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091B1 - 라스터 폭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라스터 폭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091B1
KR930012091B1 KR1019850008923A KR850008923A KR930012091B1 KR 930012091 B1 KR930012091 B1 KR 930012091B1 KR 1019850008923 A KR1019850008923 A KR 1019850008923A KR 850008923 A KR850008923 A KR 850008923A KR 930012091 B1 KR930012091 B1 KR 93001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alternating
regulator
coupled
rast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529A (ko
Inventor
프리드리히 빌헬름디츠 볼프강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6000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02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optical-mechanical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3Controlling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스터 폭 조절장치
도면은 라스터 폭 제어로 조절된 고전압 발생기와 조절된 라인 편향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전압 조절기 31 : 수직 포물선 발생기
50 : 고전압 조절기 60 : 라인 편향 조절기
70 : 고전압 발생기 80 : 라인 편향회로
본 발명은 텔레비젼 표시 시스템에서의 라스터 폭 조절에 관한 것이다.
고해상도 비데오 표시 모니터는 컴퓨터 이용 설계 및 컴퓨터 이용 제조 시스템과 같은 컴퓨터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고해상도 표시 시스템에서, 비데오 그래픽이나 다른 정보의 표시 왜곡을 최대한 실질적인 범위로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왜곡의 한가지 소스는 수평 또는 라인 편향 감도에 있어서의 변화로 인한 라스터 폭 왜곡이다. 라인 편향 감도는 표시 모니터에서 화상관의 최종 애노드 전극에 공급되는 얼터(ultor)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하며, 라인 주사 전류의 진폭에 따라 변한다. 전자 빔 라인편향각, 또는 투사각의 크기는 저감하는 얼터 전압과 증가하는 라인 주사 전류 진폭에 따라서 증가한다.
얼터 단자의 빔 전류 로딩은 비데오 신호의 정보 전류의 변화에 따라서 변한다. 밝은 표시영역은 얼터 단자의 증가된 빔 전류 로딩을 발생시키는 반면에, 어두운 표시 영역을 저감된 빔 전류 로딩을 발생시킨다. 얼터 단자의 증가된 빔 전류 로딩은 얼터 출력 전압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전자 빔 라인 편향과 라스터 폭의 크기를 바람직하지 못하게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특성은 표시된 비데오 정보의 왜곡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라스터 폭의 변화를 보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은 고해상도 표시 시스템의 필요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미세한 또는 정확한 라스터 폭 보상 또는 조절을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서, 라스터 폭 조절장치는 제1조절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를 포함한다. 라인 편향 회로는 라인 편향 권선에서 라인 주사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라인 편향 조절기에 결합된다. 주사 전류의 진폭은 제1조절전압에 따라 변한다. 고전압 조절기는 제2조절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어전압에 응답한다. 고전압 발생기는 얼터 단자에서 얼터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고전압 조절기에 결합된다. 얼터 출력 전압의 크기는 제2조절전압에 달려있다. 고전압 제어회로는 얼터 출력전압을 조절하도록 얼터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제1얼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고전압 발생기와 고전압 조절기 사이에서 궤환 선로에 결합된다. 전압발생회로는 얼터 출력전압에서의 파동을 나타내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궤환 선로에 결합된다. 제2제어신호는 라스터 폭 조정을 하기 위하여 제1조절전압을 변화시키도록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부가된 특성에 따르면, 얼터 전압을 발생시키는데 라인 편향 회로를 하기 보다는 오히려, 얼터 전압을 발생시키는 분리된 고전압 발생기를 구비함으로써, 얼터 단자의 빔 전류 로딩으로 라인 편향 회로의 동반하는 직접 로딩을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고전압 발생기와 라인 편향 회로 사이에서 라스터 폭 조절에 바람직하지 못하게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상호작용을 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성에 따르면, 고전압 조절기와 분리된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를 제공함으로써 편향감도 즉, 얼터 전압의 크기와 라인 주사 전류의 진폭을 결정하는 두 계수에 대해 분리적으로 비교적 독립된 제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얼터 출력 전압 파동을 나타내는 제어전압을 리인 전압 조절기에 공급함으로써 주사 전류의 진폭은 정확한 라스터 폭 조절을 제공하도록 변화되어, 고전압 조절기의 작동에 의해 삭제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는 잔여의 얼터 전압 변동을 보상하게 된다.
도면에서, 단일 도면을 본 발명을 구체화 한 라스터 폭 제어로 조절된 고전압 발생기와 조절된 라인 편향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스위칭된 모드 전력 공급 조절기(21)는 조절되지 않은 전압에서부터 조절된 공급 전압을 발생하고, 비데오 표시 모니터에서의 여러 회로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도된 전압 Vum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조절기(21)는 전력을 고전압 발생기(70)와 라인 편향 회로(80)에 제공하기 위하여 조절된 B+전압을 발생한다. 조절기(21)는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수직 편향 및 화상관 구동기 회로와 같은 회로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조절된 전압 V1과, 회로에 설명되지 않은 비데오 처리 회로와 같은 소신호 회로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조절된 공급 전압 V2를 발생한다.
라인 편향 회로(80)는 라인 편향 주파수 4fH로 반복하는 스위칭 신호 S를 제공하는 수평 발진기(28)를 포함하고, 여기서 fH는 예를 들면 15.75MHz와 같은 표준라인 편향 주파수이다. 스위칭 신호 S는 라인 편향 권선 LH에 라인 주사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Q1의 라인율 스위칭을 실행하도록 구동기단(39)에 결합된다. 추가로, 라인 편향 회로(80)는 댐퍼 다이오드 D1과 편향 귀선 커패시터 Cr1을 포함하고, 라인 편향 권선 LH과 직렬로 결합된 S형 도는 귀선 커패시터 Cs를 포함한다.
라인 편향 권선 LH는 플라이백 변압기 T1의 일차 권선 W1을 경유하여 조절된 주사 공급 전압원 Vs에 결합된다. 조절된 주사 공급 전압 Vs는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에 의해 B+전압에서부터 발생된다. 귀선 커패시터 Cs에 발생된 귀선 전압의 평균값은 조절된 주사 공급 전압 Vs의 크기와 실제로 동일하다. 주사전류의 피크대 피크 진폭이 귀선 커패시터 Cs에 의해 발생된 평균 귀선 전압에 비례하므로, 주사전류의 진폭은 조절된 주사공급 전압 Vs의 크기에 의존한다.
라인 편향 권선 LH에 발생된 편향 귀선 펄스 전압은 변압기의 2차 권선 W2에 편향 귀선 펄스 전압 Vr을 발생시키도록 플라이백 변압기 T1의 일차 권선 W1에 인가된다. 귀선 펄스 전압 Vr은 도면에 도해되지 않은 비데오 신호원으로부터 구해진 수평 동기 신호의 경우에서 처럼, 단자 A를 경유하여 수평 발진기(28)에 결합된다. 수평 발진기(28)의 작동은 비데오 신호에서의 화상 내용의 라스터 표시와 라스터 라인 편향을 동기화하도록 제어된다.
발명의 특성에 따르면, 고주파 발생 기능은 라인 편향 기능에서 분리되며, 고전압 발생기(70)는 그 자체의 전력 변압기 T2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력을 화상관 얼토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플라이백 변압기 T1와 라인 편향 회로(80)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추가적으로, 스위칭된 모드 전력 공급 조절기(21)는 수직 편향 및 화상관 구동기 회로와 같은 다른 고전압 모니터 부하 회로용 전력원이다. 따라서, 라인 편향 회로(80)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라스터 라인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귀선 펄스 전압 부하 전류 변조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라인 편향 권선 LH에 의해 발생된 귀선 펄스에 대하여 중대하고도 가변적인 로딩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고전압 발생기(70)는 라인 편향 회로(80)와 동일한 펄스 원리로 작동하는 스위칭 전력원을 포함하여, 고전압 변압기 T2의 1차 권선 Wa의 점이 직힌 단자에서 펄스 전압 Vp를 발생하게 된다. 고전압 Vp는 2차권선 Wb에 의해 승압되고, 전압의 펄스부분은 다이오드(24)에 의해 정류되어 단자 U에서 DC 얼터 출력전압을 발생한다.
펄스전압 Vp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고전압 발생기(70)는 수평 발진기(28)로부터 수평 스위칭 신호 S를 수신하는 구동기(29)에 의해 예를 들면 라인 편향 주파수에서 스위칭되는 출력 스위치 트랜지스터 Q2를 포함한다. 출력 스위칭 트랜지스터 Q2를 병렬화 하는 것은 댐퍼 다이오드 D2와, 편향 귀선 커패시터 Cr1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공진 커패시터 Cr2이다.
고전압 변압기 T2는 플라이백 변환기 모드로 작동되고, 여기서 1차권선 Wa의 인덕턴스는 트랜지스터 Q2가 구동기(29)에 의해 차단될 때 커패시터 Cr2와 공진하여 작동하는 인덕턴스로서 작용한다. 펄스전압 Vp는 권선 Wa와 커패시터 Cr2에 의해 형성된 공진회로의
Figure kpo00001
주기 공진 발진에 의해 발생된다. 공진 발진은 댐퍼 다이오드 D2의 조건에 의해 종료된다. 펄스전압 Vp와 단자 U에서 발생된 얼터 전압은 고전압 변압기 T2의 1차권선 Wa에 결합된 출력단자(23)에서 고전압 조절기(50)에 의해 발생된 조절된 공급전압 Vreg의 크기와 관련된다.
고전압 조절기(50)는 예를 들면 전류 제한 저항 R1을 경유하여 B+단자에 결합된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9의 콜렉터와, 과전류 샘플링 저항 R2와 LC 필터회로(22)를 경유하여 출력단자(23)에 결합된 에미터를 구비한 직렬 통과 조절기를 포함한다.
과전류 제한 트랜지스터 Q5의 베이스 및 에미터 전극은 샘플링 저항 R2의 각각의 끝 단자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5의 콜렉터 전극은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제어 가능한 전류원(30)은 제어 입력단자(51)에서 부터 흐르는 제어신호전류 ic1에 따라서 정상 작동 상태하에서 트랜지스터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직렬 통과 조절 트랜지스터 Q9에 베이스 전류를 제공한다. 제어 가능한 전류원(30)은 전류 미러로서 구성된 트랜지스터 Q3과 Q4를 포함하는데, 전류 미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는 제어단자(51)에 공통으로 결합된다. 전류 미러 트랜지스터 Q4의 콜렉터에서 제어 가능한 전류원(30)의 출력은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9에서의 도전을 제어하기 위한 베이스 전류는 제어 트랜지스터 Q11에 의하여 침작되는 제어전류 ic1의 값에 따라서 제어 가능한 전류원(30)으로부터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제어전류 ic1가 증가하면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에 공급된 전류도 증가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 Q9의 도전이 증가하고, 출력단자(23)에 공급되는 전류의 량도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출력 스위칭 트랜지스터 Q2가 단락회로가 되고 화상관 아크 방전으로 인하여 얼터 단자 U로 부터 과잉 전류가 흐르게 되는 오작동 조건하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이, 과잉 전류가 출력단자(23)에서 부터 변압기 T2의 권선 Wa에 흐르게 된다. 단자(23)로부터 흐르는 과잉전류는 과전류 제한 트랜지스터 Q5를 턴온하기에 충분한 전압을 샘플링 저항 R2에 발생시킨다. 제어 가능한 전류원(30)으로부터 전류는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에서의 도전을 제한하도록 트랜지스터 Q5의 도전에 의해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로부터 침잠 되어서, 단자(23)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량을 제한하게 된다. 제너다이오드 Z1는 직렬통과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 전극과 에미터 전극 사이에 결합되어, 트랜지스터 Q5의 과부하 도전 기간동안 과잉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고전압 조절기(50)가 단자 U에서 얼터 전압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어 트랜지스터 Q11은 예를 들면 단자 U에서 고전압 발생기(70)의 출력은 고전압 조절기(50)의 제어입력단자(51)에 결합하는 부궤환선로에서의 회로소자이다. 궤환 선로의 회로 소자는 얼터 단자 Q11에 결합된 분압기(90)와, 분압기(90)의 접합단자(91)에 결합된 반전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제어 트랜지스터 Q11에 결합된 출력단자를 구비하는 비교기 U2를 포함한다.
작동시에, 궤환 전압 Vf는 비교기 U2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궤환 전압 Vf는 단자 U에 발생되는 얼터 전압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얼터 전압이 증가할 때 궤환 전압 Vf도 증가한다. 비교기 U2의 출력에서 발생된 에러 전압 Ve1이 감소하면 제어 트랜지스터 Q11에서의 도전도 감소한다. 얼터 제어전류 ic1이 감소하면 제어 가능한 전류원(30)에서의 도전도 감소하여, 직렬통과 조절기 트랜지스터 Q9에서의 도전이 감소하게 된다. 조절기 공급전압 Vreg가 감소하면 펄스전압 Vp의 진폭이 감소되어, 얼터 전압을 감소시키고 얼터 전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상한다.
여분의 고전압 조정 전위차계(42)의 와이퍼 암에 발생하는 조정가능한 DC 제어 전압은 얼터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비교기 U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분압기(90)는 각각의 분압소자, 저항(25) 및 저항(26)을 포함하여, 얼터 전압에 대한 DC, 장기간 평균값을 나타내는 궤환 전압 Vf의 DC, 장기간 평균값을 발생한다. 분압기 접합단자(91)는 저항(41)을 경유하여 비교기 U2의 반전입력단자에 DC 결합된다. 따라서, 분압 저항(25), (26)에 의해 전달되는 얼터 전압의 DC, 장기간 평균값에 있어서의 변화는 제어 트랜지스터 Q11의 베이스를 바이어스하는 에러 전압 Ve1에서 DC, 장기간 평균값이 변함에 따라 궤환 선로에서 보존된다. 따라서, 고전압 조절기(50)는 얼터 전압의 DC레벨, 장기간 평균값의 변화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조절된 공급 전압 Vreg를 변화시키고 얼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형태의 라스터 왜곡은 얼터 전압에서의 단기간 파동으로 인한 것이다. 이와 같은 단기간 파동의 지속 시간은 전형적으로 1필드 주기 이하이거나 1수직 편향 사이클 이하이다. 얼터 전압에서의 이와 같은 단기간 파동은 매우 밝은 화상 영역과 매우 어두운 화상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정지 화상 화면을 표시할 때 얼터 단자 U의 빔 전류 로딩시의 단기간 파동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지 화면에 대한 비데오 라인이 1필드내에서 표시되므로, 밝은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라인에서부터 어두운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라인으로 변할 것이다. 비데오 정보의 표시에 있어서 이와 같은 급속한 변화는 1필드 간격동안 빔 전류 로딩과 얼터 전압에서 대응하는 급속한 파동을 발생시킨다. 그결과, 1필드내에서 라스터 라인의 폭은 대응하는 방식으로 파동을 일으켜 표시를 왜곡시킨다.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고전압 조절기(50)는 이와같은 파동을 정정하고, 비교적 일정한 얼터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얼터 출력전압에서의 단기간 파동에도 응답한다. 본 발명에 대한 이와같은 양상을 실행함에 있어서, 분압기(90)는 분압기 접합단자(91)와 얼터 단자 U 사이에 결합된 커패시터(27)를 포함한다. 얼터 전압에 있어서 당기간 파동은 비교적 감쇄되어 단자(91)에 직접 결합되어, 궤환 전압 Vf에서 단기간 파동을 일으키게 된다.
궤환 전압 Vf에서의 단기간 파동은 비교적 U2의 반전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제어 전류 ic1이 얼터 단자 U에서 얼터 전압 파동을 반드시 전부는 아니지만 실제로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비교기의 출력에서 에러전압 Ve1의 성분을 발생하게 된다. 분압기(90)와 관련된 시정수는 비교기 RC의 출력과 비반전 입력단자 사이에 결합된 RC회로(45)의 시정수에 매치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기생 발진 상태로 가지 않고서 안정한 작동을 유지하는 동안 비교기가 단기간 얼터 전압 파동에 응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는 얼터 출력 전압에도 응답하여 얼터 출력전압에 따라 조절된 주사 공급 전압 Vs를 변화시킨다. 라인 편향 조절기(60)는 조절된 B+단자와 조절된 전압 Vs가 발생되는 출력단자(67)사이에서 결합된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10을 포함한다.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10과 그 관련 제어 회로는 고전압 조절기(50)의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9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는 전류 제한 저항 R3, 전류 샘플링 저항 R4, 필터(46), 과전류 제한 트랜지스터 Q8과 관련 제너다이오드 Z2, 그리고 제어가능한 전류원(40)을 포함한다. 전류원(40)은 전류미러 트랜지스터 Q6을 포함하고, 제어단자(62)에서 부터 흐르고 제어 트랜지스터 Q12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신호 ic2에 따라서 베이스 전류를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10에 공급하는 전류 밀러 트랜지스터 Q9을 포함한다. 제어 트랜지스터 Q12에서의 도전은 조절기(60)의 제어 입력단자(61)에서 발생된 제어전압 Vc2에 차례로 응답하는 비교기 U1의 출력에서 발생되는 에러 전압 Ve2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입력단자(61)는 주사 공급 전압 Vs를 조절하는데 이용된 여러 제어신호에 대한 합산점이다. 궤환점 Vf2는 저항 63을 경유하여 제어 입력단자(61)에 인가되어, 일정한 편향 귀선 펄스 진폭을 유지하는 페루프부궤환에 대하여 수평 스위칭 신호 S의 주파수 변화와 스위칭된 모드 전력 공급 조절기(21)에 의해 비정정상태로 유지되는 B+전압에서의 잔여의 리플을 제공하게 된다. 궤환 전압 Vf2는 전류 제한 저항(64)을 경유하여 다이오드(65)에 결합된 다음 커패시터(66)에 의해 여파되는 귀선 펄스 전압 Vr에서부터 얻어진다.
제어 입력단자(61)에 인가된 제2제어전압은 잘 알려진 설계의 수직 포물선 발생기(31)에서 부터 얻어진다. 수직 포물선 발생기(31)는 우선 분압 저항(32), (33)에 의해 진폭이 분리된 후 커패시터(34)에 의해 저항(37)을 경유하여 단자(61)에 AC 결합되는 측면 핀쿠션 정정 전압 Vpin을 공급한다. 비교기 U1의 반전 입력단자를 향한 추가의 DC 바이어스는 +12V 전원에 결합된 분압 저항(35), (36)에 의해 분리된다. 핀쿠션 정정 전압 Vpin은 라스터의 측면 핀쿠션 정정을 이루기 위하여 주사 공급 전압 Vs의 수직율 변화를 일으킨다.
라스터의 수평폭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정 가능한 DC 제어 전압은 전위차계(38)의 와이어 암에서 발생되고, 비교기 U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특성에 따라서,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는 매우 정확한 라스터 폭 보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얼터 출력전압에서의 파동이 응답하도록 만들어진다. 고전압 조절기(50)의 궤환 선로에서의 얼터 궤환 전압 Vf에 대한 루프에 따라서, 다소의 잔여 얼터 전압 에러와 라스터 왜곡은 고전압 조절기(50)에 의해 보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왜곡은 예를들면 이미 설명된 바와같이 단기간 빔 전류 로딩 파동으로 단기간 얼터 전압 파동을 일으키는 곳에서, 고해상도 컴퓨터 그래픽을 표시할때 특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잔여 왜곡을 정정하기 위하여, 고전압 조절기(50)의 비교기 U2의 컴퓨터에서 발생된 에러 전압 Ve1은 가변 저항(43)과 커패시터(44)를 경유하여,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의 합산점인 제어 입력 단자(61)에서 AC 결합된다. 단자 U에서의 얼터 전압에서의 DC 및 장기간 평균값의 변화로 에러 전압 Ve1의 DC 및 장기간 평균값을 발생시킨다. 단기간 얼터 전압 변화로 에러전압 Ve1에서의 대응하는 단기간 AC파동을 일으킨다. 이 단기간 파동은 저항(43)과 커패시터(44)에 의하여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의 제어 입력 단자(61)에 결합된다.
조절된 주사 공급 전압 Vs는 고전압 조절기(50)에 의해 보상되지 않은채로 유지되는 단기간 파동에 의해 발생된 잔여 라스터 왜곡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얼터 전압 파동에 따라 변화된다. 저항(43)과 커패시터(44)와 관련된 시정수는 이러한 단기간 파동을 제어 입력단자(61)에 전달하도록 선택된다. 시정수는 또한 비교기 U1의 출력과 반전 입력 단자 사이에 결합된 RC회로(68)와 관련된 시정수와도 매치된다.
예를들어, 얼터 출력 전압 파동은 얼터 전압을 감소시키는 방향이다. 이와같은 감소로 인하여 라스터폭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에 수반한 얼터 궤환 전압 Vf의 감소는 비교기 U2의 반전 입력 단자에 결합되어 에러 전압 Ve1을 증가시킨다. 에러전압 Ve1의 증가는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의 비교기 U1의 반전단자에 결합되어, 에러 전압 Ve2를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제어전류 ic2가 감소하고,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10의 도전을 감소시킨다.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10의 도전이 감소하면, 조절된 주사 공급 전압 Vs가 감소하고, 따라서 라인 주사 전류의 진폭을 감소시킨다. 라인 주사 전류의 진폭이 감소하면 라스터 라인의 추세에 대한 보상으로서 라스터 라인의 폭을 감소시켜 얼터 전압의 감소와 함께 증가한다.
메카니즘에 대해 추가의 라스터 폭 정정을 하기 위하여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비교기 U1의 입력으로서 고전압 조절기 비교기 U2의 출력을 이용하는 장점은 비교기 U2의 출력단자와 비교기 U1의 입력 단자 사이의 임피던스가 쉽게 매칭되고 적절한 신호 바이어스 레벨이 쉽게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얼터 궤환 전압 Vf를 얻는 또다른 방법은 고전압 변압기 T2의 권선 Wb에서 나타나는 공진 펄스 전압에서 부터 파생되는 촛점 전극 전압에 의한 것이다. 얼터 단자 U상에서의 빔 전류 로딩으로 전체의 고전압 2차 권선 Wb에 발생되는 바와같이 탭 단자 F에서 동일 형태의 펄스 전압의 링잉(ringing)과 다른 파형 왜곡을 발생시킬 경우, 촛점 전극 전압을 발생시키는 권선 Wb에서의 펄스 전압은 궤환 전압 Vf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될 것이다.
얼터 단자 U에 결합된 전압 단자(91)로 부터 얻어지는 얼터 궤환 전압 Vf와 같은 얼터 전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얼터 감지 전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지 전압은 얼터 전압 파동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며,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가 이러한 파동을 직접 흘려 보낼 수 있게 이용될 것이다.
라인 주사 전류의 진폭이 얼터 전압에서의 파동을 추적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이와같은 직접 표시 감지 전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적은 일정한 편향 감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얼터 전압에서 비교적 작은 파동 즉, δU를 발생시키려면 라인 주사 전류의 진폭의 변화 δIp는 일정한 편향감도를 유지하도록 얼터 전압 파동 δU에 직접적으로 비례해야만 한다. 얼터 궤환 전압 Vf에서의 변화는 얼터 전압 파동에 대해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궤환 전압 Vf는 라인 편향 조절기(60)에 의해 이용되도록 양호한 감지 신호를 제공하여, 라인 주사 전류의 진폭에서 요구되는 변화 δIp를 발생하도록 주사 공급 전압 Vs에서 필요한 변화를 발생하는 것이다.
얼터 전압 U의 파동을 간접적으로 표시하도록 고전압 권선 Wb의 전류 선로에서 샘플링 저항을 이용하면, 샘플링 저항에서의 전압 변화와 얼터 전압 파동 δU사이의 추적이 부적절하므로 만족스러운 표시를 하지 못한다. 이러한 부적절한 상황은 얼터 커패시턴스에 의한 부적절한 여파의 가능성을 갖는 고전압 권선 Wb에서의 다수의 권선에 의해 부족한 인덕턴스가 형성됨으로써 얼터 전압이 샘플링 저항에서의 전류 변화와 다른 방식으로 변하게 하는 내부 발생기 임피던스에 일부 기인한 것이다.

Claims (12)

  1. 제1조절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를 포함하는 라스터 폭 조절 장치에 있어서, 주사 전류의 진폭이 상기 제1조절 전압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라인 편향 권선(LH)에 라인 주사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에 결합된 라인 편향 회로(80)와, 제2조절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고전압 조절기(50)와, 얼터 출력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2조절 전압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얼터 단자(U)에 얼터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전압 조절기(50)에 결합된 고전압 조절기(70)와, 상기 얼터 출력전압을 조절하도록 얼터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상기 고전압 조절기용 제1얼터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고전압 조절기(70)와 상기 고전압 조절기(50)사이에서 궤환 선로에 결합된 수단(U2,Q11)과, 라스터 폭 조절기를 제공하기 위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조절전압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얼터 출력 전압에서의 파동을 나타내는 상기 라인 편향 전압조절기(60)용 제2얼터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궤환 선로에 결합된 수단(43),(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얼터 제어 신호는 상기 고전압 조절기(50)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얼터 출력 전압 파동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얼터 제어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고전압 조절기(50)의 제어 입력에 결합된 출력(Ve1)을 구비하고 상기 얼터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궤환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을 구비하는 비교기(U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접합 단자(91)에서 상기 궤환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얼터 단자(U)에 결합된 저항성 분압기(25),(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터 출력전압에서 상기 비교기(U2)가 비교적 급속한 파동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얼터 단자(U)와 상기 접합 단자(91)에 결합된 커패시터(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얼터 제어신호 발생 수단(43),(44)은 상기 제2얼터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기(U2)의 출력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접합 단자(91)에서 상기 궤환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얼터 단자(U)에 결합된 분압기(25),(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조절되지 않은 입력전압으로부터 조절된 공급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3전압 조절기(21)를 구비하며, 상기 라인 편향(60) 고전압(50)조절기가 상기 제3전압 조절기(21)로부터 각각 조절된 전압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70)는 고전압 변압기(T2)의 제1권선(Wa)에 결합된 스위칭수단(Q9)을 포함하고, 상기 얼터 출력 전압은 상기 변압기(T2)의 제2권선(Wb)에 발생된 전압으로 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편향 회로(90)는 상기 라인 편향 권선(LH)에 의하여 발생된 귀선 펄스전압을 갖는 제2변압기(T1)를 경유하여 상기 라인 편향 조절기(6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조절된 귀선 펄스 전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조절 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귀선 펄스 전압의 진폭을 나타내는 상기 라인 편향 조절기(60)용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64),(65),(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측면 핀쿠션 정정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조절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라인 편향 전압 조절기(60)용 수직율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직율 신호 발생기(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스터 폭 조절 장치.
KR1019850008923A 1984-11-30 1985-11-29 라스터 폭 조절장치 KR930012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6947 1984-11-30
US06/676,947 US4559481A (en) 1984-11-30 1984-11-30 Raster width regulation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529A KR860004529A (ko) 1986-06-23
KR930012091B1 true KR930012091B1 (ko) 1993-12-23

Family

ID=2471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923A KR930012091B1 (ko) 1984-11-30 1985-11-29 라스터 폭 조절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559481A (ko)
EP (1) EP0183515B1 (ko)
JP (2) JP2641190B2 (ko)
KR (1) KR930012091B1 (ko)
CA (1) CA1237531A (ko)
DD (1) DD239312A5 (ko)
DE (1) DE3583282D1 (ko)
HK (1) HK723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2852A (en) * 1986-06-25 1987-09-08 Rca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raster width stabilization
US4677350A (en) * 1986-08-18 1987-06-30 Rca Corporation Raster width correction apparatus for multi scan frequency monitors
JPH01316071A (ja) * 1988-06-15 1989-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回路
JP2881786B2 (ja) * 1988-12-13 1999-04-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歪補正回路
US5034667A (en) * 1990-04-13 1991-07-2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Raster size regulating circuit
GB2272617B (en) * 1992-07-13 1996-01-10 Eldon Technology Ltd Stabilization of EHT voltage and horizontal scan for magnetic deflection cathode ray tube circuits
EP0626669A3 (en) * 1993-05-26 1998-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flection apparatus for raster scanned CRT displays
US5463290A (en) * 1994-05-02 1995-10-3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ower supply stabilization circuit with separate AC/DC negative feedback paths
JPH09139857A (ja) * 1995-11-15 1997-05-27 Nanao:Kk ブラウン管からの電界輻射を抑制する装置
JP3510058B2 (ja) * 1996-10-07 2004-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偏向装置
KR200156829Y1 (ko) * 1997-05-17 1999-09-01 구자홍 플라이백 트랜스의 일체형 보빈구조
US5982641A (en) * 1998-08-07 1999-11-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High-voltage power supply for video display apparatus
US6009006A (en) * 1998-08-07 1999-12-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ynchronized high voltage generator
JP2004064357A (ja) * 2002-07-26 2004-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661A (en) * 1975-02-10 1976-02-24 Rca Corporation Deflection system with overscan protection
JPS57151062U (ko) * 1981-03-17 1982-09-22
US4414494A (en) * 1981-04-06 1983-11-08 Electrohome Limited Regulation of the scan width of a raster scanned CRT deflection system
GB8331283D0 (en) * 1983-11-23 1983-12-29 Rca Corp E-w correction by yoke sink current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83282D1 (de) 1991-07-25
EP0183515A2 (en) 1986-06-04
EP0183515B1 (en) 1991-06-19
DD239312A5 (de) 1986-09-17
EP0183515A3 (en) 1988-06-01
US4559481A (en) 1985-12-17
HK72396A (en) 1996-05-03
JPH09168102A (ja) 1997-06-24
CA1237531A (en) 1988-05-31
JPS61142869A (ja) 1986-06-30
JP2641190B2 (ja) 1997-08-13
KR860004529A (ko) 1986-06-23
JP2823844B2 (ja) 199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2091B1 (ko) 라스터 폭 조절장치
KR100229969B1 (ko)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사이즈조절장치
US4104567A (en) Television raster width regulation circuit
KR100211621B1 (ko) 비디오 장치의 고전압 전원
US5357175A (en) Deflection and high voltage circuit
KR960007263B1 (ko) 수평 폭 정정 장치
KR91000943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US4675581A (en) Raster positioning circuit for a deflection system
EP0384293B1 (en) Audio loading modulated side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GB2135859A (en) Picture size control circuit
US4101815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with high voltage selection capability
JP2000069314A (ja) ビデオ表示装置用高電圧電源
JPH0683383B2 (ja) 水平偏向・高圧回路
JP3265390B2 (ja) Crt用高圧発生回路
GB2141883A (en) A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KR0137275B1 (ko) 텔레비젼 편향 장치
KR920004104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부하 보상회로
JP2606866B2 (ja) 水平偏向回路
KR820001090B1 (ko) 텔레비젼 라스터폭 조정회로
KR19990067063A (ko) 라인 에스-보정을 수행하는 다이오드 변조기
JPS6012873A (ja) テレビジヨン受信機の黒レベル補正回路
GB2273427A (en) Power supply
JPS635950B2 (ko)
JPH0955864A (ja) 高圧レギュレーション補正回路
JPS62183682A (ja) 映像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