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564B1 -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및 변환레버 링크기구 - Google Patents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및 변환레버 링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564B1
KR930011564B1 KR1019900017556A KR900017556A KR930011564B1 KR 930011564 B1 KR930011564 B1 KR 930011564B1 KR 1019900017556 A KR1019900017556 A KR 1019900017556A KR 900017556 A KR900017556 A KR 900017556A KR 930011564 B1 KR930011564 B1 KR 93001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jaw clutch
shifter
lev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087A (ko
Inventor
요시아끼 무라까미
다까히사 무라까미
아끼라 기꾸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1161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726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27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8942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91001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8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5/00Clutches with wedging balls or rollers or with other wedgeable separate clutc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8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 F16D11/1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therwise than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4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with a shaft carrying a number of rotatable transmission members, e.g. gears, each of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shaft by a clutching member or members between the shaft and the hub of the transmission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4Gearings for reversal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74Single drive plural driven
    • Y10T74/19079Parallel
    • Y10T74/19084Sp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377Slidable keys or clutches
    • Y10T74/19414Single clutch shaft
    • Y10T74/19419Progressive
    • Y10T74/19442Single key
    • Y10T74/19451Spur gears
    • Y10T74/19456Intermediate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및 변환레버 링크기구
제1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
제1도는 초소형 셔블카의 부분절단측면도.
제2도는 기어케이스의 수직단면배면도.
제3도는 기어케이스 내부의 여러가지 축 및 피맞물림상태의 기어의 전개설명도.
제4도는 죠오클러치의 수직단면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FR 전환축의 사시도.
제7도는 변환레버 스토퍼의 부분절단측면도.
제8도는 변환레버 스토퍼의 부분절단배면도.
제9도 및 10도는 변환레버 완충기의 작동설명평면도.
제11도 내지 14도는 종래예를 예사한 것으로.
제11도는 종래의 죠오클러치의 수직절단측면도.
제12도 및 13도는 FR 전환축의 사시도.
제14도는 볼 삽입부의 부분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 : 입력축 45 : 변환레버
40 : 변환레버 스토퍼 48 : 시프터 로드
49 : 시프터 아암 50 : 완충기
53 : FR 전환축 54 : 죠오클러치
55 : 시프터 66 : 스플라인홈
75 : 슬라이더 G3 : 전진기어
G4 : 후진기어
본 발명은 죠오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개량된 표면압력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확장된 접촉표면을 가진 강철볼 삽입부를 구비한 동력 벼파종기, 동력 경작기, 극소형 셔블카(shovel car)류와 같은 작업용 차량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및 변환레버 작동시 맞물림충격을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변환레버 링크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11도 내지 14도는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죠오클러치를 예시한 것이다. 제11도에는 조작을 전진 또는 후진구동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한 죠오클러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전진 또는 후진기어(1,2)는 대향 배치된 원통형 연장부(3,4)를 각각 구비하여 있으며 피구동축(5) 둘레에서 대향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장부(3,4)에는 그 안에 강철볼(7)을 유지하기 위하여 둘레방향으로 균등간격의 위치에 개방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구동축(5)에는 볼 유지구멍(6)에 상응하는 피치의 볼 삽입부를 구비하기 위하여 둘레 방향으로 균등간격을 두고 스플라인홈(8)이 구비되어 있다. 스플라인홈 또는 삽입부(8)는 강철볼(7)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강철볼(7)이 삽입부(8)에 용이하게 맞물리는 것을 보장하는 유극(游隙)을 제공한다. 시프터(10)에 의하여 피구동축(5) 및 기어연장부(3,4) 둘레에 끼워진 슬라이더(9)가 축상으로 미끄럼이동하면, 전진기어(1) 또는 후진기어(2)중의 어느 것의 강철볼(7)은 피구동기어(5)에 전진 또는 후진회전을 전달하기 위하여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피구동기어(5)상의 삽입부(8)속으로 압입된다.
더욱이,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구동축(11)에는 볼 유지구멍(6)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 둘레표면상에 복수열의 커플링홈(12)으로 구비되어 있다. 삽입부(커플링홈)(12)는 원주방향으로 뻗은 홈의 형태이며,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철볼(7)의 형상과 일치하여 둥글게된 각각의 대향 끝부분(12a)을 갖고 있다.
상기 죠오클러치의 슬라이더는 클러치의 온-오프 작동을 위하여 링크기구를 통하여 변환레버에 연결된 시프터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변환레버가 죠오클러치를 맞물리도록 작동될 때, 커플링 부재는 맞물림의 충격에 의하여 반발되어 결합충격이 링크기구를 통하여 변환레버와 운전자의 손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댜.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종래의 죠오클러치에 있어서, 볼 삽입부(8)에는 강철볼(7)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는 유극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삽입부(8)가 큰 유극을 갖고 있는 경우, 강철볼(7)은 삽입부(8)의 측벽(8a)에 강렬하게 부딪치게 된다. 볼 삽입부(8)가 축방향으로 직선 측벽(8a)을 가진 스플라인홈의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강철볼(7)은 측벽(8a)과 점접촉하게 되어, 측벽 강도가 약하면 측벽(8a)에 충격자국(d)을 남긴다.
한편, 강철볼(7)은 제13 및 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둥글게 된 끝(12a)을 가진 슬롯형태의 삽입부(12)가 구비되어 있는 피구동축(11)의 경우에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으나, 엔드밀에 의한 볼 삽입부(12)의 기계 가공공정은 시간이 걸리고 높은 생산 비용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시 향상된 내구력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유극과 강철볼에 대한 증가된 표면압력강도를 가진 볼 삽입부를 채용하고 있으며, 낮은 가공 비용을 수반하는 죠오클러치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피구동축상에 초립된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에 의하여 피구동축상의 볼삽입부와 맞물림해제가 가능하게 맞물리는 강철볼을 채용한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며, 이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는, FR 전환축으로 가능하도록 서로 독립적이고도 평행한 관계로 기어케이스 내에 배치된 한쌍의 피구동축; 각각의 FR 전환축상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전진 및 후진기어, 및 볼 삽입부로 가능하도록 각각의 FR 전환축의 둘레면상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스플라인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플라인홈에는 전진회전에 있어서 전진기어의 강철볼과 맞물리도록 측벽부상에 반구형 볼 지지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스플라인홈에는 후진회전에 있어서 후진기어의 강철볼과 맞물리도록 측벽부상에 반구형 볼 지지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기어케이스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입력축, 입력축의 대향측에서 평행한 관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이 전환축, 죠오클러치의 슬라이더와 연결된 시프터, 한쪽 끝이 시프터에 연결된 피벗요동가능한 시프터 아암, 완충기를 통하여 시프트 아암의 다른쪽 끝에 연결된 시프터 로도, 시프터 로드에 연결된 변환레버, 및 전진, 중립 및 후진위치중의 하나에서 변환레버를 해제가능하게 멈추기 위하여 변환레버의 한쪽에 구비된 변환레버 스토퍼를 포함하고 있는 죠오클러치용 변환레버 링크기구가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환레버 링크기구의 완충기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시프트 로드상에 고정된 스토퍼 부재, 2개의 스토퍼 부재 사이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춰진 스토퍼 링(stopper ring), 및 스토퍼 링과 각각의 스토퍼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변환레버 링크기구의 상기 변환레버 스토퍼는, 변환레버의 한쪽에 구비된 스프링 베이스, 스프링 베이스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지고 스프링에 의하여 한쪽 방향으로 가압되는 슬라이더 및 하부 부분에 장착된 캠 플레이트(cam plate)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로울러를 가진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있다.
변환레버 링크기구의 상기 변환레버 스토퍼는, 슬라이더의 하부쪽에 형성되고 캠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 끝부분에 끼워지기에 적합한 안내홈, 슬라이더의 안내홈의 대향측에 캠 플레이트와 수직하게 형성된 횡방향구멍, 및 이 횡방향구멍에 끼워지고 대향측부분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캠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 끝부분에 대하여 맞닿는 중앙부를 가진 로울러를 포함하고 있다. 변환레버 링크기구의 변환레버 스토퍼는 변환레버의 전진, 중립 및 후진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캠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 끝을 따라 스토퍼 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진 및 후진위치의 스토퍼 홈은 각각의 중앙부에 모떼기된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방향의 스플라인홈은 피구동축의 회전방향으로의 충분한 유극이 강철볼과 맞물리는 상태로, 볼 삽입부처럼 측벽부에 반구형 볼 지지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강철볼은 클러치의 맞물림시에 반발된 가능성이 적은 용이한 방식으로 볼 삽입부와 맞물리게 된다.
그 밖에, 볼 지지오목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더 높은 표면압력 강도를 보장하도록 강철볼과의 선 또는 표면접촉으로 각각의 홈들을 우지하고 있다. 따라서, 강철볼이 클러치의 맞물림시에 볼삽입부의 끝부분에 대하여 타격할 때 충격자국을 발생시킬 가능성은 없을 것이다.
또한 스플라인홈을 가공함에 있어서도, 반구형 볼 지지오목부는 앤드밀의 사용에 의하여 스플라인홈의 회전방향에 있는 측벽부내에 간단하게 형성되므로 그 기계가공 공정에는 짧은 기계가공시간 및 낮은 기계가공 비용이 소요된다.
만약, 중립위치에 있는 변환레버가 전원 또는 후진위치로 바뀌면, 시프터 로드는 링크기구에 의하여 변위된다. 스토퍼 부재는 시프터 로드와 일체로 변위되며, 이에따라 스토퍼 링의 대향측상의 하나를 압축하는 동시에, 다른 스프링을 압축하지 않는다. 이때 스토퍼 링과 이 스토퍼 링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시프터 아암이 이동해야 비로소 시프터 로드는 스토퍼 링을 통하여 미끄럼이동되고 변환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위치로 전향된다. 변환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위치에서 멈춘후, 스토퍼 링은, 스프트 로드의 미끄럼운동을 수반하면서,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작용에 의하여 시프터 로드의 변위방향에 있어서 2개의 스토퍼 부재 사이의 중간위치로 압입된다.
결과적으로, 스토퍼 링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전방 끝을 가진 시프터 아암은, 죠오클러치를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기어케이스내의 시프터를 따라서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키면서 전향된다.
즉, 처음에, 변환레버가 선택된 위치에서 전향되어 멈추어지면, 스토퍼 링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시프터 아암은 스프링의 압력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전향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분이 반발될 때에도 죠오클러치를 맞물리기 위하여 슬러이더를 미끄럼이동시킨다. 죠오클러치의 맞물림시 충격은 스토퍼 링의 양 측면상의 스프링에 의하여 흡수되어 맞물림 충격이 변환레버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시된 첨부도면과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제1 내지 10도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붐(22)을 장착하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21)의 전방측상에 돌출된 브래킷(23)을 가진 초소형 셔블카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21)의 양 측면에는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크롤러 프레임(24)이 갖추어져 있다. 기어케이스(25)는 상부 프레임(21)의 후방부의 하부측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케이스(25)는 그 양측면에 스프로킷(26)용 지지축(27)을 갖고 있다. 이 지지축(27)은 차량의 양 측면상의 크롤러 프레임(24)의 후방 끝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 피구동휠(28)은 크롤러 프레임(24)의 전방 끝부분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롤러(29)는 차량의 각 축상의 구동스프로킷(26)과 피구동휠(28)과의 사이와 둘레를 통과한다. 더욱이, 엔진(30)은 기어케이스(25)상에 있는 상부 프레임상에 장착되어 있다. 엔진(30)의 동력은 트랜스미션의 입력축(34)을 회전시키도록 엔진 폴리(31)의 둘레를 통과하는 벨트(36)를 통하여 전동풀리(33)에 전달된다. 전동폴리(33)는 2개의 풀리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둘레를 통과하는 벨트(32)를 통하여 유압펌프(37)의 풀리(38)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축풀리(35)를 가지고 있다. 보닛 프레임(39)은 상부 프레임(21)의 위에 고정장착되어 있다.
평판(40)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여러가지 작동레버용의 판(40)의 상부 및 하부측상에 장착부(42)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볼트(41)에 의하여 엔진(30)의 상부 표면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좌우유압조작레버(44)에 연결된 유압제어밸브(43)는 보닛프레임(39)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있다. FR 전환 변환레버(45)는 유압조작레버(44)뒤에 장착되어 있다. 좌우 변환레버(45)는 피벗포인트(42a)에 대하여 전·후방쪽으로 요동될 수 있으며,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판(40)상에 고정장착된 변환레버 스토퍼(46)에 의하여 전진, 중립 및 후진위치중의 하나에 해제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아암(47)은 피벗포인트(지지축)(42a)에 대하여 요동운동하기 위해 변환레버(45)의 운동과 대칭적으로 변환레버(45)의 피벗포인트(42a)에 회전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아암(47)의 하부 끝은 시프터 로드(48)의 전방 끝에 피벗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죠오클러치의 시프터 아암(49)은 기어케이스(25)의 양 측면상에 돌출해 있다. 시프터 아암(49)의 전방 끝부분은 대응하는 시프터 로드(48)의 후방 끝의 완충기(50)에 연결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기어케이스(25)의 내부를 도시하며 여러가지 축 및 기어의 피맞물림상태의 전개설명도이다. 압력축(34)의 기어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입력축(34)의 앞 끝은 기어케이스(25)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입력축(34)은 돌출 끝부분상에 있는 전동풀리(33)를 지지하며, 입력축(34)의 후방부상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원통형 슬리브(51)를 갖고 있다. 보조 전동축(52)은 입력축(34)상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한쌍의 FR 전환축(53)은 입력축(34)의 양 측면상에 평행한 관계를 갖고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입력축(34)의 회전은 보조전동기어(G1)를 경유하여 감속된 후 보조 전동축(52)에 처음으로 전달되고나서, 구동기어(G2)를 경유하여 슬리브(51)에 전달된다.
한편, 전후진기어(G3,G4)는 좌우 FR 전환축(53)상에 각각 나란하게,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죠오클러치(54)는 2개의 기어(G3과 G4)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시프터(55)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한 슬라이더(56)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기어(G2)는 전진기어(G3)와 항상 맞물려 있고, 반면에 슬리부(51)상에 있는 기어(G5)는 후진기어(G4)와 항상 맞물려 있다. 워엄기어(G6)는 각 FR 전환축(53)의 전방 끝부분에 장착되어 있으며, 워엄휠축(57)중의 하나에 상응하는 내부 끝부분상에 장착되어 있는 기어 케이스(25)내에 회전가능하게 가로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워엄휠(G7)가 맞물려 있다. 각 워엄휠축(57)의 끝부분상에 장착되어 있는 감속기어(G8)는 구동축(58)중의 하나에 상응하는 내부 끝부분상에 장착된 감속기어(G9)와 맞물려 있으며 워엄휠축(57)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있는 감속기어(G8)는 구동축(58)중의 하나에 상으하는 내부 끝부분상에 장착된 감속기어(G9)와 맞물려 있으며 워엄휠축(57)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구동축(58)의 외부 끝부분은 기어케이스(25)의 양측면으로부터 옆으로 돌출되어 있고, 구동 스프로킷(26)은 구동축(58)의 돌출된 끝부분상에 장착되어 있다. 크롤러(29)는 구동 스프로킷(26)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시프터(55)는 시프터 축(59)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기어케이스(25)상에 피벗지지된 시프터 아암(49)의 한쪽 끝부분(40a)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시프터 아암(49)이 수평방향으로 전향됨에 따라 시프터(55)는 시프터 축(59)상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것에 의하여 슬라이더(56)를 이동시켜, 전진기어(G3) 또는 후진기어(G4)중의 어느 하나의 회전을 FR 전환축(53)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죠오클러치를 맞물리게 한다. 죠오클러치(54)용 커플링기구에 대해서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죠오클러치(54)는 입력축(34), 보조전동축(52), 및 기어케이스(25)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지지된 한쌍의 FR 전환축(53)을 포함하고 있는 기어케이스(25)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진기어(G3,G4)는 각 FR 전환축(53)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전진기어(G3)는 전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보조전동축(52)에 있는 구동기어(G)와 맞물려 있으며, 한편 후진기어(G4)는 후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슬리브에 있는 기어(G5)와 맞물려 있으며, 기어(G5)는 입력축(34)의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 및 후진기어(G3,G4)는 나란히 대향하고 원통형 연장부(60,6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장부(60,61)는 강철볼(64 또는 65)을 수용하기 위하여 각가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구멍(62 또는 63)을 구비하고 있다. 이제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FR 전환축(53)에 대한 사시도인 제5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FR 전환축(53)에는 볼 유지구멍(62,63)의 간격에 상응하는 피치로 축둘레의 표면상에 볼 삽입구멍인 스플라인홈(66)이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홈(66)은 각각의 측벽부에 FR 전환축의 전진회전시 강철볼(64)과 맞물리는 반구형 볼 지지오목부(67)와, 각각의 측벽부에 FR 전환축(53)의 후진회전시 강철볼(64)과 맞물리는 동일한 반구형 볼 지지오목부(68)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6)는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기 위하여 기어연장부(60,61)에 미끄럼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56)에는 시프터(55)의 푸셔부재(70)와 연결된 플랜지 형상의 이음부(69)가 구비되어 있다. 시프터(55)는 앞면에서 볼 때 반원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케이스(25)에 있는 구멍(72)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시프터 아암축(71)에 시프터 상부 끝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어케이스(25)에 돌출된 시프터 아암축(71)은 너트(73)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시프터 아암(49)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죠오클러치(54)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자가 좌우 FR 전환 변환레버(45)중의 하나를 조종하면, 상기 시프터 아암(49)은 링크기구에 의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되어 슬라이드가 시프터(55)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한다.
따라서, 구멍(62)속의 강철볼(64) 또는 구멍(63)속의 강철볼(65)은 전진 또는 후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FR 전환축(53)상에 있는 스플라임홈(66) 안으로 압입된다. 그리고, 볼 삽입부는 다음 과정에 의하여 FR 전환축(53)에 형성된다. 처음에는 스플라인홈(66)은 브로우칭 가공작업에 의하여 깎여지고, 축방향으로 둥근 형상의 로드를 드로잉가공한다.
다음으로 전진 및 후진회전에 있어서 강철볼(64,65)과 맞물리는 측벽부는 볼 지지오목부(67,68)를 형성하기 위하여 앤드밀의 사용에 의하여 반구형의 오목부로 파여진다. 이렇게 스플라인홈(66)의 각각은 전진회전을 위한 볼 지지오목부(67) 및 후진회전을 위한 볼 지지오목부(68)로 형성되어 있으며, 볼이 삽입부로부터 반발되지 않고 볼 삽입부와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회전방향으로 유극을 구비하고 있다.
제7 및 8도에 참조하면, 변환레버(45)용 스토퍼(46)는 피벗포인트(42a)의 부근에서 변환레버(45)의 한쪽에 고정장착된 스프링 케이스(74), 스프링 케이스(74)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더(75), 및 스프링 케이스(74)와 슬라이더(75) 사이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76)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75)에는 슬라이더(75)의 하부에서 측방향 개방구멍(77)속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홀더(78)와 캠 플레이트(80)의 상부 가장자리 끝과 맞물린 안내홈(79)이 구비되어 있다. 롤러(78)는 스프링(76)의 작용에 의해 캠 플레이트(80)의 상부 가장자리 끝에 대항하여 하방향으로 항상 가압된다. 상기 캠 플레이트(80)는 뒷면에서 볼 때 실질적인 L-형상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 가장자리 끝의 전방 및 후방 끝에 스포터 돌출부(81)를 구비하고 있으며, 롤러(78)를 멈추게하기 위하여 2개의 돌출부 사이에 중앙홈(82)과 전방 및 후방홈(83,84)을 갖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롤러(78)는 중립위치에 변환레버를 고정하기 위하여 중앙홈(82)과 맞물려 있다. 만약 변환레버(45)가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바뀌면 스프링(76)에 의하여 가압된 롤러(78)는 그 위치에 있는 변환레버(45)를 지지하기 위하여 홈(83 또는 84)과 맞물린다. 변환레버(45)가 정지위치를 지나 전향되는 경우에, 변환레버는 변환레버(45)의 조작가능한 회전각도의 한계를 정하는 스토퍼(81)에 대하여 맞닿아진다. 제7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은 피벗포인트(42a)에 대한 롤러(78)의 운동궤적을 가리킨다. 궤적으로부터 분명한 바와같이 전방 및 후방의 스토퍼 홈(83 및 84)은 각각 모떼기된 부분(83a 및 84a)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변환레버(45)가 전향될 때 롤러(78)는 가압되어 급속하게 스토퍼 홈(83 또는 84)과 맞물리게 된다. 롤러(78)의 중앙부(78a)는 대향측부(78b)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의 안내홈(79)에 의해 둘러싸인 캠 플레이트(80)의 상부 가장자리 끝에 대하여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변환레버(45)는 슬라이더의 자동적인 전향없이 매우 원활하게 전향될 수 있으며 풀리(78)의 홈(82 내지 84)중의 어느 하나와의 맞물림에 의해 변환레버(45)를 중립, 전진 또는 후진위치에 확고하게 멈추게 한다.
게다가, 롤러(78)는 롤러(78)의 대향측부(78b) 사이에 캠 플레이트(80)의 상부 가장자리 끝을 붙잡도록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는데 그것은 롤러(78)를 한쪽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더(75)의 구멍(77)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된다. 일단 캠 플레이트(80)가 롤러(78)에 대하여 맞닿게 되면 스프링(76)의 가압력에 의하여 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롤러(78)의 전위가 발생될 가능성은 없다. 변환레버(45)용 완충기의 설명을 위해 제2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시프터 아암(49)은 기어케이스(25)의 양 측면상에 돌출되어 있고, 각각의 시프터 아암은 시프터 로드(48)의 후방 끝부분상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는 스포터 링(85)의 하부부분상에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있는 외부 끝을 가지고 있다. 시프터 로드(48)는 후방 끝부분에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스토퍼 부재(86,87)로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88,89)은 스토퍼 링(85)과 스토퍼 부재(86 또는 87) 사이에 있는 시프터 로드(48)상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시프터 로드(48)의 전방 끝부분은 조인트(90)에 의하여 아암(47)의 하분 끝부분에 피벗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의 변환레버(45)가 뒷쪽으로 전향되면, 예컨대, 아암(47)이 제1도의 피벗 포인트(42a)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전향되면, 제7도의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변환레버(45)가 스포터 기구(46)의 홈(83)안에 정지될 때까지 시프터 로드(48)를 전방으로 당긴다.
동시에, 스프링(88)은 스토퍼 링(85)의 양 끝에 있는 칼라(collar; 91)의 한쪽 끝면이 한쪽 스토퍼 부재(86)와 맞닿아 맞물릴 때까지 압축되며, 반면에 다른쪽 스토퍼 부재(87)측의 스프링(89)을 압축시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시프터 로드(48)만이 전방으로의 변위를 위하여 스토퍼 링(85)내에서 미끄러진다.
그래서, 이때에, 어떠한 스토퍼 링(85)의 변위 또는 시프터 아암의 다른쪽 끝부분(49b)의 회전운동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면, 스토퍼 링(85)은 스프링(88)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즉시 밀려서 죠오클러치(54)를 맞물리기 위하여 시프터 아암(49)을 전향시킨다.
이대, 강철볼이 클러치를 원활하게 맞물리지 않고 죠오클러치의 연결부로부터 반발 되더라도, 스토퍼 링(85)은 상기 스프링(88)의 복원력에 의하여 미끄러지게 되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죠오클러치를 강제로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시프터 아암(49)의 다른쪽 끝부분(49b)을 전향시킬 것이다. 클러치의 맞물림시기는 스토퍼 부재(86과 87) 사이의 간격 및 스프링(88,89)의 힘을 조정함으로써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슬라이더(56)는 후진기어(G4)상의 강철볼(65)을 스플라인홈(66)의 볼 지지오목부(68)와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뒷쪽으로 미끄러지며, 이에따라 FR 전환축(53)에 후진구동력을 전달한다. 반대로 변환레버(45)가 전방으로 전향되면, 변환레버는 스토퍼 기구(46)의 홈(84)내에 정지되어 스토퍼(87)의 대향측에 있는 스프링(89)을 압축시킨다.
이 경우에 시프터 로드(48)는 상기 작동과 반대방식으로 뒷쪽으로 이동되며, 그런다음 시프터 아암(49)은 스프링(89)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향되어, 전진기어(G3)상의 강철볼(64)을 스플라인홈(66)의 볼 지지오목부(67)와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죠오클러치(54)의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미끄럼이동시키며, 이에따라 전진구동력을 FR 전환축(53)에 전달한다.
따라서, 변환레버(45)가 전방 또는 후방위치로 전향될 때, 시프터 아암(49)은 변환레버(45) 작동시 즉시 전향되지 않고, 변환레버(45)가 스토퍼 기구에 의하여 선택된 위치에 정지된 후에만 죠오클러치(54)를 맞물리게 한다.
따라서 강철볼의 반발로 발생하는 충격은 완충기(50)에 의하여 흡수되어 운전자의 손에 결합충격의 직접적인 전달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같이, 스플라인홈의 측벽에 구비되어 있는 볼 지지오목부는 강철볼의 용이한 맞물림을 보장해주는 유극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볼 지지오목부는 강철볼과의 선 또는 면접촉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철볼과 맞물림시에 부과될 수 있는 강한 충격을 견디기 위하여 보다 더 높은 표면압력강도가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은 죠오클러치의 작동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에 기여하여 종래의 클러치의 경우에 있어서의 강철볼의 충돌 결과로서 스플라인홈의 측벽에서 발견되는 충격자국을 배제한다. 상기 볼 지지홈은 짧은 가공시간으로 반구형의 홈을 만들 수 있는 앤드밀에 의하여 스플라인홈의 측벽안에 형성된다.
이것은 양 끝에서 둥근형상으로 기계가공될 필요가 있는 종래의 스플라인홈의 가공과 비교하여 현저할 정도로 가공비용이 감소된다.
한편 변환레버용 완충기의 제공으로 시프터 로드가 변환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앞뒤로 이동될 때 시프터 아암의 회전운동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죠오클러치는 변환레버가 전방 및 후방위치에 정지된 후에만 스프링에 의해 강제로 맞물리며, 이에 따라 죠오클러치의 연결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운전자를 매우 불편하게 하는 맞물림 충격의 변환레버에의 전달을 방지한다. 더욱이 변환레버 스토퍼 기구는 전진, 중립 및 후진위치에 변환레버를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변환레버 조작감을 향상시켜준다. 계단형상표면을 가진 스토퍼 롤러는 캠 플레이트로부터 롤러의 전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향측으로부터 캠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 끝을 붙잡을 수 있다.
그 밖에 캠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홈은 각각의 중앙부에 모떼기된 부분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롤러가 전방 또는 후방홈쪽으로 즉시 가압되어 정지될 수 있어 전진 또는 후진 위치로의 변환시간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죠오클러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며, 간단한 구조의 완충기를 구비한 변환레버 스토퍼 기구를 제공하여, 소형차체를 가진 극소형 또는 초소형 셔블카에의 적용이 허용될 수 있을 정도로 트랜스미숀의 크기를 줄일 수 잇다.
물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망라된 바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기에 기술되고 도시된 특정 형태에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피구동축에 끼워진 슬라이더의 미끄럼 운동에 의하여 피구동축상의 볼 삽입부와 맞물림해체가능하게 맞물리는 강철볼을 채용한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에 있어서, 상기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는, FR 전환축으로서 가능하도록 서로 독립적이며 평행한 관계로 기어케이스내에 배치된 한쌍의 피구동축, 상기 FR 전환축의 각각에 자유롭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진 및 후진기어, 및 볼 삽입부로서 기능하도록 각각의 FR 전환축의 둘레표면상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스플라인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홈은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피차로 상기 FR 전환축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홈에는 전진회전시 상기 전진기어의 강철볼과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측벽부상에 반구형 지지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홈에는 후진회전시 상기 후진기어의 강철볼과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측벽부상에 반구형 지지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5. 기어케이스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양측에 평행한 관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FR 전환축, 상기 죠오클러치의 슬라이더와 결합된 시프터, 상기 시프터에 연결된 한쪽 끝을 가진 피벗요동가능한 시프터 아암, 완충기를 통하여 상기 시프터 아암의 다른쪽 끝에 연결된 시프터 로드, 상기 시프터 로드에 연결된 변환레버, 및 전진, 중립 및 후진위치중의 하나에 상기 변환레버를 해제가능하게 멈추기 위하여 상기 변환레버의 한쪽에 구비된 변환레버 스토퍼로 구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오클러치용 변환레버 링크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축방향으로 소정간격 유지관계로 상기 시프터 로드상에 고정된 한쌍의 스토퍼 부재, 상기 스토퍼 부재 사이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진 스토퍼 링, 및 상기 스토퍼 링과 각각의 스토퍼 부재사이에 끼워진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레버 링크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레버 스토퍼는, 상기 변환레버의 한쪽에 구비된 스프링 케이스, 및 상기 스프링 케이스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지고 스프링에 의하여 한쪽 방향으로 가압된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 부분에 장착되어 있으면 캠 플레이트에 대하여 가압된 로울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레버 링크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레버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측상에 형성되고 캠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 끝부분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안내홈, 상기 캠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안내홈의 양 측면에 측방향으로 형성된 구멍, 및 상기 구멍에 끼워지고 대향측 부분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 끝부분에 대하여 맞닿는 중앙부를 가진 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레버 링크기구.
  9. 제5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레버 스토퍼는 상기 변환레버의 전진, 중립 및 후진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캠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 끝에 형성된 스토퍼 홈, 각각의 중앙부에 모떼기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진 및 후진위치의 상기 스토퍼 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레버 링크기구.
KR1019900017556A 1989-11-30 1990-10-31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및 변환레버 링크기구 KR930011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11614A JPH03172675A (ja) 1989-11-30 1989-11-30 超小型シヨベルカーに於ける噛み合いクラツチのシフトレバー緩衝装置
JP1-311614 1989-11-30
JP1327727A JPH03189420A (ja) 1989-12-18 1989-12-18 ボールクラッチの係合装置
JP1-327727 1989-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087A KR910010087A (ko) 1991-06-28
KR930011564B1 true KR930011564B1 (ko) 1993-12-11

Family

ID=2656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556A KR930011564B1 (ko) 1989-11-30 1990-10-31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및 변환레버 링크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86896A (ko)
EP (1) EP0429801A3 (ko)
KR (1) KR930011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8177B1 (fr) * 1999-09-06 2001-12-0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oite de vitesses a clavetage
JP3838494B2 (ja) * 2002-02-06 2006-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装置
WO2006003878A1 (ja) * 2004-07-01 2006-01-1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鞍乗型車両のシフト制御装置および鞍乗型車両
JP5746555B2 (ja) 2011-05-11 2015-07-08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変速機におけるリバースシフト装置
DE102011121481A1 (de) * 2011-12-16 2013-06-20 Audi Ag Schaltvorrichtung mit einem Drehfreilauf für die Schaltwelle und Kraftfahrzeug-Getriebe mit einer solchen Schaltvorrichtung
EP3339685B1 (en) * 2016-12-22 2023-07-05 Goodrich Actuation Systems SAS An actuator
CN112576704A (zh) * 2020-12-02 2021-03-30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换挡机构、变速机构和动力输出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924A (en) * 1913-09-08 1915-02-02 Eugene Valoppi Transmission-clutch.
US2101366A (en) * 1935-02-23 1937-12-07 Febod Corp Clutch device
US2105680A (en) * 1935-10-15 1938-01-18 Vaughan Motor Co Inc Tractor
US2133568A (en) * 1937-06-04 1938-10-18 Julian L Perkins Wringer head
US2186653A (en) * 1938-02-23 1940-01-09 Vincent S Penote Clutch-operating mechanism
US2377575A (en) * 1940-09-23 1945-06-05 Nineteen Hundred Corp Two speed drive and clutch assembly
US2508558A (en) * 1947-03-24 1950-05-23 Mahlon H Wolff Clutch
FR1102262A (fr) * 1953-07-13 1955-10-18 Marcel Pegard Atel Mécanisme d'embrayage
DE1199631B (de) * 1961-12-18 1965-08-26 Saarbergtechnik G M B H Hydraulische Steuerung der Schaltgetriebe fuer Vorwaerts- und Rueckwaertsgang an Laderaupen
DE2428916A1 (de) * 1974-06-15 1976-01-02 Reinhold Eisele Mech Werkstaet Schaltbare formschluessige wellenkupplung
JPS5560727A (en) * 1978-10-31 1980-05-08 Kamizaki Kokyu Koki Seisakusho Kk Clutch controller
JPS57200749A (en) * 1981-06-05 1982-12-09 Suzuki Motor Co Ltd Speed change operation device of speed change gear
JPS59133830A (ja) * 1983-01-21 1984-08-01 Hashimoto Seisakusho:Kk クラツ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86896A (en) 1992-02-11
EP0429801A3 (en) 1992-12-30
EP0429801A2 (en) 1991-06-05
KR910010087A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564B1 (ko) 죠오클러치 커플링기구 및 변환레버 링크기구
EP1156240B1 (en) Electric drive device for transmission
JPH03172675A (ja) 超小型シヨベルカーに於ける噛み合いクラツチのシフトレバー緩衝装置
US4702120A (en) Key-shift transmission
JP3010201B2 (ja) 歯車変速機用シフト装置
KR940009217B1 (ko) 소형 셔블카의 트랜스미션
JPH0146740B2 (ko)
US5016488A (en) Shift mechanism for engaging sliding gear in manual transmission
JPS5914025A (ja) 変速レバ−装置
JP3815203B2 (ja) 回転角度検出装置とこの回転角度検出装置を組み込んだ変速機用駆動装置
JP3470237B2 (ja) 農作業機の変速装置
JP4174206B2 (ja) 変速装置
KR100282850B1 (ko) 무단변속기
JP2005308075A (ja)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おける副変速操作機構
JP2933268B2 (ja) 耕うん機における変速ガイド板構造
JPH0523391Y2 (ko)
RU2075675C1 (ru) Механизм управления зубчатым редуктором
JP2005308076A (ja)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おける副変速機構
JPS6131759A (ja) ミツシヨンの無段,有段変速装置の変速操作装置
JP2560999Y2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軸構造
JPH077651Y2 (ja) 変速操作装置
JPS629144Y2 (ko)
JP2001108094A (ja) 作業機の前後進切換え機構
JPH03189420A (ja) ボールクラッチの係合装置
JP3229959B2 (ja) 農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