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593B1 - 포장으로 바뀌도록 된 웨브(web)같은 물질 혹은 박판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프레스(press)의 두 비임(beam)의 평행성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절단프레스 - Google Patents

포장으로 바뀌도록 된 웨브(web)같은 물질 혹은 박판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프레스(press)의 두 비임(beam)의 평행성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절단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593B1
KR930008593B1 KR1019910005769A KR910005769A KR930008593B1 KR 930008593 B1 KR930008593 B1 KR 930008593B1 KR 1019910005769 A KR1019910005769 A KR 1019910005769A KR 910005769 A KR910005769 A KR 910005769A KR 930008593 B1 KR930008593 B1 KR 930008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ism
beams
press
crossbar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161A (ko
Inventor
예를리 마르셀
Original Assignee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클라우드 라파엘·클라우드 콜롬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클라우드 라파엘·클라우드 콜롬보 filed Critical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91001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7Means for maintaining the press table, the press platen or the press ram against tilting or d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4Control arrangements for mechanically-driv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1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 B30B1/14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operated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5With reorientation of tool between c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584Dwell defined only by "dead-center" of rotating cr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696Means to change datum plane of tool or tool presser stro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98With simple oscillating motion only
    • Y10T83/8804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08Toggle links, one link pivoted to tool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으로 바뀌도록 된 웨브(web)같은 물질 혹은 박판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프레스(press)의 두 비임(beam)의 평행성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절단프레스
제 1 도는 절단프레스의 부분단면도의 측면도.
제 2 도는 압력하에 있을 때 절단프레스의 두 비임의 상대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제 1 도의 Ⅲ-Ⅲ에 따른 단면을 가진 평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단면선 Ⅳ-Ⅳ에 따른 부분단면의 측면도.
제 5 도는 비임 평행성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두 모터제어의 기능적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크로스바아(crossbar) 2 : 측면기둥
4 : 공구 5,6 : 비임(beam)
7 : 박판 8 : 그리퍼(gripper)막대
9 : 상대물 10 : 사슬
18a,18b : 쐐기 24 : 캠
20a,20b : 토글 레버(toggle lever) 25 : 철로
52,53 : 베어링 51c : 플랜지
54,59 : 나사 55 : 바퀴
56 : 허브(hub) 58,85 : 지지물
61 : 슬리브 63 : 축
64,65 : 피니온(pinion) 67 : 육각형 부분
80,82 : 막대 81 : 판
83,84 : 스톱 87 : 자
본 발명은 포장으로 바뀌도록 된 웨브(web)같은 물질이나 박판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써 절단프레스(press)에 관한 것이다.
절단작용을 위해, 그러한 프레스의 하부비임의 위아래운동은 네 크랭크쉐프트와 견인막대 유니트 혹은 네 토글레버(toggle lever)와 캠 유니트로 구성된 체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동체계의 상부 사점(死點)은 프레스의 처리 즉, 절단위치에 상응하는데 움직이는 하부비임상에 끼워 맞춰진 공구 카운터파트(counterpart)는 상부비임에 끼워맞춰진 공구에 대해 눌려진다.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그러한 프레스는 같은 처리작용의 경우 동일한 모양과 치수의 여러개의 공배면이 하나의 박판으로부터 동시에 얻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하나의 박판의 전체면은 최소한 모든 공백면의 합과 일치한다. 이것은 공구와 공구 카운터파트가 측부의 하나위에 처리공구를 운반하는 큰 치수의 판같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이며 다른 측부는 상응하는 비임의 측부와 접촉하게 되어 측부가 만약 크지 않다면 공구표면 혹은 공구 카운터파트의 표면과 최소한 같은 표면을 갖는다.
공구와 공구 카운터파트 사이의 완전한 평행성이 잘려질 판지박판의 표면을 통해 믿을만하게 절단하는 제 1 조건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공구와 공구 카운터파트를 운반하는 두 비임표면 즉, 처리지역이 최소한 절단 작용중 즉 구동체계가 상부사점 위치에 위치할때 서로에 완전히 평행하게 된다면 이 조건이 이루어진다.
두 비임의 평행성을 달성한다는 관점에서, 스위스 특허 CH-A-575814는 프레스틀의 하부크로스바아(crossbar)위의 크랭크 쉐프트와 견인막대 유니트를 보지하는 4개의 베어링에 작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베어링은 하부크로스바아에서 미끄러지는 첼로의 바닥과 다양한 베어링사이에 쌍으로 배열된 다양한 사다리 꼴 쐐기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진다. 쐐기를 이동시키므로써 베어링의 위치를 수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4개의 베어링 높이의 적절한 조절은 절단자(cutting nile)에 의해 유발되는 단점뿐만 아니라 평형성의 남아있는 결핍을 보상하도록 다른 처리기관(organ)이나 절단자에 반대되는 공구의 뒤측부에 좁은 접착종이의 짧은 조각을 첨가하는 소위 이미 판고르기(make-ready) 작동에 의해 후에 완전하게 되어야 하는 최초의 평행성을 얻도록 한다. 그러나 판고르기 작동은 많은 작업시간과 인간의 노하우의 연루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스위스 특허 CH-A-652967은 움직이는 하부비임의 구동체계가 4개의 토글레버와 캠유니트를 가진 체계로 구성되는 절단프레스를 기술하고 있다. 두 비임사이의 평행성은 토글레버 베어링과 틀의 하부크로스바아 사이에 삽입된 하나의 쐐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한 경우 판고르기 작동은 또한 필요하다.
더우기, 절단프레스가 같은 공구를 다른 치수의 박판을 위해 사용되도록 또한 설계된 것을 고려할때, 특정한 박판은 전체 공구 지역의 일반적으로 부분만을 덮게 된다. 그리하여 박판 이동방향을 참조할때 공구의 하류 단부에서 절단 작용중 박판이 일반적으로 배열된다는 것을 고려할때 공구의 처리지역의 이러한 부분적 점유는 절단 입력의 불균일한 적용으로 틀의 측면 기둥까지 불균일하게 전파되게 한다. 이것은 그들 사이에 길어지는 다른 값을 갖게 하여 두 비임 사이에 평행성이 결핍되게 한다.
가해진 압력의 불균일성은 절단자의 빠른 마모와 찢어짐을 유발하는 심각한 불편이 있다.
이 불균일성을 보상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어떤 절단자나 다른 처리장치를 포함하고 공구의 완전한 평행성을 얻도록 공구의 상류단부에 끼워맞춰진 최소한 하나의 보상 다이(die)뿐 아니라 위에 언급한 판고르기 방법에 의존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경우에서도 판고르기 작동은 너무 멀리 가게 한다.
부분적 크기의 박판을 처리하는 절단프레스에 자주 일어나므로, 판고르기 작동을 하지않거나 최소한 최소로 줄이게 되고 상당량의 시간이 공구를 준비할 때 절약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하에 있는 두 비임 사이에 완전한 평행성을 갖추고 보상 다이의 사용과 판고르기 작동을 거의 완전히 제거하므로서 공구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도록 절단프레스의 두 비임의 평행성을 조절하는 것이다.
발명에 따라 박판 혹은 웨브같은 물질을 포장으로 바꾸도록 설계된 절단프레스의 두 비임의 평행성이 조절된다. 각 작동 사이클에서, 서로로부터 두 비임이 분리되는 제 1 위치와 압력 접촉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관해 최소한 하나의 비임이 움직일 수 있다. 작동 사이클의 과정중 비임의 평행성으로부터의 이탈은 제 2 의 압력위치에 있을때 측정된다. 비임이 분리되는 제 1 위치에서 비임의 평행성은 팽행성으로부터 측정된 이탈을 교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제 1 도는 크로스바아(1,3)에 첨가된 상응하는 그루브(groove)와 맞물린 철로(25)와 나사(26)에 의해 크로스바아(1,3)에 연결된 측면기둥(2)과 하부크로스바아(1)와 상부크로스바아(3)을 갖는 틀을 구성하는 절단프레스를 도시한다. 상부비임(5)은 상부크로스바아(3)에 끼워맞춰져 있다. 공구(4)는 비임(5)의 하부표면에 끼워맞춰져 있다.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6)은 4개의 토글레버(20a,20b)와 캠(24)을 가진 구동체계에 의해 움직인다. 토글레버(20a,20b)는 하부크로스바아(1)위에 끼워맞춰진 베어링(33a,33b)에 의해 지지된다. 4개의 토글레버는 두쌍안에 배열되어 있는데 하나(20a)는 박판(7)의 기계공급단부 즉, 상류단부에 위치하고 다른 쌍(20b)은 출구단부에서 하류에 위치한다.
다음 단계에서, 발명을 더 잘 이해하려는 필요에 부응키 위해 표식(a)를 상류에 위치한 성분을 참조하도록 참조표시에 첨가하고 표식(b)이 하류성분에 첨가된다. 더우기 상류/하류방향은 기계의 언어적인 길이방향으로 대신될 수 있고 수직방향은 횡방향으로 대신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절단작용에 상응하는 상부사점에 구동체계가 있을때,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6)에 위치한 공구카운터파트(9)위에 측면으로 배열된 캐리어(carrier) 사슬(10)에 의해 운반된 그리퍼(gripper) 막대(8) 자체에 의해 이전에 놓여지게 된 박판(7)이 공구(4)에 의해 눌려진다. 그러한 프레스에서 박판(7)은 공구(4)의 하류단부에 대해 놓여져 절단이 일어날 때 그리퍼막대(8)는 두 비임(5,6) 사이의 공간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모든 토글레버(20a,20b)의 베어링(33a,33b)은 하부크로스바아(1)에서 미끄러지는 철로로 작용하는 그루브(35a,35b)안에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진다. 베어링(33a,33b)과 미끄러지는 철로(35a,35b)의 바닥사이에 횡 이동이 상응하는 베어링(33a,33b)의 높이와 이미 언급한 것처럼 서로에 관해 두 비임(5,6)의 평행성과 처리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열된 사다리꼴 쐐기(18a,18b)가 있다.
평생성의 조절은 토글레버 유니트(20a,20b)가 상부사점 위치에 있을 때 각자나 쌍으로 상류와 하류로 이동되는 쐐기(18a,18b)에 의해 베어링(33a,33b)의 높이를 조절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다른말로 하면 하부의 사점 위치에서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6)은 상부 비임(5)에 정확히 평행하게 위치된다. 그때 같은 방향으로 같은 양 만큼 4쐐기(18a,18b)의 이동은 처리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지금까지 비록 쐐기(18a,18b)에 의해 압력의 조절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졌지만 이것은 항상 두 비임(5,6)사이의 평행성의 조절의 경우이다. 실제로 평행성을 최적으로 정확하게 조절한 후라도 경험은 공구(4)의 특정한 지역에 판고르기를 하는 두께는 과도하게 남아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위로 움직이는 하부비임(6)의 시작에서 완전한 평행성이 있는 두 비임(5,6)에서도 평행성은 구동체계(20a,20b)에 의해 도달한 상부사점에서 즉, 절단압력이 프레스를 성분의 조립체에 작용할 때 잃어버리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임(5,6)사이의 결합적인 평행성을 연구할 때 처리되는 박판의 치수나 크기가 그때까지 생각한 것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이미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공구(4)보다 적은 치수를 갖는 박판(7)은 공구(4)의 하류변부에 가깝게 배열되고 후자에 관해 횡으로 중심을 잡는다.
적절한 실험이 절단되는 박판의 크기와 관련하여 절단프레스의 두 비임(5,6)사이의 평행성변형을 연구하는 관점에서 행해졌다. 이 실험하나의 결과는 제 2 도에 도시되었다. 수평적으로 이 도면은 길이 AB(또는 A'B')와 폭 AA'(또는 BB')를 가진 공구(4)와 길이 AC(A'C')와 폭 AA'(또는 BB')를 가진 박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공구(4)의 길이는 100㎝이고 박판은 50㎝이고 폭은 140㎝로 같다. 박판(7)은 그리하여 공구(4) 크기의 반이다.
두 비임(5,6)(반 크기의 박판(7)은 공구의 하류부분에 배열된다)의 처리지역의 전체표면위에 균일하게 3Mn 압력을 가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것에 관해 비임의 상대적 변위를 처리지역의 다양한 지점에서 측정하기 위해 두 비임(5,6)사이에 위치한 잭(jack)에 의해 실험이 되었다. 이 상대적 변위는 제 2 도에서 수직으로 도시되었다. 이 실험은 토글레버(20a,20b)가 프레스의 진짜 작동조건을 최적으로 모의하기 위해 상부사점 위치에 있을 때 수행되었다. 제 2 도는 하부비임(6)의 상부측부에 관해 상부비임(5)의 하부측부의 매우 심한 경사를 분명하게 보여주며 언급된 경사는 거의 단지 세로로만 일어나고 횡으로는 일어나지 않는다. 측정해보면 박판(7)의 하류변부(AA')에서 변위율과 상류변부 CC'에서의 변위율사이의 차이가 1이 360㎛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값은 겹핍된 평행성을 보상하기 위해 수행되는 판고르기 교정의 교정율을 갖춘 것과 정확하게 같다. 기술자에게는 작동크기의 큰 부분에 그러한 양이 높은 차이를 보상하는 판고르기 교정을 적용하는 것은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정교한 작동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다른 실험이 가로로 감소된 크기의 박판에 또한 행해졌다. 그러한 경우 다른 것에 관해 비임의 가로경사가 세로경사에 비해 작아 일반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특별이 부분적 크기의 넓은 박판은 절단프레스의 두 비임사이의 평행성 결핍을 보상하는 중요한 판고르기 교정에 의존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위에 기술된 실험은 또한 부분적인 작동크기의 경우 부분적 작동크기가 상부사점에서 평행성을 거의 전부 손상하므로 하부사점 위치에서 상부 비임(5)에 관해 완전히 평행한 위치에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6)을 놓도록 구동체계(20a,20b)의 베어링(33a,33b)의 수직위치에 작용하고 지금까지 현재 사용되는 조절과정의 부적절함을 나타낸다.
위에 표시된 문제의 해결책에 이르는 발명의 기본생각은 올라가는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6)을 지금까지 수행된 것에 약간 반대되는 경사운동을 하는 것인데 즉, 하부사점에 있을때 상부비임(5)에 관해 하부비임(6)을 경사위치에 놓아 후자가 상부사점에 도달했을때 비임(5,6)이 작동압력의 힘때문에 서로 평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할때 결정돼야 할 것은 어떤 종류의 기준과 하부사점 위치에 있을때 하부비임(6)이 상부비임(5)에 관해 경사되는 어떤 진폭에 따라야 하는 것이다. 프레스의 실제 작동조건에 가능한한 가깝도록 하기 위해 절단력이 최대율로 되었을때 즉, 비임이 상부 사점에 있게 될 때 비임(5,6)의 두 작동 표면사이의 거리를 다양한 지점에서 직접 측정하고 경사 효과의 진폭과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서로 측정을 비교하도록 결정이 된다 ; 그리고 절단 작동전 동일한 작동과 정확한 반대 경사에 따라 또는 측정된 것에 어찌했든 비율적으로 하부 비임을 위치시키도록 결정된다.
참조되는 경사효과에 관해 위의 논쟁을 고려할 때 본 경우와 공구에 횡으로 중심잡히고 부분적 크기의 절단박판에서, 하나는 상류변부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두 비임(5,6)의 하류변부에 위치한 두 지점에서 참조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 목적을 위해 상부비임(5)은 그리퍼막대(8)나 박판(7) 또는 공구 카운터파트(9)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하부비임(6)의 지점 반대 그리고 비임(5)의 가로수 직상류와 하류측부의 하부 지역에 모서리편(17a,17b)에 의해 끼워맞춰진 두 근접감지기(P1,P2)를 갖추게 된다. 그래서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60은 상부비임(5)과 접촉하여 압력하에 있을 때 두 감지(P1,P2)는 두 비임(5,6)의 상류와 하류변부사이에 존재하는 정확한 거리를 표시한다. 두 감지기(P1,P2)에 의해 나타나는 두 측정의 비교는 경사 작용을 적절히 평가되게 한다.
상술되는 흥미있는 사실은 평행성의 측정이 프레스의 두비임(5,6) 사이에 그리퍼막대(8)에 의해 절단되는 새롭게 운전되는 첫번째 박판이 들어가는 순간에 실제 생산지역에서 효력을 발휘한다. 이 단계에서 전문가는 측정을 하는 간단한 방법을 알게 된다. 꽤 분명하게 몇백 마이크론(micron)의 극소의 값이 고려되고 측정된 값은 일반적으로 화면(도시되지 않음)에 표시된다.
부가적인 임무는 감지기(P1,P2)에 의해 측정된 경사에 비례하고 반대인 상부비임(5)에 평행한 위치로부터 일반적으로 하부비임(6)을 경사지도록 토글레버(20a,20b)의 네 베어링(33a,33b)의 높이를 수정하는 것이다. 이것과 연관하여 여러개의 가능성이 나타난다.
첫번째 접근은 비교기로 감지기(P1,P2)에 의해 나타나는 두값을 분석하고 차이를 표시하고 표시된 차이가 영이될 때까지 수직으로 베어링(33a,33b)을 이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실현될 수 없다. 실제로, 그러한 조절은 상부사점에서 즉, 완전한 작동압력하에서 수행되어야 하므로 이 단계에서 각 토글레버(20a,20b)을 적절히 오르내리게 하기 위해 쐐기나 다른 수단에 의해 베어링(33a,33b)에 충분한 힘을 가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조절은 지금까지의 경우처럼 하부사점 위치 근처에서만 가능하다.
더우기 하류방향에서의 세로경사는 필수적 특징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에 따른 위의 표시된 고려에 따라 두 상류와 하류토글레버(20a,20b) 각각 밑에 위치한 상류와 하류쌍(33a,33b) 각각 모두의 두 베어링이 동시에 수직과 동일한 조절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상류쐐기쌍(18a)이나 하류쌍(28b)의 동시 이동을 위해서 적절한 해결책은 참조로 인용된 스위스 특허 CH-A-575814에 이미 기술된 것처럼 미끄러지는 철로(35a와 35b) 각각을 따라 이동되는 정사각형 막대(34a와 34b) 각각 위에 각쌍(18a,18b)을 끼워 맞추는 것이다. 막대(34a,34b)의 이동은 또한 두 상류와 하류쐐기(18a와 18b)의 동시이동을 이룰 수 있다.
막대(34a)의 이동을 달성하고 측정하기 위해 두 베어링(33a)뿐 아니라 막대(34a)에 알려진 방법으로 끼워 맞춰진 두 상류쐐기(18a)를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또한 표시한 제 3 도와 제 4 도에 도시되고, 제 1 도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M1)와 직선위치감지기(C1)를 사용하는 것이 예견된다. 제 1 도에서 모터(M2)와 막대(34b)에 작용하는 직선위치감지기(C2)는 도시되지 않는다. 제 1 도의 단면 Ⅳ-Ⅳ에 따른 제 4 도의 단면도를 참조하자. 조작자 측부에 일반적으로 위치한 막대(34a)의 단부는 틀의 하부 크로스바아(1)위에 나사(54)에 의해 끼워맞춰진 베어링(53) 그 자체내부에 부드러운 베어링(52)에 의해 적절한 회전을 위해 끼워 맞춰진 속이빈 액슬(axle)(51)의 내부의 상응하는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난 부분 또는 연장부(50)을 갖추고 있다. 속이빈 액슬(51)은 플랜지(51c)를 갖추고 있다. 허브(hub)(56)를 갖춘 첫번째 톱니난 바퀴(55)는 허브(56)와 플랜지(51c)를 통과하는 나사(70)에 의해 속이빈 액슬(51)과 회전하지 못하도록 잠겨진다. 유압식 모터(M1)는 나사(69)에 의해 주지지물(58)위에 끼워맞춰지고 지지물(58) 그 자체는 나사(59)에 의해 하부크로스바아(1)에 끼워맞춰진다. 모터(M1)의 출구축(57)위에 제 2의 톱니난 바퀴(50)가 코터(cotter)되며 자유로운 속이빈 슬리브(sleeve)(61)내부에 위치한 기어(gear)와 맞물린다. 보조축(63)은 지지물(63)의 상응하는 구멍안에 모터(M1)에 출구 축의 연장부안에서 회전한다. 보조축(63)의 제 1 단부에서 톱니난 바퀴는 코터되고 속이빈 슬리브(61)의 내부기어와 맞물리며 다른 단부는 코터되고 제 1의 톱니난 바퀴(55)와 맞물리는 제 1 퍼니온(64)을 지탱한다. 제 3 도는 하나나 다른 방향에서 모터(M1)에 의해 보장된 피니온(64)의 회전이 막대(34a)와 상류쐐기(18a)의 상응하는 이동을 유발함을 도시한다.
또한 출구 피니온(64)의 손구동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물(58)의 상응하는 구멍안에서 회전하는 액슬(66)자체위에 코터되고 출구 피니온(64)에 맞물린 보조피니온(65)을 사용하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 액슬(66)은 지지물(58)로부터 육각형 부분(67)이 돌출하여 렌치(wrench)에 의해 수작업으로 회전된다.
막대(34)의 위치와 이동을 측정하는데 있어 후자는 톱니난바퀴(55)의 허브(56)에 첨가된 상응하는구멍을 자유롭게 통과하는 막대(80)에 의해 연장된다(대개 조작자쪽 위에 즉, 톱니난 부분 또는 연장부(50)의 측부위에). 막대(80)의 자유단부 판(81)을 운반한다. 직선위치감지기(C1)의 출구막대(82)의 단부는 판(81)위에 끼워맞춰지고 조절될 수 있다. 직선감지기(C1)는 주지지물(58)위에 끼워맞춰진 보조지지물(85)위에 조절가능한 위치안에 끼워 맞춰진다. 보조지지물(85)은 막대(34a)가 두단부스톱(83,84)에 의해 제한된 행정범위 밖으로 이동되는 경우 체계안으로 흐르는 단전할 목적으로 두 조절가능한 단부스톰(83,84)을 운반한다. 판(81)에 가깝게 있는 보조지지물(85)에 끼워맞춰진 눈금자(87)는 조작자에게 막대(34a)의 위치와 이동을 처음 눈으로 봐서 대강 짐작케 한다.
하류막대(34b)의 이동을 측정하고 보장하기 위해서, 상류막대(34a)를 위해 언급한 것과 동일한 장치가 사용되고 유압식모터는 참조(M2)로 표시되고 직선위치감지기는 (C2)로 표시되는 차이가 있다.
제 5 도는 실현되는 방법에 따라 두 유압식 모터(M1,M2)에 의해 보장되는 제어의 기능적 다이아그램을 표시한다.
-모터(M1)는 상류쐐기(18a) 즉, 상류막대(34a)를 이동시킨다.
-모터(M2)는 하류쐐기(18b) 즉, 하류막대(34b)를 이동시킨다.
-하부사점 위치에서 달성된 자동압력의 조절은 원하는 작동압력에 상응하고 두 직선위치감지기(C1,C2)에서 동일한 위치명령값(X)을 입력하므로써 초기화되고 언급된 값은 일의 필요성, 경도, 두께와 조작자 기술뿐 아니라 처리될 박판의 혼합에 관해 필수적으로 조작자에 의해 기본적으로 결정된다.
-비임(5,6)의 평행성의 조절은 하부비임(6)을 하류 즉, 세로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두 상류쐐기(18a)에 배타적으로 작용하므로써 달성된다.
하류막대(34b)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위치명령값(X)은 포화제어된 값제한기(V)을 통한 첫째단계를 통과하고 그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2)를 통과하며 비교기(E2)는 직선위치감지기(C2)에 의해 갖춰지는 실제위치(C2)와 명령값(X)을 비교한다. 차이(C2)는 유압식모터(M2)의 제어체계(S2)와 아날로그조절기(G2)에 계속적으로 보내진다. 모터(M2)가 가동되었을때 피니온(64)의 본 케이스와 톱니난 바퀴(55)를 구성하는 감소기어(R2)위에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후자의 톱니난 바퀴(55)가 구동되었을 때 막대(34b)는 거리(X2)만큼 이동되고 이 순간에 막대(34)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닫혀진 루우프명령을 갖추기 위해 비교기(E2)안에 들어갈 새로운 위치값(C2)을 내놓는 직선감지기(C2)의 출구막대(82)도 마찬가지이다. 다이아그램에서 감소기어(R2)의 출력(X2)의 영향은 근접 감지기(P2)와 감소기어(R2)의 출구사이에 작용하는 기계적저지체계의 운동학의 표시로써 박스(box)로 표시된다. 차이 e2-x-c2가 영인경우 원하는 작동압력을 얻는 관점에서 하류막대(34b)의 위치설정은 이단계에서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모터(M1)의 제어회로는 동일하며 평행하나(참조 : 다이아그램에서는 상류단부를 인용하는 항목은 1로 표시되어 있음) 디지탈대 아날로그 변환기(D1)를 통과하기 전에 위치명령값(X)은 두 비임(5,6)의 평행성이 조절될 때 작용하는 중간비교기(E)에 공급하는 차이가 있다.
압력의 조절에 관하여, 조작자는 상부사점 위치에서 원하는 작동 압력이 위치명령값(X)이 입력되고 쐐기(18a,18b)가 마지막으로 위치설정되었을 때 실제로 얻어지는가를 검사하기 위해 새롭게 운전되는 박판으로 제 1 절단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MN)으로 표시된 절단력은 예를 들어, 틀의 하부점(B)과 상부점(H)사이의 상대적 변위를 측정하는 유도이동 감지기(12)에 의해 측정된다. 감지기(12)는 상부점(H)에 위치하고 두 점(H,B)사이에 배열된 막대(13)는 하부점(B)에서 단부의 하나에만 끼워맞춰진 두 점(H,B)사이에 배열되며 다른 자유단부는 감지기(12)에 작용한다. 그러한 측정장치는 충분히 공지되어 상세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부사점 위치에서 측정된 압력이 예상된 값을 갖지 않는다면 조작자는 새로운 위치명령값(X)을 입력한다. 이 실험은 요구되는 압력이 얻어질 때까지 여러번 반복된다. 본질적인 특징은 전과정이 자동적으로 일어나서 일반적으로 수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압력이 빠르고 쉽게 조절된다는 사실이다.
동시에 작동압력의 조절로 비임(5,6)의 평행성은 조절된다. 이 목적을 위해 근접감지기(P1,P2)는 구동체계(20a,20b)가 사점위치에 있을 때 상류와 하류 둘다에서 두 비임(5,6) 사이의 거리(e1,e2)를 표시한다. 아날로그 대 디지탈 변환기(A1,A2)를 통과한 후 이 거리값(e1,e2)은 거리비교기(EP)에 공급된다. 두 거리율(e1,e2)의 차이는 마이크로 검사기안에 내장되고 임의 편차를 걸러내는 숫자형태 교정필터(F)를 통과한 후 평행성 비교기(E)에 공급되는 평행성 편차(e)의 방향과 값을 제공한다. 값제한기(V1)를 통과한 후 평행성 명령값(XP)은 평행성 비교기(E)에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팽행성 편차(e)는 평행성 명령값(XP)과 비교되고 차이(eP)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1)에 입력된 후 상류막대(34)와 상류쐐기(18a)의 위치를 조절하는 모터(M1)의 닫혀진 루우프 제어회로로 들어간다.
평행성 명령율(XP)은 작동압력조절과 관련하여 위에서 미리 언급한 것과 같은 다른 특징뿐 아니라 처리된 운전형태와 프레스의 작동조건의 가장 작은 변화에도 민감한 극소치이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기초원리 즉, 비임이 상부사점 위치에 있을 때 근접감지기(P1,P2)에 의해 측정된 것에 반대되는 비임(5,6)의 상대적 경사를 하부사점 위치안에 넣도록 평행성 명령값(XP)이 채택되었다는 사실을 참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더우기 조작자는 경험뿐 아니라 따내기(die-cut) 박판을 검사한 후 발견을 기초로 평행성 명령값(XP)을 변화시킬 수 있다.
판고르기가 위에서 도시된 것처럼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절단운전을 위한 프레스준비에 필요한 시간이 지금까지 사용된 시간과 비교할 때 상당히 감소된다. 이 준비시간은 전에 이미 처리된 박판의 경우에 더 감소된다 ; 그러한 경우 명령값(X)과 평행성 명령값(XP)은 최초설치와 기억으로부터 이미 알려져 있고 조절체계에 공급되기만 하면된다.
수정은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아 위에 기술된 과정에 첨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연속적인 박판이 절단프레스를 통과하는 직물을 만들도록 연결점에 의해 서로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우기, 프레스는 특허 CH-A-363666에 기술된 것처럼 움직이는 상부비임과 고정된 하부비임을 갖추고 있다. 그러한 경우 평행성의 편차는 기계틀의 하부크로스바아에 끼워맞춘 구동체계에 상부의 움직이는 비임을 연결한 견인막대를 길게 하므로써 생겨난다.

Claims (13)

  1. 포장 웨브같은 물질이나 박판을 변환시키도록 설계된 절단 프레스의 두 비임의 평행성을 조절하는 방법에서 각 작동싸이클에 대해 두 비임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제 1 위치와 압력 접촉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다른 것에 관해 최소한 하나의 비임이 움직일 수 있으며 프레스의 작동 싸이클 과정중, 제 2 압력 위치에 있을 때 비임의 평행성으로부터 편차(e)를 측정하고, 비임이 분리되는 제 1 위치에서, 평행성으로부터 측정된 편차(e)를 교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평행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구성하는 방법.
  2. 포장으로 웨브같은 물질이나 박판을 변환시키도록 설계된 절단프레스의 두 비임의 평행성을 조절하는 방법에서 측면기둥에 의해 서로에 연결된 하부크로스바아와 상부 크로스바아로 만들어진 틀을 가진 프레스를 갖추고 상부의 고정된 비임이 상부크로스바아에 장착되고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이 하부 크로스바아에 연결된 베어링을 갖는 구동 체계에 의해 각 작동싸이클에서 높여지고 낮춰지며 프레스의 작동싸이클중, 구동체계가 상부사점 위치에 위치될때 평행성으로부터 편차를 측정하고 하부사점 위치에 도달할때, 상부 비임에 관해 하부 비임의 평행성을 조절하도록 상부사점 위에서 측정된 평행성으로부터 편차를 일으키는 경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부비임 경사가 생기도록 베어링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구성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평행성으로부터의 편차가 최소한 하나의 비임에 끼워맞춰진 근접 감지기로 측정되고 베어링의 수직 위치가 최소한 하나의 위치 감지기로 결정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구동체계를 위해 두 상류와 베어링을 갖추고 틀의 하부크로스바아와 베어링 사이에 위치된 쐐기에 의해 베어링의 수직위치를 조절하고 쐐기가 각각의 횡 상류와 하류막대에서 상류와 하류에 쌍으로 끼워맞춰지고 막대가 서로에 무관하게 움직이며 다른것에 관해 비임중에 하나를 하류 또는 상류로 경사케하는 평행성으로부터의 편차(e)를 측정케 하도록 최소한 하나의 비임에 근접감지기를 끼워맞추고 측정된 것에 반대되는 하부 비임의 경사를 유발하는 쐐기만을 이동시키고 상류와 하류크로스바아의 각각의 위치가 각각의 위치감지기로 결정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기모터로 상류와 하류막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두 위치감지기중 하나와 동일한 명령값에 의해 작동압력을 위치감지기 감각으로 주어진 위치값이 명령값과 동일할때까지 상류와 하류크로스바아를 자동적으로 이동케하도록 하는 닫힌 루우프를 가진 각 모터의 제어회로를 작동시키고 제어회로로 평행성 명령값을 공급하므로서 두 비임의 평행성을 조절하도록 모터중 하나의 같은 닫힌 루우프 제어회로를 사용하는 단계에 의해 프레스의 작동 압력을 제어하도록 쐐기를 사용하는 방법.
  7. 측면기둥에 의해 서로에 연결된 하부크로스바아와 상부크로스바아로 만들어진 틀, 상부 크로스바아에 끼워맞춰진 상부의 고정된 비임. 하부크로스바아에 연결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체계, 각 작동싸이클에서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을 높이고 낮추도록 하는 구동체계 수단과 하부의 움직이는 비임. 상부 비임에 관해 하부 비임의 평행성을 조절하도록 하부사점 위치에 구동체계가 위치될때 수직으로 베어링을 움직이는 수단. 상부와 하부비임이 박판 또는 웨브 같은 물질을 자르는 압력접촉 위치로 함께 움직일때 두 비임의 평행성을 측정하는 근접감지기 수단. 베어링을 움직이도록 언급한 수단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감지기 수단. 쐐기를 이동토록 모터수단과 쐐기를 구성하는 베어링을 움직이는 수단, 프레스의 모든 위치 감지기에 공통인 위치 명령값에서 공급할 수 있는 각 모터 수단을 위한 닫힌 루우프를 갖는 제어수단, 서로에 관해 두비임의 평행성을 제어하는 최소한 하나의 위치 감지기 수단을 위한 평행성 명령값을 갖는 제어수단, 압력접촉 위치를 위해 근접감지기 수단의 측정된 평행성으로부터 도출된 평행성 명령값을 구성하는 포장으로 박판 또는 웨브같은 물질을 변환시키는 절단프레스.
  8. 제 7 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크로스바아 상류와 하류에 끼워맞춰진 두 상류 베어링과 두 하류 베어링에 의해 하부크로스바아에 지지되고 구동수단이 서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상류드라이브(drive)와 하류드라이브를 구성하고 크로스바아 각각의 한 단부에 톱니난 바퀴수단이 회전할때 각각의 막대를 이동시키는 톱니난 바퀴수단의 상응하는 나사에 정합되는 나사난 연장부를 갖고 각 드라이브에서 제어수단을 톱니난 바퀴수단을 각각 회전시키는 절단프레스.
  9. 하부크로스바아에 끼워맞춰진 지지물위에서 회전하는 축, 축의 제 1 단부위에 코터(cotter)된 피니온. 중공의 슬리브(sleeve)의 내부기어와 정합하고 축의 다른 단부에 코터된 제 2 피니온. 제어모터수단의 출력축에 코터된 제 3 피니온과 정합하는 내부기어를 구성하는 절단프레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나사난 연장부가 막대를 갖고 막대의 자유단부가 위치감지기 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단을 갖추는 절단프레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언급한 수단이 두행정(strobee)단부 멈추개와 접촉토록 배열되는 절단프레스.
  12. 두 비임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제 1 위치와 절단공구가 절단되는 물질과 압력접촉되는 제 2 위치사이에서 다른 비임에 관해 최소한 하나의 비임을 움직이게 하는 수단, 제 2 압력위치에 있을때 비임의 평행성으로부터 편차(e)를 측정하는 수단. 비임이 제 1 위치에 있고 분리될 때 평행성으로부터 측정된 편차(e)를 교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비임의 평행성의 조절하는 수단을 구성하며 포장으로 박판 또는 웨브같은 물질을 변환시키도록 설계되고 절단공구를 갖는 절단프레스의 상부와 하부비임의 평행성을 조절하는 절단프레스.
  13. 포장으로 박판 또는 웨브같은 물질을 변환토록 설계된 절단프레스의 두 비임의 평행성을 조절하는 방법에서, 각 작동사이클에서 두 비임이 서로로부터 최대로 분리된 위치에 있는 제 1 위치와 관련된 절단공구가 압력접촉되는 제 2 위치사이에서 다른것에 관해 최소한 하나의 비임이 움직일 수 있고, 프레스의 작동싸이클중, 제 2 압력위치에 있을때 비임의 평행성으로부터 편차를 측정하고, 비임이 완전히 분리된 제 1 위치에서, 평행성으로부터 측정된 편차를 교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비임의 평행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구성하는 방법.
KR1019910005769A 1990-04-25 1991-04-11 포장으로 바뀌도록 된 웨브(web)같은 물질 혹은 박판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프레스(press)의 두 비임(beam)의 평행성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절단프레스 KR930008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403/90A CH683162A5 (fr) 1990-04-25 1990-04-25 Procédé d'asservissement du parallélisme des deux sommiers d'une presse à découper des éléments en forme de feuille ou bande en vue de la production d'emballages.
CH01403/90-1 1990-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161A KR910018161A (ko) 1991-11-30
KR930008593B1 true KR930008593B1 (ko) 1993-09-10

Family

ID=420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769A KR930008593B1 (ko) 1990-04-25 1991-04-11 포장으로 바뀌도록 된 웨브(web)같은 물질 혹은 박판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프레스(press)의 두 비임(beam)의 평행성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절단프레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179879A (ko)
EP (1) EP0453986B1 (ko)
JP (1) JP2886360B2 (ko)
KR (1) KR930008593B1 (ko)
AT (1) ATE115469T1 (ko)
BR (1) BR9101643A (ko)
CA (1) CA2041171C (ko)
CH (1) CH683162A5 (ko)
DE (1) DE69105804T2 (ko)
DK (1) DK0453986T3 (ko)
ES (1) ES206625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9970A5 (fr) * 1994-05-13 2000-02-29 Bobst Sa Presse à platine pour la station de découpage d'une machine de traitement d'éléments en plaque.
US6142046A (en) * 1996-08-06 2000-11-07 Cae Machinery Ltd. Knife projection sensing system
EP1193046A1 (de) * 2000-09-30 2002-04-03 Bruderer Ag Verfahren zum Steuern der gegenseitigen Winkelstellung zwischen einem Stössel und einem Aufspanntisch einer Stanzpresse und Stanzpress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WO2002090096A1 (fr) * 2001-04-26 2002-11-14 Sodick Co., Ltd. Presse et machine-outil
DE102007014313A1 (de) * 2006-07-26 2008-08-14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Bogenstanz- und -prägemaschine
EP1882564B1 (de) * 2006-07-26 2012-04-1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Bogenstanz- und -prägemaschine mit regulierbarem Stanz- oder Prägedruck
JP5399231B2 (ja) * 2009-12-28 2014-01-29 三和製作株式会社 平盤打ち抜き装置
JP5582959B2 (ja) * 2010-10-21 2014-09-03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包装充填装置及び包装充填方法
KR101545427B1 (ko) * 2011-04-05 2015-08-18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열간 스탬핑 인쇄 장치
AT512174B1 (de) * 2012-02-13 2013-06-15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Biegepresse mit verstellbarem balkenelement
CN104290346A (zh) * 2014-09-26 2015-01-21 际华三五三六职业装有限公司 液压打包机
DE102015211622A1 (de) 2015-06-23 2016-12-29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Tiefziehverpackungsmaschine mit Folienstanze
CN112828122A (zh) * 2019-11-25 2021-05-25 株式会社迅宝 冲切装置
CN112476599A (zh) * 2020-11-20 2021-03-12 杭州桐阁堂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中药切片机构
CN114575263B (zh) * 2022-04-01 2024-03-15 永富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机过孔方法
KR102463780B1 (ko) * 2022-05-30 2022-11-07 임형빈 기능성 연속 커팅 장치
CN116021830B (zh) * 2023-01-04 2023-09-26 海安海太铸造有限公司 一种大型油压机用横梁承重组件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9359A (en) * 1941-03-20 1944-01-18 Sperry Prod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sheet thickness in continuous strip mills
US2850130A (en) * 1957-02-18 1958-09-02 Milton H Mater Control mechanism for relatively positioning two movable members
CH575814A5 (ko) * 1974-02-12 1976-05-31 Bobst Fils Sa J
PT68274A (en) * 1978-07-11 1978-08-01 A A Ribeiro De Almeida Device applicable to presses and metal bending presses to syncronize the movements of the hydraulic cylinders and control slider cross member
JPS5528839A (en) * 1978-08-22 1980-02-29 Arai Pump Mfg Lining construction
CH652967A5 (fr) * 1982-04-15 1985-12-13 Bobst Sa Presse a platines.
AT385466B (de) * 1985-12-30 1988-04-11 Hoerbiger Hydraulik Gleichlaufregeleinrichtung fuer einen hydraulischen mehrzylinderantrieb
US4697485A (en) * 1986-04-16 1987-10-06 Preco Industries, Inc. Die press having 3-axis registration system operable during material advancement
JPS6328614A (ja) * 1986-07-22 1988-02-06 Kobe Steel Ltd 樹脂成形用プレスのスライド制御方法
DD289970A5 (de) * 1989-12-11 1991-05-16 Komb. Umformtechnik "Herbert Warnke",De Hydraulische presse mit kurzhub und einer hochgenauigkeits-gleichlaufrege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86360B2 (ja) 1999-04-26
DE69105804D1 (de) 1995-01-26
CA2041171A1 (en) 1991-10-26
EP0453986A2 (fr) 1991-10-30
KR910018161A (ko) 1991-11-30
CH683162A5 (fr) 1994-01-31
EP0453986A3 (en) 1992-05-13
JPH04226900A (ja) 1992-08-17
ATE115469T1 (de) 1994-12-15
BR9101643A (pt) 1991-12-10
DE69105804T2 (de) 1995-06-22
CA2041171C (en) 1995-09-12
EP0453986B1 (fr) 1994-12-14
ES2066254T3 (es) 1995-03-01
DK0453986T3 (da) 1995-05-15
US5179879A (en) 199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593B1 (ko) 포장으로 바뀌도록 된 웨브(web)같은 물질 혹은 박판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프레스(press)의 두 비임(beam)의 평행성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절단프레스
KR880001074B1 (ko) 종이웨브의 절단장치 및 절단날의 위치제어방법
US5147661A (en) Mold aligning device for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US6792783B1 (en) Quick change cassette system for multi-roll leveler
US4978414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silk including means to move cramp member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US4398678A (en) Variable-width web slitting and winding apparatus
US4546572A (en) Belt grinding machine
US5176017A (en) Tool position controller of bending machine
US4899691A (en) Precision positioning system for a coater
DE4436148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itlichen Planieren von Ziegelformlingen und/oder Ziegeln
DE59306992D1 (de) Verfahren zum Richten von Blechen und Bändern
US51954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cut edge position
DE4414179A1 (de) Vorrichtung zum Ablängen von schneidfähigen Materialien
JP2000185480A (ja) 製本ブロックをバッキングするための装置
DE3821968C2 (ko)
CS205141B2 (en) Guiding of the lifting table
EP3814048A1 (en) System for adjusting the pressure in systems for tiles holding during a squaring step
EP1225142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Aufwickeln einer Faserstoffbahn
DE4127237A1 (de) Presse mit pressen- und schiebetisch
US5036793A (en) Doctor blade apparatus
EP0346644A2 (de) Verfahren zur Dosierung der Materialmenge bei der Herstellung von Formteilen aus härtbaren Formmassen
KR100909687B1 (ko)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CN211438309U (zh) 一种复合板修磨辅助定位切割机
US3997768A (en) Method for producing sheet material of a desired weight per unit area
DE1579203C3 (de)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Vulkanisieren von Fördergurtrohli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