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074B1 - 유닛룸의 조립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유닛룸의 조립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074B1
KR930012074B1 KR1019890017399A KR890017399A KR930012074B1 KR 930012074 B1 KR930012074 B1 KR 930012074B1 KR 1019890017399 A KR1019890017399 A KR 1019890017399A KR 890017399 A KR890017399 A KR 890017399A KR 930012074 B1 KR930012074 B1 KR 930012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s
unit room
jig
wall panel
adjust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170A (ko
Inventor
타쯔야 오오키타
준이찌 요시다
기요시 후루하시
마사히토 스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ublication of KR90001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닛룸의 조립방법 및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설명용 사시도.
제2도는 간격조정지그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간격조정지그를 걸어두기 위한 걸어두기부재의 구성 및 장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a도는 그측면도, 제3b도는 그 평면도.
제4도∼제6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벽구조를 도시한 것.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골조체에 벽면패널을 짜붙인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 단면에 있어서의 요부확대도.
제6도는 마찬가지로 제4도의 VI-VI 단면에 있어서의 요부확대도.
제7도는 벽면패널을 걸어두기 위한 걸어두기 부재의 구성 및 장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7a도는 그 정면도, 제7b도는 그 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10도는 종래의 유닛룸의 조립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용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간격조정지그 12 : 턴버클
14 : 와이어 16 : 훅
20 : 베이스프레임 30 : 코너포스트
40 : 센터포스트 50 : 벽면패널
본 발명은 유닛룸의 조립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닛룸의 골조(骨組)를 이루는 포스트를 세워설치하는 구조의 개량을 도모한 유닛룸의 조립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변기, 욕조, 세면대 등의 위생설비를 가진 유닛욕실, 유닛화장실 등의 유닛룸의 조립방법으로서, 유닛룸을 설치하려고 하는 바닥면위에 베이스체를 배설하고, 이 베이스체에 복수의 포스트를 세워설치하여 골조를 형성하고, 이들 포스트사이에 필요한 매수의 벽면패널을 순차적으로 짜붙여서 룸공간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제10도는 이와 같은 조립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예에 있어서는, 먼저 유닛룸이 형성되어야 할 건조물의 바닥면(F)에, 유닛룸의 룸형상에 대응한 프레임형상의 베이스체(이하, 「베이스프레임」이라 칭함)(2)를 부설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2)의 네 모퉁이부에 각각 코너포스트(4)를 세워설치하고, 그들의 하단부를 베이스프레임(2)의 가장자리부(2a)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하여, 전체의 골조를 형성한다. 그후, 이들 코너포스트(4)상호간에, 소정매수의 벽패널을 짜붙여서 유닛룸의 벽면을 구성하고, 또 천정패널을 얹어놓고 고정하여, 유닛룸을 구성한다.
상기 조립방법에 있어서는, 골조를 구성하는 코너포스트(4)는, 그 하단부가 베이스프레임(2)의 가장자리부(2a)에 고정되어 있을 뿐인 일단부지지구조이기 때문에, 코너포스트(4)가 자체중량 등에 의해서 제10도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되어, 코너포스트(4)의 상호간격이 위쪽으로 갈수록 벌어져서, 코너포스트(4)의 세워설치한 상태를 소기의 수직상태로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벽면패널을 짜붙일 경우에는, 예를들면, 복수의 작업자가 인접하는 코너포스터(4),(4)는 각각 손으로 떠받치면서 그들의 세워설치하는 상태 및 상호의 간격을 조정하고, 그리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쪽에서 별도의 작업자가 벽면패널을 장착할 필요가 있어, 조립시의 작업효율이 나쁠 뿐만 아니라, 코너포스트(4)의 위치조정을 작업자의 직감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각 코너포스트(4)를 항상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세워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와같은 문제는, 유닛룸이 대형으로 되어서 각 코너포스트사이에 짜붙이는 벽면패널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현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닛룸의 골조를 구성하는 부재, 특히 코너포스트나 센터포스트를 수직상태로 세워설치하고, 또한 이들 포스트사이의 간격을 소정길이로 높은 정밀도로 규정할 수 있고, 벽면패널의 조립을 효율좋고 또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유닛룸의 조립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조립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위에 배설한 베이스체에 복수의 포스트를 세워설치하고, 이들 포스트사이에 벽면패널을 짜붙여서 룸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룸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에 세워설치된 포스트상호를 간격조정지그에 의해서 연결하고, 포스트사이를 소정간격으로 조정한 후, 벽면패널을 짜붙이고, 또 상기 간격조정지그는 벽면이 완성된 단계에서 떼어낼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방법은, 코너포스트나 센터포스트 등의 포스트상호간 뿐만 아니라, 이들 포스트상호간에 짜붙여지는 벽면패널의 상호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방법에 의해서 구축된 유닛룸은, 상기 베이스체에 세워설치된 포스트상호간 혹은 벽면패널 상호간이 소정길이로 조정된 간격조정지그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립방법 및 조립구조에 의하면, 베이스체에 세워설치된 포스트상호 혹은 벽면패널의 상호간격을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고, 또, 이들 포스트나 벽면패널을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로 세워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벽면패널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짜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간격조정지그는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서 장착할 수 있고, 그 간격조정도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을 효율좋게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도 적어도 된다.
또, 간격조정지그를 장착한 채로 유닛룸을 구성하면 이 간격조정지그는 유닛룸의 골조를 구성하는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유닛룸의 기계적 강도를 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설명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있어서는, 유닛룸이 형성되어야 할 건조물의 바닥면 (F)에 유닛룸의 룸형상에 대응한 외형의 베이스프레임(20)을 부설하고, 이 베이스프레임(20)의 네 모퉁이에 코너포스트(30a)∼(30d)(이하, 단순히 「코너포스트(30)」라고 할 경우도 있음)를 세워설치하여 고정한 후, 인접하는 코너포스트(30)의 상호간에 각각 간격조정지그(10)를 설치한다.
이 간격조정지그(10)의 장착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간격조정을 보다 정확하게 행하기 위하여, 코너포스트(30)의 가능한 한 상단부 쪽에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간격조정지그(10)의 장착개수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코너포스트(30)의 상단부외에 코너포스트(30)의 중앙부 등에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정지그(1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버클(12)의 양단부에 와이어(14),(14)를 각각 접합하고, 또 이들 와이어(14),(14)의 선단부에 훅 (16),(16)을 각각 설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간격조정지그(10)에 있어서는, 그 턴버클(12)을 구성하는 1쌍의 나사가 반대나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턴버클(12)을 회전조작함으로써, 간격조정지그(10)의 전체길이를 신축조정할 수 있다.
또, 각 코너포스트(30)의 간격조정지그(10)의 장착위치에는, 제3a도,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 조정지그(10)를 장착하기 위한 걸어두기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두기부재(18)는 단면형상이 대략 ㄴ 자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이 걸어두기부재(18)의 선단부 쪽에는 간격조정지그(10)의 훅(16)을 걸어두기 위한 긴 구멍형상의 걸어두기구멍(1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드기부재(18)는 나사 등에 의해서 그 기단부 쪽이 코너포스트(3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간격조정지그(10)를 장착할 경우에는, 그 한쪽의 훅(16)을 예를들면 코너포스트(30a)의 걸어두기부재(18)에 걸어두고, 다른 쪽의 훅(16)을 코너포스트 (30a)와 인접하는 코너포스트(30b)의 걸어두기부재(18)에 걸어둠으로써, 이들 코너포스트(30a),(30b)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코너포스트(30) 상호의 연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간격조정지그(10)는, 장착때에는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적당한 정도로 긴 상태로 해두고, 간격조정지그(10)를 장착한 후에는, 턴버클(12)를 조작함으로써, 각 코너포스트(30)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그 길이를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코너포스트(30)의 상호의 간격이 정확하게 규정된 후에, 소정매수의 벽패널을 순차 짜붙여간다. 제4도∼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골조체에 벽패널을 조립한 경우의 벽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골조체에 벽면패널을 짜붙인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를 따른 종단면의 요부확대도, 제6도는 마찬가지로 VI-VI을 따른 종단면의 요부확대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체의 골조가 베이스프레임(20)과 이 베이스프레임 (20)의 네 모퉁이에 세워설치된 코너포스트(30)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각 코너포스트(30)는, 인접하는 코너포스트(30)와 간격조정지그(10)에 의해서 각각 연결되고, 따라서 각 코너포스트(30)는 상호 소정간격을 이루며, 또한 바닥면(F)에 대해서 수직상태로 세워설치되어 있다. 단, 코너포스트(30c)와 (30d)와의 사이의 벽면(U4)에는 두어체(D)를 짜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른 벽면(U1)(U3)이 완성된 단계에서, 코너포스트(30c)와 (30d)와의 사이에 설치한 간격조정지그(10)을 떼어낼 필요가 있다.
코너포스트(30a)와 (30b)와의 사이에는 센터포스트(40a)가 배설되고, 또, 마찬가지로 코너포스트(30b)와 (30c)와의 사이 및 코너포스트(30a)와 (30d)와의 사이에는, 각각 센터포스트(40b)와 (40c)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룸(U)이 설치되는 바닥면(F)에 대해서 기립한 상태로 설치되는 기초부(22)와, 이 기초부(22)로부터 바깥쪽으로 ㄴ자형상으로 굴곡되어 구성되는 단차부(24)와 가장자리부(2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20)의 기초부(22)의 안쪽바닥면(F)에는 콘크리트가 다져 넣어져 있으며, 이 콘크리트층(F1)의 상부면에는 또 타일이 부설되어, 타일바닥(F2)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너포스트(30)(30a∼30d)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을 이루는 R 형상부(32)와, 이 R형상부(32)의 양단부로부터 안쪽을 향해서 각각 형성된 ㄴ자형상의 플랜지부(34),(3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코너포스트(30)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0)의 단차부(24)위에 놓이게 되고, 그 R 형상부(32)의 하단부를 베이스프레임(20)의 가장자리부(26)에 나사고정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센터포스트(40)(40a∼40c)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ㄴ자형상인 지주부(42)와, 이 지주부(42)의 선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4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센터포스트(40)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0)의 단차부(24)위에 놓여지고, 그 지주부(42)의 하단부가 베이스프레임(20)의 가장자리부(26)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 각 센터포스트(40)에는 각각 적당한 개수의 걸어두기부재(S)가 고정되어 있다. 이 걸어두기부재(S)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 쪽의 고정부(S1)와, 단면형상이 대략 < 형상을 이루는 선단부 쪽의 걸어두기부(S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S1)와 센터포스트(40)의 지주부(42)를 나사고정함으로써 걸어두기부재(S)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벽면패널(50)(50a∼50h)은, 표면재라고 호칭되는 화장강판(52)과, 배접재라고 호칭되는 석고보드(54)를 접착고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강판(52)은, 그 좌우, 상하의 각 단부가 석고보드(54)쪽으로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ㄴ자형상의 플랜지부(521),(5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벽면패널(50a)∼(50f)은 각 코너포스트(30a)∼(30d)와 이것에 인접하는 각 센터포스트(40a)∼(40c)와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즉, 벽면패널(50b)을 예로들어 설명하면, 그 한쪽의 플랜지부(521)는 센터포스트(40a)의 지주부(42)에 걸어두기부재(S)와 함께 나사고정되고, 다른 쪽의 플랜지부(521)는 코너포스트(30b)의 한쪽의 플랜지부(34)와 당접한 상태로 짜넣어져 있다. 또, 벽면패널(50b)의 석고보드(54)의 배면에는 센터포스트(40a)의 플랜지부(44)가 당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벽면패널(50b)은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있다. 다른 벽면패널 (50d),(50e)도 벽면패널(50b)과 마찬가지로 해서 짜넣어져 있다. 또, 벽면패널 (50a),(50c) 및 (50f)은, 그들의 한쪽의 플랜지부(521)가 각각 걸어두기부재 (S)에 걸어둔 상태로 끼워 넣어지고, 벽면패널(50g) 및 (50h)은, 그 다른 쪽의 플랜지부 (521)가 각각 도어프레임(70)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 각 코너부에서 서로 인접하는 각 벽면패널(50)사이에는, 염화비닐수지 등으로 형성된 탄력성을 가진 시일부재(60a)∼(60d)를 채워넣어, 각 벽면패널(50)의 장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프레임(20)의 네 모퉁이에 코너포스트 (30a)∼ (30d)를 세워설치한 후, 인접하는 코너포스트사이에 각각 간격조정지그(1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각 코너포스트사이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각 코너포스트(30)를 바닥면(F)에 대해서 수직상태로 세워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벽면패널(50)을 효율좋고 정확하게 짜붙일 수 있다.
또, 간격조정지그(10)는, 그 양단부의 훅(16)을 코너포스트(30)의 걸어두기부재(18)에 걸어두는 것만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간격조정지그(10)의 길이조정은 그 턴버클(12)을 회전시키는 것뿐인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간격조정지그(10)의 장착·조정 작업을 한 사람의 작업자로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간격조정지그(10)를 떼내지 않고 그대로 구조체의 구성요소로서 남김으로써, 이 간격조정지그(10)는 코너포스트(30)사이의 연결부재로서 기능하고, 특히, 코너포스트(30)의 바깥쪽으로의 휨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유닛룸의 기계적 강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개량변경을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와 같이 코너포스트(30)사이가 아니고 센터포스트(40)사이에 간격조정지그(10)를 1개 또는 복수개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코너포스트(30),(30)사이에 3개 이상의 벽면패널(50)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특히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벽면중앙의 센터포스트(40),(40)사이에 간격조정지그(10)를 설치함으로써, 치수정밀도를 내기 힘드는 벽면의 중앙에 있어서도 벽면패널(50)을 정확하고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동일평면내에 3개 이상의 벽면패널을 장착할 경우에는, 센터포스트(40)에 한하지 않고, 사이가 떨어진 벽면패널(50),(50) 자체에 간격조정지그(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벽면패널(50)은 간격조정지그(10)에 의한 인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일이 필요하다.
또,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0)의 네 모퉁이에 세워설치된 코너포스트(30)의 각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코너포스트(30)사이에 간격조정지그(10)를 비스듬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코너포스트(30)의 골조를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간격조정지그910)는, 골조를 구성하는 포스트사이에 전체적으로 사용되어도 되며, 또 일부의 포스트사이 혹은 벽면패널사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또, 간격조정지그(10)의 구성이나 그 장착방법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전체길이가 조절가능하고 또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한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벽면패널로서 강판패널을 사용한 경우의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벽면패널로서 타일패널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포스트 혹은 센터포스트 등의 포스트부재사이 혹은 벽면패널사이에 간격조정지그를 설치함으로써, 벽면패널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짜붙이는 일이 가능해지며, 또 유닛룸의 기계적 강도도 향상된다.

Claims (6)

  1. 바닥면(F)위에 배설한 베이스체(20)에 복수의 포스트(30)를 세워설치하고, 이들 포스트(30)사이에 벽면패널(50)을 짜붙여서 룸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룸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20)에 세워설치된 포스트(30)상호를 간격조정지그 (10)에 의해서 연결하고, 포스트930)사이를 소정간격으로 조정한 후, 벽면패널(50)을 짜붙이고, 또, 상기 간격조정지그(10)는 벽면이 완성된 단계에서 떼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조립방법.
  2. 바닥면(F)위에 배설한 베이스체(20)에 복수의 포스트(30)를 세워설치하고, 이들 포스트(30)사이에 벽면패널(50)을 짜붙여서 룸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룸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20)에 세워설치된 벽면패널(50) 상호를 간격조정지그(10)에 의해서 연결하고, 벽면패널(50) 사이를 소정간격으로 조정한 후, 또 다른 벽면패널(50) 을 짜붙이고, 또 상기 간격조정지그(10)는 벽면의 완성된 단계에서 떼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조립방법.
  3. 바닥면(F)위에 배설한 베이스체(20)에 복수의 포스트(30)를 세워설치하고, 이들 포스트(30)사이에 벽면패널(50)을 짜붙여서 룸공간이 형성되는 유닛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20)에 세워설치된 포스트(30) 상호 또는 벽면패널(50) 상호가 소정길이로 설정된 간격조정지그(1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간격조정지그 (10)는 벽면이 완성된 단계에서 떼어내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조립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간격조정지그(10)가, 턴버클(12)과, 이 턴버클(12)의 양단부에 연결된 와이어(14), (14)와, 이들 와이어(14),(14)의 선단부에 각각 연결된 걸어두기부(1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조립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간격조정지그(10)가, 턴버클(12)과, 이 턴버클(12)의 양단부에 연결된 와이어(14), (14)와, 이들 와이어(14),(14)의 선단부에 각각 연결된 걸어두기부(1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조립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간격조정지그(10)가, 턴버클(12)과, 이 턴버클(12)의 양단부에 연결된 와이어(14), (14)와, 이들 와이어(14),(14)의 선단부에 각각 연결된 걸어두기부(1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조립구조.
KR1019890017399A 1988-12-22 1989-11-29 유닛룸의 조립방법 및 구조 KR930012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24517A JPH02171471A (ja) 1988-12-22 1988-12-22 ユニットルームの組立方法および構造
JP88-324517 1988-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170A KR900010170A (ko) 1990-07-06
KR930012074B1 true KR930012074B1 (ko) 1993-12-23

Family

ID=1816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399A KR930012074B1 (ko) 1988-12-22 1989-11-29 유닛룸의 조립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71471A (ko)
KR (1) KR9300120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521A (en) * 1975-10-08 1977-10-25 Allied Chemical Corporation Constant boiling ternary compositions and the process for using such compositions in the preparation of polyurethane fo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170A (ko) 1990-07-06
JPH02171471A (ja) 199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2074B1 (ko) 유닛룸의 조립방법 및 구조
KR910000281Y1 (ko) 천정재의 부착구조
JP3079453B2 (ja) 天井バー用連結金具
KR930012075B1 (ko) 유닛 룸의 조립방법 및 구조
JP2000273933A (ja) 壁面設置器具の取付構造
JPH0131684Y2 (ko)
JPH0440324Y2 (ko)
JPH074260Y2 (ja) 壁面施工構造
JPH0544294A (ja) 天井骨組
JPH0748818Y2 (ja) 天井下地パネルの固定部構造
JP2916817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床パネルの取付方法
JPH0125137Y2 (ko)
KR0123864Y1 (ko) 건축용패널 고정구조립체
JPS60164538A (ja) プレハブ壁板取付装置
JPH0544291A (ja) 天井骨組用横架材の接合構造
JPS631729Y2 (ko)
JP3247785B2 (ja) 天井下地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天井下地構造
JP2668814B2 (ja) 衛生室ユニット
JPH0125136Y2 (ko)
JPH0455125Y2 (ko)
JP2628813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天井構造
JP2690158B2 (ja) 内壁パネルの取付方法
JP2517904Y2 (ja) 軽量コンクリートパネルへのタイル取付構造
JPH0452345Y2 (ko)
JPH08120886A (ja) 狭小地における外壁材縦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