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969B1 -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사이즈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사이즈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969B1
KR100229969B1 KR1019910005823A KR910005823A KR100229969B1 KR 100229969 B1 KR100229969 B1 KR 100229969B1 KR 1019910005823 A KR1019910005823 A KR 1019910005823A KR 910005823 A KR910005823 A KR 910005823A KR 100229969 B1 KR100229969 B1 KR 100229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beam current
generating
alter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394A (ko
Inventor
제르리바실렌다로
Original Assignee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리트먼 어윈 엠
Publication of KR91001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3Controlling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빔 전류(i BEAM)의 변화가 발생할때 비데오 디스플레이 또는 텔레비젼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래스터 폭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상하는 장치가 빔 전류 증가의 함수로써 비선형 방식으로 감소시키도록 편향 전류(ih)의 진폭을 변화시킨다.
낮은 빔 전류에서, 빔 전류의 소정의 증가는 높은 빔 전류에서의 동일한 증가에 의해 유발된 것보다 훨씬 큰 편향 전류의 진폭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양상을 실행하는 래스터 폭 제어기능을 가진 편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편향회로 출력 스테이지 T1 : 고전압 변압기
50 : 고전압 발생기 63 : 분압기
본 발명은 래스터 사이즈 조절 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 또는 비데오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형적인 편향 회로 출력 스테이지는 트레이스 스위치, 리트레이스 캐패시터, S자형 캐패시터 및 수평 편향 와인딩을 포함한다. 리트레이스 구간 동안 상기 스위치가 오픈되면서, 편향 와인딩 양단에 큰 진폭 리트레이스 펄스를 발생시키는 공진 리트레이스 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편향 와인딩은 음극선관(CRT)의 스크린 양단에서 전자빔을 수평으로 편향시키는데 사용되는 톱니형 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편향 리트레이스 펄스는 CRT 의 인광 스크린에 대해 전자빔을 가속시키는 얼터(ultor)전압을 발생시키도록 집적화된 고전압 변압기(IHVT)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IHVT 는 여러개의 와인딩부로 분할 될 수 있는 고전압 와인딩을 포함한다. 고전압 다이오드가 각 와인딩부와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IHVT 의 일차 와인딩에 인가된 큰 진폭 리트레이스 펄스 전압이 고전압 와인딩에 의해 단계적으로 증가되고, 예를 들면 24 내지 29kV의 얼터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고전압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다.
편향 감도 및 그에 따른 래스터 사이즈가 얼터 전압의 함수로서 변한다. 빔 전류 로딩에서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얼터 전압의 변화가 수상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왜곡시키게 되는 래스터 사이즈의 불필요한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빔 전류 레벨의 증가는 얼터 전압을 감소시키며, 이것은 다시 래스터 스캔의 폭을 증가시킨다. 그에 비해, 얼터 전압의 증가를 초래하는 빔 전류의 감소는 상기 빔 상에서 편향 필드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래스터 폭을 감소시킨다.
상기 IHVT 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요구된 화상 파워에 따라 평균적으로 1 내지 2 mA의 얼터 전류를 전달하며 예를 들면 1 메가옴의 전형적인 소스임피던스를 갖는다. 빔 전류가 수상관 애노드에 의해 유도됨에 따라, IHVT 출력 임피던스와 수상관의 내부 및 외부 전도 코팅에 의해 형성된 비교적 낮은 얼터 단자 캐패시턴스로 인해 얼터 전압이 강하하게 될 것이다. 낮은 빔 전류에서, 빔 전류내의 소정의 변화가 얼터 전압에 있어서 보다 상당한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은 IHVT 가 높은 빔 전류에서보다 높은 출력 임피던스를 갖기 때문이다.
빔 전류의 변화의 함수로서 비선형 방식으로 편향 전류의 진폭을 제어하는 편향회로 출력 스테이지에 대해 공급 전압을 빔 전류에 있어서 소정의 증가가 낮은 빔 전류에서 높은 빔 전류에서 보다 더 크게 공급 전압 및 편향 전류 전폭을 감소시키도록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비데오 디스플레이를 위한 본 발명의 한 양상을 실현하는 래스터 사이즈 조절장치는 빔 전류를 발생시키는 얼터 단자에서 얼터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얼터 단자에서의 출력 임피던스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래스터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빔 전류가 증가할때 얼터 전압을 감소시킨다. 편향회로 출력 스테이지는 제 1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제 1 제어전압에 따라 변하는 제어가능 진폭으로 편향 와인딩 안의 편향 전류를 발생시킨다. 제 1 제어전압의 크기는 빔 전류가 비선형 방식으로 증가할대 편향 전류 진폭을 감소시키도록 빔 전류에 따라 변하여 래스터 사이즈를 조절한다. 소정량만큼의 빔 전류의 증가는, 이 빔 전류가 제 1 값보다 클때보다, 빔 전류가 제 1 값보다 적을 때 편향 전류 진폭에 있어서 훨씬 큰 감소를 나타낸다.
제1도에 있어서, 조절된 B+ 전압이 IHVT, 플라이백 변압기 T1의 일차 와인딩 W1에 인가된다. 일차 와인딩 W1은 수평 편향 출력 스테이지(20)에 연결된다. 출력 스테이지(20)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Q1, 편향 댐퍼 다이오드 D1, 편향 리트레이스 캐패시터 CRH및 S자형 캐패시터 CS와 직렬관계로 연결된 수평 편향 와인딩 LH을 포함한다. 수평 발진기 및 구동기(21)는 편향 와인딩 LH안에 수평 주사 또는 편향 전류 ih및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에 리트레이스 펄스 전압 VR을 발생시키도록 트랜지스터 Q1의 수평 정격 스위칭을 제공한다.
플라이백 변압기 T1는 고전압 발생기(50)의 고전압 변압기로 동작한다. 고전압 발생기(50)는 얼터 단자(52)에서 얼터 전압 Vhv을 발생시킨다. 얼터 전압 Vhv을 발생시기 위해, 리트레이스 펄스 전압 VR이 일차 와인딩 W1에 인가되고, 분할된 고전압 와인딩 W2에 의해 단계적으로 증가되며, 대응하는 고전압 다이오드 D3에 의해 정류되고, DC 얼터 전압 Vhv을 발생시키도록 얼터 캐패시턴스 C0에 의해 필터링된다. 상기 얼터 캐패시턴스는 도시되지 않은 수상관의 내부 및 외부 전도 코팅 사이에 형성된 캐패시턴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얼터 단자(52)로부터 공급된 빔 전류 iBEAM의 DC 전류 경로는 접지 컨덕터 GND에서 시작하여 레지스터(R8 내지 R7)를 통과하여 고전압 와인딩 W2의 낮은-AC 단부에 연결되는 와인딩 W2의 재공급 단자(51)로 진행한다. 자동 빔 제한 회로(153)가 얼터 단자(52)상에서의 빔 전류 로딩이 널리 공지된 방식으로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수상관에 대해 비데오 구동을 제한하기 위해 단자(51)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필터 캐패시터 C1 또한 단자(51)에 연결된다.
빔 전류 iBEAM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는 레지스터 R7 과 R8 사이에 나타나는 전압 Vrs은, 빔 전류 센스 단자(53)에서 본 발명의 한 양상을 실행하며, B+전압을 제어하는 전원 조절기(22)에 연결된다. 상기 B+ 전압은, 차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빔 전류 로딩에 있어서의 증가의 함수로서 편향 전류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래스터 사이즈를 조절한다.
전원 조절기(22)는, 도시되지 않은, 예를 들면, 초퍼(chopper)변압기 T2의 와인딩 W3 양단의 브리지 정류기로부터 제공된 비조절된 전원 전압을 연결하는 초퍼 트랜지스터 Q4를 포함한다. 다이오드 D5 는 B+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Q4의 스위칭 동작의 결과로서 변압기 T2의 이차 와인딩 W4에 나타난 변압기-연결 전압을 정류한다. B+전압을 나타내는 피드백 전압 VFB이 분압기(63)의 단자에 제공되고 에러 증폭기(62)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을 실현하고, 비선형 회로망(10)에 제공된 제어기능 기준 전압 VREF이 증폭기(6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저압 VREF은, 차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레지스터 R8를 통해 흐르는 빔 전류의 함수로서 비선형 방식으로 변한다.
증폭기(62)의 출력 단자(62a)는 B+ 전압 및 비선형 회로망(10)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VREF에 따라 변하는 듀티 사이클을 가진 펄스폭 변조 신호(61a)를 발생시키는 펄스-폭-변조기(61)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신호(61a)가 트랜지스터 Q4의 스위칭 듀티 사이클을 변화시키기 위해 구동 스테이지 (60)를 통해 초퍼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 전극에 연결된다. 전압 VREF또는 빔 전류의 소정의 레벨에 대해, 널리 공지된 방식으로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의 결과로서 B+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비선형 장치(10)는 빔 전류 표시 전압 Vrs이 발생되는 단자(53)에 연결된 베이스 전극을 가진 트랜지스터 Q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Q2는 레지스터 R5를 거쳐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 전극에 연결되 에미터를 가진 에미터 팔로우어로서 동작한다. 트랜지스터 Q3의 에미터 전극은 전압 VREF을 제어하기 위해 단자(54)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는 레지스터 R4를 거쳐 단자(53)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 전극은 레지스터 R3를 거쳐 단자(55)에서 4.7 볼트의 제너 전압 VZ을 나타내는 제너 다이오드 Z1의 캐소드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3 및 레지스터 R3는 단자(54 및 55) 사이예 전압 Vrs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하는 가변 임피던스 또는 제어가능 전류원 회로망을 형성한다.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 D4 및 레지스터 R2는 트랜지스터 Q3 및 레지스터 R3의 가변 임피던스 회로망과 병렬인 단자(54 및 55) 사이에 연결된 제2 회로망을 형성한다.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 전압이 레지스터 R4 와 R5 사이의 비와 전압 Vrs에 따라 설정된다. 빔 전류가 제로일때, 분압기를 형성하는 레지스터 R4 및 R5 사이의 소정의 비의 결과로서 트랜지스터 Q3는 실질적으로 컷-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레지스터 R1를 통해 단자(54)로 흐르는 DC 전류 i1는 실질적으로 다이오드 D4 및 레지스터 R2 를 통해 흐르지만 트랜지스터 Q3가 컷-오프상태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Q3를 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로 빔 전류에서 전압 VREF은 제너 전압 Vz,다이오드 D4의 순방향 전압 강하, VD,및 i1·R2와 같은 레지스터 R2양단의 전압 강하와 같다.
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트랜지스터 Q3가 전류 i1의 많은 부분을 전도시키고, 그에 따라, 다이오드 D4 및 레지스터 R2를 통한 전류 흐름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빔 전류 iBEAM가 증가함에 따라 전압 VREF은 덜 퍼지티브가 된다. 레지스터 R2 양단의 전압이 100 내지 200mV 범위를 유지하도록 다이오드 D4가 트랜지스터 Q3 양단에 콜렉터-에미터 전압을 낮은 빔 전류에서 자체 포화 값 이상으로 유지한다.
빔-전류 iBEAM의 증가는 변압기 T1의 빔 전류 로딩의 결과로써 얼터 전압 Vhv을 감소시킨다. 전압 VREF의 감소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빔 전류의 증가의 결과로써 나타난다. 전압 VREF의 감소 역시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의 결과로써 B+ 전압을 감소시키게 될 것이다. B+전압의 감소는 얼터 전압 Vhv 의 감소로 인해 래스터 폭이 증가되는 것을 보상한다.
빔 전류의 소정의 레벨에서, 트랜지스터 Q3는 충분히 포화된다. 그러므로, 발명의 특징에 따라, 빔 전류 iBEAM에 있어서의 소정의 증가가 비교적 낮은 빔 전류에서보다 전압 VREF에 작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때 트랜지스터 Q3는 제어가능 전류원으로 동작한다. 예컨대, 빔 전류가 제로에서 300μA 까지 증가할 때, B+ 전압은 1.3% 만큼 감소한다. 이에 비해, 빔 전류가 상기 범위 0 내지 300μA 에서 보다 약 4배인 증가, 즉 300 에서 1525μA 로 증가할 때, B+ 전압은 겨우 0.4% 정도 감소한다. 비교적 높은 빔 전류에서 보다 낮은 빔 전류에서, 얼터 전압 Vhv 이 빔 전류의 소정의 증가에 대해 더 많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특징은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발명의 특징에 따라, 래스터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B+ 전압의 감소가 높은 빔 전류에서보다 낮은 빔 전류에서 크게 이루어진다.
빔 전류가 상당히 클때, 트랜지스터 Q2는 전압 Vrs 이 -12 볼트보다 더 네거티브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레지스터 R5에 있어서의 전류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는 상당히 높은 빔 전류에서의 전압 VREF의 바람직하지 않은 감소가 클램핑 동작에 의해 저지될 것이다.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0)는 밀리세컨드 범위내에 있는 큰 시정수를 가진 레지스터 R4 및 R5와 함께 R-C회로망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큰 시정수는 텔레비젼 스테이션 채널 선택 변화로 인한 빔 전류내의 빠른 변화 또는 화상의 밝기에 있어서 갑작스런 큰 변화가 전압 VREF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것을 막아준다. 전압 VREF이 빨리 변할 경우, 전압 B+을 발생시키는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가 충분히 빠르게 응답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화상에 있어서의 왜곡 및 기계적 진동에 의한 변압기 T2 내의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 C1의 큰 값은 이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일시적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준다.

Claims (17)

  1.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에 있어서, 빔 전류를 발생시키는 음극선관의 얼터 단자(52)에 얼터 전압(Vhv)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얼터 단자에서의 출력 임피던스가 상기 비데오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래스터의 사이즈에 영향을 미치도록 상기 빔 전류가 변화할 때 상기 얼터 전압을 변화시키는, 상기 얼터 전압 발생 수단 ; 출력 공급 전압(B+)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공급 전압에 따라 변하는 제어 가능한 진폭으로 편향 와인딩(LH) 안에 편향 전류(ih)를 발생시키는 편향 회로 출력 스테이지(20) ; 상기 빔 전류에 따라 변화하는 크기로 제 1 제어전압(VREF)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스테이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출력 스테이지에 연결되고, 상기 래스터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상기 빔 전류가 증가할 때 비선형 방식으로 상기 편향 전류 진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출력 공급 전압을 발생시켜, 소정량만큼의 상기 빔 전류의 증가가 상기 빔 전류가 제 1 값보다 클때보다 상기 제1 값보다 작을 때 실질적으로 더 크게 상기 편향 전류 진폭을 감소시키는 전원(62, 61, 60, Q4, W3, W4)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터 전압 발생 수단은, 내부에 제 1 전압 펄스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와인딩(W1)과 상기 제 1 전압 펄스들을 고전압 정류기(D3)를 거쳐 상기 얼터 단자에 변압기-연결(transformer-coupling)하기 위한 고전압 와인딩(W2)을 가진 고전압 변압기(T1)를 포함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에 빔 전류 표시 전압(Vrs)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고전압 와인딩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레지스터(R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빔 전류 표시 전압(Vrs)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전압 발생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고전압 와인딩의 저 저압 단자(51)와 공통 컨덕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스위치 모드 전원으로 동작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전류의 갑작스런 증가가 상기 음극선관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영상에 왜곡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전압 발생 수단에 연결된 지연 회로망(R5, R4, C10)을 포함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7.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 1 전압 펄스들(VR)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와인딩(W1) 및 빔 전류(iBEAM)를 발생시키는 얼터 단자에 얼터 전압(Vhv)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얼터 단자에서의 출력 임피던스가, 상기 비데오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래스터 사이즈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빔 전류가 증가할때, 상기 얼터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 1 전압 펄스를 고전압 정류기(D3)를 거쳐 음극선관의 얼터 단자(52)에 변압기-연결하기 위한 고전압 와인딩을 가진 고전압 변압기(T1) ; 제 1 제어 전압 VREF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가능 진폭으로 편향 와인딩(LH) 안에 편향 전류(ih)를 발생시키는 편향회로 출력 스테이지(20)를 포함하며, 제 1 전류원(W5, D6, R1) ; 상기 제 1 전류의 제 1 부분을 (레지스터 R2에서)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 1 전류원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레지스터에서 발생된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 전압(VREF)을 발생시키는 상기 제 1 레지스터(R2) 및 제 1 전류의 제 2 부분(Q3의 에미터 전류)을 도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전류원과 상기 제 1 레지스터 사이의 접합부(54)에 연결된 제 1 주전류 도전 단자(에미터)와, 상기 빔 전류에 응답하는 제어 단자(Q3의 베이스)를 가진 트랜지스터(Q3)로서, 상기 빔 전류가 상기 편향 전류의 진폭을 감소시키도록 증가할 때 상기 제 1 레지스터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빔 전류가 소정의 제 1 값보다 작을 때는 제어 가능한 전류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 1 값이상으로의 상기 빔 전류의 증가가 상기 편향 전류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빔 전류가 상기 제 1 값보다 클때는 도전 스위치로 동작하는, 상기 트랜지스터(Q3)를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제 1 직렬 회로망(R2, D4)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레지스터(R2)와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3)가 상기 제 1 직렬 회로망과 병렬로 연결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R2)에 연결되어 빔 전류 표시 전압(Vrs)을 발생시키는 빔 전류 샘플링 레지스터(R8)를 더 포함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전류 표시 전압(Vrs)에 연결된 베이스 전극과 제 2 레지스터(R5)를 거쳐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상기 제어단자(Q3의 베이스)에 연결된 에미터 전극을 가진 에미터 팔로우어(Q2)로서, 상기 빔 전류(iBEAM)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값보다 클때 에미터 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클램핑시키는 상기 에미터 팔로우어(Q2)를 더 포함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11.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 1 전압 펄스(VR)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와인딩(W1) 과 빔 전류(iBEAM)를 발생시키는 얼터 단자에서 얼터 전압(Vhv)을 발생시기 위해 제 1 전압 펄스들을 고전압 정류기 (D3)를 거쳐 음극선관의 얼터 단자(52)에 변압기-연결하기 위한 고전압 와인딩(W2)을 가진 고전압 변압기로서, 상기 얼터 단자에서의 출력 임피던스가, 상기 빔 전류 변화시 상기 얼터 전압을 감소시켜 비데오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래스터 사이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상기 고전압 변압기(T1) ; 제 1 제어 전압 (VREF)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전압에 따라 변하는 제어 가능한 진폭에서 편향 와인딩(LH) 안에 편향 전류(ih)를 발생시키는 편향 회로 출력 스테이지(2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빔 전류에 응답하는 제어단자(Q3의 베이스)를 가진 트랜지스터 스테이지(Q3)로서, 상기 빔 전류가 상기 편향 전류의 상기 진폭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증가할 때 상기 제 1 제어 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소정값 범위 안에 상기 빔 전류가 존재할 때 제어 가능한 전류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빔 전류가 상기 값의 범위를 벗어날때는 스위치로서 동작하는, 상기 트랜지스터 스테이지(Q3)를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전류에 따라 변하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에서 제 2 제어 전압(Q3의 베이스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 스테이지(Q2, R5)로서, 상기 빔 전류가 소정의 값보다 클때 상기 빔 전류의 증가가 상기 제 1 제어 전압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하도록 클림프 회로로 동작하는, 상기 구동 스테이지(Q2, R5)를 더 포함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스테이지(Q3)에 연결되며, 상기 빔 전류 (iBEAM)에 변화가 일어날 때 상기 제 1 제어 전압(VREF)에서의 변화율을 감소시키도록 1 밀리세컨드보다 큰 시정수를 갖는 R-C 필터 회로망(R4, R5, C10)을 더 포함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R-C 필터 회로망이 상기 트랜지스터 스테이지(Q3)에서 밀러 피드백 (Miller feedback)을 형성하는 캐패시터(C10)를 포함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15.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에 있어서, 빔 전류(iBEAM)를 발생시키는 음극선관의 얼터 단자(52)에서 얼터 전압(Vhv)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20, W1, W2, D3)으로서, 상기 빔 전류가 변할 때 상기 얼터 단자에서의 출력 임피던스가 상기 얼터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비데오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래스터의 사이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상기 얼터 전압 발생 수단 ; 제 1 제어 전압(B+)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 전압에 따라 변하는 제어 가능한 진폭으로 편향 와인딩(LH) 안에 편향 전류(ih)를 발생시키는 편향 회로 출력 스테이지(20)를 포함하며 ; 상기 래스터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빔 전류가 증가할 때 상기 편향 전류 진폭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빔 전류에 따라 변하는 크기로 상기 제1 제어전압을 발생시키는 수단(62, 61, 60, Q4, W3, W4, D5)으로서, 상기 빔 전류가 제1 값 범위안에 있을 때 상기 빔 전류의 소정 증가에 대해 상기 제 1 제어 전압과 편향 전류의 변화를 감소시키도록 제 1 전압(Vz)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 전압을 클램핑하고, 상기 빔 전류가 제 2 값 범위내에 있을때에는 상기 클램핑 동작이 정지되는 클램핑 수단(Q3)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전압 발생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동작이, 상기 빔 전류가 제 1 소정 레벨 이상으로 증가할 때, 상기 빔 전류의 소정 증가에 대해 상기 편향 전류(ih)가 감소하는 양을 작게 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전압 발생 수단 (62, 61, 60, Q4, W4, D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빔 전류(iBEAM)가 상기 제 1 소정 레벨보다 큰 제 2 소정 레벨이상으로 증가할 때 제 2 전압(-12V)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전압(VREF)을 클램핑하는 제 2 수단(Q2)으로서, 상기 빔 전류가 상기 제2 소정 레벨보다 작을 때 상기 제 2 클램핑 수단의 클램핑 동작이 정지되는, 상기 제 2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 사이즈 조절 장치.
KR1019910005823A 1990-04-13 1991-04-12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사이즈조절장치 KR100229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508,448 US5034667A (en) 1990-04-13 1990-04-13 Raster size regulating circuit
US508,448 1990-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394A KR910019394A (ko) 1991-11-30
KR100229969B1 true KR100229969B1 (ko) 1999-11-15

Family

ID=2402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823A KR100229969B1 (ko) 1990-04-13 1991-04-12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사이즈조절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034667A (ko)
EP (1) EP0451805B1 (ko)
JP (1) JPH04227375A (ko)
KR (1) KR100229969B1 (ko)
CN (1) CN1030952C (ko)
CA (1) CA2039783C (ko)
DE (1) DE69123624T2 (ko)
ES (1) ES2095881T3 (ko)
FI (1) FI102998B1 (ko)
MY (1) MY105962A (ko)
SG (1) SG77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413A (en) * 1992-02-25 1993-01-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beam current indicative signal
GB2272617B (en) * 1992-07-13 1996-01-10 Eldon Technology Ltd Stabilization of EHT voltage and horizontal scan for magnetic deflection cathode ray tube circuits
EP0626669A3 (en) * 1993-05-26 1998-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flection apparatus for raster scanned CRT displays
US5422589A (en) * 1993-11-05 1995-06-06 Acer Peripherals, Inc. Circuit for synchronizing an operating clock of a switching power supply system
KR0136037B1 (ko) * 1994-08-30 1998-04-27 김광호 모니터의 수평사이즈 조절장치
US5587893A (en) * 1995-06-16 1996-12-24 Chung-Chin Chen Video display high voltage generator
TW370664B (en) * 1995-06-26 1999-09-21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controlling a horizontal raster display width
KR0156866B1 (ko) * 1995-11-30 1998-11-16 배순훈 화면폭 보정회로
FR2742921A1 (fr) * 1995-12-20 1997-06-27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d'affichage d'images sur un tube a rayons cathodiques
US5945791A (en) * 1996-12-19 1999-08-31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High voltage system
US6437829B1 (en) 1997-01-16 2002-08-20 Display Laboratories, Inc. Alignment of cathode ray tube displays using a video graphics controller
US6285397B1 (en) 1997-01-16 2001-09-04 Display Laboratories, Inc. Alignment of cathode ray tube video displays using a host computer processor
US5969486A (en) * 1997-01-16 1999-10-19 Display Laboratories, Inc. Detecting horizontal blanking time in cathode ray tube devices
US5982641A (en) * 1998-08-07 1999-11-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High-voltage power supply for video display apparatus
US6009006A (en) * 1998-08-07 1999-12-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ynchronized high voltage generator
US6437523B1 (en) * 1999-01-12 2002-08-20 Thomson Licensing S.A. Deflection circuits coupled via a filter
JP3833843B2 (ja) * 1999-04-06 2006-10-18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補正方法及び画像補正装置並びに陰極線管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5029840A1 (en) * 2003-09-22 2005-03-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pensating fluctuations of an anode voltag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1858A (en) * 1969-08-19 1973-03-20 Sanyo Electric Co Size and high voltage stabilizing circuit
JPS5123296B1 (ko) * 1971-04-03 1976-07-15
US4104567A (en) * 1977-01-24 1978-08-01 Rca Corporation Television raster width regulation circuit
US4298829A (en) * 1980-02-08 1981-11-03 Rca Corporation Power supply and deflection circuit with raster size compensation
GB8333067D0 (en) * 1983-12-12 1984-01-18 Rca Corp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US4559481A (en) * 1984-11-30 1985-12-17 Rca Corporation Raster width regulation circuit
JPS6295073A (ja) * 1985-10-22 1987-05-01 Victor Co Of Japan Ltd 水平偏向回路
US4645984A (en) * 1985-12-24 1987-02-24 Rca Corporation Diode modulator with raster width regulation
US4827194A (en) * 1988-05-06 1989-05-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Raster size regulating circuit
US4910441A (en) * 1989-02-21 1990-03-2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udio loading modulated side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27375A (ja) 1992-08-17
US5034667A (en) 1991-07-23
EP0451805B1 (en) 1996-12-18
CN1055633A (zh) 1991-10-23
DE69123624D1 (de) 1997-01-30
CA2039783A1 (en) 1991-10-14
FI102998B (fi) 1999-03-31
FI102998B1 (fi) 1999-03-31
CA2039783C (en) 1997-01-21
EP0451805A3 (en) 1992-10-14
CN1030952C (zh) 1996-02-07
EP0451805A2 (en) 1991-10-16
FI911782A (fi) 1991-10-14
MY105962A (en) 1995-02-28
DE69123624T2 (de) 1997-04-24
FI911782A0 (fi) 1991-04-12
ES2095881T3 (es) 1997-03-01
SG77535A1 (en) 2001-01-16
KR910019394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969B1 (ko) 비데오 디스플레이용 래스터사이즈조절장치
US4254365A (en) Side pincushion correction modulator circuit
US5010281A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video display apparatus
CA1237531A (en) Raster width regulation circuit
US4939429A (en) High voltage regulator circuit for picture tube
US5357175A (en) Deflection and high voltage circuit
JP2989614B2 (ja) ラスタサイズ調整回路
JPH06105180A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US4675580A (en) Parabolic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3036744B2 (ja) 偏向装置
CA1213366A (en) Television receiver power supply regulation responding to beam current changes
US5463290A (en) Power supply stabilization circuit with separate AC/DC negative feedback paths
US4675581A (en) Raster positioning circuit for a deflection system
EP0313391B1 (en) High voltage power supply for video apparatus
US4187451A (en) Color picture display device with a circuit for generating a screen grid voltage
KR0137275B1 (ko) 텔레비젼 편향 장치
US4812720A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video display apparatus
JP3139530B2 (ja) 水平偏向高圧発生回路
KR0153440B1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고압 안정화회로
US4864196A (en) Line scanning and accelerating voltage generating circuit
GB2273427A (en) Power supply
JPS62109475A (ja) 水平偏向回路
JPH0811133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H06253164A (ja) 垂直偏向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