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813B1 - 입체사진 칼렌더 - Google Patents

입체사진 칼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813B1
KR930009813B1 KR1019910700419A KR910700419A KR930009813B1 KR 930009813 B1 KR930009813 B1 KR 930009813B1 KR 1019910700419 A KR1019910700419 A KR 1019910700419A KR 910700419 A KR910700419 A KR 910700419A KR 930009813 B1 KR930009813 B1 KR 93000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layer
calender
dimensiona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931A (ko
Inventor
마사카쥬 이토
사토시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지마 요시토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지마 요시토시 filed Critical 다이니폰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0/001101 external-priority patent/WO1991003380A1/ja
Publication of KR92070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입체사진 칼렌더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와 제 2 도는 본 발명에 다른 입체사진 칼렌더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제 1 도는 평면도이고, 제 2 도는 두께방향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사진 칼렌더의 사용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제 6 도 내지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사진 칼렌더의 다른 실시예를 두께방향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투명한 입체사진을 이용한 입체사진 칼렌더에 관한 것이다. 특히, 손목시계의 칼렌더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입체사진 칼렌더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손목시계 칼렌더(calender)들은 대개 알루미늄등의 금속을 이용하여 박막의 평판부와 그 양측면에 록크부(lock portion)를 성형하고, 그 평판부의 표면에 칼렌더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쇄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시계용 칼렌더는 양측면에 있는 록크부가 시계줄의 안쪽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시계줄에 끼워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손목시계 칼렌더는 손목시계줄에 록크부가 구부러진 상태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없었다. 특히, 시계줄의 형상이 평판형태로써 소정의 폭을 갖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쇄줄이거나 장식적인 줄에 불과할 경우에는 칼렌더를 시계줄에 끼우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최근에 손목시계는 스톱워치기능 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기능까지도 요구되고 있고, 디자인이 우수한 기계도 많기 때문에 금속판에 통상의 인쇄방법으로 칼렌더를 인쇄한 손목시계 칼렌더들은 손목시계에 끼울 경우에 전체의 장식효과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우기, 손목시계줄이 가죽으로 되어 있거나 장식효과를 위한 것일 경우에 금속으로 된 손목시계칼렌더를 끼우게 되면 외견상 좋지 않을 뿐아니라 줄을 손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착(裝着)이 용이하고,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용이하게 탈착(脫着)이 가능하며, 장착상태를 한번에 알아 볼 수 없고, 끼워져 있는 물품의 본래기능을 손상시키지도 않게 하는 입체사진 칼렌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사진 칼렌더는 물품의 표면에 점착(粘着)가능하고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박리(剝離)가능한 칼렌더로써, 칼렌더정보가 백색광선에 의해 재생가능한 입체사진이나 반사굴절광선에 의해 눈으로 볼 수 있는 화상(畵像)으로 기록되어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입체사진 형성층과, 상기 입체사진 형성층의 한쪽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품에 칼렌더를 점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점착특성과 점착 후의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물품으로 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충분한 박리 특성을 동시에 겸비한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써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200 내지 1, 300g/2 5mm의 범위에서 조절되고, 점성(粘性)은 10이하로 조절되어 물품표면에 대한 칼렌더의 충분한 점착력과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양호한 재박리특성을 충분히 만족시켜 주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와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사진 칼렌더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제 1 도는 평면도이고, 제 2 도는 두께방향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입체사진 칼렌더는 칼렌더가 입체사진화상(1a)으로 기록되어 있는 입체사진형성층(11)과, 입체사진형성층(11)의 상측(上測)에 형성되어 있는 표면보호필름(14)과, 입체사진형성층(11)의 하측(下測)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15)및 점착제층(15)의 하측에 점착되어 있는 박리지(剝離紙 :1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입체사진형성층(11)은 1개월분의 칼렌더패턴을 백색광선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입체사진화상(1a)로써, 예를들면, 릴리이프 홀로그램(relief hologram)방식에 의해 기록된 것이며, 촬영방법으로는 예를들면, 이미지홀로그램(image hologram), 레인보우홀로그램(rainbow hologram)부분적으로 형성된 폴로그래피그레이팅(holographic grating)등이 있다.
또한, 입체사진화상으로는, 반드시 홀로그래픽방법으로 기록된 것일 필요는 없으며, 기계적이거나 어떤 종류의 감광재료를 사용하는 사진평판적기록에 의해 얻어진 릴리이프상 회절격자를 부분적으로 형성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의 제품으로써는 이들이 기로된 릴리이프형상의 물품을 엠보싱(embossing) 및 복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사진화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절격자에 의해 형성된 회절패턴을 포함하게 된다.
입체사진형성층(11)은, 입체사진화상(1a)의 릴리이프면이 하면(下面)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 사진수지층(12)과, 그 입체사진수지층(12)의 릴리이프면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사진효과를 중대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효과층(13)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입체사진형성층(11)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된다.
입체사진수지층(12)의 재질로서는 열가소성수지, 열경화성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라디칼중합성불포화기를 갖는 열과 광선 및 다른 복사선으로 경화시킨 성형성물질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입체사진수지층(12)은 표면보호필름(14)상에 교탕하는 방식등으로 형성시키거나 표면보호필름이 엠보싱으로 성형가능한 것이라면, 그 자체에 릴리이프홀로그램등에 의해 입체사진화상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입체사진수지층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효과층(13)은 투명형 입체사진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투명성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업체사진수지층(12)과는 굴절율이 다른 투명재료이고, 두께가 200Å 미만의 금속박막층등이 사용되게 된다.
전자의 경우에 효과층(13)의 굴절율은 입체사진수지층(12)의 굴절율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지만 굴절율의 차가 0. 1 이상인 것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0. 5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 0 이상이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금속제박막이긴 하지만 그 두께가 200Å 미만이기 때운에 광파장투과율이 크고, 따라서, 입체사진발현작용은 물론 하부에 예로는 표시부등의 비은폐(非隱蔽)작용도 발휘하게 된다.
효과층(13의 재질로써는 예를들면 수지층(12)보다도 굴절율이 큰 투명연속박막으로 Sb2S3(굴절율이 3.0), ZnS(굴절율이 2.1)가 있다. 효과층(13)을 입체사진수지층(12)에 형성시키는 데에는 진공증착법, 스핏터링법등의 박막성형방법이 이용된다.
상기 입체사진형성층의 재질과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 4, 856, 857호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표면보호필름(14)은 입체사진형성층(11)이 외압으로 부터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고, 라벨(label)로써의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표면보호필름(14)의 재질은 셀룰로오스계수지, 아크릴계수지, 비닐계수지, 폴리아미드계수지, 폴리이미드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폴리올레핀계수지를 단체, 혼합물 및 공중합시킨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보호필름(14)의 두께는 5 내지 200μ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경우에는 상술한 표면보호필름이 입체사진 수지층을 겸비하는 경우(후술하는제 7 도의 경우)도 있다.
한편, 점착제층(15)은 입체사진 칼렌더(1)를 시계의 투명보호판(덮개유리)등에 점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동시에 1개월마다 교체할 수 있도록 재박리가 가능한 것이 사용된다. 예를들면, 아크릴계, 고무계등의 일반적인 점착제중 적당한 것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계덮개유리등의 물품표면에 킬렌더가 점착될 수 있는 충분한 점착특성과 일정기간이 지난후에는 박리할 수 있는 재박리특성의 양면성을 겸비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점착제층의 점착력과 정성 모두를 특정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구현예로써는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200 내지 1300g/25mm의 범위로 조절하고, 정성은 10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300 내지 1, 000g/25mm의 범위로 조절하고, 점성은 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점착력을 400 내지 800g/25mm의 범위로 조절하고, 점성은 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력을 200g/25mm 미만으로 하면, 칼렌더를 점착시켜 사용하는데 충분한 점착강도가 얻어질 수 없게되고, 박리지에 대한 충분한 점착강도(미사용시)도 얻어질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점착력이 1, 300g/25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일정기간후에도 칼렌더를 박리하기가 매우 곤란하게 되거나 박리된다고 해도 점착제층과 입체사진형성층 사이가 박리되게 되고 그로 인해 박리된 물품의 표면을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한편, 점성값은 점착특성과 함께 칼렌더를 점착시킬 때 점착제층의 오염성에 크게 관여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칼렌더를 점착시킬 때 박리지로 부터 칼렌더를 박리하고 예를들면, 시계의 덮개유리표면에 점착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때 손가락 끝부분이 칼렌더의 점착제층에 불가피하게 접촉하여 점착제층표면에 지문이 남게된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점성값이 10을 초과하게 되면, 점착시킬 때 지문자국이 점착제층에 남아 있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듯 점착제표면이 오염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형 입체사진 칼렌더로써는 치명적인 것이된다.
상기 점착력의 값은 JIS-Z 0237에 규정된 점착성능시험방법을 기초로 하여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25mm 폭을 갖는 시험편을 SUS 304 강판(289번의 내수연마지로 연마된 것)에다 2kg의 고무로울러를 이용하여 300m m/분의 속도로 한번 왕복시켜 압착시킨다. 20분 후에 이것을 180도방향에서 300mm/분의 속도로 힘주어 박리했을때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여 이것을 집착력으로 한 것이다.
한편, 점성은 점착제가 피점착제에 점착됨과 동시에 얻어질 수 있는 점착력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JIS-Z 0237에 규정된 볼(ball)점성법을 기초로 하여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즉, 표준상태하에서, 30도의 경사를 이루는 유리판에 점착면을 윗쪽방향으로 하여 시험편을 설치하고, 보조주행로로써 25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붙힌다. 측정부분으로는 보조주행로의 하단에선 100mm범위에 있는 점착면을로 한다. 그리고, 볼(강구:鋼球)을 보조주행로가 100mm되는 위치에서 굴리고, 측정부의 점착면에서 정지된 볼의 최대직경을 점성으로 한 것이다.
박리지(16)는 사용하기 전에 점착제층(15)을 보호하게 되고, 사용할 때에는 점착제층(15)에서 박리되게 된다. 박리비(16)로써는 실리콘수지, 왁스, 파라핀류등을 종이나 필름등의 기재에 도포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첨부도면 제 3 도와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사진 칼렌더의 한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입체사진 칼렌더(1)의 박리지(16)을 박리하고, 손목시계(2)의 유리판이나 아크릴판등의 투명보호판상에다 점착제층(15)을 붙인다.
여기서, 재생광선등의 태양광선이나 실내광선등은 앞쪽의 측면위에서 입사되게 되므로 손목시계의 문자판은 근본적으로 θ=45도의 각도에서 보는 것으로 하여 입체사진화상(1a)의 기록시 참조광선을 입체사진 건판에 대해 45도의 각도에서 조사하여 기록시킨다. 따라서, 이 입체사진 칼렌더(1)의 가시영역, 또는 달리 표현해서 입체사진화상(1a)을 보기 위하여 눈(3)이 위치할 수 있는 범위는 입체사진 칼렌더(1)에 대하여 비교적 협소한 범위에 있게 된다.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계(2)를 본다고 했을 때, 통상의 경우 정확하게 가시영역내의 각도로 오도록 손목을 돌리는 경우가 적으므로 통상 사용자의 눈(3)은 입체사진화상(1a)의 가시영역으로 들어오지 않게 되어 칼렌더를 재생시킨 입체사진화상(1a)은 보지 못하게 되고, 투명한 입체사진형성층(11)을 투과하여 손목시계(2)의 문자판(21)만을 보게된다(제 4 도).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칼렌더의 요일과 날짜를 알아보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눈(3a)의 위치에 변화를 주거나 손목시계(2)의 각도 θ에 변화를 주어 칼렌더(1)로부터 회절광선이 눈(3a)으로 입사하는 각도를 찾으면, 재생된 입체사진화상(1a)을 볼 수 있게 된다(제 5 도).
한편, 월(月)을 교체할 경우에, 입체사진 칼렌더(1)는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15)이 재박리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박리가 매우 깨끗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간단히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사진 칼렌더의 다른 실시예를 두께방향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입체사진 칼렌더(1A)는 전사형이거나 단순히 점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사형이란 손목시계(2)의 투명보호판(22)에 손가락과 같은 것으로 마찰을 주어 가압 또는 가열에 의해 칼렌더를 전사시키는 타입을 말한다. 점착형은 단순히 시일(seal)을 점착하는 것과 같이 물품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타입을 말하는 것이며, 점착형의 방식이 간단하고 더 실용적이다.
입체사진칼렌더(1A)는 베이스필름(17)상에 표면보호층(14a)과, 입체사진수지층(12)및 효과층(13)으로 된 입체사진형성층(11)과, 점착제층(18)을 순서대로 적층하여서 된 것이며, 표면보호층(14a)은 베이스필름(17)에 대하여 박리층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필름(17)의 재질로써는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중합체필름, 합성지, 철등의 금속필름 그리고 이들의 적층체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18)의 재질로써는 아크릴계수지, 비닐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우레탄계수지, 아미드계수지, 에폭시계수지, 고무계수지, 아이노머수지등이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층(18)의 두께는 0. 1 내지 50μm정도,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10μm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전사형의 입체사진 칼렌더(1A)는 점착제층(18)을 손목시계(2)의 투명보호판(덮개유리 : 22)에 포개지게 겹쳐놓으므로써 점착제가 투명보호판(22)위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점착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 베이스필름(14)을 표면보호층(14a)으로 부터 박리시키면 된다.
다음에, 박리지위에 점착제층을 매개로 하여 입체사진 칼렌더를 형성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7 도 내지 제 9 도는 점착제층을 매개로 하여 박리지상에다 입체사진 칼렌더를 형성시킨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7 도는 박리지(16)상에 점착제층(15)를 매개로 하여 입체사진효과층(13)과 입체사진수지층(12)을 순서대로 형성시킨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 입체사진수지층(12)온 보호층(14)으로써의 기능도 겸비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제 8 도는 박리비(16)상에 점착제층(15)를 매개로 하여 기재(17), 입체사진수지층(12), 입체사진효과층(13) 및 보호층(14)을 형성시킨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 9 도는 박리지(16)상에 점착제층(15)를 매개로 하여 입체사진수지층(12), 입체사진효과층(13)및 보호층(14)을 순서대로 형성시킨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보호층(l4)은 코팅법 및 필름라미네이팅법에 의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그라비아코팅법, 롤코팅법, 나이프코팅법 또는 옵셋인쇄(석판), 실크스크린인쇄등의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층을 형성하는 경우의 재료는 아크릴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등의 수지, 또는 자외선등의 활성선으로 경화시켜서 얻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보호층의 재료로써는 투명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이외에도 한부분의 파장영역의 파장을 흡수하는 착색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호층 이외의 적층재료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사진 칼렌더가 손목시계의 투명보호판에 붙여서 사용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날짜와 관계가 있는 데이타처리를 행하는 콤퓨터의 디스플레이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유리로 만든 상품진열대 부근에 붙혀서 영수증의 날짜를 확인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이 특정한 각도에서 칼렌더를 확인할 수 있지만 다른 각도에서는 확인할 수 없고 보고자하는 내용물만 볼 수 있는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체사진형성층(11)이 효과층(13)없이 입체사진수지층(12)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회절패턴기록에 리프맨홀로그램(Lippmann hologram)을 사용한다면 효과층(13)은 불필요하게 된다.
더우기, 입체사진형성층 점착제층, 점착제층 및 표면보호층등에는 안료나 염료둥을 함유시켜 착색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회절광선을 발생시키는 기록체 즉, 투명형입체사진을 이용하여 칼렌더를 기록하고,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부착시킴으로써 손목시계등에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칼렌더를 사용할 때(즉, 칼렌더를 볼 때)이외에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나타나므로 손목시계등의 디자인을 손상시키지 않게 되고, 부착되어지는 물품의 본래기능도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더우기, 칼렌더가 시계의 투명보호판상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제조예 1]
엠보스 입체사진시이트의 엠보스면(릴리이프면)에 입체사진효과층으로써 황화아연을 350Å의 두께로 진공 증착시켜 반사형 투명입체사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반사형 투명입체사진의 입체사진효과층위에다 다음 조성과 같은 점착제도포액을 건조시킨 후에 20μm의 두께로 도포하고 이형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점착시이트를 만들었다.
(조성)
KP-1041(일본 카바이드사제의 아크릴계점착제) 100부
CK-102(동일회사제인 경화제) 1부
MEK(메틸에틸케톤) 30부
초산에틸 15부
톨루엔 15부
이 점착시이트는 유리와의 점착력 500g/25mm에서 점성값이 3이었으며, 유리에 부착시켰을 때 문지르는 정도로 박리됨이 없이 충분히 점착되었다. 1개월 후에 박리하였을 때는 유리표면에서 깨끗하고 아주 쉽게 박리되었다. 또 상기 점착시이트의 점착면은 손가락과 접촉되어도 지문자국등이 남아 있지 않았다. 따라서, 점착시 취급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 하되 점착제도포액으로는 다음과 같은 조성을 사용하여 점착시이트를 만들었다.
(조 성)
KP-1041(일본 카바이드사제의 아크렬계점착제) 100부
CK-102(동일회사제인 경화제) 2부
MEK(메틸에틸케톤) 30부
초산에틸 15부
톨루엔 15부
이 점착시이트는 유리와의 점착력 1500g/25mm에서 점성값이 15이었으며, 유리에 강력하게 점착되었고, 1개월 후에 박리하였을 때에는 층간에 박리가 일어났고, 유리표면에 부분적으로 점착제가 남아 있었다. 또한 점착시이트는 점착면과 접촉하였을 때 지문등의 자국이 남아 있었고, 깨끗하게 점착시키기가 어려웠다.
[제조예 3]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되 점착제도포액으로는 다음과 같은 조성을 사용하여 점착시이트를 만들었다.
(조성)
KP-1073 100부
CK-102 2부
MEK(메틸에틸케톤) 30부
초산에틸 15부
톨루엔 15부
이 점착시이트는 유리와의 점착력 180g/25mm에서 점성값이 12이었으며, 유리에 점착시키고, 1개월 후에 박리하였을 때 박리는 가능하였으나, 유리표면에 점착제가 남아 있었다. 또한 점착시키기 전에 점착면과 접촉되었을때 점착면에 지문등의 자국이 남아 있었고, 깨끗하게 점착시키기가 어려웠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물품상에 점착시켜 사용하는 칼렌더, 특히 손목시계의 덮개유리에 점착시켜서 입체사진 칼렌더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물품의 표면에 점착되고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박리될 수 있는 칼렌더에 있어서, 칼렌더정보를 백색광선에 의해 재생가능한 입체사진화상이나 반사굴절광에 의해 눈으로 볼 수 있는 화상으로 기록되어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입체사진 형성층과, 상기 입체사진 형성층의 한쪽면에 형성되고, 상기 물품에 칼렌더를 점착시킬 수 있는 점착특성과 점착후의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물품으로 부터 박리될 수 있는 재박리특성을 동시에 겸비한 200 내지 1, 300g/25mm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점착력과 10이하로 조절되는 점성을 갖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진 투명형 입체사진 칼렌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입체사진 형성층은 입체사진 수지층, 입체사진 효과층 및 표면보호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제로 이루어진 입체사진 칼렌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입체사진 칼렌더는 점착제층을 매개로 하여 박리지상에 점착된 상태로 된 입체사진 칼렌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입체사진 칼렌더는 손목시계의 덮개유리에 점착시켜서 사용되는 입체사진 칼렌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착제층의 점착력은 300 내지 1,000g/25mm의 범위로 조절되고, 점성은 7이하로 조절된 입체사진 칼렌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400 내지 800g/25mm의 범위로 조절되고, 점성은 4 이하로 조절된 입체사진 칼렌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사진 형성층은 회절격자에 의한 화상이 형성된 층으로 이루어진 입체사진 칼렌더.
  8. 제 4 항에 있어서, 입체사진 칼렌더는 입체사진 효과층과 입체사진 수지층이 점착제를 매개로 하여 박리지상에 순서대로 형성된 입체사진 칼렌더.
  9. 제 4 항에 있어서, 입체사진 칼렌더는 기재, 입체사진 수지층, 입체사진 효과층 및 보호층이 점착를 매개로 하여 박리지상에 순서대로 형성된 입체사진 칼렌더.
  10. 제 4 항에 있어서, 입체사진 칼렌더는 입체사진 수지층, 입체사진 효과층 및 보호층이 점착제를 매개로 하여 박리지상에 순서대로 형성된 입체사진 칼렌더.
KR1019910700419A 1989-08-31 1990-08-30 입체사진 칼렌더 KR930009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1861 1989-08-31
JP1-101861(U) 1989-08-31
JP10186189 1989-08-31
PCT/JP1990/001101 WO1991003380A1 (en) 1989-08-31 1990-08-30 Hologram calend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931A KR920700931A (ko) 1992-08-10
KR930009813B1 true KR930009813B1 (ko) 1993-10-11

Family

ID=6747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419A KR930009813B1 (ko) 1989-08-31 1990-08-30 입체사진 칼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98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931A (ko) 199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4848A (en) Hologram calendar
JP4565482B2 (ja) ホログラム積層体およびホログラムラベル
AU2006323839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micron pattern on an optical pattern and the thus obtained optical pattern
JP4678706B2 (ja) 体積ホログラム積層体および体積ホログラムラベル
JPH08152842A (ja) ホログラム脆性シール
JPH05201181A (ja) 身分証明書
KR930009813B1 (ko) 입체사진 칼렌더
JP2000233584A (ja) 疑似接着シート及び情報記録媒体
JPS61272773A (ja) 透明型ホログラム
JPH10222071A (ja) 脆質ラベル
JP4451505B2 (ja) 透明型光回折パターン記録体
JPS63143580A (ja) ホログラムラベル
JP2001322393A (ja) 転写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光回折構造付きカード
JP3317360B2 (ja) ホログラムシール
JP4788083B2 (ja) 基材シートを剥離し得る貼付け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H09160475A (ja) ホログラム転写シートおよびホログラフィー表示体
JPH0511676A (ja) ホログラム転写箔
JP5407922B2 (ja) ホログラムラベル
JP2002366038A (ja) Ovdシー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貼り付け方法
JP3308302B2 (ja) ホログラムシール
JP3226608B2 (ja) ホログラムシールの組合せ
JP4319733B2 (ja) 光回折素子の転写方法
JP2000010482A (ja) 光回折構造、光回折構造転写シート及び光回折構造付きカード
JPH05289617A (ja) 透明型回折格子ラベル
JPH06286366A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