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177B1 - 화상재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재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177B1
KR930009177B1 KR1019900008377A KR900008377A KR930009177B1 KR 930009177 B1 KR930009177 B1 KR 930009177B1 KR 1019900008377 A KR1019900008377 A KR 1019900008377A KR 900008377 A KR900008377 A KR 900008377A KR 930009177 B1 KR930009177 B1 KR 93000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image
memory
signal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720A (ko
Inventor
시게오 기즈
나오키 엔도호
데츠오 나고야
노리히로 야마모토
요시쿠니 마츠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465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89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01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544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index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tapes, by driving or guiding the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7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 H04N9/7973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by dividing the luminance or colour component signal samples or frequency bands among a plurality of recording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equentially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재생장치 및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재생장치의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주요부의 상세 배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 3 도는 제 1 실시예의 화상재생장치의 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탈 메모리를 사용한 화상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 5 도는 제 3 실시예에 따라 디지탈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화상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 6 도는 제 4 실시예에 따라 외부 영상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화상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 7 도는 정지화상의 한 프레임당 데이타 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8 도는 메모리 카드의 블록도.
제 9 도는 메모리 카드의 데이타 기록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 10 도는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타 판독기를 도시한 블록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재생된 신호 처리기에 결합하는 메모리내의 정지화상으로서 재생된 화상의 부분을 기록하기 위한 화상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 12 도는 자기 테이프상에 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신호 처리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
제 13 도는 영상신호 파형의 일부를 도시한 타이밍도.
제 14 도는 제 11 도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화상재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6 도 및 제 17 도는 본 발명의 화상재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 18 도는 제 14 도에 도시된 회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 19 도는 제 11 도의 화상재생장치에 부가된 메모리의 주변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 20 도 및 제 21 도는 자기 테이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영상 헤드 수단 3, 13 : 영상신호 재생 수단
4 : 스위칭 수단 6, 11 : 화상 기억 수단
35 : 메모리 카드 200 : 메모리 수단
218, 219 : 메모리 제어 수단 220, 221 : 메모리 수단
227 : 모드 선택 수단 228 : 스톱 수단
260~263 : 재생 수단
본 발명은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내의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화상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정지화상을 재생할 수 있는 화상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 칭함)는 통상적으로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장치이다. VTR은 긴 자기 테이프가 릴 둘레에 감겨져 있는 기록 매체를 사용하므로 디스크 등의 매체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들에 비하여 매우 큰 기록 용량을 갖는다. 그러나, VTR에서 서어치 및 되감기 동작은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결점이 있다.
최근에, 제품의 광고를 위해 VTR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VTR의 화질, 동작성 및 안정도를 개선한 여러 형태의 VTR이 제공되고 있다. 하이-비전(Hi-vision)과 같은 텔레비젼 시스템의 채용으로 화질은 더욱 선명해지는데, 이는 현재의 텔레비젼 시스템 보다 높은 해상도를 보증하고 대형 스크린에서 사용할 수 있다. VTR이 광고 및 다양한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때 서어치 및 되감기 동작시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광고 및 다양한 서비스의 효과는 줄어든다.
따라서, 통상의 시스템에서는 정지화상 유닛 또는 문자 발생기와 같은 보조 유닛이 VTR 외측에 배치되며, VTR에 의해 재생된 화상 및 그 보조 유닛으로부터 출력 화상들이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표시되도록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스위치된다. 에어터미널과 같은 것에 사용되는 이른바 영상 정보 시스템에서, VTR에 의해 재생된 화상 및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화상들은 모니터상에 표시되도록 선택적으로 스위치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VTR이 광고 및 여러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때, 통상의 시스템은 정지화상 유닛 또는 문자 발생기와 같은 보조 유닛으로부터의 출력 화상과 VTR에 의해 재생된 화상을 스위칭 및 표시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불가피하게 복잡하게 되어 크기 및 비용면에서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배치로 화상 서어치 동작 또는 되감기 또는 고속 전진 동작시에 정지화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화상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또는 하나의 필드 영상신호를 적재하기 위해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된 화상 메모리와,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신호 재생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재생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메모리내에 적재된 영상신호와 영상신호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치 및 출력할 수 있다.
영상신호는 화상재생장치의 외부 유닛에 의해 화상 메모리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위치(제 1 스위치)에 부가하여, 그 장치는 외부 영상신호 소스로부터의 영상신호 입력과 영상신호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치 및 출력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신호는 제 2 스위치를 통해서 화상 메모리내에 기록된다.
화상 메모리는 VTR과 같은 화상재생장치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최소한 반도체 메모리부가 메모리 카드 또는 메모리 팩으로 형성되는 방식과 같이 분리 메모리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내에 기록된 영상신호에서 소정의 신호를 재생하도록 서어치 또는 되감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그 기록 매체로부터 얻어지는 재생 신호는 완전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 그 화상재생장치치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는 스위치(제 1 스위치)에 의해 화상 메모리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절환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서어치 동작 또는 재검토 또는 되감기 동작시에 화상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영상신호는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된 영상신호의 위치에 표시된다. 추가로, 서어치 또는 되감기 동작시에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화상재생장치에 결합하는 화상 메모리로부터의 신호가 되기 때문에 외부 보조 유닛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설치공간과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더우기, 유저에 의해 요구된 임의의 화상 데이타는 제 2 스위치를 통해서 화상 메모리내에 기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내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순서적으로 재생하고, 소정의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에 메모리내에 재생된 영상신호를 순서적 및 일시적으로 적게하며, 재생 모드로 메모리로부터 영상신호를 순서적으로 판독하여 기록된 재생하기 위한 화상재생장치가 제공되는데, 메모리로의 영상신호 기입 동작을 정지하기 위해 기입 동작이 정지되는 시간에 프레임의 적어도 한 프레임에서 영상신호를 메모리가 홀드하도록 하고 정지 모드의 정지화상으로서 메모리내에 홀드된 영상신호를 판독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내에 적재된 영상신호들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재생하도록 서어치 또는 되감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기록 매체로부터 정상 화상이 얻어질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간축 압축, 시간축 확장, 시간축 정정 및 디-서플링과 같은 재생된 영상신호의 처리를 위해 배치된 메모리가 다음의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영상신호의 서어치 또는 되감기 동작이 수행될 때, 기입 동작이 정지되는 프레임의 적어도 한 전속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메모리내에 적재되고, 메모리의 내용들이 이 기간에 정지화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동작과 함께,화상 표시의 인터럽션은 특수 유닛을 배치하지 않고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열실을 위해 사용된 시스템과 모니터를 통해서 여러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들과 장점들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술되는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테이프(1)와 접촉하는 비디오 헤드(2)는 영상신호 재생회로(3)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영상신호 재생회로(3)는 제 11 도에 도시된 회로와 유사한 회로 배치를 가지며, 자기 테이프(1)로부터 판독된 영상신호를 증폭, 평형 및 복조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영상신호 재생회로(3)의 재생 출력단자는 스위치(4)의 접점 A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의 접점 B 및 C는 화상 메모리(6) 및 영상신호 출력단자(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화상 메모리(6)는 최소한 한 프레임 영상 신호를 적재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소정의 영상신호가 미리 화상 메모리(6)에 기입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상 메모리(6)는 반도체 메모리로써 구성된 반도체 메모리(35)에 의해 구성되며, VTR 본체(30)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설계되져 있다. 화상 메모리(6)의 판독 제어는 타이밍 펄스 발생기(7)로부터의 타이밍 펄스에 의해 수행된다. 스위치(4)는 제어회로(9)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회로(9)는 작동부(8)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응하여 절환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화상재생장치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1)에 미리 기억된 영상신호는 비데오 헤드(2)에 의해 판독된다. 판독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재생회로(3)에 입력되고 증폭, 등화 및 복조 등의 신호처리를 받는다. 그다음, 처리된 신호는 영상신호 재생회로(3)에서 재생된 영상신호로서 출력된다.
영상신호 재생회로(3)에서 출력된 재생 영상신호는 화상 출력단자(5)로부터 스위치(4)의 접점 A와 C를 거쳐 모니터 등의 외부 장치로 출력된다.
작동부(8)는 "전원 온/오프", "재생", "고속진행", "되감기", "정지" 및 "이젝트" 등, VTR의 기본작동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작동부(8)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어회로(9)에 공급된다. 스위치(4)는 제어회로(9)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JTR이 서어치 동작 또는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스위치(4)는 화상 메모리(6)상의 B접점으로 절환되고 화상 메모리(6)에서 판독된 영상신호를 영상신호 출력단자(5)로 출력한다. 영상신호 출력단자(5)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8)에 연결된다.
화상 메모리(6)와 타이밍 펄스 발생기(7)를 도시한 제 2 도의 블록도에 의하면, 화상 메모리(6)는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된 디지탈 메모리(21), D/A 변환기(23) 및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7)를 구비한다.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7)는 펄스 발생기(27)로 부터 출력된 펄스에 응하여 스크린의 상부 좌단으로부터 하부 우단까지 8비트 단위로 디지탈 메모리(21)에 기억된 영상신호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판독해내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한다. 디지탈 메모리(21)의 출력은 데이타라인(22)을 거쳐 D/A 변환기(23)에 입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출력단자(24)로 출력된다.
타이밍 펄스 발생기(7)는 클록 발생기(25) 및 펄스 발생기(26)를 포함한다. 클록 발생기(25)는 D/A 변환기(23) 및 펄스 발생기(26)를 구동시키는 기본 클록을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4)가 접점 A로부터 접점 B로 절환되면, 기억된 영상신호 데이타는 펄스 발생기(26)의 펄스에 동기되게 스크린의 상부 좌단으로부터 시작하도록 화상 메모리(6)로부터 판독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재생회로(3)로 부터의 영상신호와 화상 메모리(6)로부터의 영상신호 사이의 시간 연속성이 얻어진다.
제 3 도에 도시된 VTR에 있어서, 제 1 도의 작동부(8)를 포함한 작동 패널(31), 비데오 테이프 카세트 삽입구(32), 메모리 카드 삽입구(33) 및 메모리 카드 분출버튼(34) VTR 본체(30)의 앞면에 배열된다.
메모리 카드(35)는 제 1 도의 화상 메모리를 카드형 보드상에 장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메모리 카드(35)를 제 3 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메모리 카드 삽입구(32)로 삽입하면, 메모리(6)로부터 영상신호가 판독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35)를 교체해야 할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 분출버튼(34)을 눌러서 메모리 카드를 분출시키고 새로운 메모리 카드를 삽입구(32)에 삽입한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837,624호에 설명된 기술된 메모리 카드를 타이밍 펄스 발생기(7) 및 다른 장치에 연결하는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제 4 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화상재생장치에 따르면, 화상 메모리(11)는 오직 디지탈 메모리만으로 구성되고, D/A 변환기(12)는 화상 메모리(11)의 출력측에 배열된다. 타임 펄스 발생기(7a)는 클록 발생기(25) 및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7)를 구비하며, 이들은 각각 판독 어드레스 신호 및 클럭신호를 화상 메모리(11) 및 D/A 변환기에 공급한다.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7)는 메모리(11)로 부터의 데이타 판독 개시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판독 개시 타이밍 신호가 공급되는 프리세트 단자(28)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4)가 접점 B로 절환되면, 내장된 화상 메모리에 기억된 정지화상 신호로 판독 개시 타이밍 신호에 응하여 어드레스 발생기(27)에서 발생된 판독 어드레스에 의해 판독되고 D/A 변환기(12)에 의해 아날로그 화상 신호로 변환된다. 그 다음, 아날로그 화상 신호는 단자(5)를 통하여 모니터(18)에 공급되고, 모니터에서 정지화상으로서 디스플레이 된다.
제 5 도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신호 재생회로(13)는 시간축 보정 및 특수효과를 위하여 공지의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기에 연결된다. 상기 영상신호 재생회로(13)는 디지탈 메모리로 구성된 화상 메모리(11)의 출력 신호와 유사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4)가 접점 A로 절환되면, 상기 재생된 디지탈 영상신호는 스위치(4)를 통하여 D/A 변환기(12)에 공급되고 여기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그 다음, 아날로그 신호는 출력단자(5)를 통하여 모니터(18)에 출력된다. 스위치(4)가 예를들면, 되감기/서어치 동작중 접점 B로 절환되어 있으면, 화상 메모리(11)에 기억된 정지화상 신호는 타이밍 펄스 발생기(7)의 타이밍 펄스에 응하여 판독되고 스위치(4) 및 D/A 변환기(12)를 거쳐 모니터(18)에 입력되어 정지화상으로서 디스플레이 된다.
제 5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탈 메모리로 구성된 화상 메모리(11)의 출력신호가 VTR에 내장되고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기에 연결된 D/A 변환기(12)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므로 D/A 변환기를 부가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으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 6 도에 도시한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가 화상 메모리(11)에 기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 5 도의 구성이외에, 본 실시예는 외부의 영상신호원으로부터의 디지탈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입력단자(14)와, 화상 입력단자(14)로부터의 영상신호 입력 및 영상신호 재생회로(13)로 부터의 재생된 디지탈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15)를 구비한다.
스위치(15)는 스위치(4)와 마찬가지로 제어회로(9)에서 출력된 절환신호에 의해 절환된다. 또한, 화상 메모리(11)에 대한 기입 및 판독 동작은 제어회로(9)의 메모리 모드 절환신호(17)에 의해 절환된다. 판독 어드레스 신호와 유사하게 기입 어드레스 신호는 타이밍 펄스 발생기(7)로부터 화상 메모리(11)로 공급된다. 화상 메모리(11)의 판독 동작은 제 5 도의 실시예와 동일 방식으로 수행된다.
제 6 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는 스위치(15)를 절환하고 화상 메모리(11)를 메모리 카드 절환신호(17)를 사용하여 기입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임의의 영상신호를 화상 메모리(11)에 기입할 수 있다. 테이프(1)에 기록된 신호의 일부가 예를들면 테이프의 서어치 또는 되감기 동작중에 정지화상으로써 디스플레이 되어야 한다면, 화상신호는 스위치(15)가 영상신호 재생회로(13)측, 즉 접점 A에 절환되어 있는 동안 영상신호 재생회로(13)로부터 화상 메모리(11)로 기입된다. 테이프(1)에 기록된 영상신호 이외의 영상신호가 서어치 또는 되감기 동작중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면, 외부 영상신호는 스위치(15)가 화상 입력단자(14)측, 즉 접점 B로 절환되어 있는 동안 화상 메모리(11)에 기입된다.
제 6 도의 실시예에서, 유저는 화상 메모리(11)에 대하여 재기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앞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분리 가능한 메모리 카드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즉, VTR의 고정된 내장 메모리는 화상 메모리(11)로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장치는, 이하, 1/2인치 하이비젼 VTR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1/2인치 하이비젼 VTR에 의해 사용되는 영상신호는 20MHz의 신호 대역폭과 2개의 색차신호(Pb, Pr)를 가진 휘도 신호(Y)를 포함하는 성분 영상신호인데, 각 색차신호는 7MHz의 신호 대역폭을 갖는다.
제 7 도는 1프레임(1/30초) 영상신호의 Y신호를 나타낸다. 영상신호가 VTR에서 디지탈 신호 처리되는 경우, Y신호는 48.6MHz에서 샘플되고, Pb 및 Pr 신호 각각은 Y신호의 샘플링 주파수의 1/3에 해당하는 6.2MHz에서 샘플된다. Y신호는 라인마다 1440번 샘플된다. 1,440개의 샘플중 1260개의 샘플은 유효 픽셀 데이터로써 사용된다. Pb 및 pr 신호들의 각각은 라인마다 480번 샘플된다. 480개의 샘플중 420개의 샘플이 유효 픽셀로써 사용된다.
하이비젼 신호는 1,125개의 수직라인을 포함하는데, 이들 라인중 1035개의 라인만이 유효라인으로써 사용된다. Pb 및 Pr 신호와 관련하여, 데이터는 압축되고 라인 스컨설 신호를 얻도록 비월주사되므로, 프레임당 유효라인의 수는 1,035/2가 된다.
각 샘플들은 비트로 변환되므로, 1프레임의 픽셀 데이터의 합은 {(1.260×1.035)+(420×1.035/2)+(420×1.035/2)}×8=13,910,400비트/프레임(약 14멀티비트)이 된다.
제 8 도는 메모리 카드(35)의 내부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 따르면, 메모리 카드(35)는 16개의 EEPROMS(전기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ROM) 내지 (16)의 메트릭스를 포함하는데, 각각은 28키로바이트의 용량을 가지며, 이들 EEPROM들에게 접속된 메모리 제어기(117)를 갖는다. 영상신호는 두개의 채널 A 및 B로 분배되며 제 1 및 제 2 피일드의 장치내의 메모리 카드(35)내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EEPROM들의 각 열은 하나의 채널의 하나의 피일드에 대응한다. 영상신호는 제 9 도에 도시한 포맷에 따라 메모리 카드(35)에 저장된다. 제 9 도에 도시된 포맷에 따르면, 518수평데이터(H데이터) 각각은 한쌍의 색차신호 C 및 Y신호를 포함하며, 메모리 카드(35)내에 저장되도록 채널 A(CHA)의 제 1 피일드 및 채널 B(CHB)의 제 1 피일드에 교대로 할당된다.
전술한 배역을 가진 메모리 카드(35)에 있어서, 메모리 제어기(17)는 수직 및 수평 펄스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 A 및 B(각각은 17비트로 구성), 및 칩선택신호 CB(4비트로 구성)를 출력하고, 메모리 셀은 이들 신호 A, B 및 CS에 의해 엑세스 된다. 따라서, 영상신호는 메모리 카드(35)로부터 기입 또는 독출된다. 구체적으로, READ/WRITE 신호가 저레벨인 경우, 영상신호가 기입된다. READ/WRITE 신호가 고레벨인 경우, 영상신호가 독출된다. 이 경우에, 8비트 데이터라인이 데이터 입력 및 출력에 사용되고, 입력 및 출력 모드는 출력이네이블 신호에 의해 전환된다.
제 10 도는 메모리 카드(35), 즉 제 3 도에 도시한 VTR(30)에 내장된 메모리 카드 판독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외부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각 채널 A 및 B에 대한 Y 및 C 신호 버퍼(121 내지 124)를 포함한다. 각 버퍼는 2H에 대응하는 용량을 갖는다. 한편, 1-H 영상신호가 각 버퍼의 1/2 저장영역에 내장되는 경우, 1-H 기입 데이터(영상신호)가 다른 1/2 저장영역으로부터 독출된다. 즉, 각 버퍼에서, 판독 및 기입동작은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에, Y 및 C 버퍼 양자의 기입제어는 28.998MHz의 속도를 가진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수행된다. 이와 반대로, Y신호에 대한 판독제어는 48.6MHz의 속도를 가진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수행되고, C신호에 대한 판독제어는 16.2MHz의 속도를 가진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수행된다. 이 경우에, 어드레스 라인은 통상 판독 및 기입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각 버퍼의 각 저장영역의 어드레스 1 및 2가 메모리제어기(125)에 의해 전환되는 경우, 어드레스 라인의 기입 및 판독 모드가 전환된다. CHA-Y 버퍼(121) 및 CHB-Y 버퍼(123)로부터의 출력은 멀티플렉서(126)에 입력으로 작용하며, CHA-C 버퍼(122) 및 CHB-C 버퍼(124)로부터의 양 출력은 멀티플렉서(127, 128)에 입력으로 작용한다. 멀티플렉서(126 내지 128)는 메모리 제어기(125)로부터의 A/B 스위치 신호 출력에 의해 전환되며 이와 달리 채널 A 및 B의 색차신호 Pr 및 Pb 그리고 Y신호를 출력힌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VTR은 적어도 1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영상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신호와, 테이프형 기록매체로부터의 재생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를 가진 화상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재생 영상신호는 선택적으로 출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 인하여 광고 및 여러가지 서비스용으로 VTR이 사용될 때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 즉, 서치 또는 재감기 동작 동안 표시기가 차단되어 결국 광고 및 서비스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추가로, 영상 카메라 및 그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는 보조장치를 VTR 외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은 설치공간만이 필요하며 사용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제 6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디지탈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입력단자(14)로부터 입력된다. 그러나,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화상 메모리(11)에서 기입되도록 VTR내에 내장된 A/D 변환기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화상 메모리(6, 11)로써 특정 메모리들이 사용될 필요가 없다. 예를들면, 영상신호재생회로(13)에 내장된 프레임 메모리는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어치 및 재감기 동작동안 계속적인 화상을 재생하는데 사용되도록 화상 메모리(6, 11)의 적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이하에 기술되는 제 11 도와 관련된 것이다. 제 11 도의 자기 테이프(201)에 FM 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신호 처리장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기술하기에 앞서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제 12 도는 기록 신호처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장치에서는, 하이비젼 텔레비젼 신호를 구성하는 2가지 형태의 색차신호 Pb 및 Pr과 휘도신호 Y는 각각 영상신호 입력단자(229, 230, 231)에 입력된다. 이들 신호 Y. Yb 및 PR는 A/D 변환기(232, 233, 234)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A/D 변환기(232)로부터의 휘도신호 Y의 출력은 시간축 확장기(235)에서의 시간축 확장에 영향을 받는다. A/D 변환기(232, 233)로부터의 색차 신호 Pb 및 Pr의 출력은 각 시간축 확장기(236, 237)에서의 시간축 압축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확장기(235, 236, 237)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시간축 멀티플렉서(238)에 영향을 받는다. 휘도신호 Y, 색차신호 Pr 및 Pb는 소위 TCI 신호로써 형성되도록 시간축에 따라 다중화되어 영상신호의 다중화가 수행된다.
이런 경우에 TCI 신호는 다음 단계의 브랭킹 가산기(239)에서 FM 변조기(250)까지의 소자를 포함하는 채널 A와 브랭킹 가산기(20)에서 FM 변조기(251)까지 소자를 포함하는 채널 B에 대한 부분으로 분할된다. 브랭킹 주기의 정보가 브랭킹 가산기(239)에 의해 분리된 TCI 신호에 가산되어진 후 TCI 신호는 D/A 변환기(241, 242)에 공급되어 다시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제 13 도에는 각 D/A 변환기(241, 242)로부터 영상신호 출력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시간영역(243)의 화살표는 브랭킹 주기 정보를 나타내고 시간 영역(244)은 색상이 상이한 신호 Pb 또는 Pr를 나타내고 시간 영역(245)은 루미언스 신호(Y)를 나타낸다. 브랭킹 주기(243)은 신호 처리를 재생하기 위해 신호 기준으로서 주로 삽입된 동기 신호(246)와 버스트 신호(247)를 포함한다.
D/A 변환기(241, 242)로부터 출력신호는 각각 프리 앰파시스 회로(248, 249)에 각각 공급되어 그의 고주파수 성분을 약 3.5배 강조하게 된다. 그러므로 신호는 각각 FM 변조기(250, 251)에 입력되므로 19MHz의 중앙 주파수를 각각 가진 캐리어 주파수는 변조된 주파수이다. 이런 방법으로 얻어진 FM 영상신호는 레코딩 증폭기(252~255)에 공급된다. 레코딩 증폭기(252~255)에 증폭된 FM 영상신호는 회전식 트랜스(도시생략)을 통해 4개의 레코딩 헤드(256~259)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런 신호는 자기 테이프(201)에 기입된다.
제 11 도에는 자기 테이프(201)로부터 FM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재생 신호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신호 처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회전식 드럼(265)에 부착된 4개 자기 헤드(260~263)에 의해 자기 테이프(201)로부터 판독된 FM 영상신호는 회전식 트랜스(도시 생략)를 전치 증폭기(202~205)에 각각 공급된다. 전치 증폭기(202~205)는 서브 시퀀트 신호 처리에 필요한 고레벨에서 FM 영상신호를 증폭하고 그 신호를 RF 스위치 회로(206, 207)에 보낸다. 자기 헤드(260, 261)가 자기 테이프(201)와 접촉할 경우 전치 증폭기(202, 204)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약 180°의 주기에 대해서만 FM 영상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들 신호가 서로 교번하기 때문에 RF 스위치 회로(207)는 두 신호를 절환시켜 연속 신호로서 출력 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치 증폭기(203, 205)로부터 출력신호에 대하여 RF 스위치 회로(206)는 자기 헤드로부터 두신호를 절환한다. RF 스위치 회로(206, 207)의 스위칭 시간은 RF 스위치 펄스 발생기(264)로부터 펄스에 의해 결정된다.
각 RF 스위치 회로(206, 207)로부터 출력신호는 등화기(208, 209)에 공급되어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게 된다. 등화기(208, 209)로부터의 출력신호는 FM 복조기(210)에 각각 공급되어 영상신호로 복조된다. 따라서 영상신호는 디 엠파시스 회로(266, 267)에 의해 레코딩시 엠파시스 회로에 기억되어 비데오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다.
출력단자로부터 영상신호 출력은 A/D 변환기(212,213)에 의해 각각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메모리(220, 221)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A/D 변환기(212,213)에 대한 변환 클럭과 메모리(220, 221)에 대한 라이트 시간은 클록 펄스에 의해 결정되고 이런 클록 펄스는 동기 분리 회로(214, 126)에 의해 영상신호로부터 나온 동기 및 버스트 신호에 따라 클록 발생기(215)로부터 발생된다.
대체로, 시간축 보정 메모리는 메모리(220, 221)로 사용된다. 특히 크기가 12mm(1/2인치)소형의 카세트 하이비젼 VTR(도시바로부터 시판되는 모델 번호 HV 8900)에서 여러 필드의 용량이 결정되고 각 필드메모리는 부수적으로 액세스된다. 메모리(220, 221)의 판독 시간은 기수/우수 필스 스위치 펄스, H 및 V동기 펄스 및 외부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기 신호 발생기(226)에 의해 발생된 판독 시간 펄스로 결정된다. 이들 펄스는 메모리 제어회로(218, 218)와 함께 클록 발생기(215, 217)로부터 라이트 펄스를 입력해서 메모리(220, 221)를 제어한다. 이런 제어 동작은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다.
재생 모드에서, 메모리(220, 221)로부터 시간축 보정 영상신호는 스위치(205)와, 채널의 유닛에서 D/A 변환기(222~224)에 대한 출력으로 변환된다. 이들 D/A 변환기(222~224)는 입력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루미언스 신호(Y)와 색차신호(Pb, Pr)를 출력한다.
상기 기술된 재생신호 출력 작동, 화상 명령을 메모리 제어회로(216)에 출력하는 제어회로(228) 및 메모리 제어회로(219) 동안 화상이 제어 판넬(227) 유저에 의해 명령될 경우, 이런 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 제어회로(218, 219)는 새로운 영상신호의 입력이 메모리(220, 221)에 기억되는 것을 방지하며, 메모리(220, 221)는 화성 정지 명령이 이력될 경우 타이밍시 출력 프레임 화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메모리(220, 221)의 수직 회로에 대한 설비 및 작동은 제 14 도의 회로 블럭도와 제 18 도의 타이밍 챠드를 참고로 해서 하기에 설명되어진다.
메모리(220)는 필드메모리(FM0~FM2)를 포함하고 3필드 용량을 가진다. 통상 재생 작동시 필드메모리(FM0~FM2)에 대한 데이타 기입 및 판독 작동은 시간축 보정과 같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부수적으로 절환된다. 메모리 제어회로(218)는 라이트 제어회로(270)와 리이드 제어회로(272)로 구성된다. A/D 변환기(212)에서 필드메모리(FM0~FM2)까지의 영상신호(입력 데이타)의 선택은 라이트 제어회로(270)로부터 펄스(WSEL0~WSEL2)로 실행된다. 리이드 선택은 리이드 제어회로(272)로부터 펄스(RSEL0~RSEL2)에 의해 실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VD 펄스는 카운터(273)의 클록단자에 입력하고 그 카운터(273)로부터의 출력은 디코더(274)에 의해 디코드 된다. 디코더(274)로부터 출력 0.1 및 2는 셀렉터(276)에 입력될 경우 펄스(RSEL0~RSEL2)는 셀렉터(276)에서 메모리(220)까지 출력하여 필드메모리(FM0~FM2)를 액세스 하게 된다.
화상 정지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어회로(218)는 FMWSTOP 신호에 따라 라이트 제어회로(270)의 시퀀스를 정지시킨다. 화성 정지 명령이 제어회로에 입력될 경우 플립플롭(277)로부터 출력, 즉 FMWSTOP 신호는 재생 프레임 펄스로서 기수/우수 신호의 리이딩 에지와 동기시켜 고레벨과, AND 게이트(278, 279) 및 플립플롭(277)의 작동에 의한 디코더(274)로 부터 출력에서 세트된다. 따라서 라이트 제어회로(270)는 메모리(220)를 펄스 메모리(FM0~FM2)액세스 못하도록 하여 펄스(WSEL2)를 선택한다. 셀렉터(276)는 B입력을 선택하고 펄스(RSEL0, RSEL1)는 펄드의 유닛에서 다르게 액세스된다. 이런 작동으로 메모리(FM0~FM1)의 프레임 정지 명령은 화상 정지 명령이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화상 정지 명령이 제거될 경우 명령 신호는 저레벨로 진행한다. FMWSTOP 신호는 기수/우수 신호의 리이딩 에지와 디코더(274)로부터 출력을 동기시켜 저레벨에서 세트된다. 따라서,장치의 작동은 필드메모리(FM0~FM2)의 부차적인 액세스 모드로 귀환된다.
본 실시예에서, FMWSTOP 신호는 재생 프레임 펄스와 디코더로부터 출력 0으로서 화상 정지 명령 신호룰 기수/우수 신호와 동기시켜 발생된다. FMSTOP 신호는 기수/우수 신호에 의해서만 발생될 경우 이런 경우 화상 여분 작동에서 3개의 반복패턴 즉, RSEL0와 RSEL1의 패턴, RSEL1ㅡ RSEL2의 패턴, RSEL2와 RSEL0의 패턴은 화성 정지 처리에 대한 메모리 선택 신호로서 존재한다. 화성 정지 동작이 이들 모든 3개의 패턴에 대응할 경우 하드웨어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 RSEL0과 RSEL1의 패턴만은 화성 정지 명령이 디코더로부터 0출력신호와 동기화되도록 고착된다. 이에 따라 화성 정지 기능은 제 14 도에 도시된 회로 소자(275, 280)를 가산하여 실현된다.
상기 기술된 화상 정지 동작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하기에 기술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소정의 간격 동안 테이프의 영상 신호가 반복적으로 재생되는 소위 반복 재생 방법에 있어서, 분산된 화상은 표시되고 정상적인 화상은 세트 개시위치가 서어치 되고 테이프가 개시 재생부에 재감겨질 경우 시간의 주기동안 모니터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런 실시예에서, 정지 화상은 이런 주기동안에 표시되고 이런 실시예는 제 15 도 및 제 16 도를 참고로 해서 기술되어진다.
유저가 제 11 도 단계 1)의 제어 판넬을 통해 제 11 도의 제어회로(228)에 대한 프로그램 플레이를 선택한다.
테이프의 반복 재생 개시위치(X)는 숫자 키이 또는 그와 유사한 것(단계 2)를 사용하므로 입력한다. 더우기, 재생 종료위치(Y)가 선택된다(단계 3). 유저는 화상 정지 모드(단계 4)를 명령하고, 1회 플레이 모드나 연속 반복모드(단계 5)를 선택한다. 유저가 실행명령(단계 6)을 입력할때, 제어회로(228)는 반복 재생을 개시한다. 실행명령에 응답하여, 제어회로(228)는 서어치동작(단계 7)을 개새하기 위하여 명령을 출력하고, 입력 개시위치(X)가 서어치될 때까지 서어치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8). 서어치동작이 완료되었을때, 재생개시가 명령되어지고(단계 9), 재생은 종료위치(Y)까지 수행된다.
상기 재생 위치가 종료위치(Y)의 2개의 이전 프레임의 위치에 도달할때(단계 10), 제어회로(228)는 화상 정지 명령을 출력하여 2개의 프레임, 예로 제 20 도에서 나타낸 종료위치(Y)에서의 프레임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메모리(220)를 홀드시킨다. 이 종료위치에서 프레임은 직접 진행 프레임과 다른 정지화상을 기억할 수도 있다.
상기 연속반복 모드가 모드선택에서 선택되는 경우, 재생 위치가 종료위치(Y)에 도달할때(단계 12), 되감기/서어치 동작은 개시위치(X)까지 실행되며(단계 7),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이 반복된다. 1회-플레이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되감기/서어치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에서(단계 14) 실행된다. 상기 테이프가 개시 종료위치(X)에서 되감겨졌을때(단계 15), 제어회로(228)는 정지 명령을 출력하여 화상 정지 명령을 중지한다(단계 16). 반복 정지 명령에 응답하여(단계 17), 재생 동작이 정지된다(단계 18). 이 동작으로 상기 테이프는 개시위치(X)에서 정지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되감기/서어치 동작동안, 내용물(정지화상)은 메모리(220 및 221)내에 유지되어 항상 모니터 상에 표시되므로(나타내지 않았음), 되감기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무효잡음이나 화상표시의 차단을 막는다. 서어치 동작은 공지기술에 의해 수행되므로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재생 개시 및 종료위치들은 테이프 타이머의 값들이나 타임코드의 값들에 의해 세트될 수 있다. 이 세팅 동작은 제 15 도에서 명확히 예시된다. 재생 시스템은 실제 응답 특성들을 고려하면, 화상정지 동작의 개시 타이밍은 종료위치의 2개의 이전 프레임 위치에서 세트된다. 즉, 화상명령이 2개의 프레임 앞의 종료위치에서 발생되는 경우, 화상은 1프레임 메모리에서 유지될 수 있다.
제 17 도에서 나타낸 1회-플레이모드에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과 유사하게 화상정지 명령은 종료위치(Y)의 2개의 이전 프레임에서 출력하다(단계 11). 종료위치(Y)에서(단계 12), 되감기 동작이 정지된다(단계 14 및 15). 그러나, 메모리(220 및 221)내에 유지되는 상기 내용물은 화상정지 모드가 취소될때까지 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종료위치(Y)에서의 테이프 내용물은 되감기 동작동안 정지화상처럼 표시된다.
제 19 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메모리(290 및 291) 각각은 메모리(220 및 221)의 배열이 독립적으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용량을 가지므로, 프로그램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 개시위치에서의 정지화상은 메모리(290 및 291)내에 유지되고, 스위치(292 및 293)는 메모리(290 및 291)내에 기억된 개시위치(X)에서 정지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되감기/서어치 동작 동안 스위치된다. 더우기, 테이프 재생의 개시위치(X) 및 종료위치(Y) 사이의 임의의 테이프 위치(M)는 외부적으로 세트할 수 있으므로 세트위치(M)에서의 화상은 정지화상처럼 추가 메모리(290 및 291)에서 유지되어 되감기/서어치 동작 동안 표시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되감기/서어치 동작동안 화상정지 동작은 예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속진행 모드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복수개 쌍의 개시 및 종료위치(X 및 Y)가 세트되고, 이들 결합 쌍의 하나가 표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21 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개시 및 종료위치(X1 및 Y1)와 또 한쌍의 개시 및 종료위치(X2 및 Y2)가 세트된다고 가정하면, X1 및 Y1의 쌍이 먼저 표시되고, X2 및 Y2의 쌍이 그다음에 표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위치 X1 및 Y1 사이의 재생이 완료된 후, 상기 위치(X2)는 고속 진행 모드에 의해 서어치 된다. 일예로, 이 고속 진행 동작동안, 위치(Y1)에서의 화상은 정지모드처럼 표시된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던 것처럼, 서어치 동작동안 무효잡음이나 화상표시의 차단으로 인해, 되감기 동작이나 고속 진행 동작은 소량의 하드웨어만 추가하므로써 방지될 수 있고, 본 발명은 광고용으로 사용되는 모니터에 대해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상 메모리는 한 스크린의 화상과 같이 1프레임의 화상데이타를 기억할 수도 있지만, 1필드의 화상데이타를 기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1필드 화상데이타는 간접 기술에 의해 1프레임 화상데이타로 변환되어 모니터 상에 표시된다.
본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추가 장점이나 변경들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나 장치들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과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8)

  1.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신호 재생수단(3, 13)과 ;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화상기억수단(6, 11)과 ; 상기 영상신호 재생수단과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영상신호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영상신호와 상기 화상기억수단에서 판독되어진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출력시키는 스위칭수단(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영상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와 상기 영상신호 재생수단(13)에 의해 재생된 영상신호중 한 신호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신호를 상기 화상 기억수단(11)에 공급되는 부가적인 스위칭수단(15)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억수단(6)은 상기 화상재생장치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기억수단(3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억수단(6)은 상기 화상재생장치로부터 분리가능한 메모리 카드(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다수의 정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전용 메모리(101~116 : EEPROMS) 매트릭스와, 그 판독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기수단(11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상기 영상신호를 각각 적어도 2개의 필드를 포함하는 2개의 채널에 기억하는 바도체 메모리 카드(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소정의 정지 화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억수단은 디지탈 정지 화상신호를 기억하는 디지탈 메모리(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재생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판독하는 영상헤드수단(2)과, 상기 영상헤드 수단에 의해 판독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증폭, 등화 및 복조를 포함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기 수단(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고속진행 및 되감기 동작중 적어도 한 동작동안 상기 화상기억수단(6)에 기억된 영상신호를 출력시키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 수단(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11. 재생모드 및 정지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수단(227)과 ; 상기 재생모드의 선택에 따라서, 테이프형 재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수단(260~263)과 ;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220, 221)과 ;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 수단(220, 221)내에 기입하여, 상기 메모리 수단(220, 221)로부터 영상신호를 판독해내는 메모리 제어수단(218, 219)과 ; 상기 정지모드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라이트 수단이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메모리내에 기입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수단(228)을 구비하는데 ; 상기 메모리 제어수단(218, 219)은 재생모드에서 상기 메모리수단내에 기입된 영상신호를 판독해냄과 아울러 정지모드에서 상기 스톱수단이 라이트 동작을 정지시킬때 상기 메모리수단내에 유지된 영상신호를 정지모드로서 판독해내는 판독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220, 221)은 적어도 3개의 필드메모리(FM0~FM2)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수단을 재생모드에서 상기 3개의 필드메모리를 순서적으로 액세싱함과 아울러 정지모드에서 상기 3개의 필드메모리들중 2개의 필드메모리를 선택적으로 액세싱하는 액세스수단(27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수단(218, 219)은 상기 스톱수단에 의해 라이트 동작이 정지되기 바로전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프레임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수단내에 기입하는 라이트수단(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먼저 재생된 영상신호를 정지 화상신호로서 기억하는 정지화상 메모리(220)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수단은 상기 정지모드에서 상기 정지화상 메모리로부터 발생된 정지화상 신호를 판독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수단(227)은 서어치 재시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정지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수단(227)은 재생위치가 상기 기록매체의 종료위치에 대한 2개의 사전 프레임중 한 위치에 도달할때 정지모드를 선택하는 화상재생장치.
  17. 테이프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의 재생개시 및 종료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 ; 상기 기록매체로 부터 재생개시 및 종료위치간의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재생종료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사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부분을 메모리내에 기억하는 단계와 ; 상기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상기 재생종료위치에서 상기 재생개시위치로 되감고, 상기 되감기 주기동안 상기 메모리내에 기억된 영상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되감기 주기 이후 상기 재생개시위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재생을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재생장치.
KR1019900008377A 1989-06-08 1990-06-08 화상재생장치 및 방법 KR930009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6506 1989-06-08
JP1146506A JP2798975B2 (ja) 1989-06-08 1989-06-08 映像再生装置
JP89-146506 1989-06-08
JP89-260111 1989-10-06
JP1260111A JP2915441B2 (ja) 1989-10-06 1989-10-06 映像再生装置及び方法
JP1-260111 1989-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720A KR910001720A (ko) 1991-01-31
KR930009177B1 true KR930009177B1 (ko) 1993-09-23

Family

ID=2647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377A KR930009177B1 (ko) 1989-06-08 1990-06-08 화상재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402135A3 (ko)
KR (1) KR930009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7890B1 (en) * 1993-08-02 1999-03-10 Trw Inc. Modular high-capacity solid-state mass data storage device for video servers
US7333712B2 (en) 2002-02-14 2008-02-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sual summary for scanning forwards and backwards in video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8868A (en) * 1978-10-21 1980-05-01 Takeshi Harada Video reproducing unit
EP0141887A1 (en) * 1983-11-16 1985-05-22 Imperial Computers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elevision-type displays
JPS60231977A (ja) * 1984-04-28 1985-11-18 Sony Corp 映像信号再生装置
JPS62163483A (ja) * 1986-01-13 1987-07-20 Toshiba Corp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DE3621263A1 (de) * 1986-06-25 1988-01-07 Standard Elektrik Lorenz Ag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aet mit einem aufzeichnungstraeger
US4872067A (en) * 1986-12-16 1989-10-0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of reproducing video information in a disk player, including compensation for conditions in the disk and in the player
JPS63206073A (ja) * 1987-02-20 1988-08-25 Texas Instr Japan Ltd 情報編集装置
JPS6420784A (en) * 1987-07-16 1989-01-24 Fujitsu General Ltd Vtr with ic card device
DE3818801A1 (de) * 1988-06-03 1989-12-14 Grundig Emv Anlage zur wiedergabe von videoaufzeichnungen von einem videomagnetband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02135A2 (en) 1990-12-12
KR910001720A (ko) 1991-01-31
EP0402135A3 (en) 199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772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dditional video signals in a helical scan operation
US4816929A (en) Dual access frame store for field or frame playback in a video disk player
JPS60203084A (ja) デイジタル・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装置
JPS623637B2 (ko)
US5392069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process a plurality of kinds of image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US5202798A (en) Still image signal recording apparatus operable by a manually operable member
US6490407B2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mixed moving and still images
US4792863A (en) Apparatus for recording still image with random noise minimized
KR930009177B1 (ko) 화상재생장치 및 방법
EP0631437B1 (en) System for recording teletext data
WO1998037558A2 (en)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images
KR930010485B1 (ko) 자막정보 처리장치
JP2798975B2 (ja) 映像再生装置
JPS63221778A (ja) 映像信号のタイマ−記録装置
JP2915441B2 (ja) 映像再生装置及び方法
US5210618A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 carrier for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ading wherein signal blocks occurring during switching are repositioned and preserved
KR19990005766A (ko) Dvcr의 파노라마식 고속 재생 방법
JP2911129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911135B2 (ja) ビデオプリンタ
KR100219128B1 (ko) 컴퓨터 모니터에 영상표출이 가능한 영상기록 재생기기
US20010043791A1 (en) Arrangement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tandard and slow-motion video signals
KR0141121B1 (ko) 디지탈 영상기록재생장치
JP3272244B2 (ja) デジタルビデオレコーダ
JPH0998372A (ja) 記録再生装置
JPH0374974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