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356B1 - 자체 벤트(vent) 드레인 밸브 - Google Patents

자체 벤트(vent) 드레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356B1
KR940000356B1 KR1019900702003A KR900702003A KR940000356B1 KR 940000356 B1 KR940000356 B1 KR 940000356B1 KR 1019900702003 A KR1019900702003 A KR 1019900702003A KR 900702003 A KR900702003 A KR 900702003A KR 940000356 B1 KR940000356 B1 KR 94000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em
liquid
pass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425A (ko
Inventor
피터 케이. 허만
쟝 이브 부쉐
다니엘 페르띠유
Original Assignee
플리트 가드 인코포레이티드
스티븐 엘. 젤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리트 가드 인코포레이티드, 스티븐 엘. 젤러 filed Critical 플리트 가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70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B01D36/006Pur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 Y10T137/86324Tank with gas vent and inlet or outlet
    • Y10T137/86332Vent and inlet or outlet in unitary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체 벤트(vent) 드레인 밸브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폐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자체 벤트(vent) 드레인 밸브의 단면도.
제2도는 개방 상태에 있는 제2도의 자체 벤트 드레인 밸브의 단면도.
제3도는 밸브 스템의 사시도.
제4도는 밸브의 칼라(collar) 부재의 단면도.
제5, 6도는 밸브 스템의 추가적 측면도.
제7도는 제5, 6도의 7-7선을 따라 취한 밸브 스템의 단면도.
제8, 9도는 밸브 스템의 평면도 및 저면도.
제10도는 밸브 조작 부재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11-11선을 따라 취한 밸브 조작 부재의 단면도.
제12도는 밸브 조작 부재의 저면도.
제13도는 밸브 조작 부재의 사시도.
제14도는 밸브 조작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
제15도는 제14도의 밸브 조작 부재의 하부 사시도.
제16도는 제14도의 밸브 조작 부재의 평면도.
제17도는 밸브 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밸브 스템의 평면도.
제19도는 제14도 내지 제18도의 밸브 스템에 연결된 밸브 조작 부재의 하부 사시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음압이 작용하는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벤트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자체 벤트 드레인 밸브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다. 특히, 드레인되는 액체와 교체되는 공기같은 기체의 입구가 별도로 설치된 여러가지 액체 드레인 기구가 제작되었다. 예를 들면 디젤 엔진에 사용되는 물/연료분리기에서는 물이 드레인되는 동안 공기를 분리기로 공급할 수 있는 된 밸브를 이용하여 물을 주기적으로 드레인시켜야 한다.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는 밸브의 한 부품에 형성된 공기 및 액체 통로를 통하여 이 기능을 발휘하였다.
본 출원인(커민스 엔진 캄퍼니 인코포레이티드, Cummins Engine Co. Inc.)에게 양도된 매더슨(Matheson)씨의 미국 특허 제 4,440,193호에는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난 밸브부재(24)를 수용하는 밸브 하우징, 즉, 몸체 부재(23)를 가진 밸브가 기재되어 있다. 몸체 부재(23)에 형성된 공기 유입 통로는 가동 밸브 부재(24)에 형성된 액체 드레인 통로와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형식의 밸브에서는 공기 유입 통로 및 액체 드레인 통로에 각각 별도의 밀봉 수단이 필요한다.
커다백(Cudaback)씨의 미국 특허 제4,708,171호에서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로 회전 가능한 단일 밸브 부재에 공기 입구와 액체 통로를 모두 형성시켜 종래 기술에 의한 밸브의 단순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커다백의 드레인 밸브는 하우징의 상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구멍을 통하여 드레인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우징과 밸브 부재 사이에서 긴밀히 결합되면서 음압이 작용하는 용기에 고정되는 비교적 복잡한 밸브 하우징이 필요하다. 또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기체가 용기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체 유입 통로도 밀봉시킬 필요가 있다.
아이드스북(Eidsvoog)씨 등의 미국 특허 제 4,611,627호에는 공기 입구(26) 및 물 출구 통로(34)가 형성된 하우징(14)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밸브부(16)를 갖는 자체 벤트 드레인 밸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밸브는 적어도 2개의 시일(seal, 44 및 52)이 필요하고 전체 유입 통로(26)가 고정된 하우징 속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께다니(Iketani)씨의 미국 특허 제 3,044,504호에는 부호(15)로 표시된 곳에서 90도 굴곡되는 축 방향통로와 제2통로를 가진 밸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밸브는 적어도 2개의 시일(13, 14)이 필요한 분사 밸브이다.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매더슨씨등의 미국 특허 제 4,753,266호에는 하나는 드레인되는 액체용, 다른 하나는 공기 벤트용으로 이용되는 2개의 통로(26, 27)를 가진 또 다른 밸브가 기재되어 있다. 밸브 부재(22)는 몸체 부재(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지만 그 회전은 90도로 제한된다. 밸브를 개방시키려면 밸브 부재를 회전시켜 그 통로(32, 33)가 통로(26, 27)와 일치되도록 하면 된다. 2통로를 밀봉시키고 밸브 전체를 용기에 밀봉시키기 위하여 3개의 시일이 필요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최소한의 제작 및 유지비가 요구되는 간단한 밸브를 이용하여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는데 실패하였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비교적 제작비가 저렴하면서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는 데 이용되는 자체 벤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스템에 형성된 중심 통로를 통하여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고, 동시에 스템의 측벽에 형성됨 홈을 통하여 기체가 용기로 도입되도록 가공된 밸브 스템을 가진 자체 벤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액체 및 기체를 모두 밀봉시키는 단일 시일의 역할을 하는 가스켓이, 용기에 부착된 칼라(collar)와 밸브 스템 사이에 끼워져 있는 자체 벤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가 용기로부터 밸브 스템으로 들어가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낮추면서, 스템의 반대편에서 용기로 들어가는 기체를 드레인되는 액체와 분리시키는 상승벽을 이루는 절제부를 밸브 스템의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의 베이스에 스냅식(snap-on)으로 결합되어 용기로부터 드레인되는 액체를 수집하는 컵 또는 저장기의 역할을 하면서 액체가 드레인될 때 일정한 저항을 유발시키는 조작 부재를 가진자체 벤트 드레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유입 통로에 대한 액체 드레인 통로의 유효 면적비가 4 내지 5 사이, 바람직하기로는 4.6인 자체 벤트 드레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절한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액체 드레인 출구가 공기 입구로부터 수직으로 적어도 약 1인치 떨어져 있는 자체 벤트 드레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칼라에 의하여 용기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스템을 이용한 자체 벤트 밸브에 의하여 달성된다. 스템의 하부에는 스템을 폐쇄 위치로 확실히 유지시키도록 칼라의 암나사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템을 칼라에 조립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스템을 개방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는 수나사를 스템의 상부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폐쇄 상태에서 기체 입구와 액체 출구를 밀봉시키는 단일 가스켓이 구비되어 있다. 유체를 드레인시킬 때는 스템의 하부 나사가 칼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그 상부 나사가 칼라와 접촉하여 스템의 하향 이동이 멈출 때까지 밸브 스템이 떨어지도록 해야 한다. 스템을 더 회전시키면 상부 나사가 칼라의 암나사와 결합되어 밸브를 개방 위치로 고정시키거나 칼라로부터 스템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적절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밸브의 측벽에 있는 홈을 통하여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기 전에, 액체는 밸브 스템의 중심 통로를 통하여 드레인되기 시작한다. 이는 액체 드레인 통로의 하단부를 공기 유입 홈보다 아래 쪽에 위치시켜 밸브 스템이 하강할 때 액체 드레인 통로가 먼저 개방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홈의 반대편에서 스템의 상단부에 있는 절제부로 형성된 상승벽에 의하여 도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물과 분리된다. 이 절체부는 밸브 스템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공기가 용기로 도입되는 홈의 상단부보다 아주 낮은 지점에 확대된 액체 출구를 형성시킨다. 액체는 먼저 스템의 중심 통로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드레인된 후 90도의 반경 방향 통로를 들어가서 스템의 측벽을 통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된다. 집수 노브(knob), 즉 조작 노브는 스템의 하부에 부착되고, 스템의 드레인 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액체 뿐만 아니라 칼라와 스템 사이에서 용기로부터 누설되는 어떠한 액체도 모을 수 있는 컵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집수 노브는 사용자가 흘리지 않고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하여 호스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드레인 출구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특수한 자체 벤트 밸브의 단면도가 도시된 제1도를 참조한다. 도시된 밸브(2)는 예컨대 물/연료 분리기 하우징의 일부를 이루는 용기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분리기는 대체로 연료 펌프의 음압측에 설치되므로 용기(4)의 내부에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미국 특허 제 4,440,193호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물/연료 분리기의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6)이 설치되어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적절한 위치로 유지시킨다.
물/연료 분리기가 작동하는 동안 물이 용기(4)의 저부에 축적되므로, 이 물을 주기적으로 드레인(drain)시켜야만 분리기가 계속 작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밸브(2)에는 용기(4)의 저부에 축적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 통로와, 용기 내에 음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드레인이 용이하도록 용기(4)내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밸브(2)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구조의 자체 벤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자체 벤트 벨브(2)는 용접 너트의 형태로 될 수 있는 칼라부(collar porion), 즉, 몸체부(8)를 가진다. 이 몸체부(8)는 그 나사 구멍(10)이 용기(4)의 최하부에 있는 구멍(12)과 일치하도록 용기(4)의 저부에 용접될 수 있다. 하나의 밸브 부재(14)가 몸체부(8)의 나사 구멍(10)내에서 제1도에 도시된 폐쇄 위치와, 제2도에 되사된 개방 위치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다. 개방 위치에서는 별도의 통로를 통하여 가스가 용기(4)로 들어가고, 액체는 용기로부터 드레인된다. 밸브 부재는, 물과 같은 액체가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부 통로(18)를 가진 스템(16)으로 구성된다. 스템(16)의 외부에는 공기가 용기로 들어갈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부재(14)에는 또한 밸브 스템(16)의 하부에 형성된 밸브 베이스부(22)가 포함된다. 베이스부(22)는 반경 방향의 플랜지(24)와 주변 스커트(26, skirt)를 가진다. 주변 스커트(26)는 앞으로 제9도를 참조하여 기술될 일련의 보강 리브(26a)를 가진다.
앞으로 기술될 것처럼 밸브(2)에는 밸브 스템의 베이스부(22) 둘레에 배치되어 수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물의 드레인을 돕는 조작 부재(32)가 더 포함된다. 밸브 부재(14)의 베이스부(22) 바로 위에 위치한 스템(16)의 하부에는 몸체부(8)의 나사 구멍(10)과 나사 결합되어 그 속에 수용되는 수나사(34)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34)는 밸브(2)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나사 구멍(10)과 결합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가 개방 위치에 있으면 스템(16)의 상부 수나사(36)는 밸브를 개방위치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몸체부(8)의 나사 구멍(10)과 결합된다.
제1, 2, 7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통로(18)는 축방향 통로(38) 및 반경 방향 통로(40)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축방향 통로(38)와 반경 방향 통로(40)는 서로 직각을 이룬다. 내부 통로(18)의 상부 구멍은 스템(16)의 상부에서, 실질적으로 수나사(36)의 위치에 있는 절제부(42)에 의해 확대되어 있다. 절제부(42)는 물이 밸브로 유입되는 위치보다 높은 곳에서 공기가 벤트될 수 있도록 물의 입구를 밸브 스템(16)의 상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낮춘다. 또, 공기 입구 면적에 대한 물 출구의 최적 면적비는 4 내지 5 사이, 바람직하기로는 4.6인 것이 밝혀졌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0)에 의하여 용기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의 입구와 반경 방향 통로(18)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부호(a)로 표시되어 있다. a의 크기는 용기(4)의 드레인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1인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2)가 개방되었을 때, 물의 출구가 통로로부터 공기 입구보다 적어도 1인치 아래에 있으므로 물의 배출이 원활해 진다. 적절한 순서대로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공기 입구가 개방되기 직전에 물의 출구가 개방되어야 한다. 이 기능은 홈(20)의 하단부를 반경 방향 통로(40)가 스템(16)의 측벽으로 연결되는 입구보다 훨씬 위에서 끝나도록 하여 달성된다. 도, 공기와 용기(4) 내로 유입되는 위치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물이 내부 통로로 유입되도록 공기 통로를 이루는 홈(20)과 절제부(42) 사이에 상부벽(42)이 위치한다. 이 때문에 기포의 형태로 된 공기가 유출되는 물을 따라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왜냐하면 상부벽(42)은 물의 속도가 빠른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상부에서 기포가 상승하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스템(16)의 주위에 배치된 가스켓(46)은 밸브(2)가 제1도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부(22)와 몸체부(8) 사이에 끼워진다. 이 가스켓(46)은 밸브(2)가 폐쇄 위치에 있으면, 공기 입구 및 물 출구가 용기 내부에 있기 때문에 이들을 효과적으로 밀봉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 가스켓(46) 하나만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밸브(2)는 선반(lathe) 절삭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단일 밀봉면만을 이용함으로써 앞서 기술된 목적을 달성하고, 요구되는 설계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반경 방향 밀봉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밸브 조립체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 및 조립 공정을 크게 단순화시킬 수 있다.
밸브가 제1도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용기로부터 유체를 드레인시키려면 밸브(2)를 풀어 수나사(36)가 나사 구멍(10)과 분리되도록 한다.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스템(16)의 중심부는 수나사(36)가 나사 구멍(10)과 결합되어 밸브 조립체(2)를 개방 위치로 유지시킬 때까지 용기(4) 하부의 구멍(12)과 몸체부(8)의 나사구멍(10)을 통하여 떨어진다. 이때 용기(2) 속에 있는 물과 같은 액체는 절제부(42)와 내부 통로(18)의 상부 구멍을 통하여 용기로부터 배출된다. 통로(18)의 하부, 즉, 반경 방향 통로(40)는 스템(16)의 상부에 있는 공기 유입홈(20)보다 낮기 때문에 물은 통로(18)을 통하여 배출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부호(a)로 표시되는 거리, 즉, 수주 높이는 적어도 약 1인치가 되어야 하고 이는 음압이 작용하는 용기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축 방향 통로(38)와 반경 방향 통로(40)를 통하여 통로(18)을 빠져 나온 물은 밸브 조작 부재(32)에 모인다. 이 조작 부재(32)는 물이 드레인되는 축 방향 원통형 통로(31)를 가지고 드레인 출구(30)가 있는 컵 형태의 스냅식(snap-on) 플라스틱 손잡이로 구성할 수 있다. 드레인 출구(30)에 호스를 연결시켜 배출된 물을 흘리지 않고 다른 그릇에 받을 수 있다. 또, 밸브 조작 부재(32)는 드레인되는 액체 뿐만 아니라 스템(16)의 외부와 나사 구멍(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누설될 수 있는 어떠한 액체도 모을 수 있도록 컵 모양으로 되어 있다.
밸브를 선박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스템(16)과 밸브 조작 부재(32)을 아연으로 다이캐스팅할 수 있다. 밸브 조작 부재(32)도 민론(minlon)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반면, 몸체부(8)는 용접 강 너트이고 가스켓(46)은 니트릴 고무 가스켓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13도의 실시예에서 밸브 조작 부재(32)는 스템(16)이 몸체부(8)에 나사 고정된 후 스템(16)에 스냅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템(16)이 몸체부(8)에 나사 고정되기 전에 밸브(2)에 부착된다. 앞으로 기술될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템(16)이 몸체부(8)에 나사 고정된 후에 밸브 조작 부재(32)가 밸브(2)에 부착된다.
이하 제3도 및 제5도 내지 7도를 참조하여 밸브 부재(14)으 특징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사시도인 제3도에는 밸브 조작 부재(32)의 드레인 출구(30, 제1, 2도)를 수용하기 위하여, 거의 반원통형인 절제부(28)가 베이스부(22)의 플랜지(24)에 형성된 것이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주변 스커트(26)는 드레인 호스(도시되지 않음)를 드레인 출구(30)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양쪽이 절제되어 있다.
제4도에는 칼라(8), 특히 용기(4)의 하부에 칼라(8)를 누설 방지 용접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상부 원주상 리브(9)가 도시되어 있다.
제8, 9도는 밸브 부재(14)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특히 제9도에는 반경 방향 보강 리브(26a)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10 내지 13도는 밸브 부재(14)가 수용되는 내부 구멍(50)을 가진 반경 방향의 내측 플랜지(48)가 형성된 조작 부재(32)에 대한 추가적 도면이다. 조작 부재(32)는 또한 액체를 모아서 드레인 출구(30) 내에 수용된 통로(31)로 안내하도록 내측 플랜지(48) 상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컵 모양의 용기를 형성시키는 대체로 원통형인 외벽(54)를 가진다. 원통형 외벽(54)의 반경 방향 내측 플랜지(48)보다 아래로연장된 부분에는 조작 부재(32)가 밸브 부재(14)와 조립될 때 주변 스커트(26)를 타고 올라가서 스커트(26) 하부 가장자리 밑으로 스탭 결합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고정 립(56, lip)이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재(32)의 외면에는 손으로 잡기 쉽도록 축방향 리브(58)가 형성되어 있다.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돌기(60)는 가스켓(46)이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보조한다. 제13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54)에는 드레인 출구(30) 양측의 부호(62)로 표시된 위치에서 노치(notch)가 형성되어 드레인 출구(30)의 하단부 주위에 호스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4 내지 18도의 실시예(이미 설명한 부재에는 달리표시하지 않는한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었음)에서, 조작 부재(32')는 스템(16)이 몸체부(8)에 나사결합된 후 스템(16)의 베이스부(22) 둘레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작 공정이 단순해지고, 가스켓(46)의 외경보다 약간 큰 몸체부(8) 상의 원주상 리브(9)에 의하여 가스켓을 폐쇄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과도한 죔이 방지되고 몸체부 상에 가스켓의 중심을 맞출수 있다.
제14 내지 16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54) 높이의 대략 중간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직경을 따라 대향된 2개의 탭(64)이 밸브 조작 부재(32')에 형성되어 있다. 벽(54)의 하부에는 탭(64)들의 중간에서 직경을 따라 대향된 반원형 내향 돌출 돌기(6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66a)는 막혀 있고, 돌기(66b)는 구멍이 뚫려 드레인 출구(30)의 일부를 이룬다. 절제부(28)는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16)의 베이스부(22)에는 직경을 따라 대향된 2개의 절제부(28')로 대치된다. 절제부(28')는 반경 방향 통로(40)의 출구로부터 약 90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시에는 하나의 절제부(28')만 드레인 출구(30)와 연결된다. 다른 절제부(28')는 막힌 돌기(66')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처럼 2개의 절제부(28')와 돌기(66')를 이용하면 밸브 조작 부재(32)가 180도 반대 위치에서도 스템(16)과 결합될 수 있어 이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밸브 스템(16)에는 또한 크기가 감소되면서 직경을 따라 대향된 확장 노치(70)까지 연장되는 2개의 홈(68)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조작 부재(32')를 스템(16)에 연결시키려면 탭(64)이 절제부(28')에 위치하도록 밸브 조작 부재를 베이스부 주위에 놓아야 한다. 그 후 밸브 조작 부재(32')를 회전시키면 탭(64)이 일정하게 면적이 감소되는 홈(68) 부위와 결합되고 이 홈(68)은 탭(64)이 노치(70)와 결합될 때까지 탭(64)을 눌러 고정시킨다. 이 순간 탭(64)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 노치(70)내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밸브 조작부재(32')가 밸브 스템(16)에 고정된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스템(16)의 하부는 육각형 절제부(72)가 형성되어 렌치를 이용하여 밸브 스템(16)의 나사부를 몸체(8)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밸브는 하나의 가스켓 만을 이용하여, 요구되는 2가지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간단한 자체 벤트 액체 드레인 밸브를 제공한다. 용기에 음압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드레인이 용이하도록 공기와 같은 기체가 용기내로 들어가고, 물과 같은 액체는 드레인된다. 공기는 밸브를 통하여 드레인되는 물과 혼합되지 않고, 용기로부터 물이 드레인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밸브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월등히 개량된 설계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제작비가 적게 든다.
본 발명의 밸브는 정면 시일(face seal)과 반경 방향 시일을 필요로 하던 종래의 자체 벤트 유체 드레인 밸브의 다음과 같은 모든 설계 요구 조건을 충족시킨다 : 즉, 공기 입구 면적에 대한 물 출구 면적의 비가 4.6 ; 물의 적절한 배출을 위한 수주 높이 1인치 ; 공기 입구의 개방보다 빠른 물 출구의 개방 ; 물이 밸브 조립체로 유입되는 위치보다 높은 곳에서 공기가 용기 내로 벤트될 것 ; 공기와 물의 유동이 서로 분리될 것.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여러 실시예의 여러가지 특징과 장점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기술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 분야의 전문가는 본 발명의 취지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액체의 드레인이 필요한 용기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디젤 엔진 연료 펌프의 음압측에 설치되는 연료/물 분리기와 같은 유체 섬프(sump)의 드레인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선반 절삭 정면 시일 만을 이용하므로 밸브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밸브의 구조와 그 조립을 크게 단순화 시킨다.

Claims (51)

  1.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벨트 밸브에 있어서, 액체가 드레인되는 동시에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는 구멍을 가진 몸체부와 ; 상기 구멍을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방지하는 밸브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구멍을 통한 기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별도의 유체 통로를 통한 기체 유입 및 액체 드레인이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스템을 가지고, 상기 스템 및 상기 몸체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홈을 통한 상기 유체 통로중의 하나를 형성시키며, 상기 홈의 상부 부분은 상기의 용기내에 유지되는 반면에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의 개방 위치에 있는 자체 벤트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부, 하부, 중심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에는 상기 스템을 상기 폐쇄 위치로 나사 고정시키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템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템과 상기 몸체부 사이의 접촉점을 제공하면서 상기 스템을 상기 개방 위치로 나사 고정시키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용기에 부착된 칼라(collar)가 포함되고, 상기 칼라에는 상기 스템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고정시키도록 상시 스템의 상기 상부 및 하부 수나사의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과 상기 칼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체 입구와 상기 드레인 통로를 밀봉시키는 단일 가스켓이 더 포함되는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유체 통로 중 제2통로를 이루는 내부 통로를 가지는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는 상기 홈과 상기 내부 통로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서로 분리시켜 드레인되는 액체를 상기 밸브 수단으로 들어가는 기체와 분리시키는 상승벽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스템으로 들어가는 액체입구를 이루는 축방향 부분과 상기 스템의 상기 하부 측벽을 통하여 개방되어 상기 스템으로부터 나가는 액체 출구를 이루는 반경 방향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기체 입구 통로를,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액체 드레인 통로를 이루며, 상기 스템에는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내부 통로의 상기 축방향 부분과 연결된 절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제부는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밸브 수단으로 들어가는 액체 입구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낮추는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드레인 높이는 상기 기체 입구 높이보다 적어도 1인치 낮은 밸브.
  11. 제6항에 있어서, 기체 입구에 대한 액체 출구의 면적비가 4 내지 5인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기체 입구에 대한 액체 출구의 면적비가 4.6인 밸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템은 반경 방향 플렌지가 있ㄴ는 컵 모양의 베이스부를 가진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플렌지에 보강 리브를 가진 주변 스커트가 포함되는 밸브.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로부터 액체가 드레인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상기 스템의 상기 컵 모양 베이스부 둘레에 배치되는 밸브 조작 부재가 더 포함되는 밸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는 드레인되는 액체를 받아 일정한 액체 높이 및 조절된 유동저항을 유지하도록 컵 모양으로 되어 있는 밸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는 상기 밸브 조작 부재를 상기 스템에 스냅식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가지는 밸브.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에 축방향 액체 드레인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가 호스 연결부를 가진 밸브.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과 상기 칼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체 입구와 상기 드레인 통로를 밀봉시키는 단일 가스켓이 더 포함되는 밸브.
  2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유체 통로 중 제2통로를 이루는 내부 통로를 가지고, 상기 홈은 상기 기체 입구 통로를,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액체 드레인 통로를 이루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스템으로 들어가는 액체 입구를 이루는 축방향 부분과 상기 스템의 상기 하부측벽을 통하여 개방되어 상기 스템으로부터 나가는 액체 출구를 이루는 반경 방향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는 상기 홈과 상기 내부 통로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서로 분리시켜 드레인되는 액체를 상기 밸브 수단으로 들어가는 기체와 분리시키는 상승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내부 통로의 상기 축방향 부분과 연결되는 절제부가 상기 스템에 형성되어, 상기 절제부가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밸브 수단으로 들어가는 액체 입구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낮추는 밸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드레인 출구는 상기 기체 입구 높이보다 적어도 1인치 낮은 밸브.
  23. 제21항에 있어서, 기체 입구에 대한 액체 출구의 면적비가 약 4.6인 밸브.
  2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로부터 드레인되는 액체를 받아 일정한 액체 높이 및 조절된 유동 저항을 유지시켜 액체가 드레인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상기 스템의 하부에 배치된 컵 모양 밸브 조작 부재가 더 포함되는 밸브.
  25.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벤트 밸브에 있어서, 액체가 드레인되는 동시에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는 구멍을 가진 몸체부와 ; 상기 구멍을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방지하는 밸브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구멍을 통한 기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에 형성되 별도의 유체 통로를 통한 기체 유입 및 액체 드레인이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스템을 가지고, 상기 스템에는 반경 방향 릎렌지와 주변 스커트를 가진 컵 모양 베이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 용기로부터 액체가 드레인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상기 스템의 상기 컵 모양 베이스부 둘레에 배치되는 밸브 조작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밸브 조작 부재에 액체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자체 벤트 밸브.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부, 하부, 중심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에는 상기 스템을 상기 폐쇄 위치로 나사 고정시키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템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템과 상기 몸체부 사이의 접촉점을 제공하면서 상기 스템을 상기 개방 위치로 나사 고정시키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용기에 부착된 칼라가 포함되고, 상기 칼라에는 상기 스템을 개방위치와 폐쇄 위치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 및 하부 수나사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과 상기 칼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체 입구와 상기 드레인 통로를 밀봉시키는 단일 가스켓이 더 포함되고, 상기 가스켓을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돌기가 상기 밸브 조작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는 컵 모양으로 되어, 드레인되는 액체를 받아 일정한 액체 높이 및 조절된 유동 저항을 유지시키면서 유동 방향을 상기 밸브 조작 부재 통로로 바꾸는 밸브.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는 상기 밸브 조작 부재를 상기 스템에 스탭식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가지는 밸브.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밸브 스템을 수용하는 내부 구멍이 있는 반경 방향 내측 플렌지를 가진 밸브.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스템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기 전에 상기 밸브 조작 부재를 상기 스템의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시키는 밸브.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 스템 주변 스커트를 타고 넘어 그 하부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유지 립(lip)이 상기 연결 수단에 포함되는 밸브.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의 유지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3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스템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후에 상기 밸브 조작 부재를 상기 스템의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시킬 수 있는 밸브.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밸브 조작 부재의 내벽에 형성된 탭(tab)과 상기 스템의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노치(notch)를 가지며, 상기 탭은 상기 밸브 조작 부재를 상기 스템의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노치 내에 고정되는 밸브.
  38.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벤트 밸브에 있어서, 액체가 드레인되는 동시에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는 구멍을 가진 몸체부와 ; 상기 구멍을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방지하는 밸브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구멍을 통한 기체의 유동이 방지된느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별도의 유체 통로를 통한 기체 유입 및 액체 드레인이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스템을 가지고, 상기 스템 및 상기 몸체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홈을 통한 상기 유체 통로중의 하나를 형성시키며, 상기 스템은 상부, 하부 및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용기에 부착된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개방 및 폐쇄 위치에서 각각 상기 스템을 고정하도록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수나사와 연계되도록 적용된 암나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상부의 수나사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스템 사이에 접하는 지점을 제공하는 자체 벤트 밸브.
  39.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벤트 밸브에 있어서, 액체가 드레인되는 동시에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는 구멍을 가진 몸체부와 ; 상기 구멍을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방지하는 밸브 수단 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구멍을 통한 기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별도의 유체 통로를 통한 기체 유입 및 액체 드레인이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스텝을 가지고, 상기 스템 및 상기 몸체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홈을 통한 상기 유체 통로중의 하나를 형성시키며, 상기 홈은 상기 기체 유입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유체의 제2의 통로를 제공하는 내부 통로를 지니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액체 드레인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텝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 통로의 상기 축방향 부분에 연결된 절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제부는 상기 스텝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밸브 수단으로 액체 유입 높이를 효과적으로 낮추게 되는 자체 벤트 밸브.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드레인 높이는 상기 기체 입구 높이보다 적어도 1인치 낮은 밸브.
  41.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벤트 밸브에 있어서, 액체가 드레인되는 동시에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는 구멍을 가진 몸체부와 ; 상기 구멍을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방지하는 밸브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구멍을 통한 기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별도의 유체 통로를 통한 기체 유입 및 액체 드레인이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스템을 가지고, 상기 스템 및 상기 몸체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홈을 통함 상기 유체 통로중의 하나를 형성시키며, 상기 스템은 상기 유체의 제2의 통로를 제공하는 내부 통로를 지니며, 기체 입구에 대한 액체 출구의 면적비가 4 내지 5인 밸브.
  42. 제41항에 있어서, 기체 입구에 대한 액체 입구의 면적비가 대략 4.6인 자체 벤트 밸브.
  43.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벤트 밸브에 있어서, 액체가 드레인되는 동시에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는 구멍을 가진 몸체부와 ; 상기 구멍을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방지되는 밸브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구멍을 통한 기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별도의 유체 통로를 통한 기체 유입 및 액체 드레인이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스템을 가지고, 상기 스템 및 상기 몸체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홈을 통한 상기 유체 통로중의 하나를 형성시키며, 상기 밸브스템은, 용기로부터의 액체의 드레인을 보조하도록 상기 스템의 컵 형상의 베이스 부분 둘레에 배치된 밸브조작 부재 및 반경상의 플렌지를 지닌 컵 형상의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조작 부재는 드레인되는 액체를 집수하도록 컵 형상이어서 일정한 액체 수두 및 제어된 유체 저항을 유지하는 자체 벤트 밸브.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는 상기 밸브 조작 부재를 상기 스템에 스냅식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가지는 밸브.
  45.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벤트 밸브에 있어서, 액체가 드레인되는 동시에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는 구멍을 가진 몸체부와 ; 상기 구멍을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방지하는 밸브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구멍을 통한 기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별도의 유체 통로를 통한 기체 유입 및 액체 드레인이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스템을 가지고, 상기 스템 및 상기 몸체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홈을 통한 상기 유체 통로중의 하나를 형성시키며, 상기 밸브스템은, 용기로부터의 액체의 드레인을 보조하도록 상기 스템의 컵 형상의 베이스 부분 둘에에 배치된 밸브조작 부재 및 반경상의 플렌지를 지닌 컵 형상의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조작 부재는 축방향의 액체드레인 통로를 포함하는 자체 벤트 밸브.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 부재는 호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자체 벤트 밸브.
  47.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벤트 밸브에 있어서, 액체가 드레인되는 동시에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는 구멍을 가진 몸체부와 ; 상기 구멍을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방지하는 밸브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구멍을 통한 기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별도의 유체 통로를 통한 기체 유입 및 액체 드레인이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스템을 가지고, 상기 스템 및 상기 몸체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홈을 통한 상기 유체 통로중의 하나를 형성시키며, 상기 스템은 상부, 하부 및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용기에 부착된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개방 및 폐쇄 위치에서 각각 상기 스템을 고정하도록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수나사와 연계되도록 적용된 암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의 수나사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스템 사이에 접하는 지점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단일의 가스켓이 상기 기체의 유입 및 액체의 드레인 통로를 밀봉하도록 상기 스템과 상기 칼라 사이에 위치된 자체 벤트 밸브.
  48. 용기로부터 액체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자체 벤트 밸브에 있어서, 액체가 드레인되는 동시에 기체가 용기로 들어가는 구멍을 가진 몸체부와 ; 상기 구멍을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방지하는 밸브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구멍을 통한 기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별도의 유체 통로를 통한 기체 유입 및 액체 드레인이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스템을 가지고, 상기 스템 및 상기 몸체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홈을 통한 상기 유체 통로중의 하나를 형성시키며, 상기 스템은 상부, 하부 및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용기에 부착된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개방 및 폐쇄 위치에서 각각 상기 스템을 고정하도록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수나사와 연계되도록 적용된 암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의 수나사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스템 사이에 접하는 지점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스템은 상기 유체의 제2통로를 제공하는 내부 통로를 지니며 상기 홈은 상기의 기체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액체 드레인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스템에 액체 입구를 제공하도록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서 개방된 축방향 부분 및 상기 스템으로부터의 액체 유출구를 제공하도록 상기 스템의 하부에서 측벽을 통해 개방된 반경방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는 상기 홈과 상기 내부 통로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서로 분리시켜 드레인되는 액체를 상기 밸브 수단으로 들어가는 기체와 분리시키는 상승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내부 통로의 상기 축방향 부분과 연결되는 절제부가 상기 스템에 형성되어 상기 절제부가 상기 스템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밸브 수단으로 들어가는 액체 입구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낮추는 자체 벤트 밸브.
  49. 제48에 있어서, 상기 액체 드레인 높이는 상기 기체 입구 높이보다 적어도 1인치 낮은 자체 벤트 밸브.
  50. 제48항에 있어서, 기체 입구에 대한 액체 출구의 면적비가 약 4.6인 자체 벤트 밸브.
  51. 제38항에 있어서, 일정한 액체 수두 및 제어된 유동 저항을 유지하도록 드레인되는 액체를 집수함으로써 상기 용기로부터 액체가 드레인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상기 스템의 하부에 배치된 컵 형상의 밸브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자체 벤트 벨브.
KR1019900702003A 1989-01-06 1990-01-08 자체 벤트(vent) 드레인 밸브 KR940000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3964 1989-01-06
US293,964 1989-01-06
US07/293,964 US4893651A (en) 1989-01-06 1989-01-06 Self-venting drain value assembly
PCT/US1990/000036 WO1990007666A1 (en) 1989-01-06 1990-01-08 Self-venting drain valv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425A KR910700425A (ko) 1991-03-15
KR940000356B1 true KR940000356B1 (ko) 1994-01-17

Family

ID=2313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003A KR940000356B1 (ko) 1989-01-06 1990-01-08 자체 벤트(vent) 드레인 밸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93651A (ko)
EP (1) EP0381925B1 (ko)
JP (1) JP2547478B2 (ko)
KR (1) KR940000356B1 (ko)
BR (1) BR9004510A (ko)
DE (1) DE69017729T2 (ko)
MX (1) MX164422B (ko)
WO (1) WO1990007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8957B (sv) * 1991-08-21 1993-04-19 Mattsson Ab F M Genomstroemningsventil samt formverktyg av metall foer tillverkning av saete eller kaegla till denna
US5144978A (en) * 1992-01-31 1992-09-08 Baldwin Filters, Inc. Self-venting drain valve
US5816430A (en) * 1997-05-29 1998-10-06 Hunter Manufacturing Co. Fuel tank vent valve for heaters
US6258269B1 (en) 2000-05-30 2001-07-10 Parker-Hannifin Corporation Self vent drain valve
DE10132200A1 (de) * 2001-07-03 2003-01-23 Mahle Filtersysteme Gmbh Flüssigkeitsfilter
JP3600587B2 (ja) * 2002-02-26 2004-12-15 株式会社藤井合金製作所 ガス栓
US6565746B1 (en) * 2002-04-30 2003-05-20 Dana Corporation One-piece self-venting drain valve
GB0216115D0 (en) 2002-07-11 2002-08-21 Parker Hannifin U K Ltd Self-venting solenoid drain valves
US6972092B1 (en) * 2003-05-16 2005-12-06 Wix Filtration Corp. Self-venting valve end cap and method
US7401761B2 (en) * 2004-05-13 2008-07-22 Smart Parts, Inc. Compressed gas cylinder safety device
US20070034580A1 (en) * 2005-08-11 2007-02-15 Stein Matthew L Fluid filter arrangement including valve arrangement and methods
US20080223461A1 (en) * 2007-03-15 2008-09-18 Gerwin Weston H One-Piece Self-Venting Drain Valve
FR2936286B1 (fr) * 2008-09-24 2011-08-0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uve de filtre a gazole et dispositif de purge associe.
US8240333B2 (en) * 2009-07-07 2012-08-14 Conbraco Industries, Inc. Separator for a release valve
US8459510B2 (en) 2010-07-20 2013-06-11 David S. Smith America, Inc. Dispenser assembly
US8877055B2 (en) * 2010-10-13 2014-11-04 Baldwin Filters, Inc. Filter having drain valve with mechanical lock
GB2492426B (en) 2011-10-21 2015-04-08 Jaguar Land Rover Ltd A finger grip wheel
US8690026B2 (en) 2011-10-25 2014-04-08 David S. Smith America, Inc. Fluid dispensing assembly
US9700827B2 (en) * 2012-05-11 2017-07-11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Drain adaptor
US20140027366A1 (en) * 2012-07-27 2014-01-30 Cummins Filtration Ip, Inc. Top load filter with exterior drain actuation
US9151424B2 (en) * 2013-10-24 2015-10-06 Caterpillar Inc. Connector for connecting hose coupler to drain knob
US9527016B2 (en) 2014-01-24 2016-12-27 Caterpillar Inc. Filter element having vent tube and filter assembly
US9853425B2 (en) * 2014-09-11 2017-12-26 Hubbell Incorporated Breather drain
US11458425B2 (en) * 2019-08-30 2022-10-04 Snap-On Incorporated Oil filter canister drain tool
US11193452B2 (en) * 2019-09-18 2021-12-07 Christopher M Graves Carburetor drai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618A (en) * 1903-06-01 1904-03-15 Nicholas A Smith Tapping device.
US1288356A (en) * 1917-01-02 1918-12-17 Mark L Woods Valve.
US2046474A (en) * 1934-11-02 1936-07-07 Maggenti Alberto Louis Vented fluid controlling valve
US2333310A (en) * 1940-05-13 1943-11-02 Greening Walter Fluid flow control valve
US2405681A (en) * 1943-03-15 1946-08-13 Walter R J Woock Drum valve and faucet
US2810398A (en) * 1954-07-09 1957-10-22 Bell & Gossett Co Drain and vacuum breaker valve
GB903505A (en) * 1960-04-25 1962-08-15 Gen Motor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iquid filter apparatus
US3044504A (en) * 1961-06-01 1962-07-17 Iketani Taisho Injection valve in a liquefied gas lighter
DE1953096C3 (de) * 1969-10-22 1974-06-12 Gustav F. Gerdts Kg, 2800 Bremen Kessel-Entleerungsventil
US3727638A (en) * 1971-04-26 1973-04-17 Progressive Prod Inc Drain plug assembly
US3806085A (en) * 1973-03-29 1974-04-23 Caterpillar Tractor Co Drain valve and hose for draining oil reservoirs
US3910572A (en) * 1973-11-29 1975-10-07 Grip It Inc Hand exerciser with adjustable valve
DE2544671C3 (de) * 1975-10-06 1979-05-17 Dagma Deutsche Automaten- Und Getraenkemaschinen-Gesellschaft Mbh & Co, 2067 Reinfeld Behälter zur dosierten Abgabe von Flüssigkeiten
US4025048A (en) * 1975-12-10 1977-05-24 Tibbitts Harry E Crankcase drain assembly
US4314689A (en) * 1979-12-19 1982-02-09 Racor Industries, Inc. Drain valve
SE425690B (sv) * 1981-03-27 1982-10-25 Sab Automotive Ab Dreneringsventil
US4440193A (en) * 1981-11-23 1984-04-03 Cummins Engine Company, Inc. Valve assembly
DE3443717A1 (de) * 1984-11-30 1986-06-0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Fluessigkeitsfilter
US4611627A (en) * 1985-02-07 1986-09-16 Donaldson Company, Inc. Self-venting drain valve
US4724074A (en) * 1985-10-07 1988-02-09 Parker Hannifin Corporation Self-venting drain assembly
US4753266A (en) * 1986-04-08 1988-06-28 Cummins Engine Company, Inc. Valve assembly
US4708171A (en) * 1986-11-14 1987-11-24 J. A. Baldwin Manufacturing Co. Drain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17729D1 (de) 1995-04-20
BR9004510A (pt) 1991-07-30
JPH03504760A (ja) 1991-10-17
WO1990007666A1 (en) 1990-07-12
EP0381925B1 (en) 1995-03-15
MX164422B (es) 1992-08-12
KR910700425A (ko) 1991-03-15
EP0381925A3 (en) 1991-12-18
EP0381925A2 (en) 1990-08-16
JP2547478B2 (ja) 1996-10-23
US4893651A (en) 1990-01-16
DE69017729T2 (de) 199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356B1 (ko) 자체 벤트(vent) 드레인 밸브
US4113138A (en) Liquid tank cap having a vent
US4401093A (en) Oil fill/air breather cap with integral oil separator
US5144978A (en) Self-venting drain valve
US6565746B1 (en) One-piece self-venting drain valve
US4971219A (en) Fuel tank cap
US20200368653A1 (en) Adapter For A Filter Assembly
MXPA04008896A (es) Ensamble de flitro de aceite.
US20080223461A1 (en) One-Piece Self-Venting Drain Valve
EP1005606B1 (en) Assembly of a coolant container cap assembly and a coolant container
US6609699B2 (en) Oil drain valve
JPH11137917A (ja) オイルフィルタ
WO2021011452A1 (en) Filter cartridge with valve activation feature
US5603425A (en) Radiator cap
JP3853092B2 (ja) 液体フィルタ
JPH10217778A (ja) 燃料タンクキャップ
JPS6278065A (ja) 燃料タンクキヤツプ
KR900007571Y1 (ko) 정수기
JPS6330365Y2 (ko)
JPH0515931Y2 (ko)
JPH0434284Y2 (ko)
JPH0320541Y2 (ko)
JPS59164468A (ja) 過流出防止弁
JPS6024932Y2 (ja) 燃料フイルタのエア抜き装置
KR970005840Y1 (ko) 물통에 사용되는 금수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