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4792A - 키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키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4792A
KR910014792A KR1019910000217A KR910000217A KR910014792A KR 910014792 A KR910014792 A KR 910014792A KR 1019910000217 A KR1019910000217 A KR 1019910000217A KR 910000217 A KR910000217 A KR 910000217A KR 910014792 A KR910014792 A KR 910014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key input
elastic
protrus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130B1 (ko
Inventor
시게루 히로사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91001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6Only mechanic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18Collapsible dome or bubble unstressed in open position of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1Key modules mounted on laykey
    • H01H2233/026Inse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 입력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이고, 본 발명에 의한 키입력장치를 적용한 전자탁상계산기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나는 전자탁상계산기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키입력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Claims (28)

  1. 그안에 전자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수단과; 다수의 고정접점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 수단의 외부표면상이 설비된고정접점수단과; 고정접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기 위하여, 접점부에서는 가동접점부가 고정접부와 접촉되며, 비접점부에서는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로부터 분리되어 접점부와 비접점부 사이에 이동가능하도록 고정접점부 고정접점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기 위치되는 복수의 가동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위에 지지되는 가동접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수단은, 복수의 신축성 돌기들을 가지는 탄성시트로 된 탄성부재와; 상기 각각의 신축성돌기부의 상부표면상에 형성된 키상부 부재와; 상기 신축성 돌기가 압축될때, 상기 고정접점수단의 선택적인 접점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신축성 돌기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된 전기 전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요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저부로 부터 상부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수은, 복수의 구멍들과, 상기 구멍들이 위치된 곳에 형성된 신축성 돌기를 가지는 탄성시트로 된 탄성부재와; 상기 신축성 돌기가 압축된때, 상기 고정접점수단의 고정접점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신축성 돌기의 내부표면상에 설치된 전기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수단은 또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상에 설치된 키상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저부로 부터 그 상부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탄성시트의 상부표면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은 상기 탄성시트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수단은 또한 상기 신축성돌기의 상부표면상에 설치된 키 상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키 상부부재의 상부표면은 상기 탄성시트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요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접점수단은 상기 요부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단지 상기 신축성돌기만이 수동으로 눌러지게 부착된 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며, 상기 상부벽이 상기 측벽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돌기는 저부로 부터 그 상부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17. 지지재상에 설치되게 부착되며, 상기 지지재와 대면하는 저부 표면을 가지는 탄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의 상부표면내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구멍내에 형성된 상부로 신장하는 신축성 돌기와; 상기 신축성 돌기의 저부표면상에 설치된 가동접점부재와; 상기 가동접점부재 아래의 상기 지지재상에 설치되는 고정접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성 돌기가 눌러짐에따라, 가동접점부재가 상기 고정 접점 수단에 접촉된때, 키입력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상에 설치된 키상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키상부부재는 상기 탄성시트의 상부표면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저부로 부터 그 상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수단을 그위에 설치하기 위하여 그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지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요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접점부재는 상기 요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키입력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은 상기 탄성시트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단지 상기 신축성 돌기만이 수동으로 눌러지게 부착된 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의 상부표면은 직접 수동으로 눌러지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상부벽과 측벽을 가지며, 상기 상부벽이 상기 측벽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입력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돌기는 저부로부터 그 상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00217A 1990-01-26 1991-01-09 키입력장치 KR930012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1A JPH03222217A (ja) 1990-01-26 1990-01-26 キースイッチ装置
JP2-15101 1990-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792A true KR910014792A (ko) 1991-08-31
KR930012130B1 KR930012130B1 (ko) 1993-12-24

Family

ID=1187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217A KR930012130B1 (ko) 1990-01-26 1991-01-09 키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439176A3 (ko)
JP (1) JPH03222217A (ko)
KR (1) KR930012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8738B2 (ja) * 2004-01-09 2010-01-13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
JP4845666B2 (ja) * 2006-10-10 2011-12-28 三洋電機株式会社 操作釦を具えた電気機器及び該操作釦の取付け方法
KR100925320B1 (ko) * 2006-12-01 2009-11-04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기
JP6237198B2 (ja) * 2013-12-18 2017-11-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リード線のガイド構造、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606008U1 (de) * 1976-02-28 1976-08-26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8740 Bad Neustadt Drucktastenschalter
JPS58115027U (ja) * 1982-02-01 1983-08-05 サンアロ−株式会社 押釦パネル
US4490587A (en) * 1983-04-07 1984-12-25 Microdot Inc. Switch assembly
JPS61140009A (ja) * 1984-12-12 1986-06-27 信越ポリマ−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FR2576450A1 (fr) * 1985-01-22 1986-07-25 Hutchinson Clavier a elements de commande integres et auto-centres par rapport a sa face avant
US4636593A (en) * 1985-03-13 1987-01-13 Motorola Inc. Light conducting, elastomeric membrane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22217A (ja) 1991-10-01
KR930012130B1 (ko) 1993-12-24
EP0439176A3 (en) 1992-05-20
EP0439176A2 (en) 1991-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6355A (en) Keyboard
KR900006479Y1 (ko) 키보드
US4396830A (en) Waterproof keyboard device
JPH0218524B2 (ko)
KR100254532B1 (ko) 박형푸시스위치
KR850001567A (ko) 키이 스위치 구조
GB2100517A (en) Electric push button switch
KR880702024A (ko) 전화기 구조
SE8304665D0 (sv) Tangentmekanism
US3717737A (en) Resilient omnidirectional push-button for an electrical switch
KR970012845A (ko) 로터리 스위치
KR910014792A (ko) 키 입력장치
KR910008540A (ko) 베이스 유닛에 프린트 배선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휴대형 기기
US6166337A (en) Devic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s contacted by depressing a key located at a housing wall which makes an angle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DE59504301D1 (de) Elektrischer Tastschalter
KR200180269Y1 (ko) 셀룰라폰의 키패드
JPH0526654Y2 (ko)
JPS6343709Y2 (ko)
JPS5915377Y2 (ja) 押釦スイツチ
JPH0449796Y2 (ko)
KR840001571Y1 (ko)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
JPH05128938A (ja) キースイツチの構造
KR950004942Y1 (ko) 고무버튼 스위치 장치
KR2004003422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910001812Y1 (ko) 전자악기의 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