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432B1 -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432B1
KR910009432B1 KR1019830006003A KR830006003A KR910009432B1 KR 910009432 B1 KR910009432 B1 KR 910009432B1 KR 1019830006003 A KR1019830006003 A KR 1019830006003A KR 830006003 A KR830006003 A KR 830006003A KR 910009432 B1 KR910009432 B1 KR 910009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ad circuit
television receiver
source
voltag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492A (ko
Inventor
빈센트 피츠제럴드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전 수상기용 전력원
전력원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일부분에 대한 개략적 블록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 전원 11 : 브릿지 정류기
14 : 1차권선 15 : 변압기
34 : 1차권선 35 : 고전압변압기
46 : 고전압 권선 52 : 조절장치 제어회로
59 : 분압기 69 : 피크 검출기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출력 회로부하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어되는 조정된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전력원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 전력원은 전력원으로부터 동력 공급된 부하회로를 신뢰할 수 있게 작동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정확히 조정된 전압을 제공해야 한다. 부하회로 공급 전압에 있어서 제어되지 않은 변동으로 인하여 재생된 텔레비젼 영상 신호가 왜곡된다.
한 형태의 전력원은 스위치에 의해 교류 주전력원으로부터 유도된 제어되지 않은 전압원으로 연결되는 1차권선을 구비하는 변압기를 포함한다. 조정되지 않은 전력원으로부터 1차권선을 통과하는 전류를 수평 편향율 간격으로 전도시킴으로써 유도전압은 여러 가지의 수상기 부하회로용 공급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정류되어 여파된다. 2차 혹은 부하회로의 전압 레벨은 조정되어 2차전압을 일정한 조정된 레벨로 유지하도록 1차권선의 전도간격을 제어하기 위해 1차권선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부하회로 전압의 조정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필요사항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조건하에서 특정 수상기 동작상태에 응답하여 부하회로 공급 전압에 대한 하나이상의 레벨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재생된 화면의 휘도가 증가하거나 수상기 휘도 제어가 위도를 증가시키도록 조정되면 주사 전자빔 회로가 증가된다. 전자빔 전류가 증가됨으로써 애노드 전위를 키네스코프에 제공하는 고전압 권선에 있어서의 전류 흐름이 증가된다. 전류 흐름이 증가됨으로써 변압기 누설 인덕턴스로 인하여 권선에서의 손실이 일어나고 정류다이오드의 저항성 소실이 일어나며 이에 의해 고전압 레벨이 감소된다.
고전압이나 전자빔 가속 전위가 감소됨으로써 전자빔이 전자총과 키네스코프 표시화면사이의 거리에서 더 느린 비율로 횡단한다. 편향 자계 특히, 수평 편향 자계는 더 긴 시간동안 각각의 전자에 작용하여 주사된 라스터의 크기가 증가된다. 프로그램 물질이 화면 휘도를 갑자기 변경시키면 화상의 크기가 현저하게 방해하는 방식으로 변한다. 따라서 편향 회로 공급 전압을 감소시켜 증가된 빔회로에 응답하여 주사된 라스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좋다.
이 문제점에 대한 한가지 해결책으로는 빔 전류가 증가할 때 편향 회로 전원의 조절된 전압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전압 조정장치의 제어회로에 빔전류 정보 궤환 선로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다른 수상기 회로 전원 전압이 감소하게 하여 이와같은 전원에 부가의 전압 조절 회로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수상기의 가격과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또다른 해결책으로는 전력변압기의 1차권선 및 조절된 B+전원과 직렬로 저항을 사용하는 것이다. 빈전류의 증가는 B+전원에 가해져서 1차권선의 전류 흐름을 증가시키고 저항에서의 전압강하를 야기시키며 결국 조절된 B+전압 레벨을 감소시킨다. 이 해결책은 수상기의 전력손실을 바람직하지 못하게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다른 부하회로의 전압원과의 바람직하지 못한 상호작용을 유발시키지 않으며 수상기의 전력손실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고전압의 감소에 응답하여 편향 회로 전원전압을 감소시키는 전력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비젼 수상기는 다수의 부하회로 전압원을 제공하는 전력원을 통합한다. 전원 가운데 하나는 증가하는 빔전류에 응답하여 레벨이 감소되기 쉬운 고전압을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편향 회로는 고전압 발생 전원에 의해 활성화되며, 편향 회로 전원 전압의 평균 직류 레벨에 의해 결정되는 편향 회로 레벨로 하나이상의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회로를 제공한다. 감지된 전압 레벨에 응답하는 제어회로는 전압원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전력원의 작동을 제어한다. 고전압 발생 및 편향 회로 공급전압은 전원 전압의 피크레벨을 나타내는 제어회로에 전압을 제공하는 피크 검출기 회로에 의해 감지된다. 편향 회로 공급전압은 평균직류 레벨은 전자빔 편향 회로에 고전압 레벨의 감소를 보상해 주기위해 증가된 빔 전류에 응답하여 감소된다.
도면에 도시된, 회로에 대한 동작전력은 조절되지 않은 직류 전류를 단자(13)에 발생시키기 위해 브릿지 정류기(11) 및 필터 커패시터(12)에 연결되는 교류 주 전원(10)으로부터 제공된다. 이 조절되지 않은 전압은 전력변압기(15)의 1차권선(4)의 한단자에 인가된다. 1차권선(14)의 다른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6) 및 스너버 회로(17)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16)가 전도됨으로써 조절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1차권선(14)에 흐르게 된다. 이 전류가 흐름으로써 에너지는 트랜지스터(16)가 비전도성으로 될 때 변환기(15)의 2차권선(20), (21), (22), (23)에 전달되는 권선(14)의 인덕턴스에 저장된다. 1차권선(14)과 2차권선 사이의 불완전한 자기 결합으로 인하여 다소간의 에너지가 1차권선(14)에 남게된다. 이 에너지는 다이오드(24), 커패시터(25) 및 저항(26)을 포함하는 스너버 회로(17)에 의해 소모되며 이에의해 트랜지스터(16)를 손상을 입히는 전압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다중탭형 단일 권선의 권선 세그먼트와 같은 2차권선(20), (21), (22), (23)에 전달되는 에너지는 여러 가지 수상기의 부하회로에 사용되는 직류전압원을 제공하기 위해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에 의해 정류되고 여파되는 각 권선의 전압을 구비한다. 예를들어, 권선(20)은 단자(30)에 약 127V 가량의 전압을 제공하고, 권선(21)은 단자(31)에 약 +24V 가량의 전압을 제공하며, 권선(23)은 단자(33)에 약 -16.5V가량의 전압을 제공한다.
단자(30)의 127V전압은 고전압 변압기(35)의 1차권선(34)을 경유하여 수평 편향 회로(36)에 인가된다. 수평 출력 스위칭 트랜지스터(37), 권선 커패시터(40), 댐퍼다이오드(41), 수평 편향 요크권선(42) 및 S형 커패시터(43)를 포함하는 수평 편향 회로(36)는 편향요크권선(42)에 수평 편향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편향회로는 텔레비젼 키네스코프(도시안됨)의 요크상에 위치하는 편향요크권선(42)의 근방에 시변 자계를 발생시킨다. 이 사변자계는 키네스코프 전자빔의 요구된 편향이나 주사를 발생시키도록 작용한다.
수평 출력 스위칭 트랜지스터(37)의 동작은 수평 구동회로(44)로부터 베이스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수평구동회로(44)는 127V전원에서 전력공급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트랜지스터(37)로 향하는 스위칭신호에 대한 적절한 타이밍은 +16.5V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되는 것으로 도시된 수평발진기(45)에 의해 제공된다.
고전압 변압기(35)의 1차권선(34)을 통과하는 주기적인 전류의 흐름은 고전압 권선(46)에 전압을 유기시키며, 고전압 권선(46)은 키네스코프의 고전압 단자(도시안됨)에 인가되는 단자(47)에 약 25KV가량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단자(51)에 약 +230V가량의 직류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조합된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에 의해 정류되어 여파되는 고전압 변압기(35)의 2차권선(50)에도 전압이 유기되는데 단자(51)의 전압은 키네스코프의 전자빔 구동회로(도시 안됨)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용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16)의 전도시간을 제어하고 따라서 1차권선(41)의 출적에너지량을 제어함으로써 2차권선(20), (21), (22), (23)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은 제어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매츄시타 일렉트릭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되는 집적회로 AN5900과 같은 조절장치 제어회로(53)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제어회로(52)는 하나이상의 공급전압을 감지하고 구동회로(53)를 경유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16)의 베이스에 펄스폭 변조형 구동신호를 발생시킨다. 조절장치 제어회로(52)로 향하는 감지 전압은 키네스코프의 고전압 발생용으로 이용되고 수평 편향 회로(36)에 전류공급하는데 이용되는 상기 127V의 전원으로부터 유도된다. 구동회로(53)는 수상기를 외부프로그램원 및 재생성분과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수상기 부하회로와 교류주전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키네스코프 전자빔 전류가 증가할 때 즉, 수상기의 휘도제어가 증가되거나 혹은 화상 감지 휘도가 증가할 때 키네스코프의 애노드를 치는 전자의 수효가 증가한다. 이와같은 전자에 대한 전류선로는 고전압 권선(46)을 통과한다. 이와같은 전류의 흐름이 증가함으로써 누설 인덕턴스 및 저항손실로 인해 권선(46)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증가하고 결국 고전압 레벨이 감소하여 키네스코프 전자빔에 대한 낮은 가속 전위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전자는 화면에 도달하는데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하며 결국 주어진 편향자계 강도에 대해 주사영역이 더 넓어진다. 편향자계 즉, 편향전류에 대한 보상이 제공되지 않으면 키네스코프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라스터는 휘도레벨의 변화에 응답하여 바람직하게 못하게 증가되고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난다.
고전압 권선(46)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의 증가가 1차권선(34)에서의 전류흐름의 상응하는 증가를 필요로 하는 1차권선(34)에 다시 반영된다. 전류의 증가는 127V전원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키네스코프의 빔 전류가 증가함으로써 단자(30)에서의 정류되고 여파된 전압의 교류 리플 성분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27V전원으로부터 조절장치 제어회로(52)까지의 감지궤환 선로는 127V전원으로부터 파생된 피크전압의 피크레벨을 감지하고 이 전압을 조절장치 제어회로(52)에 인가하는 다이오드(55) 및 커패시터(62)를 포함하는 피크 검출기(69)를 통합한다. +127V전원에 있어서의 교류 리플 크기가 필터 커패시터(54)이 값에 따라 결정되므로 커패시터(54)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 효과가 요구된 방법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빔 전류가 예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때 적절한 량의 교류 리플이 발생되도록 선택된다.
감지 궤환 선로에 저항(60)과 병렬연결저항(61), (63), (64), (65)를 포함하는 분압기(59)는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한 기능으로는 조절장치 제어회로(52)에 의해 조절되는 입력전압의 정확한 레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분압기(59)는 +127V 전압원단자(30)로부터 피크 검출기(69)에 공급되는 감지전원의 진폭을 저전압 커패시터(62)만이 필요하도록 충분히 낮은 레벨로 감소된다. 피크 검출 다이오드(55) 및 커패시터(62)가 분압기(59)앞에 위치한다면 고전압 정격 커패시터가 필요하다. 분압기(59)는 피크 검출기(69)의 커패시터(62)와도 연관되어 작용하여 전압 조절루프의 응답시간을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커패시터(62)의 값은 -127V전원의 리플 성분에 대한 피크값 검출을 위한 값과, 정상 전압 조절을 위한 빠른 응답 시간에 대해 필요한 값사이의 절충값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병렬 연결된 저항(61), (63), (64), (65)의 값은 하나이상의 저항이 감지된 저항을 설정하도록 이동하여 단자(30)에서의 공급전압을 요구된 레벨 즉, 127V로 조절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AN5900이라고 하는 집적회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되며 다이오드(55)의 캐소드는 이 집적회로의 핀(2)에 연결된다. AN5900 집적회로(1)에 인가된 기준 전압을 필요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준전압은 저항(71), 커패시터(72)에 의해 접지로 바이패스되는 6.2V 제너다이오드(70)를 경유하여 +16.5V 전원으로부터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커패시터(62)는 기준전압단자의 핀(1)으로 복귀되어야 한다. 저항(73)은 커패시터(62)에 대한 방전선로를 제공하고 시작동작을 돕기 위해 조절장치의 제어회로(52)의 핀(1), (2) 사이에 연결된다.
조절장치 제어회로(52)는 127V 전원의 피크전압을 127V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증가된 빔 전류로 인하여 127V 전원전압의 교류 리플 전압이 증가함으로써 전원전압의 평균직류값이 약 124V가량으로 약간 감소되어 결국 수평 편향 회로(36)에 대한 직류 공급 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공급 전압이 감소함으로써 편향 회로(36)에 의해 발생되는 편향 회로 진폭이 감소되고 따라서 전자빔의 편향크기가 감소되며 이에 의해 상기 고전압 레벨 감소를 보상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전자빔 주사가 고전압 레벨의 변화보다 127V의 공급전압 변화에 더욱 민감하므로 B+공급전압의 평균값의 감소로 인해 고전압 레벨이 감소함으로써 어떤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야기시키지 않는다. 변압기(15)의 2차 부하회로 전압원과 조합된 필터 및 커패시터에 대한 커패시터값을 적절히 선택하면 조절된 127V의 전원에 있어서의 교류 리플의 증가로 인해 이와같은 공급 전압 레벨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바뀌는 것이 방지된다. 이 레벨은 조절되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전자 빔 전류가 변할 때 변환기(15)의 2차전압원의 전압공급 레벨은 실제로 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화상관 아킹(arcing)과 같은 과다한 공급부하 상태하에서의 수상기를 보호한다. 이와같은 상태하에서 평균직류 공급 전압은 상당히 감소하고 이에 의해 수평출력 트랜지스터와 같은 수상기 성분에 미치는 전기적 압박을 감소시킨다.

Claims (12)

  1. 부하 회로 전압원 가운데 한 전압원으로부터 고전압 레벨을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부화회로 전압원을 제공하기 위해 텔레비젼 수상기에 통합된 수단으로서, 상기 고전압 레벨은 수상기의 동작 특성에 응답하여 감소되기 쉽고 상기 수상기 동작 특성은 상기 부하회로 전압원 가운데 하나의 전압레벨에세의 교류 리플 성분을 증가시키며, 상기 수상기는 상기 전류레벨이 상기 회로전압 중 하나의 평균직류 전압 레벨에 의해 결정될 때 전자빔 편향회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부하회로 전압원의 가운데 하나에 의해 에너지 공급되는 편향회로와, 상기 전압원의 전압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부하회로 전압원 가운데 하나를 상기 제어수단에 결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텔레비젼 수상기 전력원에 있어서, 검출수단(69)은 상기 부하회로 전압원의 상기 한가지 전압(+127V)에 대한 피크레벨을 표시하는 상기 제어수단(52)에 한가지 전압레벨을 제공하여 상기 부하회로 전압원의 평균 직류 레벨이 상기 교류 리플 성분에 응답하여 감소하여 상기 고전압 레벨 감소에 대해 상기 전자빔 편향회로를 보상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부하회로 전압 공급수단은 교류공급 전압원(10)과, 조절되지 않은 직류전압원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교류 공급 전압에 결합되는 수단(11)과, 상기 조절되지 않은 직류 전압원(11) 및 상기 제어수단(52)에 연결된 1차권선(14)과 하나이상의 2차권선(20)을 포함하는 1차변압기(15)와, 하나이상의 부하회로 전압 공급용 상기 1차변압기의 상기 2차권선에 연결되는 수단(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15)는 상기 교류 공급전압원(10)과 상기 부하 회로 전압원(+127V)사이에 전기적 절연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하회로 전압원(+127V)은 수평 편향회로 전압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이상의 부하회로 전압공급수단은 상기 부하회로 전압원(+127V)에 연결되는 1차권선(34)과 하나이상의 2차권선(46)을 갖춘 2차변압기(25)와, 하나이상의 부가회로 전압 공급용 상기 2차변압기(35)의 2차권선(46)에 연결된 수단(단자(47)에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가 부하회로 전압원은 키네스코프 고전압원(+25V)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절되지 않은 직류 전압원(11)으로부터 상기 제1변압기(15)의 1차권선(14)을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펄스폭 변조회로(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69)은 상기 하나의 부하 회로 전압원(+127V)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52)으로 전류를 전도시키는 극을 띤 다이오드(55)와, 상기 다이오드와 상기 제어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단자로부터 기준 전원점(다이오드(70)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캐패시터(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기의 동작 특성은 전자빔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하 회로 전압원(+127V)을 상기 제어수단(52)에 결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전압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수단(52)에 공급되는 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분압기(5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압기(59)는 다수의 저항(61), (63), (64), (65)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이상의 저항이 상기 제어수단(52)으로의 전기적 연결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함으로써 상기 전압원의 전압 레벨 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69)은 상기 분압기(59)와 상기 제어수단(52)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KR1019830006003A 1982-12-21 1983-12-19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KR910009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190482A 1982-12-21 1982-12-21
US451,904 1982-12-21
US451904 1982-12-21
US480,514 1983-03-30
US06/480,514 US4525739A (en) 1982-12-21 1983-03-30 Television receiver power supply regulation responding to beam current changes
US480514 1983-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492A KR840007492A (ko) 1984-12-07
KR910009432B1 true KR910009432B1 (ko) 1991-11-15

Family

ID=2703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003A KR910009432B1 (ko) 1982-12-21 1983-12-19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525739A (ko)
KR (1) KR910009432B1 (ko)
CA (1) CA1213366A (ko)
DE (1) DE3346203C2 (ko)
FR (1) FR2538201B1 (ko)
GB (1) GB2132392B (ko)
HK (1) HK54789A (ko)
IT (1) IT11736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1748A (en) * 1984-11-09 1987-04-28 Spacelabs, Inc. Power supply for deflection circuit
US4658342A (en) * 1985-10-31 1987-04-14 Rca Corporation Dual feedback switching power supply regulator for isolated chassis
US5034666A (en) * 1990-04-13 1991-07-2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ower supply for an electrode of a CRT
DE4101504A1 (de) * 1991-01-19 1992-07-23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 zur zeilenablenkung und hochspannungserzeugung in einem fernsehempfaenger
FR2742954A1 (fr) * 1995-12-20 1997-06-27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d'affichage d'images sur un tube ecran, muni d'une alimentation a decoupage auto-oscillante
US5982641A (en) * 1998-08-07 1999-11-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High-voltage power supply for video display apparatus
US6009006A (en) * 1998-08-07 1999-12-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ynchronized high voltage generator
CN105451941B (zh) 2013-08-02 2018-05-25 株式会社牧田 集尘器
TWI715387B (zh) * 2019-12-30 2021-01-01 宏碁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驅動電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8739A (en) * 1976-02-20 1978-10-03 Hitachi, Ltd. Switching regulator for television receiver for generating a stabilized D.C. supply voltage for operating the various TV circuits
US4104567A (en) * 1977-01-24 1978-08-01 Rca Corporation Television raster width regulation circuit
US4302803A (en) * 1980-01-16 1981-11-24 Sperry Corporation Rectifier-converter power supply with multi-channel flyback inverter
US4298829A (en) * 1980-02-08 1981-11-03 Rca Corporation Power supply and deflection circuit with raster size compen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38201A1 (fr) 1984-06-22
IT8324284A1 (it) 1985-06-20
DE3346203A1 (de) 1984-06-28
HK54789A (en) 1989-07-14
IT8324284A0 (it) 1983-12-20
FR2538201B1 (fr) 1989-10-13
GB2132392A (en) 1984-07-04
GB8333727D0 (en) 1984-01-25
US4525739A (en) 1985-06-25
DE3346203C2 (de) 1986-05-07
GB2132392B (en) 1986-04-16
IT1173690B (it) 1987-06-24
KR840007492A (ko) 1984-12-07
CA1213366A (en) 198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43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KR940005224B1 (ko) 비디오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EP0183515A2 (en) Raster width regulation circuit
EP0414184A2 (en) High voltage regulator circuit for picture tube
JPH0234034B2 (ko)
KR100808072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KR100669952B1 (ko) 영상 표시 장치용 고전압 전원
US4645989A (en) Frequency switching circuit for multiple scan rate video display apparatus
US4910441A (en) Audio loading modulated side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EP0313391B1 (en) High voltage power supply for video apparatus
US5952795A (en) Stabilized high voltage generation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display apparatus
JP2547202B2 (ja) ビデオ表示装置の外部負荷回路用電源装置
KR19990083442A (ko) 편향고압일체형전원장치
WO1983001883A1 (en) Remote responsive television receiver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GB2152337A (en) Television deflection circuit with raster width stabilization
US4398133A (en) High frequency computer terminal power supply with isolation
US4377775A (en) Television receiver ferroresonant power supply disabling circuit
US4209732A (en) Regulated deflection circuit
KR100364735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밝기에 따른 고압 출력부 제어 회로
EP0319011B1 (en) High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for television equipment
JPS635950B2 (ko)
KR920007328Y1 (ko) 고압 안정화 회로
KR0158556B1 (ko) 파워 및 고압발생회로
JP3459052B2 (ja) 直流電源装置
KR920004066Y1 (ko) 고압 안정화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