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263B1 -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10263B1 KR930010263B1 KR1019900005466A KR900005466A KR930010263B1 KR 930010263 B1 KR930010263 B1 KR 930010263B1 KR 1019900005466 A KR1019900005466 A KR 1019900005466A KR 900005466 A KR900005466 A KR 900005466A KR 930010263 B1 KR930010263 B1 KR 9300102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 air
- heating chamber
- exhaust port
- heated obje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가열장치의 정면확대도.
제2도는 동 분해사시도.
제3도는 동 기능부품의 블록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증기센서 신호의 경시변화도.
제5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순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사용하는 부품단면도.
제7도는 동 전체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요부 확대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단면도.
제10도~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면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실 2 : 송풍구
3 : 제1배기구 4 : 제2배기구
5 : 마그네트론 6 : 제어부
7 : 증기센서 8 : 환류로
9 : 피가열물 10 : 조작부
11 : 도어 12 : 투시창
13 : 보디 14 : 제2배기가이드
15 : 통기파이프 16 : 배출가이드 A
17 : 배출가이드 B 18 : 냉각팬
19 : 고압트랜스 20 : 에어가이드
21 : 회전대 22 : 램프
23 : 회전대 모우터 24 : 구동수단
25 : 오리피스 26 : 제1배기가이드
27 : 제1배출구 28 : 제2배출구
29 : 센서신호처리수단 30 : 제1식별수단
31 : 제1기록수단 32 : 제2식별수단
33 : 제2기록수단 34 : 문턱치(threshould値) 설정수단
35 : 초전성소자 36 : 전극
37 : 리이드선 38 : 납땜
39 : 금속판 40 : 접착제
41 : 수지막 42 : 좁은통로
43 : 넓은통로 44 : 기기의 외관
본 발명은, 피가열물의 가열상태에 따라서 나오는 기체의 상태를 증기센서에 의해 검출해서, 피가열물의 가열 종료시간을 자동적으로 적당히 결정하여 양호한 가열상태를 실현하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열상태에 있어서 피가열물로부터의 수증기가스등의 상태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는, 가열실내의 공기가 가열실로부터 한번 가열실 밖으로 나와서 다시 가열실로 복귀하는 환류공기로(路)의 안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9-191813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58-127017호 공보이다. 이들의 내용에 의하면, 가열실로부터 기기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로에는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가열실로부터 일단 밖으로 나와서 다시 가열시로 복귀하는 환류로의 안에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이 환류로(路)에 센서를 설치함으로서, 피가열물로부터 다음 수증기 가스의 열이 식지 않고 피가열물과 거의 같은 정도의 온도상태에서 센서에 검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 대해서 검지오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환류로의 가열실쪽의 배기구의 위치가, 가열실내의공기를 기기의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와의 위치관계가 나쁘면, 피가열물로부터의 수증기가스가 환류로에 들어가기전에 송풍구로부터 도입된 외기의 차가운 공기와 혼합됨으로서, 수증기가스의 온도가 낮아져 버린다. 그리고, 자동가열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또 환류로의 안에 센서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피가열물로부터의 수증기가스가 가열실과 환로로의 사이에서 반복 순회하므로, 수증기가스가 나오기 시작할데에는 농도가 증가하여 센서에 의한 검출이 용이하게 되나, 가열을 정지하고 수증기가스가 감소하는 것을 검출하려고 할때나 다음의 가열검지에 대비할 경우에는, 환류로의 안에 수증기가스가 잔류되기 때문에, 다음 가열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일이 늦어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소하는 것으로서, 가열실내에 발생하는 피가열물로부터의 수증기가스가 가열실로 보내지는 송풍에 의해 엷어지기도 하고, 냉각기되도 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환류로의 안에서 피가열물의 가열의 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수증기가스의 증가 및 감소에 대해서 증기센서가 피가열물의 가열상태를 재빨리 감지하므로서 양호한 식품의 가열완성상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가열실에 종래부터 있는 배기구(제1배기구)에 덧붙여서 보조적인 배기구(제2배기구)를 설치하고, 그 제2배기구에 증기센서를 유로적으로 연통시켰다.
또 가열실에 있어서 송풍구로부터 제1배기구로 흐르는 공기류가 피가열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가 제2배기구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지 않도록, 송풍 그 제1배기구, 제2배기구의 위치를 결정했다.
이상과 같이함으로서, 피가열물로부터의 수증기가 제2배기구에 들어가기 전에 송풍구로부터 제1배기구로 흐르는 차가운 공기와 혼합되는 일은 없어지고, 피가열물의 정확한 온도가 지연되지 않고 증기센서에 의해서 검출되게 된다. 또 증기센서는 종래와 같이 환류로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제2배기구에 유로적으로 연동시켰으므로, 가열정지 후에 수증기가 증시센서에 잔류되지 않고, 다음 가열상태변화의 경지에 즉각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열장치에 대해서 도면과함께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열시(1)의 개구부에 도어(11)이 개폐 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1)의 오른쪽면 상부도어(11)에 송풍구(2)가 배치되고, 가열실(1)의 왼쪽면 하부도어(11)쪽으로 제1배기구(3)이 배치되고, 가열실(1)의 천정 거의 중앙부에 제2배기구(4)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배기구가 송풍구와 제1배기구 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1배기구(3)은 제2배기구(4)의 개구면적보다도 큰 개구면적의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1배기구(3)이 송풍구 (2)보다도 아래쪽의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2배기구(4)는 송풍구(2)와 동정도 또는 위쪽의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또 송풍구(2)로부터 가열실(1)로 들어가서 가열실쪽 벽면과 창(12)를 따라가면서 가열시 벽평면의 평면 맞댐부분에서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져서 다음의 평면을 따라서 흐르는 배기공기의 분류(奔流)가 제1배기구(3)으로부터 가열실 밖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흐르는 배기공기의 분류가 도달하지 않는 가열실 벽면의 범위이며서 또한 배기공기의 분류가 다라서 흐르는쪽 벽면에 대향하는 가열실 안쪽벽면 혹은 천정면에 제2배기구(4)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2도에서는 제1도의 도어(11)과 조작부(10) 및 보디(13)을 제거하 상태에서 제1배기구(3)이 보이고 있다. 피가열물로부터의 수증기가스 제2배기구(4)로부터 제2배기가이드(14), 통기파이프(15)를 거쳐 배출 가이드A(16) 및 배출가이드B(17)을 통과하면서 증기센서의 감열면에 접촉한 후에 기기의 밖으로 배출된다. 또, 가열실(1)로 들어오는 송풍구(2)로부터의 공기는 전기부품을 배치한 기계실 뒤부분의 송풍수단으로서의 냉각팬(18)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으로서 고압트랜스(19) 및 가열수단으로서의 마그네트론(5)등을 냉각하면서 에어가이드(20)에서 마그네트론(5)의 방열판의 부분으로부터 가열실(1)의 송풍구(2)까지 보내지도록 바람의 흐름이 규제되고 있다.
제3도에서는 제2도의 구성을 기기의 단면구성으로 하여 동작제어에 대해서 기능블록으로 표시한 것이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열실(1)의 안에 피가열물(9) 얹어놓는 회전대(21)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1)의 벽에 피가열물(9)를 가열하는 고주파 전력의 급전을 행하는 가열수단으로서의 마그네트론(5)와 가열실(1)내의 피가열물(9)를 조명하는 램프(22)를 구비하고 있다. 피가열물(9)를 얹어놓는 회전대(21)은 회전대 모우터(23)의 동작에 따라서 회전하고, 이 회전대 모우터(23)의 동작이 구동수단(24)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피가열물(9)의 가열중에는 회전대(21)을 회전하고 있다. 마그네트론(5)로의 고전압을 공급하는 네트론(5)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19)가 구동수단(24)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고 하는 것은, 마그네트론(5) 간접적으로 구동수단(24)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는 것이 된다. 냉각팬(18)도 구동수단(24)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있고 마그네트론(5)와 램프(22)와 고압트랜스(19)를 냉각하는 바람을 보내고, 또 냉각팬(18)이 가열실(1)로 공기로 보내서 가열실(1)로 공기로 보내서 가열실(1)에 발생하는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등을 기체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반송기능을 공기로 하여금 가지게 하고 있다. 이들 고압트랜스(19), 냉각팬(18) 및 회전대 모우터(23)은 구동수단(24)에 의해 제어되고 있으나, 이 구동수단(24)의 동작내용은 제어부(6)으로부터의 제어신호로서 동작제어되고 있다.
냉각팬(18)의 열에는 송풍량 및 송풍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오리피스(25)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팬(18)로부터 보내진 공기가 가열시(1)로 들어간 후 피가열물(9)의 수증기가스를 포함하여 기체밖으로 나가는데 2개의 배기통로가 있다. 제1배기구(3)으로부터 제1배기 가이드(26)을 경우해서 제1배기구(27)을 통하여 나가는 제1배기통로와 제2배기구(4)로부터 제2배기가이드(14) 및 통기파이프(15) 또 배출가이드A(16) 및 배출가이드 B(17)을 경유해서 제2배출구(28)을 통과하여 나가는 제2배기통로이다.
이 제2배기통로의 내벽면에는 초전성을 가진 증기센서(7)의 감열이 노출되어 있다.
제2배기통로는 제2배기구(4)로부터 제2배출구(28)까지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를 빨아내서 배출하고 있다. 그리고 제2배기통로의 내벽에 설치된 증기센서(7)의 감열면쪽의 제2배기통로로서의 배출가이드 B(17)에 형성된 통로단면적이 작은 통기구멍으로 오리피스(25)로 구제된 냉각팬(18)로부터의 차가운 건조공기가 기세좋게 흘러들어 통로단면적이 크고 넓어진 증기센서(7)의 감열면부로부터 배출가이드B(17)을 통과하여 제2배출구(28)로부터 기기의 밖으로 나간다. 이와 같이 배출가이드B(17)의 배기통로의 안에서 기세좋게 공기가 흐름으로서 증기센서(7)의 감열면의 부분의 공기압이 가열실(1)내의 공기압보다도 낮아지고, 가열실(1)의 수증기가스가 빨아내어져서 증기센서(7)에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송풍수단으로서의 냉각팬(18)이 만드는 바람의 통과하는 단면적이 작은 영역에서부터 큰 영역으로 변화하는 빨아내기 수단으로서의 풍로를 제2배기통로의 안에 구성하고 있다. 또 공기가 기세좋게 흐르는 풍로단면적의 변화하는 부분에 가열실(1)의 제2배기구(4)로 연결되는 통로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빨아내기 수단으로서의 통로와 수증기 가스가 통과해 나오는 통로의 2의 통로로부터의 공기가 혼합되어 증기센서(7)의 감열면에 접촉해서 그후 제2배출구(28)로부터 기기의 밖으로 배출된다.
초전성은 우전체의 내부분극에 의해서 유전체의 표면에 대전한 전하가, 우전체 광이라든가 적외선의 복사열선에 의한 열이라든가 비등수증기 가스의 열이 부여되면 열에 의한 유전체의 순간의 온도변화에 의해 유전체의 내부분극이 소멸하여 표면의 대전전하만의 남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표면 전하만이 남은 것을전기회로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것이 초전소자이다. 이와 같은 초전소자는 온도변화가 있어야 비로소 신호압으로서 출력되는 초전소자 자체의 온도가 수증기가스의 온도와 동일한 정도가 되면 수증기 가스에 의해서 초전소자의 온도변화가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피가열물(9)의 상태변화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 초전소자를 사용한 증기 센서(7)에는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에 포함된 열이 감열면으로부터 전달되면, 급격한 온도상승이 소자의 일부에 부여되게 되고, 급격한 온도상승에 의한 열충격으로 인하여 소자의내부의 분극평행상태가 혼란해져서 소자표면의 전극으로 극격한 전압변화의 펄스신호로서 나타낸다. 이 펄스신호는 따뜻해진 소자에 차가운 공기가 닿게되는 급격한 온도저하시에도 나타나지만 온도상승의 때와는 역극성으로 펄스신호 전압이 발생한다.
증기센서(7)의 수증기가스의 검출신호가 센서 신호처리수단(29)로 전달된다. 그리고 센서신호처리수단(29)의 가운데의 저역통과필터회로라든가 고역통과필터회로라든가 신호전압의 증폭회로에서 수증기가스의 거물신호가 가공치리되어 제어부(6)으로 펄스신호가 반복 전달된다.
제어부(6)에서는, 조작부(10)의 입력키이보오드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조작부(6)으로 표시출력 신호를 출력하거나, 구동수단(24)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마그네트론(5)를 작용시켜서 피가열물(9)를 가열하거나, 회전대(21)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 제어부(6)에서는 증기센서(7)로부터의 수증기가스의 검출신호가 센서 신호처리수단(29)를 거쳐 제어부(6)으로 전달되면, 가열개시후의 제1의 소정시간내에 제1식별수단(30)에 의해 식별한 내용에 의거하여 제1기록수단(31)에 기록된다. 그리고 제어부(6)의 문턱치(threshould 値) 선정수단(34)에서는 제1기록수단 (31)에 기록된 내용에 의거하여 복수의 문턱치를 선택하기 위한 분류표 및 계산식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6)의 제2식별수단(32)는 가열개시후의 제1의 소정시간후에 센서신호처리수단(29)로부터 전달되는 수증기가스의 검출신호를 식별하여 신호전압을 확인하거나, 신호의 양이 어떻게 되어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6)의 제2기록수단(33)에서는 제2식별수단(32)에서 식별확인된 수증기가스의 검출신호전압 및 검출신호의 양을 기록하는 것이다.
또, 제어부(6)에서는 제2기록수단(33)에 기록된 수증기 가스의 검출신호전압 및 검출신호량에 대해서, 제1기록수단(31)의 검출신호에 대한 내용에 의거하여 문턱치 선정수단(34)에 의해서 선정된 문턱치와 비교확인해서, 피가열물(9)의 가열상황을 판정하여 가열을 계속할 것인지, 가열을 정지하여 가열종료를 표사할지, 어느 하나의 동작상태를 선택하여 제어수단신호를 출력한다.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로축에 가열경과시간을 표시하고 세로축에 검출신호전압의 레벨을 표시하는 증기센서(7)의 검출신호의 기산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모양을 관찰하면, 가열개시후 T1시간에서부터 T2시간까지의 제1의 소정시간내에 검출신호레벨로서 제1식별수단(30)이 최대치를 Dm으로서 판독하여 제1기록수단 (31)에 Dm을 기록한다.
문턱치 선정수단(34)에서는 제1기록수단(31)에 기록된 내용Dm 의 값에 따라서 복수의 문턱치가 선정된다. 이 복수의 문턱치가 선정되는 조건으로서 이하의 제1표 및 제2표에 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제1표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단 A·B·C·a·b·c·d는 정수이다.
제1표에서는 3종류의 Dm에 따라서 문턱치 설정용의 정수로서 3종류의 A,B,C의 정수를 Dm에 부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해서 문턱치를 설정하여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의 검지시간이된 것이 td이고, 기기의 종합감도가 작을때가 (a)이며 감도의 표준이(b) 또 감도가 클때는(c)이다. 이와 같이 기기의 감도가 불균일하여도 수증기가스의 검지시간 td의 불균일은 극히 작은 상태가 된다. 그러나, 문턱치의 선정조건으로서 기기의 감도가 불균일하여도 동일정수를 제1기록 내용인 Dm에 부가한때의 수증기가스 검지시간이 어떻게 되는지를 제4b도 및 제4c도에 표시한 것이 td1, td2이며 td에 비세서 시간편차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즉, 감도가 작은(a)의 조건과 동일 검지방법을 감도의 표준으로서의 (b)와 감도가 큰(c)에 적용하면 수증기가스 검지시간인 td가 td1이라든가 td2와 같이 시간이 짧아짐으로서, 피가열물(9)를 가열하는 가열시간이 짧이진다. 이와 같이, 기기의 감도가 작을때와 감도가 클때에 있어서 동일 검지방법을 사용하면 기기의 감도가 작을때 보다 기기의 감도 클때의 편이검지시간이 짧고, 피가열물(9)를 가열하는 시간이 짧아져 버린다.
문턱치 선정수단(34)에 의해서 설정된 복수의 문턱치의 어느 한값에 검출신호의 값이 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T2이후의 시간에 제2식별수단(32)가 검출신호를 식별하여 설정한 문턱치를 넘은 센서신호가 어느정도의 분량회수가 있었는지를 제2기록수단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2기록수단에 기록된 문턱치를 넘은 신호의 분량회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검지분량으로서의 펄스신호의 호수 5회보다도 많아졌을때에, 피가열물 (9)로부터의 스증기가스의 신호가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의성과가 적당한 상태에 달한 것을 표시하는 시간으로서 시각 td가 기록된다.
피가열물(9)의 가열성과에 의해서 결정되는 수증기가스의 검지시간인 td가 얻어지면 대부분의 피가열물(9)은 적당하게 가열이 완료되어 있게 되며, 이 단계에서 가열을 정지하여도 문제는 없다. 그러나 td의 검지시간이 수증기가스가 피가열물(9)로부터 막 나오기 시작한 때이므로, 피가열물(9)의 불균일을 고려하면, 가열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가열을 행하기 위한 시간으로서 td의 α배(α)는 정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가열동작의 순서는 가열시(1)에 피가열물(9)를 넣어서 가열매뉴를 선택하고 또 가열개시의 키이를 입력하여 가열이 시작되는 부분부터 제5도에 표시하고 있다. (a) 제어부(6)으로부터 제어신하 출력되어 구동수단(24)를 경우해서 마그네트론(5), 고압트랜스(19), 냉각팬(18), 회전대 모우터(23)등을 구동개시한다. (b) 제어부(6)의 안에서 가열경과시간 T의 계수를 개시한다. (c) 시간 경과가 제1의 소정시간 T1이 되었는지 T1이 될때까지 기다린다. (d) 제1식별수단(30)에 의해서 증기센서(7)의 신호레벨의 대표치 Dm을 최대치 Dmax로서 결정한다. (e)제1기록수단(31)에 센서신호레벨의 대표치 Dm을 기록한다. (f)제1의 소정시간이 종료할때가지 (d),(e)를 반복한다. (g)문턱치 선정수단(34)에 의해서 증기센서 신호벨의 대표치 Dm에 입각하여 복수의 문터치 선정조건으로부터 1개를 선정한다. (예 Dm+B). (b)제1의 소정시간이 종료한 때로부터 제2식별수단(32)에서 증기센서 신호레벨의 값 D와 신호분량회수 N에 대해서 분류식별한다. (i) 제2기록수단(33)에 증기센서 신호레벨의 값 D와 신호분량회수 N을 기록한다. (j)증기 센서 신호레벨의 값 D가 분턱치 선정수단(34)에서 선정된 신호레벨 이상의 큰 값이 될때가지 (h),(l)을 반복한다. (k)증기센서 신호레벨의값이 문턱치 레벨 이상이 되는 신호분량회수 N이 미리 정한 값의 5회에 달할때까지 (h),(i),(j)를 반복한다. (l) 피가열물(9)가 적당하게 가열된 것을 알리는 증기센서 신호변화검지 시간으로서 td를 기록한다. (m)추가가열 시간으로서 td의 α배의 시간에 대하여 가열을 행하여 가열을 종료한다.
제6도∼제7도에 의거해서 증기센서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라서, 소자의 내부분극의 평형상태가 혼란해지고, 표면에 대전하고 있던 전하가, 온도변화에 의해서 발생하는 신호전압을 발생한다고 하는 초전성을 구비한 소자로서 압전성도 겸비하는 일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압전버저라든가 초음파진동자로서의 압전 세라믹이라도 된다. 제6도에서는 초전성소자(35)로서의 세라믹 압전소자의 원판(原板)의 양면에 온계통의 전극(36)을 인쇄하고, 그 전극에 리이드선(37)을 납땜(38)접속한 것을, 감열판으로서의 금속판(39)에 접착제(40)을 개재해서 첩부하고, 초전성 소자(35)의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수지막(41)로 코우트하고 있다.
제8도에 의해서 증기센서(7)과 냉각팬(18)의 가까이에서의 공기의 흐르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가열실(1)의 제2배기구(4)로 연통되어 있는 통기파이프(15)가 배기가이드 A(16)의 직선부에 결합되고, 고압트랜스(19)와 같은 전기부품의 냉각을 행하는 냉각팬(18)이 기기외부로부터 냉기를 흡입하여 오리피스(25)의 간막이 주위로 바람을 내보내고 있다. 외부로부터의 흡입 냉기가 증기센서(7)의 초전성 소자부에 접촉하여 냉각하면서 이동하고 있다. 오리피스(25)부의 일부에 통기용의 좁은 통로(42)를 만들고, 그 좁은 통로(42)가 연결되는 통로는 넓은 통로(43)이며, 좁은 통로(42)로부터 넓은 통로(43)에는 통로단면적이 작은 영역으로부터 큰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또 넓은 통로(43)은 다시 넓은 통로에 연결되어 기기의 외곽(44) 표면으로서의 제2배출구(28)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팬(18)에 의해서 만들어진 바람의 압력으로 좁은통로(42)에 차가운 공기가 압입되어서, 좁은 통로(42)를 기세좋게 공기가 흘러서 넓은 통로(43)의 영역을 동일속도로 공기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또 그 공기는 그 기세를 약간 약하게 하면서 제2배출구(28)에 도달하여 그대로 기기의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좁은 통로(42)에서 기세좋게 흐른는 공기는, 풍속이 빠르므로 주위의 공기에 비하여 기압이 저하경향으로 되어 있다. 이 기압이 저하경향으로 되고 있는 장소가 가열실(1)의 제2배기구(4)에 연결되는 배출가이드 A(16)의 직선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열실(1)내 보다도 기압이 낮아지고 있는 넓은 통로(43)을 향해서 피가열물(9)의 수증기가스가, 단시간에 끌어당겨진다. 이와 같이, 수증기가스가 끌어당겨지는 넓은 통로(43)부분의 근처에 증기센서(7)을 배치하면, 피가열물(9)의 가열사태 변화에 따라서 발생하는 수증기가스의 발생 변화를 재빨리 증기센서(7)이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응답성이 좋은 자동 가열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9도에서는 제8도와는 약간 달라서 제2배기통로의 안에 기세좋게 좁은통로(42)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보내고 통로단면적이 크게 넓어지는 부분에서 수증기 가스를 빨아내지만, 좁은 통로(42)에서 기세좋게 공기가 흐르는 위치에 증기센서(7)의 소자부를 설치한 것이다.
제7도에서 외부로부터의 냉각팬(18)에 의한 흡입기류가 흐름으로서 증기센서 (7)소자를 냉각하고 있었으나, 제8도에서는 냉각팬(18)이 만들어내는 기세좋게 흐르는 공기류의 안에 증기센서(7)소자를 설치하여 냉각능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10도∼제12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0도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배기구(3)이 왼쪽면 상부의 도어쪽의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고, 더 구성에 의하면 제2배기구(4)가 송풍구(2)와 제1배기구(3)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1 배기구(3)은 제2배기구(4)의 개구면적보다도 큰 개구면적의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송풍구(2)로부터 가열실(1)로 들어가서 가열실쪽벽면과 창(12)를 따라가면서 가열실 벽평면의 평면 맞댐부부분에서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져서 다음의 평면을 따라서 흐르는 배기공기의 분류가 제1배기구(3)으로부터 가열실밖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흐느느 배기공기의 분류가 도달하지 않는 가열실 벽면의 범위이면서 또한 배기공기의 분류가 따라서 흐르는 쪽벽면에 대향하는 가열실 안쪽벽면 혹은 천정면에 제2배기구(4)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1도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배기구(3)이 왼쪽면 하부의 안쪽의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며, 이 구성에 의하면 제2배기구(4)가 송풍구(2)와 제1배기구(3)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1배기구(3)은 제2배기구(4)의 개구면적보다도 큰 개구면적의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배기구(3)이 송풍구(2)보다도 아래쪽의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2배기구(4)는 송풍구(2)와 동정도 또는 위쪽의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송풍구(2)로부터 가열실(1)로 들어가서 가열실쪽 벽면과 창(12)를 따라가면서 가열실벽평면의 평면 맞댐부분에서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져서 다음의 평면을 따라서 흐르는 배기공기의 분류가 제1배기구(3)으로부터 가열실 밖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흐르는 배기공기의 분류가 도달하지 않는 가열실 벽면의 범위이면서 또한 배기공기의 분류가 따라서 흐르는 쪽벽면에 대향하는 가열실 안쪽벽면 혹은 천정면에 제2배기구(4)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2도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배기구(3)이 왼쪽면 윗부분의 안쪽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2배기구(4)가 천정의 오른쪽면에 가깝고 약간 안쪽의 위치에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며, 이 구성에 의하면 제2배기구(4)가 송풍구(2)와 제1배기구(3)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1배기구(3)은 제2배기구(4)의 개구면적보다도 큰 개구면적의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배기구(3)이 송풍구(2)보다도 아래쪽의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2배기구(4)는 송풍구(2)와 동정도 또는 위쪽의 높이의(12)를 따라가면서 가열시 벽 평면의 평면 맞댐부분에서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져서 다음의 평면을 따라서 흐르는 배기공기의 분류가 제1배기구(3)으로부터 가열실 밖으로 흐른다. 이와같이 흐르는 배기공기의 분류가 도달하지 않는 가열실 벽면의 범위이면서 또한 배기공기의 분류가 따라서 흐르는 족 벽면에 대향하는 가열실 안족 벽면 혹은 천정면에 제2배기구(4)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에 있어서 제1배기구(3)의 개구면적이 제2배기구(4)의 개구면적 보다도 큰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송풍구(2)로부터 보내지는 공기는 배기저항이 작고 개구면적이 큰 제1배기구(3)으로부터 대부분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고, 송풍구(2)로 부터 보내진 공기가 가열실(1)내에 머무는 시간이 짧아진다. 그 때문에, 제2배기구(14)로부터 증기센서(7)까지 인도되는 수증기가스의 온도가 유지되어서,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가 정확하게 전달되게 된다. 그렇게해서, 피가열물(9)의 양호한 가열상태를 실현하는 가열제어가 제어부(6)의 제어에 의해 실현된다.
또 제1배기구(3)과 제2배기구(4)의 개구위치가 가열실(1)의 동일평면에 없으므로, 송풍구(2)로부터 보내지는 공기는 제1배기구(3)을 향해서 흐르나, 이 제1배기구(3)의 주위에 소용돌이치고 있는 공기의 흐름이, 제2배기구(4)에는 도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 가스가 제2배기구(4)의 주위에서 온도가 냉각되거나, 엷게 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가 저왁하게 증기센서(7)로 전달된다. 그리고 양호한 가열상태를 실현하는 가열제어가 제어부(6)의 제어에 의해 실현된다.
또 제2배기구(4)의 개구구멍을 모두 패색한 상태에서, 가열실(1)에 피가열물(9)를 놓고 피가열물(9)를 가열하면 송풍구(2)로부터 제1배기구(3)을 행해서 대부분의 공기가 흐르나, 이 제1배기구(3)으로부터 대부분의 공기를 배출하여도, 제1배기구(3)의 주위에 넘쳐흐르는 공기가 약간 소용돌이치고 있다. 제1배기구(3)의 주위에 넘쳐흐르는 공기가 약간 소용돌이치고 있다. 이 제1배기구(3)의 주위에 소용돌이 치고있는 공기의 흐름이 가열실(1)로 나오는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와 함께 가열실(1)내에서 배기의 분류보다도 느린 속도로 가열실(1)내를 이동해서, 더욱 공기의 이동하는 속도가 느린 장소를 향해서 간다. 이와 같이, 공기의 이동이 비교적 적은 고여있다고 간주되는 장소에 통기공이 폐색된 제2배기구(1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증기가스가 고이기 쉬운 장소로서 다열실 높이의 절반보다 높은 위치에 제2배기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가 발생과 동시에 신속하게 제2배기구(4)의 주위에 모인다. 그 때문에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가 신속하게 증기센서에 전달되게 되고,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가 최적상태가 되도록 제어부(6)에 의해 가열제어된다.
제3도에 있어서 제2배기구(4)로부터 냉각팬(18)까지의 거리가 제1배기구(3)으로부터 냉각팬(18)까지의 자리보다도 작은 위치로 구성하고 있다. 이 냉각팬(18)의 냉풍에 의해서 증기센서(7)의 소자를 냉각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팬(18)의 옆에는 증기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제2배기구(4)로부터 증기센서(7)까지의 거리가 작을 수록 가열실(1)내의 피가열물(9)의 수증기가스가, 단시간에 증기센서(7)에 도달하여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를 시간지연없이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2배기구(4)와 냉각팬(18)의 거리가 작은 것은,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가 신속하게 검출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제1배기구(3)에는 가열실(1)내의 열기배기의 대부분이 배출되므로, 제1배기구(3)의 주변의 온도가 높아진다. 이와같이 온도가 높아지면, 복사열의 열원으로서 증기센서(7)과 같은 복사열로서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소자에 접근하면 오동작 노이즈원이 되므로, 증기센서(7)로부터 멀리해서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와같이 증기센서(7)로부터 멀리해서 제1배기구(3)을 설치하는 것은, 냉각팬(18)로부터 제1배기구(3)을 멀리하는 것과 동일구성이 된다. 이와같이 가열실(1)의 복수의 배기구에서 제1배기구(3)은 냉각팬(18)로부터 먼 위치에 제2배기구(4)는 냉각팬(18)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구성함으로서, 송풍구(2)로부터 제1배기구(3)을 향해서 흐르는 배기의 분류가,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 가스가 제2배기구(4)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증기센서(7)이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를 재빨리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피가열물(9)의 최적가열상태를 실현하는 가열제어가 제어부(6)에서 행하여진다.
Claims (10)
- 피가열물(9)을 수납하는 가열실(1)과, 상기 피가열물(9)을 가열하는 가열수단(5)과, 상기 가열실(1)에 공기를 보내는 송풍수단(13)과, 상기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를 검지하는 증기센서(7)와, 상기 가열실(1)에 공기를 보내는 가열실(1)에 설치된 송풍구(2)와, 상기 가열실(1)로부터 공기를 가열실(1)외에 배출하는 제1의 배기구(3)와, 상기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를 중기센서(7)에 인도하기 위한 제2의 배기구(4)와 상기 가열실(1)내의 모양을 보기 위한 창(12)을 구비하고, 이 제2의 배기구(4)가 송풍구(2)와 제1의 배기구(3)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배기구(3)는 제2의 배기구(4)의 개구면적보다도 큰 개구면적의 구성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증기센서(7)는 순간의 온도변화에 대응해서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초전성을 구비하고 있는 소자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증기센서(7)는 송풍수단(18)이 만드는 바람이 통과하는 단면적이 작은 영역(42)으로부터, 큰 영역(43)으로 변화하는 빨아내기 수단으로서의 풍로(42,43)의 안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풍로(42,43)는 풍로단면적이 변화하는 부분에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가 제2의 배기구(4)로부터 빨아내어져서 증기센서(7)까지 도달되는 통로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풍로는 빨아내기수단으로서의 풍로(42,43)와 수증기가스가 지나가는 통로(16)로부의 공기가 기기밖으로 배출되는 배기 풍로(17)에 연결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수증기가스는 풍로(42,43)내에서 송풍수단(18)으로부터 보내져오는 건조냉기가 만드는 기압의 저역하부에서 건조냉기와 혼합되어 증기센서(7)의 감열면(39)에 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송풍수단(18)은 수증기가스와 혼합하지 않는 통로(17,25,42)에서는 증기센서(7)에 송풍이 닿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 피가열물(9)을 수납하는 가열실(1)과, 상기 피가열물(9)을 가열하는 가열수단(5)과, 상기 가열실(1)에 공기를 보내는 송풍수단(18)과, 상기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를 검지하는 증기센서(7)와, 상기 가열실(1)에 공기를 보내는 가열실(1)에 설치된 송풍구(2)와, 상기 가열실(1)로부터 공기를 가열실(1)외에 배출하는 제1의 배기구(3)와, 상기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를 증기센서(7)에 인도하기 위한 제2의 배기구(4)와 상기 가열실(1)내의 모양을 보기 위한 창(12)을 구비하고, 이 제1의 배기구(3)가 송풍구(2)보다도 아래쪽의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2의 배기구(4)는 송풍구(2)와 같은 정도 또는 위쪽의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 피가열물(9)을 수납하는 가열실(1)과, 상기 피가열물(9)을 가열하는 가열수단(5)과, 상기 가열실(1)에 공기를 보내는 송풍수단(18)과, 상기 피가열물(9)의 가열상태를 검지하는 증기센서(7)와, 상기 가열실(1)에 공기를 보내는 가열실(1)에 설치된 송풍구(2)와, 상기 가열실(1)로부터 공기를 가열실(1)외에 배출하는 제1의 배기구(3)와, 상기 피가열물(9)로부터의 수증기가스를 증기센서(7)에 인도하기 위한 제2의 배기구(4)와 상기 가열실(1)내의 모양을 보기 위한 창(12)을 구비하고, 이 송풍구(2)로부터 가열실(1)에 들어가서 가열실(1)측면과 창(12)에 따라가면서 가열실(1)벽평면의 평면 맞댐부에서, 흐르는 방향에 변해서, 다음 평면에 따라서 흐르는 배기공기의 분류가, 진로변화부로서의 가열실(1)벽의 평면맞댐부 또는, 배기공기가 따라서 흐르는 가열실(1)측벽면에 설치된 제1의 배기구(3)로부터 가열실(1)밖에 흘러나가며, 이와 같이 흐르는 배기공기의 분류가 도달되지 않는 가열실(1)벽면의 범위이면서, 또한 배기공기의 분류가 따라서 흐르는 측벽면에 대향하는 가열실(1)안쪽벽면 또는 천정면에 제2의 배기구(4)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9413 | 1989-04-19 | ||
JP1099413A JP2584053B2 (ja) | 1989-04-19 | 1989-04-19 | 自動加熱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6689A KR900016689A (ko) | 1990-11-14 |
KR930010263B1 true KR930010263B1 (ko) | 1993-10-16 |
Family
ID=1424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5466A KR930010263B1 (ko) | 1989-04-19 | 1990-04-19 | 가열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5015812A (ko) |
EP (1) | EP0394009B1 (ko) |
JP (1) | JP2584053B2 (ko) |
KR (1) | KR930010263B1 (ko) |
AU (1) | AU619973B2 (ko) |
CA (1) | CA2014824C (ko) |
DE (1) | DE69000983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5148A (en) * | 1989-04-19 | 1993-08-10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Heating apparatus |
US5140120A (en) * | 1989-05-08 | 1992-08-18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Automatic heating apparatus having a system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heated air generated by material being heated |
EP0455169B1 (en) * | 1990-04-28 | 1996-06-19 | Kabushiki Kaisha Toshiba | Heating cooker |
JP2911245B2 (ja) * | 1991-03-15 | 1999-06-23 | 株式会社東芝 | 電子レンジ |
DE4136133A1 (de) * | 1991-11-02 | 1993-05-06 |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De | Anordnung zur regelung der heizleistung fuer einen kochtopf |
SE470168B (sv) * | 1992-04-27 | 1993-11-22 | Whirlpool Int | Rök/ångdetektor för mikrovågsugn |
KR960009628B1 (en) * | 1993-09-28 | 1996-07-23 | Lg Electronics Inc | Auto defrosting method for microwave oven |
DE69608500T2 (de) * | 1995-07-07 | 2001-01-18 | Lg Electronics Inc., Seoul/Soul | Einrichtung zur Vermeidung der Fehlfunktion des Sensors in Mikrowellenöfen |
KR0154635B1 (ko) * | 1995-09-18 | 1998-11-16 | 배순훈 | 증기센서의 용기에 따른 적응 제어방법 |
US6788211B2 (en) | 2000-06-14 | 2004-09-07 | Edwards Systems Technology, Inc. | Apparatus and method using smoke and/or gas sensing in cooking devices |
KR100694255B1 (ko) * | 2000-12-30 | 2007-03-14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전자레인지의 벤트모터조립체의 구조 |
CN101737821A (zh) * | 2008-11-20 | 2010-06-16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一种通风罩式微波炉 |
DE102008044234B4 (de) | 2008-12-01 | 2012-03-29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Gargerät |
JP4843100B1 (ja) * | 2010-08-31 | 2011-12-21 | シャープ株式会社 | 加熱調理器 |
DE102012213692A1 (de) * | 2012-08-02 | 2014-02-0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Dunstabzu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steuerung eines Lüftermotors eines Lüfters und zur Luftreinigungswirkungsermittlung |
US20160116171A1 (en) * | 2014-10-22 | 2016-04-28 | General Electric Company | Oven airflow control |
US20230115327A1 (en) * | 2021-10-11 | 2023-04-13 | Whirlpool Corporation | High flow cavity ventil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50434A (en) * | 1979-05-10 | 1980-11-22 |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 High-frequency heater |
JPS5613692A (en) * | 1979-07-11 | 1981-02-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High frequency heater |
CA1199076A (en) * | 1981-07-06 | 1986-01-07 | Takeshi Tanabe | Microwave heating appliance with simplified user's operation |
JPS58127017A (ja) * | 1982-01-26 | 1983-07-28 |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 高周波加熱装置 |
EP0099705B1 (en) * | 1982-07-17 | 1990-03-28 | Microwave Ovens Limited | Microwave ovens and methods of cooking food |
US4587393A (en) * | 1984-01-05 | 1986-05-06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Heating apparatus having a sensor for terminating operation |
JPS59191813A (ja) * | 1984-03-27 | 1984-10-3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食品加熱器 |
US4618756A (en) * | 1985-07-08 | 1986-10-21 | Whirlpool Corporation | Air circulation system for microwave oven |
JPH06103104B2 (ja) * | 1985-11-08 | 1994-12-1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圧電素子センサ付き電子レンジ |
DE3788933T2 (de) * | 1986-11-13 | 1994-12-22 | Whirlpool Europ | Mikrowellenofen. |
IT1202546B (it) * | 1987-02-13 | 1989-02-09 | Eurodomestici Ind Riunite | Perfezionamenti ai forni a microonde atti a consentire il riscaldamento automatico di alimenti |
JPH0633282Y2 (ja) * | 1987-07-17 | 1994-08-31 | 三洋電機株式会社 | 電子レンジ |
JP2523805B2 (ja) * | 1988-08-03 | 1996-08-1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圧電素子センサ付き高周波加熱装置 |
JPH0820910B2 (ja) * | 1988-10-31 | 1996-03-0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圧電素子応用センサ |
-
1989
- 1989-04-19 JP JP1099413A patent/JP2584053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
- 1990-04-17 US US07/509,783 patent/US5015812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4-18 CA CA002014824A patent/CA2014824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4-18 EP EP90304138A patent/EP039400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4-18 DE DE90304138T patent/DE69000983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4-18 AU AU53663/90A patent/AU619973B2/en not_active Expired
- 1990-04-19 KR KR1019900005466A patent/KR93001026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9000983D1 (de) | 1993-04-08 |
EP0394009A3 (en) | 1991-04-10 |
JPH02279921A (ja) | 1990-11-15 |
US5015812A (en) | 1991-05-14 |
EP0394009B1 (en) | 1993-03-03 |
KR900016689A (ko) | 1990-11-14 |
AU5366390A (en) | 1990-10-25 |
EP0394009A2 (en) | 1990-10-24 |
CA2014824A1 (en) | 1990-10-19 |
CA2014824C (en) | 1995-04-04 |
JP2584053B2 (ja) | 1997-02-19 |
DE69000983T2 (de) | 1993-09-30 |
AU619973B2 (en) | 1992-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10263B1 (ko) | 가열장치 | |
US7431029B2 (en) | Cooling apparatus of cooking appliance | |
US7296565B2 (en) | Cooling apparatus of cooking appliance | |
EP0397397B1 (en) | Automatic heating apparatus | |
KR960007975B1 (ko) | 가열조리기 | |
US578082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thermopile of microwave oven | |
JP2006283584A (ja) | 送風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 |
JP2523870B2 (ja) | 自動加熱装置 | |
JPH0510532A (ja) | 調理器 | |
JP2006029695A (ja) | 蒸気調理器 | |
JPH05312326A (ja) | 加熱調理器 | |
KR940004615B1 (ko) | 초전센서를 이용한 전자레인지의 가열상태 검출장치 | |
JPH02143025A (ja) | 自動加熱装置 | |
JPH02293528A (ja) | 自動加熱装置 | |
US6878915B1 (en) | Air flow system for microwave cooking appliance | |
JP2558886B2 (ja) | 高周波加熱装置 | |
JP2638732B2 (ja) | 温風暖房機 | |
JPH0455621A (ja) | 加熱調理器 | |
JP2512144B2 (ja) | 自動加熱装置 | |
JPH0447918Y2 (ko) | ||
JPS6120407Y2 (ko) | ||
JPH07217899A (ja) | 高周波加熱装置 | |
JPH08130087A (ja) | 電子レンジ | |
JPH0842858A (ja) | ビルトイン対応型グリルレンジ | |
JPH02122122A (ja) | 自動加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