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500B1 -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500B1
KR930011500B1 KR1019910003482A KR910003482A KR930011500B1 KR 930011500 B1 KR930011500 B1 KR 930011500B1 KR 1019910003482 A KR1019910003482 A KR 1019910003482A KR 910003482 A KR910003482 A KR 910003482A KR 930011500 B1 KR930011500 B1 KR 93001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xide film
silicon nitride
nitride film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893A (ko
Inventor
반천수
김윤기
김병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3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500B1/ko
Priority to JP3231863A priority patent/JPH04278534A/ja
Priority to US07/822,139 priority patent/US5252511A/en
Publication of KR92001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0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e.g. LOCOS, SWAMI, SIL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0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e.g. LOCOS, SWAMI, SILO
    • H01L21/76213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e.g. LOCOS, SWAMI, SILO introducing electrical inactive or active impurities in the local oxidation region, e.g. to alter LOCOS oxide growth characteristics or for additional isolation purpose
    • H01L21/76216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e.g. LOCOS, SWAMI, SILO introducing electrical inactive or active impurities in the local oxidation region, e.g. to alter LOCOS oxide growth characteristics or for additional isolation purpose introducing electrical active impurities in the local oxidation region for the sole purpose of creating channel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cal Oxidation Of Silicon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제1a도는 내지 1f도는 종래의 FMPBL 방법을 이용한 소자분리 영역의 형성공정을 도시한 공정 순서도.
제2a도 내지 제2e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분리 영역의 형성공정을 도시한 일실시예의 공정 순서도.
제3a도 내지 제3e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분리 영역의 형성공정을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공정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반도체기판 12 : 패드 산화막
13 : 폴리 실리콘막 14 : 제1실리콘 질화막
15 : 제2실리콘 질화막 15a : 질화막 스페이서
16 : 산화막 16a : 산화막 스페이서
17 : 채널스톱영역 18 : 필드 산화막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즈비크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장치가 고집적화되면서 소자분리 면적을 최소로 줄여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소자설계 치수가 서브마이크론으로 줄어들게 되므로써 더욱 개선된 소자분리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소자분리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LOCOS 방법에서의 버즈비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ILO(Sealed Interface Local Oxidation)와 PBL(Poly Buffered LOCOS)와 같은 개선된 LOCOS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소자의 항복전압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널스톱층의 불순물 농도를 고농도로 할 수 없어 펀치스루우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채널스톱층의 불순물 농도도를 고농도로 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 바 종래의 개선된 소자분리 방법으로서 FMPBL(Framed Mask Poly-Buffered LOCOS)법을 제1a도 내지 제1f도에 도시하였다.
제1a도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상에 150Å 정도의 패드산화막(2)를 성장시킨 다음 그 위에 500Å 정도의 폴리산화막(3)과 제1실리콘 질화막(4)을 침적하고 액티브 영역을 한정하기 위하여 사진식각방법에 의해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40을 패터닝한다. 다음에 제2실리콘 질화막(5)을 전표면에 1000Å 두께로 침적한다(제1b도 도시). 이어서 상기 제2실리콘 질화막(5)을 이방성 식각하여 스페이서(5a)를 형성한 다음 상기 스페이서(5a)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채널 스톱영역(6)을 형성한다(제1c도 도시). 그 다음 1000℃의 습식분위기에서 약 6500Å 정도의 필드산화막(7)을 성장시킨다(제1d도 도시). 다음에 액티브 영역상의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4) 및 폴리실리콘막(3)을 순차적으로 제거하고(제1e도 도시)에치백 공정을 통하여 소자분리 공정을 완성한다(제1f도 도시).
그러나 상술한 종래 방법을 이용한 소자분리 방법에 있어서 접합 파괴 전압의 저하방지 및 펀치스루우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스페이서의 형성시 스페이서의 간격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제2실리콘 질화막의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데 이 두꺼운 제2실리콘 질화막으로 인해 이방성 식각시 과도식각되는 제1실리콘 질화막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불순물 이온 주입시 부분적으로 불순물이 액티브 영역으로 주입되어 소자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후속공정의 필드산화막 성장시 두꺼운 스페이서용 제2실리콘질화막과 인접하는 부분에 스트레스가 많이 가해지며 필드산화막의 에치백공정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상기 부분이 식각이 많이 되어 오목하게 들어가게 되어 추후 사진 공정에서 노칭(notching)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즈비크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소자분리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기판상에 패드 산화막을 성장시키고 이 패드 산화막위에 폴리 실리콘막 및 제1실리콘 질화막을 침적시키는 공정, 상기 침적공정이후 소자형성영역과 필드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을 제거하여 패터닝하는 공정, 상기 패터닝공정이후, 전표면에 얇은 제2실리콘 질화막 및 두꺼운 산화막을 침적하는 공정, 상기 침적공정이후, 산화막 및 질화막 스페이서를 제거한 다음 필드 산화막을 성장시키는 공정 및 상기 필드 산화막의 성정공정이후,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 질화막 스페이서, 폴리 실리콘막 및 패드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을 제거하여 패터닝하는 공정에 있어서 제1실리콘 질화막 및 폴리 실리콘막의 일부까지 제거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소자분리막을 기판의 종심 깊이까지 형성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유효소자분리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2a도 내지 제2e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분리 영역의 형성공정을 도시한 일 실시에의 공정 순서도이다.
제2a도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상에 200~500Å 정도의 패드 산화막(12)을 성정시킨 다음 그 위에 1000~2000Å 정도의 폴리 실리콘막(13) 및 1000~2000Å 정도의 제1실리콘 질화막(1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액티브 영역을 한정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사진식각법에 의해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14)을 제거하여 패터닝한다.
다음에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표면에 300~500Å 정도의 제2실리콘 질화막(15) 및 1000~3000Å 정도의 산화막(16)을 형성한다.
제2c도를 참조하면, 상기 산화막(16) 및 제2실리콘 질화막(15)을 이방성 식각하여 산화막 스페이스(16a) 및 질화막 스페이서(15a)를 형성한 다음 상기 스페이서(16a,15a)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채널 스톱영역(17)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16a)에 의하여 채널저지 이온 주입시 가장자리가 마스킹되는 장점이 있다.
제2d도를 참조하면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16a)를 습식식각법으로 제거한 다음 습식 산화에 의해 필드산화막(18)을 성장시킨다.
이때 L자형의 질화막 스페이서(15a)가 필드 산화막 성장시 산소원소의 측면 확산을 막아주기 때문에 버즈비크의 성장이 억제되며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15a)의 두께가 얇아 성장되는 필드 산화막의 경계면에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14), 질화막 스페이서(15a), 폴리실리콘막(13) 및 패드 산화막(12)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제2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분리 공정을 완성한다.
이때 종래의 방법에 의한 경우 스페이서용 실리콘 질화막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스페이서와 인접하는 부분의 필드 산화막에 스트레스가 많이 가해지게 되어 후속 에치백 공정에서 스트레스를 받은 부분이 많이 식각되어 오목하게 들어가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용 제2실리콘 질화막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필드 산화막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없으며 따라서 후속 에치백 공정에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면 제3a도 내지 제3e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분리 영역의 형성공정을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공정 순서도이다.
제3a도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상에 200~500Å 정도의 패드 산화막(12)을 성장시킨 다음 그 위에 1000~2000Å 정도의 폴리 실리콘막(13) 및 1000~2000Å 정도의 제1실리콘 질화막(1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액티브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통상적인 사진식각법에 의해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14) 및 폴리 실리콘막(13)의 일부까지 제거하여 패터닝한다.
이하의 제3b도 내지 제3e도 공정은 상기 제2b도 내지 제2e도 공정과 동일하다.
이하 같이 폴리 실리콘막(13)의 일부까지 식각하여 줌으로써 필드 산화막을 깊이 매몰시켜 유효소자 분리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 산화막 스페이서(16a)를 제거한 다음 필드 산화막(18)을 성장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16a)를 제4거하지 않고 필드 산화막(18)을 성장시킨 다음 제1실리콘 질화막(14), 산화막 스페이서(16a), 질화막 스페이서(15a), 폴리 실리콘막(13) 및 패드 산화막(12)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도 필드 산화막의 성장시 필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제2실리콘 질화막이 산화막의 측면확산을 막아주어 소자분리 영역에서 소자형성 영역으로 형성되는 버즈비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64M DRAM 이상의 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소자분리에 유용하다.

Claims (11)

  1. 반도체 기판상에 패드 산화막을 성장시키고, 이 패드 산화막위에 폴리 실리콘막 및 제1실리콘 질화막을 침적시키는 공정; 상기 침적공정이후 소자형성영역과 필드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을 제거하여 패텅하는 공정; 상기 패터닝공정이후, 전표면에 얇은 제2실리콘 질화막 및 두꺼운 산화막을 침적하는 공정; 상기 침적공정이후, 산화막 및 질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한 다음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 상기 불순물의 이온주입공정이후,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를 제거한 다음 필드 산화막을 성장시키는 공정; 및 상기 필드산화막의 성장공정이후,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 질화막 스페이서, 폴리 실리콘막 및 패드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리콘 질화막은 300~5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1000~30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형성은 상기 산화막 및 제1실리콘 질화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의 제거는 습식식각법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6. 반도체기판상에 패드 산화막을 성장시키고 이 패드 산화막위에 폴리실리콘막 및 제1실리콘 질화막을 침적시키는 공정; 상기 침적공정이후, 소자형성영역과 필드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 및 폴리 실리콘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패터닝하는 공정; 상기 패터닝공정이후, 전표면에 얇은 제2실리콘질화막 및 두꺼운 산화막을 침적하는 공정; 상기 침적공정이후, 산화막 및 질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한 다음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 상기 불순물의 이온주입공정이후,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를 제거한 다음 필드 산화막을 성장시키는 공정; 및 상기 필드 산화막의 성장공정이후,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 질화막 스페이서, 폴리 실로콘막 및 패드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은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리콘 질화막은 300~5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1000~30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형성은 상기 산화막 및 제2실리콘 질화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의 제거는 습식식각법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11. 반도체 기판상에 패드 산화막을 성장시키고 이 패드 산화막위에 폴리 실리콘막 및 제1실리콘 질화막을 침적시키는 공정; 상기 침적공적이후 소자형성영역과 필드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을 제거하여 패터닝하는 공정; 상기 패터닝공정이후, 전표면에 얇은 제2실리콘 질화막 및 두꺼운 산화막르 침적하는 공정; 상기 침적공정이후, 산화막 및 질화막 스페이서를 형서한 다음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 상기 불순물의 이온주입공정이후, 필드 산화막을 성장시키는 공정; 및 상기 필드산화막의 성장공정이후, 상기 제1실리콘 질화막, 산화막 스페이서, 질화막 스페이서, 폴리 실리콘막 및 패드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KR1019910003482A 1991-03-04 1991-03-04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KR93001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3482A KR930011500B1 (ko) 1991-03-04 1991-03-04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JP3231863A JPH04278534A (ja) 1991-03-04 1991-09-11 半導体装置の素子分離方法
US07/822,139 US5252511A (en) 1991-03-04 1992-01-17 Isolation method in a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3482A KR930011500B1 (ko) 1991-03-04 1991-03-04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893A KR920018893A (ko) 1992-10-22
KR930011500B1 true KR930011500B1 (ko) 1993-12-08

Family

ID=1931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482A KR930011500B1 (ko) 1991-03-04 1991-03-04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52511A (ko)
JP (1) JPH04278534A (ko)
KR (1) KR930011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976B1 (ko) * 1993-05-21 1996-05-25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필드 산화막 제조 방법
KR960011861B1 (ko) * 1993-06-10 1996-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KR970003731B1 (ko) * 1993-10-14 1997-03-21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소자 격리막 제조방법
KR0136518B1 (en) * 1994-04-01 1998-04-24 Hyundai Electroncis Ind Co Ltd Method for forming a field oxide layer
GB2326025B (en) * 1994-07-06 1999-03-24 Hyundai Electronics Ind Method of forming a field oxide film in a semicondutor device
GB2291261B (en) * 1994-07-06 1999-03-24 Hyundai Electronics Ind Method of forming a field oxide film in a semiconductor device
JPH11214384A (ja) * 1998-01-28 199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223014B2 (en) * 2003-03-28 2007-05-29 Intempco Controls Ltd. Remotely programmable integrated sensor transmitter
US7319570B2 (en) 2005-09-19 2008-01-15 Seagate Technology Llc Random vibration and shock compensator using a disturbance observ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5533A (ja) * 1984-07-27 1986-02-20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1100944A (ja) * 1984-10-22 1986-05-19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3204746A (ja) * 1987-02-20 1988-08-24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3271955A (ja) * 1987-04-28 1988-11-09 Nec Corp 半導体装置の選択酸化分離方法
JPH088298B2 (ja) * 1988-10-04 1996-01-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52511A (en) 1993-10-12
JPH04278534A (ja) 1992-10-05
KR920018893A (ko) 199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7364A (en) Method for locos isolation using a framed oxidation mask and a polysilicon buffer layer
US5175119A (en) Method of producing insulated-gate field effect transistor
EP0526212B1 (en) Method of forming isolated regions of oxide
JP2812811B2 (ja) 半導体装置のフィールド酸化膜形成方法
JPH04346229A (ja) 半導体装置の素子分離方法
KR930010987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US4950618A (en) Masking scheme for silicon dioxide mesa formation
KR930011500B1 (ko)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US5972777A (en) Method of forming isolation by nitrogen implant to reduce bird's beak
US5397732A (en) PBLOCOS with sandwiched thin silicon nitride layer
KR0152909B1 (ko) 반도체장치의 격리구조의 제조방법
KR960011859B1 (ko) 반도체 소자의 필드 산화막 형성방법
US5763316A (en) Substrate isolation process to minimize junction leakage
KR100297169B1 (ko) 반도체소자의소자분리방법
KR100192596B1 (ko) 매몰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950001301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KR0175035B1 (ko) 이중막 스페이서를 이용한 금속실리사이드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930005237B1 (ko)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KR100256228B1 (ko) 반도체 소자의 분리막 형성방법
KR910008978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960014450B1 (ko) 반도체 소자 격리방법
KR940004252B1 (ko) 로컬폴리 산화물을 이용한 격리의 제조방법
KR930005236B1 (ko) 반도체소자 제조공정중의 새부리 형상 제거방법
KR930006131B1 (ko) 반도체장치의 소자격리방법
KR940006082B1 (ko) 반도체 소자의 분리(isolation)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