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28Y1 - 고압 안정화 회로 - Google Patents

고압 안정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28Y1
KR920007328Y1 KR2019900006881U KR900006881U KR920007328Y1 KR 920007328 Y1 KR920007328 Y1 KR 920007328Y1 KR 2019900006881 U KR2019900006881 U KR 2019900006881U KR 900006881 U KR900006881 U KR 900006881U KR 920007328 Y1 KR920007328 Y1 KR 920007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high voltage
voltage
fb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244U (ko
Inventor
정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6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328Y1/ko
Publication of KR910021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2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압 안정화 회로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제어부 20 : 연산증폭부
30 : 펄스주파수변조부 40 : 고압변동제어부
45 : 제2권선 50 : FBT
본 고안은 고압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TV세트 및 모니터 세트에 고압을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고압발생장치의 주요특성중에 하나인 고압변동을 개선하기 위한 고압 안정화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를 사용하는 TV세트 및 모니터세트는 CRT의 동작을 위해 고압을 필요로 하며, 이는 특히 FBT로서 고압을 공급해주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많은 정보를 수록하기 위하여 화면이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같은 추세의 대형화면, 대형 CRT에서는 수평출력 주파수의 상승 및 부하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변동의 안정화등을 이유로하여, 또 세트 설계시마다 달라지는 회로의 제반 정수변동에 의한 FBT의 설계변경등을 이유로하여, FBT보다는 고압변동이 극히 적고 안정화 되어 있으며 수평출력 주파수의 상승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압 전원장치가 개발되는 추세이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구성된 종래의 고압 전원장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집적회로(PFM IC)와 연산증폭기(OP AMP)를 사용하여 부하변동에 따른 고압의 변화를 연산증폭기가 비교하여 이것을 펄스 주파수 변조 집적회로에 피드백(Feed back)시켜 구동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고압 안정화를 도모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고압전원장치는 고압트랜스에 인가되는 구동주파수가 부하전류 최대시(통상 1mA기준)18-20KHz이고, 무부하시 주파수는 30-32KHz이므로, 무려 주파수차가 10-12KHz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압트랜스의 주파수 변동에 따른 고조파 매칭상태가 변하게 되어서, 비록 연산증폭기를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고압을 안정화시킨다 하더라도 고압변동이 200V-300V정도로 높게 되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최대부하시와 무부하시의 고압변동폭(200-300V)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고압안정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는 통상의 FBT에 전압변동폭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트랜스를 장착하고, 최대부하시와 무부하시의 고압변동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상기 부가 트랜스를 제어 함으로써 고압변동을 보상하는 고압변동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은 본고안의 고압안정화 회로도로서, 전원 입력단(1)에 전원제어부(10)와 FBT(50)의 1차측의 제1권선(N1)일측을 연결하고, 상리 제1권선(N1)의 타측은 상기 전원제어부(10)에 연결하며, 상기 전원제어부(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부하변동에 따른 고압의 변화를 비교증폭하는 연산증폭부(20)와, 상기 연산증폭기(20)에 의해 비교증폭된 신호를 받아 이에 따라 펄스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상기 전원제어부(10)를 통해 전압을 조절하는 펄스주파수 변조부(30)와 상기 펄스주파수 변조부(30)와 전원제어부(10)에 의해, 최대부하시와 무부하시 고압변동을 검출한 후 이를 제어하여 FBT(50)의 고압변동을 보상해주는 고압변동 제어부(40)와, 상기 FBT(50)의 일측에 연결한 제2권선(45)과, 상기 FBT(50)의 2차측은 다이오드를 통해 CRT의 애노드 단자(2)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하 이들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무부하시, 즉 상기 CRT의 애노드단자(2)에 연결된 부하(CRT)가 동작하지 않을시 이는 연산증폭부(20)의 비고증폭기가 검출하여 펄스 주파수 변조부(3)를 통해 고압 변동제어부(40)의 저항(R2)을 거쳐 트랜지스터(Q2)베이스에 하이신호을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고, 상기 오프된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는 로우신호가 나타나므로 이 에미터에 베이스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1)도 상기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콜렉터에 다이오드와 저항을 통해 상기 FBT(50)의 1차측 제2권선에 연결되어 있는 전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전압변동은 발생되지 못한다.
한편, 최대부하시, 즉, 상기 CRT의 애노드단자(2)에 연결된 부하(CRT)가 최대로 동작할때, 상기 FBT(50)의 1차측 제1권선(N1)의 전원제어부(10)에 의한 동작은 상기 최대부하 동작전압에 미치지 못하여 고압변동이 발생된다.
상기 고압변동분을 상기 연산증폭부(20)의 비교증폭기가 검출하여 상기 펄스주파수 변조부(30)를 통해 상기 고압변동제어부(40)의 저항(R2)을 거쳐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로우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2)를 온 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온되면 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된 저항(R4)에 전류가 흘러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상기 트랜지스터(Q2)에 에미터 양단간의 전압차가 0.6V이상 생기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콜렉터에 연결된 FBT(50)의 1차측 제2권선(45)에 전압이 유기되는 바, 이 유기되는 전압은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부(30)의 변조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CRT의 애노드 단자(2)에 걸려 있는 최대부하(CRT의 최대동작)의 상기 FBT(50)의 1차측 제1권선(N1)에 의해 유기되는 2차측의 권선(N2)의 전압 공급차에 따라 이를 보상하는 정도에서 상기 고압변동 제어부(40)가 제어하여 고압변동폭을 최소화 해준다.
따라서, 무부하시와 최대부하시의 고압변동이 상당히 줄어드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FBT(50)의 1차측 제1권선에 연결된 전원 제어부(10)와, 부하변동에 따른 고압변동을 비교증폭하는 연산증폭부(20)와, 펄스 주파수 변조부(30)로 구성된 회로에 있어서, 상기 FBT(50)의 1차측에 전압변동폭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제2권선(45)을 설치하고, 최대부하시와 무부하시의 고압변동에 따라 상기 제2권선(45)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고압변동을 보상하는 고압변동제어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안정화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동 제어부(40)는 부하(CRT)의 고압변동을 비교증폭하는 상기 연산증폭부(40)와 펄스주파수 변조부(30)의 신호에 따라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저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압안정화회로.
KR2019900006881U 1990-05-22 1990-05-22 고압 안정화 회로 KR920007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881U KR920007328Y1 (ko) 1990-05-22 1990-05-22 고압 안정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881U KR920007328Y1 (ko) 1990-05-22 1990-05-22 고압 안정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244U KR910021244U (ko) 1991-12-20
KR920007328Y1 true KR920007328Y1 (ko) 1992-10-12

Family

ID=1929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881U KR920007328Y1 (ko) 1990-05-22 1990-05-22 고압 안정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3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244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762B1 (ko)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KR0135292B1 (ko) 스위칭 전원 회로
US5317497A (en) Internally excited, controlled transformer saturation, inverter circuitry
EP1037387B1 (en) Stabilized gate driver
KR940005224B1 (ko) 비디오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CA2063750C (en) Switching regulator
KR91000943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JPH0918737A (ja) モニターの高圧安定化回路
KR920007328Y1 (ko) 고압 안정화 회로
US4460955A (en) Stabilizing power supply apparatus
KR100223378B1 (ko) 고전압 금지회로
KR100669952B1 (ko) 영상 표시 장치용 고전압 전원
EP0128223A1 (en) High-voltage stabilizing circuit
US5933333A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KR0122350Y1 (ko) 다중동기 모니터의 고압안정화 회로
KR960001250Y1 (ko) 전원부 크로스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JP2643372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装置
KR930006836B1 (ko) 고압출력 안정화회로
US6262898B1 (en) Circuit for driving a switching transistor
KR930002309Y1 (ko) 고압출력 안정화회로
KR200155180Y1 (ko) 영상디스플레이어의 화면명암 및 밝기 자동제어회로
KR920007697Y1 (ko) 고전압안정화 회로
KR910003172B1 (ko) 수평편향회로
US6169587B1 (en) Raster V-size adjustment circuit
KR0158555B1 (ko) 파워및 고압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