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651B1 -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651B1
KR930008651B1 KR1019910012403A KR910012403A KR930008651B1 KR 930008651 B1 KR930008651 B1 KR 930008651B1 KR 1019910012403 A KR1019910012403 A KR 1019910012403A KR 910012403 A KR910012403 A KR 910012403A KR 930008651 B1 KR930008651 B1 KR 930008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e wave
output
quot
generating circuit
tri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535A (ko
Inventor
전찬욱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651B1/ko
Publication of KR93000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 2 도의 (a)도는 키보드(KEY BOARD)상태도, (b)도는 사인데이타(SINE DATA)발생도.
제 3 도는 삼각파 데이타(DATA)출력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보드 2 : 원칩( LCHIP)컴퓨터
3 : 스타트기(START KEY)
4 : 프로그램가능(PROGRAMMABLE)오실레이터
5 : 카운터 6∼6''' : 버퍼
7, 7' : 롬(ROM) 8 :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
9 : 대역필터(BAND PASS FILTER)
10 : 클럭(CLOCK) 11 : 출력 앰프단
OP : 증폭기 R : 저항
VR : 가변저항
본 발명은 계측기에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삼각파 및 사인파(SINE WAVE)의 정확한 출력을 만들기 위한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오실레이터등을 사용한 주파수 발생회로는 저항과 콘덴서에 의한 회로의 채용으로 온도 보상을 하여 회로가 복잡해지고, 오실레이터 칩(CHIP)의 에러(ERROR)가 발생하여 불규칙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등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칩컴퓨터(2)를 이용한 주변회로를 구성하여 삼각파 및 사인파의 에러를 없애고 정확한 출력 주파수를 발생시키고자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타트키(3)와 키보드(1)를 원칩컴퓨터(2)에 연결시키고 원칩컴퓨터(2)를 프로그램가능오실레이터(4) 및 버퍼(6-6''')에 각각 연결하며 클럭(10)을 프로그램가능오실레이터(4)에 접속시키고 상기 프로그램가능오실레이터(4)를 카운터(5)와 버퍼(6)(6')를 통해 롬(7)(7')에 연결시키되 롬(7)(7')을 버퍼(6'')(6''') 및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8)를 통해 대역필터(9)에 접속한다.
또한 대역필터(9)에 저항(R)과 증폭기(OP) 및 가변저항(VR)으로 구성된 출력 앰프단(11)을 연결시켜서 구성된 삼각파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타트키(3)를 누르고 제 2 도의 (a)도와 같이된 키보드(1)의 키를 누르면(예를들어 출력 주파수 입력을 2KHZZ로 세팅할 경우 버튼 2를 누르고 KHZ 누르고 엔터(ENTER)키를 누른다.) 원칩컴퓨터(2)에서 입력된 명령어를 수록한후 프로그램가능오실레이터(4)에 인가하여 프로그램가능오실레이터(4)에서 프로그램하여 펄스(PULSE)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프로그램가능오실레이터(4)는 기준이 되는 클럭(10)을 원칩컴퓨터(2)의 데이타(DATA)로 등분하여 등분된 주파수를 출력시킨다. 그러므로 프로그램가능오실레이터(4)의 출력 모드(MODE)를 세팅(SETTING)한후 출력 주파수를 계산한 데이타를 입력하고 원칩컴퓨터(2)의 게이트(GATE)를 제어(CONTROL)하여 프로그램가능오실레이터(4)의 출력을 카운터(5)에 입력하여 상기 카운터(5)에서 입력 클럭에 따라 2진수로 나누어진 데이타를 출력시켜 버퍼(6)(6')를 통해 롬(7)(7')의 어드레스(ADDRESS)를 선택(SELECT)한다.
이때 롬(7)의 데이타는 제 2 도의 (b)도와 같이 입력된 톱니파의 데이타를 256등분하여 사인파를 생상하고 또 다른 롬(7')은 톱니파의 데이타를 등분하여 삼각파를 생상하며 버퍼(6'')(6''')를 통해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8)에 인가하여 사인파 및 삼각파에 대한 선택은 원칩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8)에서 디지탈데이타(DIGITAL DATA)를 아날로그(ANALOG) 전압으로 변환하여 대역필터(9)에 인가한다.
따라서 대역필터(9)에서 제 3 도 및 제 2 도의 (b)도와 같이 계단파를 보다 부드러운 곡선 파형으로 형성하여 출력 앰프단(11)의 저항(R)을 거쳐 가변저항(VR) 및 증폭기(OP)의 반전단자(-)에 접속하여 증폭기(OP)에서 출력단에 연결된 가변저항(VR)으로 출력 진폭값을 증폭 혹은 감쇠하여 정확한 삼각파 및 사인파파형을 발생시킨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원칩컴퓨터(2)를 이용한 주변회로를 구성하여 삼각파 및 사인파의 에러를 없애고 정확한 주파수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스타트키(3)과 키보드(1)를 원칩컴퓨터(2)에 접속시키고 원칩컴퓨터(2)를 프로그램오실레이터(4) 및 버퍼(6-6''')에 연결시키되 클럭(10)을 프로그램오실레이터(4)에 접속하여 상기 프로그램오실레이터(4)를 카운터(5) 및 버퍼(6)(6')를 통해 롬(7)(7')에 연결하고 롬(7)(7')을 버퍼(6")(6''')와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8) 및 대역필터(9)를 통해 출력 앰프단(11)에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파 및 사인파파형 발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 앰프단(11)에는 증폭기(OP)의 출력단에 출력 진폭값의 조절수단으로 가변저항(VR)을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KR1019910012403A 1991-07-19 1991-07-19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KR930008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403A KR930008651B1 (ko) 1991-07-19 1991-07-19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403A KR930008651B1 (ko) 1991-07-19 1991-07-19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35A KR930003535A (ko) 1993-02-24
KR930008651B1 true KR930008651B1 (ko) 1993-09-11

Family

ID=1931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403A KR930008651B1 (ko) 1991-07-19 1991-07-19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6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35A (ko) 199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7697A (en) Duty cycle control apparatus
US5714954A (en) Waveform-generating apparatus
KR930008651B1 (ko)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JPS60254097A (ja) 歪波形発生装置
US410358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3982461A (en) Musical-tone signal forming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534722A (en) Function generator
JPS5858678B2 (ja) 電子楽器
KR950001633Y1 (ko) 정현파 발생회로
SU111906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настройки музыкальных инструментов
KR930003902Y1 (ko) 펄스 발생회로
JP2797034B2 (ja) 正弦波発生回路
RU1837162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образовани неэлектрических величин в цифровой сигнал
JPS599075B2 (ja) 電子楽器の優先選択回路
JPS53138320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100269179B1 (ko) 파형발생기
JPS638955Y2 (ko)
JPS638957Y2 (ko)
JPS5849047B2 (ja) 波形整形回路
KR940008696Y1 (ko) 전자 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
JPS5848717Y2 (ja) 音色制御開閉回路
JPH07263956A (ja) ディジタル温度補償発振器
KR940008698Y1 (ko) 음원데이타 재생시의 샘플링 주파수 배가장치
SU575640A1 (ru) Цифровой генератор синуса
RU20744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неаризации характеристик измерительных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