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872B1 -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872B1
KR930011872B1 KR1019890015175A KR890015175A KR930011872B1 KR 930011872 B1 KR930011872 B1 KR 930011872B1 KR 1019890015175 A KR1019890015175 A KR 1019890015175A KR 890015175 A KR890015175 A KR 890015175A KR 930011872 B1 KR930011872 B1 KR 93001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rinting
thermal head
printing apparatus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148A (ko
Inventor
가즈아끼 가사이
마사히로 미노와
고오이찌로 고마쯔
이꾸오 이또
Original Assignee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무라 가쯔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2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7405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무라 가쯔미 filed Critical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02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stamping surface located above article-suppor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핸디타입의 인쇄 장치와 테이프 주행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핸디 프린터와 테이프 주행 장치의 다른 실시예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써멀헤드의 일예의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장치의 또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5a도는 제4도의 실시예를 개략 투시도면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 설명도.
제5b도는 인쇄된 테이프의 상면도.
제6도는 양면 접착 테이프와 투명 테이프의 압착부분의 상세도.
제7도는 프린터 유닛 본체(50)의 헤드 제어 수단의 블록도.
제8a 및 8b도는 폰트 데이타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9도는 프린터 유닛의 외관 및 조작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장치의 또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써멀헤드 10 : 핸디 프린터
12 : 벨트 20 : 테이프 주행 장치
본 발명은 테이프형의 피인쇄물에 문자 화상등을 인쇄하는 핸디 타입의 워드 프로세서나 코피기계, 레터링 장치 등의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핸디타입의 인쇄 장치와 착탈가능하게 계합하는 테이프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테이프에 인쇄하기 위한 핸디 타입의 프린터 유니트와 테이프 유니트로 되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프형의 파인쇄물에 문자, 화상 등을 인쇄하는 프린터의 테이프 주행 장치는 인쇄 기구와 테이프 주행장치가 일체로 되어 대규모인 것이 되거나 테이프 프린터 전용기였다.
또, 종래 이 종류의 기술은 테이프 표면에 대향 배치된 활자간에 잉크 리본을 배치하고 테이프 표면에 잉크를 전사하고 인쇄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었다.
종래의 테이프형의 피인쇄물에 인쇄하는 테이프 주행 장치 부착 인쇄 장치는 대규모인 것이었으므로 고가, 운반이 불편, 넓은 장치 장소가 필요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테이프 주행 장치가 인쇄부와 일체로 되고 있어서 피인쇄물이 테이프상인 것에 한한다는 불편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테이프상의 피인쇄물에 대한 인쇄 장치에선 테이프의 표면에 인쇄하기 때문에 테이프의 표면의 마찰에 대해 인쇄의 더러움이나 문자결락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매우 간단한 기구를 사용, 핸디타입의 써멀헤드나 코피기등과 같은 수동 조작에 의한 종래의 인쇄와 테이프상인 피인쇄물에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를 겸용 가능한 인쇄장치 및 테이프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방식의 인쇄에 의한 인쇄면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인쇄의 더러움이나 문자결락이 발생하지 않는 소형이며 기구가 간략한 인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핸다타입의 인쇄장치와 테이프 주행 장치의 도면도이다.
(10)은 핸디타입의 인쇄 장치의 일종의 핸디 프린터이며, 써멀헤드(1), 위치 검출 수단의 1종의 엔코더(2), 엔코더(2)와 계합되며 피인쇄물(14)의 주행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부재의 1종인 구동 롤러(3), 보조 롤러(4), 잉크 리본(5), 이것들을 보호하는 케이스(6)을 주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테이프 주행 장치(20)는 벨트(12), 그 벨트(12)를 주행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17a), 롤러(17b), 롤러(17c), 롤형으로 감긴 피인쇄물(14)(이하 테이프라 칭한다), 핸디 프린터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계합용 가동 볼록부(15)와 계합용 오목부(16), 개구부(13), 벨트(12)를 롤러(17a)와 사이에 끼고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테이프(14)를 끌어내기 위한 테이프 주행 장치(18) 및 이것들을 보호하는 케이스(11)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구성 폴러(18)는 케이스 외부의 수동 노브(도시하지 않음)에 계합한 수동에 의한 동력을 얻을 수 있게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핸디 프린터와 테이프 주행장치(20)를 써서 인쇄하는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테이프(14)가 케이스(3)의 개구부(13)에서 나온 상대이며, 이 핸디 프린터를 화살표(C)의 방향에서 테잎 주행 장치(20)에 밀어붙이므로서 이 테이프 주행 장치(20)의 계합용 볼록부(16)와 핸디 프린터 오목부(6b)가 계합되며, 가동 볼록부(15)가 화살표 B와 같이 가동하고 핸디 프린터의 오목부(6a)와 계합함으로서 핸디 프린터가 테이프 주행 장치에 장착된다. 핸디 프린터(10)를 인쇄 가능 상태로 하고 테이프(14)를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송하면 벨트(12)가 롤러(17a)와 롤러(17b)를 축으로 해서 회전하며 잉크리본(5)을 꺼집어냄과 더불어 구동 롤러(3)를 회동시킴으로서 그 엔코더(2)에서 테이프(14)의 이동량에 따른 타이밍 펄스가 발생한다. 타이밍 펄스에 따라 필요한 문자, 화상 등의 데이타가 써멀헤드(1)로 전송되며, 잉크리본(5)을 거쳐서 테이프(14)에 소정의 문자, 화상 등이 인쇄된다. 롤러(17c)는 핸디 프린터의 써멀헤드의 발열체부(1a)가 벨트(12)와 접촉하는 개소의 벨트(12)의 내측에 배치된 벨트(12)의 이동에 맞춰서 회전되며, 플라텐의 역할을 한다
벨트(1)에 실리콘 고무 등의 접착제가 박리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함으로서 일반으로 시판되고 있는 점착 테이프를 피인쇄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면에 세퍼레이터를 배치하는 점착테이프를 쓰는 경우엔 벨트의 재질에 구애할 필요는 그다지 없으나 가격이 높다. 세퍼레이터를 배치한 테이프 인쇄후는 사용하기 쉽고, 한편 일반으로 시판되고 있는 점착 테이프는 인쇄후 쓰기 어려우나 런닝 코스트가 싸진다는 특징이 각각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를 씻으나 다소 인쇄시의 안정 주행성을 쳐지나 벨트를 제거해서 롤러(17a), (17b), (17c)를 쓰는 것으로도 주행은 가능하다.
또, 가동 볼록부(15)는 스프링에 의해서 프린터 본체의 오목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제1도의 테이프 구동 롤러(18)를 스텝핑 모터등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자동에 의한 테이프 주행도 가능하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핸디 프린터와 테이프 주행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약도이다.
테이프 주행 장치(21)는 저마찰계수 부재로 되는 습동용 평판(23), 롤형으로 감은 테이프(24), 이것을 축지해서 수납하는 수납부(25), 핸디 프린터(30)와 계합하는 계합용 블록부(22)을 주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핸디 프린터(30)는 써멀헤드, 피인쇄물을 누르고 핸디 프린터의 이용을 용이케 하는 보조 롤러(33), 엔코더(도시하지 않음)에 계합하는 구동 롤러(32), 잉크 리본(35), 핸디 프린터 본체 케이스(36), 이 케이스에 설치되며 테이프 주행 장치의 볼록부에 계합하는 오목부(34)등을 주된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또한, (27)은 테이프(24)를 끌어내기 위한 개구부이다.
본 실시예의 테이프 주행 장치와 핸디 프린터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테이프(24)가 개구부(27)에서 나온 상태로 핸디 프린터(30)를 테이프 주행 장치에 장착한다. 이때 오목부와 볼록부를 계합시키고 용이하게 핸디 프린터가 벗겨지지 않게 고정시킨다. 핸디 프린터를 인쇄가능한 상태로 하고 테이프(24)를 수동으로 즉, 테이프(24)의 선단을 쥐고 끌어당기고, 화살표 A방향으로 이송한다. 테이프(24)는 습동용 평판(23)의 위를 습동하면서 이동한다. 이 이동으로 구동 롤러(32)가 회전되며 제1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엔코더로부터 타이밍 펄스가 출력되며, 이 타이밍 펄스에 동기해서 소정의 문자, 화상등의 인화정보에 기준해서 써멀헤드가 발열되며 잉크리본(35)의 잉크가 테이프게 전사되며, 문자, 화상이 형성된다.
보조 롤러(33)는 테이프의 사행, 꼬임등을 방지하고 주행을 안정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평판(23)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테프론코트 고무 등의 저마찰 계수의 재료로 표면이 형성되며 테이프 주행성을 좋게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선 습동부를 저마찰계수로 되는 1개의 평판을 쓴 예로 나타내었는데 테이프 주행 장치의 케이스와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습동부중의 압력을 부분으로 분할해서 저마찰재료를 배치해도 된다. 또, 피인쇄물의 테이프에 관해선 롤지, 팬폴드지, 상표지 등 여러가지 형태의 용지를 쓰는 것이 가능하다. 재질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종이 외, 비닐테이프, 세로판테이프 등 여러가지 재질의 테이프가 쓰인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쇄 헤드의 일종의 써멀헤드의 일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약도이다.
(40)은 세라믹 등으로 되는 써멀헤드의 기재이며 이 표면에 그레이즈부(41)가 형성되며 또한 이 정상 부근에 발열체(42)가 열상으로 배열되고 있다. (43)은 발열체에 접속된 전극, (44)는 써멀헤드 구동요인 드라이브 IC, (45)는 IC를 봉지하는 봉지재, (46)은 드라이브 IC에 접속된 전극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 써멀헤드를 방열판 등에 고착하고 프린터 본체에 설치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장치의 또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50)은 프린터 유닛, (60)은 테이프 주행 장치의 일종의 테이프 유닛, (61)은 투명 테이프, (62)는 양면점착 테이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5a도는 제4도의 실시예를 개략 투시 도면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 설명도이며 제5b도는 인쇄된 테이프의 상면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프린터 유닛 본체(50)에서는 인쇄 헤드로서 제3도에 도시한 써멀헤들와 마찬가지로 인쇄 헤드가 탑재되고 있다. 이 본체를 평판에 압접하고 수동에 의한 직선 이동을 시키므로서 구동 롤러(52)가 회전되며, 이 구동 롤러와 보조 롤러(53)간에 배치된 써멀헤드에 의해서 인쇄 가능하나, 잉크리본(55)은 써멀헤드와 평판간을 주행하여 권취롤러(54)에 권취된다. (57), (58)은 구동롤러와 권취 롤러의 각각에 고착된 폴리이며 이것들을 연결하는 벨트(59)에 의해서 구동 롤러의 회전이 권취 롤러에 전달된다. 또, 이 회전 운동은 제1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엔코더(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며, 타이밍 펄스를 발생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다.
(63)은 투명 테이프 보지수단, (64)는 플라텐, (65)는 양면 점착 테이프 보지 수단을 각각 도시하며 잉크리본(55)에 병주하는 투명 테이프(62)는 권회 상태( 61a)로서 감기 넓어짐을 방지함과 더불어 테이프 보호를 행하는 벽(63a), (63b), (63c)으로 둘러싸여 있다.
써멀헤드에는 복수의 발열체가 열상으로 배열되고 있다. 인쇄정보의 입력이 종료되고 구동 롤러가 회전하면, 후에 말하는 헤드 제어 수단에 의해서 써멀헤드(51)의 발열체가 선택적으로 발열되며, 써멀헤드(51)에 대향배치된 플라텐(64)과 써멀헤드(51)와의 사이를 주행하는 투명 테이프(62)에 잉크리본(55)의 잉크가 전사되며, 문자기호 등이 인쇄된다. 프린터 유닛(50)의 본체의 표면에는 후에 설명하는 액정 표시부와 데이타 입력용 터치 패널이 일체로된 표시 입력부가 설치되며 문제 데이타 입력이나 입력 데이타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라텐(64)으로부터 착탈가능한 프린터 유닛(50)은 후에 말하는 정립 문자인자와 반전 문자 인자의 전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자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선택 수단의 일종의 스위치(56)를 가지며, 이 스위치에 의해서 반전문자가 선택된 경우 헤드 제어 수단으로 용이하게 투명 테이프(61)에 반전된 문자기호 등이 인쇄기능으로 되어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 보지수단의 대향벽의 홈에서 형성된 축수부(65a)에 축이 현가된 롤러(66)가 설치되며, 이것에 현가된 양면 점착 테이프(62)의 선단부가 써멀헤드(51)로 인쇄된 투명 테이프(61)의 주행경로에 배치되고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62)와 투명 테이프(61)는 가이드 롤러(67)에서 누름 롤러(68)까지 인쇄된 투명 테이프(61)와 병주하며, 누름 롤러(68)에 의해서 양자가 압착된다.
제6도는 양면 점착 테이프와 투명 테이프의 압착 부분의 상세 도면이다. 투명 테이프(61)의 표면에는 잉크가 전사되며 잉크층(71)이 형성된다. 잉크층이 형성된 투명 테이프(61)는 가이드 롤러(67)의 부위로부터 양면 점착 테이프(62)와 병주하여 누름롤러(68)에 의해서 압착된다. 누름 롤러(68)는 레버(68b)에 보지되며 코일 스프링(68a)의 인장력으로 테이프 주행 방향으로 연직방향(화살표 E방향)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 누름 롤러(68), 레버(68b), 코일 스프링(68a)에 의해서 압축 수단(70)을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투명 테이프(3)와 양면 점착 테이프(5)와의 접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는 양면 점착부(62b)와 세퍼레이터(62b)로 되며 세퍼레이터(62b)는 용이하게 양면 점착부에서 박리하는 것이 가능으로 되어 있다. 이 압착 행정으로 레터링 테이프 (72)가 만들어진다. 세퍼레이터(62b)를 박리하고 소망의 부위에 첨부함으로서 소정의 문자, 화상이 노트, 책 등 임의의 장소에 형성된다.
투명 테이프(61)상의 잉크층은 레터링 테이프 첨부후, 테이프 기재와 양면 접착 테이프(62)로 접착되는 노트, 책 등의 피접착 부재로 봉착되기 때문에, 테이프 표면의 마찰이나 긁힘에 의한 인쇄 오손이나 인쇄 결락을 방지할 수 있다. 양면점착 테이프(62)의 세퍼레이터(62b)는 양면점착 테이프(62)가 투명 테이프(61)에 접착된 상태에서 점착층의 보호층으로 되기 때문에 인쇄후의 레터링 테이프(72)의 취급성을 높히고 있다. 투명 테이프의 인자된 반전순자는 인자면측에 형성된 점착부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물건에 붙이므로서 정립 문자로서 보는 것이 가능해지다.
상기 플라텐과 상기 투명 테이프 보지 수단과 상기 양면점착 테이프 보지 수단을 주된 구성 요소로 하여 테이프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제7도는 프린터 유닛(50)의 헤드 제어 수단인 블록도이며, 인자 모드 선택 수단(56), 써멀헤드(51), CPU(81), ROM(83), (84), RAM(85), 엔코더(82)를 주된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ROM(83)은 프린터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ROM은 문자 기호 등의 폰트데이타를 격납하고 있다.
CPU(81)은 인자 모드 선택수단(56)의 상태를 검출하고 정립문자 또는 반전문자 인자의 선택을 행하며 엔코더(82)가 출력하는 타이밍 펄스에 동기해서 선택적으로 써멀헤드(51)의 발열체로 구동하여 소정의 문자, 화상 등을 형성한다.
제8a 및 8b도는 폰트 데이타의 인자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제8a도는 정립 문자를 인자하는 때의 데이타의 배열을 도시하며 제8b도는 반전문자를 인자할 때의 데이타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CPU(81)은 정립 문자시는 데이타( d1)에서 ( d16)을 그대로 써멀헤드상의 대응하는 발열체에 데이타를 전송하고 반전 문자시엔 d1에서 d16의 데이타를 역으로 반전하여 써멀헤드에 전송한다. 화살표 A는 써멀헤드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CPU(81), ROM(83), (84), RAM(85), 선택수단(56)에 의해서 정립문자, 반전 문자를 선택하는 전환 수단(8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전환 수단(80)을 포함하는 헤드 제어수단과 써멀헤드(53)와 잉크리본(55)을 주된 구성요소로서 프린터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제9도는 프린터 유닛(50)의 외관 및 조작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장치의 테이프 유닛으로부터 프린터 유닛(50)을 분리하고 보통지나 수지 시트등의 평면상인 피인쇄물에 구동 롤러(52)와 써멀헤드(51)가 인자면에 맞닿도록 눌러붙이고,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종이나 수지시트(76)에 직접 문자나 도형을 인자할 수 있다.
프린터 유닛(50)의 (75)는 액정 표시부와 데이타 입력용 터치 패널이 일체로된 표시 입력부이며, 수시 문자 인식에 의한 인자 데이타의 입력이나 입력데이타 확인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투명 테이프 보지 수단(63)과 플라텐(64), 양면점착 테이프 보지수단(65)과 투명테이프(61) 및 양면점착 테이프 보지 수단과 압착수단의 부분이 착탈가능한 구성이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기계적 스위치에서 설명했으나 상기 표시 입력부에 설치해도 된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장치의 또한 다른 실시예의 약도이며, 제5a, 제5b도의 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물은 동일 번호로 표시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82)는 리본 권취 롤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검출판이며, 이것과 계합하는 포토 검출기(b)에 일체로 엔코터(2)를 구성하고 있다.
(86)은 프리터 유닛 본체의 착탈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며, 테이프 유닛(60)에는 이것과 계합하는 돌기부(87)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수단(86)은 기계적 스위치이며, 이것에 의해서 프린터부 본체를 테이프 유닛상에 설치함으로서 스위치가 온되며 헤드 제어 수단으로 반전 문자가 선택되며 용이하게 투명 테이프로 반전한 문자 기호등이 인쇄가능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대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핸디타입의 워드 프로세서나 코피기를 테이프 유닛과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서 소형 경량이며 염가인 테이프 인쇄 장치와 핸디타입의 인쇄 장치를 겸용 가능한 인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며, 핸디타입의 프린터의 용도 확대에 공헌함과 더불어 일반에 시판되고 있는 염가의 테이프도 사용되며 런닝 코스트도 싸진다는 이점도 제공하고 있다.
또, 반전된 상을 인쇄한 테이프의 인쇄면에 점착층을 형성한 레터링 테이프를 작성함으로서 인쇄표면의 마찰에 의한 오손이나 긁힘, 인쇄 결락등의 인자 품질 열화 작용에서 보호되며 매우 신뢰성과 편리한 테이프가 제공가능하다.
또한, 테이프 유닛으로의 프린터 유닛 본체의 장착 착탈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방식을 쓰므로서 조작이 간단하고 어른에서 아이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0)

  1. 수동 주사에 의해서 문자, 화상 등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인쇄 엘레멘트를 열상으로 배치한 인쇄 헤드와 수동 주사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계합하고 상기 인쇄 헤드의 구동용 타이밍 펄스를 발생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갖는 핸디 타입의 인쇄장치와 그 핸디 타입의 인쇄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보지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인쇄 엘레멘트가 배치된 열상 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방향으로 주행가능하게 테이프상의 피인쇄물을 보지하는 테이프 주행 장치를 가지며, 상기 테이프상의 피인쇄물의 주행으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며 상기 타이밍 펄스를 발생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주행 장치가 수동에 의해서 테이프 주행을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가 써멀헤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테이프 주행 장치내의 상기 써멀헤드에 대향하는 부위에상기 테이프형의 피인쇄물의 주행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테이프 주행 장치내의 상기 써멀헤드에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테이프형의 피인쇄물의 주행을 용이하게 하는 벨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테이프 주행 장치내의 상기 써멀헤드에 대향하는 부위에 단수 또는 복수의 거의 평판상인 습동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7. 써멀헤드를 사용하여, 잉크 리본을 거쳐서 문자기호 등을 인쇄하는 것같은 열전사식인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정립 문자인자와 반전 문자인자를 선택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써멀헤드에 대향 배치된 플라텐과, 그 플라텐과 상기 써멀헤드와 사이를 주행하고 상기 잉크리본의 잉크가 전사되며 문자기호 등이 인쇄되는 투명 테이프와 그 투명 테이프의 주행을 안정시키는 투명 테이프 보지 수단과 상기 투명 테이프에 인쇄된 후, 그 투명 테이프와 병주하는 세퍼레이터부 양면 점착 테이프와 그 양면 점착 테이프와 상기 투명 테이프와를 압착하는 압착 수단과, 상기 양면점착 테이프의 주행을 안정시키는 양면점착 테이프 보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8. 상기 정립 문자인자와 반전 문자인자를 선택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써멀헤드와 상기 잉크 리본을 갖는 프린터 유닛과 상기 플라텐과 상기 투명 테이프 보지수단과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 보지 수단을 주된 구성 요소로 하는 테이프 유닛으로 되는 인쇄 장치이며 상기 테이프 유닛과 편의 착탈가능하며, 상기 테이프 유닛에서 취출지나 평판에 직접 인쇄가능한 프린터유닛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9. 수동주사에 의해서 문자 기호등을 인쇄하는 것같은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인쇄 헤드와 그 인쇄헤드를 제어하는 헤드 제어 수단을 갖는 핸디타입의 프린터 유닛과 그 핸디 타입의 프린터 유닛과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며 테이프상의 인쇄매체를 보지하는 테이프 유닛과, 상기 프린터부 본체의 장착 탈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인쇄 헤드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정립 문자와 반전 문자의 인자를 선택하는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가 써멀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KR1019890015175A 1988-10-31 1989-10-23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KR930011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499688 1988-10-31
JP274996 1988-10-31
JP14691088 1988-11-10
JP146910 1988-11-10
JP102270 1989-04-21
JP1102270A JP2797405B2 (ja) 1988-11-10 1989-04-21 テープ印刷装置
JP10856789 1989-04-27
JP108567 1989-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148A KR900006148A (ko) 1990-05-07
KR930011872B1 true KR930011872B1 (ko) 1993-12-21

Family

ID=6768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175A KR930011872B1 (ko) 1988-10-31 1989-10-23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66B1 (ko) * 2009-12-07 2010-02-10 강준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암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66B1 (ko) * 2009-12-07 2010-02-10 강준호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암표시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148A (ko) 199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1216A (en) Tape supply cartridge for portable thermal printer
US5028934A (en) Hand-held portable printing system
JP2865658B2 (ja) ラベル縁センサを備えたラベルプリンタ
US4999016A (en) Hand recording apparatus
EP0451830B1 (en) Printing apparatus
US5650820A (en) Hand recording apparatus and movement guide therefor
US5093675A (en) Hand-held recording apparatus
KR930011872B1 (ko)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주행 장치
US5441586A (en) Label adhesion device and printer for index labels
JPH0347767A (ja) 印刷装置及びそのテープ走行装置
US5002410A (en) Printing apparatus
JP2990476B2 (ja) プリンタ装置
JP2910057B2 (ja) 印刷装置および被印刷媒体収納ユニット
JP2797405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2985870B2 (ja) 印刷装置および被印刷媒体収納ユニット
JPS63290780A (ja) テ−プ手動引き出し式プリンタ
JPH11115251A (ja) ハンディプリンタ装置
JPH045059A (ja) 印刷装置
JP2501849Y2 (ja) 印字装置
JP2501856Y2 (ja) 手動走査式プリンタ
JPH0611793Y2 (ja) 小型プリンタのサ−マルヘツド支持装置
JP2865892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958058A (ja) プリンタ
JP2537095Y2 (ja) 印字テープ
JP2501654Y2 (ja) 印字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