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155Y1 -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155Y1
KR930008155Y1 KR2019930020937U KR930020937U KR930008155Y1 KR 930008155 Y1 KR930008155 Y1 KR 930008155Y1 KR 2019930020937 U KR2019930020937 U KR 2019930020937U KR 930020937 U KR930020937 U KR 930020937U KR 930008155 Y1 KR930008155 Y1 KR 930008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reflector
lamp
movable reflect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with electrica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3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
제 1 도는 램프 어셈블리의 하우징내에 내장된 부품들이 드러나 보이도록 램프 어셈블리의 하우징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본 고안의 원리를 구체화한 자동차용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겸용 어셈블리의 평면도.
제 2 도는 내장된 부품들이 드러나 보이도록 하우징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제 1 도의 램프 어셈블리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Ⅲ-Ⅲ을 따라 취한 램프 어셈블리의 수평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선Ⅳ-Ⅳ에 따라 취한 램프 어셈블리의 수직단면도.
제 5 도는 전구, 전구 지지통 및 램프 어셈블리의 가동 반사경을 나타낸 사시도.
제 6 도는 램프 어셈블리의 사용중에 가동 반사경에 의해 점유되는 안개등 위치와 2개의 코너링 램프위치를 설명하면 램프 어셈블리의 고정 및 가동 반사경, 전구 및 전구 지지통의 확대 수평단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선 Ⅶ-Ⅶ을 따라 취한, 특히 안개등 위치와 코너링 램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가동 반사경을 구동하는 구동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램프 어셈블리의 수직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 어셈블리 12 : 램프 하우징
16 : 고정 반사경 18 : 전구 지지통
20 : 전구 22 : 가동 반사경
24 : 구동수단
본 고안은 전등, 특히 필요에 따라 빛의 비임을 2개의 상이한 방향중 어느 한쪽으로 조사할 수 있는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는 대표적으로 자동차에서 안개등과 코너링 램프의 완전한 콤비네이션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본원 고안자인 미야자와 등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미국특허 제 4,663,696호로서 특허된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국특허에 따른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는 비교적 큰 고정 반사경, 종축을 중심으로한 선회운동을 위해 고정 반사경의 전방에 배치된 보다 작은 크기의 가동 반사경, 및 고정 반사경과 가동 반사경의 공통 촛점에 배치된 필라멘트를 갖는 전구로 이루어진다. 가동 반사경은 전구로 부터의 광선을 램프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가동 반사경이 고정 반사경과 협력하는 제1위치와 가동 반사경이 전구로 부터의 광선의 일부를 램프 어셈블리의 어느 한쪽방향을 향해서 반사시키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선회한다. 따라서, 램프 어셈블리는 가동 반사경이 제1위치에 있을때 자동차의 전방으로 도로조명을 제공하는 안개등 역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 가동 반사경이 제2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램프 어셈블리는 자동차 헤드 램프 시스템에 보충하는 부가의 목적인 코너링 램프 역할을 하여 자동차 회전방향으로 부가의 조명을 제공한다.
이 선행기술의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는 그것의 기계적인 구성에서 발생하는 약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전구의 가늘고 긴 스템은 고정 반사경과 가동 반사경의 정면에 직립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반사경으로 부터 반사된 광선의 일부를 불가피하게 가로막는다. 따라서, 전구에서 발해진 전체의 빛 에너지가 의도된 목적에 이용될 수 없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관련 특허출원은 가동 반사경에 있는 구멍을 통해서 그것으로 부터 전방으로 뻗어있도록 전구 지지통에 의해서 전구가 고정 반사경에 동심으로 장착되는 것을 제안한다. 그렇게 배열되면, 전구와 그것의 스템은 반사된 광선에 어떠한 실질적인 장애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자체의 결함을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상기 개구부의 횡방향 칫수는 그것을 통해 뻗어있는 전구 지지통보다 단지 약간 더 크면 되더라도, 그것의 횡방향 칫수는 전구 지지통과의 간섭없이 2개의 동작위치 사이에서 종방향축을 중심으로 가동 반사경의 각도 변위를 허용하도록 훨씬 더 커야 된다. 그렇게 큰 개구부는 가동 반사경의 반사면 영역을 격감시키므로 소정의 강도의 분배조사를 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이전에 직면한 그러한 불편함이 없이 전술한 형태의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의 광 분포를 개선하는 방법의 문제에 대한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제공한다.
요약하면, 본 고안은 램프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방향지워진 고정 반사경, 전구 지지통에 의해서 고정 반사경에 장치되고 그것으로 부터 전방으로 뻗어있는 전구, 및 고정 반사경의 전방에 배치되어 전구가 가동 반사경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구 지지통의 개구부를 통해서 돌출해 있게 하기 위하여 자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가동 반사경으로 이루어진다. 가동 반사경은 전구로 부터의 광선을 램프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가동 반사경과 고정 반사경이 협력하는 제1위치와 가동 반사경이 전구로 부터의 광선의 일부를 램프 어셈블리의 어느 한쪽방향을 향해서 반사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고정 반사경에 관계가 있는 예정된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전구 지지통은 가동 반사경이 제1위치와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선회할 때 가동 반사경의 일부를 수납하는 잘록한 목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가동 반사경은 제1위치로 부터 제2위치로 선회되었을 때 전구 지지통의 잘록한 목부분에 부분적으로 수납된다. 따라서, 가동 반사경의 개구부의 칫수는 필용한 각도를 통한 가동 반사경의 선회동작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예정된 축과 직각의 방향으로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반사경의 반사면의 영역은 선행기술에서 보다 훨씬 더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몇가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과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로 부터, 본 고안의 전술한 특징들과 그외의 특징들, 그리고 그것들을 구체화하는 방법은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고안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된 겸용 램프 어셈블리는 단지 구조를 최소한으로 변경하여 자동차에 어느 한쪽에 장치될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자동차에 사용하는 본 고안에 적용한 것에 나타낸다.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 램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 1 도 내지 제 5 도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번호 10은 램프 어셈블리이며 하기의 것들로 이루어진다.
1. 렌즈(14)에 의해 닫혀있는 전면 개구부를 갖는 상자형 램프 하우징(12).
2. 제 1 도 및 3 도의 저면쪽으로 보아서, 램프 어셈블리(10)의 전방으로 향해 있고 하우징(12)내에 고정적으로 장치된 고정 반사경(16).
3. 고정 반사경(16)에 동축으로 장치된 대체로 관형의 전구 지지통(18).
4. 전구 지지통에 의해 지지되고 그것으로 부터 전방으로 향한 전구(20).
5. 가동 반사경이 전구(20)로 부터의 전광을 램프 어셈블리(10)의 전방을 향해 반사시키는 고정 반사경과 협력하는 제1 또는 안개등 위치와 가동 반사경이 전구로 부터의 전광의 일부를 램프 어셈블리의 어느 한쪽을 향해 편향시키는 안개등 위치로 부터 램프 어셈블리의 어느 한쪽을 향해 치우쳐 있는 제2 또는 코너링 램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고 고정 반사경(16)의 전방을 향해 배치된 가동 반사경(22).
6. 램프 하우징(12)내에 장착되어 가동 반사경(22)을 안개등 위치와 2개의 가능한 코너링 램프 위치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 구동하기 위하여 주로 고정 반사경(16) 뒤에 배치된 구동기구(24).
이후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 램프 어셈블리(10)의 기재된 성분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램프 하우징]
제 1 도 내지 4 도에서, 램프 하우징(12)는 횡으로 보다 신장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이다. 램프 하우징(12)의 전면 가장자리는 연속홈(28)을 한정하는 L자형 플랜지(26)을 갖는다. 렌즈(14)는 램프 하우징(12)내의 홈(28)에 끼워 맞춰질 후단부(32)를 갖는 주변 후벽부(30)를 갖는다. 렌즈(14)를 램프 하우징(1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 반사경]
특히 제 2 도 내지 4 도에서 주의되는 바와같이, 고정 반사경(16)은 렌즈(14) 바로 뒤에 배치된 방향 프레임부(34) 및 프레임부의 후방에 배치된 반사면(36)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부(34) 및 반사면(36)은 한쌍의 편평측부(38), 편평상부(40) 및 편평하부(4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고정 반사경(16)의 모든 기재된 부분들은 알루미늄의 진공증착에 의해 반사면이 주어진 반사면(36)의 최소한 전면을 갖도록, 판금재를 압연한 일편으로 될 수 있다. 반사면(36)은 포물면의 형태이다. 즉, 고정 반사경(16)은 포물면 반사경이다. 이 포물면 반사경의 축은 램프 어셈블리(10)의 광축을 구성한다. 삽입구(44)는 전구(20)을 후술의 방식으로 전구 지지통(18)에 의해 고정 반사경(16)에 장착하기 위하여 반사면(36)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전구 지지통]
제 2 도 내지 5 도를 참조하여 전구 지지통(18)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구 지지통(18)는 지름이 서로 다른 3개의 동심 관형부(46, 48 및 50)를 갖고 있으며, 그 사이에는 2개의 계단부(52 및 54)가 형성되어 있다. 전구 지지통의 후단은 열려 있으며, 그것의 전단은 단판(56)에 의해 닫혀있다. 개구부(58)은 전구(20)을 장착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단판(56)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도 및 4 도는 중간부분(48)이 구멍(44)에 꼭맞게 결합되도록 전구의 계단부(54)가 고정 반사경의 반사면(36)에 접할 때가지, 전구 지지통(18)은 그것의 최첨두의 최소 직경부(46)로써, 구멍(44)에 삽입되어 구멍(44)을 통해서 고정 반사경 뒷쪽으로 부터 고정 반사경(16)에 삽입된다. 전구 지지통(18)은 그것들의 규정된 상대적인 위치에서 고정 반사경(16)에 적당히 고착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특히 제 3 도 및 제 5 도에 주지된 바와같이, 전구 지지통(18)의 선두의 관형부(46)의 상부 및 하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부분을 잘려나가서 서로에 관해 직경상의 맞은편에 한쌍의 절결부(59)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절결부(59)는 이후의 설명에 따라 명백해질 목적을 위하여 전구 지지통(18)에 잘록한 목부분만을 만드는데 기여한다.
[전구]
제 2 도 내지 5 도에 보인 바와같이, 전구(20)은 그안에 필라멘트(62)가 내재된 유리재의 엔빌로프(60)와 그위에 장착 플랜지(66)가 형성된 스템(64)으로 이루어진 보통의 단일 필라멘트형의 전구면된다. 이 전구(20)는 전구 스템(64)상의 장착 플랜지(66)가 단판의 후면에 맞닿을 때까지 전구의 엔빌로프(60)를 선두로 하여 전구 지지통의 단판(56)에 있는 개구부(58)내를 통해서 삽입되어서 전구 지지통(18)에 장착될 수 있다. 전구 지지통(18)에 그렇게 위치결정되어서, 전구(20)은 도시하지 않은 적당한 유지수단이 전구 장착 플랜지(66)를 전구 지지통(56)에 붙어서 그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 3 도 및 4 도로 부터 전구 지지통(18)에 있는 한쌍의 절결부(59)가 전구 장착 플랜지(66) 바로 뒤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구(20)은 램프축과 동심으로 전구 지지통(18)에 의해 고정 반사경(16)에 설치되어 있다. 전구 필라멘트(62)의 중앙부는 고정 반사경(16)과 가동 반사경(22)의 공통 촛점에 있다.
제 2 도 내지 5 도에 있어서, 가동 반사경(22)는 제 2 도에 정면으로 보인 바와 같이 모양이 대체로 사각형이면서 종방향으로 신장된 반사부(68)과 상기 반사부의 상단 및 하단으로 부터 전방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장착 플랜지(70 및 72)로 이루어진다. 반사부(68)의 횡방향 칫수는 고정 반사경(16)의 반사부(36)의 횡방향 칫수의 약 1/3 이다. 반사부(72)의 전면은 가동 반사경(22)이 제 2 도 내지 4 도에서처럼 안개등 위치에 있을 때 고정 반사경 축과 일직선으로 맞춰진 축을 중심으로 한 선회의 포물면의 형상이다.
가동 반사경(22)의 반사부(68)에는 전구 지지통(18)의 선단의 관형부(46) 뿐만 아니라 전구(20) 여유로이 전방으로 관통하여 뻗칠 수 있는 개구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도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부(74)는 대략 사각형이며, 한상의 수평변(76)과 한쌍의 대향 수직변(78)으로 경계지워져 있다. 한쌍의 수평변(76)간의 거리는 전구 지지통(18)의 선단부 관형부(46)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며 한쌍의 수직변(78)간의 거리는 이후에 설명된 양극단 위치(코너링 램프 위치들) 사이에서 가동 반사경(22)의 각도 변위를 허용하기 위하여 한쌍의 수평변(76)들간의 거리보다 약간 더 크다.
가동 반사경(22)의 상부 장착 플랜지(70) 및 하부 장착 플랜지(72)는 제 4 도 및 5 도에 보인 바와같이 그 중앙에 형성된 사각형 부착공(80 및 82)를 갖는다. 피봇 핀(84 및 86)은 서로 종방향으로 일치시켜 부착공(80 및 82)에 비회전식으로 수납된다. 또한, 이들 피봇핀은 고정 반사경(16)의 편평상부(40) 및 하부(42)에 형성된 구멍(88) 및 (90)을 각각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반사경(22)는 피봇된(84) 및 (86)의 일직선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제 4 도에 명백히 보인 바와같이, 상측 피봇핀(84)는 원통부(92)를 갖고 있으며, 상기 원통부(92)는 고정 반사경 상부(40)에 있는 구멍(88)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어 있으며, 고정 반사경 상부의 위에 놓이도록 상기 원통부(92)상에 형성된 칼라(94)를 갖는다. 원통부(92)는 가동 반사경 상부 플랜지(70)에 있는 부착공(80)에 꽉차게 수납된 사각형 단면의 하측의 신장부(96)와 구동기구(24)에 연결하기 위한 다각형 단면의 상측의 신장부(98)를 갖는다. 하측의 신장부(96)는 참고번호 100으로 지시된 곳에 홈이 패여있다.
가동 반사경(22)을 고정 반사경(16)에 선회할 수 있게 장치할 때, 하측의 신장부(96)이 고정 반사경 상부 플랜지(70)에 있는 부착공(80)에 회전하지 못하게 수납될 때까지, 전술한 구성의 상부 피봇핀(84)는 그것의 신장부(96)을 선두로 하여 위로 부터 고정 반사경 상부(40)에 있는 부착공(88)에 끼워 관통될 수 있다. 다음에 상부 피봇핀(84)의 원통부(92)는 부착공(88)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될 것이다. 다음에 지지링(102)는 상부 피봇핀(84)를 부수적인 부착위치를 향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피봇된 하측 신장부(96)에 있는 홈(100)에 조립된다.
하부 피봇핀(86)은 상부 피봇핀(84)이 거꾸로 배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구조상 상부 피봇핀(84)과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피봇핀(86)은 자체에 형성된 칼라(104)를 갖는 원통부(103), 홈(108)을 갖는 사각형 단면의 상측의 신장부(106) 및 하측의 신장부(110)으로 이루어진다. 원통부(103)은 칼라(104)가 고정 반사경 저부에 놓이도록 고정 반사경 저부(42)에 있는 구멍(9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측의 신장부(106)은 가동 반사경 저부 플랜지(72)에 있는 부착공(82)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링(112)는 상측의 신장부(106)에 있는 홈(108)에 결합되어 하부의 피봇핀(86)을 제자리에 고착시킨다. 하부 피봇핀(86)의 하측의 신장부(110)은 본 실시예에서는 아무런 기여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동 반사경(22)은 고정 반사경(16)의 상부(40)와 하부(42) 사이에 지지되어 한쌍의 피봇핀(84) 및 (86)의 공통 종축을 중심으로 각도변위된다. 이 종축은 가동 반사경(22)의 촛점을 통과하며, 이 촛점에 전구(20)의 필라멘트가 자리잡고 있다.
제 6 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가동 반사경(22)은 안개등 위치(F)와 코너링 램프위치(C1)과 (C2)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 선회가능하다. 가동 반사경(22)가 안개등 위치(F)에 있을 때, 그것의 광축(즉, 그것의 반사면(86)에 의해 형성된 회전의 포물면의 축)은 고정 반사경(16)의 광축(즉, 그것의 반사면(36)에 의해 형성된 회전의 포물면의 축)과 일치한다. 따라서, 고정 반사경(16) 및 가동 반사경(22)는 램프 어셈블리(10)의 전방으로 향방된 전구(20)으로 부터 나란한 광선을 연대로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이 램프 어셈블리는 가동 반사경(22)의 안개등 위치(F)에 있을때 안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동 반사경(22)가 2개의 코너링 램프위치(C1) 및 (C2)중 어느 하나로 선회될 때, 그것의 축은 고정 반사경 축에 관하여 각도 지워진다.이 코너링 램프위치에 있어서, 가동 반사경(22)는 전구(20)로 부터의 광선의 일부를 편향된 축방향으로 반사하는 반면 고정 반사경(16)은 나머지 광선을 그 자체의 축방향, 즉 램프 어셈블리(10)의 전방으로 향하게 한채로 유지시킬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를 회전시키고자할 때, 가동 반사경(22)는 조명범위를 자동차 회전방향으로 미치기 위하여 안개등 위치(F)로 부터 2개의 가능한 코너링 램프위치(C1) 및 (C2)중 필요한 쪽으로 선회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 램프 어셈블리(10)은 코너링 램프, 즉 부가의 목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개구부(74)의 경게를 이루는 가동 반사경의 종방향 가장자리(78)들중 하나는 가동 반사경이 코너링 램프위치(C1) 및 (C2)중 어느 한쪽으로 선회되어 있을때 전구 지지통(18)에 있는 한쌍의 절결부(59)의 어느 하나에 수납된다.
[구동기구]
구동기구(24)는 가동 반사경(22)을 그것의 안개등 위치(F)와 2개의 코너링 램프위치(C1) 및 (C2)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동작시킨다. 대체로, 구동기구(24)는 양방향의 구동 토크를 공급하는 구동 어셈블리(120)과 안개등 위치(F)와 2개의 코너링 램프위치(C1) 및 (C2)와의 사이에 그것의 회전동작을 일으키도록 구동 어셈블리의 구동 토크를 가동 반사경(22)에 전달하는 구동링크장치(122)로 이루어진다.
제 7 도에는 램프 하우징(12)내에 고정 반사경(16)의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어셈블리(120)의 케이스(124)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기어(130, 132, 134, 136 및 138)로 이루어진 감속수단을 거쳐 구동 어셈블리(120)의 출력 샤프트(128)에 연결되어 있는 전도가능한 전기 구동모터(126)은 케이스(124)내에 직립식으로 장치되어 있다. 출력 샤프트(128)은 구동링크장치(122)에 의해서 가동 반사경(22)에 연결되도록 케이스(124)에 형성된 구멍(140)을 통해서 케이스(124)의 상방으로 뻗어있다.
구동 어셈블리 케이스(124)내에 배치된 각도센서(144)의 회전자 샤프트(142)는 구동 어셈블리(120)의 출력 샤프트(128)에 동축으로 결합되어 있다. 각도 센서(144)는 구동 어셈블리 출력 샤프트(128)의 양방향 회전에 응답하여 가동 반사경(22)의 회전각 또는 각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제 1 도 및 2 도에 보인 바와같이, 구동 어셈블리 케이스(124)는 고정 반사경(16)의 상부(40) 및 하부(42)에 고착된 장착 브래킷(150) 및 (152)의 아암(146)과 (148) 사이에 움직일 수 없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어셈블리로 부터 직각으로 뻗어있도록 구동 조립체(120)의 출력 샤프트(128)에 그 한쪽끝이 직각으로 연결된 제1구동아암(154)는 구동링크장치(122)에 포함된다. 제 7 도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제1구동아암(154)는 그것과 일체로 형성된 직립보스(156)을 갖는다. 보스(156)은 구동 어셈블리 출력 샤프트(128)에 동축으로 형성된 일치하는 단면형의 상향 신장부(158)를 비회전식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그것의 하단면으로 부터 상방으로 뻗어있는 다가 단면형의 연결구(157)을 갖는다. 나사(160)은 보스(156)에 있는 삽입구(162)를 관통해서 삽입되고 구동 어셈블리 출력 시프트(128)의 신장부(158)에 있는 탭형구멍(164)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제1구동아암(154)는 그 한쪽끝이 구동 어셈블리 출력 샤프트(128)에 직각으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 1 도 및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구동아암(154)의 자유단은 구동링크(166)의 한쪽끝에 핀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제2구동아암(168)의 한쪽끝에 마찬가지로 결합되어 있다. 제2구동아암(168)은 고정 반사경(16)의 편평상부(40)에서 상방으로 회전가능하게 뻗어있는, 그리고 그것과의 죠인트 회전을 위하여 가동 반사경(22)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피봇핀(84)의 상향 신장부(98)를 비회전식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그것의 타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구멍(170)을 갖는다. 피봇된 신장부(98)은 제2구동아암(168)이 피봇된 신장부(98)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상부를 두드려서 넓혀 놓는다.
[작용]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 램프 어셈블리(10)의 가동 반사경(22)은 자동차가 곧게 운행할 때 제 1 도의 상태에 있는 구동링크장치(122)로써 안개등 위치(F)에 유지되어 있다. 안개등 위치(F)에 있을 때, 가동 반사경(22)는 고정 반사경(16)과 협력하여 전구(20)로 부터의 빛을 자동차의 전방으로 반사할 것이다.
자동차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할 어느 반향으로 핸들을 돌리면 도시하지 않은 전기 제어회로는 자동적으로 핸들의 그 회전에 응답하여 자동차 회전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제 5 도의 구동 어셈블리(92)의 구동모터(98)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결과로서 일어나는 구동모터(98)의 회전은 감속기어(130, 132, 134, 136 및 138)을 거쳐서 구동 어셈블리 출력 샤프트(128)에 전달될 것이다. 구동링크장치(122)는 결과로서 일어나는 구동 어셈블리 출력 샤프트(128)의 회전을 가동 반사경(22)에 전달하여 가동 반사경(22)을 안개등 위치(F)에서 2개의 램프위치(C1) 및 (C2)중 필요한 쪽으로 선회시킨다.
제 6 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같이, 개구부(74)의 맞은편에 배치된 가동 반사경(22)의 두 부분들중 하나는 가동 반사경을 코너링 램프위치(C1) 및 (C2)중 어느 한쪽으로 변위할 때 전구 지지통(18)에 있는 2개의 절결부(59)들중 관련된 것에 수납될 것이다. 따라서, 2개의 코너링 위치(C1)과 (C2)간의 주어진 각도 간격을 위한 개구부(74)의 횡방향 칫수는 전술한 경우에서처럼, 전구 지지통(18)이 그런 잘록한 목부분을 갖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더 작게 될 수 있다.
가동 반사경(22)이 소망의 코너링 램프위치로 선회되어 있다는 사실은 구동 어셈블리(120)에 장치된 제 7 도의 각도센서(144)에 의해 검출될 것이다. 각도센서(144)의 회전자 샤프트(142)가 구동 어셈블리 출력 샤프트(128)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각도센서(144)는 구동 어셈블리 출력 샤프트의 회전각, 결과적으로 가동 반사경(22)의 회전각을 나타내는 전압신호를 공급할 것이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는 구동센서 출력의 크기가 예정된 값 또는 다른 소망의 값에 이를 때 구동모터(126)에의 전력공급을 중단함으로써 각도센서(144)로 부터의 출력에 응답할 것이다.
따라서 소망의 코너링 램프위치로 선회되면, 가동 반사경은 전구(20)로 부터의 광선의 일부를 자동차의 어느 한쪽을 향해 편향된 가동 반사경의 축을 따라 보낼 것이며, 그것에 의해 자동차 회전의 방향으로 부가의 도로조명을 공급하게 된다.
다음에, 자동차가 회전을 끝낸 뒤에 핸들을 정상위치로 복귀시키면, 제어 회로는 역방향으로 구동모터(98)를 동작시킨다. 다음에 구동기구(24)는 코너링 램프위치(C1) 또는 (C2)로 부터 안개등 위치(F)로 가동 반사경(22)를 복귀시킨다. 각도센서(144)의 출력전압이 가동 반사경(22)가 안개등 위치에 있음을 가리킬 때 제어회로는 구동모터(98)를 멈춘다.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명백한 의미 또는 적합한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의 각각의 특정한 적용의 요구조건에 또는 설계 선호도에 따르기 위하여 예시된 실시예들이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

  1. 예컨대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겸용으로 사용할 이중목적 램프어셈블리(10)는, (a)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지향된 고정 반사경(16)과, (b) 상기 고정 반사경으로 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도록 상기 고정 반사경에 장착된 전구 지지통(18)과, (c) 상기 전구 지지통에 의해 지지되고 통상적으로 상기 전구 지지통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는 전구(20)와 (d) 상기 고정 반사경보다 작고 상기 고정 반사경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자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전구 지지통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해 돌출해 있으므로 상기 전구가 그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가동 반사경(22)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 반사경은 상기 전구로부터의 광선을 상기 램프 어셈블리(10)의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 반사경과 상기 고정 반사경이 협동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가동 반사경과 상기 고정 반사경이 협동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가동 반사경(22)이 상기 전구로 부터의 광선의 일부를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어느 한쪽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 반사경에 관한 예정된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e) 상기 전구 지지통(18)은 상기 가동 반사경(22)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선회함에 따라 상기 가동 반사경의 일부를 수납하는 잘록한 목부분을 갖고 있으며, (f) 상기 가동 반사경(22)에 있는 개구부의 칫수가 가동 반사경의 선회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예정된 축과 직각의 방향으로 최소치로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 목적 램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 지지통(18)은 본질상 원통형이며, 상기 가동 반사경(22)의 전방에 위치한 전단부를 막고 있는 단판을 갖고 있으며, 상기 단판은 상기 전구(20)를 삽입해서 돌출시키는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전구는 상기 전구 지지통(18)내에 수납된 스템과 상기 전구 스템에 형성된 장착 플랜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전구 지지통(18)의 단판에 유지되며, 상기 전구 지지통의 상기 잘록한 목부분은 상기 전구의 장착 플랜지의 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 목적 램프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a) 개방된 전단부를 갖는 하우징(12)과, (b)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를 가로막는 렌즈(14)와, (c) 가동 반사경(22)으로서, 상기 고정 반사경보다 작고, 상기 고정 반사경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자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전구 지지통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해 돌출해 있으므로 상기 전구가 그 전방에 위치되어 있으며, 정상 주행시에는 상기 전구로 부터의 광선을 상기 고정 반사경(16)과 협동하여 상기 램프어셈블리(10)의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안개등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구로 부터의 광선의 일부를 상기 램프 어셈블리(10)의 반대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개등 위치로 부터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양측으로 각도 변위되는 2개의 코너링 램프 위치들중 어느 한쪽으로 종축을 중심으로 안개등 위치로 부터 선회할 수 있으며, (d) 안개등 위치와 코너링 램프 위치들중 어느 한측과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 반사경을 선회시키는 구동수단(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
  4. 제 1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 지지통(18)의 잘록한 목부분은 전구 지지통에서 정반대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
KR2019930020937U 1988-02-08 1993-10-11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 KR93000815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26969A JPH0760609B2 (ja) 1988-02-08 1988-02-08 車輌用前照灯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277A Division KR890013409A (ko) 1988-02-08 1988-10-12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155Y1 true KR930008155Y1 (ko) 1993-12-10

Family

ID=122079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277A KR890013409A (ko) 1988-02-08 1988-10-12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어셈블리
KR2019930020937U KR930008155Y1 (ko) 1988-02-08 1993-10-11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277A KR890013409A (ko) 1988-02-08 1988-10-12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27388A (ko)
JP (1) JPH0760609B2 (ko)
KR (2) KR890013409A (ko)
FR (1) FR2626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517B2 (ja) * 1987-09-16 1994-08-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ランプシステム
US5117335A (en) * 1989-12-28 1992-05-26 Koito Manufacturing Co., Ltd. Headlight for vehicle
DE4002576C5 (de) * 1990-01-30 2005-06-02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Scheinwerfer mit Abblend- und Fernlicht für Kraftfahrzeuge
US5113320A (en) * 1990-08-16 1992-05-12 Robart Enterprises, Inc. Spherically adjustable headlamp mounting system
US5142455A (en) * 1991-06-05 1992-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Vehicle headlamp in which multiple beams are derived from a single discharge-type light source
US5095414A (en) * 1991-06-07 1992-03-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Greenhouse illumination system
DE4338614A1 (de) * 1992-11-16 1994-06-23 Koito Mfg Co Ltd Lampensystem für Kurvenfahrten für Fahrzeuge
JP2633169B2 (ja) * 1992-11-19 1997-07-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H0642407U (ja) * 1992-11-19 1994-06-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US5682138A (en) * 1996-05-14 1997-10-28 Powell; Richard A. Illumination system for a semi-trailer or the like
FR2765310B1 (fr) * 1997-06-30 1999-10-22 Valeo Visio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capable d'emettre, avec une source lumineuse unique, deux faisceaux differents
JP2001505163A (ja) 1997-09-03 2001-04-17 バレオ、ビジョン 異なる種類の光線を照射可能な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
FR2767904B1 (fr) * 1997-09-03 1999-11-26 Valeo Vision Miroir de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pour virages, et projecteur l'incorporant
FR2767903B1 (fr) * 1997-09-03 1999-11-26 Valeo Vision Projecteur de virage pour vehicule automobile, susceptible d'emettre des faisceaux differents
FR2777976B1 (fr) * 1998-04-23 2000-06-09 Valeo Vision Projecteur a faisceau variable, notamment pour vehicules, et ensemble de projecteurs de ce type
DE19946350A1 (de) * 1999-09-28 2001-03-29 Bosch Gmbh Robert Projektionsscheinwerfer und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mit derartigen Scheinwerfern
JP2002190202A (ja) 2000-10-12 2002-07-05 Koito Mfg Co Ltd ヘッドランプ
JP3788905B2 (ja) 2000-11-24 2006-06-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及び回動用駆動装置
JP2002160581A (ja) * 2000-11-24 2002-06-04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及び回動用駆動装置
JP3910359B2 (ja) 2000-11-24 2007-04-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3687741B2 (ja) * 2001-05-07 2005-08-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装置
JP3898462B2 (ja) 2001-05-14 2007-03-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087201B2 (ja) * 2002-09-20 2008-05-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の光軸位置設定方法
WO2005025934A1 (en) * 2003-09-12 2005-03-24 Richard Bryce Roan A variable focus driving light
AU2004272122B2 (en) * 2003-09-12 2010-07-01 Roan, Richard Bryce Mr A variable focus driving light
US20110204203A1 (en) * 2010-02-23 2011-08-25 Miller Douglas C Steerable vehicle ligh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4034A (en) * 1919-08-26 Overton winstoh
US1305498A (en) * 1917-12-27 1919-06-03 Controllable headlight-screen
US1632127A (en) * 1924-10-08 1927-06-14 William L Goodstein Motor-vehicle lamp
US4663696A (en) * 1985-01-31 1987-05-05 Koito Siesakusho Co., Ltd. Dual purpose lamp assembly for use, for example, as a combined fog and cornering lamp on a motor vehicle
DE8713122U1 (ko) * 1987-09-30 1987-12-03 View Transportation Co., Ltd., Taichung, T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26959A1 (fr) 1989-08-11
US4827388A (en) 1989-05-02
JPH0760609B2 (ja) 1995-06-28
FR2626959B1 (fr) 1991-03-29
KR890013409A (ko) 1989-09-23
JPH01204301A (ja) 198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155Y1 (ko)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
KR930008051Y1 (ko) 겸용램프 어셈블리
US4663696A (en) Dual purpose lamp assembly for use, for example, as a combined fog and cornering lamp on a motor vehicle
US7201505B2 (en) Projector type vehicle headlamp
JPH01255101A (ja) 自動車用前照灯
JPH0523215B2 (ko)
JP4244015B2 (ja) 投射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H01253102A (ja) 車輌用前照灯
US7213954B2 (en) Variable adaptive projector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10861573A (zh) 一种用于汽车前照灯的遮光机构及包含其的前照灯
KR100486339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JP2000251520A (ja) 自動車用ランプ
KR0120058Y1 (ko) 차량 전조등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JPH0411283Y2 (ko)
JP2579260Y2 (ja) 配光可変型プロジェクタランプ
JPH0512886Y2 (ko)
JPS62222507A (ja) 車輌用前照灯
JPH0451365Y2 (ko)
JPH0741042Y2 (ja) 自動車用前照灯
JPH059763Y2 (ko)
JPS6128323Y2 (ko)
JPH0451364Y2 (ko)
KR920007194B1 (ko)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JPH0429441Y2 (ko)
JPH0211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