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130B1 - 키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키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12130B1 KR930012130B1 KR1019910000217A KR910000217A KR930012130B1 KR 930012130 B1 KR930012130 B1 KR 930012130B1 KR 1019910000217 A KR1019910000217 A KR 1019910000217A KR 910000217 A KR910000217 A KR 910000217A KR 930012130 B1 KR930012130 B1 KR 930012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device
- key input
- elastic
- key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6—Only mechanical fun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18—Collapsible dome or bubble unstressed in open position of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1—Key modules mounted on laykey
- H01H2233/026—Inse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키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고무키방식의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키압압하중과 키스트로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이고, 본 발명에 의한 키입력장치를 적용한 전자탁상계산기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나는 전자탁상계산기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키입력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키입력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인 키입력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이고, 본 발명에 의한 키입력장치를 적용한 전자탁상계산기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내는 전자탁상계산기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인 키입력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전자탁상계산기, 전자수첩,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탁상계산기, 전자수첩 혹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키입력장치로서는 여러가지 구조의 것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장치는 대별로 하면,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줄 수 있는 클릭타입의 것과, 클릭감을 주지않는 터치타입의 것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릭타입의 입력장치로서는 비교적 부품 점수가 작고, 조립이 용이한 고무키 방식의 것이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제1도는 고무키 방식의 대표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내는 키입력장치는 외장케이스(1), 프린트기판(2), 고무시트(3) 및 키톱(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린트기판(2)는 하부케이스(도시하지 않음) 혹은 케이스내에 형성된 지지판(도시하지 않음)상에 재치되는 것으로 그 표면에 고정접점(2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무시트(3)는 상기 프린트기판(2) 상에 재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린트기판(2)에 형성된 고정접점(2a)과 대응하는 위치에 팽출부(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팽출부(3a)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접점(2a)과 접촉하여 스위칭을 행하는 고정접점(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팽출부(3a)의 상면에는 키톱(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톱(6)은 그 하부에 플랜지부(6a)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6a)가 팽출부(3a)의 상방향의 부세력에 의해 외장케이스(1)에 당접하고, 키톱(6)의 상부가 외장케이스(1)에 형성된 걔구부(1a)에서 소정높이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키입력장치는 키톱(6)을 압하했을때, 팽출부(3a)이 탄성변형과 압압력과의 사이에 생기는 특성에 의해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준다. 즉, 상기 팽출부(3a)의 탄성변형과 압압력과의 사이에 생기는 특성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형량(스트로크 S)이 소정량(점 A)에 도달하기까지 압압력(하중 P)과 변형량은 비례관계가 있으며, 상기 소정량을 넘어서 변형하는 경우, 압압력의 증가가 마이너스가 된다. 이 때, 제2도에 나타내는 점 A에서 점 B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조작자는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키입력장치는 키톱(6)과 외장케이스(1) 하면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팽출부(3a)를 미리 탄성변형(제2도에서 나타내는 점 S)시키고, 키톱(6)의 플랜지부(6a)를 외장케이스(1)의 하면에 압압부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키입력장치는 조작자가 키를 입하할때, 약간의 압하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팽출부(3a)의 변형이 제2도에 나타내는 점 A에 도달해버리기 때문, 조작자에게 충분한 클릭감을 줄 수가 없었다.
또, 상기와 같은 구성의 키입력장치는 키톱(6)에 플랜지부(6a)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키입력장치의 박형화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사이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키조작시에 조작자에게 충분한 클릭감을 주고, 또한 박형화를 용이하게 꾀할 수가 있는 키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청구범위 삽입]으로 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따라, 키조작시에 조작자에게 충분한 클릭감을 줌과 동시에 키입력장치를 용이하게 박형화할 수 있으며, 다시 박형화를 도모한 경우에도 키조작시에 클릭감을 조작자에게 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키입력장치를 갖춘 전자탁상계산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부호 10은 외장케이스이다. 이 외장케이스(10)은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장케이스(10)의 내부에는 액정표시장치(13), 전자회로(14) 및 전지(15)가 갖추어지고, 또 외부에는 키입력부(16)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3)는 상기 상부케이스(11)에 형성된 개구부(11a)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상기 하부케이스(12)에 지지부재(17)를 통하여 취부되고 있다.
또, 상기 전자 회로(14)는 LSI(18) 및 회로기판(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19)이 지지부재(20)를 통하여 상기 하부케이스(12)에 취부되고, 다시 상기 LSI(18)가 회로기판(19)에 취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회로기판(19)에는 리드선(21)을 통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13)가 접속됨과 동시에 전지(15)가 접속코드(2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키입력부(16)는 상기 상부케이스(11)상면에 형상으로 형성된 대좌부(11b)에 형성되어 있다. 이 키입력부(16)는 배선기판(23), 고무시트(24), 가동접점(25) 및 키톱(26)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배선기판(23)는 고정접점(23a) 및 배선리드(도시하지 않음)가 기본본체(23b)에 카본딩, 도전고무를 인쇄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1)에 형성된 대좌부(11b)의 저면에 재치되고 접착제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배선기판(23)에는 리드선(27)이 접속되어 있다. 이 리드선은 상기 대좌부(11b)에 형성된 개구부(11c)를 지나 외장케이스(10) 내에 도입되고, 상기 회로기판(19)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무시트(24)는 상기 배선기판(23) 상에 재치됨으로 상기 배선기판(23) 상에 형성된 고정접점(23a)에 따른 위치에 메사형상으로 팽출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팽출부(24a) 중공의 절두 각 기둥형상 혹은 중공의 절두각 기둥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천판부(24b)와 측벽부(24c)로부터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팽출부(24a)의 천판부(24b)의 하면에는 카본딩한 스탬프등에 의해 전사함에 따라 형성된 가동접점(2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팽출부(24a)의 천판부(24b)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제의 키톱(26)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키입력부(16)는 키톱(26)위에서 압력이 걸리게 되면, 상기 팽출부(24a)의 측벽부(24c)가 탄성변형되고 천판부(24b)의 하면에 형성된 가동접점(25)이 배선기판(23)에 형성된 고정접점(23a)에 접촉하여 키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가동접점(25)과 고정접점(23a)이 접촉되면, 상기 전자회로(14)에서 리드선(27)을 통하여 배선기판(23)에 공급되는 키샘플링 신호에 따라 접촉된 고정접점(23a)에 기인하는 키입력신호가 상기 리드선(27)을 통하여 전자회로(14)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팽출부(24a)에는 종래의 고무키 방식의 입력장치와 같이 키톱의 플랜지부를 외장케이스에 압압부세하기 위해 미리 탄성변형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도에 도시하는 그래프의 A점에 도달하기까지의 탄성변형에 의한 스트로크를 가장 길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키톱(26)을 압압했을때, 조작자에 대하여 충분한 클릭감을 줄 수가 있다.
또, 상기 키톱(26)에 걸려져 있는 압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팽출부(24a)는 그 측벽부(24c)의 탄성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가동접점(25)과 고정접점(23a)의 접촉이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한 키입력장치는 미리 팽출부(24a)가 탄성변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충분한 클릭감을 줄 수가 있음과 동시에 키톱(26)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키입력장치를 다시 박형화를 꾀한 경우라도, 그 두께에 대하여 최대길이의 스트로크가 주어지기 때문에 클릭감의 감소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키톱(26)의 주위를 덮는 판넬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 조립공정이 간이화 할 수 있으며, 키톱(26)의 표면을 넓게 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5도에 기인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부재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키입력장치는 배선기판(23)상에 이 배선기판(23)에 형성된 고정접점(23a)의 위치에 따라 개구부(30a)가 형성된 스페이셔(30)가 재치되고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의 상부에 가요성을 가지는 필름기판(31)이 재치되고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고 있다.
상기 필름기판(31)의 하면에는 상기 배선기판(23)에 형성된 고정접점(23a)의 위치에 따라서 가동접점(31a)이 카본딩을 인쇄함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기판(31)의 상면에는 고무시트(32)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 고무시트(32)는 상기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고정접점(23a)의 위치에 따라 팽출부(32a)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팽출부(32a)의 천판부(32b)의 하면에는 이 천판부(32b)와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입력장치는 키톱(26)상에서 압압력이 걸려져 있는 것에 따라, 팽출부(32c)의 탄성변형하여 상기 돌기부(32b)가 필름기판(31)을 압압하고 이에 따라 필름기판(31)이 휘는 것에 의해 필름기판(31) 하면에 형성된 가동접점(31a)과 고정접점(23a)이 접촉하여 키입력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6도에 기인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의한 키입력장치는 제2실시예에 의한 키입력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한 것으로 제2실시예에 있어서 배선기판(23)에 형성되어 있던 고정접점((23a)(40)) 및 배선패턴(도시하지 않음)을 상부케이스(11)의 대좌부(11b)의 상면에 직접 인쇄한 것이다. 또, 상기 상부케이스(11)는, 스페이서(30) 및 필름기판(31)에 관통공(11d,30b,31b)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고무시트(32)의 하면에 돌기시켜서 그 고무시트(32)와 일체로 계지부(32e)를 형성했다. 그리고, 상기 고무시트(32)에 형성된 계지부(32e)를 상기 관통공(11d,30b,31b)에 삽입하여 계합시킴으로써 고무시트(32), 필름기판(31) 및 스페이서(30)위의 상부케이스(11)에 고정하도록 했다.
또,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5실시예에 의한 키입력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키입력부의 박형화를 도모한 것이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11)의 대좌부(11b) 상면에 고정접점(40) 및 배선패턴(도시하지 않음)을 직접 인쇄하여 배선기판(23)을 배제한 것이다. 또한, 이 키입력장치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케이스(11)에 관통공(11d)를 형성하고, 다시 고무시트(24)에 계지부(24d)를 형성하고, 그 계지부(24d)를 관통공(11d)에 삽입하여 계합시킴으로써, 상기 고무시트(24)와 상부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제8, 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한 키입력장치를 전자탁상계산기에 적용한 것이다.
이 전자탁상계산기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케이스(51) 및 하부케이스(52)로부터 이루어지는 외장케이스(50)내에 액정표시장치(13), 전자회로(14) 및 전지(15)를 갖추고 다시 상부케이스(51)에 형성된 대좌부(51b)상에 키입력부(53)를 갖춘 것이다.
상기 키입력부(53)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접점(23a)을 갖춘 배선기판(23), 고무시트(54), 이 고무시트(54)에 갖추어진 가동접점(25) 및 상기 고무시트(54)상에 갖추어진 키톱(26)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무시트(54)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무시트(54)는 배선기판(23)의 고정접점(23a)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凹부(54a)가 형성되고, 다시 상부 凹부(54a)에 내에 팽출부(5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팽출부(54b)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천판부와 측벽부로부터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판부 및 측벽부의 두꺼운데는 고무시트(54)의 다른 부분의 두꺼운데 보다 얇게 형성된다. 또, 상기 팽출부(54b)는 고무시트(54)의 상면이 넘지않을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팽출부(54b)의 상면에는 키톱(26)이 재치된다. 이 키톱(26)은 고무시트(54)의 상면에서 약간 돌출시켜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입력부(53)는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에 덧붙여, 키톱의 주위를 덮는 상면 판넬을 형성한 것과 같은 외관을 얻을 수가 있으며, 디자인의 자유도를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제10도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0도에 도시하는 키입력장치는 제5실시예에 나타내는 키입력부(53)에 있어서 키톱(26)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고무시트(60)에 형성된 팽출부(60b)의 천판부(60c)의 두꺼운데를 측벽부(60d)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천판부(60c)의 가요성을 손상하게 하고, 천판부(60c)를 키톱으로서 이용한 것이다.
Claims (28)
- 그안에 전자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수단과; 다수의 고정접점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 수단의 외부표면상이 설비된 고정접점수단과; 고정접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기 위하여, 접점부에서는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와 접촉되며, 비접점부에서는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로부터 분리되어 접점부와 비접점부 사이에 이동가능하도록 고정접점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기 위치되는 복수의 가동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위에 지지되는 가동접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수단은, 복수의 신축성 돌기들을 가지는 탄성시트로 된 탄성부재와; 상기 각기의 신축성 돌기부의 상부표면상에 형성된 키상부부재와; 상기 신축성 돌기가 압축된때, 상기 고정접점수단의 선택적인 접점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신축성 돌기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된 전기 전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요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저부로부터 상부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수단은, 복수의 구멍들과, 상기 구멍들이 위치된 곳에 형성된 신축성 돌기를 가지는 탄성 시트로 된 탄성부재와; 상기 신축성 돌기가 압축된때, 상기 고정접점수단의 고정접점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신축성 돌기의 내부표면상에 설치된 전기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수단은 또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상에 설치된 키상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저부로부터 그 상부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탄성시트의 상부표면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은 상기 탄성시트위에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수단은 또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상에 설치된 키상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키상부부재의 상부표면의 상기 탄성시트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요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접점수단은 상기 요부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단지 상기 신축성 돌기만이 수동으로 눌러지게 부착된 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며, 상기 상부벽이 상기 측벽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저부로부터 그 상부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지지재상에 설치되게 부착되며, 상기 지지재와 대면하는 저부표면을 가지는 탄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의 상부표면내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구멍내에 형성된 상부로 신장하는 신축성 돌기와; 상기 신축성 돌기의 저부표면상에 설치된 가동접점부재와; 상기 가동접점부재 아래의 상기 지지재상에 설치되는 고정접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성 돌기가 눌러짐에 따라, 가동접점부재가 상기 고정접점수단에 접촉된때, 키입력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상에 설치된 키상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키상부부재는 상기 탄성시트의 상부표면위에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저부로부터 그 상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수단을 그위에 설치하기 위하여, 그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지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요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접점부재는 상기 요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은 상기 탄성시트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단지 상기 신축성 돌기만이 수동으로 눌러지게 부착된 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은 직접 수동으로 눌러지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며, 상기 상부벽이 상기 측벽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저부로부터 그 상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01A JPH03222217A (ja) | 1990-01-26 | 1990-01-26 | キースイッチ装置 |
JP2-15101 | 1990-01-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4792A KR910014792A (ko) | 1991-08-31 |
KR930012130B1 true KR930012130B1 (ko) | 1993-12-24 |
Family
ID=1187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00217A KR930012130B1 (ko) | 1990-01-26 | 1991-01-09 | 키입력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0439176A3 (ko) |
JP (1) | JPH03222217A (ko) |
KR (1) | KR9300121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98738B2 (ja) * | 2004-01-09 | 2010-01-13 |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 キーシート |
JP4845666B2 (ja) * | 2006-10-10 | 2011-12-28 | 三洋電機株式会社 | 操作釦を具えた電気機器及び該操作釦の取付け方法 |
US7963709B2 (en) * | 2006-12-01 | 2011-06-21 | Casio Computer Co., Ltd. | Electronic device |
JP6237198B2 (ja) * | 2013-12-18 | 2017-11-29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リード線のガイド構造、及び電子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7606008U1 (de) * | 1976-02-28 | 1976-08-26 |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8740 Bad Neustadt | Drucktastenschalter |
JPS58115027U (ja) * | 1982-02-01 | 1983-08-05 | サンアロ−株式会社 | 押釦パネル |
US4490587A (en) * | 1983-04-07 | 1984-12-25 | Microdot Inc. | Switch assembly |
JPS61140009A (ja) * | 1984-12-12 | 1986-06-27 | 信越ポリマ−株式会社 | 押釦スイツチ |
FR2576450A1 (fr) * | 1985-01-22 | 1986-07-25 | Hutchinson | Clavier a elements de commande integres et auto-centres par rapport a sa face avant |
US4636593A (en) * | 1985-03-13 | 1987-01-13 | Motorola Inc. | Light conducting, elastomeric membrane keypad |
-
1990
- 1990-01-26 JP JP2015101A patent/JPH03222217A/ja active Pending
-
1991
- 1991-01-09 KR KR1019910000217A patent/KR9300121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01-24 EP EP19910100914 patent/EP0439176A3/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439176A2 (en) | 1991-07-31 |
KR910014792A (ko) | 1991-08-31 |
EP0439176A3 (en) | 1992-05-20 |
JPH03222217A (ja) | 1991-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69256B1 (en) | Panel switch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 |
US6373265B1 (en) | Electrostatic capacitive touch sensor | |
US7285741B2 (en) | Push-button switch | |
US4532575A (en) | Electronic equipment having key input function | |
KR100381939B1 (ko) |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한 입력장치 및 검출장치 | |
US5895901A (en) | Long-stroke push-on switch with reduced height | |
US20100103611A1 (en) | Electronic device | |
KR20050025329A (ko) | 스위치 통합 케이싱 및 이 케이싱을 가진 전자기기 | |
KR930012130B1 (ko) | 키입력장치 | |
JP3380998B2 (ja) | 静電容量式力覚センサ | |
TW434608B (en) | Push button switch | |
KR200180269Y1 (ko) | 셀룰라폰의 키패드 | |
JP3216187B2 (ja) | 多接点スイッチ装置 | |
JP3748187B2 (ja) | スイッチ機構 | |
JPH05128938A (ja) | キースイツチの構造 | |
JPH0121377Y2 (ko) | ||
JPS6038297Y2 (ja) | 小型電子機器 | |
JP2764897B2 (ja) | 押ボタンスイツチ | |
JP2001015959A (ja) |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実装構造 | |
CN118742795A (zh) | 输入装置 | |
JP2601581Y2 (ja) | スイッチ構造 | |
JP2544333Y2 (ja) | バンドスイッチ及びこれを取着した携帯用電子機器 | |
GB2255688A (en) | Telephone station set with flexible and rigid circuit boards | |
KR19990008850A (ko) | 조작부의 러버컨택 장치 | |
GB2233283A (en) | Keypad assemblies having tiltable key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121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