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571Y1 -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571Y1
KR840001571Y1 KR2019810007451U KR810007451U KR840001571Y1 KR 840001571 Y1 KR840001571 Y1 KR 840001571Y1 KR 2019810007451 U KR2019810007451 U KR 2019810007451U KR 810007451 U KR810007451 U KR 810007451U KR 840001571 Y1 KR840001571 Y1 KR 840001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ial
circuit board
plat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7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195U (ko
Inventor
백성삼
Original Assignee
국제통신공업주식회사
백성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통신공업주식회사, 백성삼 filed Critical 국제통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10007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571Y1/ko
Publication of KR830002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
제1도는 본 고안 버튼식 다이얼의 해탈 사시도 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얼의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의 원활한 접촉이 되도록 하면서도 회로기판 이면에 설치되는 반도체소자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버튼식 다이얼에 있어서는 여러개의 버튼을 지지하는 상판과 버튼을 안내하는 통공이 천공된 지지체와 베이스 프레이트로 구성되어 베이스 프레이트에는 공통레바와 접점등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므로 조립의 난해성은 물론 조립시간의 낭비와 과다한 부품관리로 인하여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허다 했다.
또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평판면의 상면 돌체에 의해 버튼을 안내하는 다수의 요입부를 단일체로 형성하고, 상기한 평판면의 일측에 설치하는 접동간의 일측상면에 덮개면을 그리고 공통레버의 머리부에 절곡턱을 형성하였고, 평판면의 양변에는 평면귀편을 형성하여 그 지지물에 뚫은 횡공에 감착하도록 된것도 알려져 있다. (실용공고 81-490호 참조).
그러나 상기한 공고에 있어서도 다수의 요입부를 비롯하여 공통레버와 접점부를 나사못등으로 고정해야하며, 또 상기한 접점부 마다 일일히 납땜 연결해야 하므로 조리공정이 더디고 많은 일손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완전해결하도록 개량된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며 고장의 염려가 거의 없고 회로기판 이면에 설치되는 반도체소자를 보호하며, 서어지효과를 방지하는 버튼식 다이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버튼 다이얼을 해탈한 사시도로서 다수개의 버튼(1)을 지지하는 상판(2)은 공지와 같은 것이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상판(2)에 지지된 버튼(1)과 대칭되는 회로기판(3)에는 스위치의 고정접점(4)(4')이 프린트된 위에 합성고무판(6)이 재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합성고무판(6)에는 버튼(1)에 맞추어 철부(凸部)(5)가 다수 형성되며 철부(5)내의 공실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의 합성수지(8)가 부착되어 있으며, 보울트(도시하지 않음)로 회로기판(3)의 구멍(9')(9')을 통해 합성고무판(6)의 철부(5)에 마추어 구멍(10)이 천공된 알루미늄호일(5')이 상판(2)에 체착 하도록 되고 연결쇠(7)을 통해 공지의 엠 에프 씨(MFC) 회로판(8')을 연결하도록 되어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다이얼 코오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전화기용 버튼식 다이얼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로기판(3)에는 미리 접점스위치의 고정접점(4)(4')이 프린트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접동간이나 접점을 일일히 나사에 의해 체착하는 공정이 생략됨으로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뿐 아니라 접동편의 역할을 하는 도전성 합성수지(8)가 합성고무판 (6)에 형성된 철부(5)내의 공실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제2도에도시한바와 같이 버튼(1)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도전성합성수지(8)가 접점(4)과 접점(4')을 연결시켜 주게되고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합성고무판(6)의 철부(5)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면서 버튼(1)을 원위치로 올려놓게 되며, 합성고무판(6)의 철부(5)에 마추어 구멍(10)이 천공된 알루미늄호일(5')이 각철부(5)를 지지하여 서어지전류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도중 종래와 같이 접점과 접점 사이를 일일히 납땜 연결이 없을뿐 아니라 상판(2)과 회로기판(3) 사이에 합성수지판(6)이 협지고정되므로 접점과 접점에 외부공기가 차단되므로 녹이나는 일이 없으며, 또 접촉되는 도전성 합성고무로 인하여 마모될 염려가 없어서 고장없이 사용할수가 있게되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또 회로기판상에 프린트 하는 것이나 합성고무판에 철부를 형성시켜 알루미늄 호일을 씌우고 도전성 합성수지를 붙이는 작업등은 기계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산업적인 가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다수개의 버튼(1)을 지지하는 상판(2)으로 되는 전화기용 푸쉬버튼 다이얼에 있어서, 버튼(1)과 대칭되게 다수의 접점(4)(4')이 프린트 된 회로기판(3)상에 도전성 합성수지(8)를 공실내에 수장한 철부(5)가 다수 형성된 합성고무판(6)과 알루미늄호일(5')이 재치되어 보울트에 의해 상판(2)과 회로기판(3)을 체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푸쉬 버튼식 다이얼.
  2.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철부(5)는 버튼(1) 저면에 대칭되고 철부(5)내의 공실에 붙은 도전성 합성수지(8)가 접점(4)(4')상에 놓여지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푸쉬 버튼식 다이얼.
  3. 청구범위 제1항기재의 회로기판(3)에는 구멍(9')(9')이 천공되어 보울트로 상판에 체착할수 있도록된 전화기용 푸쉬 버튼식 다이얼.
KR2019810007451U 1981-11-05 1981-11-05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 KR840001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7451U KR840001571Y1 (ko) 1981-11-05 1981-11-05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7451U KR840001571Y1 (ko) 1981-11-05 1981-11-05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195U KR830002195U (ko) 1983-11-14
KR840001571Y1 true KR840001571Y1 (ko) 1984-08-20

Family

ID=7247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7451U KR840001571Y1 (ko) 1981-11-05 1981-11-05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5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195U (ko) 198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532B1 (ko) 박형푸시스위치
KR970012845A (ko) 로터리 스위치
KR840001571Y1 (ko) 전화기의 버튼식 다이얼의 개량
MY117851A (en) Switch assembly having jog shuttle function and contact function
JPH0431571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MY116882A (e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contact integrated type terminal
US4091244A (en) Multiple contact switch
JP326691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S61203519A (ja) 照明付押釦スイツチ
JPH0218886Y2 (ko)
US4709389A (en) Telephone hook switch with elastomeric contact member
JPH0231706Y2 (ko)
JPH0722821Y2 (ja) 押釦スイッチ
KR910014792A (ko) 키 입력장치
JPS6123680B2 (ko)
CN210429609U (zh) 一体式摇摆钮结构
GB1444296A (en) Push button switch assembly
JP2776610B2 (ja) 自照式電話機
KR100616227B1 (ko)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메탈 돔 스위치가 실장된 키패드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0121113Y1 (ko) 전화기의 훅크스위치
JPH0132256Y2 (ko)
JPH0120780Y2 (ko)
JPH0635321Y2 (ja) 押釦スイツチ
JPH0427063Y2 (ko)
KR930003868Y1 (ko) 노브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