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94B1 -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94B1
KR920007194B1 KR1019860003184A KR860003184A KR920007194B1 KR 920007194 B1 KR920007194 B1 KR 920007194B1 KR 1019860003184 A KR1019860003184 A KR 1019860003184A KR 860003184 A KR860003184 A KR 860003184A KR 920007194 B1 KR920007194 B1 KR 920007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amp assembly
movable reflector
movabl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857A (ko
Inventor
켄지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5454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156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5454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156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5454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156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5454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1560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4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제1도는 자동차에서 안개등과 코너링 램프의 조합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목적의 램프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램프커버를 제외한 램프조립체의 확대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램프조립체의 수평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램프조립체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고정반사경과 쌍방향 구동메카니즘을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쌍방향 구동메카니즘이 작동되어 가동반사경이 제5도의 중립위치로부터 각을 가진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선회 이동된 것을 나타내고, 또 가동반사경의 일부를 보이기 위해 고정반사경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
제7도는 쌍방향 구동메카니즘이 작동되어 가동반사경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8도는 제1도의 램프조립체의 쌍방향 구동메카니즘에 포함된 구동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구동수단의 간략한 제어회로도.
제10도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된 1쌍의 램프조립체가 1쌍의 조합된 안개등 및 코노링 램프로서 자동차에 장착되어질때의 광분배를 나타내는 간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조립체 12 : 하우징
14 : 램프커버 16 : 광원
18 : 고정반사경 20 : 가동반사경
22 : 쌍방향 구동메타니즘 24 : 중립위치 규제수단
26 : 렌즈 100 : 쌍방향 구동연동장치
102 : 구동수단 104 : 제어회로
108 : 회전축 144 : 회전조작스위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비임을 요구된 하나의 방향 또는 2개의 다른방향으로 투사시킬 수 있는 신규한 구조의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중 목적의 램프조립체는 이제까지 차량에서 개별적으로 채택되어왔던 안개등과 코너링램프등의 일체구조로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나 본 발명을 이러한 특수예에 국한시키고자 한 것은 아니다.
오늘날 차량에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여러가지 램프가 장치되어 있으며, 그중에 안개등과 코너링램프가있다. 그 이름에서 뜻하고 있듯이, 안개등은 비나 눈, 만지, 또는 안개가 낀 날씨에서 헤드램프이 하향비임과 조합하여 차량의 전방을 향한 도로의 조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한편, 코너링램프는 차량의 회전방향으로 부가적인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헤드램프를 보조하며 회전신호장치와 조합되어 사용한다.
고로, 안개등과 코너링램프가 개별적으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상이한 방향으로 조명을 실시하고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각 차량의 전방에 1쌍의 안개등과 1쌍의 코너링램프가 장치되어 있었다. 만일, 차량의 다수의 그들의 소기 목적을 저해하지 않고 램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차량의 제작 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그 수많은 램프로 장식된 차량은 어느 경우에 심미적인 관점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2중 목적의 램프조립체는 특히 차량에서 일체로 조합된 안개등 및 코너링램프로서의 사용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광범위하게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2중 목적의 램프조립체는 하우징 수단내에 고정설치된 광원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 수단내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비임을 통상 램프조립체의 전방을 향한 예정된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의한 반사경 수단이 설치된다. 이 반사경 수단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일부가 램프조립체의 양측을 향해 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반사경 수단을 램프조립체의 양측면으로 각을 가진 방향으로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게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조합된 안개등과 코너링램프로서의 램프조립체를 사용하고자 할때, 최적의 광분해를 위해 상기 반사경 수단은 고정반사경과 가동반사경을 포함한다. 가동반사경은 이 가동반사경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램프조립체의 예정된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고정 반사경과 함께 동작하는 제1의 위치와 가동반사경이 램프조립체의 양측방향을 향해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게 되는 제2의 위치사이에서 각을 가지고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고정반사경과 가동반사경은 포물면 반사경으로 되고, 이 고정반사경은 가동반사경의 뒷편에 배치되어 그들의 공통초점에 위치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평행광선으로 만든다. 가동반사경은 광원의 주위로 선회할 수 있다.
가동반사경을 각을 가지게 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은 통상 수동조작되는 코너링 스위치를 포함한 제어회로를 구비한 역전가능한 전기모우터를 포함한다. 이 코너링 스위치의 작동은 가동 반사경을 제1의 위치로부터 제2의 위치로 이동하게 만들고, 이때 램프조립체는 그 광비임의 일부분을 차량의 회전방향으로 투사한다. 그후 코너링 스위치가 개방되면 가동반사경은 자동적으로 제1의 위치로 다시 돌아오게되고, 이때 램프조립체는 단지 안개등으로서 작용하게된다.
본 발명의 2중 목적을 가진 램프조립체의 사용에 있어서, 각각의 차량은 상기와 같은 램프조립체가 양편에 설치되기 위해 2개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램프조립체는 그 구성부품의 변경없이 차량의 양편에 설치될 수 있게 제작된다. 이를 위해 가동반사경은 그 제1의 위치 또는 중립위치로부터 2개의 각이진 위치로 회전변의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더욱이, 같은 목적을 위해, 차량의 어느 측면에 램프 조립체가 설치될 것인가에 따른 다른 방법으로 구동수단의 회전축을 가동반사경에 연결시키는 쌍방향 구동연동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고로, 단지 쌍방향 구동연동장치에 의한 구동수단의 회전축과 가동반사경 사이의 연결방법을 변경시킴으로써 가동반사경은 구동수단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중립위치로부터 2개의 각을 가진 위치중 어느 하나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통상, 가동반사경은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되는 중립위치 규제수단에 의해 중립위치에 정확히 유지되고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징과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고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그 중요부품들이 열거된 제1도에서 10도까지 나타낸 2중목적의 램프조립체에 대한 일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실시예는 최소한의 구조변경을 가지고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고, 조합된 안개등 및 코너링램프로서의 자동차용 램프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1도는 이와같은 램프조립체의 구성을 가장 잘 나타낸 것으로, 도면부호(10)으로 표시한 램프조립체는 광범위하게 다음과 같은 것들로 구성된다.
1. 상자형태로 되고 개방된 전단부를 갖는 하우징(12).
2. 하우징(12)의 전단부를 덮어쒸우거나 벗겨지도록 하우징(12)에서 축으로 고정된 램프커버(14).
3. 하우징(12)내의 예정된 위치에 고정된 광원(16).
4.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통상 램프조립체(10)의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광원(16)의 뒷편에 배치된 고정반사경(18).
5. 광원(16)과 고정반사경(18) 사이에 배치되고, 가동반사경이 고정반사경과 함께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램프조립체(10)의 전방으로 반사시키게 작용하는 제1의 또는 중립위치와 가동반사경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일부를 램프조립체의 동일한 측면을 향해 각을 이루게 하고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램프조립체의 양측면으로 각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는 제2의 위치 또는 각을 가긴 위치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는 가동반사경(20).
6. 중립위치와 상기 2개의 각을 가진 위치사이에서 상기 가동반사경(20)을 구동시키기 위해 거의 고정반사경(18)의 뒷편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2)내로 연결되어 있는 쌍방향 구동메카니즘(22).
7. 중립위치에서 가동반사경(20)을 유지하기 위한 중립위치 규제수단(24).
8. 하우징(12)의 개방된 전단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렌즈(26).
이하에서 상기 열거된 램프조립체(10)의 부품들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하우징(12)은 수평으로 길게 늘어나고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상자곽 형태를 가진다. 이 하우징(12)의 개방된 전방단부는 정방형의 렌즈고정프레임(28)을 개재하여 렌즈(26)로써 밀폐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우징(12)의 내부는 쌍방향 구동메카니즘(22)의 대부분을 수용하는 좌측챔버(30)와, 고정반사경(18) 및 가동반사경(20)을 수용하는 중앙챔버(32)와, 그리고 이하 설명되어질 램프커버 구동장치(36)를 수용하기 위한 우측 챔버(34)로 분할되어 있다.
[램프커버]
제1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램프커버(14)는 렌즈(26)와 거의 같은 크기와 모양을 가진 커버부(38)와, 이 커버부의 양측단에 형성된 한쌍의 측면 플랜지(40)를 포함한다. 제1도와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램프커버(14)의 측면 플랜지(40)는 각 플랜지에 형성된 사각형 단면의 1쌍의 구멍(42)을 가지며, 하우징(1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1쌍의 회동축(44) 및 (44')을 받아들인다. 따라서, 램프커버(14)는 제4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작동위치와 점선으로 표시한 철회위치사이에서 하우징(12)에 대한 개폐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램프커버(14)는 작동위치에서 렌즈(26)를 가리고, 램프커버(14)가 철회위치로 선회이동되면 렌즈가 나타나게 만든다. 물론, 램프커버(14)는 램프조립체(10)가 점등되지 않으면 작동위치에 놓이게 되고, 램프조립체(10)가 점등되었을때 철회위치로 선회한다. 이와같은 램프커버(14)의 각 이동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작동위치와 철회위치사이의 회전각은 약 90도 범위내에 있게 된다.
위와같은 램프커버(14)의 축운동을 위해 하우징(12)내에 램프커버 구동장치(36)가 설치되며, 그 구동축은 제1도 및 제3도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12)의 밖으로 돌출된 우측 회전축(44)으로 되어 있다. 램프커버구동장치(36)는 모우터와 그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구비한 역전회전가능한 모우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 램프커버 구동장치는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그 개별적인 부품은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같은 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일본국 특허원소 60-175492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반면에, 좌측회전축(44')에는 제1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하우징(12)내에 배치된 2방향 경사기구(46)가 설치되어 있다. 2방향 경사기구(46)는 좌측 회전축(44')에 고정결합되고 그 우측편으로 연장되는 단부를 가진 아암(48)과, 하우징(12)의 일측벽에서 아암(48)의 말단부와 스프링 유지선반(52) 사이에서 작동하는 인장코일스프링(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장스프링(50)은 좌측회전축(44')을 경사지게 하여 램프커버(14)가 그 각이진 위치에 따라 작동위치나 철회위치로 향하게 하고, 이 양쪽위치가 아닌 중간위치에 놓이게 될때 램프커버를 중립위치로 유지하게 만든다. 아암(48)에는 인장스프링(50)의 경사에 따라 램프커버(14)를 작동위치나 철회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한 한쌍의 스톱퍼(54)(제1도)가 설치되어 있다.
[광원]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원(16)은 필라멘트(58)와 유리외피(56)를 가진 통상의 전구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 외피(56)는 플랜지(62)를 가진 스템(60)의 상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그 상부에 림(66)을 가지고 또 그 상부 및 하단부 사이의 중간에 외측으로 형성된 탑재플랜지(68)를 가진 직립한 관형태의 전구지지대(64)를 사용한다. 전구지지대(64)에 수용되는 전구(16)의 스템(60) 위에 있는 플랜지(62)는 전구지지림(66)의 하부에 대하여 단단히 고정되고, 이로써 전구는 전구지지대와 동심원상에 놓이게 된다. 전구(16)와 전구지지대(64)는 위와같은 관계로 제4도에 나타낸 도면부호(70)의 수단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전구(16)를 지지함에 있어서, 전구지지대(64)는 고정반사경(18)에 설치되고, 더욱이 전구의 필라멘트(58)가 고정반사경(18) 및 가동반사경(20)의 공통 초점에 배치되도록 하여 가동반사경(20)에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위와같은 전구지지대(64)와 고정 및 가동반사경(18) 및 (20)과의 연결관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고정반사경]
제1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고정반사경(18)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반사경(18)은 렌즈(26)후방에 배치된 통상 사각형모양의 평면벽부분(72)과 이 평면벽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오목하게 된 반사경부분(74)을 포함한다. 벽부분(72)과 반사경부분(74)은 한 조작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하고 그반사경 부분(74)의 전면은 알루미늄 증착으로써 반사면이 형성된다. 반사경 부분(74)은 양호하게 포물선 형상을 가지고, 따라서 고정반사경은 포물변경이 된다. 더욱이, 제3도에 잘 나타나 있듯이 반사경부분(74)은 가동반사경(20)을 수용하기 위해 뒤로 더 들어간 중간부(76)를 가진다. 이 중간부(76)는 거의 순환포물면 형태로 되고, 그 전면은 알루미늄 증착에 의한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고정반사경(18)의 사각형 벽부분(72)이 거의 U자형의 플랜지(78)로 성형된 가장자리 에지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플랜지는 렌즈(26)와 롄즈 고정 프레임(28) 사이에 단단히 물려져 있다. 고로, 하우징(12)내의 적소에 장착된 고정반사경(18)은 제3도에서 램프조립체(10)의 주광축 X-X를 중심으로한 반사경부분(74)을 가진다.
고정반사경(18)의 반사경부분(74)이 상기한 바아같이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벽부분(72)을 향해 반사경부분(74)으로 합쳐지는 평탄한 상부(80)와 평탄한 하부(82)가 생성된다. 평탄한 상부(80)는 거의 그중심에 형성된 소구경의 구멍(84)을 가지며, 평탄한 하부(82)에는 상기 소구경의 구멍(84)과 축으로 일치하는 보다 직경이 큰 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반사경]
제1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가동반사경(20)은 회전포물면형상으로 되고 정면에서 보면 세로로 신장된 사각형 모양의 반사경부분(88)과 그 반사경부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플랜지(90) 및 (92)로 구성된다. 플랜지(90) 및 (92)와 함께 반사경부분(88)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만들어지고, 그 반사경부분의 전면은 알루미늄 증착으로 반사면이 형성된다.
가동반사경(20)의 상측 플랜지(90)는 그 중심에 놓여진 정방형 개구(94)를 가진다. 이 정방형 개구(94)외 모양과 비슷한 구동핀(96)이 개구로 수용되고 고정반사경(18)의 평탄한 상부(80)에 있는 구멍(84)을 관통해 위로 신장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구동핀(96)은 가동반사경(20)을 축으로 지지하고 또한 쌍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로다음에 설명되어질 쌍방향 구동메카니즘(22)에 결합된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구동핀(96)은 광원(16)과 종축상에 있다.
반면, 가동반사경의 하측플랜지(92)는 광원(16)의 전구지지대(6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같은 결합을 위해 가동반사경의 하측플랜지(92)는 고정반사경의 평탄한 하부(82)에 있는 구멍(86)과 축으로 정렬된 보다 큰 구멍(98)을 가진다. 구멍(98)은 고정반사경의 평탄한 하부(82)에 단단히 고정된 전구지지대(64)가회전가능히게 받아들여지고, 그 전구지지대(64)의 플랜지(68)가 구멍(98)을 향한 가동반사경의 하측플랜지(92)의 모서리와 접하여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가동반사경(20)은 고정반사경 및 가동반사경의 공통초점을 통과하는 종축주위로 회전하도록 광원(16)과 고정반사경(18) 사이에서 지지된다. 광원(16), 또는 그 전구 필라멘트(58)는 이고정 및 가동반사경(18) 및 (20)의 공통 초점에 놓여진다. 가동반사경(20)의 폭은 고정반사경(18)의 후미진 중간부(76)의 폭에 비해 약 절반으로 되어 램프조립체(10)에 있어 최적의 광분배가 이루어지게 한다.
[쌍방향 구동메카니즘]
이제 제1도와 제5도-제9도를 참조하여 쌍방향 구동메카니즘(22)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쌍방향 구동메카니즘은 제3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제1의 위치 또는 중립위치와 제6도에 그중 하나를 보인 2개의 제2의 위치 또는 각을 가진 위치사이에서 가동반사판(20)를 회전시키게 만든다. 여기서 가동반사경(20)이 2개의 각을 가진 위치중 어느 위치로 회전할 것인가는 램프조립체(10)가 차량의 어느 측면에 설치되느냐 하는 것에 달려있다.
가동반사경(20)이 제3도에서와 같이 중립위치에 놓여있을때, 그 광축 X'-X'(반사면 부분(88)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포물면의 축)은 고정반사경(18)의 광축 X-X와 일치한다. 그 결과, 고정반사경(18) 및 가동반사경(20)은 모두 광원(16)으로부터 램프조립체(10)의 전방으로 향하는 평행광선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이러한 램프조립체는 가동반사경(20)이 중립위치에 놓여져 있을때 안개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동반사경(20)이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2개의 예정된 각을 가진 위치중의 하나의 위치로 회전했을때 그 광축 X'-X'은 고정반사경(18)의 광축 X-X에 대해 각을 이루게된다. 이와같은 각을 가진 위치에서 가동반사경(20)은 광원(16)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선의 일부를 각을 가진 광축 X'-X' 방향으로 투사시키고 있는 한편, 고정반사경(18)은 광원으로부터의 나머지 광선이 그 광축 X-X 또는 램프조립체(10)의 진방을 향해 투사되고 있는 채로 남아 있다. 고로, 차량이 회전할때 가동반사경(20)은 중립위치에서 소망의 각을 가진 위치로 회전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조명각도를 확장시키게 된다.
쌍방향 구동메카니즘(22)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가동반사판(20)에 대한 2방향 회전을 전달하여 중립위치와 예정된 2개의 각을 가진 위치중의 하나의 위치사이에서 반사경(20)을 축운동하게 만드는 쌍방향구동연동장치(100).
2. 제8도에서와 같이 상기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에 의해 가동반사경(20)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 구동수단(102).
3. 제9도에서와 같이, 구동수단(102)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전기적 제어회로(104).
이후의 설명은 먼저 상기한 쌍방향 구동메카니즘(22)의 부품들에 대개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그다음 쌍방향 구동메카니줌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1. 쌍방향 구동연동장치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는 2개의 상이한 방향, 즉 그 하나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고 그 다른 하나가 제7도에 되시된 방향으로 가동반사경(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수단(120)을 가동반사경(20)에 연결시킨다. 먼저 제5도 및 제6도에 따른 연결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는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게 구동수단(102)의 회전축(108)에 견고하게 결합된 일단부를 가진 제1의 구동아암(106)을 포함한다.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은 그 횡단면이 도면에 나타나있는 것과같이 정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의 구동아암(110)은 고정반사경(18)의 평탄한 상부(80)로부터 위로 회진가능하게 연장되고 또한 연동회전을 위해 상기한 바와같이 가동반사경(20)에 연결되는 구동핀(96)에 그 일단이 단단히 결합된다. 구동링크(112)는 그 일단이 제1의 구동아암(106)의 자유단에 축으로 결합되고 또 그다른 일단이 제2의 구동아암(110)의 자유단에 축으로 결합된다.
제5도는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의 정상상태, 즉 가동반사경(20)이 중립위치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및 제2의 구동아암(106) 및 (108)이 모두 그 회전축으로부터 후방을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는 제6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은 각을 가진 위치로 가동반사경(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제7도에서, 제1의 구동아암(106)이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의 정상상태에서 회전측(108)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그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에 연결돤 것을 볼 수 있다. 고록, 회전축(10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는 가동반사경(20)이 2개의 상이한 각을 가진 위치의 다른 하나의 위치를 향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만든다. 무론, 제7도에서와 같이 제1의 구동아암(106)을 회전축(108)에 연결시키는 대신에 제2의 구동아암(106)을 제5도 및 제6도의 위치로부터 180도 이격된 각을 가진 위치로써 구동핀(96)에 연결시킬 수 있다. 고로, 쌍방향 구동 연동장치(100)는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의 회전에 반응하여 가동반사경(20)이 양쪽방향으로 각을 가지로 이동될 수 있게 잘 조정되어 있다.
2. 구동수단
제8도를 참조하면, 구동수단(102)은 램프 조립체하우징(12)내에 있는 고정반사경(18)의 평탄한 벽부분(72) 바로뒤에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114)을 가진다. 하우징(114)내에는 회전층(118)을 가진 역전가능한 구동모터(116)가 장치되어 있다. 이 모터의 회전축(118)에 설치된 피니언(120)은 하우징(114) 내면의 (128)의 곳에서 회전 가능하게 캔틸레버된 워엄(126)의 블랭크부분(124)에 설치된 크라운 휠일(122)과 맞물려 있다. 워엄(126)은 구동수단(102)의 회전축(108)에 설치된 워엄휘일(130)과 맞물려 있고, 이 회전층(108)은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와 연결되기 위해 구동수단의 하우징(14)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고록, 구동모터(116)의 쌍방향 회전이 피니언(120)과 크라운 휘일(122), 워엄(126) 및 워엄회일(130)을 통해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으로 전달된다.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은 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플랜지 또는 접촉이송자(134)에서 종단되는 하향연장부(132)를 갖는다. 접촉이송자(134)에는 양호하게 스프링 기능의 재료로 만들어지고 구동 수단의 회전축(108)에 대해 원주상으로 반대위치에 있는 제1 및 제2의 가동접촉자(138) 및 (140)가 형성된 접촉부재(136)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접촉부재(136)는 가동접촉자(138) 및 (140)가 구동수단의 하우징(114)내에 설치된 고정회로기판(142)에 대향해 눌려지도록 한 편의력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가동접촉자는 제8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로기판에 형성된 대응한 고정접촉자와 미끄러짐 이동으로 접촉관계 또는 비접촉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같은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동작은 이하 기술되어질 제어회로(104)의 설명 과정에서 더 상세히 나타날 것이다.
3. 제어회로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어회로(104)에는 차량의 운전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회전조작스위치(반사경스위치)(144)가 연결되고, 이 스위치(144)는 통상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어회로(104)는 회전조작스위치(144)가 폐쇄될때 가동반사경(20)을 그 중립위치로 부터 예정된 2개의 각을 가진 위치중의 하나의 위치로 회전시키고 또 이 스위치(144)가 다시 개방될때 가동반사경(20)을 중립위치로 다시 돌아가게 만드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어회로(104)는 구동수단(102)의 회전축(108)에 설치된 상기한 바와같은 접촉부재(136)를 포함한다. 이 접촉부재에 형성된 제1 및 제2의 가동접촉자(138) 및 (140)는 접촉부재(136)의 회전축 주위에 놓여지고 상기 회로기판(142)상에 배치된 활모양의 제1 및 제2의 고정접촉자(146) 및 (148)와 결합된다. 전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부재(136)는 가동반사경(20)의 중립위치에 대응하여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가동반사경(20)의 각을 가진 위치에 대응하여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를 기준하여 회전하게된다. 제1의 가동접촉자(138)는 가동반사경(20)이 중립위치로부터 각을 가진 위치를 향해 회전이동할 동안에 제1의 고정접촉자(146)와 미끄럼 접촉관계로 이동하고, 가동반사경이 각을 가진 위치에 도달할때 제1의 고정접촉자에서 벗어난다. 제2의 가동접촉자(140)는 가동반사경(20)이 각을 가진 위치에서부터 중립위치를 향해 되돌아오는 동안 제2의 고정접촉자(148)와 미끄럼 결합관계로 이동하고, 가동반사경이 중립위치로 도달하면 제2의 고정접촉자에서 벗어난다.
제1 및 제2 의 고정접촉자(146) 및 (148)는 각각 제1 및 제2 의 모터제어스위치(156) 및 (148)를 통해 구동모터(116)의 1쌍의 양극성단자(152) 및 (1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모터제어스위치(156) 및 (158)은 회천조작스위치(144)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여자 및 비여자되는 코일(160)을 가진 릴레이의 접점으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모터제어스위치(156) 및 (158)은 릴레이코일(160)의 작동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가동점정(162) 및 (164)을 가진다. 구동모터(116)의 단자(152)에 연결된 제1의 모터제어스위치(156)의 가동접점(162)은 제1의 고정접촉자(146)에 연결된 고정접점(166)이나 접지에 연결된 또다른 고정접점(168)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116)의 다른 단자(154)에 연결된 제2의 모터제어스위치(158)의 가동접점(164)은 접지된 고정접점(170) 또는 제2의 고정접촉자(148)에 연결된 또다른 고정점점(172)과 연결될 수 있다.
4. 쌍방향 구동메카니즘의 동작
제9도에서, 제어회로(104)는 정상상태, 즉 가동반사경(20)이 제3도의 중립위치에 놓여진 것과 쌍방향구동연동자치(100)가 제5도의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어회로(104)의 접촉부재(136)는 제1의 가동접촉자(138)를 통해 제1의 고정접촉자(146)와 접속관계에 있다. 모터제어스위치(156) 및 (158)의 가동접점(162) 및 (164)은 각각 고정접점(168) 및 (17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점조작스위치(144)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램프조립체(10)는 안개등으로써 작용한다.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이 회전하고자 할때 회전조작스위치(144)를 작동시키게 된다. 회전조작스위치(144)의 폐쇄는 릴레이코일(160)을 여자시키고, 따라서 모터제어스위치(156) 및 (158)의 가동접점(162) 및 (164)를 각각 고정접점(166) 및 (170)에 접속시키게 만든다. 여기서 구동모터(116)는 접촉부재(136), 제1의 고정접촉자(146), 제1의 모터제어스위치(156)의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166) 및 (162), 구동모터(116)의 단자(152) 및 (154), 제2의 모터제어스위치(158)의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164) 및 (170), 그리고 접지로 이어지는 회로를 통해 전원(150)이 공급되어 예정된 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8도를 참조하면, 구동모터(116)의 순방향회전은 피니온(120), 크라운휘일(122), 워엄(126), 그리고 워엄휘일(130)를 통해 구동수단(102)의 회전축(108)에 전달된다.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의 회전방향은 제5도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이 된다. 따라서,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가 제5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의 시계방향회전은 가동반사경(20)을 제6도의 각을 가진 위치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만든다. 이제 가동반사경(20)은 광원(16)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일부분을 상기 램프조립체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의 우측을 향해 투사키시게 된다.
한편,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가 제7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연결되어 있다고 하면,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의 시계방향회전은 가동반사경(20)이 위와 다른 각을 가진 위치로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되게 만든다고로 가동반사경(20)은 차량의 좌측을 향해 빛을 조명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1쌍의 램프조립체 각각은 그 하나의 램프조립체가 제5도 및 제6도와 같이 연결된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를 가지고, 또다른 하나의 램프조립체가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된 쌍방향 구동연동장치를 갖게 하여 차량의 전단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쪽 램프조립체의 가동반사경(20)은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반대방향의 상이한 각을 가진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2개의 램프조립체에 있어 상반되는 것을 가진 가동반사경(20)에 의한 결과적인 광분배는 제10도에서 횡축 H-H 및 종축 V-V에 대해 도면부호(174)로 표시한 것과 같으며, 이것은 가동반사경이 중립위치에 있을때의 램프조립체의 광분배(176)에 비해 양쪽으로 크게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상의 광분배(176)에 대해 양쪽편으로 확장되는 광분배(174)는 특히 차량의 산에서 꾸불꾸불한 길을 운향할때 유리하다.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이 상기한 바와같이 회전할때 접촉부재(136)도 그 하향연장부(132)에서 회전한디. 이 접촉부재의 제1의 가동접촉자(138)는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이 회전과는 동안 제1의 고정접촉자(146)와 결속되어 미끄럼 이동하고, 접촉부재가 제9도의 가상선 위치에 도탈하게 될때, 즉 가동반사경(20)이 2개의 각을 가진 위치중의 어느 하나에 도달하게 될때 제1의 자동접촉가(138)는 상기 제1의 고정접촉자(146)에서 벗어나게 된다. 고로, 전원(150)으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모터(116)는 회전을 중지한다. 또한 가동반사경(20)은 회전조작스위치(144)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각을 가진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제9도에 명백한 바와 같이, 접촉부재(136)에서의 제2의 가동접촉자(14{))는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난 즉시 제2의 고정접촉자(148)와 접속관계로 되고, 가동반사경(20)이 각을 가진 위치에 놓여지게 될때 제2의 고정접촉자와 결속관계를 유지한다.
차량운전자는 차량이 회전을 다한후에 회전조작스위치(144)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릴레이코일(160)이 자기력을 잃어 모터제어스위치(156) 및 (158)의 가동접점(162) 및 (164)가 제9도에 보인 것과 같이 고정접점(168) 및 (172)에 다시 접속된다.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에서 접촉부재(136)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의 고정접촉자(148)와 접속되기 때문에 구동모터(116)는 접촉부재(136), 제2의 고정접촉자(148), 제2의 모터제어스위치(158)의 고정접점(172) 및 가동점점(164), 구동모터(116)의 단자(154) 및 (152), 제1의 모터제어스위치(156)의 가동접점(162) 및 고정접점(168), 그리고 접지로 이어지는 회로를 통해 전원(150)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고로, 구동모터(116)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구동수단의 회전축(108)이 제5도에서 7도까지 나타낸 것과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만든다. 여기서 쌍방향 구동연동장치(100)는 이와같은 회전축(108)의 역방향 회전을 가동반사경(20)에 전달하여 이 가동반사경이 2개의 각을 가진 위치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제3도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가게 만든다.
또한 접촉부재(136)는 가동반사경(20)이 중립위치로 되돌아갈때 제2의 가동접촉자(140)가 제2의 고정접촉자(148)에서 벗어날 때까지 구동수단의 회전축(108)과 함꼐 회전한다.
이제 제1도, 제5도 및 제6도를 참고하여 중립위치 규제수단(24)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 중립위치 규제수단(24)은 제7도에도 나타나있고 제4도에 그 일부가 도시된 바있다. 중립위치 규제수단(24)은 가동반사경(20)을 중립위치로 유지시켜 우발적일 각을 가진 위치로의 변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중립우치 규제수단(24)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반사경의 상부(80)에서 위로 돌출된 구동핀(96)에 결합된 1쌍의 경사아암(178) 및 (180)을 포함한다. 경사아암(178) 및 (180)의 단부 사이에 인장스프링(182)이 설치되어 그 상호간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정반사경의 상부(80)에 단단히 고정된 돌부(184)가 경사아암(178) 및 (18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경사아암(178) 및 (180)에 대한 돌부(184)의 관련위치는 제5도 및 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동반사경(20)이 중립위치에 놓이게 될때 인장스프링(182)의 힘으로 각 경사아암이 돌부의 반대편으로 고정되게 하고 있다.
중립위치 규제수단(24)은 또한 구동핀(96)에 회전되지 않게 장치된 구동아암(110)의 측면돌출부(186)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동아암의 측면돌출부(186)는 1쌍의 경사아암(178) 및 (180) 사이에 걸려 있는 러그(188)로서 종단된다. 결합 러그(188)는 돌부(184)의 폭과 대략 동일하고, 구동아암(110)에 대해 가동반사경(20)이 중립위치에 있을때 경사아암(178) 및 (180)이 돌부와 접촉상래를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고로, 가동반사경(20)을 중립위치로부터 제6도에 나타낸 각을 가진 위치중의 하나의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아암(1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때, 그 결합 러그(188)는 제1의 경사아암(178)이 인장스프링(182)의 힘에 반하여 구동아암과 함꼐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만들고 제2의 경사아암(180)은 돌부(184)와 결속관계로 남아 있게 된다. 유사하게, 가동반사경(20)이 다른 하나의 각을 가진 위치로 회전되도록 구동아암(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때 제7도에서와 같이 결합러그(188)는 인장스프링(182)의 힘에 반하여 제2의 경사아암(180)을 구동아암과 함께 회전시키게 만들고 이때 제1의 경사아암(178)은 돌부(184)와 결합관계로 있게 된다.
가동반사경(20)이 후에 2개의 각을 가진 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 다시 돌아을때, 인장스프링(182)은 제5도 또는 7도에 보인 것과 같이 경사아암(178) 및 (180)을 다시 돌부(184)와 결합시키도록 수축된다. 구동모터(116)는 가동반사경(20)이 증립위치에 놓일때 정확하게 정지하지 않을 수 있고 더 가게 만들거나 미달되게 할 수 있다. 양쪽 경우에 있어서, 인장스프링(182)은 회전조작스위치가 개방될때 구동모터(116)가 브레이크 되지 않기 때문에 경사아암(178) 및 (180)을 끌어내어 돌부(184)와 결속관계가 되도록 정지한다.
따라서, 중립위치 규제수단(24)은 램프스위치(10)가 방향표시등의 작용을 할 필요가 없을때 가동반사경(20)이 정확한 중립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작용한다. 1쌍의 경사아암(178) 및 (180)과 함꼐 중립 위치 규제수단(24)은 구동아암(110) 또는 이와같은 부품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급박한 정지작용이 채택된 경우에서보다 적은 충격을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제2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램프하우징(12)의 전단부를 밀폐시키는 렌즈(26)는 통상 장방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렌즈(26)는 거의 또는 아무런 렌즈의 역할을 하고 있지 않는 투시창역역(190)을 가지고 있다. 렌즈(26)의 다른 부분은 약간 수평으로 확산되어 있다. 투시창영역(190)은 렌즈(26)에서 가동반사경(20)이 중립위치나 각을 가진 위치에 있는 것에 무관하게 단지 고정반사경(18)에 의해 반사된 광비임을 통과시키도록 위치된다. 제2도에서, 램프조립체(10)의 가동반사경(20)이 제6도에 나타낸 각을 가진 위치에 있음을 가정하였다. 고로, 가동반사경(20)에 의해 반사된 빛이 그 각을 가진 위치에 상관없이 투시창역역(190)을 벗어날 수 없다.
통상적인 확산렌즈(26)에 있어서 투시창영역(190)에 아무런 렌즈작용을 하지 않게 하는 것은 램프조립체(1O)의 전방조명에 있어서 "핫 존(hot zone)"을 생성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다른 잇점으로서, 가동반사경(20)에 의해 반사되는 빗이 투시창역역영(190)을 통과히지 않기 때문에 회전조작에 따른 조명이 전방 조명시에 비해 너무 강력하게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렌즈(26)는 이 렌즈의 다른부분(192)에 비해 측면 또는 수평 방향으로 빛을 크게 확산시킬 수 있는 또다른 제한영역(194)을 가지고 있다. 빛을 크게 확산시키는 제한영역(194)은 렌즈(26)에서 가동 반사경이 각을 가진 위치에 있을때 가동반사경(20)에 의해 반사된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제한영역(194)은 회전조작시 광의 분배를 수평으로 확장시키게 하고, 또한 전방조명시에 비해 코너링시의 조명을 적절히 감쇄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차량용의 안개등 및 코너링램프의 조합으로 채택된 특수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2중 목적의 램프조립체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단지 실예로든 것이고 본 발명으 제한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다양한 변경, 대치 및 개작이 본 발명의 정신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8)

  1. 2중 목적의 램프조립체에 있어서, (a) 하우징수단과, (b) 하우징수단내의 광원과, (c) 하우징수단내에 고정설치되고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램프조립체의 전방으로 반사시키도록 광원의 뒷편에 배치된 고정반사경과, (d) 광원과 고정반사경 사이에 배치되고 가동반사경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지정된 전방으로 반사키기기 위해 고정반사경과 함께 동작하는 제1의 위치와 가동반사경이 광원으로부터의 일부분을 램프조립체의 일측으로 반사시키게 하는 제2의 위치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고정반사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가동반사경과, 그리고 (e) 가동 반사경을 상기 제1 및 제2의 위치사이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반사경 및 가동반사경은 각각 회전포물면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반사경은 가동 반사경을 수용하기 위한 후미진 중간부분을 가지고, 상기 고정 및 가동반사경이 서로 공통초점을 갖는 위치에 놓여져서 광원이 상기 고정 및 가동 반사경의 공통초점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반사경은 그 상측단 및 하측단에서 1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가동반사경이 제1 및 제2위치사이에서 선회운동을 하도록 플랜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가동반사경의 일측플랜지가 광원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광원이 고정 및 가동반사경의 공통초점에 위치해 있고 가동반사경이 상기 공통초점을 지나는 축주위에 있는 제1 및 제2위치사이를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a) 역전가능한 전기적 구동모터와, (b) 구동모터의 쌍방향회전을 가동반사경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연동장치와, 그리고 (c) 회전조작스위치 작동시 제1위치에서와 제2위치로 가동반사경이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도까지 구동모터가 예정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회전조작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을때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가동반사경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정도로 구동모터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수동회전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지고 구동모터의 쌍방향회전에 따라서 가동반사경을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연동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의 제어회로는 (a) 구동조립체의 회전축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의 고정접촉자와, (b) 구동조립체의 회전축과 결속되어 회전하도록 구동조립체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또 서로 통전관계로 형성된 제1 및 제2의 가동접촉자를 가지며, 가동반사경이 제1의 위치에서 제2의 위치로 회전이동할 동안 제1의 가동접촉자가 제1의 고정접촉자와 미끄럽접촉관계로 움직이고 또 가동접촉자가 제2의 위치에 도달할때 제1의 고정접촉자에서 벗어나게되며, 가동접촉자가 제2의 위치에서 제1의 위치로 회전이동할 동안 제2의 가동접촉자가 제2의 고정접촉자와 미끄럽접속 관계로 이동하고 가동접촉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과, (d) 구동모터의 1쌍의 양극성 단자중의 하나의 단자가 제1의 고정접점 또는 접지로 선택적인 연결이 되도록 회전조작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제1의 모터제어스위치와, 그리고 (e) 구동모터의 1쌍의 양극성 단자중의 다른 하나의 단자가 제2의 고정접점과 접지로 선택적인 연결이 되도록 회전조작스위치에 의해 제1 모터제어스위치와 연대적으로 작동하는 제2의 모터제어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10. 차량의 전방 양측면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일체형 안대등 및 코너링램프의 램프조립체에 있어서, (a) 개방된 전단부를 가진 하우징과, (b) 하우징의 전단부를 밀폐시키는 렌즈와, (c) 하우징내에 고정된 광원과, (d)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렌즈를 통해 램프조립체의 지정된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고정반사경과, (e) 고정반사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하우징내에서 축으로 고정되며 통상 중립위치를 유지하여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램프조립체의 지정된 전방으로 고정반사경과 함께 작용하여 반사되게하고,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일부분을 램프조립체의 반대편 측면으로 투과시키도록 중립위치로부터 램프조립체의 양측면으로 각변위할 수 있는 가동반사경과, 그리고 (f) 차량의 어느 측면에 램프조립체가 설치될 것인가에 따라 중립위치로부터 램프조립체의 어느 한쪽을 향하여 각변위되어진 각이진 위치사이에서 가동반사경을 회전시키기 위한 쌍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 구동수단은 (a) 쌍방향 회전이 가능한 회전축을 가진 구동수단과, 그리고 (b) 구동조립체의 회전축의 쌍방향 회전에 감응하여 중립위치와 각을 가진 위치사이에서 가동반사경이 회전이동할 수 있게 구동수단의 회전축을 가동반사경에 연결시키고, 차량의 어느 측면에 램프조립체가 설치될것인가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구동조립체의 회전축을 가동반사경에 연결시키며, 그 가동반사경이 중립위치로부터 구동조립체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반응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만드는 쌍방향 구동연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쌍방향 구동수단의 쌍방향 구동연동장치는; (a) 구동조립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기 위한 제1의 아암과, (b) 가동반사경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제2의 아암과, 그리고 (c)는 그 일단이 제1의 아암에 축으로 결합되고 그 다른 일단이 제2의 아암에 축으로 결합된 링크를 포함하고, 구동조립체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반응한 상이한 방향으로 가동반사경이 각 변위를 하도록 하기위해 상기 제1 및 제2의 아암중에 어느하나가 가동반사경의 회전축 주위에 있는 2개의 상이한 각을 가진 위치중의 어느 하나에서 링크와 결합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중립위치로 가동반사경을 확고히 유지시키기 위한 중립위치 규제수단을 구비한 램프조립체에 있어서 중립위치 규제수단이; (a) 가동반사경과 같은 축주위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1쌍의 경사아암과, (b) 1쌍의 경사아암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과, (c) 가동반사경이 중립위치에 놓여질때 1쌍의 경사아암이 인장 스프링의 힘으로 그 양측면에서 고정되게한 돌부와, 그리고 (d) 가동 반사경의 축과같은 축 주위로 가동반사경과 함께 회전하고 경사아암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가동반사경이 경사아암중 하나와 결합부재와 함께 중립위치로부터 각이진 위치로 각변위할때, 다른 경사아암은 고정돌부와 결합되어 있고 인장스프링이 가동반사경을 중립위치로 경사지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14.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단부를 밀폐시키는 렌즈는 통상 발산렌즈로 되고, 아무런 렌즈의 작용을 하지 않는 투시창 영역을 포함하며, 이 투시창 영역은 가동반사경의 각을 가진 위치에 놓여진 것과 무관하게 고정반사경에 위해 반사된 빛이 통과되도록 위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15.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달부를 밀폐하는 렌즈는 통상 램프조립체의 측면방향에 있어서의 발산 렌즈로 구성되고, 렌즈의 다른 부분에서 보다 측면으로 발산되는 빛이 더 크게 확장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며, 이 영역은 가동반사경이 각을 가진 위치에 놓여져 있을때 가동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빛이 통과되도록 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16. 제10항에 있어서, 최소한 램프커버가 렌즈를 덮고있는 작동위치와 렌즈커버가 렌즈를 노출하고 있는 후퇴우치 사이에서 선회이동을 하도록 하우징에 설치한 램프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조립체.
  17. 차량 또는 이와같은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이중 목적의 램프조립체에 있어서, (a) 하우징수단과, (b) 하우징수단내에 고정설치된 광원과, (c) 램프조립체의 전방으로의 예정된 방향으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하우징 수단내에 고정설치된 고정반사경과, (d) 예정된 전방으로 빛을 반사시키도록 고정반사경과 협동하게 되는 정상위치와 그 램프조립체의 양쪽 어느 방향으로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이동위치 사이에서 각 변위가 되도록 하우징내에 설치된 가동반사경과, 그리고 (e) 가동반사경을 정상위치와 이동위치 사이에서 변위치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램프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단부를 밀폐시키는 렌즈는 통상 발산렌즈로 되고, 아무런 렌즈작용을 하지않는 투시창 영역을 포함하며, 이 투시창 영역은 가동반사경의 양쪽 어느 위치로 고정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빛을 통과시키도록 놓여있는 것을 하는 램프조립체.
KR1019860003184A 1985-11-13 1986-04-23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KR920007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54545 1985-11-13
JP60254544A JPS62115603A (ja) 1985-11-13 1985-11-13 自動車用灯具
JP60-254545 1985-11-13
JP60-254544 1985-11-13
JP?60-254543 1985-11-13
JP?60-254544 1985-11-13
JP60254543A JPS62115602A (ja) 1985-11-13 1985-11-13 自動車用灯具
JP60254545A JPS62115604A (ja) 1985-11-13 1985-11-13 自動車用灯具装置
JP60254542A JPS62115601A (ja) 1985-11-13 1985-11-13 自動車用灯具
JP60-254542 1985-11-13
JP60-254543 1985-11-13
JP?60-254542 1985-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857A KR870004857A (ko) 1987-06-02
KR920007194B1 true KR920007194B1 (ko) 1992-08-27

Family

ID=2747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184A KR920007194B1 (ko) 1985-11-13 1986-04-23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1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857A (ko) 198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3696A (en) Dual purpose lamp assembly for use, for example, as a combined fog and cornering lamp on a motor vehicle
US4595904A (en) Warning light system for emergency vehicles
KR930008155Y1 (ko) 자동차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목적 램프 어셈블리
US6848814B2 (en) Vehicle headlamp
EP0428360A2 (en) Single arc discharge headlamp with light switch for high/low beam operation
JP2719724B2 (ja) 自動車用前照灯
EP0989357B1 (en) Headlamp with beam distribution switch mechanism
EP0595267B1 (en) Headlight for motor vehicles
JPH0350044A (ja) 車両用後退灯
KR920007194B1 (ko)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US4943895A (en) Retractable headlamp assembly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JPH03171502A (ja) 車両用のプロジェクタ式照明装置
JPH01309838A (ja) 車輛用灯具
JPH01253102A (ja) 車輌用前照灯
JPH1166912A (ja) 自動車用前照灯
JPH0135368Y2 (ko)
JPH026165B2 (ko)
JPS62115602A (ja) 自動車用灯具
JPS62115601A (ja) 自動車用灯具
JPH028403B2 (ko)
JP2001014908A (ja) プロジェクタ型前照灯
JP2000251520A (ja) 自動車用ランプ
JPH0227445Y2 (ko)
JPS6089001A (ja) 自動車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