 가시 영역을 결정하는 제6의 스텝, 상기 제2의 스텝 내지 제4의 스텝에서 얻은 상기 비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윈도우와 대응한 가상 화면상의 스크롤 후에 제2의 가시 영역을 결정하는 제7의 스텝과, 상기 제1의 가시영역과 상기 제2의 가시 영역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오버랩하는 영역을 재표시 영역으로서 결정하는 제8의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제5의 스텝은 또, 상기 제1의 메모리 수단의 상기 재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스크롤 후에 표시 위치로 이전하는 제9의 스텝과, 상기 제2의 가시 영역중 상기 재표시 영역을 제외한 부분적인 영역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제2의 메모리 수단으로 부터 상기 제1의 메모리 수단의 대응하는 부분적인 영역에 출력하는 제10의 스텝을 포함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9. 각 윈도우에 대한 표시 우선 순위와 표시 화면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의 데이터에 따라 구형상의 여러개의 윈도우가 할당된 표시 화면을 가진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표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윈도우중의 하나를 지정하는 스텝,(b) 표시 화면상에서 지정된 윈도우와 교차하고 있는 오버랩 윈도우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정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표시 화면의 윈도우의 나머지 중에서 소정의 순서로 차례대로 선택한 다른 윈도우와 비교하는 스텝,(c) 상기 오버랩 윈도우가 스텝(b)에서 검출되면, 상기 지정된 윈도우를, 상기 오버랩 윈도우와 오버랩하는 서브 영역과 상기 오버랩 서브 영역을 제외한 상기 지정 윈도우의 나머지 부분인 구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비오버랩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스텝, (d) 상기 정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비오버랩 서브 영역을, 표시 화면의 윈도우의 나머지 중에서 상기 소정의 순서로 차례대로 선택한 또 다른 윈도우와 비교하고, 상기 다른 윈도우가 상기 비 오버랩 서브 영역과 교차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비오버랩 서브 영역을, 상기 다른 윈도우와 오버랩한 새로운 서브 영역과 상기 새로운 오버랩 서브 영역을 제외한 상기 비오버랩 서브 영역의 나머지 부분인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비오버랩 서브 영역으로 세분화 하며, 상기 비오버랩 영역과 비교해야 할 윈도우가 표시화면에서 없어질때까지 상기 얻어진 새로운 비오버랩 서브 영역을 상기 비오버랩 서브 영역으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비교와 세분화가 반복되는 스텝과, (e) 구형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인 영역의 표시 내용을 부분적으로 재기억 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다른 윈도우는 상기 지정된 윈도우보다 높은 표시 순위를 가진 윈도우 중에서만 차례대로 선택되고, 상기 윈도우는 표시 순위가 높은 것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다른 윈도우로서 선택되며, 표시 내용을 재기억하는 상기 스텝은 최종적으로 남은 비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상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서 실행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또 상기 지정된 윈도우의 사이즈를 확장하는 스텝, 확장부분에 대응하는 구형 영역을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윈도우 대신에 상기 산출된 구형 영역이 상기 다른 윈도우와 비교되어 상기 분할 스텝에서 처리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또 상기 지정된 윈도우는 표시 화면에서 소거되도록 명령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다른 윈도우는 표시 순위가 높은 것으로 부터 차례로 선택되며, 상기 부분적으로 재기억하는 스텝은 오버랩 서브 영역이 얻어질때마다 선택된 다른 윈도우에서 얻어진 오버랩 서브 영역의 내용을 표시하도륵 실행되어 최종적으로 남은 비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의 일부분이 크리어 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
  13.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윈도우는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명령된 것이고, 사이즈 축소에 의해 없어진 상기 지정된 윈도우의 일부 구형 영역은 다른 윈도우와 비교되어 상기 지정된 윈도우 대신에 상기 분할 스텝에서 처리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14.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윈도우는 표시 화면상에서 그 표시 순위를 앞당기도록 명령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다른 윈도우는 표시 순위가 상기 지정된 윈도우의 본래 표시 순위보다 높은 윈도우 중에서 표시 순위가 높은것으로부터 차례로 선택되며,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은 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윈도우의 일부분에 차례로 재기억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15.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또 상기 지정된 윈도우에 따라 각각의 상기 얻어진 비오버랩 서브영역에 대해 표시 화면상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정의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서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스텝, 상기 윈도우중 하나를 지정했을 때 상기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스텝 (a)∼(d)는 새로 지정된 윈도우에 대응하는 정의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수단에 없을 때 실행하는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16. 표시 화면 상에서 구형의 여러 윈도우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윈도우에 대해 사용될 기본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의 스텝, 표시 화면상의 표시에서 각 윈도우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 데이터와 표시 화면상에서 각 윈도우 표시의 위치를 한정하는 위치 데이터를 갖는 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의 스텝, 대상 윈도우로서 표시 상태가 변화될 수도 있는 상기 윈도우중의 특정한 하나를 지정하고, 참조 윈도우로서 다른 윈도우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제3의 스텝, 상기 참조 윈도우를 우선 순위 대로 하나씩 차례로 선택하는 제4의 스텝, 상기 대상 윈도우와 첫번째로 선택된 참조 윈도우가 오버랩 하는지 안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대상 윈도우를 그 위치 데이터에 따라 첫번째로 선택된 참조 윈도우와 비교하고, 상기 대상 윈도우와 첫번째로 선택된 참조 윈도우가 오버랩하면, 상기 대상 윈도우를, 상기 첫번째로 선택된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는 오버랩 구형 서브 영역과 상기 첫번째로 선택된 참조 윈도우와 오버랩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구형 비오버랩 서브 영역을 갖는 비오버랩 영역으로 분할하는 제5의 스텝, 상기 대상 윈도우에 대해 각각의 비오버랩 구형 서브 영역을 바꾸고, 상기 첫번째로 선택된 참조 윈도우에 대해 상기 참조 윈도우중에서 그 다음에 선택된 하나를 바꾸면서, 상기 제5의 스텝을 상기 제5의 스텝에서 얻은 각각의 상기 비오버랩 구형 서브 영역에 적용하는 제6의 스텝, 제5의 스텝에서 비교할 참조 윈도우가 없어질때까지 상기 제6의 스텝을 반복하는 스텝과, 오버랩 에리어로서 대상 윈도우처럼 지정된 윈도우의 나머지 영역과 비오버랩 에리어로서 상기 제6의 스텝을 반복하는 스텝 이후에 얻은 상기 비오버랩 영역을 결정하고, 에리어가 오버랩하는 것인지 비오버랩 하는 것인지에 따라 기본 데이터로 부터 상기 대상 윈도우의 에리어의 각각에 표시할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7의 스텝을 포함하는 구형의 여러 윈도우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의 결정방법.
  17. 특허청구의 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윈도우는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고, 또한 높은 우선 순위로부터 낮은 우선 순위로 제4의 스텝에서 선택되며, 제7의 스텝에서 비오버랩 에리어에 대한 표시 데이터는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에 대한 기본 데이터에서 선택되는 구형의 여러 윈도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의 결정방법.
  18. 특허청구의 범위 제17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구형 영역을 더함으로써 왼도우중 특정한 하나의 사이즈가 중가될때, 상기 부가적인 구형 영역은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 대신에 대상 윈도우로서 지정되는 구형의 여러 윈도우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의 결정 방법.
  19. 특허청구의 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윈도우중 특정한 하나가 소거될때,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를 제외한 모든 윈도우는 상기 제3의 스텝에서 참조 윈도우로서 지정되고 상기 제7의 스텝에서, 비오버랩 에리어는 임의의 표시 데이터로부터 크리어되며, 제5의 스텝과 제6의 스텝중 어느 스텝에서 얻은 각각의 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한 표시 데이터는 오버랩 서브 영역을 얻는 스텝에서 참조 윈도우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된 윈도우에 대해 사용될 기본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는 구형의 여러 윈도우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의 결정 방법.
  20. 특허청구의 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윈도우의 선택된 구형 영역을 소거함으로써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의 사이즈가 감소될 때,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의 상기 선택된 구형 영역은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 대신에 대상 윈도우로서 지정되고,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를 제외한 모든 윈도우는 상기 제3의 스텝에서 참조 윈도우로서 지정되며, 상기 제7의 스텝에서, 비오버랩 에리어는 임의의 표시 데이터로부터 크리어되고, 제5의 스텝과 제6의 스텝중 어느 스텝에서 얻은 각각의 오버랩 서브 영역에 대한 표시 데이터는 오버랩 서브 영역을 얻는 스텝에서 참조 윈도우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된 윈도우에 대해 사용될 기본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는 구형의 여러 윈도우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의 결정 방법.
  21. 특허청구의 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의 표시에서 우선 순위가 그 본래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새로운 것으로 변화할때,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의 본래 우선 순위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윈도우들은 상기 제3의 스텝에서 참조 윈도우로서 지정되어, 상기 제4의 스텝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부터 낮은 것으로 하나씩 차례로 선택되는 구형의 여러 윈도우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의 결정 방법 .
  22. 특허청구의 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가 표시 화면상에서 제1의 위치로부터 제2의 위치로 시프트할때, 시프트 후의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는 대상 윈도우로서 지정하고,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윈도우들은 상기 제3의 스텝에서 참조 윈도우로서 지정되며, 상기 표시 데이터의 결정 방법은, 또, 상기 제7의 스텝에서 결정된 시프트 후에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의 비오버랩 에리어에 대응하는 시프트전의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형 표시 서브 영역을 갖는 표시 에리어를 결정하는 제8의 스텝, 대상 윈도우로서 구형 표시 서브 영역을 지정하면서 제 4의 스텝 내지 제7의 스텝을 반복하는 제9의 스텝과 상기 제9의 스텝에서 반복된 제7의 스텝에서 결정된 시프트 전에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의 비오버랩 에리어에 사용된 표시 데이터를, 시프트 후에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의 대응 에리어로 시프트 하는 제10의 스텝을 포함하는 구형의 여러 윈도우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의 결정 방법.
  23. 특허청구의 범위 제16항에 있어서, 표시 화면상에서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가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에 대해 기억된 것과 같은 기본 데이터의 제1의 부분으로부터 제2의 부분으로 변화할때, 상기 표시 데이터의 결정 방법은 또, 상기 기본 데이터의 상기 제1의 부분의 제1의 단면 및 상기 제2의 부분의 제2의 단면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단면은 상기 제7의 스텝에서, 결정된 상기 특정한 하나의 윈도우의 비오버랩 에리어에 대응하는 제8의 스텝, 상기 제2의 단면의 제2의 일부분과 동일한 상기 제1의 단면의 제1의 일부분을 결정하는 제9의 스텝과, 상기 제2의 단면의 상기 제2의 일부분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는 표시 화면상의 에리어에 상기 기본 데이터의 상기 제1의 단면의 상기 제1의 일부분을 표시하는 제10의 스텝을 포함하는 구형의 여러 윈도우에 표시될 표시 데이터의 결정방법.
KR1019860006656A 1985-08-14 1986-08-13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KR940000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77511A JPH07117888B2 (ja) 1985-08-14 1985-08-14 ウィンドウ表示制御方法
JP60-177511 1985-08-14
JP61015629A JPH0778711B2 (ja) 1986-01-29 1986-01-29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制御方法
JP61-15629 1986-01-29
JP61-17912 1986-01-31
JP61017912A JPS62177583A (ja) 1986-01-31 1986-01-31 マルチウインドウ画面上のスクロ−ル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24A KR870002724A (ko) 1987-04-06
KR940000597B1 true KR940000597B1 (ko) 1994-01-26

Family

ID=2728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656A KR940000597B1 (ko) 1985-08-14 1986-08-13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10B1 (ko) * 1999-08-12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메모리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10B1 (ko) * 1999-08-12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메모리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24A (ko) 198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7653A (en) Multiwindow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 station having multiwindow function
EP0212563B1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multi-window system
US5179655A (en) Multiwindow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 station having multiwindow function
US4831556A (en)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window size and position
KR930008269B1 (ko) 멀티윈도우 시스템의 표시제어방법
JPH0445874B2 (ko)
US56424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graphics or group graphics displayed on a screen and correlated to each other
JP3391852B2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8191790A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監視制御プログラム
KR940000597B1 (ko) 멀티 윈도우 시스템의 표시 제어 방법
JPH07111618B2 (ja) スクロール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US5261032A (en) Method for manipulation rectilinearly defined segmnts to form image shapes
JP3658027B2 (ja) 図形編集装置および図形編集方法
JPS63181074A (ja) 形状描画方法
JP2778825B2 (ja) グラフィック表示装置
JP3483333B2 (ja) 図形処理方法及び装置
EP0315172B1 (en) Automatic program generation method with a visual data structure display
JP2955995B2 (ja) 画像操作方法
JPH08202856A (ja) 画像処理方法
JP3490779B2 (ja) キー入力による画面制御装置
JP2671365B2 (ja) 文字図形編集装置
JPH0580832A (ja) 数値制御装置における拡大描画方法
JPH0245878A (ja) 対話型cadシステム
JPH09174798A (ja) カーニング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3172891A (ja) マルチウィンドウ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