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464B1 -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464B1
KR930010464B1 KR1019890000314A KR890000314A KR930010464B1 KR 930010464 B1 KR930010464 B1 KR 930010464B1 KR 1019890000314 A KR1019890000314 A KR 1019890000314A KR 890000314 A KR890000314 A KR 890000314A KR 930010464 B1 KR930010464 B1 KR 93001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foam
styrene
polym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929A (ko
Inventor
다까시 스미또모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 쇼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 쇼스께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스티렌계 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은 바와 같이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에 관한 것이며,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종래, 아탁틱(atactic)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계 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은 발포체는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아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은 발포체는 발포스티롤 또는 기포스티롤로 폭넓게 사용하였다.
발포체 스틸로 및 발포 폴리에틸렌은 저발포율이 합성 목재로 건축자재로 사용하고 그리고 고발포율이 단열재로 사용할지라도 내열성에서 만족하기에는 불충분하다.
특히 발포스티롤은 유리변에 온도에서 100℃를 초과할 경우, 열변형이 일어나고 또한 발포 폴리에틸렌은 135℃를 초과할 경우, 열변형이 일어난다.
본 발명자단은 높은 신디오탁티서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계속 개발하여 왔으며, 그리고 더욱이 높은 신디오탁티서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일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104818/1987,259748/1987 그리고 257950/1987).
신디오탁티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을 아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과 비교하여 기계적 강도 및 열저항성(내열성)과 같은 성질에서 우수하다.
더욱이 상기의 발명의 토대로 조사해 보면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을 기포제를 사용하여 발포한 것을 볼 수 있으며, 그 발포체는 종래의 발포스티롤보다 내열성이 무척 강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가 내열성에서 우수한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가 내열성에서 우수하며 또한, 요구한 발포율을 갖게 하는데 있다.
또한 여전히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기포체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얻은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우기,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기포제 존재시에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소재로 사용한다.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는 가지 사슬이 C-C 결합을 형성한 주사슬에 대하여 반대 위치에 교대로 놓인 페날기 또는 치환 페닐기와 같은 입체 구조를 주로 갖는 중합체를 표현한다.
탁티서티는 탄소 동위체를 사용하여 핵자기 공명법에 의해 정량적으로 측정한다.(13C-NMR법).13C-NMR법에 의해 측정한 탁티서티는 계속적으로 서로 접촉한 구성 단위의 비율, 즉 두개의 구성 단위가 서로 결합한 것을 디아드(dida), 세계의 구성 단위가 서로 결합한 것을 트리아드(triad) 그리고 다섯개의 구성 단위가 서로 결합한 것을 펜타드(pentad) 표현으로 나타낸다.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는 디아드에서 비율이 적어도 7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또는 펜타드에서 비율(라세미 펜타드)이 적어도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와 같은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다.
스티렌계 중합체는 폴리스티렌, 폴리(알킬스티렌), 폴리(할로겐화스티렌), 폴리(알콕시스티렌), 폴리(비닐 벤조네이트) 그리고 그들의 혼합물 또는 주요성분으로서 상기 중합체를 함유한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폴리(알킬스티렌)은 폴리메틸스티렌, 폴리에틸스티렌, 폴리이소프로필스티렌 그리고 폴리(테르트-부틸-스티렌)을 함유한다. 폴리(할로겐화스티렌)은 폴리클로로스티렌, 폴리브로모스티렌 그리고 폴리플루오로스티렌을 포함한다.
폴리(알콕스티렌)은 폴리메톡시스티렌과 폴리에톡시스티렌을 함유한다.
이러한 중합체 중에서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m-메틸스티렌), 폴리(P-테르트-부틸스티렌), 폴리(P-클로로스티렌), 폴리(m-클로로스티렌), 폴리(P-플루오로 스티렌) 그리고 스티렌 및 P-메틸스티렌의 공중합체등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한 스티렌계 중합체는 분자량에서 한정이 없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적어도 10,000에서 바람직하며, 특히 적어도 50,000에 바람직하다. 분자량 분포는 제한이 없으며, 넓거나 좁아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한 스티렌계 중합체는 예를 들면 티타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스티렌계 단량체(상기의 스티렌계 중합체에 따라서)를 중합화 그리고 불활성 탄화수소용매 존재시 또는 용매가 없을 시에 물과 트리알킬알루미늄을 축합하여 생산할 수 있다(일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187708/1987).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중합체에 기타 성분을 첨가하여 얻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발포체의 제조에 기초 소재로 사용한다.
이러한 스티렌계 중합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타 성분은 이러한 스티렌계 중합체 이외 고무상 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다. 첨가물에서 윤활제, 산화방지제, 무기충진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난연제, 대전방지체, 착색제와 같은 다양한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다.
각종 고무상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적합한 것은 한 성분으로 스티렌계 화합물을 함유한 고무상 공중합체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부타디엔 부분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할로겐화에 의하여 얻은 고무(SEBS), 스테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SBR), 메틸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 아크릴로 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ABS 고무), 아크릴로 나이트릴-알킬 아크릴산-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AABS), 메탈메타크릴산-알킬 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고무(MAS), 그리고 메틸메타크릴산-알킬 아크릴산-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MABS) 등이 있다.
스티렌 단위를 함유한 모든 중찹체 때문에 이들을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여서 분산성이 좋으며 또한 물리적 성질이 매우 향상됨을 볼 수 있다. 고무상 중합체의 기타 예를 들면은 천연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티렌, 노오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폴리술파이드 고무, 티오콜,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고무 그리고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 고무 등을 함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종 열가소성 수지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 이외 것을 발포체 등의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탁틱 폴리스티렌, 이소탁틱 폴리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중합체 뿐만 아니라, AS 수지 및 ABS 수지,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 폴리카본산, 폴리에테르(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술폰 그리고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미드 그리고 폴리옥시메틸렌 등과 같은 축합 중합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레이트 그리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에이트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4-메틸펜턴-1) 그리고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덴클로라이드 그리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와 같은 할로겐을 함유한 화합물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 중에 아탁틱 폴리스티렌, 이소탁틱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 에티르(PPo) 또는 그 혼합물은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이 적합하며, 그런 까닭에 점도 및 결정화의 속도가 용융시에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중합체의 양, 형태 그리고 분자량을 선택하여 접근함으로써 종래 결정질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및 비결정질 수지(예를 들면, 아탁틱 폴리스티렌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에서 사용한 발포성형법을 적용할 수 있다.
고무상 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거의 양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고무상 중합체의 양은 10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적당히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의 100중량부에 대해 5-7중량부이며, 그리고 열가소성 수지의 양은 1,00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의 100중량부에 대해 1-200중량부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고무상 중합체 또는 기타 열가소성 수지를 기초 재료로 사용하며, 그리고 발포제를 여기에 첨가한다.
발표하기 위해 상기 기초 소재를 발포제의 존재시에 가열한다.
발포제를 발포(기포)하기 전 또는 발포시에 기초 소재와 혼합하여야 한다. 발포 전에 발포제를 혼합한 방법은 예를 들면, 발포제를 스티렌계 단량체를 중합화에 의해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생산시에 혼합한 방법, 기초 소재로 중합체분을 발포제에 침투시킨 방법 그리고 발포제를 중합분체 또는 펠리트와 혼합하여 건조한 방법 등이 포함하다.
침투법을 사용할 때, 침투성은 상기의 언급한 수지를 혼합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탁틱 폴리스티렌의 소량을 첨가하여 액체 발포제의 침투성 특히 용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발포에서 발포제 혼합법은 예를 들면, 발포제를 중합체분 또는 펠리트와 혼합하여 건조한 발포제 혼합법 그리고 프로필렌, 메틸, 클로라이드 또는 프레언 가스 등을 압출스크루 성형기계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불어넣는 것과 같은 실온에서 기체 발포제에 의한 발포제 혼합법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발포는 상기의 언급한 가열 발포에 의해 발포성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수지 조성물을 먼저 제조하며, 이때 각종 방법에 의해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포 및 성형(발포)을 동시에 실시한 것을 가열 발포에 의해 또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또는 가열 발포는 응착성형,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 같은 알려진 기술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가열 발포에서 성형온도는 200-330℃이며, 바람직하게는 260-310℃며, 기초 소재가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일 때는 120-330℃며, 바람직하게는 150-310℃며, 이때 기초 소재는 스티렌계 중합체 및 고무상 중합체 또는 기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것을 발포제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반적으로 휘발선 발포제 또는 분해성 발포제로 사용한 하나 이상은 하나로 또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포제는 발포촉진제, 발포지연제, 발포핵제 등과 같은 발포 보조물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휘발방 발포제로서 대기압하 실온에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용해 또는 팽윤하지 않는 것 그리고 더욱이 기초 소재의 가열성형 온도(150-310℃)보다 낮은 비등점을 갖는 것과 같은 유체를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휘발성 발포제의 예를 들면은 실온에서 액체인 탄화수소, 알코올,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그리고 할로겐화 탄화수소 등이 있다.
5-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탄화수소류인 구체적인 예를 들면은 헥산, 헵탄, 옥탄 그리고 데칸 등이 있으며, 실온에서 기체인 휘발성 발포제의 예를 들면은 프로판, 메틸클로라이드 그리고 프레온 가스(예를 들면 프레온 12) 등이 있다.
분해성 발포제로서 실온에서 안전하며 또한 사용하기 위해 기초 소재의 가열성형 온도(150-310℃)에 분해온도를 가지며, 이때 분해할 때 질소가스와 같은 것을 제조하는 한 다양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해성 발포제를 두 가지 그룹인 무기 발포제 및 유기 발포제로 나눌 수 있다. 무기 발포제의 예를 들면은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아지드화합물(예를 들면 CaNb 및 BaNb) 그리고 아질산 암모늄 등이 있다.
유기 발포제의 예를 들면은 하이드라진-벤질축합물, 유기카보닐라지드, 아조비스알킬포스포네이트, 테트라하이드로디옥진 등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아조디카본아미드(ADCA), 아조비스포마미드(ABFA), 아조비스이소부티로나이트릴(AEDN), 디아조아민노벤젠(DAB), N,N'-디니아트로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DPT), N,N'-디메틸-N,N'-디나이트로테레프탈아미드(DMDNTA) 벤젠술폰닐하이드라지드(BSH), P-톨루엔술폰닐하이드라지드(TSH), P,P'-옥시비스벤젠술폰닐하드라지드(DBSH), P'-톨루엔술폰닐세미카바지드, 옥사질하드라지드, 나이트로구아니딘, 하드라조디카본아미드, 바룸아조디카복실레이트, 트리하이드라지노트리아진 등이 있다.
발포제 양을 형태 및 제조하기 위해 발포체의 발포 비율 등의 변화에 따라 첨가하며, 그리고 상황에 따라 첨가하며, 그리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발포제는 보통 0.05-50중량부의 양을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의 100중량부에 대한 -0.1-35중량부의 양을 첨가한다.
상기와 같이 필요한 경우에 발포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발포 촉진을 작용한 발포 보조제로서, 발포제가 중탄산나트륨; 요소와 지방산 암모늄염 또는 프탈산모노우레이도의 조합물, DTP; 보리산염, OBSH일 때, 시트린산은 효과적이다.
더욱이, 알려진 발포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발포핵제로서 작용한 발포 보조제를 성취끝부에 넣고 또한, 균일한 발포에 첨가한다.
예를 들면 금속비누, 즉 마그네슘스테아린산 그리고 실리카 및 탈크와 같은 무기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는 발포비율이 12×80를 가지며, 결정은 적어도 20%, 즉 밀도 0.84-0.013g/㎤ 및 용융점 160-330℃, 그리고 열저항에서 우수하다.
발포비율이 1.2 이하인 경우에는 발포체로서 특서 및 가벼운 무게와 가열 절연체와 같은 특성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기 기포를 일정하게 실시할 수 없으며, 이렇게 물리적 성질 및 외관이 종래의 성형에 비하여 떨어진다. 반면에 발포율이 80 이상일 경우에 발포체는 발포율이 증가에 물리적 성질이 떨어짐에 따라 물리적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결정화가 20% 이하일 경우에 내열성은 유리전이 온도의 부근이기 때문에 종래의 폴리스티렌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발포체는 형태에서 제한이 없으며, 그리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슬, 시이트, 컵, 쟁반 또는 바(bar)와 같은 형태 그리고 기타 입체성형 등과 같은 형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요구한 발포율 및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발포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발포체는 밀도 0.0125-0.87 그리고 용융점 150-310℃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는 건축자재, 가열절연체, 완충체 그리고 높은 내열성을 요구한 것들 등을 제조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의 표현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예 1]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테렌의 제조
반응기에 용매로서 톨루엔 2ℓ(ℓ=liter), 촉매성분으로 메틸알루미녹산 500mmol(알루미늄 원자로 산출함) 및 테트라에톡시티타륨 5mmol, 그리고 스티렌 15ℓ 등을 넣고 그리고 중합화를 50℃에서 54시간 동안 실시한다.
중합 후, 반응 생성물을 촉매성분을 분리 및 제거하기 위해 염산 및 메탄올의 혼합액으로 세척하고 이때, 스티렌계 중합체(폴리스티렌)의 2.5kg을 얻기 위해 말린다.
이 중합체는, 추출 잔류물 95중량%를 얻기 위해 속실레트 추출기에서 용매로 메틸, 에틸, 케톤으로 하여 추출한다.
추출 잔류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00이다. 중합체의13C-NMR분석(용매 : 1.2-디클로로벤젠)에서 신디오탁틱 구조에 기인하여 145.35PPm에서 시그날을 관찰하며, 피이크 영역에 기초한 결정으로 라세미 펜타드에서 신디오탁티서티는 96%이다.
[실시예 1]
헥산 40중량부와 메탄올 60중량부의 혼합용매에서 참고예 1에서 얻은 폴리스티렌분의 500중량부를 휘발성 액체로 혼합된 용매에 침투시켜 25℃에서 24시간 동안 실시한다.
이때, 휘발성 액체에 침투한 폴리스티렌분 3g을 융착 압축성형을 위해 금형(10cm×10cm×0.3cm 용량 9에서 실시하며, 290℃에서 3분간 유지한다.
여기에서 발포체가 얻어진다. 효과적인 발포율은 다음의 방정식에 의해서 결한다.
효과적인 발포율=
Figure kpo00001
여기서, Po : 발포처리(g/㎤)를 행하지 않은 성형밀도(g/㎤), P : 발포체 밀도(g/㎤) 열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해 용융 온도와 결정화를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ter(DSC)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2]
참고예 1에서 얻은 촐리스티렌분의 100중량부에 발포핵제로서 탈크(상품명 : FFR), 평균 입자지름 : 0.6㎛ : 아사다세이푼사제)의 1중량부, 산화방지제로 비스(2.4-디-테르트-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피트(상품명 : PEP-24 : 아데카 아가스사제)의 0.7중량부 그리고 테트라퀴스(메틸렌(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상품명 : AO-60 : 아데카아가스사제)의 0.1중량부를 첨가하고, 그리고 얻어진 혼합물을 싱글 스크루 추출기를 사용하여 펠리트화한다. 이들 펠리트는 오토클레브에서 실시하며 데칸의 400중량부를 이곳에 첨가한다.
얻어진 혼합물은 174℃까지 가열하고, 끓는 동안 48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발포성 폴리스티렌 펠리트(구슬)을 얻기 위해 공기로 건조한다. 이들 펠리트는 T 금형을 갖춘 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290℃에서 시이트 형상에서 압출성형화한다. 이렇게 얻은 시이트 밀도 및 용융점을 측정한다.
결과는 표 1에서 나타난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얻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펠리트는 JIS-1(1/2) 형태 인장 시험편을 얻기 위해 미니매트 사출성형기(스미토모 쥬끼사제)를 사용하여 수지온도 300℃ 및 성형온도 160℃에서 녹인다. 이 시험편에서 밀도 및 용해 온도를 측정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얘 4]
참고예 1에서 얻은 폴리스티렌분의 40중량부에 아탁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상품명 : 이데미쯔 스티롤㎲-300 : 이데미쯔 석유 화학사제)의 40중량부, SEBS 고무(상품명 : G-1652 : 쉘가가꾸사제)의 20중량부, 발포핵제로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의 0.5중량부, 산화방지제로 비스(2.4-디-테르트-부틸페닐) 펜타에에 티트리톨 디포스피드(상품명 : PEP-24 : 아데카 아구스 화학사제) 0.7중량부 그리고 테트라퀴스-(메틸렌(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로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상품명 : AO-60 : 이데까 아구스 화학사제)의 0.1중량부를 넣고 그리고 얻어진 혼합물을 단일 스크류 추출기를 사용하여 290℃에서 펠리트화한다.
펠리트 100중량부에 아조디카본아마드의 5중량부를 첨가하고 이것을 혼합하여 건조한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시이트형으로 압출성형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액체 침투된 폴리스티렌분의 100중량부에 발포제로서 중탄산나트륨 0.4중량부 및 발포 보조물로서 구연산 0.2중량부를 첨가하고, 이때 이것을 혼합하여 건조한다.
얻어진 혼합물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융착프레스 성형을 실시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이싸.
[실시예 6]
참고예 1에서 얻은 폴리스티렌분의 펠리트화에서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프로필렌가스는 프로필렌가스를 함유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펠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호퍼(hopper) 내압으로 밀폐된 것을 통해 폴리스피티렌분 10kg을 압력하에 보내어진다. 발포성 폴리스티렌 펠리트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융착 프레스 성형을 실시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참고예 2]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의 제조
반응기에 용매로서 헥산 1ℓ, 그리고 촉매성분으로 테트라에톡시티타튬 0.75mmol 및 메틸알루미녹산 75mmol(알루미늄 원자로 계산함)을 넣고 그리고 스티렌 5ℓ를 첨가하고 50℃에서 2시간 동안 중합화한다.
중합 후, 생산물은 촉매성분을 분리 및 제거하기 위해 염산 및 메탄올의 혼합으로 세척하고, 이때 스티렌계 중합체(폴리스티렌) 108g을 얻기 위해 건조한다.
이 중합체는 추출 잔류물 95중량%을 얻기 위해 속실대트에서 메틸 에틸 케톤으로 추출한다.
이 추출 잔류물은 42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수평균 분자량 196,000 그리고 용융점 270℃를 갖는다.
중합체13C-NMR분석(용매 : 1.2-디클로로벤젠)에서, 신디오탁틱 구조에 기인한 145,35PPm에서 시그날을 관찰한다. 피이크 영역에서 산출한 타세미펜타드에 있어서 신디오탁티서티는 95%이다.
[실시예 7]
참고예 2에서 얻은 폴리스티렌은 헥산에 침투하여, 이때 폴리스티렌분을 함유한 헥산을 얻기 위해 건조한다.
이 폴리스티렌분을 함유한 헥산은 실시예 3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사출성형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비교예 1]
참고예 1에서 얻은 폴리스티렌분의 100중량부에 산화방지제로 비스(2.4-디-데리트-부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피트(상품명 : PEP-24 : 아데카 아가스사제)의 0.7중량부 그리고 테트라퀴스(메틸렌(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상품명 : AO-60 : 아데카 아가스사제)의 0.1중량부를 첨가하고, 그리고 얻어진 혼합물을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리트화한다.
펠리트는 실시예 3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사출성형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비교예 2]
실시예 2의 순서는 폴리에틸렌 펠리트(상품명 : 이데미쯔폴리에틸렌 540 E : 이데미쯔 석유화학사제)를 폴리스티렌 펠리트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비교예 3]
실시예 2의 순서는 아탁틱 구조를 갖는 폴리에틸렌 펠리트(상품명 : 이데미쯔 스티롤 ㎲-300 : 이데미쯔 석유화학사제)을 폴리스티렌 펠리트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kpo00002
* 발포가 없는 폴리에틸렌 성형의 밀도(Po) 0.95g/㎤와 같이 계산함.
* 용융점은 측정할 수 없으며, 유리변이온도는 측정된다.

Claims (9)

  1.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상기의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발포제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얻은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2. 제1항에 있어서, 발포제의 양은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의 100중량부에 대해 0.05-50중량부인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3. 제1항에 있어서, 밀도가 0.0125-0.87 및 용융점 150-310℃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4. 제1항에 있어서, 발포율이 1.2-80 및 결정화가 적어도 20%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5.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의 100중량부, 고무상 중합체의 5-70중량부 그리고 스티렌계 중합체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의 1-200중량부를 조합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6. 제1항에 있어서, 형태가 구슬, 펠리트 또는 시이트를 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7. 주로 신디오탁탁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발포제의 존재시에 상기의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구성된 열가소성 수지 또는 발포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발포체의 존재시에 상기의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고 그리고 이때, 가열된 혼합물을 상형한 것을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9. 주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발포체의 존재시에 상기의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는 동안 성형한 것을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9890000314A 1988-01-13 1989-01-13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930010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845 1988-01-13
JP3845 1988-01-13
JP63003845A JPH07119306B2 (ja) 1988-01-13 1988-01-13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929A KR890011929A (ko) 1989-08-23
KR930010464B1 true KR930010464B1 (ko) 1993-10-25

Family

ID=1156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314A KR930010464B1 (ko) 1988-01-13 1989-01-13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37272A (ko)
EP (1) EP0324397B1 (ko)
JP (1) JPH07119306B2 (ko)
KR (1) KR930010464B1 (ko)
AT (1) ATE136047T1 (ko)
AU (1) AU607032B2 (ko)
CA (1) CA1320309C (ko)
DE (1) DE68926056T2 (ko)
FI (1) FI983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3857A1 (en) * 1987-10-20 1989-05-05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Styrenic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resin molding
US4859339A (en) * 1988-02-11 1989-08-22 The Dow Chemical Company Microporous membranes of syndiotactic vinylaromatic polymers
DE3908238A1 (de) * 1989-03-14 1990-09-20 Basf Ag Expandierbare styrolpolymeris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U628651B2 (en) * 1989-10-13 1992-09-17 Idemitsu Kosan Co. Ltd Styrene polymer composition
US5128073A (en) * 1989-10-26 1992-07-07 General Electric Company Expanding thermoplastic resin beads with very high frequency energy
US5703164A (en) * 1990-09-12 1997-12-30 Idemitsu Kosan Co., Ltd. Styrene polymer composition
US5378747A (en) * 1992-12-28 1995-01-03 Phillips Petroleum Company Ethylene polymer compositions
DE4416861A1 (de) * 1994-05-13 1995-11-16 Basf Ag Expandierbare Styrolpolymerisate
US5661191A (en) * 1995-01-13 1997-08-26 Mitsubishi Chemical Basf Company Limited Expandable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beads, expanded beads thereof, and expanded molded articles obtained therefrom
US5610455A (en) * 1995-06-29 1997-03-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et containing syndiotactic vinyl aromatic polymer
US5869154A (en) * 1996-03-21 1999-02-09 Fort James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having special colors and decoration added thereto
EP0810263B1 (en) * 1996-05-29 2001-01-10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A block copolymer-based elastomeric composition
US5889069A (en) * 1997-07-15 1999-03-30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 temperature syndiotactic styrene polymer foam
JP4494591B2 (ja) * 2000-06-02 2010-06-3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クッション用のゲル
JP4782371B2 (ja) * 2003-10-02 2011-09-28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スチレン系重合体発泡粒子、スチレン系重合体発泡粒子成形体及びスチレン系重合体発泡粒子の製造方法
JP2013227537A (ja) * 2012-03-27 2013-11-07 Sekisui Plastics Co Ltd 発泡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粒子とその製造方法、予備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US8679607B2 (en) * 2012-07-12 2014-03-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amable article
IT201600080035A1 (it) * 2016-07-29 2018-01-29 Versalis Spa Composizioni polimeriche espandibili a blocchi
DE102019109820A1 (de) * 2019-04-12 2020-10-15 Parat Beteiligung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ächenhaft ausgebildeten Bauelement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8829A (en) * 1985-07-12 1988-10-18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eparing pre-expanded particles of thermoplastic resin
CA1276748C (en) * 1985-07-29 1990-11-20 Michitake Uoi Styrene polymers
JPS62187708A (ja) * 1985-11-11 1987-08-17 Idemitsu Kosan Co Ltd スチレン系重合体の製造法
DE3620683C1 (de) * 1986-06-20 1987-07-02 Basf Ag Treibmittelhaltige Styrolpolymerisate
US4808680A (en) * 1987-06-08 1989-02-28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ization of vinyl aromatic monomers using cyclopentadienyl zirconium catalysts
US4774301A (en) * 1987-06-08 1988-09-27 The Dow Chemical Company Zirconium containing catalysts and method of use
US4798749A (en) * 1988-04-25 1989-01-17 Arco Chemical Company Isopentane as blowing agent to improve coffee retention in foam cups molded from expandable polystrene
US4839396A (en) * 1988-08-22 1989-06-13 The Dow Chemical Company Expandable and expanded alkenyl aromatic polymer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90155A (fi) 1989-07-14
AU2832089A (en) 1989-07-13
FI890155A0 (fi) 1989-01-12
JPH01182329A (ja) 1989-07-20
KR890011929A (ko) 1989-08-23
EP0324397B1 (en) 1996-03-27
DE68926056D1 (de) 1996-05-02
DE68926056T2 (de) 1996-08-29
AU607032B2 (en) 1991-02-21
FI98304C (fi) 1997-05-26
US4937272A (en) 1990-06-26
JPH07119306B2 (ja) 1995-12-20
CA1320309C (en) 1993-07-13
FI98304B (fi) 1997-02-14
EP0324397A2 (en) 1989-07-19
EP0324397A3 (en) 1990-03-21
ATE136047T1 (de)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464B1 (ko)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US4303756A (en) Process for producing expandable thermoplastic resin beads
US4303757A (en) Process for producing expandable thermoplastic resin beads using polypropylene as nucleus
MXPA02008939A (es) Espuma de polimero de absorcion acustica que tiene funcionamiento mejorado de aislamiento termico.
WO2007099833A1 (ja) スチレン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粒子、発泡性スチレン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粒子、スチレン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スチレン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1124887A1 (en) Process for producing extruded foam
KR101024762B1 (ko) 저 벌크 밀도 폴리스티렌 발포 비드의 제조 방법
CN116635461A (zh) 基于苯乙烯聚合物的可发泡热塑性聚合物颗粒及其制备方法
JPS61118431A (ja) 改良された発泡したポリプロピレン及びその物品
JP3970188B2 (ja) 自己消火型発泡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予備発泡粒子及び自己消火型発泡成形体
JPH0559140B2 (ko)
KR100626135B1 (ko) 스티렌계 발포물의 제조 방법
JPH10502118A (ja) 発泡方法
JPS6215238A (ja) カ−ボン含有スチレン改質発泡性オレフイン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
JP2018100380A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性粒子及びその製法、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その製法、並びに、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法
US7456227B2 (en) Polymer particles and related articles
JPH02248438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CA1120650A (en) Process for producing expandable thermoplastic resin beads
KR100792129B1 (ko) 숯을 포함하는 발포성 스티렌계 수지 입자의 제조방법
JPS5841302B2 (ja) 難燃性を有する発泡性ポリスチレン樹脂組成物
KR100716224B1 (ko) 고기능성을 갖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2단계 제조방법
JPH09263650A (ja) スチレ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20110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法
JPH04272940A (ja) 発泡性粒子と発泡粒子
JPH08281762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