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095B1 - Lhrh 길항제로서 유용한 lhrh의 노나펩타이드 및 데카펩타이드 동족체 - Google Patents

Lhrh 길항제로서 유용한 lhrh의 노나펩타이드 및 데카펩타이드 동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095B1
KR930008095B1 KR1019880001047A KR880001047A KR930008095B1 KR 930008095 B1 KR930008095 B1 KR 930008095B1 KR 1019880001047 A KR1019880001047 A KR 1019880001047A KR 880001047 A KR880001047 A KR 880001047A KR 930008095 B1 KR930008095 B1 KR 93000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
pal
nal
pcl
a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060A (ko
Inventor
제이. 네스토 쥬니어 죤
에이취. 빅커리 브라이언
Original Assignee
신텍스(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허윙 본 모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텍스(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허윙 본 모르츠 filed Critical 신텍스(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1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23Luteinis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30/00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01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13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related pept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LHRH 길항제로서 유용한 LHRH의 노나펩타이드 및 데카펩타이드 동족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최소의 히스타민 분비효능을 갖는 신규한 LHRH의 노나 펩타이드 및 데카 펩타이드 동족체에 관한 것이다.
황체 형성 호르몬(LH) 및 난포 성숙 호르몬(FSH)은 시상하부에서 생성된 황체형성 호르몬-분비 호르몬(LHRH ; LH/FSH-RH ; GnRH)의 조절하에 뇌하수체 전엽으로부터 분비된다. LH 및 FSH는 생식선에 작용하여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을 자극하고 생식체에 성숙을 자극한다. LHRH의 주기적 분비 및 이에 의한 LH 및 FSH의 분비로 가축 및 인간의 생식주기가 조절된다.
LHRH는 태반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태반성선 자극 호르몬(CG)의 합성 및 분비를 야기시켜 간접적으로 생식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LHRH의 길항제는 수정의 조절에 유용하다. 이러한 길항제는 암컷의 배란을 차단하며 숫컷의 정자 형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효과와 관련하여 생식선에서 분비된 성 스테로이드의 정상적인 순환 수준이 억제되어 숫컷 및 암컷의 부기관 중량이 감소된다. 가축에서, 상기 효과로 성주기 및 성행위를 억제하며(비육장 상태에서 체중 증가를 촉진시킴), 임신동물의 낙태를 유도하고, 일반적으로 화학적 피임제로서 작용한다.
천연 분비 호르몬 LHRH는 천연 발생 아미노산(비카랄 아미노산 글라이신을 제외하고는 모두 L-배위이다)으로 구성된 데카펩타이드이다. 이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상기한 천연물질의 동족체는 흔히 약어로 기술하는데, 천연 아미노산의 치환상태를 나타내고 치환된 아미노산의 위치를 아미노산 위에 표시한 다음 그 뒤에 "LHRH"를 기록한다. LHRH의 많은 동족체가 연구되었으며 대부분이 임상적으로 유용할 만큼의 충분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그러나 특정 변형체가 효능제의 생물학적 활성에 대한 잠재적 효과를 발생한다. 효능제 활성의 상당한 증가가 Gly에서 D-아미노산으로 6-위치 잔기를 변형시킴으로써 얻어졌다.
효능체 이외에도, LHRH의 경쟁적 길항제인 동족체가 제조되어 왔으며, 이들 모두는 위치 2의 히스티딜잔기의 제거 또는 치환을 필요로 한다[참조 : Vale, W., et al., Science, 176 : 933(1972)]. 일반적으로, LHRH의 위치 2에 존재하는 D-아미노산이 가장 유효한 활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 Rees, R.W.A., et., al., J. Med. Chem. 17 : 1016(1974)].
또한, 위치 6에 변형을 주면(이것은 위치 2에 변형없이, 상기 인용된 효능제의 활성이 발생한다) 위치 2-변형된 동족체의 길항 활성이 증가한다[참조 ; Beattie, C.W., et al., J. Med. Chem., 18 : 1247(1975) ; Rivier, J., et al., Peptides 1976 p.427, Editions de 1'Universite de Bruxelles, Belgium(1976)]
더욱 효능적인 LHRH 길항제가 생성된 상기 두가지 주요 변형 방법에 맞서서, 위치 2,6-변형된 펩타이드에서 위치 1,3,5 및/또는 10을 변형시킴으로써 길항제 활성이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참조 : Coy, D.H., et al Peptides 1976, p.462, Editions de 1'Universite de Bruxelles, Belgium(1976) ; Rivier, J.E., et al, Life sci. 23 : 869(1978) ; Dutta, A.S.,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81 : 382(1978), Humphries, J.,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85 : 709(1978)].
또한, 위치 1의 아미노산 N-아실화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 Channabasavaia, K.,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81 : 382(1978) ; Coy, D. H., et al, Peptides. -Structure and Biological Function p.775, Pierce Chemical Co.(1979)].
추가로, D-Arg6치환체를 함유한 고도의 효능적 길항제, (N-Ac-D-pCl-Phe1, D-pCl-Phe2, D-Trp3, D-Arg6, D-Ara10) LHRH가 문헌[참조 : [D.H.Coy, Endocrinolo
gy, 110, 1445(1982)]에 기술되어 있다.
불행히도, D-Arg6치환체를 함유한 LHRH 동족체의 종류가 효능적인 배란억제 물질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들은 또한 효능적인 비만세포 과립 감소화 물질로서[참조 : Schmidt et al., Contraception, 29, 283(1984)] 생체내 부종을 일으킨다. 따라서, 예를들면, (N-Ac-D-Na(2)1, D-pCl-Phe2, D-Trp3, D-Arg6) LHRH는 시험관내에서 랫트의 비만 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분비에 대한 ED50가 0.2μg/ml이다. 이러한 부반응은 뒤따르는 유아나필락시성 반응의 잠재성적 악성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소수성과 관련하여, 양전하, 특히 다중 양전하를 함유한 분자는 효능적인 비만세포 과립감소체인 것으로 당해에 널리 알려져 있다[참조 : Foreman and Jordan, Agents and Actions, 13, 105(1983)]. 두 개의 Arg 잔기를 함유한 동족체(즉, 위치 6 및 8)에서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최초의 시도는 잔기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키는 것이었다(예를들면, (N-Ac-D-Nal(2)1, D-pCl-Phe2, D-Trp3, Arg5, D-Tyr6, D-Ala10) LHRH, (히스타민 분비에 대한 ED50=2μg/ml, R.W.Roeske, et al., "Substitution of Arg5for Tyr5in GNRH 길항제", in Peptides : Structure and Function, C.M.Deber, V.J.Hruby, K.D.Kopple(Eds.), Pierce Chemical Co., Rockford IL, 1985, p561)]. 상기의 시도에 의해 동족체의 비만세포 과랍감소 및 히스타민 분비에 대한효능이 감소되었지만, 동족체는 여전히 LHRH에 비해 수배 더 큰 유아나필락시성 효능을 가지며 히스타민 분비에 대한 ED50는 328μg/ml이다.
또한, LHRH 길항제의 몇몇 위치에 Lys(iPr)이 혼입되었다. Lys(iPr)을 위치 6 및 8에 치환시키고 위치 2에는 D-pCl-Phe 잔기로 치환시킨 경우, 고도의 배란 억제 효능을 보유하며 히스타민 분비가 감소된다(예, (N-Ac-D-Nal(2)1, pCl-Phe2, D-Trp3, D-Lys(iPr)6, Lys(iPr)8, D-Ala10) LHRH ; 히스타민 분비에 대한 ED50=6.6μg/ml). 한가지 동족체에서, h Arg(Et2)가 위치 8에 도입되어 유사한 정도의 히스타민 분비 효능을 나타냈다(즉, (N-Ac-D-Nal(2)1, D-α Me-pCl-Phe2, D-Pal(3)3, D-Arg6, h Arg(Et2)8, D-AlA10) LHRH ; 히스타민 분비에 대한 ED50=4.9μg/ml). 그러나, 이들 동족체는 LHRH에 비하여 여전히 매우 효능적인 히스타민 부비제임을 알 수 있다[참조 : R.W.Roeske, et al., "LHRH Antagonists with Low Histamine Releasing Activity", in LHRH and its Analogs : Contraceotive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Part 2, B.H.Vickery and J.J.Nestor Jr., (Eds.), MTP Press, Boston, 1987, pp 17-24].
위치 8 및 9의 Arg-Pro 서열은 비만 세포의 과립 감소를 일으키는 뉴로펩타이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기 때문에 위치 8 및 9는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하기 위한 주요 치환 부위로서 밝혀져 왔다. 그러므로, 위치 8의 치환이 치환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부위라고 하는 과학적 근간을 이루지만, 현재 알려져 있는 동족체 부류는 여전히 독성 및 기타 부작용에 대한 상당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입체적으로 장해받는 구아니디노-치환된 아르기닐 잔기에 의한 위치 8의 치환과 동시에 위치 6의 아르기닐 치환되지 않음을 가장 주요 특징으로 하는, 최소의 히스타민 분비 효능을 갖는 신규한 고도의 효능 있는 LHRH의 노나 펩타이드 및 데카 펩타이드 동족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화합물의 여러 가지 사용방법 및 그들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상술한 신규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A는 N-Ac-D, L-Δ3.4-프롤릴, N-Ac-D, L-프롤릴, N-Ac-D, L 페닐알라닐, N-Ac-D, L-p-클로로페닐알라닐, N-Ac-D, L-p-플루오로페닐알라닐, N-Ac-3-(1-나프틸)-D, L-알라닐, N-Ac-3-(2-나프틸)-D, L-알라닐, 및 N-Ac-3-(2, 4, 6-트리메틸페닐)-D, L-알라닐의 D- 또는 L-이성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 아실 잔기이고 ; B는 D-페닐알라닐, D-p-클로로페닐알라닐, D-p-플루오로페닐알라닐, D-p-니트로페닐알라닐, 2, 2-디페닐글라이실, D-α-메틸-p-클로로페닐알라닐 및 3-(2-나프틸)-D-알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아실 잔기이며 ; C는 D-트립토파닐, D-페닐알라닐, 3-(3-피리딜)-D-알라닐, 및 3-(2-나프틸)-D-알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아실 잔기이고 ; D는 L-페닐알라닐, L-티로실 및 3-(3-피리딜)-알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아실 잔기, 아르기닐, 또는 G이며 ; E는 3-(2-나프틸)-D-알라닐, 3-(3-피리딜)-D-알라닐, D-티로실, D-트립토파닐, Nε-니코티닐-D-라이실, Nε-(3-피리딜)아세틸-D-라이실, D-Glu(AA) 또는 G이고 ; F는 L-루이실, L-노르루이실, L-페닐알라닐, L-트립토파닐, 및 3-(2-나프틸)-L-알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아실잔기이며 ; G는 일반식(a) 및 (b)의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아실 잔기이고 :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여기에서, n는 1 내지 5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이며, R2는 수소 또는 R1이거나 ; R1-NH-C=NR2는 일반식
Figure kpo00005
(여기에서, m은 1 내지 4이고, A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이며, X는 할로 또는 A이다)으로 표시되는 환이며, R3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페닐 또는 페닐저급 알킬이다] ;
J는 D-알라닌아미드, D-루이신아미드, 글라이신아미드, 또는 -NHR4(여기서, R4는 저급 알킬 또는 NHCONH2이다)이다.
LHRH의 위치 2에 존재하는 L-히스티딜 잔기의 치환으로 본 펩타이드는 LHRH 길항제로 전환된다. LHRH의 위치 6에 존재하는 글라이실 잔기가 E로서 정의된 잔기중의 하나로 치환되면 길항효과가 상당히 증강된다. 본 발명에서 밝혀진 위치 1, 2, 3, 5, 7 및 10에서의 치환에 의해 길항제 활성이 추가로 증강된다. 위치 8에서의 치환체 G는 위치 6의 치환체가 Arg 이외의 다른 것일 경우인 동족체에 상당한 히스타민 분비효능 감소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안전한 약제로서의 이들의 용도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기술하는데 편의상, 여러 가지 공통된 아미노산에 대하여, 위원회[참조 : IUPACIUB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Biochemistry, 11, 1726(1972)]에서 추천하는 바와 같이 펩타이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통상의 약어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펩타이드 서열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통례에 따라 기술하였기 때문에 N-말단 아미노산이 좌측에, C-말단 아미노산이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약어는 L-아미노산을 나타내지만, 비키랄 아미노산 글라이신 및 추가로 비키랄 비천연 또는 천연 아미노산은 제외하며, 또 한편으로 약어는 D- 또는 D, L-로서도 표시된다.
J가 NH-C(O)-NH2일 경우, C-말단은 아자-글라이신아미드 잔기임을 주목해야 한다.
약어 D-Glu(AA)는 파라-메톡시-페닐케톤을 형성(글루탐산 측쇄의 카복실 말단에서)하는 D-Glu 잔기, 즉 Glu(pMeO-Ph)의 아니솔 69duct를 나타낸다.
기타의 특정 약어가 본 발명을 기술하는데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 LHRH 펩타이드중의 아미노산을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아미노산으로 대치 사용한다. 이들 가운데 특히 흔하게 사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6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염"은 모체 화합물의 목적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며 어떠한 불필요한 독성학적 효과도 제공하지 않는 염을 의미한다. 그러한 염의 예로는 (a)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질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된 산부가염, 및 아세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시트르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탄닌산, 파모산, 알긴산, 폴리글루탐산, 나프탈렌설폰산, 나프탈렌디설폰산, 폴리갈락투론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된 염 ; (b) 아연, 칼슘, 비스무트, 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구리, 코발트, 니켈, 카드뮴 등과 같은 다가 금속 양이온, 또는 N, 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도는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형성된 유기 양이온으로 형성된 염기 부가염 ; 또는 (c) 탄닌산아연염 등과 같은 (a)와 (b)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용어 "저급 알킬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예를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 및 3급-부틸을 의미한다.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은 저급 알킬과 동일한 치환체 뿐만 아니라 n-펜틸, n-헥실, 또는 5 또는 6개의 탄소로 구성된 측쇄 라디칼과 같은 탄소수 5 또는 6의 라디칼도 포함한다.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은 12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는 라디칼을 제외한 상기 인용된 라디칼을 포함하여,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포함한다.
플루오로알킬은 1 내지 5개의 불소원자로 치환된 저급 알킬, 예를들면, CF3CH2
-, CF3-, CF3CF2CH2-등을 의미한다.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의미한다.
약어 "N-Ac"는 특정적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명명법에 따라서 N-아세틸 보호 그룹, 즉, 아민 질소상으로 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부착된 아세틸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의 화합물은 A가 N-Ac-D-Nal
(2) 또는 N-Ac-D-pCl-Phe이고, B가 D-pF-Phe 또는 D-pCl-Phe이며, C가 D-Trp, D-Nal(2) 또는 Pal(3)이고, D가 Pal(3), Tyr, Arg, Deh, Mbh, Bth 또는 Pha이며, E가 D-Trp, D-Tyr, D-Nal(2), D-Pal(3), D-Deh, D-Mbh, D-Pha 또는 D-Bth이고, F가 Leu 또는 Phe이며, G가 Deh, Bth, Mbh, 또는 Pha이고, J가 D-AlaNH2또는 GlyNH2인 화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치환형태의 화합물은 A가 N-Ac-D-NAL(2)이고, B가 D-pCl-Phe이며, C가 D-Trp 또는 D-Pal(3)이고, D가 Tyr, Arg, Deh, Mbh, Bth 또는 Pha이며, E가 D-Trp, D-Pal(3), D-Nal(2), D-Tyr, D-Deh, D-Mbh, D-Bhn 또는 D-Pha이고, F가 Leu이며, G가 Deh, Mph, Bhn 또는 Pha이고, J가 D-AlaNH2인 화합물이다.
상기한 더욱 바람직한 종류내에 바람직한 세아종류가 있다.
1. D가 Tyr이고, E가 (a)소수성 잔기 D-Trp, D-Pal(3), D-Nal(2) 또는 D-Tyr, 가장 바람직하게는 D-Trp 또는 D-Pal(3)나, (b) 잔기 D-Deh, D-Mbh, D-Bth 또는 D-Pha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경우 ;
2. D가 Arg이고, E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1(a)에 수록된 소수성 잔기중의 하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D-Tyr인 경우 ;
3. D가 Deh, Mbh, Bth 또는 Pha중의 어느 하나이고, E가 바람직하게는 D-Nal(2) 및 D-Trp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D-Tyr 또는 D-Pal(3)인 경우.
각각의 바람직한 아종류에서, G는 Deh, Mbh, Bth 또는 Pha이다. Bth 및 Deh가 특히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Deh이다.
그러므로, 더욱 바람직한 치환형태의 화합물을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
N-Ac-D-Nal(2)-D-pCl-Phe-C-Ser-Tyr-C-Leu-G-Pro-D-AlaNH2(여기서, C는 D-Trp 또는 D-Pal(3)이고, G는 Deh, Mbh, Bth 또는 Pha이다) :
N-Ac-D-Nal(2)-D-pCl-Phe-C-Ser-Tyr-E-Leu-G-Pro-D-AlaNH2(여기서, C는 D-Trp 또는 D-Pal(3)이고, E는 D-Deh, D-Bth, D-Mbh 또는 D-Pha이며, G는 상기 정의된 E의 L-형태이다) :
N-Ac-D-Nal(2)-D-pCl-Phe-C-Ser-Arg-E-Leu-G-Pro-D-AlaNH2(여기서, C는 D-Trp 또는 D-Pal(3)이고, E는 D-Trp, D-Pal(3), D-Nal(2), 또는 D-Tyr, 이며, G는 Deh, Mbh, Bth 또는 Pha이다) :
N-Ac-D-Nal(2)-D-pCl-Phe-C-Ser-D-E-Leu-G-Pro-D-AlaNH2(여기서, C는 D-Trp 또는 D-Pal(3)이고, D 및 G는 독립적으로 Deh, Bth, Mbh 또는 Pha이며, E는 D-Tyr, D-Nal(2), D-Trp 또는 D-Pal(3)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태양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N-Ac-D-Nal(2)-D-pCl-Phe-D-Trp-Ser-Tyr-E-Leu-G-Pro-D-AlaNH2(여기서, E는 D-Trp, D-Tyr, 또는 D-Nal(2)이고, G는 Deh, Eth, Mbh 또는 Pha이다) :
N-Ac-D-Nal(2)-D-pCl-Phe-C-Ser-D-E-Leu-G-Pro-D-AlaNH2(여기서, D 및 G는 독립적으로 Deh, Bth, Mbh 또는 Pha이고, C 및 E는 둘다 독립적으로 D-Trp 또는 D-Pal(3)이다) :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G-Pro-D-AlaNH2(여기서, G는 Deh, Bth, Mbh 또는 Pha이다).
바람직한 태양의 예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종류내에 반드시 속하지 않을 수 있는 펩타이드도 포함하며 그 예로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1
A, B, C, E 및 J아미노산 잔기는 D-이성체의 형태로 존재하고, D, F 및 G잔기는 L-이성체의 형태로 존재함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상기의 입체 화학은 다르게 특정화되지 않는 한 일반적인 표현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의 모든 태양에서의 화합물은 또한 상응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검정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특히 이의 염은 상당히 효능적이며 장기간 지속하는 LHRH 길항 활성을 나타낸다.
LHRH 길항 효능에 대한 일차 측정은 문헌[참조 : Corbin.A.and Beattie, C.W., Endocrine Res. Commun., 2 : 1(1975)]의 검정법에 따른 랫트의 배란억제 능력이다.
시험관 내에서 랫트의 복강 비만 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분비를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은 문헌[참조 : Sydbom and Terenius, Agents and Actions, 16, 269(1985), 또는 Siraganian, et al., Manual of Clinical Immunology, 2d Ed, N.E.Rose and M. Friedman, Eds., Amer. Soc.Microbial., Washington, D.C., 1980, p808]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LHRH 길항제 및 본 발명의 화합물에 사용될 수 있는 기타의 생검정은 다음과 같다 :
(a) 랫트의 생체내에서 LHRH-유발된 FSH 및 LH의 분비억제[참고문헌 ; Vilchez-Martinez, J.A., et al., Endocrinology, 96 : 1130(1975)] ; 및 (b) 방사능 면역검정법으로 측정하는, 분산된 뇌하수체 전엽세포 배양물에 의한 LH 및 FSH 분비의 억제[총고문헌 ; Vale, W., et al, Endocrinology 91 : 562(1972)] ; (c) 거세된 랫트 및 개에서 고나도트로핀 수준의 억제[참고문헌 ; Petrie et al., Male Contraception, Harper and Row, Philadelphia(1985), p.361]
[길항제 효과 및 용도]
하기의 용도는 본 발명 화합물의 길항효과에 기인한다 :
자성의 피임 ; 배란 억제 또는 지연 ; 가축 및 애완동물의 임신 종결 ; 분만 유도 ; 배란의 동시 발생 ; 발정 억제 ; 자성동물의 성장촉진 ; 황체분해, 월경유도 ; 월경전 증후군의 치료 ; 조발 청춘기의 치료 ; 자궁의 평활근종의 치료 ; 초기 3개월 시기의 낙태 유도 ; 자궁 내막 증식증의 치료 ; 포유동물의 종양 및 낭의 치료 ; 다낭 난소 증후군/ 질병의 치료 ; 자궁암의 치료 ; 양성 전립성 비대증 및 전립선암의 치료 ; 웅성 피임 ; 자성 또는 웅성에서의 생기 호르몬 과다생성으로 인한 질병의 치료 ; 육식용 숫컷 동물의 기능적 거세 ; 개에서 발정전기시 혈액 유출의 억제 ; 진단상 용도, 예를들면 골공증의 소질 ; 난소의 과대자극 예방 ;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의 경우에 수정의 보존 ; 및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문헌[참조 : Vickery, B.H., Endocrine Reviews, 7 : 115(1986)]에 설명된 기타의 용도.
본 발명의 LHRH 길항제의 특히 흥미로운 용도는 난소 과대자극의 예방에 있다. 흔히, 정상적인 월경주기의 붕괴를 유도하는 상태, 예를들면, 다낭 난소질병, 화학요법으로 인한 폐경 증후군, 또는 과소월경을 격고 있는 암컷의 경우에, 외인성 고나도트로핀을 투여하여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의 수정/난 전달로 수정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나도트로핀 요법은 흔히 외인성 및 내인성 고나도트로핀의 복합효과 때문에 난소의 과대자극 및/또는 다산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LHRH 길항제는 정상수준의 난소자극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 내인성 고나도트로핀을 억제시키는데 유용하다.
상술한 화합물의 특정용도와 관련된 본 발명의 태양은 가장 특히 하기의 용도와 관련이 있다 : 포유동물의 암컷 경우, 배란의 억제, 월경전 증후군의 치료, 외인성 고나도트로핀에 의한 난소 과대자극의 치료, 및 자궁내막 증식증의 치료 ; 포유동물의 숫컷 경우에 정자형성의 억제 및 전립선 과대증의 치료 ; 동성 진성(특발성) 조발 청춘기(즉, 숫컷 또는 암컷에서 시상하부 기원의 조발 청춘기)의 억제; 발정 억제(즉, 동물의 교미방해) ; 및 동물의 임신 종결.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본 발명 화합물의 유효량 또는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상기의 치료를 필요로 하거나, 희망하는 대상자에게 투여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특정한 목적 용도에 따라 여러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경구, 비경구(예, 피하, 근육내 및 정맥내 투여), 질내(특히 피임의 목적시), 직장, 구강(예, 설하투여), 경피 또는 비내 투여할 수 있다. 상기의 투여방법 중 가장 적합한 경로는 용도, 특정한 활성성분, 해당 대상자, 및 의학 실험자의 판단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또한, 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된 조절방출형, 데포이식형, 또는 주사용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술된 용도를 위해 일반적으로, 활성성분은 약 0.001 내지 5mg/체중 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편리하다. 인체 치료시, 활성성분은 약 0.01 내지 약 1mg/kg/일의 범위의 양으로 투여하고, 동물 치료시, 활성성분은 약 0.1 내지 1mg/kg/일의 양으로 투여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투여는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일회 투여, 수회의 분할투여 또는 서방투여로 수행할 수 있다. 동물의 교미 방해 또는 임신예방을 위해서, 일회 용량 투여시 약 1 내지 10mg/kg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 화합물 및 조성물의 정확한 용량 및 투여 방법은 반드시 치료받는 환자 개개의 욕구, 치료방법, 통증 또는 욕구의 정도, 물론, 의학 실험자의 판단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비경구 투여는 흡수성에 의해 결정되는 기타의 투여방법보다 더욱 적은 용량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활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담체와 혼합하여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액체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의 비경구(피하, 근육내 또는 정맥내)투여용, 특히 크림제 및 좌제와 같은 반고체 형태의 질내 또는 직장투여용, 특히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의 경구 또는 구강투여용, 또는 특히 산제, 비내드럽제 또는 에어로졸 형태의 비내투여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단위 용량형으로 투여함이 편리할 수 있으며 약학 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 예를 들면, 문헌[참조 :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70]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통상의 부형제로서 멸균수 또는 염수, 알킬렌 글라이콜(예, 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알킬렌 글라이콜(예,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식물성 오일, 수소화 나프탈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질내 또는 직장 투여용 제형(예, 좌제)은 부형제로서, 예를들면, 폴리알킬렌글라이콜, 바셀린, 코코아 버터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비내투여용 제형은 고체일 수 있으며 부형제로서, 예를들면, 락토즈 또는 덱스트란을 함유하거나, 비내 드럽제 또는 계량된 분무제 형태의 수성 또는 오일성 용액일 수 있다. 구강 투여용으로 전형적인 부형제는 당,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젤라틴화된 전분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노나- 및 데카펩타이드는 비내 투여가 특히 바람직하다. 비내 점막 내로의흡수는 글라이코콜산 콜산, 타우로콜산, 콜란산, 에토콜산, 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데하이드로콜산 및 글라이코데옥시콜산 과 같은 계면활성산에 의해 증진될 수 있다.
한종류 또는 그이상의 계면활성산 또는 염, 바람직하게는 단 한종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염을 액제 또는 산제 중의 LHRH 길항제에 가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계면활성염은 펩타이드의 흡수 촉진 현상 뿐만 아니라 본 화합물의 계면활성 특성을 유지해주며 대상자에 해를 미치지 않거나 금기상태를 나타내지 않는 염일 것이다. 이러한 염의 예로는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제일철, 아연, 구리, 제일가망간, 알루미늄, 제이철, 제이망간염 등과 같은 무기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염은 암모늄, 칼륨, 나트륨, 칼슘 및 마그네슘염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무-독성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일급, 이급 및 삼급 아민, 자연계에 존재하는 치환된 아민을 포함한 치환된 아민, 사이클릭 아민 및 염기성 이온 교환수지, 예를들면,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트로메타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카페인, 프로카인, 하이드라바민, 콜린, 베타인, 에틸렌디아민, 글루코사민, 메틸글루카민, 테오브로민, 퓨린, 피페라진, 피레리딘, N-에틸피페리딘, 폴리아민수지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유기 무-독성 염기는 이소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콜린 및 카페인이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글라이코콜산의 알카리금속염,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글라이코콜레이트이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펩타이드 흡수를 특정정도로 강화시킬 수 있는 다른 계면활성제의 양보다 많은 LHRH 펩타이드의 흡수를 높여주는 정도의 양이다. 상기와 같은 양의 범위는 0.2 내지 15중량%, 더욱 흔히 0.2 내지 5중량%/용액의 용량으로 밝혀졌다. 계면활성제는 약 0.5 내지 4중량%/용량, 편리하게는 약 1중량%/용량,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용량의 양으로 존재함이 바람직하다.
방부제, 조직의 강직성을 유발하는 염, 또는 공지된 비내 제형화학에 기술된 기타의 첨가제와 같은 기타의 물질을 상기 제형에 가할 수 있다. 그러한 물질중 특히 유리한 것은 계면활성제, 적합하게는 폴리솔베이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적합하게는 0.1 내지 5, 더욱 적합하게는 0.25 내지 2중량%/용량의 농도로 사용한다.
흔히 증진된 용해성 및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펩타이드에 대한 담즙산의 몰비는 ≥20 : 1, 예를들면 ≥25 : 1이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대상자에게 장시간에 걸쳐서, 예를들면 일회 투여시 1주 내지 1년 동안에 걸쳐 주입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러 종류의 서방형, 데포이식형 또는 주사용 용량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용량형은 체액중에서 용해정도가 낮은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염, 예를들면, (a) 인산, 황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탄닌산, 파모산, 알긴산, 폴리글루탐산, 나프탈렌 모노-또는 디-설폰산, 폴리갈락투론산 등과 같은 다염기성 산과의 산부가염, (b) 아연, 칼슘, 비스무트, 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구리, 코발트, 니켈, 카드뮴 등과 같은 다가 금속 양이온, 또는 예를들면 N-N'-디벤질 에틸렌디아민 또는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형성된 유기 양이온과의 염, (c) 아연 탄네이트염과 같은 (a)와 (b)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된 염과 같은 비교적 불용성 염은 주사용으로 적합한 겔, 예를들면 호마유와의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겔로 제형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염은 아연염, 아연탄네이트염, 파모에이트염 등이다. 주사용 또는 이식형의 또다른 서방 데포 제형은 폴리락트산/폴리글라이콜산 중합체와 같은 서분해성, 무독성, 비항원성 중합체 중에 분산되거나 캡슐화된 화합물 또는 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화합물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술된 바와같은 비교적 불용성 염은 또한, 특히 동물에 사용할 경우, 콜레스테롤 매트릭스 펠렛 또는 실라스토머 매트릭스 임플랜트, 또는 하이드로겔 또는 다공 캡슐로 제형할 수 있다. 추가의 서방형, 데포이식형 또는 주사용 제형(예, 리포좀)이 문헌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참조 : 예, Sustained and Controll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s, J.R. Robinson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78]. 특히 LHRH 종류 화합물에 관한 참고내용을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4,010,125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추가의 참고문헌[참조 : Pitt, C.G., "The Controlled delivery of polypeptides including LHRH analogs", in LHRH and its Analogs ; Contraceptive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Part 2, B.H. Vickery and J.J Nestor, Jr. (Eds.)MTP Press, Boston, 1987, p.557].
[펩타이드의 합성]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기술의 전문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이와같은 이용가능한 많은 기술의 훌륭한 요약은 문헌[J.M. Stewart and J.D. Young,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W.H. Freeman Co., San Francisco, 1969, and J. Meienhofer, Hormonal Proteins and Peptides, Vol. 2, p.46., Academic Press(New York), 1973 for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and E. Schroder and K. Lubke, The Peptides, Vol.1, Acadmic Press(New York), 1965 for classical solution synthesis.]에서 발견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들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적절하게 보호된 아미노산을 생성 펩타이드 사슬에 부가시키는 방법이 포함된다. 정상적으로는, 첫 번째 아미노산의 아미노 또는 카복실그룹은 적절한 보호그룹에 의해 보호된다. 이 보호된 또는 유도체화된 아미노산은 불활성 고형지지체에 부착되거나, 아미드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하에서, 적절히 보호된 상보적인(아미노 또는 카복실)그룹을 지닌 서열중에 다음 아미노산을 부가시킴에 의해 용액중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보호그룹은 새로인 부가된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제거된 후, 다음 아미노산(적절히 보호된)이 다시 부가되며, 이렇게 계속된다. 모든 바람직한 아미노산들이 적절한 서열로 연결된후, 잔류의 보호그룹( 및 고형지지체)은 순차적으로 또는 이와 동시에 제거되어 최종의 폴리펩타이드가 형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의 간단한 변형을 이용해, 일회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생성 사슬에 부가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보호된 트리펩타이드와 적절히 보호된 디펩타이드를 커플링(키랄중심을 라세미화하지 않는 조건하에서)시키고, 탈보호시켜, 펜타펩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합성의 바람직한 태양]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특히 바람직한 방법에는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이 포함된다.
특히, 이러한 바람직한 방법에서는, 아미노산의 α-아미노 작용은 산 도는 염기에 민감한 그룹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보호그룹은 펩타이드 결합 형성 조건에 안정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반면 생성 펩타이드 사슬의 파괴없이 또는 이중에 포함된 키랄중심들중 어느 것도 라세미화되지 않고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적절한 보호그룹으로는 t-부틸옥시카보닐(Boc), 벤질옥시카보닐(Cbz), 비페닐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 t-아밀옥시카보닐, 이소보르닐옥시카보닐, α, α-디메틸-3, 5-디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 o-니트로페닐설페닐, 2-시아노-t-부틸옥시카보닐,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 및 이와 동등한 것들, 특히, t-부틸옥시카보닐(Boc)이 있다.
특히 아르기닌을 위한 바람직한 측쇄의 보호그룹은 : 니트로, p-톨루엔설포닐, 4-메톡시벤젤설포닐, Cbz, Boc 및 아다만틸옥시카보닐 ; 티로신을 위한 바람직한 측쇄의 보호그룹 : 벤질, o-브로모벤질옥시카보닐, 2, 6-디콜로로벤질, 이소프로필,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펜틸 및 아세틸 ; 세린을 위한 바람직한 측쇄의 보호그룹 : 벤질 및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 히스티딘을 위한 바람직한 측쇄의 보호그룹 : 벤질, p-톨루엔설포닐 및 2,4-디니트로페닐이다.
C-말단 아미노산은 적절한 고형지지체에 부착된다.
상기 합성을 위한 적절한 고형지지체는 사용되는 매질에 대해 불용성이며, 단계적인 축합-탈보호반응의 시약과 반응조건에 불활성인 물질이다. 적절한 고형지지체는 클로로메틸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중합체, 하이드록시메틸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중합체 및 이와 동등한 것들, 특히 클로로메틸-폴리스티렌-1% 디비닐벤젠 중합체이다. 화합물의 C-말단이 글라이신아미드인 특별한 경우, 특히 유용한 지지체는 벤즈하이드릴아미노-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중합체[참조 : P. Rivaille, et al., Helv. Chim. Acta., 54, 2772(1971)]이다. Nα-보호된 아미노산, 특히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등중dml 세슘, 테트라메틸암모늄, 트리에틸암모늄, 1, 5-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크-5-엔 염 또는 이와 유사한 염으로서, 특히 DMF중의 세슘염으로서의 Nα-보호된 아미노산, 특히 Boc-아미노산과, 상승된 온도에서, 예를들면 약 40 내지 60℃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50℃에서 약 12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4시간동안 클로로메틸 수지와의 반응에 의해 ; 클로로메틸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형태의 수지로의 부착이 이루어진다. 디클로로메탄 또는 DMF,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중에서의 약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5℃에서 약 2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동안 N, N'-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DIC)/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BT) 중재된 커플링을 통해 Nα-Boc-아미노산이 벤즈하이드릴아민 수지에 부착된다. 이미 공지된 바와같이, 연속적인 보호된 아미노산의 커플링은 자동 폴리펩타이드 합성기에서 수행된다.
Nα-보호그룹의 제거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용액, 디옥산중의 염화수소 용액, 아세트산중의 염화수소 용액 또는 다른 강산용액,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중의 5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존재하, 주위온도에서 수행된다. 각기 보호된 아미노산은 바람직하게는 약 2.5몰 과량으로 도입되며, 커플링은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DMF 혼합물, DMF 및 이와동등한 것들, 특히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주의온도에서 수행된다. 커플링제는 보통 디클로로메탄 중의 DCC이지만, 단독 또는 HBT,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다른 N-하이드록시이미드 또는 옥심 존재하의 N,N'-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DIC) 또는 다른 카보디이미드일 수도 있다. 또한, 보호된 아미노산의 활성 에스테르(예, p-니트로페닐, 펜타플루오로페닐 등) 또는 비대칭의 무수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고체상 합성의 후반에, 완전히 보호된 폴리펩타이드는 수지로부터 제거된다. 수지 지지체와의 결합이 벤질 에스테르 형태의 결합인 경우, C-말단부가 프롤린인 펩타이드를 위해서는 알킬아민 또는 플루오로알킬아민으로, 또는, 예를들어, C 말단부가 글리신인 펩타이드를 위해서는 암모니아/메탄올 또는 암모니아/에탄올로 약 10 내지 50℃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25℃에서, 약 12 내지 24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8시간동안 아미노분해시킴으로써 절단분리된다. 또한, 예를들면, 메탄올을 사용한 에스테르 전이반응시킨 후 아미노분해에 의해 펩타이드가 수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보호된 펩타이드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로부터의 측쇄의 보호그룹 제거는 아미노분해 생성물을, 약-10 내지 10℃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0℃에서, 약 15분 내지 1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30분동안, 예를들면, 아니솔 또는 기타 카보늄 스캐빈저 존재하에서, 무수 액상 하이드로겐 플루오라이드로 처리하거나, 하이드로겐 플루오라이드/피리딘착화합물, 트리스(트리플루오로아세틸) 보론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거나, 수소 및 탄소상 팔라듐으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환원시키거나, 액상 암모니아중 나트륨으로, 바람직하게는 액상 하이드로겐 플루오라이드 및 아니솔로 환원시켜 수행된다. 벤지하이드릴아민 수지상의 글리신 말단 펩타이드 경우에, 수지 분리 및 탈보호 단계는 상기에서와 같은 액상 하이드로겐 플루오라이드 및 아니솔을 이용하는 단일단계로 병합될 수 있다. 완전히 탈보호된 폴리펩타이드는 하기와 같은 형태의 몇 개 또는 모든 단계를 이용하는 일련의 크로마토그라피 단계에 의해 정제된다 : 아세테이트 형태의 약염기 수지상에서의 이온교환 ; 비유도체화된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예를들면, 엠버라이트 XAD) 상에서의 소수성 흡수 크로마토그라피 ; 실리카 겔 흡수 크로마토그라피 ;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상에서의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라피 ; 예를들면, 세파덱스 G-25 상에서의 부분 크로마토그라피, 또는 역류분배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 특히 옥틸- 또는 옥타데실실릴-실리카 결합상 컬럼팩킹상의 역상 HPLC.
라세믹 아미노산이 1, 2, 3 또는 6위치에 사용될 경우, 부분 입체 이성질형 노나펩타이드 또는 데카펩타이드 최종 생성물이 분리되며, 적절한 위치에서 D-아미노산을 함유한 바람직한 펩타이드가,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크로마토그라피 과정중, 분리 및 정제된다.
바람직하게는, 공지의 펩타이드 중간체를 사용한 전통적인 펩타이드 용액 합성법에 의해 C-말단의 아자글리신아미드를 지닌 펩타이드가 제조된다. 이것은 실시예 3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또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하기 방법 :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수득하기 위해 보호된 폴리펩타이드로부터 보호그룹 및 임의로, 공유결합된 고형지지체를 제거하거나 ; 일반식(I)의 바람직한 화합물의 두 개의 분획을 필요한 서열에 함께 커플링시키거나 ; (a) 일반식(I)의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b) 일반식(I)의 화합물의 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c) 일반식(I)의 화합물의 염을 일반식(I)의 유리 폴리펩타이드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당해의 숙련가가 본 발명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의 일례적이고 전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조 A]
3-(2-나프틸)-D, L-알라닌
미합중국 특허 제 4,341,767호의 방법에 따라 3-(3-나프틸)D, L-알라닌을 제조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41,767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N-아세틸-3-(2-나프틸)-D,L-알라닌을 제조하고, 이것을 메틸 N-아세틸-3-(2-나프틸)-D, L-알라니네이트로 전환시키고, D 이소머(이성질체)를 분리한다.
[제조 B]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디이소프로필-D-호모아르기니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디옥산 60ml 중의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D-리시네에트 톨루엔설포네이트[참조 : B. Bezus and L.Zervas, J. Am. Chem. Soc. 83, 719(1961)]5.24g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72ml의 혼합물을 N, N'-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 1.89g으로 처리한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6시간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켜 고형상으로 농축시킨다. 이 고체를 따뜻한 DMF 20ml 중에 현탁시키고, 여과하여 N, N'-디이소프로필우레아를 제거하고, 여액을 고형상으로 농축시킨다.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결정화시켜 백색 고체인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디이소프로필-D-호모아르기네이트 톨루엔 설포네이트([α]D-7.26°(C 0.3, MeOH))를 수득한다.
이와 비슷하게, 상기 방법을 사용하나, 하기 화합물 : N, 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 N, N'-디-n-헥실카보디이미드 ; N, N'-디에틸카보디이미드 ; N, N'-디-n-프로필카보디이미드 ; N-i-프로필카보디이미드 ; N-프로필카보디이미드 ; N-n-부틸카보디이미드 ; N, N'-디-n-부틸카보디이미드 ; N, N'-디메틸카보디이미드 ; N, N'-디-i-부틸카보디이미드 ; N, N'-디-n-펜틸카보디이미드 ; N, N'-디-i-펜틸카보디이미드 ; N,N'-디페닐카보디이미드 ; N, N'-디톨릴카보디이미드 ; 또는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HCl ; 및 이와 동등한 것들로 치환시켜 이의 벤젤설포네이트 염으로써, 하기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디사이클로헥실-D-호모아르기니네이트, [α]D8.07°(C 0.9 MeOH)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N'-구아니디노-디에틸-D-호모아르기니네이트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N'-구아니디노-디-n-프로필-D-호모아르기니네이트, [α]D8.97°(C 0.9 MeOH)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구아니디노-n-프로필-D-호모아르기니네이트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구아니디노-n-부틸-D-호모아르기니네이트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N'-구아니디노-n-부틸-D-호모아르기니네이트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N'-구아니디노-디-i-부틸-D-호모아르기니네이트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디-n-펜틸-D-호모아르기니네이트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디-페닐-D-호모아르기니네이트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디메틸-D-호모아르기니네이트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N'-구아니디노-디-n-헥실-D-호모아르기니네이트 ;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N'-구아니디노-디-이소프로필-D-아르기니네이트,
[α]D-10.5°(C 0.5, MeOH).
유사하게, D-리시네이트를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D-오르니티네이트로 치환시켜, 이의 톨루엔 설포네이트 염으로써, 상응하는 아르기닌 동족체를 수득한다.
[제조 C]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G, NG'-에테노-D-호모아르기니네이트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리시네이트 2.71g 및 2-메틸티오이미다졸린 HI(Aldri
ch로부터 구입가능)1.46g을 톨루엔 15ml 및 t-BuOH 15ml의 혼합물에 가한다.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첨가하여, 혼합물의 pH를 약 8로 조정한 후, 그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가열시킨다.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250g)에 충진한다. CH2Cl2/MeOH(19 : 1) 내지 CH2Cl2/MeOH(7 : 3)의 구배로 컬럼을 용출시킨다.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을 TLC로 탐침하고,수집한 후, 농축건조시켜 백색거품(foam) 2.9g을 수득한다.
상기의 생성물 2g부를 10% Pd/C 0.8g을 함유하는 EtOH 50ml중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H2하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건조시켜, NG, NG'-에타노-호모아르기닌 1.2g을 백색 거품으로서 수득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구아닐화종으로써 S-메틸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딘티올(Aldrich)을 사용하여, NG, NG'-프로파노-호모아르기닌을 백색거품으로서 수득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구아닐화제로써 S-메틸 비스-(2, 2, 3-트리플루오로에틸)-티오우로늄 요오다이드를 사용하여 NG, NG'-비스(트리플루오로에틸)-호모아르기닌(Bth)를 백색 거품으로서 수득한다.
[제조 D]
Nα-t-부틸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디이소 프로필-D-호모아르기닌 톨루엔설포네이트
N, N'-구아니디노-이치환된-D-호모아르기닌의 Nα-t-부틸옥시카보닐 유도체를 이의 톨루엔설포네이트 전구체로부터 제조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벤질 Nα-벤질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디이소프로필-D-호모아르기니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3.25g) 및 빙초산 50ml중의 10% Pd/C 100mg의 혼합물을 대기압에서 4시간 동안 수소가스로 처리한다. 셀라이트로 촉매를 여과하여, 여액을 농축시켜 고체의 N, N'-구아니디노-디이소프로필-D-호모아르기닌 톨루엔 설포네이트를 수득한다. 50% 디옥산/물 60ml중의 상기 화합물(2.13g)용액을 1N-수산화나트륨 10ml 및 산화마그네슘 0.4g으로 처리한다. 이 혼합물을 다시 디-t-부틸디카보네이트 1.1g으로 처리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마그네슘염을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킨다. 상기 염기성 용액을 에탄올로 세척한 후, 황산 나트륨을 사용하여 pH 2.5로 조정한다. 산성의 수성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다. 건조제를 여과시키고, 여액은 농축시킨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부터 결정화시켜 Nα-t-부틸-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디이소프로필-D-호모아르기닌 톨루엔설포네이트를 수득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나, 적절한 톨루엔설포네이트 전구체로 치환시켜, 다른 Nα-t-부틸옥시카보닐-N, N'-구아니디노-이치환된-D-호모아르기닌 또는 D-아르기닌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 E]
Nα-t-부틸옥시카보닐-3-(4'-(N'프로필피폐리딜))-D-알라닌
나트륨금속 4.6g부를 순수 에탄올 400ml에 가하고, 가열한다. 생성된 나트륨 에톡사이드 용액에 디에틸아세트 아미도말로네이트 21.7g 및 4-피콜릴 클로라이드 하이드로 클로라이드(Aldrich Chem. Co.)16.4g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100℃까지 4시간 동안 가열하고, 냉각, 여과시킨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킨다.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19 : 1)중의 실리카 겔 컬럼에 충진하고, 동일한 혼합물로 용출시킨다. 생성물을 TLC에 의한 고속 UV포지티프 스포트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19 : 1)중의 실리카 겔에 놓는다. 혼합된 분획을 농축시켜 생성물을 수득한다.
상기 생성물을 에탄올 200ml중에 용해시킨 후, 물 40ml 중 수산화나트륨 2.72g의 용액으로 50℃에서 6시간 동안 처리한다. 이 용액을 6N HCl 12ml로 산성화시키고, 농축 건조시킨 후, 디옥산 200ml중에 용해시킨다. 이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2시간 동안 환류가열한다. 용액을 냉각시킨 후, 농축건조시켜 에틸 Nα-아세틸-3-(4-피리딜)-D, L-알라닌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한다.
상기 N-아세틸 에스테르 일부를 디메틸 설폭사이드 300ml 및 0.01M KCl(pH 7.2) 400ml의 혼합물중의 효소 서브틸리신 칼스버그(Subtilisin Carlsberg)(Sigma Chem. Co., 프로테아제(Ⅷ)) 200ml로 처리하여, 용해시킨다. 1N NaOH를 첨가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6시간 경과 후, 용해를 완결시킨다. 이 용액을 물 40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4×750ml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혼합시키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켜 에틸 N-아세틸-3-(4-피리딜)-D-알라니네이트를 오일로서 수득한다.
오일을 에탄올 50ml중의 N-프로필브로마이드 1.22g과 반응시킨 후, 이 용액을 농축건조시켜 에틸 Nα-아세틸-3-(1-프로필-피리디늄-4-일)-D-알라니네이트 브로마이드를 백색 흡습성의 고체로서 수득한다.
이 백색 고체를 에탄올 200ml중에 용해시키고, 촉매로서 10% Pd/C 100mg을 사용하여, 수소 가스대기하에서 환원시킨다. 18시간 환원후,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액을 농축시켜 에틸 Nα-아세틸-3-(4'-(1'-프로필피페리딜))-D-알라니네이트를 황갈색의 고체로서 수득한다. 6N- HCl 100ml중의 상기 에틸 에스테르를 4시간 동안 환류시켜, 백색고체의 유리산인 3-(4'-(1'프로필피페리딜))-D-알라닌을 수득한다.
상기 유리산을 디옥산/물(1 : 1) 100ml중에 용해시키고, 디-t-부틸디카보네이트 2g으로 처리한다. 1NNaOH를 첨가하여, pH를 9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2시간 후, 반응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에틸 에테르 100ml로 세척한 후, 수성 층을 엠버라이트 XAD-2 소수성 수지에 충진한다. 컬럼을 물 250ml로 용출시킨 후, 50%에탄올/물 250ml로 용출시킨다. 에탄올 용출물을 수집하여, 농축건조시켜 Nα-t-부틸옥시-카보닐-3-(4'-(1'-프로필피페리딜))-D-알라닌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지만, 4-피콜릴 클로라이드를 3-피콜릴 클로라이드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로 치환시켜 Nα-t-부틸옥시카보닐-3-(3'-(1'-프로필피페리딜))-D-알라닌을 제조한다.
[제조 F]
Boc-Gly-O-수지
Boc-글리신 4.9g을 에탄올 50ml 및 증류수 50ml의 혼합물중에 용해시킨다. 수성 세슘 비카보네이트로 이 용액의 pH를 7로 조정한다. 그 다음에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한다.
고진공하에서, 18시간 동안 건조시킨후, 잔사를 무수 DMF 150ml중에 용해시킨다. 클로로메틸화된 폴리스티렌-1% 디비닐벤젠(Merrifield) 수지 25g(25밀리몰의 염소에 상당하는)을 가한다. 혼합물을 50℃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키고, 여과시킨 후, 수지를 DMF, 물 및 에탄올로 순차적으로 세척한다. 수지를진공하에서 3일동안 건조시켜 Boc-Gly-O-수지 28.34g을 수득한다.
[제조 G]
A. S-메틸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딘티오ㆍ하이드로요오다이드
MeOH 175ml중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딘티올 23.24g의 용액을 MeI 15.57ml로 처리하고, 1.5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증발시키고,잔사를 Et2O중에 현탁시킨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백색 결정인 S-메틸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딘티올 51.4g을 수득한다.
B. Nα-t-부틸옥시카보닐-NG, NG'-프로페노-L-호모아르기닌
S-메틸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딘 티올을 CH2Cl2300ml 4N NaOH 50ml사이에서 분배시킴으로써 이의 HI염 51.4g으로부터 생성한다. 생성된 CH2Cl2용액을 100ml이 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EtOH 100ml를 가한다. 2N NaOH 66ml 중의 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4g용액을 S-메틸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딘 티올 용액으로 60℃에서 적가하면서 처리한다. 질소하 60℃에서 밤새 교반시킨다. 추가로 HI염 10.78g을 4N NaOH 15ml에 용해시킨 후, 90%, CH2Cl2로 추출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적가하며, 이때 반응이 실질적으로 완결된다.
반응 혼합물은 EtOAc로 세척하고, Pha를 함유하는 수성층을 디옥산 200ml 및 H2O 200ml로 희석시킨다.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킨 후 디-t-부틸디카보네이트 33g 및 MgO 6g을 첨가한다. MgO 4g 디-t-부틸디카보네이트 22g의 추가적인 뱃취를 다시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다.
MgO를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1/2용량까지 증발시킨다. 잔사를 Et2O로 2회 세척한 후 실리카 겔 컬럼(CH3CN 중에 충진된 750g실리카 겔)에 충진한다. 컬럼을 CH3CN 5ℓ로 세척하고 10% H2O/CH3CN으로 용출시키고, 추가로 20% H2O/CH3CN(5ℓ)로 더 용출시킨다. 생성된 분획물을 실리카 겔 플레이트상에 점적하여 박층 크로마토그라피(CH3CN/HOAC/H2O ; 4 : 1 : 1)시킨다. 생성 분획물을 수집하여, 농축시켜 융점 96℃,
Figure kpo00012
16.1℃(C 0.54, MeOH)의 백색 거품인 생성물 5.04g 및 부차적으로 약간 불순물이 있는 오일 15g을 수득한다.
상기와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지만, 적절한 S-메틸-N,N'-디알킬티오우로늄 하이드로요오다이드로 치환시켜, 상응하는 Nα-t-부틸옥시카보닐-NG,NG'-디알킬호모아르기닌을 수득한다.
[실시예 1]
N-Ac-D-Nal(2)-D-pCl-Phe-D-Pal(3)-Ser-hArg(CH2CF3)2-D-Tyr-Leu-hArg(CH2CF3)2-Pro-D-Ala-NH2
여기서 표제화합물은 N-Ac-D-Nal(2)-D-pCl-Phe-D-Pal(3)-Ser-Btn-D-Tyr-Leu-Bth-Pro-D-Ala-NH2로 또한 표시될 수 있다.
벡크만 990펩타이드 합성기의 반응용기에 벤즈 하이드릴아미노-폴리스티렌 수지(Peninsula Labs, 0.66밀리몰/g) 0.758g(0.5 밀리몰)을 넣는다. 첫 번째 아미노산에 Boc-D-Ala-OH 0.284g, HBt 0.202g, 0.5M 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 3ml을 부가시켜 커플링시킨다. 3시간의 커플링 경과후, 수지를 세척하고, 이 수지에 추가적인 아미노산을 하기의 합성 진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가시킨다 :
Figure kpo00013
단계 1 내지 13으로 하나의 아미노산을 위한 커플링 주기가 완결되며, 반응의 완결은 문헌[참조 : E.Kaiser, et al., Anal. Biochem., 34, 595(1970)]의 닌하이드린 방법에 따라 점검한다.
2.0 내지 3.0몰 과량의 각기 보호된 아미노산 및 DIC로 수지를 순차적으로 커플링시킨다. 즉, 연속적인 커플링 주기동안, 수지를
0.269g. Boc-Pro-OH,
0.610g. Boc-Bth-OH,
0.311g. Boc-Leu-OHㆍH2O
0.375g. Boc-D-Tyr-OH,
0.610g. Boc-Bth-OH,
0.380g. Boc-Ser(Benzyl)-OH,
0.320g. Boc-D-Pal(3)-OH,
0.390g. Boc-D-pCl-Phe-OH,
0.400g. Boc-D-Nal(2)-OH, 및
2.5ml. 아세트산 무수물로 처리한다.
반응용기로부터 수지를 제거하고, CH2Cl2로 세척한 후,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켜 보호된 폴리펩타이드 수지 1.43g을 수득한다. 보호된 펩타이드를 탈보호시키고, Kel-F 반응용기중의 아니솔(스캐빈저) 2.5ml 존재하에서, 무수액상 HF 25ml로 0℃에서 1시간동안 처리하여 수지로부터 제거한다. 진공하에서 HF를 증발시키고, 이의 HF염인 N-Ac-D-Nal(2)-D-pCl-Phe-D-Pal(3)-Ser-hArg(CH2CF3)2-D-Tyr-Leu-nArg(CH2CF3)2-Pro-D-Ala-NH2의 잔사를 에테르로 세척한다. 그 다음에 잔사를 빙초산(3×30ml)으로 추출한다. 아세트산 추출물을 증발 건조시킨다. 이 조(粗) 물질을 아세테이트 형태로 전환된 AG3컬럼(약염기 3급 아민 수지)상으로 물중에서 통과시켜 아세테이트 염으로 전환시킨다. 용출물을 동결건조시켜 백색고체인 조(粗) 펩타이드 아세테이트염 0.5g을 수득한다.
이 조 펩타이드를 50% CH3CN/50% H2O(F3CO2H중 0.1%, pH2.5) 완충용액으로 평형시킨 Licroprep RP-18(25-40미크론)의 2.4×100cm 컬럼상의 고성능액체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한다. 대략 2컬럼용량에서 용출되어 주요 UV흡광도가 280nm에서 피크를 나타내는 용출물을 수집하여, 농축건조시킨 후, 증류수로부터 3회 동결건조시켜 순수한 N-Ac-D-Nal(2)-D-pCl-Phe-D-Pal(3)-Ser-hArg(CH2CF3)2-D-Tyr-Lev-hArg(CH2CF3)2-Pro-D-Ala-NH2,
Figure kpo00014
=-17.96°(C0.4, HOAc) 64mg을 수득한다.
B. 상기에서 인용한 아미노산들을 적절한 A, B, C, D, E, F, G 또는 J 아미노산으로 치환시켜,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에 상응하는 하기와 같은 데카펩타이드를 제조한다 :
Figure kpo00015
C. 상기에서 인용한 아미노산들을 적절한 A, B, C, D, E, F, G 또는 J 아미노산으로 치환시켜,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에 상응하는 하기와 같은 데카펩타이드를 제조한다 :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실시예 2]
N-Ac-D-Nal(2)-D-pCl-Phe-D-Pal(3)-Ser-hArg(CH2CF3)2-D-Tyr-Leu-hArg(CH2CF3)2-Pro-NHEt
C-말단 Pro-NHCH2CH3를 지닌 동족체의 합성을 위해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합성과정이 사용된다. 벡크만 990합성기의 반응용기에 Boc-Pro-O수지 0.71g을 가하고, Boc-Pro-OH의 무수 세슘염 1.3몰의 과량을 클로로 메틸-폴리스티렌/1% 디비닐벤젠(Lab Systems, Inc.)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사용된 Boc-Pro-O-수지는 프롤린 0.5밀리몰을 함유하고 있다.
각기 보호된 아미노산 및 DIC 2.0 내지 3.0몰의 과량으로 수지를 순차적으로 커플링시킨다. 따라서, 연속적인 커플링 사이클중, 수지를 0.610g. Boc-Bth-OH, 0.311g. Boc-Leu-OHㆍH2O, 0.375g. Boc-D-Tyr-OH, 0.610g. Boc-Bth-OH, 0.380g. Boc-Ser(Benzyl)-OH, 0.320g. Boc-D-Pal(3)-OH, 0.390g. Boc-D-pCl-Phe-OH, 0.400g. Boc-DNal(2)-OH, 및 2.5ml. 아세트산 무수물과 반응시킨다.
반응용기로부터 수지를 제거하여, CH2Cl2로 세척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보호된 폴리펩타이드 수지 1.5g을 수득한다.
이 수지를 에틸 아민 25ml로 2℃에서 18시간 동안 아미노분해반응시켜 보호된 폴리펩타이드를 절단한다. 에틸아민을 증발시키고, 수지를 에탄올로 추출한다. 메탄올을 증발시켜, 보호된 펩타이드 0.7g을 수득한다. 이 보호된 펩타이드를 Kel-F 반응용기중에서 아니솔 2.5ml 및 재증류시킨(C0F3로부터) 무수 액상 HF 25ml와 0℃에서 1시간 동안 혼합시킨다. HF를 진공하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에테르로 세척한다. 잔사를 2M아세트산중에 용해시키고, 아세테이트 형태로 전환된 AG3컬럼상으로 물중에서 통과시켜 아세테이트 염으로 전환시킨다. 용출액을 동결건조시켜 백색고체인 조(粗) 펩타이드 아세테이트염 0.5g을 수득한다. 용출액으로서 50% CH3CH(0.1% CF3CO2H)을 사용하는 40-50미크론 옥타데실실릴화된 실리카(Merch, Lichroprep C18)의 2.5×100mm 컬럼 상에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시켜 이 염을 정제한다. H2O로부터 생성물을 동결건조시켜 백색분말의 N-Ac-D-Nal(2)-D-pCl-Phe-D-Pal(3)-Ser-hArg(CH2CF3)2-D-Tyr-Leu-hArg(CH2CF3)2-ProNHEt 70mg을 수득한다.
경우에 따라, 필요한 보호된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시켜, 상기와 비슷한 방법으로, 하기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Bth-Pro-NHEt,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Mbh-Pro-NHEt,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Pha-Pro-NHEt,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Deh-Pro-NHEt. N-Ac-D-Nal(2)-D-pCl-Phe-D-Trp-Ser-Arg-D-Nal(2)-Leu-Bth-Pro-NHEt.
에틸아민을 메틸아민 및 프로필아민의 화학량론적양으로 대체하여, 전술한 절단반응을 반복시켜, 이에 상응하는 앞서 언급한 노나펩타이드의 메틸아미드 또는 프로필아미드를 수득한다.
[실시예 3]
고전적인 용액 합성법으로 일반식(I)의 화합물을 또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두 개의 펜타펩타이드 단편을 커플링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kpo00018
각기 단편들의 커플링은 DCC/HBF 커플링 디페닐 포스포릴아지드 또는다른 라세미화 유리 단편의 커플링 기술에 의한 아실 아지드법[참조 : J.Honzel, et al., Coll, Czech. Chem. Comm., 26, 2333(1971)]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화합물(2)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화합물(1)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3)은 가수소분해반응으로 Cbz를 제거하고, DCC/HBT 또는 공지된 다른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N-Boc-N,N'-구아니도-디에틸-D-호모아르기닌으로 커플링시켜 제조한다.
가끔, 이러한 방법으로 커플링된 단편은 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일 것이다. 또한, 고상 또는 용액법으로 N-말단노나펩타이드산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어서,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에 의해 알킬아민 또는 세미카바지드-HCl과 커플링시키거나 또는 다른 커플링 방법으로 유사한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4]
[염의 제조]
A. (N-Ac-D-Nal(2)1, D-pCl-Phe2, D-Pal(3)3.6, Bth8, D-Ala10) LHRH(실시예 1참조)의 하이드로겐 플루오로아드염 0.1g 용액을 물 50ml중에 용해시키고, 미리 아세트산으로 평형시키고 탈이온화된 물로 세척한 50g Dowex 3 음이온 교환수지의 컬럼으로 통과시킨다. 컬럼을 탈이온화된 물로 용출시키고, 용출물을 동결건조시켜 이에 상응하는 (N-Ac-D-Nal(2)1, D-pCl-Phe2, D-Pal(3)3.6, Bth8, D-Ala10) LHRH의 아세트산염을 수득한다.
수지의 평형동안, 아세트산을 다른 산으로 대체하여, 상기의 방법을 반복하여, 예를 들면 이에 상응하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질산, 벤조산 및 이와 동등한 산들의 염을 수득할 수 잇다.
이와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LHRH와 유사한 다른 펩타이드들의 산부가염을 제조할 수 있다.
B.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염의 경우에는, 바람직한 산을 이용하여 물로부터 침전시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 아연탄네이트염-물 0.1ml중(N-Ac-D-Nal(2)1, D-pCl-Phe2, D-Pal(3)3.6, Bth8, D-Ala10) LHRH아세트산 10mg 용액을 0.25M NaOH 0.08ml중의 탄닌산 8mg 용액으로 처리한다. 곧이어, 물 0.1ml중의 ZnSO4ㆍ7H2O 5mg용액을 LHRH 동족체 용액에 바로 가한다.
생성된 현탁액을 물 1ml로 희석시키고, 침전물을 원심분리시킨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잔사를 1ml부의 물로 2회 세척하고, 침전물의 원심분리후, 상등액을 제거한다. 침전물을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상기 LHRH동족체의 혼합 아연탄네이트염 15mg을 수득한다.
파모에이트염-에탄올 1.6mg 및 0.25M NaOH 0.1ml의 혼합물중의 (N-Ac-D-Nal(2)1, D-pCl-Phe2, D-Pal(3)3.6, Bth8, D-Ala10) LHRH아세트산 염 50mg 용액에 0.25M NaOH 0.3ml중의 파모산 11mg용액을 가한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물 2ml중에 현탁시키고, 원심분리시킨후, 상등액을 제거한다. 침전물을 H2O 1.5mg로 세척하고, 원심분리시킨후, 상등액을 제거한다. 침전물을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상기 LHRH 동족체의 파모에이트염 54mg을 수득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다른 염을 제조할 수 있다.
C. 유리 펩타이드로부터 산부가염 제조
유리염기로서의 (N-Ac-D-Aal(2)1, D-pCl-Phe2, D-Pal(3)3.6, Bth8, D-Ala10) LHRH 50mg 용액에 1N-아세트산 30ml를 가한다. 생성된 용액을 동결건조시켜 상기의 아세트산염 50mg을 수득한다.
이와 유사하게, 아세트산을 다른 산(펩타이드에 대해 화학양론적으로 등량)으로 대체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펩타이드의 다른 산부가염,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을 갖는 산 부가염을 수득한다.
D. 금속양이온을 갖는 염, 예를 들면, 아연염의 제조
0.25M NaOH 0.4ml, 물 0.3ml 및 에탄올 1ml의 혼합물중의 (N-Ac-D-Nal(2)1, D-pCl-Phe2, D-Pal(3)3.6, Bth8, D-Ala10) LHRH아세트산염 50mg 용액에 물 0.2ml 중의 ZnSO4ㆍ7H2O 15mg용액을 가한다. 침전물을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한다. 침전물을 물 1ml로 세척한후,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한다. 침전물을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상기 LHRH 동족체의 아연염을 수득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기타 다가 양이온, 예를 들면, 칼슘, 비스무트, 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동, 코발트, 니켈, 카드뮴 등을 갖는 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5]
[유리염기로의 염의 전환]
물 25ml중의 (N-Ac-D-Nal(2)1, D-pCl-Phe2, D-Pal(3)3.6, Bth8, D-Ala10) LHRH아세트산염 50mg용액을 짝이온인 하이드록사이드를 만들기 위해 NaOH용액으로 평형시킨 Dowex 1의 50g 칼럼(강염기성, 4가의 암모늄 음이온 교환 수지)으로 통과시킨다. 컬럼을 물 150ml로 용출시키고, 용출물을 동결건조시켜 유리 염기로서 이에 상응하는 폴리펩타이드 45mg을 수득한다.
이와 유사하게, 실시예 6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기술된 펩타이드 화합물의 다른 산부가염을 이에 상응하는 유리염기로 전환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약제학적 제형]
하기는 활성성분으로써, 본 발명의 LHRH 길항제 단독, 예를 들면, (N-Ac-D-Nal(2)1, D-pCl-Phe2, D-Pal(3)3.6, Bth8, D-Ala10) LHRH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를 들면, 아세트산 부가염, 아연염, 아연 탄네이트염 등을 함유한 전형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A. 정제 제형
LHRH 길항제 10.0㎎
압측성 당, USP 86.0㎎
칼슘 스테아레이트 4.0㎎
LHRH 길항제 10.0㎎
압측성 당, USP 88.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5㎎
LHRH 길항제 5.0㎎
만니톨, USP 83.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USP 1.5㎎
미리 젤라틴화시킨 전분, USP 10.0㎎
LHRH 길항제 10.0㎎
락토오스, USP 74.5㎎
미리 젤라틴화시킨 전분, USP 15.0㎎
마그네슘 스테라레이트, USP 1.5㎎
[제조방법]
(a) LHRH 길항제를 부형제로서 당 일부와 혼합되는 경우인 습식의 과립을 만들기 위해 충분한 량의 물에 용해시킨다. 완전한 혼합시킨 후, 과립은 트레이 또는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보다 큰 덩어리를 분쇄하기 위해 건식 과립을 스크리닝시킨후, 나머지 성분들과 혼합한다. 이 과립을 표준 정제화 기계상에서 특정한 정제 무게로 압축시킨다.
(b) 이 제조방법에서, 모든 제형은 0.01% 젤라틴(USP)을 포함하게 된다. 우선 젤라틴을 수성의 과립용매중에 용해시킨후, LHRH동족체에 용해시킨다. 이후의 단계는 상기(a)와 같다.
제형 4는 경구투여용 정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B. 작용시간이 긴 근육내 주사제
1. 작용시간이 긴 근육내 주사용-호마유 겔
LHRH길항제 10.0㎎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USP 20.0㎎
호마유를 적량 가하여 1.0㎖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호마유와 혼합하여, 투명한 황색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125℃까지 가열시킨다. 이 혼합물을 오토클레이브(autoclave)시킨후, 냉각시킨다. 그 다음에 분쇄하는 동안 LHRH동족체를 무균적으로 가한다. 특히, 바람직한 LHRH 동족체는 용해도가 낮은 염, 예를 들면, 아연염, 아연탄네이트 염, 파모에이트염 등이다. 이들은 예외적으로 긴 활성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2. 작용시간이 긴 근육내 주사용-생체
분해될 수 있는 중합체 마이크로캡슐
LHRH길항제 7%
25/75글리콜라이드/락타이드 공중합체(0.5고유점도) 93%
상기 제형의 마이크로캡슐을 하기 조성물중에 현탁시킨다 :
덱스트로즈 5.0%
CMC, 나트륨 0.5%
벤질알코올 0.9%
트윈 80 0.1%
정제수를 적량 가하여 100.0%
마이크로켑슐 25mg을 비히클 1.0ml중에 현탁시킨다.
C. 근육내 주사용 수성액제
LHRH길항제 0.5%
아세트산 0.02M
벤질알코올 0.9%
만니톨 3.5%
프로필렌 글리콜 20%
pH 5 조정용 NaOH 충분량 및 물을 적량 가하여 100%
아세트산, 벤질알코올, 만니톨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물 90%중에 용해시킨다. 그 다음에 길항제를 이 용액에 용해시키고, NaOH로 pH를 조정한다. 물을 적량 가한다. 이 용액을 1미크론 필터로 여과시키고 바이알에 충진하여 오토클레이브시킨다.
D. 비내투여를 위한 수성 제형
LHRH 길항제 50㎎
0.02M 아세테이트 완충용액 5㎎
나트륨 글리코콜레이트 500㎎
0.02아세테이트 완충용액, pH 5.2를 적량 가하여 10㎖
E. 직장투여를 위한 제형
좌제용 비히클 :
LHRH길항제 5.0㎎
위텝솔(witepsol)H15 20.0g
LHRH길항제를, 용융된 위텝솔 H15와 잘 혼합시킨후, 2g주형에 붓는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의 특성 데이타가 표 1 및 2에 나타나 있다 :
[표 1a]특성데이타
Figure kpo00019
[표 1b]
Figure kpo00020
* 아미노산 분석은 표 2 참조
[표 2]아미노산 분석
Figure kpo00021
[실시예 8]
[생물학적 활성]
(a) 테스토스테론 억제
하기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테스토스테론 억제를 측정하였다 : 11 또는 13그룹의 성숙한 숫컷 비이글(개)(생후 1.5 내지 6.5년생으로 Syntex, LRE, Ridglan 또는 Whit
e Eagle로부터 입수)을 사용하여 각기 두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6주 동안 매주, 동물들을 무작위로 11 또는 13용량 그룹(비히클 또는 각기 LHRH길항제의 수개의 다른 용량중 하나)중 하나에 할당하여, 욜량 그룹당 6마리의 개가 포함된다. 그룹 1의 동물들에게 비히클 0.1ml/체중 kg을 1회 피하주사한다. 다른 그룹의 동물에게는 첨부한 계획서 1(화합물 ug/0.1ml 주사용량/체중 kg)에 나타난 하기의 용량을 투여한다. 비히클은 50/50 프로필렌 글리콜/염수이다. 헤파린화한 혈액 샘플 약 3ml를 각 개의 두부의 정맥으로부터 주사직전 및 주사후 30분, 1, 2, 4, 6, 8 및 24시간 후에 채취한다. 혈액 샘플을 수집한 후 곧바로 냉장시킨다. 2시간내에 원심분리 및 흡인시켜 혈장을 수집하고, 테스토스테론 수준의 RIA 분석전까지 -20℃에 보관한다.
테스토스테론 수준은 방사선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한다. 두 개의 연구 결과를 결합시켜, 테스토스테론 수준을 용량 수준에 대해 플롯팅(plotting)하여 ID50값(8시간 동안 테스토스테론을 최고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수득한다. 이들 값을 표 3에 나타냈으며, 또한 이들 값은 표준 LHRH 길항제, 데티렐릭스(Detirelix ; RS-68439)에 대해 상대적인 효능을 나타낸다.
[계획서 1 : 용량그룹]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표 3]
LHRH 길항제의 생체내 작용-테스토스테론 억제
Figure kpo00024
참고 : 표 3의 별표에서, ID50은 8시간까지 테스토스테론을 최고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용량이다.
(b) 히스타민 방출 및 항-배란 활성
하기의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들의 히스타민 방출 및 항-배란 활성을 비교하였다.
1. 히스타민 방출 분석
0.9% NaCl(50ug/ml 헤파린 함유) 10ml의 복강내 주사로 3 또는 4마리의 숫컷 스프라그 다울리(Sprague Dawley) 래트(350g, Iffa-Credo, france)의 혼합된 복강 세포를 회복시킨다. 1분 동안 복면의 공동을 부드럽게 맛사지시킨 후, 복강세포를 제거하고, 수집하여 500 T/분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시킨다. CA++-유리 크렙스-링거 완충용액(KRB)(조성물 : 141.9mM NaCl ; 4.7mM KCl ; 1.2mM MgSO4; 2.5mM Na2HPO4; 0.6mM KH2PO4)으로 3회 린스한 후, 세포를 현미경하에서 세고, 적절한 량의 CA+--유리 KRB로 희석시켜 약 2×10-6세포/ml의 세포밀도를 얻는다. 0.5ml의 분취량을 0.3ml Ca+--유리 KRB와 함께 35℃에서 5분 동안 예비가온시킨 후, 실험할 약의 적절한 용액 0.1ml를 가한다. 5분후, 필요한 농도를 얻기 위해 CA++함유 KRB 0.1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한다. 15분후, 빙냉시킨 CA++-유리 KRB 2.5ml를 첨가하고, 얼음에 냉각시켜 반응을 종결시킨다. 세포 현탁액을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의 히스타민함량을 추출방법을 제외한 문헌[참조 : Shore et al.,(1959) Immunol., 127, 182-186]의 방법(여기 : 365nm, 방출 450nm)에 따라 형광계로 분석한다. 실험에 사용된 농도에서는 어떠한 시약도 0.프탈디알데히드로 형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초음파처리(2분 내지 5초 펄스 빈도)후, 세포 현탁액의 총 히스타민 함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값들 중에서 자연적인 히스타민 방출은 제외시켰다.
계산 :
하기 등식으로부터 히스타민 방출 %를 계산한다 :
Figure kpo00025
[시약 및 기구]
0. 프탈디알데히드는 Fluka(No. 79760)로부터 입수했다. 모든 다른 화합물은 분석용이고, CA++-유리 KRB중에 용해시킨다. 사용된 형광계는 Perkin Elmer 모델 2000이다. 초음파처리는 마이크로팁을 지닌 VIBRA-CELL(음파물질)로 하였다.
2. 항-배란 분석
방법 : 암컷 래트를 적어도 7 내지 10일 동안 실험실 조건(오전 5시에 광에 의한 Light : dark는 14 : 10)에 적응시킨다. 적어도 12일 동안, 매일 오전 7 : 30분 내지 9 : 00시 사이에 각 래트의 질을 세정한다. 배란주기의 단계를 결정하기 위해 현미경으로 질세정의 세포진단을 실시한다. 현재 주기에 선행하여 적어도 두 마리의 정상적인 4일 주기의 래트를 선별한다. 예상되는 배란일의 아침에 래트를 죽인 다음, 난관을 제거하여, 해부용 현미경으로 새로 배란된 난소의 유무를 검사한다. 난관으로부터 난소를 꺼내어 센다. 항배란제의 활성을 위한 ED50을 계산하기 위해 암컷의 배란%를 용량의 대수에 대해 플롯팅하였다.
히스타민 방출 및 항-배란 활성이 하기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 각종 LHRH 동족체의 히스타민 분비 및 배란억제효능의 비교
Figure kpo00026
[실시예 9]
본 발명 화합물의 급성독성은 화합물을 래트에 정맥주사하여 평가한다. 3마리 숫컷 래트의 그룹에 비히클 또는 약물(RS-15378 또는 RS-26306) 1.0mg/kg을 일회 주사한다. 두 개의 추가적인 래트그룹에는 표준화합물인 RS-68439(모든 화합물의 이름은 상기 실시예에 있다) 0.3 또는 1.0mg/kg을 투여한다.
15 내지 20초 간격으로 꼬리부분의 정맥에 주사한다. 투여후 즉시 및 주사후 0.5, 1.0, 3.0 및 6.0시간만에 독성의 임상적인 증상이 관찰되었다. 결과가 표 5에 나타나 있다.
[표 5]
Figure kpo00027
* 부형제 50% 프로필렌글리콜

Claims (26)

  1.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kpo00028
    상기식에서, A는 N-Ac-D, L-Δ3.4-프롤릴, N-Ac-D, L-프롤릴, N-Ac-D, L 페닐알라닐, N-Ac-D, L-p-클로로페닐알라닐, N-Ac-D, L-p-플루오로페닐알라닐, N-Ac-3-(1-나프틸)-D, L-알라닐, N-Ac-3(2-나프틸)-D, L-알라닐, 및 N-Ac-3-(2,4,6-트리메틸페닐)-D, L-알라닐의 D-또는 L-이성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 아실 잔기이고 ; B는 D-페닐알라닐, D-p-클로로페닐알라닐, D-p-플루오로페닐알라닐, D-p-플루오로페닐알라닐, 2, 2-디페닐글라이실, D-α-메틸-p-클로로페닐알라닐 및 3-(2-나프틸)-D-알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 아실 잔기이며, C는 D-트립토파닐, D-페닐알라닐, 3-(3-피리딜)-D-알라닐, 및 3-(2-나프틸)-D-알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아실 잔기이고, ; D는 L-페닐알라닐, L-티로실 및 3-(3-피리딜)-알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아실 잔기, 아르기닐, 또는 G이며, E는 3-(2-나프틸)-D-알라닐, 3-(3-피리딜)-D-알라닐, D-티로실, D-트립토파닐, N-니코티닐-라이실, 피리딜아세틸-라이실, D-Glu(AA) 또는 G이고 : F는 L-루이실, L-노르루이실, L-페닐알라닐, L-트리토파닐, 및 3-(2-나프틸)-L-알라닐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아실 잔기이며 ; G는 일반식(a) 및 (b)의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아실 잔기이고 :
    Figure kpo00029
    [여기에서, n은 1 내지 5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이며, R2는 수소 또는 R1이거나 ; R1-HN-C=NR2는 일반식
    Figure kpo00030
    (여기에서, m은 1 내지 4이고, A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이며, X는 할로 또는 A이다)으로 표시되는 환이며, R3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페닐 또는 페닐저급 알킬이다] ; J는 D-알라닌아미드, D-루이신아미드, 글라이신아미드, 또는 -NHR4(여기서, R4는 저급 알킬 또는 NHCONH2이다)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A가 N-Ac-D-Nal(2) 또는 N-Ac-D-pCl-Phe이고 ; B가 D-pCl-Phe 또는 D-pF-Phe이며 ; C가 D-Trp, D-Nal(2) 또는 D-Pal(3)이고 ; D가 Pal(3), Tyr, Arg, Deh, Mbh, Bth 또는 Pha이며 ; E가 D-Trp, D-Tyr, D-Nal(2), D-Pal(3), D-Deh, D-Bth, D-Mbh 또는 D-Pha이고 : F가 Leu 또는 Phe이며 ; G가 Deh, Bth, Mbh, 또는 Pha이고 ; J가 D-AlaNH2또는 GlyNH2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제 2 항에 있어서, A가 N-Ac-D-Nal(2)이고 ; B가 D-pCl-Phe이며 ; C가 D-Trp 또는 D-Pal(3)이고 ; D가 Tyr, Arg, Deh, Mbh, Bth 또는 Pha이며 ; F가 Leu이고 ; J가 D-Ala NH2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4. 제 3 항에 있어서, G가 Deh 또는 Bth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5. 제 4 항에 있어서, G가 Deh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6. 제 3 항에 있어서, E가 D-Pal(3) 또는 D-Trp인 N-Ac-D-Nal(2)-D-pCl-Phe-C-Ser-Tyr-E-Leu-G-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7. 제 6 항에 있어서, C와 E가 동일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8. 제 3 항에 있어서, E가 D-Deh, D-Bth, D-Mbh 또는 D-Pha인 N-Ac-D-Nal(2)-D-pCl-C-Ser-Tyr-E-Leu-G-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9. 제 3 항에 있어서, E가 D-Trp, D-Pal(3), D-Nal(2) 또는 D-Tyr인 N-Ac-D-Nal(2)-D-pCl-Phe-C-Ser-Arg-E-Leu-G-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0. 제 9 항에 있어서, E가 D-Trp 또는 D-Pal(3)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1. 제 10 항에 있어서, C와 E가 동일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2. 제 3 항에 있어서, D가 Deh, Bth, Mbh 또는 Pha이고, E가 D-Tyr, D-Nal(2), D-Trp 또는 D-Pal(3)인 N-Ac-D-Nal(2)-D-pCl-Phe-C-Ser-D-E-Leu-G-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3. 제 12 항에 있어서, E가 D-Tyr 또는 D-Pal(3)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4. 제 3 항에 있어서, E가 D-Trp, D-Tyr 또는 D-Nal(2)인 N-Ac-D-Nal(2)-D-pCl-Phe-D-Trp-Ser-Tyr-E-Leu-G-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5. 제 3 항에 있어서, D와 G가 독립적으로 Deh, Bth, Mbh 또는 Pha이고, C와 E가 독립적으로 D-Trp 또는 D-Pal(3)인 N-Ac-D-Nal(2)-D-pCl-Phe-C-Ser-D-E-Leu-G-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6. 제 3 항에 있어서,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G-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7. 제 3항에 있어서,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Deh-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8. 제 3 항에 있어서, N-Ac-D-Nal(2)-D-pCl-Phe-D-Pal(3)-Ser-Mbh-D-Pal(3)-Leu-Mbh-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9. 제 3 항에 있어서, N-Ac-D-Nal(2)-D-pCl-Phe-D-Pal(3)-Ser-Pal(3)-Pal(3)-Leu-Bth-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0. 제 3 항에 있어서, N-Ac-D-Nal(2)-D-pCl-Phe-D-Pal(3)-Ser-Arg-D-Pal(3)-Leu-Deh-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1. 제 3 항에 있어서, N-Ac-D-Nal(2)-D-pCl-Phe-D-Pal(3)-Ser-Bth-D-Tyr-Leu-Bth-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2. 제 3 항에 있어서, N-Ac-D-Nal(2)-D-pCl-Phe-D-Pal(3)-Ser-Tyr-D-Deh-Leu-Deh-Pro-D-Ala NH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3. 제 3 항에 있어서,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Bth-Pro-D-AlaNH2;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Mbh-Pro-D-AlaNH2; N-Ac-D-Nal(2)-D-pCl-Phe-D-Pal(3)-Ser-Tyr-D-Pal(3)-Leu-Pha-Pro-D-AlaNH2; N-Ac-D-Nal(2)-D-pCl-Phe-D-Trp-Ser-Tyr-D-Trp-Leu-Bth-Pro-D-Ala NH2; N-Ac-D-Nal(2)-D-pCl-Phe-D-Trp-Ser-Arg-D-Trp-Leu-Bth-Pro-D-Ala NH2; N-Ac-D-Nal(2)-D-pCl-Phe-D-Trp-Ser-Arg-D-Trp-Leu-Phe-Pro-D-Ala NH2; N-Ac-D-Nal(2)-D-pCl-Phe-D-Pal(3)-Ser-Arg-D-Pal(3)-Leu-Bth-Pro-D-Ala NH2; N-Ac-D-Nal(2)-D-pCl-Phe-D-Pal(3)-Ser-Arg-D-Pal(3)-Leu-Pha-Pro-D-Ala NH2; N-Ac-D-Nal(2)-D-pCl-Phe-D-Trp-Ser-Tyr-D-Bth-Leu-Bth-Pro-D-Ala NH2; N-Ac-D-Nal(2)-D-pCl-Phe-D-Trp-Ser-Tyr-D-Pha-Leu-Pha-Pro-D-Ala NH2; N-Ac-D-Nal(2)-D-pCl-Phe-D-Pal(3)-Ser-Tyr-D-Bth-Leu-Bth-Pro-D-Ala NH2및 N-Ac-D-Nal(2)-D-pCl-Phe-D-Pal(3)-Ser-Mbh-D-Pal(3)-Leu-Mbh-Pro-D-Ala NH2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4. 제 1 항 내지 제 2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5. 제 1 항 내지 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HRH길항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26. 보호된 폴리펩타이드로부터 보호그룹 및, 임의로, 공유결합된 고체 지지체를 제거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수득하거나 ; 일반식(I)의 목적 화합물의 단편 2개를 함께 필요한 서열로 커플링시키거나 ; (a) 일반식(I)의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b) 일반식(I) 화합물의 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c)는 일반식(I)의화합물의 염을 일반식(I)의 유리 폴리펩타이드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 1 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80001047A 1987-02-05 1988-02-05 Lhrh 길항제로서 유용한 lhrh의 노나펩타이드 및 데카펩타이드 동족체 KR930008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10923 1987-02-05
US07/010,923 US4801577A (en) 1987-02-05 1987-02-05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US010,923 1987-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060A KR890013060A (ko) 1989-09-21
KR930008095B1 true KR930008095B1 (ko) 1993-08-25

Family

ID=2174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047A KR930008095B1 (ko) 1987-02-05 1988-02-05 Lhrh 길항제로서 유용한 lhrh의 노나펩타이드 및 데카펩타이드 동족체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4801577A (ko)
EP (1) EP0277829B1 (ko)
JP (1) JPH0791314B2 (ko)
KR (1) KR930008095B1 (ko)
AT (1) ATE109159T1 (ko)
AU (1) AU614275B2 (ko)
BR (1) BR1100688A (ko)
CA (1) CA1339043C (ko)
DE (2) DE10075027I2 (ko)
DK (1) DK173544B1 (ko)
ES (1) ES2056908T3 (ko)
FI (2) FI92326C (ko)
HK (1) HK35997A (ko)
HU (3) HUT63855A (ko)
IE (1) IE63707B1 (ko)
IL (1) IL85316A (ko)
LU (1) LU90657I2 (ko)
MX (1) MX9202737A (ko)
NL (1) NL300016I2 (ko)
NO (3) NO176440C (ko)
NZ (1) NZ223403A (ko)
ZA (1) ZA887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8519A (en) * 1987-04-06 1997-11-18 Leonard; Robert J. Flash-flow fused medicinal implants
US4935491A (en) * 1987-08-24 1990-06-1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Effective antagonists of the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which release negligible histamine
HU203204B (en) * 1987-09-15 1991-06-28 Sandoz Ag Process for producing suppository containing calcitonin and taurocholic acid
KR890006252A (ko) * 1987-10-15 1989-06-12 헤르비그 폰 모르체 분말형 폴리펩타이드의 비강내 투여용 조성물 및 투여방법
US5110904A (en) * 1989-08-07 1992-05-05 Abbott Laboratories Lhrh analogs
US5039660A (en) * 1988-03-02 1991-08-13 Endocon, Inc. Partially fused peptide pellet
US5137669A (en) * 1988-03-02 1992-08-11 Endocon, Inc. Manufacture of partially fused peptide pellet
EP0461108B1 (en) * 1989-03-09 1994-06-01 Endocon, Inc. Partially fused peptide pellet
US6156731A (en) * 1989-05-10 2000-12-05 G. D. Searle & Co. Polypeptide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US5232707A (en) * 1989-07-10 1993-08-03 Syntex (U.S.A.) Inc. Solvent extraction process
US5169932A (en) * 1989-10-30 1992-12-08 The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Gnrh analogs
US5084443A (en) * 1989-12-04 1992-01-28 Biomeasure, Inc. Promoting expression of acetylcholine receptors with lhrh antagonist
US5064939A (en) * 1990-02-06 1991-11-12 The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Cyclic gnrh antagonists
US5212288A (en) * 1990-02-20 1993-05-18 Syntex (U.S.A.) Inc. Temporary minimal protection synthesis of serine-containing polypeptides
ATE100822T1 (de) * 1990-08-04 1994-02-15 Hoechst Ag Gonadoliberin-antagonisten.
CN1036343C (zh) * 1990-11-10 1997-11-05 天津市计划生育研究所 新促黄体生成素释放激素拮抗类似物的制备方法
US5783562A (en) * 1990-11-10 1998-07-21 Asta Medica Aktiengesellschaft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analogs
IL101074A (en) * 1991-03-14 1997-09-30 Salk Inst For Biological Studi GnRH ANALOGS AND THEIR PREPARATION
ES2052488T3 (es) * 1991-04-25 1997-01-01 Romano Deghenghi Peptidos antagonistas de la hormona de liberacion de la hormona luteinizante.
DE4117507A1 (de) * 1991-05-24 1992-11-26 Scher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pfeil hoch)6(pfeil hoch)-substituierten lysin-derivaten
WO1993003752A1 (en) * 1991-08-19 1993-03-04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Decapeptide having dopamine stimulating activity
WO1993003751A1 (en) * 1991-08-26 1993-03-04 Abbott Laboratori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ublingual or buccal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agents
US5487898A (en) * 1991-08-26 1996-01-30 Abbott Laboratories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 sublingual or buccal administration therapeutic agents
US5656727A (en) * 1992-09-15 1997-08-12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Antagonists of LHRH
US5480969A (en) * 1992-09-15 1996-01-02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Antagonists of LHRH
US6828415B2 (en) 1993-02-19 2004-12-07 Zentaris Gmbh Oligopeptide lyophilisate, their preparation and use
DE4305225A1 (de) * 1993-02-19 1994-08-25 Asta Medica Ag Neues Herstellverfahren für Cetrorelix Lyophilisat
US5843901A (en) 1995-06-07 1998-12-01 Advanced Research & Technology Institute LHRH antagonist peptides
US6043218A (en) 1996-10-22 2000-03-28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ositively charged non-natural amino acids, methods of making thereof, and use thereof in peptides
US6566330B1 (en) 1996-10-22 2003-05-20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Foundation Research Development Positively charged non-natural amino acid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in peptides
US5968895A (en) 1996-12-11 1999-10-19 Praecis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sustained drug delivery
DE19712718C2 (de) * 1997-03-26 1999-09-23 Asta Medica Ag Immobilisierte und aktivitätsstabilisierte Komplexe von LHRH-Antagonist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TE302018T1 (de) 1997-06-20 2005-09-15 Akzo Nobel Nv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 antagonist
US6217844B1 (en) * 1998-04-27 2001-04-17 Praecis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detecting lesions in dense breast tissue using LHRH antagonists
US6455499B1 (en) 1999-02-23 2002-09-24 Indiana University Foundation Methods for treating disorders associated with LHRH activity
US6598784B2 (en) * 2000-12-20 2003-07-29 Meadwestvaco Packaging Syatens, Llc Beverage carton with strap type carrying handle
AU2002235348A1 (en) * 2001-01-17 2002-07-30 Praecis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ing hormone associated conditions using a combination of lhrh antagonists and specific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GB0320806D0 (en) 2003-09-05 2003-10-08 Astrazeneca Ab Therapeutic treatment
AU2004313245B2 (en) 2003-12-30 2011-04-14 Durect Corporation Polymeric implants, preferably containing a mixture of PEG and PLG, for controlled release of active agents, preferably a GNRH
JP5361210B2 (ja) * 2008-02-22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CN102584945A (zh) * 2012-02-09 2012-07-18 深圳翰宇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醋酸加尼瑞克的制备方法
CN104231055A (zh) * 2013-06-18 2014-12-24 深圳翰宇药业股份有限公司 加尼瑞克前体以及由其制备醋酸加尼瑞克的方法
CN109443592A (zh) * 2018-09-19 2019-03-08 东华大学 一种温敏嵌段共聚物低临界溶解温度的测定方法
EP4004001A4 (en) 2019-07-29 2023-08-30 Sunshine Lake Pharma Co., Ltd. SUBSTITUTED PYRIMIDINEO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23072284A1 (zh) 2021-11-01 2023-05-04 山东绿叶制药有限公司 促性腺素释放激素拮抗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5038A (en) * 1978-10-16 1980-07-29 The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Peptides which inhibit gonadal function
US4419347A (en) * 1980-10-06 1983-12-06 Syntex (U.S.A.) Inc.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US4341767A (en) * 1980-10-06 1982-07-27 Syntex Inc.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US4581169A (en) * 1982-12-21 1986-04-08 Syntex (U.S.A.) Inc.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US4481190A (en) * 1982-12-21 1984-11-06 Syntex (U.S.A.) Inc.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FI832053L (fi) * 1982-06-10 1983-12-11 Syntex Inc Nonapeptid- och dekapeptidanaloger av lhrh anvaendbara som lhrh-antagonister samt deras framstaellningsfoerfarande
US4667014A (en) * 1983-03-07 1987-05-19 Syntex (U.S.A.) Inc.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EP0145032B1 (en) * 1983-08-16 1987-11-04 Akzo N.V. Lh- rh antagonists
ZA846154B (en) * 1983-08-16 1985-03-27 Akzo Nv Lh-rh antagonists
US4569927A (en) * 1984-02-23 1986-02-11 The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GnRH Antagonists IV
US4690916A (en) * 1984-11-13 1987-09-01 Syntex (U.S.A.) Inc. Nona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AU2012488A (en) * 1987-07-31 1989-02-02 Syntex (U.S.A.) Inc. Combination therapy with lhrh antagonist analogs and 19nor progestational steroids
US5300492A (en) * 1988-02-10 1994-04-05 Tap Pharmaceuticals LHRH analogs
DE4117507A1 (de) * 1991-05-24 1992-11-26 Scher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pfeil hoch)6(pfeil hoch)-substituierten lysin-derivaten
US5480969A (en) * 1992-09-15 1996-01-02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Antagonists of LHRH
ES2164096T3 (es) * 1992-12-18 2002-02-16 Abbott Lab Antagonistas de lhrh que comprenden restos de aminoacilo modificados en posicion 5 y 6.
US5502035A (en) * 1993-08-06 1996-03-26 Tap Holdings Inc. N-terminus modified analogs of LHRH
US5516759A (en) * 1994-12-08 1996-05-14 Tap Holdings Inc. LHRH antagonists having lactam groups at the N-terminus
US5574011A (en) * 1995-04-04 1996-11-12 Tien; Henry 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ale-pattern bald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126588A (en) 1988-08-11
FI930694A (fi) 1993-02-17
DE10075027I2 (de) 2004-07-01
DK57288D0 (da) 1988-02-04
IE880298L (en) 1988-08-05
DE3850789T2 (de) 1995-03-09
ATE109159T1 (de) 1994-08-15
NL300016I2 (nl) 2001-01-02
DK173544B1 (da) 2001-02-19
FI930694A0 (fi) 1993-02-17
FI92326B (fi) 1994-07-15
HUT63855A (en) 1993-10-28
IL85316A (en) 1992-07-15
NO880494D0 (no) 1988-02-04
US5767082A (en) 1998-06-16
ES2056908T3 (es) 1994-10-16
NO880494L (no) 1988-08-08
HUT46340A (en) 1988-10-28
NL300016I1 (nl) 2000-11-01
FI880509A (fi) 1988-08-06
NZ223403A (en) 1990-10-26
DK57288A (da) 1988-08-06
EP0277829A3 (en) 1990-10-31
NO176440C (no) 1995-04-05
ZA88795B (en) 1989-10-25
KR890013060A (ko) 1989-09-21
EP0277829A2 (en) 1988-08-10
DE3850789D1 (de) 1994-09-01
BR1100688A (pt) 2000-04-18
EP0277829B1 (en) 1994-07-27
JPH0791314B2 (ja) 1995-10-04
HU215855B (hu) 2001-02-28
US4801577A (en) 1989-01-31
IE63707B1 (en) 1995-05-31
FI92326C (fi) 1994-10-25
JPS63201199A (ja) 1988-08-19
AU614275B2 (en) 1991-08-29
HK35997A (en) 1997-03-27
NO176440B (no) 1994-12-27
FI92211C (fi) 1994-10-10
NO922632D0 (no) 1992-07-03
NO2001001I1 (no) 2001-02-05
NO922632L (no) 1988-08-08
MX9202737A (es) 1992-06-30
HU210819A9 (en) 1995-08-28
DE10075027I1 (de) 2000-11-30
IL85316A0 (en) 1988-07-31
CA1339043C (en) 1997-04-01
NO301014B1 (no) 1997-09-01
LU90657I2 (fr) 2001-01-15
FI880509A0 (fi) 1988-02-04
FI92211B (fi) 199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095B1 (ko) Lhrh 길항제로서 유용한 lhrh의 노나펩타이드 및 데카펩타이드 동족체
US4667014A (en)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EP0097031B1 (en)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234571A (en) Nonapeptide and decapeptide derivatives of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US4481190A (en)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US4341767A (en)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CA1267999A (en)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gonist
EP0021234B1 (en) Nonapeptide and decapeptide derivatives of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690916A (en) Nona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US4581169A (en)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US5698522A (en) 6-position modified decapeptide LHRH antagonists
EP0400065A1 (en) HORMONE RELEASE HORMONE RELEASE HORMONE (LHRH) ANALOGS.
US4419347A (en) Nonapeptide and decapeptide analogs of LHRH, useful as LHRH antagonists
EP0301850A2 (en) LHRH antagonist analogs and 19-nor-progestational steroids for therapy
US6297354B1 (en) Pentapeptide LHRH antagon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