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696Y1 - 전자 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 - Google Patents
전자 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8696Y1 KR940008696Y1 KR2019890007049U KR890007049U KR940008696Y1 KR 940008696 Y1 KR940008696 Y1 KR 940008696Y1 KR 2019890007049 U KR2019890007049 U KR 2019890007049U KR 890007049 U KR890007049 U KR 890007049U KR 940008696 Y1 KR940008696 Y1 KR 9400086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pu
- oscillator
- wheel
- interface circuit
- musical instrum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4도는 종래의 휘일 인터페이스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발진기 3 : 디지탈 멀티플렉서
4 : MPU 5 : 반전기
VR1 : 피치밴드 휘일용 가변저항 VR2 : 모듈레이션 휘일용 가변저항
본 고안은 전자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Wheel Interface)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가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범용의 발진기와 MPU(Micro-Processor Unit)에 내장된 타이머/계수기를 이용하여 휘일 인터페이슬르 구성하므로서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약할수 있도록한 전자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악기중 특히 디지탈 피아노등과 같은 건반악기에서는 통상2가지의 휘일이 보편화되어 있는데 그중 하나는 피치밴드 휘일(Pitch Bend Wheel)로서 연주도중 어떤 건반의 피치를 올리거나 내려서 특이한 음의 효과를 얻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듈레이션 휘일(Modulation Wheel)로서 음에 모듈레이션(즉, 변조)을 걸어서 효과를 얻는 것이다.
그리고 피치밴드 휘일 및 모듈레이션 휘일의 변화분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MPU에 전송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보통 휘일들을 가변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에는 가변저항의 저항값의 변화분을 디지털값으로 얻기 위한 고가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가 필요하였다.
이와같은 종래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피치밴드 휘일용 가변저항(VR1)과 모듈레이션 휘일용 가변저항(VR2)이 입력단에 연결된 아날로그 멀티플렉서(31)의 출력단은 8비트의 A/D변환기(32)를 통해 MPU(33)의 입력단에 연결하되 MPU(33)의 제어신호 출력단자(O1)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31)의 제어단자(C0)에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어서, MPU(33)의 제어에 따라 아날로그 멀티플렉서(31)에서 출력되는 가변저항(VR1, VR2)의 값은 8비트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2)를 통해 디지탈값으로 변환되어 MPU(33)에 입력된다.
즉, MPU(33)가 디지탈값을 직접 읽어 각종 제어동작을 실행하게끔 되어 있으므로 고가의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가 반드시 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8비트의 데이타가 MPU(33)에 입력되므로 그만큼 많은 입력포트를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가의 A/D 변환기 대신에 피치밴드 휘일용 가변저항과 모듈레이션 휘일용 가변저항의 가변에 따라 시정수가 가변되는 시정수 회로를 구성하고, 그 시정수 회로의 시정수로 발진되는 범용의 발진기의 출력단을 디지탈멀티플렉서를 통해 MPU에 연결하여 발진신호의 펄스폭으로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판별하도록 함으로써 휘일인터페이스 회로를 구성하는 생산원가가 보다 절감될 뿐만 아니라 MPU에 내장된 계수기를 이용하므로서 MPU의 입력포트가 절감되는 전자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통상의 피치밴드 휘일용 가변저항(VR1)과 모듈레이션 휘일용 가변저항(VR2)이 각각 입력단자(DSC1) (DSC2)에 연결된 발진기(1) (2)의 출력단자(O1) (O2)는 각각 디지탈멀티플렉서(3)내에 앤드게이트(301, 302)의 일측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앤드게이트(301, 302)의 출력단자는 오아게이트(303)를 통해 MPU(4)내의 계수기 (401)의 입력단자에 연결하며, 앤드게이트 (301)의 타측 입력단자에 연결된 (MPU(4)의 제어신호 출력단자(O3)는 반전기(5)를 통해 앤드게이트(302)의 타측 입력단자에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으로서, 여기서 미설명부호 402는 타이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발진기(1,2)는 범용으로서 발진기(1)의 출력 주파수는 피치밴드 휘일용 가변저항(VR1)과 저항(R1) 및 콘덱서(C1)로 구성된 시정수 회로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고, 발진기(2)의 출력 주파수는 모듈레이션 휘일용 가변저항(VR2)과 저항(R2) 및 콘덴서(C2)로 구성된 시정수 회로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MPU(4)의 제어신호 출력단자(O3)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상태이면 발진기(1)의 출력 주파수가 앤드게이트(301)와 오아게이트(303)를 통해
MPU(4)내의 계수기(401)에 입력되고, 만일‘로우’상태이면 타축 입력단 신호가 반전기(5)를 통해 하이신호로 변환된 상태에서 발진기(2)의 출력 주파수가 앤드게이트(302)와 오아게이트(303)를 통해 MPU(4)내의 계수기(401)에 입력되는 것으로서 MPU(4)는 제어신호 출력단자(O3)로 제어신호를 '하이' 및 ‘로우'로 출력함에 따라 피치밴드 휘일용 가변저항(VR1)의 변화에 따른 신호 및 모듈레이션 휘일용 가변저항(VR2)의 변화에 따른 신호 선택하여 받아들일수가 있다.
또한 MPU(4)는 자체내의 타이머(402)에 의해 4m초마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도시생략된 각종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각 구간마다 키보드 건반조사, 기능키 조사, 표시동작 수행 및 음원 IC제어등이 행하여 진다. (제3도의 a구간)
한편 제3도의 a'구간을 계수하는 구간으로 하여 발진기(1, 2)의 출력주파수를 계수하는 경우에는 최소 주파수(fmin)와 최대 주파수(fmax)의 차이에 대한 계수값의 차이가 8비트로 분석되도록(즉 계수펄스가 28=256개 차이) 가변저항(VR1, VR2)과 저항(R1, R2) 및 콘덱서(C1, C2)값을 설정한다. 만약 제3도의 T1구간내의 a'구간에서 MPU(4)의 계수기(401)가 발진기(1)의 출력신호를 계수하였다면 T2 구간내에서의 b' 구간을 발진기(2)의 출력신호를 계수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상세한 동작관계를 제2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PU(4)내의 계수기(401)가 리세트된 상태에서 지난번 T구간에 발진기(1)를 선택했는지를 검출하여 발진기(1)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디지탈멀티플렉서(3)에 '로우'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진기(2)를 선택하되, 발진기(1)를 선택하여 않았을 경우에는 디지탈멀티플렉서(3)에 '하이'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진기(1)를 선택한 다음, 키보드 조사등 다른 작업을 수행한후 이번의 T구간이 시작된 b'm초가 경과되었는가를 검출하여 b'm초가 되면 계수기(401)의 계수를 중단시킨 다음 계수기(401) 내의 계수값을 읽어 그 계수값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후 다음 구간시작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동작을 MPU(4)가 반복하게 됨에따라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서 전자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동작을 행할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고가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대신에 값이싼 범용의 발진기와 디지탈 멀티플렉서를 이용하므로서 저렴한 가격으로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성할수 있고, 특히 MPU 내부의 계수기를 이용하므로서 MPU의 입력포트를 절약할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피치밴드 휘일용 가변저항(VR1) 및 모듈레이션 휘일용 가변저항(VR2)의 가변에 따라 발진주파수가 가변되는 발진기(1) (2)와, 상기 발진기(1) (2)의 출력신호중에서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디지탈멀티플렉서(3)와, 상기 디지탈멀티플렉서(3)의 출력신호의 펄스폭으로 상기 가변저항(VR1) (VR2)의 저항값 변화를 판단하고 상기 디지탈멀티플렉서(3)의 선택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MPU(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07049U KR940008696Y1 (ko) | 1989-05-29 | 1989-05-29 | 전자 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07049U KR940008696Y1 (ko) | 1989-05-29 | 1989-05-29 | 전자 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20927U KR900020927U (ko) | 1990-12-14 |
KR940008696Y1 true KR940008696Y1 (ko) | 1994-12-27 |
Family
ID=1928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07049U KR940008696Y1 (ko) | 1989-05-29 | 1989-05-29 | 전자 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8696Y1 (ko) |
-
1989
- 1989-05-29 KR KR2019890007049U patent/KR9400086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20927U (ko) | 1990-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10653A (en) | Edge detector circuit and oscillator using same | |
KR890017866A (ko) | 필터회로 | |
KR940008696Y1 (ko) | 전자 악기의 휘일 인터페이스 회로 | |
US3534649A (en) | Metronome with accentuated beats | |
JP3649874B2 (ja) | 分周回路 | |
KR0120482Y1 (ko) | 디지틀 필터회로 | |
KR920000705Y1 (ko) | 키이보드를 이용한 스피커 볼륨 조절회로 | |
KR930006068Y1 (ko) | 전자악기의 리듬 템포 조정회로 | |
JPH0443920Y2 (ko) | ||
KR930008651B1 (ko) | 삼각파 및 사인파 파형 발생회로 | |
KR940002132B1 (ko) | 전자악기의 리듬템포 조정회로 | |
JP3187466B2 (ja) | 電子楽器装置 | |
KR920004613Y1 (ko) | 게이트를 이용한 톤 링거회로 | |
KR940000223B1 (ko) | 고정밀 펄스폭 변조회로 | |
KR940004544Y1 (ko) | 타이머를 이용한 슬라이더의 위치감지장치 | |
JPH0452737Y2 (ko) | ||
JPS6143274Y2 (ko) | ||
KR930008333Y1 (ko) | 전자 건반악기의 음량 조절장치 | |
KR100237163B1 (ko) | 카운터의 안정화 점검용 채터링 발생회로 | |
JP2552403B2 (ja) | 交差コイル型計器の駆動装置 | |
JPH05315964A (ja) | アナログ式設定値入力回路 | |
JPS5951609A (ja) | 集積回路装置 | |
JPH0420196B2 (ko) | ||
KR970004319A (ko) | 지자기 센서 펄스구동회로 | |
JPH0537573A (ja) | データ断検出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